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468B1 - An electric connector - Google Patents

An electric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2468B1
KR100712468B1 KR1020010016166A KR20010016166A KR100712468B1 KR 100712468 B1 KR100712468 B1 KR 100712468B1 KR 1020010016166 A KR1020010016166 A KR 1020010016166A KR 20010016166 A KR20010016166 A KR 20010016166A KR 100712468 B1 KR100712468 B1 KR 10071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irs
plug
crosstal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76378A (en
Inventor
안정균
서태석
김정곤
명노훈
윤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대유통신 주식회사
대은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영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삼한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대유통신 주식회사, 대은전자 주식회사, 주식회사 우영,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삼한,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정보통신연구진흥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1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468B1/en
Priority to US10/024,198 priority patent/US6572414B2/en
Priority to JP2001396679A priority patent/JP3550126B2/en
Priority to CNB011448822A priority patent/CN1202595C/en
Publication of KR2002007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3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4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러 잭(Modular Jack)과 플러그(Plug)로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인접하는 도전쌍(T3, R3)(T2, R2)간에 발생되는 유도성 누화를 최소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전쌍(T3, R3)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을 교차되게 배열함으로써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서 상호 역위상을 갖는 유도성 누화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도전쌍(T2, R2)의 교차배열을 다층배선구조를 통해 실현하고, 또한 이때 상기 도전쌍(T3, R3)이 이루는 가상면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이 이루는 가상면이 80∼90°가 되도록 함으로써 교차배열구조에서 발생하게 되는 유도성 누화를 최소화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composed of a modular jack and a plug, to minimize inductive crosstalk generated between adjacent conductive pairs (T3, R3) (T2, R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re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so as to generate inductive crosstalk having mutually opposite phases i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The cross-alignment of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is realized through a multilayer wiring structure, and at this time, the virtual surfaces formed by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re 80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urfaces formed by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By setting it as ˜90 °, inductive crosstalk generated in the cross-array structure is minimized.

Description

전기 커넥터{AN ELECTRIC CONNECTOR}Electrical connector {AN ELECTRIC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누화 커넥터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low cross-talk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듈러 잭과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ular jack and plu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에서 플러그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plug in FIG.

도 4는 도 3에서의 단자핀(23)의 배열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조도.4 is an enlarged structural view of the arrangement of the terminal pins 23 in FIG.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단자핀(23)의 구조에 대하여 자계방출량을 검출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f detecting magnetic field emission amount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pin 23 shown in FIG. 4; FIG.

도 6은 유도성 누화의 발생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use of inductive crosstalk.

도 7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e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인서트의 내부 배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ternal wiring structure of the insert illustrated in FIG. 8. FIG.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인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절개 사시도.FIG. 1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insert shown in FIG. 8; FIG.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인서트의 구조에 대응하는 등가회로를 나타낸 회로도.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correspond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ser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 모듈러 잭, 2 : 플러그,1: modular jack, 2: plug,

11 : 케이스, 12 : 기판,11: case, 12: substrate,

13 : 인서트, 13a : 커넥터핀,13: insert, 13a: connector pin,

13b : 몸체, 14 : 접속단자,13b: body, 14: connection terminal,

21 : 가이드홈, 22 : 케이블,21: guide groove, 22: cable,

23 : 단자핀, 80 : 인서트.23: terminal pin, 80: insert.

본 발명은 모듈러 잭(Modular Jack)과 플러그(Plug)로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접 하는 배선간의 누화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composed of a modular jack and a plu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minimizing crosstalk between adjacent wiring lines.

최근 정보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사무실이나 가정내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기의 종류 및 수효가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개인용 컴퓨터를 단말기로 하는 컴퓨터 통신이 발달하면서 데이터 전송속도에 있어서도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type and number of communication terminals used in offices or homes are diversified. In addition, with the spread of the Internet, the development of computer communication using a personal computer as a terminal has made rapid progress in data transmission speed.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소정의 전기 커넥터를 통해 옥외의 전송 케이블에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통상 모듈러 잭과 플러그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와 결합되는 플러그를 옥외 케이블과 결합되는 모듈러 잭에 결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단말기를 옥외 케이블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전기 커넥터는 종래에는 통상 4핀 커넥터가 사용되어 왔으나 옥내에서 사용되는 단말기의 수효가 증가되면서 향후에는 8핀 커넥터가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used in an office or home, it is coupled to an outdoor transmission cable through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nector. Such electrical connectors are usually constructed with modular jacks and plugs. In addition, the user may selectively connect the terminal to the outdoor cable by using a plug coupl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modular jack coupled with the outdoor cable.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lectrical connector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with a 4-pin connector in general, an 8-pin connector is expected to be mainstream in the future as the number of terminals used indoors increases.

