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817B1 -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817B1
KR100717817B1 KR1020060036743A KR20060036743A KR100717817B1 KR 100717817 B1 KR100717817 B1 KR 100717817B1 KR 1020060036743 A KR1020060036743 A KR 1020060036743A KR 20060036743 A KR20060036743 A KR 20060036743A KR 100717817 B1 KR100717817 B1 KR 10071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sensor
signal
sensor butt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7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발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60036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8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Piezoelectric 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적 입력을 획득하는 인간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한된 수의 터치센서 버튼들을 통해서 복수의 상이한 입력 방식을 별도의 모드 변경 없이 처리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사용자의 조작 실수에 대한 허용 여유를 높이고 미숙한 조작에 따른 잡음 유입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본적인 동작 방식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 제한된 버튼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잡한 입력 방식을 통합 사용하는 경우라도 사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오입력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an interface for obtaining a selective input of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device and an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a touch sensor button. To this end, a limited number of touch sensor buttons can be configured to handle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methods without changing modes, to increase the allowance for user's mistakes, and to filter noise inflow due to immature operation. By providing an input device and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one touch sensor button, users can easily perform various tasks by using limited buttons when the user remembers the basic operation method and use complex input method. Even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the wrong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mmature operation or personal characteristics.

Description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Input device and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touch sensor button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간략한 구조를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입력 장치 배치도.2 is a layout view of an inpu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보다 상세한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 구조를 보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touch sensor button control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입력 처리 방법을 보인 순서도.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input processing method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터치센서 버튼 20: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10: touch sensor button 20: touch sensor button control

21: 필터링부 22: 고정위치형 입력판단부21: filtering unit 22: fixed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23: 가변위치형 입력판단부 30: 주제어부23: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30: main control unit

40, 50, 60: 터치센서 버튼 입력부 100: 어플리케이션 장치40, 50, 60: touch sensor button input unit 100: appl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선택적 입력을 획득하는 인간 인터페이스 장치(HID; Human Interface Device) 및 그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and an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a touch sensor butt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man interface device (HID) for acquiring a selective input of a user and an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단은 단순 스위치 조합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적인 반응을 센싱하는 수단에 이르기까지 많은 발전이 있어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용자의 입력을 확실하게 구분하여 획득하기 위해서는 0과 1의 이진 입력을 기본으로 하는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In general, there have been many developments from a simple switch combination to a means for sensing a user's physical response. However, it is still common to use switches based on binary inputs of 0 and 1 to clearly distinguish and obtain user inputs.

이러한 단순한 스위치들을 다수 배치하는 것으로 이들의 조합이나 단순 지정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 후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작업은 인간 인터페이스의 기본이다. 하지만, 사용자가 활용하고자 하는 장치들이 소형 경량화 되어 휴대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인간 인터페이스 역시 소형 경량화의 제한을 만족시키기 위해 배치되는 스위치들의 수를 줄이고 입력을 다양화하고 있다.By arranging a number of such simple switches and obtaining a user's input through a combination or simple designation thereof, the task of satisfying the user's needs is the basis of the human interface. However, as devices intended to be utilized by users are miniaturized and developed to satisfy portability, such a human interface is also reducing the number of switches and diversifying inputs arranged to satisfy the limitation of miniaturization and lightweight.

상기 경량화되는 인간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휴대용 장치들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용 정보 단말(PDA), 멀티미디어 재생기(MP3 재생기, 동영상 재생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 등이 대표적이다.The portable devices having the lightweight human interface are typica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ultimedia players (MP3 players, video players, digital broadcast receivers, etc.).

이러한 휴대용 장치들의 소형화에 맞추어 보다 작은 수의 입력 수단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획득하고자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는데, 복수의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이들을 개별적으로 선택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선택하거나 혹은 시간적으로 달리 입력하는 것을 통해 고정된 스위치들을 통해 더 많은 입력들을 구분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miniaturization of such portable device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obtain various inputs of a user more conveniently through a smaller number of input means, and a plurality of switches are used to select them individually, select them in combination, or time. As a result, a method of distinguishing more inputs through fixed switches through different inputs has been used.

또한, 각각의 동작 모드에 따라 고정된 스위치를 다른 용도나 입력 방식으로 처리하도록 하는 기술도 등장하여 소정 모드에서는 숫자를 입력하도록 하고, 다른 모드에서는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며, 또 다른 모드에서는 커서의 방향이나 검색 대상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a technique for processing a fixed switch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for different uses or input methods has appeared to allow a number to be input in a predetermined mode, a character to be input in another mode, and a cursor direction in another mode. It is also used for the movement of search targets.

하지만, 상기 제한된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 기술들은 모두 각각 상이한 스위치 입력 결과를 얻기 위해서 모드를 변경해야 하므로 하나의 모드에서는 기 선택된 수준의 입력만 가능하여 다른 종류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모드를 변경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되는 키의 동작 방식을 모두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작은 키에 여러 기능들에 대한 안내를 기록하여 심미성이 낮아지며 모드별 동작 방식을 숙지해야 하는 복잡함이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복잡성은 사용할 수 있는 키의 수가 줄어들수록 심각하여 어떠한 모드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키로 동작하고, 다른 모드에서는 방향키로 동작하며, 또 다른 모드에서는 설정을 위한 키로 동작하는 등 모드 별로 상이한 동작을 실시하므로 모드 전환과 실제 동작과의 관계가 복잡하여 이를 숙지하기 전까지는 정상적인 사용이 어려울 수도 있는 지경에 이르렀다. However, all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that enable a plurality of functions using the limited switches have to change modes in order to obtain different switch input results. Therefore, only a predetermined level of input is possible in one mode to perform different kinds of operations. In order to instruct, it is necessary to change a mod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knowing all the operation methods of keys op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modes. Therefore, the esthetics are reduced by recording guides for various functions in a small key, and the complexity of knowing the operation mode for each mode is inevitably increased. This complexity is serious as the number of available keys decreases, and in some modes, it operates as a key for playing multimedia files, in other modes as a direction key, and in other modes as a key for setting.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 switching and actual operation is complicated, and until it is known, normal use may be difficult.

