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3425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3425B1
KR100713425B1 KR1020050088166A KR20050088166A KR100713425B1 KR 100713425 B1 KR100713425 B1 KR 100713425B1 KR 1020050088166 A KR1020050088166 A KR 1020050088166A KR 20050088166 A KR20050088166 A KR 20050088166A KR 100713425 B1 KR100713425 B1 KR 10071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se station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3704A (en
Inventor
황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425B1/en
Publication of KR2007003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7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4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 따른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키를 입력하기 전까지 기 설정된 보고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록된 SMS 메시지를 SM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정보 제공이 허용된 자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상기 SMS 메시들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path.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ing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And before the user inputs the service termination key,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MS message recorded the location of the user to the SMS server every preset reporting period. In addition, a person who is allowed to provide information by the user can check the SMS messages from the SMS server so tha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ving path.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person allowed by the user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route traveled by the user.

위급 상황 서비스, 위치 정보 기록 Emergency services, geolocation recording

Description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ING}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마다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보이는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마다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기지국 및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예시도,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to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connected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기지국 및 인접한 기지국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의 과정을 상세히 보이는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process of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to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connected and neighboring base st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S 서버에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rminal and provid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in an SMS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납치나 유괴 등 위급 상황시에 사용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위급 상황 서비스에 관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mergency service that can inform a user's loc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bduction or abduction.

일반적으로 현재 등장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위급 상황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위급 상황 서비스라는 것은, 유괴, 납치, 사고 등등 위급 상황이 사용자에게 닥쳤을 때 사용자가 기 설정된 특정 키를 입력할 경우, 기 설정된 번호로 현재 사용자의 위급한 상황을 전달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이다. In general, currently appear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rovide emergency services to users. Here, the emergency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delivers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current user to a preset number when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specific ke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bduction, kidnapping, accident, etc., is encountered.

이러한 위급 상황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사람들에게 사용자의 위급 상황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따라, 상기 위급 상황 메시지에 현재 사용자의 위급 상황을 녹음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저장된 화상 정보를 보내는 기능을 구비하기도 한다.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such an emergency service delivers an emergency message of the user to at least one or more predetermined people.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function of record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current user in the emergency message or sending stored image information through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급 상황 서비스는, 위급 상황 시에 사용자가 직접 기 설정된 특정키를 입력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불의의 사고시 또는 갑작스럽게 당한 위급 상황의 경우, 사용자가 만약 상기 기 특정키를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급 상황 서비스는 제공될 수 없었다. 그리고 이 뿐만 아니라 상기한 문제점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납치등을 당하였을 경우 범인들에게 상기 위급 상황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키를 입력하는 동작을 간파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더욱 사용자의 신변을 위험하게 하는 경우를 발생시킬 수도 있었다. However, the emergency servic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directly input a predetermined key in case of an emergency. Accordingly, in case of an unexpected accident or in case of sudden emergency, the emergency service cannot be provided if the user fails to input the specific key. In addition to the above problems, for example, when a user is kidnapped, there is a risk that the criminals may be discouraged from entering a key for receiving the emergency service. It could have occurred.

더욱이 상기 종래의 위급 상황 서비스는, 단지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닥쳤음을 타인에게 알릴 수 있었을 뿐이었다. 이에 따라 만약 사용자의 위급 상황 시, 예를 들어 납치를 당하는 경우, 상기 종래의 위급 상황 서비스는 단지 상기 사용자가 납치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었을 뿐, 정작 중요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conventional emergency service could only inform others that the user had reached an emergency. Thus, if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being abducted, the conventional emergency service could only inform that the user has been abducted, but only inform the location of the important user. The problem is that there was no way to do it.

물론 사용자가 상기한 위급 상황에 처한 경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위급 상황 서비스가 제공된 시점의 사용자 위치를 사용자의 위급 상황 신호가 발신된 위치를 추적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경찰이 상기 발신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로부터 상기 발신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만 했으며, 또한 상기한 경우, 현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찾아낼 수는 있다고 할지라도, 피해자의 정확한 이동 경로를 알 수 없었기 때문에 경찰의 초동 수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시간이 많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사용자의 정확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Of course, if the user is in the above-mentioned emergency situation, various methods can be used to solve the problem. That is, for example, the user's location when the emergency service is provided may be searched by tracking the location where the user's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However,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police to find the origination location, the police had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origination lo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f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be found. Even if it was, the police were unable to investigate the exact path of the victim's movement, making it difficult for the police to investigate. Therefor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unnecessary time is wasted in order to know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xact movement path.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접근이 허용된 정보 요청자에게 쉽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loc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easily and quickly to an information request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위급 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정확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n accurate movement path of a user when an emergency occur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 설정된 보고 주기에 따라 현재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위치 기록 정보로 수집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허가된 요청자가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요청의 응답으로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징(Messaging) 서버(server)를 구비한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and generates and transmit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message, and Receiving a message con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llect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nd if the requestor authoriz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recording the loca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It has a messaging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또한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보고 주기가 만기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보고 주기 체크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보고 주기가 만기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를 기 설정된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와,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기록 정보로 저장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저장 단계와, 상기 메시징 서 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허가된 요청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록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지를 하는 요청 체크 단계와,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허가된 요청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록 정보의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를 구비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check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ther a preset reporting period has expired; A message transmitting step of transmitting, by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preset message format when the report period expires, and stor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that the messaging server receives and stores the message as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request checking step in which the messaging server has a request for providing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from a requester authorized by the user, and the messaging server requesting to provid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authorized requester. Providing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if there is d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면, 본 발명은, 통상적인 셀룰러(Cellular)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성 상, 전체 서비스 영역을 다수의 기지국 영역으로 분할하고 이동 교환국(MSC : Mobile Switching Center)으로 각각의 기지국들을 제어하여 가입자가 셀 간을 이동하면서도 통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기지국들이 각각 고유한 식별 정보를 송출하여 각 셀(Cell)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무선 채널을 연결하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이용한다. First of all, in order to facilitate a fu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n entire service area in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 areas, and MSC (Mobile Switching Center) controls each base station to allow subscribers to move between cells while maintaining a call, and each base station transmit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each cell (Cell) and wirelessly It utilizes connecting channels and allowing communication to take place.