전송 케이블은 통상 2개의 라인이 쌍(pair)을 이루어, 즉 하나의 신호쌍이 하나의 통신선로를 제공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통신선로가 다른 통신선로와 인접하게 배치되면 통신선로간에 누화가 발생되어 전송 데이터에 에러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누화발생은 통신선로간의 용량성 및 유도성 결합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transmission cables, two lines are usually paired, that is, one signal pair provides one communication line. However, when such a communication line is disposed adjacent to another communication line, crosstalk occurs between the communication lines, causing an error in transmission data. Such crosstalk is known to occur due to capacitive and inductive coupling between communication lines.

미국특허 5,488,201호, 5,299,956호에는 상기한 통신선로간의 누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역위상의 용량성 결합을 통하여 누화를 상쇄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상기 '956'특허의 요지를 나타낸 것이다.U.S. Patent Nos. 5,488,201 and 5,299,956 disclose a method for preventing crosstalk between the communication lines described above. They are intended to counteract crosstalk through antiphase capacitive coupling. 1 illustrates the gist of the '956' patent.

도 1의 구성에서 제1 통신라인과 제2 통신라인은 각각 팁(Tip)과 링(Ring) 라인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부분에서 제1 통신라인의 팁라인(T1)은 제2 통신라인의 링라인(R2), 제1 통신라인의 링라인(R1)은 제2 통신라인의 팁라인(T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편, 제2 부분에서는 제2 통신라인이 제1 통신라인에 대하여 교차되게 배열되어 제1 통신라인의 팁라인(T1)이 제2 통신라인의 팁라인(T2), 제1 통신라인의 링라인(R1)이 제2 통신라인의 링라인(R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2 부분에서 제1 부분에서 발생되는 제1 및 제2 통신라인간의 누화와 역위상의 누화를 생성함으로써 누화를 소거시켜 제거하게 된다. 즉, 제1 부분에서 형생성되는 용량성 결합과 제2 부분에서 형성되는 용량성 결합이 상호 역위상을 갖게 됨으로써 용량성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누화를 제거하게 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are composed of a tip and a ring line, respectively. In the first part, the tip line T1 of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is connected to the ring line R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and the ring line R1 of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is connected to the tip line T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part,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is arranged to cross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so that the tip line T1 of the first communication line is the tip line T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and the first communication. The ring line R1 of the lin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ing line R2 of the second communication line. In the above configuration, crosstalk is eliminated by eliminating crosstalk by generating crosstalk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lines generated in the first portion and crosstalk in the reverse phase. That is, the capacitive bonds formed in the first portion and the capacitive bonds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have mutual inverse phases, thereby eliminating crosstalk generated by the capacitive bonds.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데이터 통신속도가 향상되고, 그에 따라 송수신 주파수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한 용량성 결합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누화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한계에 이르고 있다. 본 발명자가 실험한 바에 따르면 상기한 역위상의 용량성 결합방법은 100Mbps의 데이터 속도 범위내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고려된다. 일례로 미국 연방통신규격에 의하면 전기 커넥터에서의 누화값은 -46㏈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통신주파수, 즉 데이터 전송속도가 100Mbps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누화값으로 최대 -42.5㏈ 이상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data communication speed is improved, and thu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requency is increased, the method using the capacitive coupling described above has reached the limit of effectively eliminating crosstalk. According to the inventors' experiment, the above-described inverse capacitive coupling method is considered to be usable within a data rate range of 100 Mbps. For example, the U.S. Federal Communications Standard mandates that crosstalk in electrical connectors should be greater than -46 kHz. However, when the communication frequency, i.e., the data transmission rate, rises above 100 Mbps,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a crosstalk value of -42.5 kHz or mor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높은 주파수 및 통신속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누화값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that is capable of providing a stable crosstalk value even for a high frequency and a communication speed.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인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도전쌍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쌍을 인접하는 도전쌍에 대하여 교차되게 배열함으로써 도전쌍간에 발생하는 유도성 누화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irs arranged adjacently, wherein at least one conductive pair is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with respect to an adjacent conductive pair, And to induce crosstal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플러그와 모듈러 잭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는 제1 및 제2 도선을 구비하는 제1 도전쌍과, 상기 제1 도전쌍의 제1 및 제2 도선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 도선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도선과 제2 도선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도선을 구비하는 제2 도전쌍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도선이 교차되게 배열되어 상기 제3 도선이 제2 도선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도선이 제1 도선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g and a modular jack, wherein the plug is provided between a first conductive pair having first and second conductors and a first and second conductor of the first conductive pair.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cond conductive pair having a third conductive line arranged to be adjacent to a first conductive line and a fourth conductive line arranged to be adjacent to a second conductive line,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conductive lines are crossed. The third conductive line is arranged adjacent to the second conductive line, and the fourth conductive line is arranged adjacent to the first conductive line.

