KR100718036B1 - Sludge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Sludge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036B1
KR100718036B1 KR1020060036148A KR20060036148A KR100718036B1 KR 100718036 B1 KR100718036 B1 KR 100718036B1 KR 1020060036148 A KR1020060036148 A KR 1020060036148A KR 20060036148 A KR20060036148 A KR 20060036148A KR 100718036 B1 KR100718036 B1 KR 10071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flocculant
wat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Priority to KR1020060036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0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처리장치는, 하폐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슬러지 케이크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러지 이송배관, 상기 이송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이송배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수량조절밸브, 슬러지 응집제를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하는 응집제탱크, 응집제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응집제조절밸브, 물과 응집제를 함께 수용 및 교반시켜 응집액을 형성한 후 이 응집액을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교반탱크,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되는 응집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응집액조절밸브, 상기 교반탱크 내에 수용된 물과 응집제를 상호 교반시키도록 이 교반탱크 내에 설치되는 제1임펠러, 이송배관 내에 설치되는 제2임펠러, 슬러지 케이크의 전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전하량 측정센서,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제1이송펌프와 제2이송펌프 및 수량조절밸브, 응집제조절밸브, 제1이송펌프, 제2이송펌프, 제1임펠러, 제2임펠러, 응집액조절밸브 및 전하량측정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Th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ludge cake dewatering from sludge separated from wastewater, and includes a sludge conveying pipe,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conveying pipe, and a water tank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onveying pipe A flocculating agent tank for supplying the sludge flocculating agent to the transfer piping, a flocculating agent adjusting valve installed on the transfer piping for adjusting the flocculating agent amount, water and an aggregating agent together, An agitating tank for supplying the agitating liquid to the transfer pipe after the agitating tank is formed, an agitating liquid adjusting valv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the agitating liquid supplied to the transfer piping, A first impeller installed in the stirring tank, a second impeller installed in the conveying pipe, a preheater of the sludge cake A first transfer pump, a second transfer pump, and a quantity control valve, a flocculant control valve, a first transfer pump, a second transfer pump, a first impeller, a second impeller, , A flocculation liquid control valv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e amount measurement sensor.

슬러지, 슬러지 케이크, 응집제 Sludge, sludge cake, coagulant

Description

슬러지 처리장치{Sludge treatment apparatus}[0001] Sludge treatment apparatus [0002]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sludge disposal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슬러지 처리장치 10 ... 이송배관100 ... sludge treatment device 10 ... transfer piping

20 ... 물탱크 30 ... 응집제탱크20 ... water tank 30 ... coagulant tank

40 ... 교반탱크 45 ... 제1임펠러40 ... Stirring tank 45 ... First impeller

50 ... 제2임펠러 60 ... 제1이송펌프50 ... second impeller 60 ... first transfer pump

70 ... 제2이송펌프 80 ... 전하량측정센서70 ... second transfer pump 80 ...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90 ... 콘트롤러90 ... controller

본 발명은 생활하수, 공업폐수 등 오폐수로부터 분리되어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슬러지를 응집액과 혼합시켜 수분을 탈취함으로써 슬러지 케이크를 형성하기 위한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for forming a sludge cake by mixing moisture with sludg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 separated from wastewater such as domestic wastewater or industrial wastewater and dehydrating water.

