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869B1 -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869B1
KR100713869B1 KR1020050046256A KR20050046256A KR100713869B1 KR 100713869 B1 KR100713869 B1 KR 100713869B1 KR 1020050046256 A KR1020050046256 A KR 1020050046256A KR 20050046256 A KR20050046256 A KR 20050046256A KR 100713869 B1 KR100713869 B1 KR 10071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address
filtering
rank score
sp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366A (ko
Inventor
최창호
양호석
한경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86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메일 즉시 삭제, 읽기, 답신 등-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랭크 점수를 소정의 수신 허용치 및/또는 거부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수신허용 주소 목록 혹은 수신거부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킨다. 그리고, 수신허용 주소 목록 혹은 수신거부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팸 메일 필터링 조건이 사용자별로 자동으로 설정되고 갱신되므로,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스팸 메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Spam mail filtering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저장 블록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랭크 점수 산출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랭크 점수 산출 및 수신허용 주소 목록 자동 갱신 방법의 구체적인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 메일함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메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일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형태에 따라 스팸 메일을 자동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서버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상에서 메일 고객이 증가함에 따라 일부 광고업자들이 인터넷상의 사용자 아이디를 무작위로 채집하여 사용자가 원하지도 않는 광고 메일을 무작위로 배포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스팸 메일로 인하여 통신망의 자원이 낭비되고, 사용자들은 불필요한 메일을 확인하고 삭제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있는 서비스 업체나 솔루션 개발업체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팸 메일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종래 기술은 특정한 필터링 규칙에 따라 수신된 메일을 스팸으로 분류하는 기법을 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제목에 특정한 광고 문구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스팸으로 분류하거나, 사용자의 메일 주소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발신자로부터 온 메일은 스팸으로 분류하는 기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팸 분류 기법들은 사용자가 일일이 스팸 분류 조건을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동일한 내용의 메일이라도, 수신자에 따라 스팸이 될 수도 있고 스팸이 아닌 정보 메일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인/구직 정보를 담고 있는 메일이 A라는 수신자에게는 스팸이지만 B라는 수신자에게는 필요한 정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일이 스팸 조건을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각사용자별로 맞춤화된 메일 필터링 환경을 만들기 위해,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스팸 필터링 조건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스 팸 메일 필터링 조건을 자동으로 설정 및 갱신함으로써, 스팸 메일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스팸 메일 필터일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메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스팸 메일을 필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허용치가 설정되는 단계;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랭크 점수와 상기 수신 허용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랭크 점수를 미리 설정된 거부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거부 주소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스팸 메일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메일 서버에 있어서, 수신허용주소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랭크 점수 산출부; 상기 랭크 점수와 소정의 수신 허용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수신허용 주소 관리부; 및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메일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메일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스팸 메일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메일 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 저장 블록; 외부 메일을 수신하여 상기 메일 저장 블록으로 전달하는 메일 수신 처리 블록; 및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일을 외부로 송신하는 메일 송신 처리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저장 블록은 수신허용주소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랭크 점수 산출부; 상기 랭크 점수와 소정의 수신 허용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수신허용 주소 관리부; 및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메일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메일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스팸 메일을 필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거부 기준치가 설정되는 단계;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랭크 점수와 상기 거부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메일 시스템은 메시지 저장 블록(200), 메일 수신 블록(Inbound MTA)(110), POP3 처리부(120), 메일 송신 블록(Outbound MTA)(130), 웹메일 처리 블록(140),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메시지 저장 블록(200)은 수신 메일 및/또는 발신 메일이 실제로 저장되는 장소로서, 사용자 메일함을 포함한다. 메일 수신 블록(110)은 외부 메일을 수신하여 메시지 저장 블록(200)에 전달한다. POP3 처리부(120)는 POP3 메일을 처리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POP3 방식의 외부 메일을 수신하여 메시지 저장 블록(200)에 전달한다. 메일 송신 블록(130)은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일을 외부로 송신하는 블록이다.
웹 메일 처리 블록(140)은 사용자가 인터넷(160)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를 통해 메일함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이다. 즉, 웹 브라우저를 통한 메일 억세스 기능을 처리하는 블록이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그룹 및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베이스이다.
