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732B1 -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 Google Patents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732B1
KR100710732B1 KR1020050033658A KR20050033658A KR100710732B1 KR 100710732 B1 KR100710732 B1 KR 100710732B1 KR 1020050033658 A KR1020050033658 A KR 1020050033658A KR 20050033658 A KR20050033658 A KR 20050033658A KR 100710732 B1 KR100710732 B1 KR 10071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sheet
writing
mounting portion
storag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1199A (en
Inventor
윤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to KR102005003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732B1/en
Publication of KR2006011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1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7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분배부에 의해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필기구 전체 길이의 확장 없이 대용량 잉크 탱크부 사용과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축방향을 따라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시트의 장착 및 사용이 용이한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pace utilization is increased by 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the sheet can be easily mounted and used while the large-capacity ink tank unit and the anti-drying mechanism can be moun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without the extension of the entire writing instrument length. It is to provide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dispenser.

본 발명의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필심을 갖는 제1필기구멤버(101)를 구비하되, 상기 제1필기구멤버(101)의 잉크 카트리지 끝단에 탈부착되게 결합된 제3필기구멤버(103)를 포함하고, 상기 제3필기구멤버(103)의 끝단에서 축심방향으로 시트(91)를 인출시키도록, 격벽(111)으로 정의되는 U자형 스택 장착 부위(112)가 상기 제3필기구멤버(103)에 형성되어 있다.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having a pen core, and includes a thir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3 detachably coupled to an ink cartridge end of the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The U-shaped stack mounting portion 112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111 is attached to the third writing instrument 103 so that the sheet 91 is pulled out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thir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3. Formed.

시트, 디스펜서, 필기구, 카트리지, 스택, 수납분배부 Sheets, dispensers, writing instruments, cartridges, stacks, storage distribution

Description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Writing instrument with sheet dispenser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writing instrument with a sheet dispenser in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FIG. 2A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shown in FIG. 2;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수납분배부의 정면도,FIG. 2B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2A;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제1수납분배부의 단면도,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B;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제1수납분배부의 평면도,2D is a plan view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2A;

도 2e는 도 2d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제1수납분배부의 단면도,FIG. 2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2D;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제2수납분배부의 단면도,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3;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수납분배부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제3수납분배부의 단면도,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4;

도 4b와 도 4c는 도 4에 도시된 제3수납분배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4B and 4C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4;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4수납분배부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제4수납분배부의 정면도,5A is a front view of the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5;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선 C-C를 따라 절단한 제4수납분배부의 단면도,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urth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5A;

도 5c와 도 5d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에서 제4수납분배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5C and 5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n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5수납분배부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제5수납분배부의 정면도,6A is a front view of a fifth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6, FIG.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선 D-D를 따라 절단한 제5수납분배부의 단면도,FIG. 6B is a sectional view of a fifth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6A;

도 6c는 도 6에 도시된 제5수납분배부의 평면도,6C is a plan view of the fif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6;

도 6d는 도 6c에 도시된 선 E-E를 따라 절단한 제5수납분배부의 단면도,FIG. 6D is a sectional view of a fifth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E-E shown in FIG. 6C;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에 따른 제6수납분배부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도 7에 도시된 제6수납분배부의 정면도,7A is a front view of the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7, FIG.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선 F-F를 따라 절단한 제6수납분배부의 단면도,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xth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F-F shown in FIG. 7A; FIG.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제6수납분배부에 마감용 스티커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7C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nishing sticker is mounted on a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7A;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7수납분배부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도 8에 도시된 제7수납분배부의 정면도,8A is a front view of a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8, FIG.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선 G-G를 따라 절단한 제7수납분배부의 단면도.FIG. 8B is a sectional view of a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G-G shown in FIG. 8A.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90 : 스택 91 : 시트90: stack 91: sheet

100 ∼ 700 : 수납분배부 101 : 제1필기구멤버100 to 700: storage distribution 101: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2 : 제2필기구멤버 103 : 제3필기구멤버102: the second writing member 103: the third writing member

111 : 격벽 112 : U자형 스택 장착 부위111: partition 112: U-shaped stack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은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출몰식 마카펜(marker), 출몰식 마킹 필기구, 출몰식 형광펜, 출몰식 볼펜, 만년필, 연필, 수정펜, 화이트 펜 등의 필기 역할과 시트(sheet) 혹은 플래그(flag)용 디스펜서(dispenser)의 역할을 겸한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ting role such as a remarkable marker, a remarkable marking pen, a retractable highlighter, a retractable ballpoint pen, a fountain pen, a pencil, a crystal pen, a white pen, and the like.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which also serves as a dispenser for a sheet or a flag.