따라서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기지국과 무선 채널을 연결하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과 식별 정보를 교환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위치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해당 지역에 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는 각각의 기지국마다 고유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해당 지역 마다 고유한 것이므로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for a user to connect a radio channel with a base station and to perform communication, the user must exch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a base station of a region where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inuously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urrently located while in the corresponding area.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s unique to each base station. Since the base station is unique to each reg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위급 상황과 같이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이동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 따른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키를 입력하기 전까지 기 지정된 시간마다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록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SMS 서버(Server)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치가 SMS 메시지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급 상황 발생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위치 정보의 제공이 허용된 정보 제공 요청자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상기 SMS 메시들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정보 제공 요청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서비스를 위치 정보 기록 서비스라고 칭하기로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moves to an area that may be in danger, such as an emergency, the user's current location can be recorded us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And before the user inputs the service termination key, the SMS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user is recorded is transmitted to the SMS server so that the location of the user can be stored as an SMS message.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or allowed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by the user,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er by checking the SMS messages from the SMS server. Hereina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oute traveled by a user will be referred to as a location information recording service.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마다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every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지국 A(150)의 셀 영역인 A 지역(152)에 있을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을 온 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 A(150)에 등록된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지국 A(150)가 연결된 경우를 A 지역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A)라고 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area A 152 of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A 150, the user may turn o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urn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registered with the base station A 150.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 150 will be referred to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located in the area A.

이러한 경우 A 지역(152)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사용자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른 경로의 기록을 하기 위한 경로 기록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경로 기록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 A(150)로부터 기지국 A(15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A)는 상기 기지국 A(150)의 식별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로 생성하여 SMS 서버(102)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A(15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SMS 메시지를 SMS A(162)라고 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located in the region A 152 checks whether a route recording key for recording the rou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location is input from the user. If the path record key is input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 150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 15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A generat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 150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SMS server 102. Here, the SMS message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 150 will be referred to as SMS A 162.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보고 주기가 만기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보고 주기가 만기되는 경우 다시 현재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만약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A 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기지국 A(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SMS A(160)를 생성하여 SMS 서버(102)로 전송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B 지역(156)으로 이동하여 현재 기지국 B(154)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100-B),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 B(154)로부터 수신한 기지국 B(154)의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SMS B(164))로 생성하여 SMS 서버(102)로 전송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hecks whether a preset reporting period has expired. When the report period expires,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In this cas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A region,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s the SMS A 160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 150 and transmits it to the SMS server 102. However,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ves to the region B 156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B 154 (100-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the base station B.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B 154 received from 154 is generated as an SMS message (SMS B 164) and transmitted to the SMS server 102.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경로 기록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보고 주기에 관계없이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도 1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연결된 기지국이 기지국 A(150)에서 기지국 B(154)로 변경되는 경우, 비록 보고 주기가 만기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현재의 시각 정보와 함께 상기 기지국 B(154)의 식별 정보를 상기 SMS 서버(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s an SMS message regardless of the reporting period when the base station is change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ath recording information.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is changed from base station A 150 to base station B 154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n FIG. 1, even if the reporting period has not expir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B 154 to the SMS server 102 together with the current time information.

그리고 또한 만약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C 지역(160)으로 이동한 경우라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보고 주기의 만기 또는 기지국의 변경을 감지하였을 때애, 기지국 C(158)로부터 수신한 기지국 C(158)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SMS C(166)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시스템 또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과 같이 현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현재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경로 기록키가 입력된 이후의 상세한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ves to the C region 16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C (158) when it detects the expiration of the reporting period or the change of the base station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 158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s an SMS message (SMS C 166.)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ystem or navigation (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component for check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a Navigat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detailed moving path after the path record key is input.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들이 포함된 SMS 메시지를 수신한 SMS 서버(102)는 상기 SMS 메시지들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경로 기록 정보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접근이 허용된 사람(이하 경로 기록 정보 요청자라고 한다)이 상기 경로 기록 정보의 열람을 원할 경우, 상기 저장된 경로 기록 정보를 상기 경로 기록 정보 요청자에게 제공한다. The SMS server 102 receiving the SMS message including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ores the SMS messages as path record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he pers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oute record information requester) who is granted access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ants to view the route record information, the stored route recor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route record information requester. do.