생활하수, 공업폐수, 축산폐수 등 오폐수를 정화처리할 때 우선 이 오폐수를 침전조에 일정 시간 체류시킴으로써 오폐수 내에 부유하고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켜 오폐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렇게 침전조에서 분리된 슬러지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른바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하여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탈취한 후 별도의 공정을 통해 재활용되거나 매립된다.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탈취하여 슬러지 케이크를 형성하는 종래의 슬러지 처리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러지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When the wastewater is purged from domestic wastewater, industrial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the wastewater is first settled in the settling tank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by precipitating the sludge suspended in the wastewater, thereby separating the sludge from the wastewater. Since the sludge separated from the settling tank contains a large amount of water, the so-called polymer flocculant is use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sludge and then recycled or buried in a separate process. A conventional sludge treatment apparatus for dehydrating moisture from sludge to form a sludge cake is shown in 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sludge disposal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러지 처리장치(9)에는 교반탱크(1)가 설치된다. 이 교반탱크(1)에는 물공급관(2a)과 고분자 응집제 공급관(2b)이 각각 설치되어 물과 고분자 응집제가 이 교반탱크(1)에 함께 수용된다. 교반탱크(1)에 함께 수용된 고분자 응집제와 물이 상호 교반되도록 이 교반탱크(1) 내에는 임펠러(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임펠러(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가 설치된다. 상기 교반탱크(1) 내에서 고분자 응집제와 물이 혼합되어 응집액이 형성되는데, 물은 95%, 고분자 응집제는 5%의 중량비로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응집액은 이송배관(5)을 타고 이송되며 슬러지 주입관(6)을 통해 유입된 슬러지와 응집반응을 행함으로써, 슬러지 내의 수분이 탈취되고 슬러지 케이크가 형성된다. 한편, 교반탱크(1)와 슬러지 주입관(6) 사이에는 펌프(7)가 설치되어 교반탱크(1)로부터 배출된 응집액을 슬러지 주입관(6)측으로 이송시킨다. 또한, 교반탱크(1)로부터 배출된 응집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8)가 상기 이송배관(5)에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sludge treatment apparatus 9 is provided with a stirring tank 1. In this stirring tank 1, a water supply pipe 2a and a polymer flocculant supply pipe 2b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water and a polymer flocculant are accommodated in the stirring tank 1 together. An impeller 3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tirring tank 1 so that the polymer flocculant contained in the stirring tank 1 and the water are stirred together and a motor 4 for rotating the impeller 3 is installed . In the stirring tank 1, a polymer flocculant and water are mixed to form an aggregated liquid. It is preferable to mix water at a weight ratio of 95% and polymer flocculant at a weight ratio of 5%. The agglomerated liquid thus formed is conveyed through the transfer pipe 5 and performs an agglomeration reaction with the sludge introduced through the sludge injection pipe 6, whereby moisture in the sludge is deodorized and a sludge cake is formed. A pump 7 is provided between the agitation tank 1 and the sludge injection pipe 6 to transfer the agglomerated liquid discharged from the agitation tank 1 to the sludge injection pipe 6 side. A valve (8) for adjusting the amount of the flocculated liquid discharged from the stirring tank (1) is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5).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슬러지 처리장치(9)는 물과 고분자 응집제의 공급량 조절, 응집액 공급량의 조절을 모두 사용자가 직접 행하게 되어 있어 정확하고 일정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교반탱크(1) 내에서 형성되는 응집액은 물의 중량비가 95%, 고분자 응집제의 중량비가 5%가 되도록 형성되어야 하지만, 사용자가 물과 고분자 응집제를 교반탱크(1)에 직접 투여함으로써 정확한 중량비를 맞출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응집액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아,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슬러지 케이크 내의 수분함량이 일정하게 나타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ludge disposal apparatus 9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problem in that accurate and constant control can not be performed because the user controls the supply amount of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flocculation liquid directly. In other words, the aggregated liquid formed in the stirring tank 1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weight ratio of water is 95% and the weight ratio of the polymer flocculant is 5%. However, when the user directly applies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to the stirring tank 1 The weight ratio could not be met.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aggregated liquid is not constant and the moisture content in the finally formed sludge cake can not be constantly displayed.