또한, 상기 모듈러 잭은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핀과, 이 커넥터핀을 고정하기 위한 몸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핀은 몸체내에서 다층배선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dular jack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pin electrically coupled to the plug, and a body for fixing the connector pin, the connector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ulti-layer wiring structure in the body.

또한, 상기 제1 도전쌍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상기 몸체내로 입사하는 입사면에 대하여 상기 제2 도전쌍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상기 몸체내로 입사하는 입사면이 80∼90°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idence plane in which the virtual plane interconnecting the second conductive pair is incident into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incidence plane in which the virtual surface interconnecting the first conductive pairs is incident into the body has an angle of 80 to 90 °. Characterized in forming.

또한, 상기 제1 도전쌍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상기 몸체내로부터 출사하는 출사면에 대하여 상기 제2 도전쌍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상기 몸체내로부터 출사하는 출사면이 10∼0°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ission surface from which the virtual surface interconnecting the second conductive pairs exits from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emission surface from which the virtual surface interconnecting the first conductive pairs exits from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n angle.

또한, 상기 제1 도선과 제3 도선, 제2 도선과 제4 도선이 상호 용량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the third conductive line, the second conductive line and the fourth conductive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apacitive coupl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First,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RJ45형 모듈러 잭과 그 플러그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여기서, 모듈러 잭(1)은 케이스(11)와 이 케이스(11)내 에 삽입되는 기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상에는 그 선단부에 인서트(13)가 탑재됨과 더불어, 그 후단부에는 케이블을 기판(12)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접속단자(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13)는 상측으로 절곡형성된 커넥터핀(13a)이 예컨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몸체(13b)를 관통하여 몸체(13b)의 후단에서 기판(12)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기판(12)의 상면과 그 배면에는 소정의 전기적 선로가 배설되어 상기 커넥터핀(13a)을 접속단자(14)와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al connect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ing the RJ45 type modular jack and its plug. Here, the modular jack 1 includes a case 11 and a substrate 12 inserted into the case 11. The insert 13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board, and a connection terminal 14 for electrically coupling the cable to the board 12 is provided at the rear end. In addition, the insert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2 at the rear end of the body 13b through a connector pin 13a bent upwardly, for example, through a body 13b made of resin or the like. In addition, a predetermined electrical line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2 to electrically couple the connector pin 13a to the connection terminal 14.

플러그(2)는 그 선단부의 상기 커넥터핀(13a)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커넥터핀(13a)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홈(21)이 설치됨과 더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이드홈(21)내에서 케이블(22)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단자핀(2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2)를 모듈러 잭(1)의 케이스(11)에 삽입하였을 때 모듈러 잭(1)의 커넥터핀(13a)과 플러그(2)의 단자핀(23)이 전기적으로 결합되게 된다.The plug 2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21 for guiding the connector pin 13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pin 13a of the tip portion thereof, and as shown in FIG. A terminal pin 23 is provided which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able 22 in 21. Therefore, when the plug 2 is inserted into the case 11 of the modular jack 1, the connector pin 13a of the modular jack 1 and the terminal pin 23 of the plug 2 are electrically coupled. .