여기서 상기 경로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일 예를 들어보면, 상기 SMS 서버(102)가 만약 지도 데이터 등과 같은 화상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 상기 경로 기록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들의 위치를 화 상 정보로 표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SMS 서버(102)는 상기 경로 기록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SMS 메시지들 각각의 수신 시각에 따라 상기 SMS 메시지들을 정렬하고, 상기 시각의 정렬 순서에 따라 상기 SMS 메시지에 포함된 기지국의 위치를 지도 데이터등과 같은 화상 데이터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굳이 화상 정보로 표현하지 않더라도, 상기 시각에 따라 정렬된 기지국의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경로 기록 정보 요청자의 경우 언제라도 경로 기록키가 입력된 이후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SMS 서버(102)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The route record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irst, for example, if the SMS server 102 is provided with image data such as map data,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s included in the route record information may be represented by imag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MS server 102 sorts the SMS messages according to the reception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MS messages constituting the route recording information, and the base station included in the SMS message according to the sort order of the time. The location can also be provided by being displayed on image data such as map data. In addition, even if it is not represented by the image informa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in the form of a message. Accordingly, the requestor of the path recor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fter the path record key is input from the SMS server 102 at any time.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부(202), 키 입력부(204), 표시부(206), 베이스밴드 처리부(210), 코덱(CODEC: Coder-Decoder)(212)를 구비하고, 위치 변경 확인부(216) 또는 타이머(218)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한 각각의 구성부들은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키 입력을 키 입력부(204)로부터 받아서 이에 따라 표시부(206)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른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202, a key input unit 204, a display unit 206, a baseband processor 210, and a codec. Coder-Decoder) 212, and at least one of a position change checker 216 and a timer 218.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Here, the controller 200 processes voice signals and data according to protocols for telephone calls, data communications,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controls each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n, the user's key input is received from the key input unit 204 to control the display unit 206 accordingly to generate and provid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input.

그리고 제어부(200)는, 상기 키 입력부(204)로부터 경로 기록 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 고, 타이머(218)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218)를 체크하여 기 설정된 보고 주기가 만기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보고 주기가 만기되는 경우, 다시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체크하여 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상기 타이머(218) 만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When the controller 200 detects an input of the path recording key from the key input unit 204, the controller 200 generates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s an SMS message and initializes the timer 218. The timer 218 is checked to check whether a preset reporting period has expired. When the report period expi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is checked again, and this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s an SMS message. 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ly the timer 218.

그러나 이러한 경우, 단순히 타이머(218)에 의존하는 경우에는, 비록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된다고 할지라도 보고 주기가 만기되지 않는 경우라면 이동된 위치에 따른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정확한 시각을 알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However, in such a case, if it is simply dependent on the timer 218, even if the user's location is moved, if the reporting period does not expi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moved location is not transmitted in the SMS message. Therefore, in this case, the exact time when the user moved to another area may not be know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타이머(218) 및 상기 위치 변경 확인부(21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의 변경된 위치에 따른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SMS 메시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타이머(218)의 보고 주기 만기에 따라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가 SMS 메시지로 전송되면, 제어부(200)는 SMS 메시지로 전송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메모리부(202)에 저장한다.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is changed by using the timer 218 and the location change check unit 216 more accurately according to the changed location of the user It can also be sent as an SMS messag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report period expiration of the timer 218.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is transmitted in the SMS message, the controller 200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ed in the SMS message in the memory unit 202.

그리고 제어부(200)는, 상기 위치 변경 확인부(216)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02)에 저장된 기지국 식별 정보와 비교한다. 그리고 현재 수신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218)의 보고 주기에 따라 기지국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controller 200 compa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hich is continuously received using the location change checker 216 with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02. In the cas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ase station currently receive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previously stored base station, an SMS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of the timer 218.

그러나 만약 상기 현재 수신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와 기 저장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가 다를 경우에는, 상기 보고 주기에 따라 타이머(218)의 만기 여부와 관계없이 새로 수신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218)의 보고 주기에 따라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다시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수신되는 기지국 식별 정보의 변경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변경 및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한 정확한 시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However,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received base st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s different, regardless of whether the timer 218 expires according to the reporting period, the newly receive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n SMS message. Can transmit In response to the reporting period of the timer 218,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s an SMS message.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of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exact time when the user moves the loc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receive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20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2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부(202)에서는,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가 SMS 메시지로 생성되어 전송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 변경 확인을 위해 상기 전송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저장부(21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memory unit 202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 flash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the like. The ROM stores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200 and various reference data. The RAM provide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200, and the flash memory provides an area for storing various updatable data for storage. In the memory unit 2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s an SMS message,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base station may be stored to confirm the change of location of the user.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8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키 입력부(20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기 위한 경로 기록 키를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을 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로 기록 키는 상기 키 패드의 키 들중 하나를 임의의 설정에 따라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구비된 물리적인 하드(Hard) 키나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구비된 소프트 키일 수도 있다. The key input unit 204 includes various keys including numeric keys as described above, and a path recording key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s an SMS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ey input from a user. Provide an input to the controller 200. Here, the path recording key may select one of the keys of the keypad according to an arbitrary setting, or may be a physical hard key or a soft key provided in software.