한편, 응집액과 슬러지의 응집반응을 통해 형성된 슬러지 케이크의 수분함량을 계속적으로 측정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슬러지 처리장치(9) 최종적으로 형성된 슬러지 케이크의 시료를 채취하여 별도로 연구실 등에서 수분함량을 측정하였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시료를 단속적으로 채취하여 조사하였으므로 슬러지 케이크의 수분함량이 지속적으로 측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슬러지 케이크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후 수분이 기준치 이상 포함되어 있을 때는 밸브(8)를 조절하여 응집액의 투여량을 늘리는 등 응집액 투여량을 정확하게 제어해 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슬러지 처리장치(9)에서는 밸브(8)의 제어를 사용자가 직접 행하게 됨으로써 정확한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since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ludge cake formed through the coagulation reaction between the flocculating liquid and the sludge must be continuously measur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ludge cake finally formed is measured by a conventional sludge treating apparatus (9)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is not continuously measured because the sample is intermittently sampled and examined. In addition,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is measured and the water conten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osage of the flocculating liquid should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valve (8)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rol of the valve 8 is performed directly by the user in the device 9, so that accurate control is impossible.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종래의 슬러지 처리장치(9)에 의하여 형성된 슬러지 케이크는 그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없었으며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Due to the above problems, the sludge cake formed by the conventional sludge disposal apparatus 9 can not control its moisture content constantly, and the use thereof is very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응집액 내의 물과 응집제의 중량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응집액의 투여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 케이크 내의 수분함량이 연속적으로 측정되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슬러지 케이크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슬러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udge cake which can maintain a constant weight ratio of water and flocculant in the flocculating liqui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water content of the sludge cake formed by the sludge cak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처리장치는, 하폐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슬러지 케이크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러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슬러지 주입관과 이 주입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이송배관, 상기 이송배관의 이송경로상 슬러지 주입구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로부터 이송배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수량조절밸브, 상기 이송배관의 이송경로상 슬러지 주입구의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탈취하기 위한 슬러지 응집제를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하는 응집제탱크, 상기 응집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응집제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응집제조절밸브,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된 물과 응집제를 함께 수용 및 교반시켜 응집액을 형성한 후 이 응집액을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슬러지 주입구와 응집제탱크 사이의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교반탱크,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되는 응집액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교반탱크와 슬러지 주입구 사이에 배 치되는 응집액조절밸브, 상기 교반탱크 내에 수용된 물과 응집제를 상호 교반시키도록 이 교반탱크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임펠러, 상기 물탱크와 응집제탱크로부터 공급된 물과 응집제가 상기 교반탱크로 유입되기 전에 교반되도록, 상기 응집제탱크와 교반탱크 사이의 상기 이송배관 내에 설치되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임펠러, 상기 물탱크와 응집제탱크로부터 공급된 물과 응집제를 상기 교반탱크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응집제탱크와 교반탱크 사이의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제1이송펌프, 상기 교반탱크로부터 공급된 응집액을 슬러지 주입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교반탱크와 슬러지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2이송펌프, 상기 슬러지 주입구로부터 공급된 슬러지와 교반탱크로부터 공급된 응집액이 상호 혼합되어 형성된 슬러지 케이크의 전하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슬러지 주입구와 이송배관의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전하량측정센서 및 상기 수량조절밸브, 응집제조절밸브, 제1이송펌프, 제2이송펌프, 제1임펠러, 제2임펠러, 응집액조절밸브와 전하량측정센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수량조절밸브, 응집제조절밸브, 제1이송펌프, 제2이송펌프, 제1임펠러, 제2임펠러, 응집액조절밸브와 전하량측정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for sludge separated from wastewater to form a sludge cake by dewatering the sludge, comprising: a sludge injection tube for injecting slud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transfer pipe, wherein the transfer pipe is disposed upstream of the sludge injection port on the transfer path of the transfer pipe and supplies water to the transfer pipe, A flocculant tank disposed on an upstream side of the sludge inlet 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conveyance pipe for supplying a sludge flocculant to the conveying pipe for withdrawing moisture from the sludge, a flocculant tank provided in the flocculant tank,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flocculant A stirring tank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between the sludge inlet and the flocculant tank to form a flocculated liquid by receiving and agitat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transfer pipe and the flocculant together, An agitating liquid control valve disposed between the agitating tank and the sludge inlet so as to regulate the amount of the agitating liquid supplied to the transfer piping, and an agitating liquid regulating valve rotatably disposed in the agitating tank so as to agitate the water and the agglutinating agent contained in the agitating tank A first impeller installed, a second rotatably mounted second impeller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between the flocculant tank and the agitating tank so that the water and the flocculan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the flocculant tank are stirred before flowing into the agitating tank, Impeller, water and coagulan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the flocculant tank to the stirring tank A second transfer pump disposed between the agitation tank and the sludge inlet so as to transfer the agglomeration liquid supplied from the agitation tank to the sludge injection port side, a second transfer pump disposed between the agitation tank and the agitation tank, A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disposed between the sludge inlet port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transfer pipe to measure the amount of charge of the sludge cake formed by mixing the sludge supplied from the sludge inlet port and the coagulating liquid supplied from the stirring tank, And the flow rate measuring sens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alve, the first transfer pump, the second transfer pump, the first impeller, the second impeller,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A transfer pump, a first impeller, a second impeller, a flocculant control valv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It is characterized in eoj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장치(100) 는, 이송배관(10), 물탱크(20), 수량조절밸브(21), 응집제탱크(30), 응집제조절밸브(31), 교반탱크(40), 응집액조절밸브(41), 제1임펠러(45), 제2임펠러(50), 제1이송펌프(60), 제2이송펌프(70), 전하량측정센서(80) 및 콘트롤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fer pipe 10, a water tank 20, a water quantity control valve 21, a flocculant tank 30, The first impeller 50, the first conveying pump 60, the second conveying pump 70, the charge amount measuring unit 31, the stirring tank 40, the aggregate liquid adjusting valve 41, the first impeller 45, the second impeller 50, A sensor 80 and a controller 90.