또 다른 접근 방법으로, 사용자의 입력 편의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물리적 접촉에 의지하는 스위치 구성 대신 압력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을 구별하는 터치센서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넓은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 스크린이나 터치 패드의 경우 대단히 고가이며 제어가 어려워 고가의 장치에만 제한적으로 이용되며, 압력에 의해 스위치 입력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 버튼은 단순히 신뢰성만을 향상시킬 뿐, 그 입력 처리 방식은 기존의 스위치와 동일하여 증가된 비용에 대비하여 활용도가 미비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특성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입력 잡음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되기 쉬워 터치센서 버튼을 적용한 입력 수단의 경우 키 조합 등의 기능 할당시 정상적인 입력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였다.In another approach, a touch sensor for distinguishing a user's input by pressure may be applied instead of a switch configuration that relies on physical contact for input convenience and durability of the user. However, in the case of a touch screen or a touch pad that accepts user input over a large area, it is very expensive and difficult to control, so it is limited to only an expensive device, and the touch sensor button that distinguishes the switch input by pressure is simply reliable. In addition, the input processing method is the same as the existing switch, and the utilization is insufficient for the increased cost. In addition, a malfunction is likely to occur due to input noise tha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use characteristics, and thus, in case of input means to which a touch sensor button is applied, normal input is not guaranteed when assigning a function such as a key combination.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제한된 터치센서 버튼들을 통해서 복수의 상이한 입력 방식을 별도의 모드 변경 없이 처리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본적인 동작 방식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 제한된 버튼들을 이용하더라도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newly proposed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is to configure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methods through a limited touch sensor button so that the user can process a separate mode without changing the basic mode. It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and an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a touch sensor button that can easily perform a variety of tasks even if limited buttons are used.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들을 조작함에 있어, 단일 버튼을 누르는 경우, 일측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인접 버튼으로 이동하는 경우, 복수 버튼을 조합하여 동시에 입력하는 경우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 입력과 조합 입력 및 직관적인 방향성 입력을 별도의 모드 변경 없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ipulate a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existing within a user's finger movement range, when pressing a single button, when moving to an adjacent button while pressing one button, combining a plurality of buttons By providing a different function depending on the case of input at the same time, it is to provide an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a touch sensor button to perform simple input, combination input and intuitive directional input without changing the mode.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센서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의 특성에 무관하도록 사용자의 조작 실수에 대한 허용 여유를 높이고 미숙한 조작에 따른 잡음 유입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크게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by increasing the allowance for a user's mistake of operation and filtering the noise inflow due to inexperienced operation so as to be independent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of pressing the touch sensor button. It is to provide an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a touch sensor butt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는 제공되는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센서 버튼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신호들을 획득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획득되는 신호들의 변화를 시간 및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유효 신호만 필터링하고, 상기 유효로 판단되는 신호들은 그 신호의 지속 시간과 신호 조합 및 상기 터치센서 버튼들 사이에서의 신호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근거로 상이한 입력 내용으로 구별하는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신호 세기가 사용자 입력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는 임계값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내에 해당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여 복구되면 해당 신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put device using a touch sensor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touch sensor buttons to convert the provided pressur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rovide; Acquire the signals of the touch sensor button to sense the user's input, filter only the valid signals based on the time and signal strength of the changes of the acquired signals, and the signals determined to be valid are the duration and signal of the signal And a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for distinguishing different input contents based on a combination and a signal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amount between the touch sensor buttons, wherein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has a signal intensity of the touch sensor button. Even if it is reduced below the threshold determined to be removed, if the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signal is restor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signal is continued and is not filter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는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범위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이 제공하는 전기 신호를 시간과 세기에 따른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유효 신호만 제공하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의 유지시간 및 신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고정 위치형 입력 종류인지 판단하여 그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와; 상기 필터링부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버튼간 이동되는 경우 이동량을 검출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와; 상기 입력 판단부들의 출력을 통해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ensor button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sequentially disposed within a moving range of a user's finger and converting pressure into an electrical signal; A filtering unit which filters the electric signal provided by the touch sensor button based on time and intensity and provides only a valid signal; A fixed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type of the fixed position type is based on the holding time of the effective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and the combination of the signals, and outputs a determination result thereof; A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detecting a movement amount and outputting a result when an effective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is moved between button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through the output of the input determin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에 압력을 가하여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의 지속 혹은 단절 시간과 세기 및 유효 판단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들을 근거로 유효한 신호와 무효한 신호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신호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로 줄어들어 무효 신호로 판단되어야 할 경우에도 일정 시간 내에 해당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여 복구되면 해당 신호가 유효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한 신호의 지속 시간과 신호 조합 및 상기 터치센서 버튼들 사이에서의 신호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근거로 상이한 입력 내용으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a touch sensor butt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oviding a user by applying pressure to a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The valid signal and the invalid signal a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uration or disconnection time and strength of the signal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and threshold values that are a criterion for validity determination. Determining that the signal continues to be valid if the strength of the signal exceeds the threshol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signal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is determined to be an invalid signal; And distinguishing the user's input with different input contents based on the duration and signal combination of the valid signal and the direction and amount of signal movement between the touch sensor button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조를 간략히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입력의 크기에 따라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 세기로 제공하는 터치센서 버튼(10)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10)이 제공하는 전기적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여부 및 입력 방식에 따른 입력 종류를 구별하는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20)와,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20)가 제공하는 입력 종류에 따른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시한 작업을 실시하는 주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20)는 상기 주 제어부(30)와 별도로 구성되 어 상기 주 제어부(30)로 소정의 칩간 통신 방식(예를 들어, ISP, I2C, RS232, 병렬 논리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종류를 알려주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20)가 주 제어부(30)의 일부로 포괄되어 실질적으로는 주 제어부(30)에서 동작 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루틴이나, 함수 등일 수도 있다.1 is a simplified view of the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touch sensor button 10 for providing a user's input to the electrical signal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nput, and the touch sensor button 10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20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user inputs or the input type according to the input method using the electrical signal strength provided by the) and the iden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type provided by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20 It consists of the main control unit 30 to perform the operation instruct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20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main control unit 30, the predetermined inter-chip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ISP, I 2 C, RS232, parallel logic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30) Etc.) may be applied to inform the user of the type of the user input, and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ler 20 may be included as a part of the main controller 30 so that the separate software is substantially operated by the main controller 30. It may be a routine or a function.

