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797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797B1
KR100715797B1 KR1020050128013A KR20050128013A KR100715797B1 KR 100715797 B1 KR100715797 B1 KR 100715797B1 KR 1020050128013 A KR1020050128013 A KR 1020050128013A KR 20050128013 A KR20050128013 A KR 20050128013A KR 100715797 B1 KR100715797 B1 KR 100715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additional information
call list
li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부로부터 통화신호가 수신되면, 통화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하나 이상의 단축키를 구비하고, 단축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입력부 및 통화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통화목록 중 특정 전화번호를 삭제 또는 보관하도록 제어하는 목록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단축키를 통하여 최근 통화목록의 보관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통화목록의 삭제하여, 불필요한 통화목록의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통화, 목록, 보관, 저장, 단축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nagement Method for Call L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관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삭제 단축키 입력시 최근 통화목록이 삭제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관 단축키 입력시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관설정된 통화목록을 다른 통화목록과는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관설정된 통화목록을 별도의 목록표로 구성한 것을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통신 모듈부 110 : 메모리부
120 : 입력부 130 : 목록관리부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 중에 하나가 사용자의 수신 및 발신 통화목록을 저장하여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때 수신 및 발신 통화목록은, 먼저 수신 및 발신한 통화목록이 먼저 저장되고, 최근에 수신 및 발신한 통화목록은 나중에 표시되며, 이러한 통화목록은 특정 개수만 저장된다.
여기서 특정 개수만 저장된다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및 발신한 통화목록을 20개 정도를 저장한다면, 수신 및 발신 통화목록의 저장 용량이 초과된 상태에서 새로운 최근 수신 및 발신 통화목록이 생성되면 가장 오래된 수신 및 발신 통화목록이 삭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은 사용자가 언제든지 해당 목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우 용이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저장을 원하지 않는 수신 및 발신 통화목록이 있는 경우에, 이미 저장된 통화목록을 여러 단계를 거쳐 확인한 후에 다시 삭제해야 하는 번 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에게 중요한 수신 및 발신 통화목록이 최신 통화목록에 밀려 해당 통화목록이 삭제될 차례에 놓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축키를 통하여 최근 통화목록의 보관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둘째, 보관하도록 선택된 통화목록에 소정의 추가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셋째, 보관하도록 선택된 통화목록에 잠금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부로부터 통화신호가 수신되면, 통화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하나 이상의 단축키를 구비하고, 단축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입력부 및 통화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통화목록 중 특정 전화번호를 삭제 또는 보관하도록 제어하는 목록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화목록은 수신번호, 발신번호 및 부재중 수신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록 관리부는, 입력부로부터 보관신호가 입력되면,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추가정보가 입력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추가정보는 통화 시 작성한 메모 또는 통화 내용일 수 있다.
삭제
이때, 목록 관리부는 추가정보가 작성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에는 잠김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목록 관리부는 메모리부의 통화목록 저장 용량이 초과된 경우에, 추가정보가 작성된 특정 전화번호는 다른 전화번호보다 늦게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목록 관리부는 추가정보가 포함된 특정 전화번호는 다른 전화번호와 상이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록 관리부는 추가정보가 포함된 특정 전화번호를 다른 전화번호와 상이한 색 또는 크기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록 관리부는, 추가정보가 포함된 특정 전화번호의 일 측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삭제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통화목록 관리방법은, 통화신호가 송수신되면, 통화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통화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단축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가 발생하는 입력신호 발생단계 및 입력신호 발생단계에서 발생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에 따라 통화목록 중 특정 전화번호를 삭제 또는 보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화목록은 수신번호, 발신번호 및 부재중 수신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보관신호가 입력되면,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추가정보 입력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정보는, 통화 시 작성한 메모 또는 통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러한 추가정보가 작성된 통화목록에는 잠김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모리부의 통화목록 저장 용량이 초과된 경우에 추가정보가 작성된 통화목록은 다른 통화목록보다 늦게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가정보가 포함된 특정 전화번호는 다른 전화번호와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추가정보가 포함된 특정 전화번호를 다른 전화번호와 상이한 색 또는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정보가 포함된 특정 전화번호의 일 측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부(100), 메모리부(110), 입력부(120), 목록관리부(130), 표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무선통신 모듈부(100)는 안테나(ANT)를 통하여 통화신호가 송수신되면 해당 신호를 발생한다.