일반적으로, 출몰식 필기구는 별도의 뚜껑을 열고 닫는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닙(nib)이 출몰하는 닙구멍이 필기구의 일측 끝단에 단순히 통공되어 있기 때문에, 유성 잉크 등과 같이 비휘발성이나 휘발성이 약한 필기구에만 한정적으로 적용 가능한 단점이 있다.In general, the writing instrumen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and closing a separate lid, but because the nip hole in which the nib is protruded is simply perforated at on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such as oil-based ink However, there is a drawback that can be limitedly limited to writing instruments having low volatility.

반면, 휘발성 강한 마카펜이나, 화이트펜, 수성펜, 형광펜 등은 뚜껑을 개폐시키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닙이 공기 중에 장시간 개방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닙의 잉크 등이 말라붙게 되어서 필기구 수명이 단축되거나 훼손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highly volatile maca pens, white pens, aqueous pens, highlighters, etc. not only have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and closing the lid, but also shorten the life of writing instruments as the nip ink dries when left in the air for a long time. Or damaged.

이런 분야에 관심이 있는 종사자 및 개인들은 액상이나 반 액상의 잉크, 또는 휘발성이나 비휘발성 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에서 잉크 건조를 방지시킴과 함께 닙을 보호할 수 있는 남다른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를 노력하고 있다.Workers and individuals who are interested in this field are working on a number of studies on other technologies that can protect nips while preventing ink drying in writing instruments that use liquid or semi-liquid or volatile or non-volatile inks. have.

펜촉 건조 방지와 보호를 위한 종래 기술에는 다른 출원인들에 의해 개시된 것으로서, 일본특허 특1987-0012570 '건조 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 없는 필기구'와, 대한민국 1999년 등록실용신안 제172486호의 '팁보호구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와, 1999년 등록실용신안 제174279호의 '펜촉 마름방지장치'와, 2000년 특허출원 제65693호의 '분리하지 않는 탄성체 뚜껑을 구비한 필기구'가 있다.The prior art for preventing and protecting nib drying is disclosed by other applicants, and include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987-0012570, 'A lidless writing instrument with a drying prevention device', and 'Tip protection device of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72486, 1999. There is a pen writing instrument, a 'tip nib prevention device' of 1999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74279, and a writing instrument with a non-separable elastic cover of patent application 65693 in 2000.

또한, 마카펜의 닙의 잉크 휘발 방지 및 기밀 유지를 위한 종래 기술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것으로서, 2004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2867호 및 동년 특허출원 제31012호 각각의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와; 2005년 특허출원 제22855호의 '마름방지용 출몰식 필기구'가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for preventing the volatilization and confidentiality of the ink of the nip of maca-phene is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2004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2867 and the same year patent application No. Writing utensils'; In 2005, patent application No. 22855, there is a writing instrument for preventing dryness.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한 출몰식 필기구는 밀폐형 도어 및 오링을 사용하거나, 스트립 또는 루프형 개폐수단을 구비함에 따라, 닙을 필요에 따라 출몰시키면서도, 닙이 필기구의 내부에 위치할 때 대용량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닙까지 공급되는 잉크의 마름 현상을 완전 해결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In particular, the pendent writing instrument by the applicant uses a closed door and an O-ring, or has a strip or loop opening and closing means, so that when the nip is placed inside the writing instrument while the nip is raised as needed, It has technical features that completely solve the dry phenomenon of the ink supplied to the nip.

이러한, 출몰식 필기구는 특히, 마카펜 등에 적용되어서, 잦은 닙의 출몰에도 불구하고 잉크 마름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제품 수명이 연장되면서도, 분리형 뚜껑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안전노크식 기구 장 치를 구비하여 닙의 출몰 제어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Such a writing instrument is particularly applied to a marker pen, and thus prevents ink dry in spite of frequent appearance of the nip, while extending the life of the product, it does not require a detachable lid, of course,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The safety knock mechanism has the advantage of very easy to control the appearance of the nip.