상기 터치센서 버튼(10)은 하나 이상의 터치센서들이 인접하여 배치된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물리적인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해 줄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구체적인 배치 방식이나 크기 등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button 10 is one or more touch sensors are disposed adjacent to, and configured to provide a physical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input to an electrical signal, the specific arrangement method or size is applied to the application May differ.

도 2는 상기 터치센서 버튼(10)의 실질적인 적용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장치(100)의 일정 영역에 그 표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데, 어플리케이션 장치(100) 정면부의 하부 일부(40), 정면부의 일측부(60), 혹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의 측면 일부(50)에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들이 나란히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휴대성을 가진 소형 기기를 예로 보인 것으로 이는 MP3 플레이어, 동영상 플레이어, 게임기,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 전화기, 원격 조정기(리모트 콘트롤러) 등과 같이 제한된 크기를 가지면서 사용자의 복합적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2 illustrates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ouch sensor button 10. As shown in FIG. 2, a portion of a surface of the touch sensor button 10 is exposed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pplication device 100. 40, a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n one side portion 60 of the front portion, or a portion 50 of the side surface of the application device 100. The application device 100 is an example of a small device having portability, which is a limited size such as an MP3 player, a video player, a game machi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wireless telephone, a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It can be any device having a complex input that requires a user.

도시된 터치센서 버튼의 예들 중에서 측면에 일렬로 배치된 터치센서 버튼들(50)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100)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 다. 상기 각 터치센서 버튼들(50a ~ 50e)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이는 범위 내에 모두 배치될 수 있을 정도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여러 터치센서 버튼들(50a ~ 50e)이 순차적으로 압력을 받을 수 있도록 도시된 경우처럼 일렬로 배치되거나, 간단한 곡선이나 지그재그 등의 다른 방식의 배치 방식을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ase in which the touch sensor buttons 50 arranged in line on the side of the illustrated touch sensor buttons are applied to the application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Each of the touch sensor buttons 50a to 50e is preferably disposed to be close enough to be disposed within a range in which a user's finger moves, and several touch sensor buttons 50a to 50e are sequentially arranged by the movement of a finger.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in a line as shown in order to be pressured, or sequentially arranged along another arrangement such as a simple curve or zigzag.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센서 버튼들(50a ~ 50e)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을 복수의 종류로 구분하여 이들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센서 버튼들(50a ~ 50e)을 한번에 하나씩 선택하여 입력하는 경우, 상기 터치센서 버튼들(50a ~ 50e)을 둘 이상 조합하여 입력하는 경우,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 버튼들(50a ~ 50e) 중 하나에 압력을 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른 버튼으로 압력을 이동시키는 경우 등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경우처럼 5개의 터치센서 버튼들(50a ~ 50e)을 적용한 경우라면 각각의 개별 선택에 따른 5개 입력과, 이들을 2개 이상 조합한 수십 개 입력과, 방향성을 가진 수 개의 입력들을 각각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즉, 5개의 제한된 버튼들을 이용하여 수십개의 상이한 방식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과 아울러,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의 버튼 이동을 통한 방향성 획득을 통해 직관적인 조작 특성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들의 조합을 적정한 수준으로 설정한다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들을 다양하고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된다.In this embodiment, the us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ypes of ways to apply pressure to the touch sensor buttons (50a ~ 50e) is configured to process them coll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touch sensor buttons 50a to 50e are selected and inputted one at a time, when the touch sensor buttons 50a to 50e are inputt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nd the touch sensor buttons ( This is the case where the pressure is moved to another button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applied to one of 50a to 50e). For example, when five touch sensor buttons 50a to 50e are applied as shown in the drawing, five inputs according to individual selections, dozens of inputs in which two or more of them are combined, The input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at is, five limited buttons can be used to process dozens of different types of input, and intuitive operat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through directional acquisition through button movement under pressure. Accordingly, if the combination of the buttons is set at an appropriate level, the inputs that can be easily used by the user can be variously and intuitively provid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3번 버튼(50c)을 누른 상태에서 1번 버튼(50a)까지 압력을 유지하면서 이동하고, 그 방향을 상향이라 가정한 경우 상향으로 2개 버튼만 큼의 이동했으므로 이동 방향과 이동 정도를 알 수 있게 되어 이러한 구성이 동영상 재생 장치에 적용되었다면 목록을 검색하거나 음량을 선택하거나 혹은 재생 구간 이동, 재생 곡 이동등을 해당 방향 정도에 따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5번 버튼(50e)을 누른 상태에서 1번 버튼(50a)까지 압력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경우 상향 5개라는 방향과 이동성을 얻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어 임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향/하향 방향성과 이동한 버튼 수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입력 종류의 구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방향성을 가진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터치센서를 적용하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기 위해 일반적인 단순 스위치를 사용한다면 입력시 발생되는 채터링에 의한 잡음 발생으로 입력 구별이 어려워지고 사용자의 입력감이 크게 낮아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터치센서 버튼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For example, if the user presses the button 3c 50c while moving the pressure to the button 1 50a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and if the direction is assumed to be upward, the movement direction is as much as two buttons upward. If the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video player, the user can search the list, select the volume, move the play section, move the play song, etc.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is can be applied in a way of obtaining upward five directions and mobility when the user moves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to the first button 50a while pressing the button 5e 50e. And the number of moved buttons can be obtained, and the input type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ouch sensor is applied to provide an input having such a directionality. If a general simple switch is used to perform a similar function, input discrimination becomes difficult due to noise generated by chattering during input. Since the input feeling of the user is greatly lowered, it is most preferable to apply the touch sensor butt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터치센서 버튼들(50a ~ 50e)의 조합은 예를 들어 간단하게 2개 키의 조합들에 대한 정의를 직관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용이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라면 버튼들(50a, 50b)을 동시에 누르면 다음곡/일정 시간 진행/음향 키움/이퀄라이저 변경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 중 하나에 매칭시킬 수 있고, 버튼들(50c, 50d)을 동시에 누르면 상기 기능에 상반되는 기능을 매칭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튼들 중 중심의 3개를 동시에 누르는 입력을 주 메뉴로 복귀한다거나, 표시부를 끈다거나, 백라이트를 끈다거나 하는 작업에 매칭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장치(100)의 특성과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가능한 버튼 조합들 중 필요한 것만 선택하여 사 용하는 것이 직관성을 높이는데 유리하고, 이는 간단한 룩업테이블 매칭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 touch sensor buttons 50a to 50e may be implemented to enable the user to easily use, for example, by simply setting the definition of two key combinations intuitively, for example, music. If you press the buttons (50a, 50b) at the same time, you can match to one of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next song / schedule time advance / sound up / change the equalizer, and simultaneously press the buttons (50c, 50d) It is possible to match a function that is contrary to the function. In addition, an input of simultaneously pressing three centers of the buttons may be matched to an operation of returning to the main menu, turning off the display, or turning off the backlight.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device 100 to be applied and the user's convenience, it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intuitiveness by selecting only the necessary ones among possible button combinations, which can be performed through simple lookup table matching.