상기 이송배관(10)은 오폐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와 후술할 고분자 응집제 및 물이 각각 유입되어 후술할 슬러지 케이크를 형성한 후 이 슬러지 케이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관이다. 상기 이송배관(10)은 물공급관(11), 응집제 공급관(12), 응집액 믹싱배관(13), 주배관(14), 단부에 슬러지 주입구가 형성된 슬러지 주입관(15) 및 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관(16)을 구비한다. The transfer pipe 10 is a pipe for introducing the sludge separated from the waste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and the water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sludge cake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charging the sludge cake to the outside. The transfer piping 10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11, a flocculant supply pipe 12, a flocculating liquid mixing pipe 13, a main pipe 14, a sludge injection pipe 15 having a sludge injection port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 discharge pipe (16).

상기 물탱크(20)는 물을 수용하여 상기 이송배관(1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탱크(20)의 하부는 상기 물공급관(11)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물공급관(11)은 상기 응집액 믹싱배관(13)과 연결되어 있다. 이 물탱크(20)는 이송배관(10)의 이송경로상 후술할 슬러지 주입관(15)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The water tank 20 is for receiving water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transfer pipe 10.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2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is connected to the coagulating liquid mixing pipe (13). This water tank 20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ludge injection pipe 15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pipe 10.

상기 응집제탱크(30)는 고분자 응집제를 수용하여 상기 이송배관(1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응집제탱크(30)의 하부는 상기 응집제 공급관(12)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응집제 공급관(12)은 상기 응집액 믹싱배관(13)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응집제탱크(30)는 이송배관(10)의 이송경로상 슬러지 주입관(15)의 상류측,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 주입관(15)과 물탱크(20) 사이에 위치한다. 물공급관(11)을 통해 공급된 물과 응집제 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된 고분자 응집제는 상기 응집액 믹싱배관(13)에서 서로 혼합된다. 상기 고분자 응집제는 슬러지와의 응 집반응을 통하여 이 슬러지 내의 수분을 탈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ylamide) 계열 또는 폴라아마이드(polyamide) 계열의 응집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른 종류의 고분자 응집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고분자 응집제는 액상, 겔(gel)상태 및 분말상태로 존재하며, 물에 희석하여 농도를 맞춘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응집제와 물을 혼합할 때 물 95%, 고분자 응집제 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량조절밸브(21) 와 응집제조절밸브(31)는 상기 중량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량조절밸브(21)는 물공급관(11)에 설치되며 응집제조절밸브(31)는 응집제공급관(12)에 설치된다. The flocculant tank 30 is provided to receive the polymer flocculant and supply the flocculant tank 30 to the transfer pipe 10. The bottom of the flocculant tank 30 is connected to the flocculant supply pipe 12, And is connected to the coagulating liquid mixing pipe (13). The flocculant tank 30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ludge injection pipe 15 on the transfer path of the transfer pipe 10 and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sludge injection pipe 15 and the water tank 20.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polymer flocculant supplied through the flocculant supply pipe (12) are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flocculating liquid mixing pipe (13). The polymer flocculant is use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sludge through a flocculation reaction with the sludge. Polyacylamide or polyamide flocculants may be used, and other types of polymer flocculants Can be used. The polymer flocculant is present in the form of liquid, gel, and powder, and is preferably diluted with water to adjust the concentration. It is preferable to mix the polymer flocculant and water in a weight ratio of 95% of water and 5% of the polymer flocculant. The water amount control valve 21 and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31 are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weight ratio. The water control valve 21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31 is connected to the flocculant supply pipe 12.

상기 교반탱크(40)는 물탱크(20)와 응집제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과 고분자 응집제를 함께 수용 및 혼합시키기 위한 탱크로서, 교반탱크(40)의 일단은 상기 응집액 믹싱배관(13)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후술할 주배관(14)과 연결되어 있다. 이 교반탱크(40)내에는 고분자 응집제와 물이 서로 혼합되도록 제1임펠러(4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제1임펠러(45)는 교반탱크(40) 외부에 설치되는 제1모터(46)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1임펠러(45)의 회전에 의하여 고분자 응집제와 물은 상호 교반되어 응집액을 형성한 후 교반탱크(40) 하단의 주배관(14)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교반탱크(40)로부터 주배관(14)으로 유입되는 응집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슬러지 주입관(15)과 교반탱크(40) 사이의 주배관(14)에는 응집액조절밸브(41)가 설치된다. The stirring tank 40 is a tank for receiving and mixing the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0 and the flocculant tank 30 together and one end of the stirring tank 40 is connected to the flocculating liquid mixing pipe 1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main pipe 14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stirring tank 40, a first impeller 45 is rotatably installed so that the polymer flocculant and water are mixed with each other. The first impeller 45 is driven by a first motor 46 provided outside the stirring tank 40.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impeller 45, the polymer flocculant and water are mix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aggregated liquid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main pipe 14 at the lower end of the stirring tank 40. A flocculation liquid control valve 41 is installed in the main pipe 14 between the sludge injection pipe 15 and the agitation tank 40 to regulate the amount of the flocculating liquid flowing into the main pipe 14 from the agitation tank 40 do.