한편, 도 4는 도 3에서의 단자핀(23)의 배열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에서 (R1, T1), (R2, T2), (R3, T3), (R4, T4)는 해당 도전쌍이 각각의 통신선로를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누화는 각각의 도전쌍, 즉 신호쌍 보다는 인접하는 도선과의 용량성 및 유도성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하나의 통신선로와 다른 통신선로간의 인접하는 도전쌍을 누화쌍이라고도 칭한다. 즉, 도 4에서 (T1, R3), (R3, T2), (R2, T3), (T3, R4)는 각각 누화쌍을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누화쌍(T1, R3)(T3, R4)에 의한 누화는 통상적인 방법, 즉 역위상의 용 량성 결합을 통하여 상당량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누화쌍(R3, T2)(R2, T3)에 의한 누화는 용량성 결합에 의해 충분하게 감소되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는 상기 누화쌍(R3, T2)(R2, T3)에 의한 누화가 용량성 결합보다는 유도성 결합에 의해 크게 영향받고 있는 것이라 고려된다. 실제로 본 발명자가 도 4에 도시된 구성에 대하여 자계방출량을 검출한 결과 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쌍(T2, R2)의 공간에서 방출되는 자계량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4 is an enlarged structural diagram of the arrangement of the terminal pins 23 in FIG. 3. In Fig. 4, (R1, T1), (R2, T2), (R3, T3), and (R4, T4), the conductive pairs constitute respective communication lines. In general, crosstalk is achieved by capacitive and inductive coupling with adjacent conductors rather than with each conductive pair, ie, signal pairs. Therefore, the adjacent conductive pair between one communication line and the other communication line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crosstalk pair. That is, in FIG. 4, (T1, R3), (R3, T2), (R2, T3), and (T3, R4) each form a crosstalk pair. Here, crosstalk by crosstalk pairs (T1, R3) (T3, R4)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conventional methods, i.e. through in-phase capacitive coupling. However, studies by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crosstalk by crosstalk pairs (R3, T2) (R2, T3) is not sufficiently reduced by capacitive coupling.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crosstalk by the crosstalk pairs R3 and T2 (R2 and T3) is greatly influenced by inductive coupling rather than capacitive coupling. In fact,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magnetic field emission amount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the inventors confirmed that the magnetic field amount emitted in the spaces of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is considerably large as indicated by arrows in FIG. 5.

도 6은 누화쌍(R3, T2)(R2, T3)에 의한 누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R은 통신단말기에 상당하는 종단저항을 나타낸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crosstalk by crosstalk pairs R3 and T2 (R2 and T3), in which reference numeral R denotes a termination resistance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terminal.

도 6에서 도전쌍(T3, R3)(T2, R2)이 폐루프를 형성하여 도전쌍(T3, R3)을 통해 I1과 같은 전류가 흐르게 되면,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자계가 해당 도선을 중심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계방출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전쌍(T2, R2)의 공간부분에서 크게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방향의 자계가 형성되어 도전쌍(T2, R2)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도전쌍(T2, R2)에서는 해당 자계를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I2에 해당하는 전류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도전류는 도전쌍(T2, R2)을 통해 전송되는 본래의 신호에 대해서는 노이즈신호에 해당되게 된다.In FIG. 6, when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T2 and R2) form a closed loop and a current such as I1 flows through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the magnetic field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the drawing shows the corresponding conductor. It happens in the center. The magnetic field emission is largely formed in the space portions of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On the other hand, if the magnetic field in the above-described direction is formed to affect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current flows in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in a direction to cancel the magnetic field, and thus corresponds to I2 as shown in the drawing. Current flow is generated. The induced current corresponds to a noise signal for the origina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도 7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있어서는 도전쌍(T3, R3)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을 교차되게 배열함으로써 도전쌍(T3, R3)과 도전쌍(T2, R2)이 제1 및 제2 부분에서 상호 역위상의 자기결합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7의 제1 부분에 있어서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전쌍(T3, R3)에 전류(I1)가 흐르게 되면 그에 따라 도전쌍(T2, R2)에 전류(I2)가 유기되어 흐르게 된다. 또한, 제2 부분에 있어서도 도전쌍(T3, R3)에 전류(I1)가 흐르게 되면 그에 따라 도전쌍(T2, R2)에 유도전류(I2')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도전쌍(T2, R2)이 제1 및 제2 부분에서 도전쌍(T3, R3)에 대하여 교차되게 배열되어 있으므로, 도전쌍(T2, R2)에 유기되는 유도전류 I2, I2'는 상호 역방향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서의 유도전류(I2, I2')가 상호 상쇄되게 되므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유도전류(I2, I2')의 크기를 상호 동일하게 되도록 하게 되면 도전쌍(T3, R3)에 의해 발생되는 도전쌍(T2, R2)에서의 누화가 완벽하게 제거되게 된다.In FIG. 7,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and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re reversed i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by arranging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It is configured to perform magnetic coupling of phase. That is, in the first part of FIG. 7, when the current I1 flows through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current I2 flows into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ccordingly. . In addition, in the second part, when the current I1 flows through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the induced current I2 'flows through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whereby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Since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re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the induced currents I2 and I2 'induced in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re set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ly, since the induced currents I2 and I2 'i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cancel each other,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re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 magnitudes of the induced currents I2 and I2' are adjusted. Cross-linking in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generated by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is completely eliminated if they become identical to each other.