그리고 RF부(208)는 기지국과 RF신호를 송,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신된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한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210)는 제어부(200)와 RF부(208)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2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부(208)에 인가하며, RF부(208)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200)와 연결된 코덱(212)은 증폭부(214)를 통해 마이크 및 스피커와 접속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출력하고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214)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214)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의 음량과 마이크의 이득을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The RF unit 208 serves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And converts the received signal into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utputs it to the baseband processor 21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and converts the IF signal input from the baseband processor 210 into an RF signal. Send. The baseband processor 210 is a baseband analog ASIC (BB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ler 200 and the RF unit 208. The baseband processor 210 converts a baseband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200 into an analog IF signal. It converts the signal to the RF unit 208 and converts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RF unit 208 in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s it to the controller 200. In addition, the codec 212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through the amplifying unit 214, and the voice signal is input by the PCM (Pulse Code Modulation) encoding of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 And PCM decodes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200 and outputs the voice data to the speaker through the amplifier 214. The amplifier 214 amplifi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o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speaker and the gain of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도 3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 마다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200)는 전원이 온 되는 경우 30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기지국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과의 연결이라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기지국과 식별 정보를 교환하고 무선 채널을 연결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controller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roceeds to step 300 and connects the base station with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chang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a base station in a region where the user is currently located and connects a wireless channel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3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경로 기록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경로 기록 키가 입력된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306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218)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310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재시작시킨다.In step 302,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a path recording key has been input from the user. If the path record key is input,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4 to sel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In step 306,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base st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as an SMS messag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8 to initialize the timer 218. In step 310, the timer is restar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타이머(218)를 체크하여 기 설정된 보고 주기가 만기되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보고 주기가 만기된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다시 3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졍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전송하는 304단계에서 310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보고 주기가 만기가 되지 않은 상태라면, 제어부(200)는 31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른 경로를 기록하는 위치 정보 기록 서비스를 종료하였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314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 기록 서비스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라면 다시 312단계로 진행하여 보고 주기의 만기를 체크한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종료를 선택한다면, 제어부(200)는 상기 위치 정보 기록 서비스를 종료한다. The controller 200 checks the timer 218 to check whether a preset reporting period has expired. If the reporting period has expired,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04 again to selec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nd performs steps 304 to 310 for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base station as an SMS message. Repeat. However, if the reporting period has not expir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14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finishe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ording service for recording the path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 it. If the location information recording service is not terminated in step 314,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12 again to check the expiration of the reporting period. However, if the user selects the end, the control unit 200 termin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ording service.

그런데 여기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200)가 현재 연결된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이 중첩되는 지역에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가장 강한 기지국과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중첩된 지역에서 가장 강한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지는 기지국 하나만을 선택하여 연결하게 된다.However,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nd transmits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s an SMS message. However, the user may be in an area where at least two base stations overlap.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generall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having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lects and connects only one base station having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in the overlapped area.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중첩된 지역 안에서 사용자가 조금만 다른 인접한 기지국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새로운 기지국에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비록 사용자는 중첩 지역 안에서 조금만 이동하였을 뿐일 지라도, 전송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가 달라짐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크게 달라진다. Howev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only slightly different in the overlapped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ew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Therefore, in this case, although the user has only moved a little in the overlapping area,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user varies greatly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tted base station is changed.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기지국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같이 전송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2개 이상의 기지국이 인접한 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2개 이상의 기지국의 수신 신호 세기가 모두 일정 수준을 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 외에, 상기 일정 수준 이상의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진 인접 한 기지국의 식별 정보도 SMS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user is not accurate,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neighboring base station. That is, for example, when a user has two or more base stations in an adjacent area, the received signal strengths of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all exceed a predetermined level.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in addition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it is currently connecte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hav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n the SMS message.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SMS 메시지는 두개 이상의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SMS 메시지를 확인할 때 사용자가 상기 두개 이상의 기지국이 서로 중첩되는 지역에 있음을 알리는 정보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현재 연결된 기지국뿐만이 아니라 상기 인접한 기지국의 식별 정보들을 모두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218)에 저장하고, 현재 수신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들과 비교하여 서로 다른 경우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고 주기와 관계없이 SMS 메시지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refore, in this case, since the SMS message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wo or more base stations, when the SMS message is checked, the SMS message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wo or more base stations are in an overlapping area.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not only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but als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218,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received base station. In comparison with the abov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is changed and transmitted as an SMS message regardless of the reporting perio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기지국 및 인접한 기지국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s and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nd an adjacent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D)는 기지국1(400)의 셀(402)과 기지국2(404)의 셀(406)의 중첩지역(450)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D)는 상기 기지국1(400)과 기지국2(404)로부터 각각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SMS 정보에는 기지국1(400) 및 기지국2(404)의 정보가 포함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SMS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기지국1(400)의 셀(402)과 기지국2(404)의 셀(406)이 중첩되는 중첩 지역A(450)에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 is located in the overlap region 450 of the cell 402 of the base station 1 400 and the cell 406 of the base station 2 404.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D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1 400 and the base station 2 404, respectively, and generates and transmits it as an SMS message. Therefore, in this case, the SMS information includes the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1 400 and the base station 2 404. Accordingly, when confirming the SMS message, the user and the cell 402 of the base station 1 400 It can be seen that the cell 406 of the base station 2 404 is in the overlapping overlap area A 450.