도 3은 상기 설명된 복수 입력 종류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2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20 to distinguish the plurality of input types described above.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20)는 상기 터치센서 버튼이 제공하는 전기 신호를 시간과 세기에 따른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유효 신호만 제공하는 필터링부(21)와, 상기 필터링부(21)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의 유지시간 및 신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고정 위치형 입력 종류인지 판단하여 그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22) 및 상기 필터링부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버튼간 이동되는 경우 이동량을 검출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23)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20 filters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by the touch sensor button based on time and intensity, and provides a filtering unit 21 and only the valid signal, and the filtering unit 21. The fixed position input determination unit 22 that determines whether the fixed position input type is based on the holding time of the valid signal and the combination of the signals and outputs the determination result thereof according to In the case of moving between buttons in time,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23 detects the movement amount and outputs the result.

상기 필터링부(21)는 시간의 진행에 따라 동작되는 상기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22) 및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23)에 제공되는 신호들에 대한 지속적인 필터링을 실시하는 부분으로 일정 시점에 대한 신호의 필터링이 아닌 시간의 진행에 따른 지속적인 필터링이라는 것에 주의한다. 이는 이후 동작 방식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예를 통해 알 수 있겠지만, 실질적으로는 일종의 판단 루틴으로 동작하거나, 상기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22) 또는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23)의 내부적으로 반복 사용되는 신호 필터링 수단들을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데 주의한다. The filtering unit 21 performs continuous filtering on signals provided to the fixed position type input determiner 22 and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er 23 operated as time passes. Note that this is not a filtering of the signal over, but a continuous filtering over time. This can be seen through an example of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operation afterwards, but it is actually operated as a kind of determination routine, or internally repeated use of the fixed position input determination unit 22 or the variable position input determination unit 23. Note that it may refer to the signal filtering means.

상기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22)는 상기 필터링부(21)가 제공하는 유효 신 호의 유지 시간 및 신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복수 버튼들이 동시에 눌려진 버튼 조합 입력인지 판단(예를 들어, 복수 신호들이 인가되며 제한 시간 이상 계속 입력이 유지되는 경우)하고, 해당 버튼 조합 입력이라면 설계시 마련한 버튼 조합 정보들과 비교하여 대응되는 버튼 조합이 존재한다면 현재의 입력을 해당 버튼 조합에 대응되는 입력으로 판단한 후 그 결과를 주 제어부(30)에 제공한다. 그리고, 역시 상기 필터링부(21)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의 유지 시간 및 신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단일 버튼이 눌려진 것인지 판단하여 단일 버튼이 눌려진 것이라면 해당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 제어부(30)에 제공한다. The fixed position type input determiner 22 determines whether a plurality of butto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as a button combination input based on a combination of signals and a holding time of a valid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21 (for example, The input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limited time), and if the corresponding button combination input is compared with the button combin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the design, if there is a corresponding button combination, the current input is determined as the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utton combination. The result is provided to the main control unit 30. Also, if it is determined that a single button is pressed on the basis of the holding time of the effective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21 and the combination of signals, the main controller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an input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f the single button is pressed. To 30).

이때, 상기 복수 버튼들이 동시에 눌려진 버튼 조합 입력인지, 단일 버튼이 눌려진 조합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유효 신호 유지 시간은 상이할 수도 있다. 즉, 일정시간 이내에 복수 버튼들이 눌려졌다가 해당 신호들이 소실되면 잘못된 입력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데, 단일 버튼들의 입력을 필터링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정시간보다 더 짧은 시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버튼 입력은 수십 ~ 100㎳를 기준으로 하고, 복수 버튼 입력을 수백㎳를 기준으로 하여 복수 버튼 조합을 인식시키기 위해서는 약간 더 긴 시간 동안 버튼 입력을 유지하도록 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ffective signal holding time, which i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lurality of buttons are simultaneously inputted as a button combination or a single button is pressed, may be different. That is, when a plurality of buttons are pres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corresponding signals are lost, the input may be filtered by a wrong input. When filtering input of a single button, it may be based on a shorter time than the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single button input may be based on several tens to 100 ms, and the button input may be set to hold the button input for a slightly longer time in order to recognize the multiple button combination based on the hundreds of ms.

상기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23)는 상기 필터링부(21)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의 버튼간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이 인접 버튼들로 이동하는 방식의 입력인지 구별하며, 그 이동 방향과 이동 정도(이동된 버튼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주 제어부(30)에 제공한다.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23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of the effective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21 moves between buttons, and distinguishes whether the input is an input of a method of moving to adjacent buttons, and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thereof.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number of moved buttons) is obtained and provided to the main controller 30.