한편, 도 7의 구성에서는 도전쌍(T3, R3)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을 교차배열함으로써 누화를 제거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도전쌍(T2, R2)에 대하여 도전쌍(T3, R3)을 교차되게 배열하는 방법을 통해 동일하게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인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도전쌍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도전쌍을 인접하는 도전쌍에 대하여 교차되게 배열함으로써 도전쌍간에 발생하는 유도성 누화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서 도선(T3, T2)(R3, R2)간에 형성되는 용량성분(C)은 누화쌍(T3, R2)(T2, R3)간의 용량성 누화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crosstalk is arranged so as to crosstalk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to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but this is done to remove the crosstalk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 Can be achieved by arranging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irs arranged adjacently, wherein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air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an adjacent conductive pair so as to eliminate inductive crosstalk occurring between the conductive pairs. It is characterized by. In FIG. 7, the capacitance component C formed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T3 and T2 (R3 and R2) is for compensating for capacitive crosstalk between the crosstalk pairs T3 and R2 (T2 and R3).

한편, 도 7의 구성에서 도전쌍(T2, R2)을 교차배열하기 위한 경로변경은 도 2 및 도 3에서 플러그(2)의 단자핀(23)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또는 모듈러 잭(1)에 서 단자핀(13a)이나 인서트(13)의 구조를 변경시키는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중요한 것은 도 7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효과적인 누화제거를 도모하여야 한다는 것과, 경로변경부분에서 발생되는 유도성 누화를 최소화하여야 한다는 것이다.Meanwhi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the path change for cross-aligning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changes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pin 23 of the plug 2 in FIGS. 2 and 3, or the modular jack 1.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pin (13a) or the insert (13). In this case, however, it is important to effectively eliminate crosstalk by setting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ppropriately in FIG. 7 and to minimize inductive crosstalk occurring in the path change portion.

도 8은 인서트의 구조변경을 통하여 누화쌍을 역배열하여 구성한 경우의 인서트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서 인서트를 A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인서트(80)는 A측면이 도 2 및 도 3에서 플러그(2)의 단자핀(23)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따라 A측면의 커넥터핀은 도 4에서 플러그(2)의 단자핀(23)과 동일한 순서, 즉 R1, T1, R3, T2, R2, T3, R4, T4의 순으로 설정될 것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sert when the crosstalk pair is reversely arrang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insert. 9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insert is seen from the A side in FIG. The insert 80 shown in FIGS. 8 and 9 is a portion where the A side is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terminal pin 23 of the plug 2 in FIGS. 2 and 3, so that the connector pin of the A side is shown in FIG. 4. In the same order as the terminal pin 23 of the plug (2), that is, in the order of R1, T1, R3, T2, R2, T3, R4, T4.