그리고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기지국2(404)의 셀(406)로 이동하는 경우(이동 통신 단말기(100-E)), 제어부(200)는 현재 연결된 기지국 및 인접한 기지국의 수신 신호의 세를 체크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E)는 인접한 기지국 셀들과의 중첩 지역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E)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는, 기지국2(404)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만이 일정 수준의 세기를 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E)는 상기 기지국2(404)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SMS 메시지로 전송한다. And when the user moves to the cell 406 of the base station 2 (4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E), the control unit 200 checks the count of the received signal of the base station and the adjacent base station that is currently connected .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E is not in an overlapping area with adjacent base station cells,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E is the base station 2 (404). Only signals received from the device will exceed a certain level of strength.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E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2 404 and transmits it as an SMS message.

그런데 다시 또 사용자가 상기 기지국2(404)의 셀(406)과 기지국3(408)의 중첩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이동통신 단말기(100-F)), 이동통신 단말기(100-F)는 상기 기지국3(408)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F)는 상기 기지국2(404)의 식별 정보와 기지국3(408)의 식별 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SMS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지국2(404)와 기지국3(408)의 중첩 지역B(452)에 있음을 알 수 있다.However, when the user is again located in the overlapping area of the cell 406 and the base station 3 408 of the base station 2 (40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F) It is detected that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3 (408) is above a certain level.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F receives bo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2 404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3 408, and generates and transmits it as an SMS message. Therefore, when checking the SMS message, the user may know that the base station 2 404 and the base station 3 408 are in the overlapped area B 452.

또한 만약 사용자가 기지국3(408)의 셀(410)과 기지국5(416)의 셀(418) 및 기지국4(412)의 셀(414)가 서로 중첩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G)에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상기 기지국3(408), 기지국4(412), 그리고 기지국5(416) 모두 일정 수준이 이상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G)는 상기 기지국3(408), 기지국4(412) 및 기지국5(416)의 식별 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전송된 SMS 메시지를 확인한다면, 사용자는 현재 기지국3(408), 기지국(412), 그리고 기지 국(416)이 중첩되는 중첩 지역C(454)에 있음을 알 수 있다. If the user moves to an area where the cell 410 of the base station 3 408, the cell 418 of the base station 5 416, and the cell 414 of the base station 4 412 overlap each o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terminal 100-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for the base station 3 408, the base station 4 412, and the base station 5 416. Therefore,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G receives a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3 408, the base station 4 412, and the base station 5 416, and generates and transmits it as an SMS message. Therefore, if the user checks the transmitted SMS message, the user may know that the base station 3 408, the base station 412, and the base station 416 are in the overlapping area C 454 that overlaps.

따라서 이러한 경우 여지까지 수신된 SMS 메시지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해보면, 사용자는 중첩 지역A(450)에서 기지국2(404)의 셀(406)을 거쳐서 중첩 지역B(452)로 이동하고, 다시 중첩 지역C(454)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 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인접한 기지국들의 식별 정보를 기 설정된 개수 만큼 SMS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알릴 수 있게 된다. 이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가정하기로 한다. Therefore, in this case, if the user's moving path is checked using the SMS messages received up to now, the user moves from the overlapping area A 450 through the cell 406 of the base station 2 404 to the overlapping area B 452. , It can be seen that the movement to the overlap region C (454) again. Therefore,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djacent base stations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of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transmitted in a predetermined number of SMS messages, the location of the user can be more accurately informed. This will be assum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기지국 및 인접한 기지국들로부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의 과정을 상세히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process of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nd neighboring base stations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200)는 상기 도 3의 302단계에서 경로 기록 키가 입력되면, 50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02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설정 상태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확인하는 인접 기지국 식별 정보 체크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현재 설정 상태가 인접 기지국 식별 정보를 체크하는 설정이 아니라면, 즉 현재 연결된 기지국 하나만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설정이라면, 상기 제어부(200)는 51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path record key is input in step 302 of FIG. 3, the controller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step 500. Confir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502 and checks whether a neighbor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heck for setting at least two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t in the current setting state. If the current setting state is not a setting for checking neighbor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a setting for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only on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516 to sel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do.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6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selecte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SMS message.

그러나 만약 상기 502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재 설정이 인접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체크하는 설정인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200)는 5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 기지국이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504단계에서 현재 인접한 기지국이 없는 상태일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200)는 51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However, if the current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heck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in step 502,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504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t least one neighboring base station currently. Check it. If there is no adjacent base station in step 504, the controller 200 sel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in step 516.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6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selecte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n SMS message.

그러나 만약 상기 504단계에서 현재 인접한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200)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접한 기지국들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들 중 기 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 이상의 수신 신호 세기를 가진 기지국들만을 선별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별된 기지국들을 수신 신호의 세기가 강한 순서대로 정렬하고, 그 중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강한 순서대로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기지국들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51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연결된 기지국 및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의 식별 정보들을 선택한다. 그리고 도 3의 306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연결된 기지국 및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의 식별 정보들을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SMS 서버(102)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접한 기지국들의 식별 정보를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However, if there is at least one neighboring base station currently in step 504,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506 and measur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s. In operation 508, the controller 200 selects only base stations having a received signal str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ceived signal strength among the measured received signal strengths.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510 and arranges the selected base stations in the order of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and selects a predetermined number of base stations among them in the order of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In operation 512, the controller 200 checks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lected base stations. In operation 514, the controller 200 selec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nd the selected neighbor base stations. In step 306 of FIG. 3,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nd the selected neighboring base stations is generated as an SMS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SMS server 102. 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adjacent base stations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location of the user more accurately.

