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907B1 - 비폭성 정적파쇄제 - Google Patents

비폭성 정적파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907B1
KR100710907B1 KR1020050057209A KR20050057209A KR100710907B1 KR 100710907 B1 KR100710907 B1 KR 100710907B1 KR 1020050057209 A KR1020050057209 A KR 1020050057209A KR 20050057209 A KR20050057209 A KR 20050057209A KR 100710907 B1 KR100710907 B1 KR 10071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o
weight
expansion pressure
calcium oxide
clin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626A (ko
Inventor
김원기
소정섭
김훈상
김홍주
이원준
Original Assignee
기초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초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초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9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3/00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explosive or non-therm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BEXPLOSIVES OR THERMIC COMPOSITIONS; MANUFACTURE THEREOF; USE OF SINGLE SUBSTANCES AS EXPLOSIVES
    • C06B21/00Apparatus or methods for working-up explosives, e.g. forming, cutting, drying
    • C06B21/0008Compounding the ingredi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폭성 정적파쇄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회를 1300 ∼ 1400 ℃에서 소성한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에, 비결정질이고, 염기도가 1.6 ∼ 2.0 이며, CaO, MgO, Al2O3 및 SiO2를 함유한 화합물이 일정 성분비로 혼합에 의해 제조하여, 상기 특정 성분을 함유한 화합물이 잠재수경성, 포졸란 반응성을 나타내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수화 반응율을 조절하여, 충분한 팽창압 발현시간의 확보 및 우수한 팽창압 발현이 가능한 비폭성 정적파쇄제에 관한 것이다.
산화칼슘(CaO) 클링커, 비결정질, 포졸란 반응

Description

비폭성 정적파쇄제{Non-explosive static demolition agent}
본 발명은 비폭성 정적파쇄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회를 1300 ∼ 1400 ℃에서 소성한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에, 비결정질이고, 염기도가 1.6 ∼ 2.0 이며, CaO, MgO, Al2O3 및 SiO2를 함유한 화합물이 일정 성분비로 혼합에 의해 제조하여, 상기 특정 성분을 함유한 화합물이 잠재수경성, 포졸란 반응성을 나타내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수화 반응율을 조절하여, 충분한 팽창압 발현시간의 확보 및 우수한 팽창압 발현이 가능한 비폭성 정적파쇄제에 관한 것이다.
정적파쇄제란 광물의 수화반응에 발현하는 팽창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암석 등의 취성물체를 안전하고 친환경적으로 파쇄, 해체하는 공사에 사용되는 팽창성 재료이다.
최근에 도심지에서 구조물 신축을 위한 유효면적이 급격히 감소하여 대지당 건축면적이 종전에 비하여 상당히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고층화와 지하공간의 심층화가 진전되어 기초공사 시 지하굴착이 점점 깊어지고 암반에 대한 굴착빈도가 급속히 증가하여 암반 파쇄에 대한 안전이나 환경문제가 새로운 해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발파로 인한 안전상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고, 실제로 근접 시공시 암반 파쇄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진동은 기존 건물의 기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무발파, 무진동, 무소음의 암반파쇄 방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실제로 도심지에서 기초공사를 시공할 때에는 이와 같은 암반 파쇄공법의 사용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암반 파쇄공법 중 보편적인 공법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계적인 장비를 이용한 암반 파쇄공법이 있다. 이는 대부분이 1차 작업으로 천공작업을 실시하고, 2차 작업으로 암반을 파쇄하며, 마지막으로 브레이커(breaker)로 암반을 걸러내는 3가지 공정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와 같은 기계식 파쇄는 파쇄가 즉시적으로 이루어지고, 계절 등 주변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2차 파쇄 시 소음(100 dB 이상)이 심하고 파쇄 대상이 경암(암석의 일종)일 경우, 파쇄 시에는 효율이 상당히 낮아지고 장비의 투입이 필수적이므로 시공할 때 공간적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기계를 다루는 숙련도에 따라 작업시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장비의 추가 및 해체 시간이 소요되고, 인건비의 추가가 필요하다. 다음 표 1은 암석의 종류에 따른 압축강도와 소요 팽창압에 관한 것이다.
암석종류 압축강도 (㎏/㎠) 인장강도 (㎏/㎠) 소요팽창압 (㎏/㎠)
연암 600 이하 30 ∼ 60 80 ∼ 160
보통암 600 ∼ 1200 60 ∼ 100 160 ∼ 230
경암 1200 이상 100 ∼ 130 230 ∼ 260
다음으로, 정적파쇄제는 기존의 암반 발파시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재료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파쇄제의 대부분은 생석회가 물과 수화반응을 일으킴으로서 부피가 증가할 때 발생하는 팽창압을 이용하는 것이다.
