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366B1 -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366B1
KR100717366B1 KR1020060081170A KR20060081170A KR100717366B1 KR 100717366 B1 KR100717366 B1 KR 100717366B1 KR 1020060081170 A KR1020060081170 A KR 1020060081170A KR 20060081170 A KR20060081170 A KR 20060081170A KR 100717366 B1 KR100717366 B1 KR 100717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concrete
receiving groove
floor
wall
concret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을 억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바닥 슬라브의 상면 및 벽체와 밀착되게 조적되는 바닥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조물은 상면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상면에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홈이 다수 구비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그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벽체에 밀착되는 한편,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용홈의 범위를 제한하는 턱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바닥 슬라브 및 벽체 상에 안착되는 탄성재질의 베이스; 상기 수용홈 내에 주입되어 상온에서 겔 상태를 유지하는 흡음젤; 상기 흡음젤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홈을 덮는 판 형상의 강성을 갖는 밀봉재; 상기 벽체와 맞닿기 위해 수직으로 돌출된 베이스 및 밀봉재를 덮는 강성재질의 지지체; 자갈과 시멘트로 되어 다수의 공극을 갖는 블록으로, 상기 밀봉재 상에 격자형으로 조적되는 다수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완충하되,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일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네 개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교차하는 지점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탄성격벽;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 상에 타설되는 마감몰탈층; 및 마감몰탈층을 덮어 마감하는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Flat part structure preventing the noi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1 ; 바닥 슬라브 12 ; 벽체
20 ; 바닥 구조물 21 ; 베이스
22 ; 흡음젤 23 ; 밀봉재
24 ; 지지체 25, 25' ;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26 ; 탄성격벽 27 ; 덮개
28 ; 마감몰탈층 29 ; 마감재
본 발명은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을 억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및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은 다층으로 건축되면서 다세대가 입주한다. 하지만, 이러한 다세대 건물은 상하층 간의 층간소음을 발생시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물론, 층간의 간격을 두껍게 하여 소음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한정된 높이 내에서 건축되는 공동주택의 층수가 줄어둘 수 밖에 없어 현실적으로 무조건적인 층간격의 두께확장은 당해 업계에서 고려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층간격의 확장없이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층간두께의 확장없이 층간소음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바닥 슬라브의 상면 및 벽체와 밀착되게 조적되는 바닥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조물은
상면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상면에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홈이 다수 구비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그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벽체에 밀착되는 한편,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용홈의 범위를 제한하는 턱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바닥 슬라브 및 벽체 상에 안착되는 탄성재질의 베이스;
상기 수용홈 내에 주입되어 상온에서 겔 상태를 유지하는 흡음젤;
상기 흡음젤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홈을 덮는 판 형상의 강성을 갖는 밀봉재;
상기 벽체와 맞닿기 위해 수직으로 돌출된 베이스 및 밀봉재를 덮는 강성재질의 지지체;
자갈과 시멘트로 되어 다수의 공극을 갖는 블록으로, 상기 밀봉재 상에 격자형으로 조적되는 다수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완충하되,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일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네 개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교차하는 지점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탄성격벽;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 상에 타설되는 마감몰탈층; 및
마감몰탈층을 덮어 마감하는 마감재;
로 이루어진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다층건물의 상층과 하층은 건물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바닥 슬라브(11)와 벽체(12)를 기반으로, 상기 바닥 슬라브(11) 상에 바닥구조물(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는 상기 바닥구조물(20)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는 상기 바닥 슬라브(11) 상에 도포되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에 주입되는 흡음젤(22)과, 상기 흡음젤(22)을 덮는 밀봉재(23)와, 상기 밀봉재(23) 상에 조적되는 다수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6)과,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6)을 일체로 덮는 덮개(27)로 되고, 상기 덮개(27) 상으로는 난방관 등을 배관하는 마감몰탈층(28)과, 외관으로 드러나는 바닥표면을 이루는 마감재(29)가 조적된다.
상기 베이스(21)는 콘크리트 재질의 바닥 슬라브(11) 상에 긴밀하게 배치되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로, 벽체(12)와도 긴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그 단부가 절곡된다. 결국, 상기 베이스(21)는 바닥구조물(20)의 저면과 측면이 맞닿는 바닥 슬라브(11) 및 벽체(12) 사이에 끼워지면서, 바닥구조물(20)과 바닥 슬라브(11) 및 벽체(12) 사이를 경계한다.
