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45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457B1
KR100713457B1 KR1020040095559A KR20040095559A KR100713457B1 KR 100713457 B1 KR100713457 B1 KR 100713457B1 KR 1020040095559 A KR1020040095559 A KR 1020040095559A KR 20040095559 A KR20040095559 A KR 20040095559A KR 100713457 B1 KR100713457 B1 KR 100713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user
scre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56469A (en
Inventor
김선일
한명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457B1/en
Publication of KR2006005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4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4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이동을 선택하였을 경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 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였을 경우 현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정보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배경화면의 특정 부분이 상기 시계 및 대기 화면 문구를 포함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에 가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경 화면 또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에 따른 제약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화면 또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the location of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n the background screen selected by the current user, when the user selects the save Stor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prevent a certain part of the background screen set by the user from being blocked by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clock and the idle screen text. Allows you to select the desired background or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이동통신 단말기, 시계, 대기 화면 문구Mobile terminal, clock, standby screen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이동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가 이동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screen to which the posi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 디스플레이 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posi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

여기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라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말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에 포함되는 정보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수신 상태 또는 배터리의 잔량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 아이콘등을 포함하는 애뉴시에이터(Annunciator) 정보, 메뉴 키 또는 전화번호 검색 키와 같은 메뉴 아이콘, 그리고 현재의 날짜와 시각등을 알려주는 시계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는 대기 화면 문구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보들중 상기 시계 또는 상기 대기 화면 문구만을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로 한정하기로 한다. Here,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ours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ackgrou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nnunciator information including an antenna icon or an indicator icon indicating a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nu key or a phone number search key. There may be a menu icon such as, and a clock indicating a current date and time, and a standby screen phrase on which a phrase input by a user is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ck or the standby screen phrase may be used. Only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will be limite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일예를 들어보면,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 중 시계의 경우 디지털 시계, 아날로그 시계, 반투명 시계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시계 디자인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화면 문구의 경우 역시 사용자의 입력 여부,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시계 디장인에 따라 결정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대기 화면의 문구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계의 디자인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를 가득 채우는 경우에는 이러한 대기 화면의 문구가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다. In general,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clock among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designs, such as a digital clock, an analog clock, and a translucent clock, and a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se clock designs. In the case of the idle screen text, it is also determined by the user's input and the clock designer selected by the user. If the idle text is not input by the user or the design of the clock selected by the user,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s full. When filled, the text on the standby screen is not displayed.

그런데 이러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 설정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시계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의 시계 디자인이, 배경화면 상단에 위치한 디지털 시계의 경우라면, 사용자가 선택한 시계는 배경화면의 상단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대기 화면 문구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의 디자인이 대기 화면 문구를 배경화면의 하단에 위치시키는 것이라면, 사용자가 대기 화면 문구의 내용을 입력하였을 경 우 대기 화면 문구는 사용자의 의지에 상관없이 기 설정된 배경 화면의 위치, 즉 배경 화면 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However, the position at which the background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etting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fixed. That 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lock, if the clock design of the background screen selected by the user is a digital clock located at the top of the background screen, the clock selected by the user is fixed to the top of the background screen. In the case of the idle screen text, if the design of the wallpaper selected by the user is to place the idle text on the bottom of the background screen, if the user inputs the contents of the idle screen text, the idle screen text is displayed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The location of the set background screen, that is, the bottom of the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그런데 요즈음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제조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기 설정된 배경화면들 대신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한 이미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즉 애인이나 가족의 사진 또는 좋아하는 연예인의 사진등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owaday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use an image stored by the user as a wallpap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ead of the preset backgrounds. Therefore, the user can use his or her desired image, that is, a picture of a lover or family or a favorite celebrity's photo as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경우 만약 사용자가 임의로 배경화면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시계, 또는 대기 화면 문구를 설정하였을 경우, 이러한 시계 또는 대기 화면 문구가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 화면의 중요한 부분을 가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인 사진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시계가 배경화면의 얼굴 부분을 가리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반투명한 모양의 시계를 선택한 경우, 배경화면을 잘 보일 수 있을지 몰라도 정작 시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에 따른 배경화면을 선택하여야 하거나, 혹은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에 따른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선택하여야 했으므로, 배경화면 또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선택에 제한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is case, if the user arbitrarily selects a wallpaper and sets a clock or standby screen phrase that suits the user's taste, such a clock or standby screen phrase may cover an important part of the wallpaper selected by the user. do.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a lover's photo as the wallpaper, the watch selected by the user may cover the face of the wallpaper. In addition, if the user selects a semi-transparent watch, the background may be clearly visible, but the user cannot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about the watch. Accordingly, the user has to select a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or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creen selected by the us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lec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or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limited. .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배경 화면 또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 에 따른 제약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화면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desired wallpaper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without restriction by the background screen or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위치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정보 저장부가 구비된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ser moves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a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moving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mory unit including a background screen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이동이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체크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이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배경화면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이동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과정과,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배경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 이동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movement of the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and when the movement of the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i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wallpaper and the background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splay step of displaying screen content informations, a movement step of moving the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user,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moved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storing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by moving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이동을 선택하였을 경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 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였을 경우 현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정보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First of all,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a position shift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the user moves on the background screen selected by the current user.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when the user selects sav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urrent display unit is stored. In addition,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모리부(102), 키 입력부(104), 표시부(106), 베이스밴드 처리부(108), 코덱(CODEC: Coder-Decoder)(112)이 제어부(1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1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1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이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키 입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저장이 선택되는 경우 현재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02)에 구비된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저장부(116)에 저장하고, 저장된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대기 화면에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도록한다. 여기서 이러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이동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예를 하기 도 3에서 자세히 보이기로 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102, a key input unit 104, a display unit 106, a baseband processor 108, and a coder-coder (CODEC). 112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Here, the controller 100 processes voice signals and data according to protocols for telephone calls, data communications,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controls each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n, the user's key input is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104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06 accordingly to generate and provid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When the movement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key input by the user. When the user selects save,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urrent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background content location storage unit 116 provided in the memory unit 102 and according to the stored background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Background image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and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이하 이러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02)의 장소를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정보 저장부(116)이라고 하기로 한다. The memory unit 102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 flash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like. The ROM stores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00 and various reference data. The RAM provide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100, and the flash memory provides an area for storing various updatable data for storage. The memory unit 102 stor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memory unit 102 stores a location of the memory unit 102 where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stored. The background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6 will be referred to.