그런데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510단계에서 인접 기지국들의 개수를 임의대로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개수를 2개로 설정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 이상인 인접 기지국들이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기지국 및 그 다음으로 수신 신호 세기가 강한 기지국의 식별 정보만을 수신하여 전송한다. However, in this case, the user may arbitrarily change the number of neighbor base stations in step 510.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user sets the number to tw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station having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even if there are many adjacent base stations having a predetermined received signal strength or more. Next,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ith strong received signal strength is received and transmitted.

그리고 이러한 경우 기 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이상인 인접 기지국이 2개 미만이라고 한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 이상의 기지국들만을 선택함은 물론이다. 즉, 비록 사용자가 2개라고 설정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기 설정된 수신 신호 세기 이상의 인접 기지국이 1개 밖에 없다면, 상기 하나의 인접 기지국의 식별 정보만을 전송함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if there are less than two adjacent base stations having a preset received signal strength, the controller 200 selects only base stations having a preset received signal strength or more. That is, even if the user is set to two, if there is only one neighboring base station having the predetermined received signal strength or more,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ne neighboring base station is trans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S 서버(102)에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의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S 서버(102)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SMS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SMS 메시지들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기록 정보로 취합하여 저장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저장부, 그리고 상기 위치 기록 정보의 요청자가 있을 경우, 상기 요청자에 따른 정보 제공 형태로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rminal and provid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MS server 10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S server 1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a messag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SMS messages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MS messages A location record information storage unit which collects and stores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stores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nd, when there is a requestor of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the location in a form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or. It is assumed that a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record information is provided.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S 서버(102)는 60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SMS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SMS서버(102)는 6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SMS 메시지에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602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면, SMS 서버(102)는 6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기록 정보로 저장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SMS server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eds to step 600 and receives an SMS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operation 602, the SMS server 102 checks whether the received SMS message includes at least on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step 602, the SMS server 102 proceeds to step 604 and stores the receive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리고 SMS 서버(102)는 6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된 위치 기록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606단계는 상기 위치 기록 정보의 제공 요청자가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허가를 받은 자인지 그렇지 않은지를 체크하는 인증 과정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인증 과정으로서는, 기 설정된 패스워드(Password)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보의 제공이 허용되도록 기 설정된 특정인에게만 허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인에게만 허용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 기록 정보 수신 기기를 미리 등록시켜 두고, 기 등록된 위치 기록 정보 수신 기기에만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기록 정보 수신 기기로는, 상기 요청자의 PC(Personal Computer)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등이 될 수 있다. In operation 606, the SMS server 102 checks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providing the stored location record information. Here, step 606 may further include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checking whether the requester for providing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has been granted permission from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embodiment. Of course. Here, the authentication process may include a method of using a preset password or a method of allowing the user only to a specific person who is set to allow the provision of the information. Here, as a method for allowing only the specific person, a method of registering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in advance and providing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only to the registered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may be used. Here,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may be a requester's personal computer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그리고 상기 SMS 서버(102)는 상기 위치 기록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6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치 기록 정보 제공부를 통해 상기 요청자로부터 요청된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한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SMS 서버(102)가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SMS 서버(102)가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화상 정보로 제공하는 경우와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f there is a request for providing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the SMS server 102 proceeds to step 608 and provides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requester through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MS server 102 may provide various methods for providing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MS server 102 provides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s imag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in text form.

그러면 상기 SMS 서버(102)는 606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위치 기록 정보들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608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요청된 위치 기록 정보의 제공 형태를 체크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608단계에서 상기 정보 제공 형태가 화상 정보인 경우라면, SMS 서버(102)는 6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된 위치 기록 정보에 따른 지역의 지도 정보를 로드한다. 그리고 SMS 서버(102)는 6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로드한 지도 정보에, 상기 위치 기록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들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그리고 SMS 서버(102)는 6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화상 정보로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자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화상 정보가 제공되는 방법은 MMS(Multimr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JPG 또는 BMP와 같은 특정한 화상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In step 606, if there is a request for providing the stored location record information, the SMS server 102 proceeds to step 608 to check a form of the currently requested location record information. If the information providing form is image information in step 608, the SMS server 102 proceeds to step 610 to load map information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stored location record information. The SMS server 102 proceeds to step 612 and displays the user's moving path on the loaded map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In operation 614, the SMS server 102 transmits the map information indicating the moving path of the user to the requester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s image information. Here, the method of providing the pictur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a MMS message or may be provided in a specific picture data format such as JPG or BMP.

그러나 만약 상기 608단계에서 상기 정보 제공 형태가 화상 정보가 아닌 경 우 또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자가 화상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라면, 상기 SMS 서버(102)는 6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위치 기록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텍스트 정보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SMS 서버(102)는 상기 정보 제공 요청자가 화상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임을, 상기 정보 제공 요청자의 수신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정보 제공 요청자의 수신 기기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상기 수신 기기의 기기 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information providing form is not image information in step 608 or the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or cannot receive image information, the SMS server 102 proceeds to step 616 to record the location.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is stored as text information. Here, the SMS server 102 may receive the device information from the receiving device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er and confirm that the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or cannot receive the image information. In addition, if the receiving device of the information request requester is set in advance, it may be confirmed from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preset receiving device.