도 1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21)는 벽체(12)와도 접하기 위해 가장자리를 따라 단부가 상기 바닥 슬라브(11) 및 벽체(12)가 이루는 사이각에 대응하게 절곡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21)는 합성수지재질의 완성된 물품으로 바닥 슬라 브(11) 상에 직접 깔릴 수도 있고, 젤 상태의 물질을 바닥 슬라브(11) 상에 도포한 후 양생과정을 통해 경화함으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21)의 내측에는 수용홈(21b)을 두고, 가장자리는 상기 수용홈(21b)에 충진된 흡음젤(22)이 바닥구조물(20)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는 턱(21c)을 형성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1)의 수용홈(21b) 내에는 다수의 홈(21a)이 형성된다. 상기 홈(21a)의 개구부는 넓고 안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되는데, 탄성재질인 베이스(21)의 특성상 상기 홈(21a)의 개구부 쪽이 힘을 받아 확장되면 상기 개구부는 베이스(21)의 탄발에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21)는 고무와 같은 탄성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상기 베이스(21) 상의 수용홈(21b)으로 흡음젤(22)이 주입된다. 상기 흡음젤(22)은 유동성을 갖는 겔 상태로 상온에서는 응고되지 않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음젤(22)의 주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2)와 맞닿는 베이스(21)의 일부에도 주입된다.
상기 베이스(21) 상에 주입된 흡음젤(22)은 상기 수용홈(21b)의 상면을 덮어 폐구하는 밀봉재(23)에 의해 밀봉된다. 즉, 상기 밀봉재(23)는 벽체(12)와의 밀착을 위해 절곡된 베이스(21)의 가장자리까지 완전히 밀봉하여 상기 흡음젤(22)의 누출을 막는다.
이를 위한 상기 밀봉재(23)는 일정수준 이상의 강성을 갖는 판 형태의 합성 수지재질로 되어서, 충격발생 시 그 진동이 상기 밀봉재(23)를 통해 확산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흡음젤(22)로도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할 수 있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다.
한편, 일반적인 층간 바닥은 소음발생의 위치가 바닥의 중심으로 갈수록 바닥의 진폭이 커지면서 상대적으로 중저음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구조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20)은 소음발생을 위한 충격이 바닥의 중심에서 일어나면, 충격에 의해 발생한 상대적으로 큰 바닥의 떨림을 상기 밀봉재(23)를 통해 흡수하여 흡음젤(22)로 전달하고, 상기 흡음젤(22)은 그 진동을 완충하여 바닥 슬라브(11)까지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한다. 즉, 바닥구조물에 가해진 충격으로, 상기 바닥구조물(20)이 진동하고, 그 진동이 바닥 슬라브(11)까지 전달되면서 하층에 전달되는 종래의 소음전달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는 바닥구조물(20)에 가해진 충격이 바닥구조물(20) 내에서 흡수되고 바닥 슬라브(11)까지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에서, 상기 흡음젤(22)과 베이스(21) 간의 완충효율(흡음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베이스(21)에는 상술한 다수의 홈(21a)이 형성되어서, 상기 흡음젤(22)에 상층의 충격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면 흡음젤(22)이 이동하면서 그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그 압력이 발생한 위치의 흡음젤(22)이 상기 홈(21a)으로도 유입된다. 즉, 상기 흡음젤(22)이 충격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홈(21a)의 개구부를 강제로 벌려 들어간 후 베이스(21)가 갖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홈(21a)의 개구부가 오물아 들면서 유입된 흡음젤(22)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진동에 의한 소음이 흡음젤(22)을 매개로 바닥구조물(20) 전체로 분산되고, 상기 흡음젤(22)을 유입했다 배출하는 베이스(21)의 구조가 흡음효율을 높여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밀봉재(23) 상에는 다수 개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이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탄성격벽(26)이 끼워져 완충된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은 자갈과 시멘트만을 혼합시켜 자갈과 자갈 사이에 많은 공극이 형성되도록 된 것으로, 발생된 진동을 상기 공극에서 소산시킴은 물론 바닥 구조물(20)이 갖는 최소한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을 바닥구조물(20)에 일체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고 다수 개의 블록단위로 나누어 탄성격벽(26)을 경계로 독립시킴으로서, 특정 지점에서 발생한 충격이 탄성이 없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을 통해 넓게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 이는 탄성이 없는 재질을 통해 소음을 유발하는 진동이 넓게 확산되면 중저음의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 25')이 상기 밀봉재(23) 상에 격자형태로 조적되고,블록(25, 25') 사이에는 탄성격벽(26)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탄성격벽(26)의 길이를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 25')의 측면 길이와 일치시킴으로서 상하좌우 네 개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 25')이 만나는 지점에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상층으로부터 소음을 유발하는 진동이 전달되면 이를 소산시켜 흡음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상기 벽체(12)와 맞닿는 부분에서의 밀봉재(23)는 견고한 지지체(24)로 덮히고, 덮개(27)가 씌워진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 25') 상에는 마감몰탈층(28)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27)는 다공성 재질인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25, 25')으로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고, 상기 지지체(24)는 마감몰탈층(28)의 하중이 벽체(12)와 맞닿는 바닥구조물(20)의 일부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유동성 흡음젤(22)이 특정 지점에 집중적으로 모이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마감몰탈층(28)은 마감재(29)로 마감되어서, 필요한 상기 바닥구조물(20)을 완성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해 바닥 슬라브와 바닥구조물을 분리시켜, 충격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는 바닥구조물 내에서 그 소음을 소산시키고 가능한 바닥 슬라브까지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바닥 슬라브의 상면 및 벽체와 밀착되게 조적되는 바닥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구조물은