상기 이동 정보를 구별하는 것은 소정 시간 이내에 현재 입력된 버튼 정보가 인접한 다른 버튼 정보로 변환되는 경우(최종 입력의 소실이나 최종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시 해당 입력의 완료로 볼 수 있다)로 한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향의 교번도 가능하도록 허용(예를 들어, 상향으로 2개 키를 간 후 하향으로 1개 키만큼 이동하면 상향 1개키로 최종 인정하도록 하는 등)하거나, 방향 변경시 후속 방향에 대한 처리는 무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혹은 안정성 있는 입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일정 키에 대한 입력을 시작하고, 소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입력을 시작한 키로 되돌아 오는 경우에만 정상적인 입력으로 판단하여 가장 많이 이동된 상태의 방향과 정도를 입력 내용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Distinguishing the movement information may be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currently input button information is converted to other adjacent button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loss of the last input or the completion of the corresponding input when the last input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alternate the direction (for example, if two keys are moved upwards and then one key is moved downward, the final recognition is made as one key upward), or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Processing for subsequent directions may be ignored. Or, if the application requires stable input, start the input for a certain key, move to a certain direction, and then return to the key that started input again, and judge the normal input and input the direction and degree of the most moved state. You can also judge.

상기 필터링부(2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터치센서 버튼(10)의 신호를 유효 신호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들을 가지고 있는데, 그 기본 기준은 신호의 세기와 신호가 발생한 후 해당 신호를 검사할 지연 시간이 된다. 즉, 입력이 가해진다는 것은 일정한 압력이 제공된다는 것이며, 센서의 특성 및 사용자의 입력 특성에 따라 원하는 압력 및 그에 따른 출력 세기를 만족시키기 위해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신호 발생을 인지한 후 상기 지연 시간 후 신호를 측정하여 그 신호의 세기가 일정한 전압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 신호를 유효한 신호로 판단하는 것이다. The filtering unit 21 has criteria for determining a signal of the touch sensor button 10 that provide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as a valid signal. The basic criterion is after the signal strength and the signal are generated. This is the delay time to check the signal. In other words, the input is applied means that a constant pressure is provided, and the delay time after acknowledging signal generation is required because a certain time is required to satisfy a desired pressure and its output intens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and the user's input. After that, the signal is measured and the signal is judged as a valid signal only wh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threshold.

하지만, 상기 설명된 복수 종류의 입력 판단 작업들을 실시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방식의 불규칙성 및 조작 환경의 불규칙성(버튼 배치 상태, 사용자의 연령, 손의 크기, 압력의 세기 등)에 따른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한 수단이 더 요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연령이 낮거나 너무 높은 경우 제공되는 압력을 일관되게 유지하기 어려워 순간적으로 낮은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손가락의 이동에 따른 압력 편차도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방향에 따른 이동 정도를 크게 하기 위해 많은 버튼들에 압력을 가하면서 손가락을 멀리 이동시키면 압력이 점차 줄어들게 되는 등 여러 종류의 입력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when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types of input determination operations, malfunctions may occur due to irregularities in the user's operation method and irregularitie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button placement, user's age, hand size, pressure strength, etc.). Given that it may be necessary further means to compensate for this. For example, if the user's age is too low or too high,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pressure provided consistently, which may provide a low pressure instantaneously, and a pressure deviation may occur due to the movement of a finger, in particular, the movement in a direction If you move your finger away while applying pressure to many buttons to increase the accuracy, several kinds of input noise can occur, such as the pressure gradually decreasing.

상기와 같은 입력 노이즈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필터링부(21)에 오동작 방지를 위한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다. 즉,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상기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22) 및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23)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21)의 유효 신호 판단 기준들인 각종 임계값들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In order to prevent such input noise as much as possible, functions for preventing malfunction may be added to the filtering unit 21. That is, in the simplest method, the fixed position input determination unit 22 and the variable position input determination unit 23 may be configured to modify various threshold values that are valid signal determination criteria of the filtering unit 21. It is.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필터링부(21)는 입력으로 허용되는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 세기를 구분하는 신호 세기 임계값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이 발생한 후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을 근거로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 세기를 판단할 시점을 결정하는 입력 판단 지연값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을 초과하다가 그 이하가 된 후 다시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입력 세기가 될 때 이를 연속 신호 입력으로 파악할 기준이 되는 무효 판단 지연값을 통해 필터링을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연값들은 복수로 설정되어 해당 필터링부(21)가 연계되어 동작하는 상기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22) 및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23)에 따라 상이한 값을 사용 될 수도 있다. Therefore, the filtering unit 2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has a signal intensity threshold for distinguishing an input intensity of the touch sensor button that is allowed as an input, and a touch sensor based on the signal intensity threshold value after the input of the touch sensor button occurs. An input determination delay value for determining a time at which the input strength of the button is to be determined, and an input strength of the touch sensor button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after the input strength of the touch sensor button exceeds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value and falls below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When the input strength exceeds the value, the filter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filtering through an invalid determination delay value, which is a reference for identifying this as a continuous signal input. The delay values may be set in plural to be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filtering unit 21. Different value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fixed position type input determiner 22 and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er 23 operating.

그리고,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과 무효 판단 지연값은 상기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22) 및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23)의 동작 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22)에서 복수의 버튼 조합이 입력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과 무효판단 지연값을 낮추어 사용자가 불균일한 압력으로 복수 버튼들을 누르더라도 이를 정상적으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23)에서 사용자가 복수의 버튼들 간을 손가락이동으로 선택하는 경우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과 무효판단 지연값을 단계적으로 낮추어 초기 버튼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버튼으로 갈수록 누르는 압력이 낮아지거나 압력이 불규칙해지더라도 이를 감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value and the invalid determination delay valu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xed position type input determiner 22 and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er 23, for example, a fixed position typ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lurality of button combinations are being input by the input determination unit 22,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value and the invalid determination delay value may be lowered so that the user can normally determine the plurality of button combinations even when the user presses the plurality of buttons with uneven pressure. When the user selects a plurality of buttons with a finger movement in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23, the pressure is gradually lowered to lower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value and the invalid determination delay value from the initial button to the remotely located button. This can be taken into account even if the pressure drops or the pressure becomes irregular.