그리고 SMS 서버(102)는, 61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정보 제공 요청자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정보가 제공되는 방법은 SMS 메시지 형태나 상기 SMS 메시지보다 더 긴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MMS 메시지, 또는 TXT등과 같은 특정 형식의 텍스트 데이터로 제공될 수도 있다. The SMS server 102 proceeds to step 618 to transmit the text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sion requester. The tex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SMS message, an MMS message which may include text information longer than the SMS message, or text data in a specific format such as TX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위치 정보 기록 서비스를 시작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보고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SMS 서버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SMS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의 제공이 허가된 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요청의 응답으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뿐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까지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tar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ording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an SMS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t reporting perio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erson who is permitted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from the SMS server,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user is provid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not only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but also information on the user's movement path.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 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SMS 메시지 형태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MMS 메시지 형태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 전송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n the form of an SMS mess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can also be us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지역에 따른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비스 종료키를 입력하기 전까지 기 설정된 보고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기록된 SMS 메시지를 SM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정보 제공이 허용된 자가, 상기 SMS 서버로부터 상기 SMS 메시들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의해 허용된 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r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using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located. And before the user inputs the service termination key,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MS message recorded the location of the user to the SMS server every preset reporting period. In addition, a person who is allowed to provide information by the user can check the SMS messages from the SMS server so tha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moving path.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person allowed by the user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route traveled by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경찰의 초동 수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which can greatly help the initial investigation of the police,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Claims (24)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 설정된 보고 주기에 따라 현재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from a base station currently connected according to a preset reporting period,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messag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위치 기록 정보로 수집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허가된 요청자가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요청의 응답으로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메시징(Messaging) 서버(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Receiving a message contain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llect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nd when the requestor authoriz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the location in response to the request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path, comprising a messaging server providing history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기 설정된 보고 주기를 체크하기 위한 타이머와,A timer for checking a preset reporting period, 상기 보고 주기가 만기되는 경우,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receiv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when the report period expires,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messag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현재 수신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와,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ase station currently received; 상기 위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 정보와,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기지국이 변경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위치 변경 확인부와,A position change confirming unit which checks whether the base station has been changed by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posi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which it is currently connected; 상기 기지국이 변경된 경우, 상기 현재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SMS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s an SMS message when the base station is change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 or 3, wherein the control unit, 현재 연결된 기지국 및 일정 수준 이상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감지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receiving and stor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and neighboring base stations from which a predetermined level of received signal strength is sen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일정 수준 이상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감지된 인접 기지국들 중, 기 설정된 개수만큼 수신 신호 세기가 강한 순서대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The user's mov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selected in the order of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among the adjacent base stations detected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nd receives and stores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lected neighbor base stations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long a rou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인접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한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message includ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eighbor base st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징 서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ssaging serv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식별 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A message receiv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message includ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수신된 메시지들에 각각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기록 정보로 상기 수신된 메시지들을 취합하여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와,A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configured to collec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of the received messages, and store the received messages as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요청자가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요청할 경우 상기 요청자에 따른 정보 형태로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a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in the form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or when the requestor requests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록 정보 제공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요청자의 위치 기록 정보 수신 기기의 상태 또는 상기 요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화상 데이터 형식이나 텍스트 데이터 형식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is provided in either an image data format or a text data forma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equestor's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or the requestor's selection of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록 정보 제공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상기 위치 기록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텍스트 정보로 저장하고, 이를 텍스트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storing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as text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requestor in text data form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록 정보 제공부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기 저장된 지도 정보에 상기 위치 기록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표시하고 이를 화상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display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on previously stored map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requestor in the form of image dat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록 정보 제공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상기 요청자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록 정보의 제공이 허가된 자인지를 체크하기 위해 기 설정된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a predetermined password is used to check whether the requestor is authorized to provide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from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록 정보 제공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unit, 기 등록된 위치 정보 수신 기기에만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nd providing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only to the registered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ssage, SMS(Short Messaging Service) 메시지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path, which is either a Short Messaging Service (SMS) message or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message.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메시징(Messaging) 서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ssaging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a mess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oving path; silv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 단계와,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보고 주기가 만기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보고 주기 체크 단계와,A reporting period checking step of check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ther a preset reporting period has expir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보고 주기가 만기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를 기 설정된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와,A message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preset message format when the report period expires;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기록 정보로 저장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저장 단계와,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storage step of receiving, by the messaging server, the message and storing the location recording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허가된 요청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록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는지를 하는 요청 체크 단계와,A request checking step of the messaging server checking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providing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from a requester authorized by the user;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허가된 요청자로부터 상기 위치 기록 정보의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providing, by the messaging server,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when there is a request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from the authorized request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수신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기지국 식별 정보 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인접 기지국들의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수신하는 인접 기지국 식별 정보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receiv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ighbor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eiv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neighbor base station in which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of received signal strength is detected, in addition to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base station. How to provid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기지국 식별 정보 수신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ceiving of the neighbor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인접 기지국들 중 기 설정된 개수만큼만 상기 수신 신호 세기가 강한 순서대로 선별하는 인접 기지국 선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selec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ighboring base station selection step of selecting only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s in the order of the strongest received signal strength.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5 or 16, wherein the message transmission step,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인접한 기지국들의 식별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 설정된 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ssage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djacent base stations in a preset message forma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oviding step,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요청자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허가된 사람인지 아닌지를 인증하는 인증 단계와,An authentication step of the messaging server authenticating whether the requestor is an authorized person from the user;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인증 결과 상기 요청자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증된 요청자일 경우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providing, by the messaging server, location record information providing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when the requester is a requester authenticated by the user as a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authentication step,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요청자에게 기 설정된 패스워드를 요구하는 패스워드 요구 단계와,A password request step of the messaging server requesting the requester a preset password;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요청자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가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지를 체크하는 패스워드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a password checking step of checking, by the messaging server, whether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requester matches the password preset by the us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authentication step,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요청자의 위치 기록 정보 수신 기기가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등록 확인 단계와,A registration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by the messaging server, whether or not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of the requester is registered;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등록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요청자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증된 요청자인지를 판단하는 등록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determining, by the messaging server, whether to determine whether the requestor is a requester authentica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confirmation resul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providing step,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요청자의 상기 위치 기록 정보 수신 기기의 상태 또는 상기 요청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할 데이터 형식을 선택하는 데이터 제공 형태 선택 단계와,A data providing type selection step of the messaging server selecting a data format for providing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requestor's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or the requestor's selection;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선택된 데이터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 요청자에게 상기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providing, by the messaging server,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to the requestor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data providing form.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공 형태 선택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data providing form selection step, 상기 메시징 서버가, 화상 데이터 형식이나 텍스트 데이터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기록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the messaging server selects any one of an image data format and a text data forma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data providing step,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위치 기록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텍스트 정보로 저장하는 텍스트 정보 저장 단계와,A text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by the messaging server,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as text information; 상기 메시지 서버가, 상기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텍스트 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요청자에게 제공하는 텍스트 정보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And providing, by the message server, the stored text information to the requestor in a text data forma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제공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data providing step,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위치 기록 정보에 따른 지도 정보를 로드하는 지도 정보 로드 단계와,A map information loading step of loading, by the messaging server, map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record information;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위치 기록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식별 정보들을 상기 지도 정보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A display step of displaying, by the messaging server,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history information on the map information;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기지국 식별 정보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화상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저장 단계와,An image data storage step of storing, by the messaging server, map information in which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n image data format; 상기 메시징 서버가,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요청자에게 화상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하는 화상 데이터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록 정보 제공 방법. And providing, by the messaging server, the image data to the requestor in the form of image data.
KR1020050088166A 2005-09-22 2005-09-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ing KR100713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166A KR100713425B1 (en) 2005-09-22 2005-09-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166A KR100713425B1 (en) 2005-09-22 2005-09-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704A KR20070033704A (en) 2007-03-27
KR100713425B1 true KR100713425B1 (en) 2007-05-04