팽창성 파쇄제는 소음, 비석(飛石), 분진, 진동 등 주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환경 공해 예방 측면에서 유리하며, 전문적인 기술자가 필요하지 않으며, 파쇄제를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상태로 만든 후, 파쇄대상물에 주입하는 것으로 시공이 완료된다. 또한, 장비의 추가가 없으므로 시공장소에 제약을 덜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파쇄제 가격이 비싸다는 것과 주변 온도의 영향을 받는 문제가 큰 단점으로 인식되어 왔다. 다음 표 2는 여러 가지 파쇄방법에 따른 특징을 나타낸 것으로, 정적파쇄가 가장 효과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 분 파쇄력 파쇄시 상황 안전성 보호시설 설치용이성 경제성
소음 진동 분진 비석
정적파쇄
폭약물 × × × × × ×
콘크리트 크래커 × ×
암석 브레이커
유압 할암기 ×
이러한 정적파쇄제의 원료는 산화칼슘(CaO)원인 생석회를 사용하며, 석회는 일반적으로 그 소성도에 따라 연소(軟燒), 경소(硬燒) 및 사소(死燒)로 분류된다.
'연소 생석회'를 얻기 위하여 소성 중에 석회석의 온도를 900 ℃ 이상으로 올리지 않도록 제어가 요구된다. 분해된 연소 생석회는 미세한 산화칼슘(CaO)의 결정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소 생석회는 ① 비표면적이 크고, ② 결정간의 공극은 작으나, 공극률이 크고, ③ 부피 비중이 작으며, ④ 반응성이 큰 특성을 갖게 된다. 이를 그대로 고온으로 장시간 소성하면 미세한 결정은 차차 융합하고 전체의 용적은 수축하게 되는데, 이 상태의 생석회를 일반적으로 '경소 생석회'라 부르며, 소성온도를 1,600 ∼ 1,700 ℃로 높여 수화반응성을 저하시키고 CaO 함량을 높인 것을 '사소 생석회'라 부른다.
이 중, 비폭성 정적파쇄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연소 및 경소 석회석은 반응성이 지나치게 빠르기 때문에 정적파쇄제로 제조하였을 경우 발열량이 과다하여 작업 중 화상의 위험이 있고, 물과 반응하여 수화작용 시 초기 과발열과 이에 따른 폭발로 팽창이 되기보다는 슬러리의 분출 현상이 일어나므로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생석회를 이용하거나, 특성개선을 위한 혼합제를 첨가하여 초기의 급격한 반응현상을 지연시키는 것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생석회를 사용한 정적파쇄제의 급격한 반응성의 제어 및 수화반응성의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석 회를 특정의 온도에서 소성한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에, 비결정질이고, 염기도가 1.6 ∼ 2.0이며, CaO, MgO, Al2O3 및 SiO2을 함유한 화합물을 일정 성분비로 혼합하여 정적파쇄제를 제조하면, 정적파쇄제의 유동성이 향상되고, 초기의 급격한 반응성을 제어하여 팽창압 발현 시간 확보 및 우수한 팽창압의 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온도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에, 특정의 화합물을 일정성분비로 혼합하여 팽창압 발현 시간 확보 및 팽창압이 우수한 비폭성 정적파쇄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 1300 ∼ 1400 ℃온도 범위에서 석회를 소성하여 얻어진 입자크기가 25 ∼ 35 ㎛ 범위의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 70 ∼ 95 중량%와, (2) 비결정질이고, 염기도가 1.6 ∼ 2.0이며, CaO 40 ∼ 50 중량%, MgO 1 ∼ 10 중량%, Al2O3 10 ∼ 25 중량% 및 SiO2 33 ∼ 38 중량%를 함유한 화합물 5 ∼ 3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정적파쇄제로, 최대수화온도가 45 ∼ 50 ℃ 이고, 8시간이내 팽창압이 200 ∼ 300 ㎏/㎠인 비폭성 정적파쇄제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석회를 특정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에, 특정의 CaO, MgO, Al2O3 및 SiO2를 함유한 화합물을 일정 성분비로 혼합한 비폭성 정적파쇄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석회석의 클링커 분말에 명반을 첨가한 정적파쇄제[대한민국 특허등 록 제403913호]와, 본 발명자에 의해 산화칼슘원에, 산화제이철 및 산화알루미늄을 일정 성분비로 함유하여 클링커를 제조하고, 상기 클링커의 입도 분포를 특정하게 조절한 정적파쇄제[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4-0033121호]에 대한 문헌이 공지된 바 있다.