도 4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터치센서 버튼 입력 처리 순서를 보인 순서도로서, 모드 변경이나 상태 변경에 따라 입력 종류들을 제한하지 않고 단일한 순서를 통해 상기 언급했던 복수 종류의 입력들을 각각 구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는 터치센서 버튼들이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된 경우의 예를 든 것이므로 유효한 입력으로 판단된 입력은 "키 입력"이라 하고, 유효여부와 관계 없이 신호가 발생된 입력은 "센서 입력"이라 칭한다. 그리고, 이 경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는 주 제어부에 속한 프로그램으로서 동작하는 경우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ensor button input processing sequence whe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pplied, and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described through a single sequence without limiting input types according to a mode change or a state change. A plurality of input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since the touch sensor buttons are applied to a predetermined application, an input determined to be a valid input is called a "key input", and an input in which a signal is generated regardless of whether it is valid is called a "sensor input". In this case,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operates as a program belonging to the main control unit.

먼저, 센서의 입력 정도를 필터링 없이 감시하다가 센서의 입력이 감지되면 소정의 입력 지연(제 1시간) 후 해당 센서의 입력이 안정되면 유효한 입력 신호들 의 수를 통해 입력된 키들의 숫자를 판단한다.First, while monitoring the input level of the sensor without filtering, if the sensor input is detected, if the input of the sensor is stabilized after a predetermined input delay (first time), the number of input keys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valid input signals. .

상기 판단 결과 2개 이상의 키가 동시에 입력된 경우 복수키 조합을 통한 입력인지 판단하기 전에 일정시간(제 3시간)을 더 대기하고 정말 해당 키 입력이 확실한 것인지 다시 추가시간(제 4시간)동안 더 대기한 후 해당 키 조합 입력들 받아들여 이를 기 설정된 키조합 테이블의 정보와 비교하여 대응되는 기능이 있다면 키조합 입력임을 최종 판단하여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만일 해당 키조합 테이블에 정의되지 않은 키조합인 경우 무시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wo or more keys are input at the same time, the apparatus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third time) before judging whether the input is per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key combinations, and again for an additional time (fourth time)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key input is sure. After waiting, the corresponding key combination inputs are received and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preset key combination table, and if there is a corresponding function,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key combination is input and performs the function accordingly. If a key combination is not defined in the key combination table, it is ignored.

상기 대기 시간들(제 3시간, 제 4시간)내에 키조합 입력이 전부 유지되지 않는다면(필요한 경우, 필터링의 무효 판단 지연값의 초과여부도 판단할 수 있음) 해당 입력은 무시하며, 만일 이들 중 하나의 신호만 유효한 경우(입력시 실수로 여러 키를 눌렀으나 원하는 것은 키 하나인 경우), 현재 키 정보를 저장한다.If all key combination inputs are not maintained within the waiting times (third time and fourth time) (if necessary,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filtering delay value can be exceeded can also be determined). If only one signal is valid (when multiple keys were pressed by mistake while entering, but one is desired), the current key information is stored.

이는 센서 감시 및 소정의 입력 지연(제1시간) 후 입력된 키들의 숫자가 1개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현재 키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This stores the same current key information even when the number of keys input after the sensor monitoring and the predetermined input delay (first time) is one.

현재 키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키들 간 이동(이를 '네비게이션 입력'이라 칭하도록 한다)이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단일 키를 입력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서 약간의 지연(제 2시간)동안 키 입력을 유지하는지 판단한다. Determining if keystrokes are kept for a small delay (second time) to determine if there is a movement between keys (called 'navigation input') with the current key information stored, or simply a single key input. do.

상기 판단 결과 키 입력을 유지하면 단일 키 입력을 확인하기위해 추가 지연(제 3시간)동안 입력이 유지되는지 확인하여 해당 키 입력이 유지되면 1개 키에 대한 입력으로 최종 판단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key input is maintained, it is checked whether the input is maintained for an additional delay (third time) to confirm the single key input, and if the corresponding key input is maintained, the final judgment is made as the input for one key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

만일 현재 키 정보가 저장된 상태에서 키들 간 이동, 즉 네비게이션 입력이 발생되면 키 입력이 이동한 곳이 인접 키인지 확인하여 키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단순히 방향 확인과 이동거리의 누산일 수 있으나, 센서 입력이 제거된 후 상기 확인된 방향과 누산된 이동거리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시된 경우는 이동이 확인될때마다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이다.If movement between keys, that is, navigation input, occurs while the current key information is store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key input moves to an adjacent key and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key. This may simply be an accumulation of direction confirmation and movement distance, but may be changed in such a manner as to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firmed direction and accumulated movement distance after the sensor input is removed. In the illustrated case, each time the movement is confirmed,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이렇게 이동에 따른 작업을 실시한 후 현재키 정보를 다시 갱신하여 저장하고 센서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여전히 센서 입력이 유지되면 키 위치의 이동여부를 파악하여 대응되는 작업을 하며, 센서 입력이 없거나 인접되지 않은 키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들을 무시하고 다시 센서 감시 단계로 복귀하게 된다.After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update and save the current key information again and check whether the sensor input is still, and if the sensor input is still maintained, identify the movement of the key position and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f there is an entry for the key, the entry is ignor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sensor monitoring phase.