Family

ID=4163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166A KR100713425B1 (en) 2005-09-22 2005-09-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34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7843A1 (en) * 2014-08-01 2016-02-04 주식회사 씨지에스티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loc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041A (en) * 1996-01-31 1997-08-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for transmission of mobil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KR20000036670A (en) * 2000-03-24 2000-07-05 김선구 Mobil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equipment for internet user and method
KR20010091381A (en) * 2000-03-15 2001-10-23 김성현 Position track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KR20030046656A (en)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Notifying Location-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GPS Receiving Function
KR20060036164A (en)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locating a mobile terminal roaming oversea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5041A (en) * 1996-01-31 1997-08-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for transmission of mobil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KR20010091381A (en) * 2000-03-15 2001-10-23 김성현 Position track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and wireless communication
KR20000036670A (en) * 2000-03-24 2000-07-05 김선구 Mobile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equipment for internet user and method
KR20030046656A (en)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Notifying Location-Information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GPS Receiving Function
KR20060036164A (en)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locating a mobile terminal roaming overse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704A (en)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3121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WITH USER REMOVABLE MODULE, AND INcoming CALL RECEIVING METHOD
JP2586347B2 (en)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US75774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138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4431582B2 (en) Mobile phone
EP1901572B1 (en) A method and system based on secure user plane location
CN1805576B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EP2285147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obile station
JP2008530897A (en) Alert service method for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management device therefor, and mobile terminal
US20120238251A1 (en) Text Message Transmissions Indicating Failure of Recipient Mobile Device to Connect with a Call
KR10122282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processing disconnected emergency calls and other communications involv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remote monitoring thereof
US75989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device
KR1007134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record information according to users moving
WO20010264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ers
JP2008002880A (en) Positioning assist method, positioning assist server and positioning system
KR100827157B1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of wireless terminal
KR20060023483A (en) System for servicing proximity alert using location base service for method thereof
JP367873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0677963B1 (en) A mobile terminal with a faculty of announcing posi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3742266B2 (en) POSI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CENTER DEVICE, AND MOBILE TERMINAL
EP2654328B1 (en) Remote Request during On-Going Call
KR20060022887A (en) Method for confirming receipta of short messag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3879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ram service of mobile
JPH11351903A (en) Simplified navigation system
KR100618776B1 (en) Method for emergency call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