종래 석회는 소성온도에 따라 얻어진 클링커의 물성이 크게 달라지는 바, 연소, 경소는 반응성이 크고, 사소는 수화반응성이 낮은 것이 문제이다. 통상적으로 실제 사용되는 온도범위는 1400 ℃ 이상의 범위에서 소성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1300 ∼ 1400 ℃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초기에 유효한 수화반응성 및 우수한 팽창압 발현 특성을 갖는 산화칼슘 클링커 얻는다. 이후에 상기 산화칼슘 클링커를 분쇄한 다음, 비결정질이고 특정의 염기도를 갖는 CaO, MgO, Al2O3 및 SiO2를 함유한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정적파쇄제는, 상기 화합물이 잠재수경성과 포졸란 반응성을 발현하여 상기 클링커의 반응속도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수경성을 발휘하여 클링커의 팽창압이 상부로 유출되지 않고 파쇄대상물에 유효한 팽창압을 장시간 발현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낮은 소성온도에서 제조된 산화칼슘 클링커가 정적파쇄제로서의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것은 특정의 성분을 첨가 사용하여 이를 보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정적파쇄제는 산화칼슘의 반응성을 제어하고자 소성 전에 석회와 불순물을 미분쇄하여 혼합하는 번거로운 과정과, 제조된 클링커의 반응성을 제어하기 위해 소성 전부터 세심한 관리가 반드시 요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 에서는 일정온도에서 소성된 클링커를 일정 입도로 분쇄 후, 특정의 성분을 단순히 혼합하는 과정으로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정된 정적파쇄제를 상황에 맞게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특정의 성분은 각각 CaO, MgO, Al2O3 및 SiO2가 일정 성분비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들이 함유된 화합물은 산화칼슘에 의해 알루미나 규산염의 망목구조의 사슬 결합이 절단되면서 서서히 Ca이온을 소비하게 된다. 이때, Ca, Al, Si, Mg 등의 이온이 용출되면서, 화합물의 수화가 진행되고, 용출된 과잉의 산성성분은 포졸란 반응에 의해 불용성의 화합물인 칼슘실리케이트계 수화물 및 칼슘알루미네이트계 수화물을 생성하게 된다.
종래에 클링커에 상기 각각의 성분을 이용한 정적파쇄제에 대한 문헌은 있으나, 이들은 소성 전에 첨가하여 석회와 동시에 소성한 화합물의 정적파쇄제이며, 본 발명은 소성 후에 이들 화합물을 특정비로 혼합한 혼합물로 산화칼슘에 의해 반응이 촉진되어 수경성을 발휘하는 수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염기도를 특정 범위로 제한하여 우수한 잠재수경성 및 포졸란 반응성을 발현하여 산화칼슘의 반응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폭성 정적파쇄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특정의 온도범위에서 형성하여 얻어진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에, CaO, MgO, Al2O3 및 SiO2를 함유한 화합물을 특정의 비로 혼합한 비폭성 정적파쇄제에 기술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상기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산화칼슘원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구체적으로 고반응성 생석회, 소석회 및 석회석 등의 석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산화칼슘(CaO)원을 1300 ∼ 1400 ℃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시켜 클링커를 형성하며, 상기 소성온도가 1300 ℃ 미만이면 반응성이 빨라져 반응의 제어가 어려우며, 14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정 팽창압을 발현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려 실적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소성한 클링커는 일반적인 입자 분쇄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며, 평균입경 25 ∼ 35 ㎛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한다. 상기 입자의 크기가 25 ㎛ 미만이면 초기 반응성이 급격하게 일어나, 파쇄제의 분출 위험이 있고 3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 팽창압을 발현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유동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클링커는 70 ∼ 95 중량% 사용하며, 사용량이 70 중량% 미만이면 팽창압 발현시간이 지연되어, 초기에 우수한 팽창압을 발현할 수 없고 9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에 급격한 수화반응이 일어나서 파쇄제를 취급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형성된 클링커에, 비결정질이고, 염기도가 1.6 ∼ 2.0이며, 각각 CaO, MgO, Al2O3 및 SiO2를 함유한 화합물을 일정비로 첨가하여 정적파쇄제를 형성한다. 