메모리부(110)는 무선통신 모듈부(100)로부터 통화신호가 발생되면 최근 통 화목록을 포함한 통화목록이 저장된다.
입력부(120)는 하나 이상의 단축키(122, 124)를 구비하고, 단축키(122, 124)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최근 통화목록의 삭제 또는 보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목록관리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최근 통화목록이 삭제 또는 보관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140)는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통화목록을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신호의 입출력을 관리하고, 무선통신 모듈부(100)로부터 통화신호가 송수신되면 통화목록을 생성하여 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관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삭제 단축키 입력시 최근 통화목록이 삭제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관 단축키 입력시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목록 관리방법은 통화신호가 송수신되면, 통화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단계(S202)와, 통화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단축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가 발생하는 입력신호 발생단계(S204) 및 입력신호 발생단계에서 발생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목록 중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삭제 또는 보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S206~S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사용자에게 수신 통화를 시작하면 무선통신 모듈부(100)를 통하여 통화신호가 송수신되고, 제어부(150)는 이를 확인하여 메모리부(110)에 통화목록을 저장한다.
여기서 통화목록이란, 수신번호, 발신번호 및 부재중 수신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말하며, 최근 통화목록이란 전술한 통화목록 중 각각의 최신 통화목록을 말한다.
이와 같이, 최근 수신 통화목록이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하여 삭제 단축키(122) 또는 보관 단축키(124)를 선택적으로 입력한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삭제 단축키(122)가 선택된 경우에는 삭제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S204).
이에 따라서, 도 3의 (b)와 같이 목록관리부(130)는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최근 통화목록을 삭제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통화 후, 최근 통화목록을 삭제하고 싶은 경우에, 해당 통화목록표 메뉴로 진입하여 삭제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다르게, 도 4의 (a)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보관 단축키(124)가 선택된 경우에 입력부(120)는 보관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목록관리부(130)는 도 4의 (b)와 같이,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부(140)의 화면에 소정의 메모장을 표시한다(S208).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시 표시부(140)의 화면에 표시된 메모장을 이용하여 중요한 사항들을 메모할 수 있다(S210).
이 후, 목록관리부(130)는 통화가 종료되어(S212),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하여 삭제 단축키(122) 또는 보관 단축키(124)를 선택적으로 입력했는지 확인한다(S214).
이때, 입력부(120)는 삭제 단축키(122)가 선택된 경우에 삭제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목록관리부(130)는 추가정보인 메모가 입력된 최근 통화목록을 삭제한다(S206).
또한, 입력부(120)는 S214 단계에서 보관 단축키(124)가 선택된 경우에, 보관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목록관리부(130)는 도 4의 (c)와 같이 추가정보인 메모와 이에 대응되는 최근 통화목록을 메모리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목록관리부(130)는 해당 통화목록이 보관 통화목록임을 알리는 제1 아이콘(10)과, 추가정보인 메모가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제2 아이콘(15)을 통화목록의 일 측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목록관리부(130)는 보관설정된 해당 통화목록을 다른 통화목록과는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도 5 및 도 6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관설정된 통화목록을 다른 통화목록과는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관설정된 통화목록을 별도의 목록표로 구성한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의 (a)와 같이, 목록관리부(130)는 보관설정된 통화목록을 다른 통화목 록보다 그 글씨의 크기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목록관리부(130)는 보관설정된 통화목록을 (b)와 같이 적색의 글씨로 설정하고, 다른 통화목록은 검은색의 글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관설정된 통화목록은 도 6과 같이 보관설정된 통화목록을 별도의 목록표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좀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록관리부(130)는 추가정보가 작성된 통화목록에는 잠김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110)의 통화목록 저장 용량이 초과된 경우에도 해당 통화목록은 삭제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목록관리부(130)는 추가정보가 작성된 통화목록에 잠금기능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다른 통화목록보다 늦게 삭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보관설정시 입력되는 추가정보가 메모인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목록관리부(130)는 보관 단축키(124)가 선택되어 입력부(120)로부터 보관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통화시 음성정보를 녹음할 수도 있다.