한편, 상기 제2임펠러(50)는 물탱크(20)와 응집제탱크(30)로부터 공급된 물 과 고분자 응집제가 교반탱크(40)로 유입되기 전에서 일차적으로 이 물과 고분자 응집제를 교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응집제탱크(30)와 교반탱크(40) 사이의 믹싱배관(13)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임펠러(50)는 믹싱배관(13)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2모터(51)에 의하여 구동력을 받아 회전된다. 물과 고분자 응집제는 믹싱배관(13)내에서 제2임펠러(50)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교반되고 교반탱크(40)내에서 제1임펠러(45)에 의하여 다시 교반되므로 물과 고분자 응집제가 균일하게 교반된다. The second impeller 50 may be configured to mix the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before the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0 and the flocculant tank 30 are introduced into the mixing tank 40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ixing pipe 13 between the coagulant tank 30 and the stirring tank 40. [ The second impeller 50 is rotated by a second motor 51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mixing pipe 13 under a driving force. The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are first stirred by the second impeller 50 in the mixing pipe 13 and then stirred again by the first impeller 45 in the stirring tank 40 so that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are uniformly stirred do.

상기 제1이송펌프(60)는 응집제탱크(30)와 교반탱크(40) 사이의 믹싱배관(13)에 설치되어 물탱크(20)와 응집제탱크(30)로부터 각각 공급된 물과 고분자 응집제를 상기 교반탱크(40)쪽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2이송펌프(70)는 교반탱크(40)와 슬러지 주입관(15) 사이에 배치되어 교반탱크(40)에서 형성된 응집액을 슬러지 주입관(15)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1,2이송펌프(60,70)은 통상 벨로우즈(bellows)형 또는 다이아프램(diaphragm)형 펌프가 사용된다. The first transfer pump 60 is installed in the mixing pipe 13 between the flocculant tank 30 and the stirring tank 40 and is provided with water and polymer flocculan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0 and the flocculant tank 30, To the stirring tank (40). The second transfer pump 70 is disposed between the agitation tank 40 and the sludge injection pipe 15 to transfer the agglomeration liquid formed in the agitation tank 40 to the sludge injection pipe 15 sid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pumps 60 and 70 are usually a bellows type pump or a diaphragm type pump.

상기 슬러지 주입관(15)의 일단은 오폐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를 모아 놓은 예컨대 슬러지 저장조(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슬러지 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주배관(14)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교반탱크(40)로부터 응집액과 상기 슬러지 주입관(15)을 통해 공급된 슬러지는 상기 주배관(14)에서 상호 혼합되어 응집반응을 행하게 된다. 즉, 양전하를 가지고 있는 응집제는 슬러지의 콜로이드 입자 표면의 음전하를 중화시키고, 콜로이드 입자표면의 전하가 중화되어감에 따라 입자들은 서로 접근 가능하게 되고 결국은 상호 충돌하게 되며, 충돌된 입자들은 수소결합 또는 반데르발스 인력과 같은 결합력에 의해 하나의 덩어리가 되어 미세플럭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미세플럭들은 다시 전기적 인력 등 결합력에 의하여 큰 플럭을 형성함으로써 슬러지와 응집액 간의 응집반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분자 응집제의 긴 사슬형 분자구조는 입자표면간의 가교를 통해 이미 새성괸 각 플럭들을 하나로 뭉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응집반응에 의하여 슬러지는 탈수되어 슬러지 케이크를 형성하게 된다. One end of the sludge injection pipe 15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 sludge storage tank (not shown) in which sludge separated from the wastewater is collected, and a sludge injection po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to be connected to the main pipe 14. The sludge supplied from the agitation tank 40 through the sludge injecting pipe 15 and the flocculated liquid are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main pipe 14 to perform agglomeration reaction. That is, the flocculant having a positive charge neutralizes the negative charge on the surface of the colloid particle of the sludge, and as the charge on the surface of the colloid particle is neutralized, the particles become accessible to each other and eventually collide with each other. Or van der Waals attraction force to form micro flocs, and these micro flocs again form large flocs by the binding force such as electric attraction force, so that the agglomeration reaction between the sludge and the flocculating liquid is performed. In this process, the long-chain molecular structure of the polymer flocculant plays a role of aggregating the newly formed flocs into one by cross-linking the particle surfaces. The sludge is dehydrated by the coagulation reaction to form a sludge cake.