한편, 도 8에서 인서트(80)의 B측면은 커넥터핀(13a)이 도 2에서 기판(12)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그런데, 이때 커넥터핀(13a)의 배열순서는 R1, T1, R3, R2, T2, T3, R4, T4의 순으로 배열되어 A측면으로 삽입되는 커넥터핀(13a)의 배열에 비하여 도전쌍(T2, R2)의 위치가 바뀌어져 있다. 즉,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전쌍(T3, R3)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이 역배열되어 있다.Meanwhile, the side B of the insert 80 in FIG. 8 is a portion in which the connector pin 13a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substrate 12 in FIG. 2. However,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onnector pins 13a is arranged in the order of R1, T1, R3, R2, T2, T3, R4, and T4, compared to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or pins 13a inserted into the A side. , The position of R2) has been changed.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7,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re reverse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도 10은 상기 인서트(80)의 몸체(13b)내에 삽입되는 커넥터핀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1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인서트(80)를 A측면에서 바라본 경우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인서트(80)를 B측면에서 바라본 경우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0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or pins inserted into the body 13b of the insert 80. 1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structure when the insert 80 shown in FIGS. 8 and 9 is viewed from the side A, and FIG. 11B is a view showing the insert 80 shown in FIGS. 8 and 9 from the B side.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structure when it looked at.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선(T2)은 인서트(80) 몸체(13b) 내에서 직 진하다가 우측으로 절곡되어 직진하고, 도선(R2)은 몸체(13b)내에서 직진하다가 좌측으로 절곡되어 직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인서트(80)의 몸체(13b) 내에서 도선 T2 및 R2가 상호 교차되어 배열되게 된다.As can be seen in the drawing, the conducting wire T2 is straight in the insert 80 body 13b and is bent to the right and goes straight. By being arranged so that the conductors T2 and R2 cross each other and are arranged in the body 13b of the insert 80.

또한, 도 10에서 도선(T3)은 중간부위가 2개의 경로로 분리되면서, 그 하나의 경로는 도선(T2)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다른 경로는 도선(T4)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선(R3)도 그 중간부위가 2개의 경로로 분리되면서, 그 하나의 경로는 도선(R1)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다른 경로는 도선(R2)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도선(T3)과 도선(T2, T4), 도선(R3)와 도선(R1, R2)사이에 용량결합을 생성하는 것이다. 도 12는 상기 인서트(80)의 도선 배치에 대응되는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용량결합은 누화쌍(T1, R3)(R3, T2)(R2, T3)(T3, R4)에 의한 용량성 누화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FIG. 10, while the middle portion of the conductive wire T3 is divided into two paths, one path thereof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onductive wire T2, and the other path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onductive wire T4. Also, the middle portion of the conductive wire R3 is divided into two paths, one of which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onductive wire R1, and the other of the conductive wires R3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onductive wire R2. These are capacitive bonds generated between the conducting wire T3 and the conducting wires T2 and T4, the conducting wire R3, and the conducting wires R1 and R2. FIG. 12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s of the insert 80. As shown in FIG. 12, the capacitive coupling is a cross-talk pair T1, R3 (R3, T2) (R2, T3). To compensate for capacitive crosstalk by (T3, R4).

한편, 도 11에서 인서트(80) 몸체(13b)내에 배치되는 도선의 구조를 보면, A측면에서는 도전쌍(T3, R3)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80∼90°, 이상적으로는 90°의 각을 이룸으로써 도전쌍(T3, R3)이 도전쌍(T2, R2)에 미치는 유도성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 B측면에서는 도전쌍(T3, R3)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10∼0°, 이상적으로는 0°의 각을 이룸으로써 도전쌍(T3, R3)이 도전쌍(T2, R2)에 미치는 유도성 영향을 최대화 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로변경부분에서 발생되는 유도성 누화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 이다. 그리고, 이때 도전쌍(T3, R3)과 도전쌍(T2, R2)의 가상면이 10∼0°의 각을 이루는 도선의 길이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부분의 길이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제1 부분의 길이, 즉 플러그(2)에서의 단자핀(23)의 길이에 대응되게 설정될 것이다.Meanwhile, in FIG. 11, when the structure of the conductive wires disposed in the insert 80 body 13b is viewed,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re interconnected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urface interconnecting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on the A side. The imaginary plane is formed at an angle of 80 ° to 90 °, ideally 90 ° to minimize the inductive effect of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on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are electrically conductive, with the virtual surfaces interconnecting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at an angle of 10 to 0 degrees, ideally 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urfaces interconnecting T3 and R3. The inductive effect on the pair (T2, R2) is to be maximized. This is to minimize inductive crosstalk occurring in the path change portion as described in FIG. 7. In this case, the lengths of the conductive wires in which the conductive surfaces T3 and R3 and the virtual surfaces of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form an angle of 10 to 0 °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is will be set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part, that is, the length of the terminal pin 23 in the plug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서트(80)내에서 도전쌍(T3, R3)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을 교차시켜 역배열함으로써 플러그(2) 내에서 발생되는 도전쌍(T3, R3)과 도전쌍(T2, R2) 간의 유도성 누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and the conductive pairs generated in the plug 2 are reversely arranged by crossing the conductive pairs T2 and R2 with respect to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in the insert 80. Inductive crosstalk between (T2, R2) can be minimized.