메시지 저장 블록(200)의 일 구성예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시지 저장블록(200)은 메일 수신부(210), 메일 필터링부(220), 랭크 점수 산출부(230), 수신허용 주소 관리부(240), 수신거부 주소 관리부(245), 메일 관리부(250), 메일 DB(260), 수신 허용 주소 DB(270), 수신거부 주소 DB(280)를 포함한다.
메일 수신부(210)는 메일 수신 블록(110), POP3 처리부(120) 및 웹메일 처리 블록(140)와 연결되어, 인터넷(160)을 통해 전송된 메일을 수신한다. 메일 필터링 부(220)는 수신 메일에 대하여 수신허용 주소 목록 및/또는 수신거부 주소 목록을 기반으로 스팸 메일을 필터링한다. 필터링을 거친 메일은 메일 DB(26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메일 DB(260)는 수신된 메일을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별 메일함을 포함한다. 메일 관리부(250)는 사용자별 메일함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메일함에 저장된 메일에 억세스하여 확인하고 읽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메일함 구성을 나타내는 일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메일함(500)은 받은 편지함(510), 메일분류센터(520), 보낸 편지함(530), 휴지통(5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은 편지함(510)은 수신허용 주소 목록에 있는 송신자 주소로부터 온 메일이 저장되는 편지함이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다른 편지함의 메일이 받은 편지함(510)으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휴지통(540)은 수신거부 주소 목록에 있는 송신자 주소로부터 온 메일이 저장되는 곳이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스팸으로 지정된 메일, 예컨대, 사용자가 홍보 혹은 광고가 들어간 메일은 삭제하도록 조건을 지정한 경우 해당 문구가 들어간 메일은 휴지통으로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다른 편지함의 메일이 삭제되면 삭제된 메일은 휴지통으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보낸 편지함(530)은 사용자가 발송한 메일을 저장한다.
메일 분류 센터(520)는 분류 미정의 수신 메일을 임시로 보관하는 곳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일 분류 센터(520)는 수신허용 주소 목록에도 없고, 수신거부 주소 목록에도 없는 메일을 임시로 보관하는 곳이다. 메일 분류 센터(520)에 저장된 메일은 사용자에 의해 읽혀지거나, 받은 편지함(510)으로 이동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일 분류 센터(520)에 저장된 메일을 사용자가 어떻게 처리하는냐에 따라, 즉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해당 메일을 송신한 송신자(구체적으로는 송신자 주소)에 대한 랭크 점수가 매겨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메일이 수신되면(S310), 송신자 주소가 사용자의 수신거부 주소 목록에 있는지 확인한다(S320). 수신거부 주소 목록은 수신거부 송신자 주소를 담고 있는 리스트로서, 수신거부 주소 DB(280)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송신자 주소는 송신자 메일 계정 주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송신자 주소는 송신 IP(Internet Protocol) 주소와 같이, 송신지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일 수도 있다.
수신거부 주소 목록은 사용자별로 별도 저장되고, 관리된다.
수신거부 주소는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산출되는 랭크 점수에 의해 자동 설정되고 업데이트된다. 즉, 랭크 점수가 소정의 거부 기준치 이하인 송신자 주소는 수신거부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또한 수신허용 주소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의해 산출된 랭크 점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수신 거부 주소 목록을 참조하여, 송신자 주소가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있다면 해당 메일은 휴지통에 저장된다(S330). 수신거부 주소 목록에 없다면, 수신허용 주소 목록에 있는지 확인한다(S340). 수신허용 주소 목록은 수신허용 송신자 주소를 담고 있는 리스트로서, 수신허용 주소 DB(270)에 저장되어 있다. 수신허용 주소 목록 역시 사용자별로 별도 저장되고, 관리된다.