상기 성분은 비결정질인 것을 선택 사용하는 바, 결정질인 경우에는 화 합물의 결정구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수화 시 Ca이온을 소비하며 수경성이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산화칼슘의 반응성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염기도가 1.6 미만이면 화합물의 초기반응성이 떨어져 산화칼슘의 반응성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고, 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합물의 결정화 성향이 증가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은 각각 CaO 40 ∼ 50 중량%, MgO 1 ∼ 10 중량%, Al2O3 10 ∼ 25 중량% 및 SiO2 33 ∼ 38 중량% 사용하는 바, 상기 CaO의 경우 함유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비결정질화의 효율이 떨어져 수경성이 감소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합물의 결정화 성향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SiO2 의 경우 함유량이 33 중량% 미만이면 염기도가 증가하여 결정화 성향이 증가하고 3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합물의 반응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MgO의 경우 상기 범위 미만이면 화합물의 유동성이 저하하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화합물의 수화반응시 체적불안정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적파쇄제의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Al2O3 10 중량% 미만이면 칼슘알루미네이트계 수화물 생성이 부족하여 자경성이 떨어지게 되고 2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합물의 결정화 성향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정적파쇄제는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상태로 된 다음 파쇄 하고자 하는 곳 내부로 주입되어 수화반응이 진행된다. 상기 슬러리는 수화 반응을 일으키며 부피팽창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한 팽창압에 의해 암석이나 콘크리트 등이 단 시간내에 파쇄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석회석을 1350 ℃에서 소성한 후, 평균입경 25 ∼ 35 ㎛ 입자 크기로 분쇄한 산화칼슘 클링커 분말에, CaO 44 중량%, MgO 7 중량%, Al2O3 13 중량% 및 SiO2 36 중량%가 함유된 비결정질 화합물을 혼합하여 비폭성 정적파쇄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결정질 화합물은 염기도가 1.8을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비폭성 정적파쇄제의 팽창압 측정을 위해, 상기 정적파쇄제에 물 30 중량%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팽창압 측정용 흑관에 주입하였다. 상기 흑관 외벽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을 부착하여 팽창압을 측정하고, 온도센서를 슬러리에 삽입하여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팽창압 및 온도측정의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 4
다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함량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석회석을 각각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산화칼슘을 분쇄한 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혼합하여 정적파쇄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비폭성 정적파쇄제의 팽창압 측정을 위해, 파쇄제에 물 30 중량%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팽창압 측정용 흑관에 주입하였다. 상기 흑관 외벽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을 부착하여 팽창압을 측정하고, 온도센서를 슬러리에 삽입하여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팽창압 및 온도측정의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현재 판매되고 있는 상용제품(Bristar, 일본 오노다 시멘트사)인 비폭성 정적파쇄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비폭성 정적파쇄제의 팽창압 측정을 위해, 파쇄제에 물 30 중량%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팽창압 측정용 흑관에 주입하였다. 상기 흑관 외벽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을 부착하여 팽창압을 측정하고, 온도센서를 슬러리에 삽입하여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팽창압 및 온도측정의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각각 비교예 6은 MgO와 SiO2 성분을 배제하고, CaO 30 중량% 및 Al2O3 70 중량%를 함유한 화합물을 첨가하고, 비교예 7은 CaO 20 중량%, SiO2 50 중량%, Al2O3 25 중량% 및 MgO 5 중량%를 함유한 화합물을 첨가하고, 비교예 8은 CaO 30 중량%, Al2O3 10 중량%, MgO 5 중량 %, SiO2 55 중량%를 함유하고 염기도가 1.0인 화합물을 첨가하여 비폭성 정적파쇄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비폭성 정적파쇄제의 팽창압 측정을 위해, 파쇄제에 물 30 중량%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팽창압 측정용 흑관에 주입하였다. 상기 흑관 외벽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을 부착하여 팽창압을 측정하고, 온도센서를 슬러리에 삽입하여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팽창압 및 온도측정의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8에서 사용된 화합물의 염기도는 다음 수학식으로 계산한다.