상기 응집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슬러지 케이크는 배출관(16)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슬러지 주입배관(15)과 배출구 사이에는 상기 전하량측정센서(80)가 설치된다. 전하량측정센서(80)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전의 슬러지 케이크의 전하량을 측정을 통해 이 슬러지 케이크 내의 수분함량을 계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전하량 측정을 위해 전하량측정센서(80)는 복수의 전극(미도시), 전압발생장치(미도시) 및 전류측정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전압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측정용전압은 슬러지케이크에 삽입된 복수의 전극을 통해 슬러지케이크에 인가된다. 상기 전류측정장치는 슬러지케이크에 삽입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게 된다. 슬러지케이크 내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경우 측정된 전류의 세기는 높아지며 수분이 적게 함유된 경우 측정된 전류의 세기는 낮아지게 되므로, 전하량 측정을 통해 슬러지케이크 내의 수분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하량측정센서의 구성은 하나의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매질에 존재하는 전하량 또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The sludge cake formed by the coagulation reac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16. The charge amount measurement sensor 80 is installed between the sludge injection pipe 15 and the discharge port. The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80 is for continuousl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ludge cake through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charge of the sludge cake before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e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80 for the charge amount measurement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electrodes (not shown), a voltage generating device (not shown) and a current measuring device (not shown). The measurement voltage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ing device is applied to the sludge cake through a plurality of electrodes inserted in the sludge cake. The current measuring device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two electrodes inserted in the sludge cake.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ludge cake is high, the intensity of the measured current is high. When the moisture content is low, the intensity of the measured current is low. Therefore, the water content in the sludge cake can be measured through the charge measurement. The configuration of such a charge quantity measuring sensor i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a known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 charge or electric current existing in a medium containing moisture can be applied.

상기 콘트롤러(90)는 이상에서 설명한 수량조절밸브(21), 응집제조절밸브(31), 제1이송펌프(60), 제2이송펌프(70), 제1임펠러(45), 제2임펠러(50) 및 응집액조절밸브(41) 및 전하량측정센서(8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전하량측정센서(9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슬러지 케이크의 수분함량이 측정되면 이 수분함량에 따라 상기 응집액조절밸브(41)의 개폐를 조절하여 응집액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슬러지 케이크 내의 수분함량이 높으면 응집액조절밸브(41)의 개방량을 증가시켜 응집액의 공급량을 늘리게 되고, 반대의 경우 응집액조절밸브(41)의 개방량을 감소시켜 응집액의 공급량을 줄이게 된다. 또한, 수량조절밸브(21)와 응집제조절밸브(31)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응집액에서 물과 고분자 응집제의 중량비가 정확하게 95% 대 5%가 되도록 제어한다. 제1이송펌프(60), 제2이송펌프(70), 제1임펠러(45) 및 제2임펠러(5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정도의 이송속도와 교반속도를 유지시킨다.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21,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31, the first transfer pump 60, the second transfer pump 70, the first impeller 45, 50, the flocculating liquid control valve 41 and the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80, respectively, to control their operation.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ludge cake finally discharged by the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90 is measured, the amount of the flocculated liquid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cculated liquid control valve 41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That is, whe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sludge cake is high, the amount of the flocculating liquid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flocculating liquid control valve 41, and in the opposite case, by decreasing the opening amount of the flocculating liquid control valve 41, . In addition,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control valve 21 and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31 is controlled so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in the flocculation liquid is precisely 95% to 5%.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transfer pump 60, the second transfer pump 70, the first impeller 45 and the second impeller 50 to maintain the desired conveying speed and stirring spe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처리장치(100)는 물과 고분자 응집제의 공급량의 조절, 지속적인 전하량 측정을 통해 응집액 공급량의 조절 등이 콘트롤러(90)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며, 전하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슬러지 케이크 내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90 of the slud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upply amount of water and the polymer flocculant, and adjusts the supply amount of the flocculating liquid through the continuous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charge Accurate control is possible,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ater content in the finally discharged sludge cake can be kept constant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charge amoun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 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처리장치는 응집액 내의 물과 응집제의 중량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슬러지 케이크 내의 수분함량이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응집액의 투여량을 정확하게 제어함으로써 슬러지 케이크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weight ratio of water and flocculant in the flocculating liquid constant, and can accurately control the dosage of the flocculating liquid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water content in the sludge cake, It is possible to keep the water content of the water-based water-based water-based water-based water-based water-based water-based water-based water-based water-