수신허용 주소는 상술한 랭크 점수에 의해 자동 설정되고 업데이트된다. 즉, 랭크 점수가 소정의 수신 허용치 이상인 송신자 주소는 수신허용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된다. 또한 수신허용 주소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정되거나, 랭크 점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수신 허용 주소 목록을 참조하여, 송신자 주소가 수신허용 주소 목록에 있다면 해당 메일은 받은 편지함에 저장된다(S350). 송신자 주소가 수신허용 주소 목록에도 없다면, 해당 메일은 메일 분류 센터로 저장된다(S360). S320 단계와 S340 단계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즉, 송신자 주소가 수신허용 주소 목록에 있는지를 먼저 체크할 수도 있고, 수신 거부 주소목록에 있는지를 먼저 체크할 수도 있고, 병렬적으로 체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메일 필터링부(220)는 수신허용 주소 목록 및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필터링 기법에 기초하여 수신메일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메일 서버에서처럼, 특정 키워드(예컨대, '광고', '홍보' 등)를 제목 혹은 본문에 포함하는 메일을 필터링 하는 기능이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랭크 점수 산출부(230)는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한다. 수신허용 주소 관리부(240)는 랭크 점수 산출부(230)에서 산 출된 랭크 점수를 미리 설정된 수신 허용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송신자 주소를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수신 허용 주소 목록을 자동 업데이트한다. 수신거부 주소 관리부(245)는 랭크 점수 산출부(230)에서 산출된 랭크 점수를 미리 설정된 거부 기준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송신자 주소를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수신 거부 주소 목록을 자동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수신 허용치 및 거부 기준치는 메일 서비스 관리자(즉, 메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수신 허용치와 거부 기준치가 사용자별로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면,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스팸 메일 필터링을 강화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허용치 및 거부 기준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 의해 별도 설정되기 전까지는 수신 허용치 및 거부 기준치는 소정의 디폴트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랭크 점수 산출 방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수신된 메일이 메일분류 센터에 저장되면(S41),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행위들이 발생하는지 체크한다(S42~S44). 소정의 행위들이란, 예를 들어, 메일을 읽지 않고 즉시 삭제(열람 없이 삭제), 열람 후 즉시 삭제, 받은 편지함으로 이동, 메일 읽기, 메일 발송, 메일 회신, 메일 전달 등과 같은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 각각을 말한다. 여기서, 메일 전달은 수신한 메일을 송신자 주소나 수신자 주소가 아닌 다른 주소로 전송하는 행위를, 메일 회신은 수신 메일에 응답하여 해당 송신자 주소로 메일을 전송하는 행위를 말하며, 메일 발송은 송신자 주 소로부터의 메일 수신을 전제하지 않고 해당 송신자 주소로 메일을 전송하는 행위를 말한다.
미리 정의된 제1, 2,N 행위가 발생하는지 각각 체크하여, 해당 행위 발생시 대응하는 점수(A1, B1, C1)가 부여된다. 여기서, 점수(A1, B1, C1)는 양(+)의 값일 수도 있고, 음(-)의 값일 수도 있다. 해당 행위 발생시 부여되는 점수(A1, B1, C1)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수(A1, B1, C1)는 변경될 수 있다.
랭크 점수는 부여된 점수의 함수(f)로 표현될 수 있다(S45). 여기서 함수(f)는 합산(summation)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해당 행위 발생시 부여되는 점수를 합산하여 랭크 점수가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45). 산출된 랭크 점수에 기초하여, 수신허용 목록 및/또는 수신 거부 목록을 자동으로 갱신한다(S46). 즉, 산출된 랭크 점수에 기초하여, 수신 허용 목록 및/또는 수신 거부 목록에 새로운 주소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던 주소가 삭제될 수도 있다.
도 4b는 랭크 점수 산출 및 수신허용 주소 목록 자동 갱신 방법의 구체적인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메일 분류 센터에 수신 메일이 저장되면(S412), 수신 메일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형태가 체크된다. 구체적으로, 수신 메일이 사용자에 의해 읽혀지지 않고 즉시 삭제되었는지 체크한다(S414). 즉시 삭제되지 않았다면, 받은 편지함으로 이동했는지를 체크하여(S416), 받은 편지함으로으로 이동된 경우, 해당 점수(받은 편지함으로의 이동 점수)를 해당 송신자 주소의 랭크 점수에 가산 한다. 또한, 수신 메일이 즉시 삭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읽혀졌는지를 체크한다(S420). 사용자에 의해 수신 메일이 읽혀진 경우에는 해당 점수(읽기 점수)를 해당 송신자 주소의 랭크 점수에 가산한다(S422). 또한 사용자가 메일을 읽고 나서 송신자 주소로 답신을 하였다면, 즉 송신자 주소로 메일을 발송하였다면(S424), 답신 점수를 해당 송신자 주소의 랭크 점수에 가산한다(S426).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소정 행위가 발생하면, 행위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하여 랭크 점수를 산출한다(S428).