상기 설명한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 시간과 이동 방향 및 입력되는 키들의 수를 근거로 다양한 입력 종류로 분류하여 정확한 입력을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일한 키 입력 패턴에만 익숙해지면 여러 기능들에 따른 모드 변경시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전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임의의 키 조합으로 음악을 재생하고, 다른 키 조합으로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음악을 재생하다가 키 조작으로 동영상 재생으로 곧바로 진행할 수도 있고, 이러한 기능 변경에서도 네비게이션 입력은 동일한 동작 패턴으로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input is classified into various input types based on the input time,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number of input keys to determine the correct input. According to the mode change, the desired function can be quickly switched. For example, if you play music with any key combination and play a video with another key combination, you can play the music and then proceed directly to play the video with the key operation. Can be used.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 한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은 제한된 수의 터치센서 버튼들을 통해서 복수의 상이한 입력 방식을 별도의 모드 변경 없이 처리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본적인 동작 방식을 기억하고 있는 경우 제한된 버튼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put device and the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touch sensor butt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a plurality of different input methods without changing the mode through a limited number of touch sensor buttons.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emembers the basic operation method, the user can easily perform various tasks using limited butt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들을 조작함에 있어, 단일 버튼을 누르는 경우, 일측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인접 버튼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들을 복수 버튼 위치에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 입력과 조합 입력 및 직관적인 방향성 입력을 다양한 기능 수행 중에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and the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touch sensor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operating a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existing within the user's finger movement range, when a single button is pressed, one button is pressed In the case of moving to adjacent buttons in, it is possible to perform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m at the position of multiple buttons, so that simple input, combination input, and intuitive directional input can be maintained consistently whil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입력 처리 방법은 터치센서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의 특성에 무관하도록 사용자의 조작 실수에 대한 허용 여유를 높이고 미숙한 조작에 따른 잡음 유입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입력 방식을 통합 사용하는 경우라도 사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오입력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put device and the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touch sensor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allowable margin for the user's operation mistakes to be independent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of pressing the touch sensor button and to reduce the noise inflow due to inexperienced operation By allowing filtering, even in the case of integrating complicated input metho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inexperienced operation or incorrect input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Claims (15)

제공되는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센서 버튼과; At least one touch sensor button for converting the provided pressur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providing the same;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신호들을 획득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획득되는 신호들의 변화를 시간 및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유효 신호만 필터링하고, 상기 유효로 판단되는 신호들은 그 신호의 지속 시간과 신호 조합 및 상기 터치센서 버튼들 사이에서의 신호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근거로 상이한 입력 내용으로 구별하는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를 포함하며,Acquire the signals of the touch sensor button to sense the user's input, filter only the valid signals based on the time and signal strength of the changes of the acquired signals, and the signals determined to be valid are the duration and signal of the signal It includes a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for distinguishing into different input content based on the combination and the signal movement direction and the amount of movement between the touch sensor buttons,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신호 세기가 사용자 입력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는 임계값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내에 해당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여 복구되면 해당 신호가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maintains the corresponding signal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touch sensor button recovers beyond the threshold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touch sensor button decreases below a threshold value that the user input is removed. The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enso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not determined to fil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상기 터치센서들 사이에서의 신호 이동 방향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물리적 배치를 근거로 이후 제공되는 신호의 필터링 기준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The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enso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for varying the filtering criteria of the signal to be provided later based o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ignal between the touch sensor and the physical arrangement of the touch sensor butt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상기 터치센서들 사이에서의 신호 이동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이동량이 증가하는 경우, 해당 이동량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When the amount of movement increases while the signal movement direction between the touch sensors is kept constant, the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enso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for reducing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ntensity threshold step by step in response to the increase of the movement amoun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 버튼 제어부가 구별하는 상기 상이한 입력 내용은 터치센서버튼을 누르는 지속 시간에 따른 2종류 입력 구별과, 터치센서 버튼을 단일 입력하는 것과 조합으로 입력하는 것에 대한 구별과, 터치센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인접 터치센서 버튼으로 이동하는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따른 구별 및 이러한 구별들의 조합에 따른 입력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fferent input contents distinguished by the touch sensor button control unit are divided into two types of inpu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pressing the touch sensor button, and a distinction between inputting a single touch sensor button in combination with a single input. The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enso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amount of movement to move to the adjacent touch sensor button while pressing the touch sensor button and a combination of these distinctions.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 범위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압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과; A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sequentially disposed within a moving range of a user finger and converting pressure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터치센서 버튼이 제공하는 전기 신호를 시간과 세기에 따른 기준으로 필터링하고 유효 신호만 제공하는 필터링부와; A filtering unit which filters the electric signal provided by the touch sensor button based on time and intensity and provides only a valid signal; 상기 필터링부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의 유지시간 및 신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고정 위치형 입력 종류인지 판단하여 그에 대한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와; A fixed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type of the fixed position type is based on the holding time of the effective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and the combination of the signals, and outputs a determination result thereof; 상기 필터링부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버튼간 이동되는 경우 이동량을 검출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와; A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detecting a movement amount and outputting a result when an effective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is moved between button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입력 판단부들의 출력을 통해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enso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function through the output of the input determination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치형 입력 판단부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xed position input determination unit, 상기 필터링부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의 유지 시간 및 신호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버튼 조합에 의한 입력인지 구별하는 제 1입력 구별부와; A first input distinguishing unit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input is a combination of buttons based on a combination of signals and a holding time of the valid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상기 제 1입력 구별부에 의해 제 1종류 입력 방식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 신호들의 조합에 대응되는 입력 내용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 1종류 입력 판단부와; A first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searching for input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signals and outputting a result when the first input discrimination unit determines the first type input method; 상기 필터링부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의 유지 시간 및 신호들의 조합을 기준 으로 단일 버튼 입력 방식인지 구별하는 제 2입력 구별부와; A second input distinguishing unit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single button input method based on a combination of signals and a holding time of a valid signal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상기 제 2입력 구별부에 의해 제 2입력 방식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내용을 출력하는 제 2종류 입력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And a second type input determiner configured to output input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the second input discriminator determines the second input metho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상기 필터링부가 제공하는 유효 신호의 버튼간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네비게이션 입력인지 구별하는 제 3입력 구별부와; A third input discriminating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buttons of the valid signals provided by the filtering unit are moved between the buttons and discriminates whether they are navigation inputs; 상기 제 3입력 구별부에 의해 유효 신호의 버튼간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파악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일정한 신호 형태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 3종류 입력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And a third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which grasps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ement amount of the effective signal between the buttons by the third input distinguishing unit, and generates and outputs a result thereof in a predetermined signal form. Devi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ltering unit 상기 가변 위치형 입력 판단부에 의해 필터링 기준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The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enso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ing criteria is changed by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filtering unit 입력으로 허용되는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 세기를 구분하는 신호 세기 임계값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이 발생한 후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을 근거로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 세기를 판단할 시점을 결정하는 제 1지연값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을 초과하다가 그 이하가 된 후 다시 터치센서 버튼의 입력 세기가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입력 세기가 될때 이를 연속 신호 입력으로 파악할 기준이 되는 제 2지연값을 통해 필터링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Determining a point of time to determine the input strength of the touch sensor button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for distinguishing the input strength of the touch sensor button accepted as an input, and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after the input of the touch sensor button occurs When the first delay value and the input intensity of the touch sensor button exceeds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value and falls below the first intensity value, the continuous signal is input when the input strength of the touch sensor button becomes an input strength exceeding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value. An input device using a touch senso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ing is performed through a second delay value which is a reference to be grasped as an inpu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ltering unit 상기 가변위치형 입력 판단부에 의해 상기 신호 세기 임계값과 상기 제 2지연값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장치.And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delay value are varied by the variable position type input determination unit. 사용자가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에 압력을 가하여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와; Providing a input by the user applying pressure to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상기 복수의 터치센서 버튼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의 지속 혹은 단절 시간과 세기 및 유효 판단의 기준이 되는 임계값들을 근거로 유효한 신호와 무효한 신호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신호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로 줄어들어 무효 신호로 판단되어야 할 경우에도 일정 시간 내에 해당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여 복구되면 해당 신호가 유효하게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The valid signal and the invalid signal a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uration or disconnection time and strength of the signals provided through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buttons and threshold values that are a criterion for validity determination. Determining that the signal continues to be valid if the strength of the signal exceeds the threshol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signal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is determined to be an invalid signal; 상기 유효한 신호의 지속 시간과 신호 조합 및 상기 터치센서 버튼들 사이에서의 신호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근거로 상이한 입력 내용으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구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And distinguishing the user's input with different input contents based on the duration of the valid signal, the signal combination, and the direction and amount of signal movement between the touch sensor buttons. Input processing metho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구별하는 단계는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distinguishing the user's input comprises 상기 터치센서들 사이에서의 유효 신호 이동 방향과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물리적 배치를 근거로 상기 유효한 신호와 무효한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사용될 상기 임계값들을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And varying the threshold values to be used in determining the valid and invalid signals based on the effective signal movement direction between the touch sensors and the physical arrangement of the touch sensor buttons.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sensor butto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구별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distinguishing the user's input comprises: 상기 터치센서들 사이에서의 신호 이동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이동량이 증가하는 경우, 해당 이동량의 증가에 대응하여 상기 유효한 신호와 무효한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적용되는 상기 터치센서 버튼의 신호 세기 임계값의 크기를 상기 이동량의 증가에 따라 단계적으로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버튼을 이용한 입력 처리 방법.When the movement amount increases while the signal movement direction between the touch sensors is kept constant, the signal strength threshold of the touch sensor button appli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valid signal and the invali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of the movement amount Input processing method using a touch sensor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value is reduced in stages as the movement amount increases. 삭제delete
KR1020060036743A 2006-04-24 2006-04-24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KR100717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743A KR100717817B1 (en) 2006-04-24 2006-04-24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743A KR100717817B1 (en) 2006-04-24 2006-04-24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817B1 true KR100717817B1 (en) 2007-05-14