Claims (1)

하폐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를 탈수시켜 슬러지 케이크를 형성하기 위한 슬러지 처리장치로서,A sludge treatment apparatus for forming a sludge cake by dewatering sludge separated from wastewater, comprising: 상기 슬러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슬러지 주입구와, 이 주입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이송배관;A transfer pipe having a sludge inlet for injecting the sludg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jected sludge to the outside; 상기 이송배관의 이송경로상 슬러지 주입구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A water tank disposed upstream of the sludge inlet 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conveyance pipe and supplying water to the conveyance pipe; 상기 물탱크로부터 이송배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수량조절밸브;A quantity control valve installed on the transfer pipe to regulat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transfer pipe; 상기 이송배관의 이송경로상 슬러지 주입구의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탈취하기 위한 슬러지 응집제를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하는 응집제탱크;A flocculant tank disposed upstream of the sludge inlet 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conveyance pipe and supplying a sludge flocculant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sludge to the conveyance pipe; 상기 응집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응집제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응집제조절밸브;A flocculant control valve installed on the transfer pipe to regulate the amount of flocculant supplied from the flocculant tank;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된 물과 응집제를 함께 수용 및 교반시켜 응집액을 형성한 후 이 응집액을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슬러지 주입구와 응집제탱크 사이의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교반탱크;A stirring tank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between the sludge injection port and the flocculant tank so as to supply and agitate the water and the flocculant supplied to the transfer pipe together to form an aggregated liquid and supply the flocculated liquid to the transfer pipe; 상기 이송배관으로 공급되는 응집액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교반탱크와 슬러지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응집액조절밸브;An agitating liquid control valve disposed between the agitating tank and the sludge inlet so as to regulate the amount of the agitating liquid supplied to the transfer pipe; 상기 교반탱크 내에 수용된 물과 응집제를 상호 교반시키도록 이 교반탱크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임펠러;A first impell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stirring tank for stirring the water and the flocculant contained in the stirring tank; 상기 물탱크와 응집제탱크로부터 공급된 물과 응집제가 상기 교반탱크로 유입되기 전에 교반되도록, 상기 응집제탱크와 교반탱크 사이의 상기 이송배관 내에 설치되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임펠러; A second impell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between the flocculant tank and the agitating tank so that the water and the flocculan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the flocculant tank are stirred before flowing into the agitating tank; 상기 물탱크와 응집제탱크로부터 공급된 물과 응집제를 상기 교반탱크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응집제탱크와 교반탱크 사이의 상기 이송배관에 설치되는 제1이송펌프; A first transfer pump installed in the transfer pipe between the flocculant tank and the agitating tank so as to transfer the water and the flocculan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the flocculant tank to the agitating tank; 상기 교반탱크로부터 공급된 응집액을 슬러지 주입구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교반탱크와 슬러지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제2이송펌프;A second conveying pump disposed between the stirring tank and the sludge inlet so as to convey the aggregated liquid supplied from the stirring tank to the sludge inlet side; 상기 슬러지 주입구로부터 공급된 슬러지와 교반탱크로부터 공급된 응집액이 상호 혼합되어 형성된 슬러지 케이크의 전하량을 측정하도록, 상기 슬러지 주입구와 이송배관의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전하량측정센서; 및A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disposed between the sludge inlet port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transfer pipe to measure the amount of charge of the sludge cake formed by mixing the sludge supplied from the sludge inlet and the aggregated liquid supplied from the stirring tank; And 상기 수량조절밸브, 응집제조절밸브, 제1이송펌프, 제2이송펌프, 제1임펠러, 제2임펠러, 응집액조절밸브 및 전하량측정센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 수량조절밸브, 응집제조절밸브, 제1이송펌프, 제2이송펌프, 제1임펠러, 제2임펠러, 응집액조절밸브 및 전하량측정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The flow rate control valve,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the flocculant control valve, the first transfer pump, the second transfer pump, the first impeller, the second impell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transfer pump, the second transfer pump, the first impeller, the second impeller, the aggregate liquid control valve, and the charge amount measuring sensor.
KR1020060036148A 2006-04-21 2006-04-21 Sludge treatment apparatus KR100718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148A KR100718036B1 (en) 2006-04-21 2006-04-21 Sludge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148A KR100718036B1 (en) 2006-04-21 2006-04-21 Sludge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036B1 true KR100718036B1 (en) 2007-05-14