또한, 인서트(80)내에서 각 도선(R1∼R4, T1∼T4)을 다층배선구조로 배열하면서, 도선(T3)과 도선(T2, T4), 도선(R3)과 도선(R1, R2)를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해당 도선을 용량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용량결합에 의하여 플러그(2)에서 발생되는 누화쌍(T1, R3)(R3, T2)(R2, T3)(T3, R4)간의 용량성 누화를 제거되게 된다.Further, in the insert 80, each of the conductive wires R1 to R4, T1 to T4 is arranged in a multilayered wiring structure, while the conductive wires T3, T2 and T4, R3 and R1 and R2 are arranged. By placing them at mutually corresponding positions, the conductors are capacitively coupled. Accordingly, capacitive crosstalk between the crosstalk pairs T1 and R3 (R3 and T2) (R2 and T3) (T3 and R4) generated by the plug 2 is removed by the capacitive coupling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서트(80)내에서 각 도선(R1∼R4, T1∼T4)을 다층배선구조로 배열하면서, 플러그(2) 측에서 인서트(80)로 삽입되는 도전쌍(T3, R3)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에 대하여 도전쌍(T2, R2)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예컨대 90°의 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도전쌍(T2, R2)의 경로변경에 의해 발생되는 누화를 최소화하게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ductive pairs T3 and R3 inserted into the insert 80 on the plug 2 side while arranging the conductive wires R1 to R4 and T1 to T4 in a multilayer wiring structure in the insert 80. Cross-linking the conductive pairs (T2, R2) with respect to the virtual planes interconnecting each other), thereby minimizing crosstalk caused by rerouting of the conductive pairs (T2, R2). .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유도성 누화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저누화 전기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ow crosstalk electrical connector suitable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in which inductive crosstalk occurs serious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 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원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can implement by making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ummary of this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only by the claims herei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주파수 및 통신속도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누화값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providing a stable crosstalk value even at a high frequency and a communication speed.

Claims (9)

삭제delete 플러그와 모듈러 잭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는 제1 및 제2 도선을 구비하는 제1 도전쌍과, 상기 제1 도전쌍의 제1 및 제2 도선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 도선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도선과 제2 도선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도선을 구비하는 제2 도전쌍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And a plug and a modular jack, wherein the plug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pair having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wires and the first conductive pair of the first conductive pair and adjacent to the first conductive wire. An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a second conductive pair having a third conductive line and a fourth conductive lin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nductive line, 상기 제3 및 제4 도선이 교차되게 배열되어 상기 제3 도선이 제2 도선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도선이 제1 도선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conductors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conducto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nductor and the fourth conducto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nducto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및 제4 도선의 교차배열이 모듈러 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wherein the crossover arrangement of the second and fourth leads is in a modular jack.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 및 제4 도선의 교차배열이 플러그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wherein the crossover arrangement of the second and fourth leads is in a plu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듈러 잭은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핀과, 이 커넥터핀을 고정하기 위한 몸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핀은 몸체내에서 다층배선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modular jack has a connector pin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plug, and a body for fixing the connector pin, wherein the connector pin has a multi-layered wiring structure in the bod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도전쌍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상기 몸체내로 입사하는 입사면에 대하여 상기 제2 도전쌍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상기 몸체내로 입사하는 입사면이 80∼90°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The incidence plane in which the virtual plane interconnecting the second conductive pair is incident to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incidence plane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pair is interconnected into the body forms an angle of 80 to 90 °. Characterized by electrical connector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도전쌍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상기 몸체내로부터 출사하는 출사면에 대하여 상기 제2 도전쌍을 상호 연결하는 가상면이 상기 몸체내로부터 출사하는 출사면이 10∼0°의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 exit surface from which the virtual surface interconnecting the second conductive pairs exits from the body with respect to an exit surface from which the virtual surface interconnecting the first conductive pairs exits from the body. Electric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7, 상기 제1 도전쌍의 가상면과 제2 도전쌍의 가상면이 10∼0°의 각을 이루는 도선의 길이가 상기 플러그에서의 제1 및 제2 도선쌍의 길이를 근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Wherein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wire between the virtual surface of the first conductive pair and the virtual surface of the second conductive pair forms an angle of 10 to 0 degrees is set based o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ductive wire pairs in the plug. Electrical connector.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상기 제1 도선과 제3 도선, 제2 도선과 제4 도선이 상호 용량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And wherein the first conductive wire and the third conductive wire, the second conductive wire and the fourth conductive wire are capacitively coupled to each other.
KR1020010016166A 2000-12-27 2001-03-28 An electric connector KR1007124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166A KR100712468B1 (en) 2001-03-28 2001-03-28 An electric connector
US10/024,198 US6572414B2 (en) 2000-12-27 2001-12-21 Modular jack for low crosstalk electrical connector
JP2001396679A JP3550126B2 (en) 2000-12-27 2001-12-27 Modular jack for low crosstalk electrical connector
CNB011448822A CN1202595C (en) 2000-12-27 2001-12-27 Modular socket of low-cross-talk electronic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166A KR100712468B1 (en) 2001-03-28 2001-03-28 An electric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378A KR20020076378A (en) 2002-10-11
KR100712468B1 true KR100712468B1 (en) 2007-04-27