Family

ID=3827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743A KR100717817B1 (en) 2006-04-24 2006-04-24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8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604B1 (en) * 2013-11-05 2016-05-30 정상민 Dimm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1475052A (en) * 2020-04-10 2020-07-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Method for preventing mistaken touch of key and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882A (en) 1998-01-06 1999-07-21 Poseidon Technical Systems:Kk Keyboard and input device
KR20020080702A (en) * 2001-04-17 200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ognizing method for touch screen of embedded system
US20030076306A1 (en) 2001-10-22 2003-04-24 Zadesky Stephen Paul Touch pad handheld device
KR20040105348A (en) * 2003-06-07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pad and host system thereof
KR20050056867A (en) * 2003-12-10 2005-06-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4882A (en) 1998-01-06 1999-07-21 Poseidon Technical Systems:Kk Keyboard and input device
KR20020080702A (en) * 2001-04-17 200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cognizing method for touch screen of embedded system
US20030076306A1 (en) 2001-10-22 2003-04-24 Zadesky Stephen Paul Touch pad handheld device
KR20040105348A (en) * 2003-06-07 200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pad and host system thereof
KR20050056867A (en) * 2003-12-10 2005-06-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604B1 (en) * 2013-11-05 2016-05-30 정상민 Dimm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111475052A (en) * 2020-04-10 2020-07-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Method for preventing mistaken touch of key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475052B (en) * 2020-04-10 2023-1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Method for preventing false touch of key and electronic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860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 through pattern recognition
JP5182260B2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0842604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de conversion
WO2009085338A2 (en)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by using a person&#39;s fingerprints
US20080024682A1 (en) Touchpad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by using the same
US20090051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 feedback in a portable terminal
CN104866226B (en) A kind of termina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50127701A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enhanc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des
US20090091536A1 (en) Dial Pad Data Entry
CN108900941B (en) Earphone volume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3731553A (en) Cell phone control method
CN110121474B (en) Elevator call input device
CN105607784B (en) A kind of method of adjusting sensitivity of touch screen, regulating device and terminal
KR100717817B1 (en) Input apparatus using touch sensor butto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CN102547511B (en) Headset control method and headset
US20040001097A1 (en) Glove virtual keyboard for baseless typing
WO2005106639A1 (en) Operation input unit and operation input program
US20070146193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reproducing system
CN100530052C (en) Keyboard and virtual keyboard synergic input system and realization method thereof
US2015014329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nd executing functions of portable device
CN104951293B (en) The key response method and mobile terminal of a kind of mobile terminal
KR200700510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key button back-lighting in electronic device
JP3803865B2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09657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on touch screen, and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TWI389018B (en) Handheld electrical apparatus,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