Family

ID=3827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148A KR100718036B1 (en) 2006-04-21 2006-04-21 Sludge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03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74B1 (en) * 2008-09-11 2009-06-03 이엔비나노텍(주) Apparatus for mixing chemicals and sludge dredging apparatus using thereof
CN102692156A (en) * 2012-06-28 2012-09-26 上海理工大学 Sediment discharging device of center water tank of cooling tower
KR101190187B1 (en) 2012-06-12 2012-10-12 조태섭 Coagulant mixing apparatus
KR20200034188A (en) * 2018-09-21 2020-03-31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Limestone slurry transport and dewatering system
KR20200080563A (en) 2018-12-27 2020-07-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chemical dosing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sludge dehyd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500A (en) * 1989-08-09 1991-03-25 Ebara Infilco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rate of addition of polymer flocculant
JPH10109094A (en) * 1996-10-04 1998-04-28 Mori Plant:Kk Treatment of waste water or the like of barn
KR200365669Y1 (en) * 2004-07-14 2004-10-20 최영수 Hydro-extrating Vehicle System
KR20060022744A (en) * 2004-09-07 2006-03-13 정영옥 Automatic condensation melting unit using a liquid high polymer condensing materi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8500A (en) * 1989-08-09 1991-03-25 Ebara Infilco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rate of addition of polymer flocculant
JPH10109094A (en) * 1996-10-04 1998-04-28 Mori Plant:Kk Treatment of waste water or the like of barn
KR200365669Y1 (en) * 2004-07-14 2004-10-20 최영수 Hydro-extrating Vehicle System
KR20060022744A (en) * 2004-09-07 2006-03-13 정영옥 Automatic condensation melting unit using a liquid high polymer condensing materia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74B1 (en) * 2008-09-11 2009-06-03 이엔비나노텍(주) Apparatus for mixing chemicals and sludge dredging apparatus using thereof
KR101190187B1 (en) 2012-06-12 2012-10-12 조태섭 Coagulant mixing apparatus
CN102692156A (en) * 2012-06-28 2012-09-26 上海理工大学 Sediment discharging device of center water tank of cooling tower
CN102692156B (en) * 2012-06-28 2016-03-02 上海理工大学 The husky device of centre of cooling column water vat spoil disposal
KR20200034188A (en) * 2018-09-21 2020-03-31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Limestone slurry transport and dewatering system
KR102113398B1 (en) * 2018-09-21 2020-05-20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Limestone slurry transport and dewatering system
KR20200080563A (en) 2018-12-27 2020-07-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chemical dosing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of sludge dehyd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6188B2 (en) Automat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KR100718036B1 (en) Sludge treatment apparatus
US8262914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1737431B1 (en) Hybrid typed treatment apparatus for melting polymer by automatic control
US9493370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4633769B2 (en) Sludge dewatering equipment
JP2011156529A (en) Flocculant injection rate determination device and flocculant injection rate control system
WO1990009835A1 (en) Flocculating apparatus
JP2920803B2 (en) Solid-liquid separator
JP2005046787A (en) Flocculation and separation apparatus
KR960001399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JP6139349B2 (en) Water treatment system
JP2010057997A (en)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nd method
CN218755199U (en) Automatic dosing control system for coal washing water treatment process
WO2022169299A1 (en) Device for dissolving and supplying polymeric flocculant
BR1120170046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a fluid stream
KR20080057364A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flocculant in water treatment system
US5589064A (en) Apparatus for liquid solid separation of liquid effluents or wastewater
JP3967462B2 (en) Flocculant injection amount determination device
RU2688619C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JP3958990B2 (en) Processed liquid supply amount adjustment method and coagulation sedimentation equipment
KR20160088556A (en) A Chemical Injecting and Mixing Method in Water Treatment Process
KR200333467Y1 (en) Possibility control automatic proportion chemicals pouring system
JP6702656B2 (en) Granule forming method and granule forming apparatus
JP5084991B2 (en) Sludge blanket layer stabilization method and coagulation sediment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