    상면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 상면에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홈이 다수 구비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그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벽체에 밀착되는 한편,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용홈의 범위를 제한하는 턱이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바닥 슬라브 및 벽체 상에 안착되는 탄성재질의 베이스;
    상기 수용홈 내에 주입되어 상온에서 겔 상태를 유지하는 흡음젤;
    상기 흡음젤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용홈을 덮는 판 형상의 강성을 갖는 밀봉재;
    상기 벽체와 맞닿기 위해 수직으로 돌출된 베이스 및 밀봉재를 덮는 강성재질의 지지체;
    자갈과 시멘트로 되어 다수의 공극을 갖는 블록으로, 상기 밀봉재 상에 격자형으로 조적되는 다수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이웃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완충하되,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일측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네 개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교차하는 지점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탄성격벽;
    상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 상에 타설되는 마감몰탈층; 및
    마감몰탈층을 덮어 마감하는 마감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
KR1020060081170A 2006-08-25 2006-08-25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 KR100717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170A KR100717366B1 (ko) 2006-08-25 2006-08-25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170A KR100717366B1 (ko) 2006-08-25 2006-08-25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366B1 true KR100717366B1 (ko) 2007-05-10

Family

ID=3827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170A KR100717366B1 (ko) 2006-08-25 2006-08-25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593B1 (ko) 2013-10-17 2014-08-01 양만진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702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20030087711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200358860Y1 (ko) 2004-05-07 2004-08-11 한규성 건축 구조물의 바닥층 형성구조
KR20050030494A (ko) * 2003-09-26 2005-03-30 김덕포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39654B1 (ko) 2002-02-05 2005-12-30 주식회사 에이텍종합건축사사무소 소음, 진동 차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654B1 (ko) 2002-02-05 2005-12-30 주식회사 에이텍종합건축사사무소 소음, 진동 차단용 바닥재의 제조방법
KR20030087702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20030087711A (ko) * 2002-05-09 2003-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20050030494A (ko) * 2003-09-26 2005-03-30 김덕포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58860Y1 (ko) 2004-05-07 2004-08-11 한규성 건축 구조물의 바닥층 형성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593B1 (ko) 2013-10-17 2014-08-01 양만진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756280B1 (ko) 건축의 차음설비구조
WO1996041061A1 (en) Soundproof wall
KR102136980B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50093628A (ko) 건축용 방음 방진 패널 및 시공방법
KR200311493Y1 (ko) 방진 및 방음 패널
KR100803349B1 (ko) 건축물의 방진 방음 패널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20180052041A (ko) 층간소음 차음재
KR100717366B1 (ko)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억지 바닥구조
KR100995303B1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20170078506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KR100827841B1 (ko)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KR101176496B1 (ko) 착좌 성능이 개선된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KR100491188B1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차음방법 및 그 장치
KR101207288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50017952A (ko) 아파트, 다층다가구 공동주택 또는 다층건물의 소음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100875573B1 (ko) 층간 흡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200386447Y1 (ko) 소음 및 진동 방지용 바닥 방진판
KR101514972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0766127B1 (ko) 건물용 완충바닥구조체
KR100756414B1 (ko) 건축물의 층간 매트
KR200391127Y1 (ko) 아파트의 층간방음구조
KR200357992Y1 (ko) 건축물의 이중 슬래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