그리고 키 입력부(1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그리고 RF부(110)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08)는 제어 부(100)와 RF부(1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110)에 인가하며, RF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코덱(112)은 증폭부(1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100)에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1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1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The key input unit 104 includes various keys including numeric keys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the controller 100 with a key input input from a user. The RF unit 110 serves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And converts the received signal into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utputs it to the baseband processor 108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and converts the IF signal input from the baseband processor 108 into an RF signal. Send. The baseband processor 108 is a baseband analog ASIC (BB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RF unit 110. The baseband processor 108 converts a baseband digita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0 into an analog IF signal. Is converted to the RF unit 110, and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unit 11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d to the control unit 100. The codec 112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through the amplifier 114, and encod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PCM (Pulse Code Modulation) encoding to control the voice data. ) And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100 are PCM decoded and output to the speaker through the amplifier 114. The amplifier 114 amplifi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o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speaker and the gai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시 단말기에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이동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부(100)는 200단계에서 사용자에 특정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이동이 선택된 경우, 20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기 설정된 배경화면 설정 정보에 따른 위치에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2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204단계에서 사용자는 현재 표시부(106)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 중 어느 하나, 즉 시계 또는 대기 화면 문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 204단계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방향키나 특정 숫자키, 또는 이러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특정 키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oving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f the user selects movement of specific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in step 200, the controller 100 displays step 202 to display the current standby screen and displays the current standby screen setting information. Backgroun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operation 204,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In operation 204, 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6, that is, one of a clock or an idle screen text. In addition, in step 204, the user may use a direction key or a specific numeric ke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ove the background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or a specific key provided to move the background content. to be.

상기 204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가 이동되면 제어부(100)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현재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저장을 선택하였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206단계에서 만약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다시 2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를 이동하고 다시 20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정보를 저장이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206단계에서 만약 사용자가 현재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것을 선택하였다면 제어부(100)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한다. 그리고 2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8단계에서 저장된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정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시계 또는 대기 화면 문구를 포함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를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by the user in step 204,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06 and checks whether the user has selected to store the location of the current background content. In step 206, if the user has not selected to sav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4 again to move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and to step 206 to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from the user. Check that is selected. If the user selects to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urrent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in step 206,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08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urrent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in the wallpaper content locatio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6 stores the information. In step 210,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step 208. According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rbitrarily move the posi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clock or the idle screen text so that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t the desired position. do.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가 이동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이 중 도 3의 (a)는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 화면의 얼굴 부분에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 즉 시계가 위치하여 있는 것 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의 경우 도 3의 (a)에서 시계가 이동되어 배경화면의 얼굴 부분이 드러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도 3의 (c)에서는 시계가 배경화면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배경화면의 얼굴 부분이 완전히 드러나 보이고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play scree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shows that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that is, the clock is located on the face por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selected by the user. And in the case of Figure 3 (b) it can be seen that the clock is moved in Figure 3 (a) to reveal the face por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in Figure 3 (c) the clock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background screen It shows an example where the face of the screen is completely visible.