산출된 랭크 점수를 미리 설정된 수신 허용치와 비교하여(S430), 랭크 점수가 수신 허용치 이상이면 해당 송신자 주소를 수신허용 주소 목록에 포함시킨다(S432). 비교 결과, 랭크 점수가 수신 허용치보다 작으면 수신 메일의 저장 단계로 되돌아 가서, 동일한 송신자 주소로부터 온 다른 메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사용자의 소정행위에 따른 점수를 가산하여 해당 송신자 주소에 대한 랭크 점수를 누적시킨다.
랭크 점수는 소정 기간을 정하여 누적될 수도 있고, 기간의 정함이 없이, 누적된 랭크 점수가 수신 허용치 이상이 될 때까지 누적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b에서는, 수신허용 주소 목록을 업데이이트 하는 과정만 도시되어 있지만, 랭크 점수에 기초하여 수신 거부 주소 목록이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랭크 점수가 거부 기준치보다 적은지를 판단하여, 랭크 점수가 거부 기준치보다 적으면, 해당 송신자 주소를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일분류 센터에 저장되는 메일에 대해서 사용자의 이 용 형태에 따른 점수를 반영하여 랭크 점수를 산출한다. 그러나, 사용자 메일함에 저장되는 모든 메일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형태에 대해 점수를 매김으로써 랭크 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아직 수신 허용 주소나 수신 거부 주소로 분류되지 않은 송신자 주소로부터 오는 메일을 분류하는데 초점이 맞춰진다. 후자의 경우에는, 수신 허용 주소 목록이나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포함된 주소에 대해서도, 다시 랭크 점수를 매겨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신 허용 주소 목록 및 수신거부 주소 목록을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만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된 메일에 대한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예컨대, 바로 삭제, 읽기, 답신 등-에 따라 송신자의 랭크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랭크 점수를 기반으로 수신거부 주소 목록이나 수신허용 주소 목록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거부 주소 목록이나 수신허용 주소 목록을 일일이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주소 목록이나 수신허용 주소 목록을 기반으로 메일 필터링이 이루어지므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스팸 메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다른 메일 이용 형태를 반영하여 수신거부 주소 목록이나 수신허용 주소 목록이 설정되고 업데이트되므로, 각 사용자별로 맞춤화된 스팸 메일 필터일 조건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14)

  1. 스팸 메일을 필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허용치가 설정되는 단계;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랭크 점수와 상기 수신 허용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랭크 점수를 미리 설정된 거부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수신 거부 주소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허용치 및 상기 거부 기준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자 주소가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있으면 받은 편지함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송신자 주소가 상기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있으면 휴지통에 저장하는단계; 및
    상기 송신자 주소가 상기 수신허용 주소 목록과 상기 수신 거부 주소 목록 중 어디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메일 분류 센터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 주소는
    송신자 메일 주소 및 송신 IP 주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각 송신자 주소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행위가 발생하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행위에 상응하는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랭크 점수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여된 점수를 상기 송신자 주소별로 누적하여 상기 랭크 점수를 얻는 단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이용 형태는
    열람 없이 삭제, 열람 후 즉시 삭제, 받은 편지함으로 이동, 메일 읽기, 메일 발송, 메일 회신 및 메일 전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0. 스팸 메일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메일 서버에 있어서,
    수신허용주소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랭크 점수 산출부;
    상기 랭크 점수와 소정의 수신 허용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 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수신허용 주소 관리부; 및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메일 필터링부
    를 포함하는 메일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서버는, 상기 랭크 점수와 소정의 거부 기준치를 비교하여 수신 거부 주소 목록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수신 거부 주소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일 필터링부는 상기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데 있어서, 상기 수신 거부 주소 목록도 참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랭크 점수 산출부는
    각 송신자 주소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행위가 발생하는지 체크하여 상기 발생된 행위에 상응하는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랭크 점수를 얻는 것를 특징으로 하는 메일 서버.
  13. 스팸 메일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메일 시스템에 있어서,
    메시지 저장 블록;
    외부 메일을 수신하여 상기 메일 저장 블록으로 전달하는 메일 수신 처리 블 록; 및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일을 외부로 송신하는 메일 송신 처리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저장 블록은
    수신허용주소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랭크 점수 산출부;
    상기 랭크 점수와 소정의 수신 허용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수신허용 주소 관리부; 및
    상기 수신 허용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메일 필터링부
    를 포함하는 메일 시스템.