이 후, 해당 음성정보를 전술한 메모와 동일한 방법으로 해당 통화목록과 메모리부(110)에 보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삭제 단축키(122), 보관 단축키(12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또한, 위의 실시예에서는 통화목록이 수신 통화목록에 초점을 맞춰 설명하였지만, 통화목록은 발신 및 부재중 수신번호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부재중 수신번호에 저장될 때에는 먼저, 부재중 수신번호가 표시부(140)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삭제 단축키(122)를 선택하면 입력부(120)는 삭제신호를 발생하여 목록관리부(13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목록관리부(130)는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최근 부재중 수신번호를 삭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를 뒷받침하여 해석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단축키를 통하여 최근 통화목록의 보관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통화목록의 삭제하여, 불필요한 통화목록의 생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보관하도록 선택된 통화목록에 소정의 추가정보를 설정하여 편리한 효과가 있다.
셋째, 보관하도록 선택된 통화목록에 잠금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중요한 통화목록이 사용자의 실수로부터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무선통신 모듈부로부터 통화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화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목록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하나 이상의 단축키를 구비하고, 상기 단축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통화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목록 중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삭제 또는 보관하도록 제어하는 목록 관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은,
    수신번호, 발신번호 및 부재중 수신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보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추가정보가 입력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는,
    통화 시 작성한 메모 또는 통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추가정보가 작성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에는 잠김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메모리부의 통화목록 저장 용량이 초과된 경우에,
    상기 추가정보가 작성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는 다른 전화번호보다 늦게 삭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추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는 다른 전화번호와 상이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추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다른 전화번호와 상이한 색 또는 크기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 관리부는,
    상기 추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의 일 측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통화신호가 송수신되면, 상기 통화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화목록을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통화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단축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가 발생하는 입력신호 발생단계; 및
    상기 입력신호 발생단계에서 발생하는 삭제 또는 보관 신호에 따라 상기 통화목록 중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삭제 또는 보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목록 관리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은,
    수신번호, 발신번호 및 부재중 수신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목록 관리방법.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보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추가정보를 입력하는 추가정보 입력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화목록 관리방법.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는,
    통화 시 작성한 메모 또는 통화 내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목록 관리방 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가 작성된 통화목록에는 잠김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목록 관리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가 작성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는 다른 전화번호보다 늦게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목록 관리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는 다른 전화번호와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목록 관리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다른 전화번호와 상이한 색 또는 크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목록 관리방법.
  23. 삭제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정보가 포함된 상기 특정 전화번호의 일 측에 소정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목록 관리방법.
KR1020050128013A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 KR100715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13A KR100715797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013A KR100715797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797B1 true KR100715797B1 (ko) 2007-05-08

Family

ID=3827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013A KR100715797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7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24A (ko) * 2001-07-04 2003-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목록 편집방법
KR20040074039A (ko) * 2004-08-03 2004-08-21 (주)테크바일 휴대전화기에서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른 수신/부재중,수신/발신번호목록 관리방법
KR20060075972A (ko) * 2004-12-29 200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에서 통화 내역 세부 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924A (ko) * 2001-07-04 2003-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목록 편집방법
KR20040074039A (ko) * 2004-08-03 2004-08-21 (주)테크바일 휴대전화기에서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른 수신/부재중,수신/발신번호목록 관리방법
KR20060075972A (ko) * 2004-12-29 200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에서 통화 내역 세부 정보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75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65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 표시 방법
US8311511B2 (en) Data privacy 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243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이력을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장치 및 방법
US20150363059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pparatus
US79533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management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US822438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2387237A (zh) 手机通讯sim卡选择系统及方法
US20090270121A1 (en) Portable terminal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8008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삭제방법
KR1007157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통화목록 관리방법
US20020049071A1 (en) Communications device
KR101414857B1 (ko) 통화 상대방 별로 메모 필기 기능을 구현/관리하는 스마트 폰 및 그 방법
JP5207279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4211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목록 편집방법
KR20100113385A (ko) 모바일기기의 자동 잠금장치 및 그 방법
KR100947224B1 (ko)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JP4458365B2 (ja) 通信端末
KR20090026991A (ko) 미등록 메시지 리스트를 이용한 전화번호 등록 방법 및장치
KR1007558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리 방법
KR101105763B1 (ko) 전화번호부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KR20060057370A (ko) 메시지 미리보기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4246649B2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