우선 도 3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배경화면 설정 정보에 따라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 즉 시계가 기 설정된 위치 즉 배경화면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메뉴키를 선택하여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이동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현재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이동시킨다. 도 3의 (b)는 이처럼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인 시계가 이동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이동하게 된 경우 사용자가 도 3의 (b)에서 보이고 있는 저장을 선택하면 제어부는 현재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하게 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의 (c)는 이처럼 사용자가 저장한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정보에 따라 그 위치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또한 상기 도 3의 (a), (b), 그리고 (c)에서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예로 시계만을 들었으나 사용자가 대기 화면 문구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하고 이 대기 화면 문구의 이동을 선택할 경우, 대기 화면 문구 역시 상기 시계가 이동되는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음 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배경 화면에 따라 시계 및 대기 화면 문구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배경화면의 특정 부분이 상기 시계 및 대기 화면 문구를 포함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에 따라 가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3A, the screen content information, that is, the clock is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on the top of the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etting information.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key and selects a position shift func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the controller 100 displays the current background screen and moves the background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3 (b) shows that the clock, which is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When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to a desired loc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torage shown in FIG. 3 (b), the controller return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current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to the background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6, and displays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ored information. FIG.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whose position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position information stored by the user. In addition, in FIGS. 3A, 3B, and 3C, although only the clock is taken as an example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user sets the idle screen text and selects the movement of the idle screen text, the idle screen is displayed. Of course, the position can be mov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clock is mov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ck and idle screen text can be moved to a desired loca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screen set by the user. Therefore, the user can prevent the specific part of the background screen set by the user from being hidden by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clock and the idle screen text.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일예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만을 예로 들었으나, 이러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크기 역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의 예를 들어보면, 사용자가 특정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크기 변경을 선택하고, 기 설정된 배수, 즉 1.2배, 1.5배등 기 설정된 배수들 중에서 원하는 특정 배수를 선택하여 그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다른 배경화면을 선택하였을 경우,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음이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position of the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but the size of displaying the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may also be adjusted by the user's selection. Of course. For example, when the user adjusts the size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the user selects a change in the size of the specific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nd selects a desired multiple from among preset multiples, that is, 1.2 times and 1.5 times. Of course, you can choose to adjust the siz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selects a different background screen a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moved by the user,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as it is.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이동을 선택하였을 경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화면 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저장을 선택하였을 경우 현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 정보에 따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배경화면의 특정 부분이 상기 시계 및 대기 화면 문구를 포함하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에 따라 가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경 화면 또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에 따른 제약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화면 또는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the posi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mov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is displayed on the current background selected by the user,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save, the current display unit Store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prevent the specific part of the background screen set by the user from being blocked by the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clock and the standby screen tex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desired background image or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Claims (6)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위치로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켜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크기 변경을 선택할 경우, 기 설정된 배수들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배수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정보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부와,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moved to a location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and display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stor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backgr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multiple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preset multiples; 상기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배경화면 컨텐츠 위치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And a wallpaper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계 및 대기 화면 문구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Device for moving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clock and the idle screen text displayed o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에 의해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이동이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체크 단계와,A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movement of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상기 체크 결과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이동이 선택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배경화면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와,A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background screen currently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i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check; 상기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와,A moving step of moving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크기 변경을 선택하였는지를 체크하는 크기 변경 체크 단계와,A size change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user has selected to change the size of the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상기 체크 결과 크기 변경이 체크된 경우 기 설정된 크기 변경 배수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크기 변경 배수 디스플레이 단계와, A size change multiple display step of displaying a list of preset size change multiples when the size change is checked as a result of the check; 상기 디스플레이된 크기 변경 배수들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배수에 따라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크기를 변경하는 크기 변경 단계와,A size changing step of changing the size of the wallpaper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multiple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displayed size change multiples;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이동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moved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ckground content information i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계 및 대기 화면 문구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경화면 컨텐츠 정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And a background screen content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clock and an idle screen text displayed on the background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40095559A 2004-11-20 2004-11-20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1007134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559A KR100713457B1 (en) 2004-11-20 2004-11-20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559A KR100713457B1 (en) 2004-11-20 2004-11-20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469A KR20060056469A (en) 2006-05-25
KR100713457B1 true KR100713457B1 (en) 2007-05-02

Family

ID=3715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559A KR100713457B1 (en) 2004-11-20 2004-11-20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4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05A1 (en) * 2017-12-20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Display driver circuit for synchronizing output timing of images in low power sta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174Y1 (en) * 2003-06-30 2003-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Buffer for reducing dissipation pow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174Y1 (en) * 2003-06-30 2003-10-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Buffer for reducing dissipation pow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905A1 (en) * 2017-12-20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Display driver circuit for synchronizing output timing of images in low power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469A (en)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7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changing setting with the position of that
US8761840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mobile devices responsive to user input through movement thereof
US7215975B1 (en) Portable device
JP2006074477A (en) Terminal device for communication, method for changing function setting of terminal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its program
US20070156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14595A (en) Method for changing background pictur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888496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7437179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07134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wall paper contents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100724954B1 (en) Method for storing phone boo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5269098A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0678134B1 (en) Method for editing word in wireless terminal
KR20060011455A (en)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0039289A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80090374A (en)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emoticon character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7549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Indicator informa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050042308A (en) Method for scrolling menu according to moving of slide and mobile phone realizing the same
KR20060025679A (en) Method for setting idle screen in mobile phone
KR100381138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KR100560908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phone
KR20060129633A (en) Method for provide history menu of mobile phone
KR101308817B1 (en) Method for proceeding temporary morning call and terminal thereof
KR1007034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ynamic image with front lcd in duel-type mobile station
KR100849335B1 (en) Method for serving electronic scheduler in the mobile terminal
KR100703437B1 (en) Method for standby screen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