  14. 스팸 메일을 필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거부 기준치가 설정되는 단계;
    사용자의 메일 이용 형태에 따라 송신자 주소별 랭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랭크 점수와 상기 거부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자 주소를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자동으로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신 거부 주소 목록에 기초하여 수신 메일을 필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KR1020050046256A 2005-05-31 2005-05-31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 KR10071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56A KR100713869B1 (ko) 2005-05-31 2005-05-31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256A KR100713869B1 (ko) 2005-05-31 2005-05-31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366A KR20060124366A (ko) 2006-12-05
KR100713869B1 true KR100713869B1 (ko) 2007-05-04

Family

ID=3772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256A KR100713869B1 (ko) 2005-05-31 2005-05-31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709B1 (ko) * 2008-09-23 2010-1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 응용 스팸 차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65B1 (ko) * 2006-01-12 2008-04-07 (주)아이티 시스템즈 스팸 전화, 스팸 메시지 차단 및 가입자 상태 바로 알림방법 및 장치
KR100893200B1 (ko) * 2006-12-11 2009-04-16 허기행 인터넷 사이트 간의 자료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0946675B1 (ko) * 2007-12-10 2010-03-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망에서의 평판 정보를 이용한 sip 스팸 차단시스템 및 방법
KR100946983B1 (ko) * 2008-03-07 2010-03-10 김준식 스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739553B1 (ko) * 2015-07-17 2017-05-24 주식회사 카카오 스팸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772A (ko) * 2003-12-18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차단설정 메뉴를 갖는 휴대폰과 그의단문메시지 차단 메뉴 및 그의 단문메시지 수신 방법
JP3665009B2 (ja) * 2001-11-01 2005-06-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メール配信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06238B1 (ko) * 2003-10-22 2006-07-28 (주)와이즈그램 단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5009B2 (ja) * 2001-11-01 2005-06-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メール配信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606238B1 (ko) * 2003-10-22 2006-07-28 (주)와이즈그램 단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61772A (ko) * 2003-12-18 2005-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차단설정 메뉴를 갖는 휴대폰과 그의단문메시지 차단 메뉴 및 그의 단문메시지 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709B1 (ko) * 2008-09-23 2010-1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이피 응용 스팸 차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366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9246B2 (en) Probability based whitelist
US8112485B1 (en) Time and threshold based whitelisting
US72068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tegorizing and processing e-mails
US7366761B2 (en) Method for creating a whitelist for processing e-mails
US8135779B2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software product for filtering out spam more efficiently
US20040177120A1 (en) Method for filtering e-mail messages
US20080005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importance of email messages
US200903196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evaluatng data
US200500913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tegorizing and processing e-mails
KR100713869B1 (ko) 스팸 메일 필터링 방법, 이를 위한 메일 서버 및 시스템
US10091150B2 (en) Identifying first contact unsolicited communications
WO2003071753A1 (fr)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le traitement de courrier electronique indesirable pour l'utilisateur
US20050210116A1 (en) Notification and summarization of E-mail messages held in SPAM quarantine
US200602654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transmission of synchronous electronic messages
CN105007218A (zh) 反垃圾电子邮件方法和系统
KR100473051B1 (ko) 스팸메일 자동분류 방법
JP2005056048A (ja) 電子メール監視システム、電子メール監視プログラム及び電子メール監視方法
JP2004140733A (ja) 電子メールサーバシステム,電子メール配送制御方法および電子メール配送制御プログラム
KR20030078979A (ko) 수신메일의 삭제율에 기반한 스팸메일 방지방법
KR100635561B1 (ko) 스팸메일 차단방법 및 시스템,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기록매체
KR100473052B1 (ko) 스팸메일 자동분류용 사전 구성 방법
Kannan et al. Public Sender Score System (S3) by ESPs for Email spam mitigation with score management in mobile application
GB2398399A (en) E-mail Management
KR100864307B1 (ko) 메일 필터링 관리시스템 및 이에 의한 메일 필터링방법
WO2017032173A1 (zh) 短信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