Family

ID=2769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166A KR100712468B1 (en) 2000-12-27 2001-03-28 An electric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46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956A (en) * 1992-03-23 1994-04-05 Superior Modular Products, Inc.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970001947A (en) * 1996-08-14 1997-01-24 김재복 Gravity rotation
JPH09180799A (en) *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JP2000123903A (en) * 1998-10-16 2000-04-28 Hirose Electric Co Ltd Modular connector
KR20000030115A (en) * 1999-12-24 2000-06-05 이은신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of connector pin
KR20010046382A (en) * 1999-11-12 2001-06-15 이계철 High performanc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suppressing circui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956A (en) * 1992-03-23 1994-04-05 Superior Modular Products, Inc.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299956B1 (en) * 1992-03-23 1995-10-24 Superior Modular Prod Inc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H09180799A (en) *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KR970001947A (en) * 1996-08-14 1997-01-24 김재복 Gravity rotation
JP2000123903A (en) * 1998-10-16 2000-04-28 Hirose Electric Co Ltd Modular connector
KR20010046382A (en) * 1999-11-12 2001-06-15 이계철 High performanc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suppressing circuit
KR20000030115A (en) * 1999-12-24 2000-06-05 이은신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of connector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378A (en)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1653B2 (en) Method for reducing crosstalk in electrical connectors
EP0901201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ime-delayed signal compensation
JP53775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common mode signal generation in plug / jack connections
KR101531642B1 (en) Communication plug with improved crosstalk
US6356162B1 (en) Impedance compensation for a cable and connector
US6802743B2 (en) Low noise communication modular connector insert
US20060189215A1 (en) Controlled mode conversion connector for reduced alien crosstalk
US20040077222A1 (en) High performance jack for telecommunication applications
US8353723B2 (en) Communications patching devices having capacitor-based multi-stage near-end alien crosstalk compensation circuits between adjacent connector ports
PL204762B1 (en) Male part pf a plug-and-socket connection
US7381097B2 (en) Communications connectors with parasitic and/or inductive coupling elements for reducing crosstalk and related methods
WO2013122832A1 (en) Small form-factor modular plugs with low-profile surface mounted printed circuit board plug blades
KR20110044772A (en)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multi-stage compensation
EP1255322B1 (en) Crosstalk reduction for IDC terminal block
KR100524586B1 (en) Modular Jack
JP4879694B2 (en) Electrical connector jack
JP2013544010A (en) Communication plug with improved crosstalk
KR100712468B1 (en) An electric connector
US20170098911A1 (en) Method for Reducing Crosstalk in Electrical Connectors
JP3783558B2 (en) Modular connector
JP2004146078A (en) High-speed connector
TW200836425A (en) Connecting hardware with multi-stage inductive and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