[수학식]
염기도 = (CaO+MgO+Al2O3)/SiO2
CaO = 화합물 중 산화칼슘의 함유량(%)
MgO = 화합물 중 산화마그네슘의 함유량(%)
Al2O3 = 화합물 중 산화알루미늄의 함유량(%)
SiO2 = 화합물 중 산화규소의 함유량(%)
구 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6 비교예 7 비교예 8
클링커 95 70 50 100 95 70 94 70 95 70
특정성분의 화합물 5 30 50 - 5 30 기타 (6) 30 5 30
클링커 소성온도 (℃) 1350 1350 1350 1350 1250 1250 - 1350 1350 1350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최대수화온도 (℃) 45 45 39 86 130 61 41 115 110 65
8시간 팽창압 (㎏/㎠) 240 228 132 - - 151 151 - - 192
최대수화온도는 슬러리가 수화하면서 발생하는 온도의 최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체적으로 수화온도가 높을수록 슬러리의 분출위험이 커지게 된다.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에 1 ∼ 2의 경우, 수화온도가 50 ℃ 이하로 슬러리의 분출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8시간 이내에 200 kg/㎠ 이상의 팽창압을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성분 조성을 벗어난 비교예 1 ∼ 2 및 소성온도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3 ∼ 4의 정적파쇄제의 경우, 초기의 팽창압 발현이 저조하거나, 초기에 급격한 수화반응으로 인해 슬러리가 분출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첨가되는 혼합물의 성분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6 ∼ 8의 경우 역시, 화합물의 잠재수경성 및 포졸란 반응성이 떨어져, 산화칼슘의 반응성을 충분히 제어하지 못하여, 초기에 슬러리가 분출하거나, 충분한 팽창압을 발현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정적파쇄제인 비교예 5에 비해, 실시예 1 ∼ 2가 우수한 팽창압을 발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산화칼슘원을 특정 온도범위에서 소성시킨 클링커 분말에, 비결정질이고 특정범위의 염기도를 갖는 CaO, MgO, Al2O3 및 SiO2를 함유한 화합물을 일정범위로 혼합하여, 단 시간내에 우수한 팽창압을 발현하고, 상기 화합물이 함유된 산업부산물을 사용하는 경우 최종제품의 원감절감 및 친환경적인 측면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및 암반 파쇄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Claims (3)

  1. (1) 1300 ∼ 1400 ℃온도 범위에서 석회를 소성하여 얻어진 입자크기가 25 ∼ 35 ㎛ 범위의 산화칼슘(CaO) 클링커 분말 70 ∼ 95 중량%와
    (2) 비결정질이고, 염기도가 1.6 ∼ 2.0이며, CaO 40 ∼ 50 중량%, MgO 1 ∼ 10 중량%, Al2O3 10 ∼ 25 중량% 및 SiO2 33 ∼ 38 중량%를 함유한 화합물 5 ∼ 30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정적파쇄제로,
    최대수화온도가 45 ∼ 50 ℃ 이고, 8시간이내 팽창압이 200 ∼ 300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성 정적파쇄제.
  2. 삭제
  3. 삭제
KR1020050057209A 2005-06-29 2005-06-29 비폭성 정적파쇄제 KR10071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209A KR100710907B1 (ko) 2005-06-29 2005-06-29 비폭성 정적파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209A KR100710907B1 (ko) 2005-06-29 2005-06-29 비폭성 정적파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626A KR20070001626A (ko) 2007-01-04
KR100710907B1 true KR100710907B1 (ko) 2007-04-27

Family

ID=3786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209A KR100710907B1 (ko) 2005-06-29 2005-06-29 비폭성 정적파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152B1 (ko) * 2009-03-10 2010-03-08 주식회사 이디마이트 비폭성 무진동 파쇄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16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인트켐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한 정적 파쇄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216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인트켐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한 정적 파쇄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626A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8029B2 (en) Use of mineral fines to reduce clinker content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KR100464666B1 (ko) 굴패각을 이용한 지반개량형 고화재 제조방법
WO2018132429A1 (en) Use of quarry fines and/or limestone powder to reduce clinker content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CA2096800A1 (en) Cem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2831015B1 (en) Binder composition comprising lignite fly ash
KR100884715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혼합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06010A1 (en) Matrix for masonry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2514727B1 (en) An alkali activated limestone concrete composition and use of composition in concrete casting
US20150053118A1 (en) Method for using waste concrete as blending material in cement production and cement thus obtained
US20220017419A1 (en) Use of mineral fines to reduce clinker content of cementitious compositions
CN110885222B (zh) 一种高效无声破碎剂及其生产方法
KR101668631B1 (ko) 건식 공정 바텀애시를 경량골재로 활용한 경량 내화 모르타르
CN100408503C (zh) 建筑砂浆用胶结材及其生产方法
KR102226027B1 (ko) 폐패각 친환경 그라우트재 및 지반 그라우팅 공법
KR100710907B1 (ko) 비폭성 정적파쇄제
US4604143A (en) Demolition facilitating agent
KR100603643B1 (ko) 비폭성 정적파쇄제
JP3747988B2 (ja) 膨張材組成物及び膨張セメント組成物
WO2019044484A1 (ja) 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0812B1 (ko) Bp 부산물을 활용한 공동 충전용 팽창 슬러지 조성물
KR101276084B1 (ko) 백시멘트 조성물 및 제조 방법
RU2377412C1 (ru) Твердеющая закладочная смесь
GB2050341A (en) Cement manufacture from rice husk/straw ash
EP283101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mortar or grout using lignite fly ash and concrete, mortar or grout obtainable by said method
JP3618117B2 (ja) 静的破砕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