한편, 마카펜 등에 적용된 종래의 출몰식 필기구는 통상의 견출지 시트 또는 상표명 '포스트-잇 플래그'(이하, '시트'라 통칭함) 등과 함께 사용될 때, 더욱 활용도가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pen-type writing instruments applied to the markers, etc.,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 conventional paper sheet or a brand name 'Post-It Flag'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eet') and the lik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tilization is more doubled.

예컨대, 책의 일부분 문구에 형광 마카펜으로 마킹을 한 후, 그 마킹된 페이지에 시트를 부착시킬 경우, 사용자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부착한 시트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즉, 시트로 표시한 페이지)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찾은 페이지 안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마킹 부위(즉, 마카펜으로 표시한 문구)만을 손쉽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a part of a book is marked with fluorescent markers and a sheet is attached to the marked page, the user can use the sheet attached to the marked page very efficiently (ie, the page marked as a sheet). ), You can easily identify only the marking areas you want (ie, phrases marked with markers) within the pages you find.

이런 목적을 갖는 종래 기술의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T 국제공개번호 'WO 2003/002357'호로서 2003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7017075호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14), 시트 재료 디스펜서(18) 및, 선단부(14)와 시트 재료 디스펜서부(18) 사이에 배치되는 그립부(16)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시트 재료 분배부(18)(sheet material dispenser)가 격실의 커버가 되고, 상기 커버는 커버에 걸쳐 뻗어있고 격실과 소통하는 슬롯(26)을 포함하고, 유사한 치수의 시트 재료 스택(stack of sheet material)을 받아들일 수 있는 크기의 폭(일반적으로 몸체의 직경으로 정의됨),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시트 재료 디스펜서부(18) 내의 격실; 및 박리 가능한 접착제층에 의해 함께 접착된 다수개의 시트들을 포함하고, 맨 위의 시트가 슬롯(26)을 통해 뻗어 나오는 격실 내의 시트 재료 스택을 포함한다.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of the prior art having this purpose is, as shown in Figure 1, the PCT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03/002357' a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7017075, 2003, the tip portion 14 A body having a sheet material dispenser 18 and a grip portion 16 disposed between the tip portion 14 and the sheet material dispenser portion 18; A sheet material dispenser of the body is a cover of the compartment, the cover comprising a slot 26 extending across the cover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mpartment, the stack of sheet material of similar dimensions a compartment in the sheet material dispenser portion 18 having a width (generally defined as the diameter of the body), a length, and a height that is acceptable for a sheet of sheet material; And a plurality of sheets bonded together by a peelable adhesive layer, wherein the top sheet comprises a stack of sheet material in a compartment extending through the slots 26.

미설명 주요 도면부호 '20'은 캡, '28'은 회전식 커버, '30'은 창, '32'는 장착부, '45'는 잉크 카트리지, '50'은 내부 원주형 표면, '74'는 분배 영역이다.Notation Major reference numeral '20' is cap, '28' is rotatable cover, '30' is window, '32' is mounting, '45' is ink cartridge, '50' is inner cylindrical surface, '74' is Distribution area.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는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탈부착용 캡을 필수적으로 요구하여,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writing implement with the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es not have a mechanism for preventing dryness, it requires a detachable cap,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만일 종래의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는 캡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순 필기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겠지만, 잉크 등이 흘러나올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펜심을 보호할 수 없게 됨이 자명하다.If a writing instrument with a conventional sheet dispenser does not have a cap, it will play a role as a simple writing instrument, but it is obvious that ink and the like may not be leaked, and the pen nib may not be protected.

즉, 종래의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는 통상적인 소형 잉크 카트리지를 갖고 캡을 구비한 필기구로서 한정되며, 이런 연유로 인하여,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필기구의 전방부위에 장착한 다목적 필기구의 카테고리에 포함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That is,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conventional sheet dispenser is limited to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conventional small ink cartridge and provided with a cap, and for this reason, it is no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anti-drying mechanism at the front por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Has disadvantages.

만일, 종래의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가 마름방지 메커니즘과 함께 시트 재료 분배부(18)를 구비할 경우, 필기구 전체의 축길이가 마름방지 메커니즘의 설치 영역만큼 상대적으로 연장됨에 따라, 필기구로서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f a writing instrument with a conventional sheet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sheet material dispensing portion 18 together with an anti-drying mechanism, the axial length of the entire writing instrument is relatively extended by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anti-drying mechanism, so that the value as a writing instrument is worthwhile. It has a relatively weak disadvantage.

또한, 종래의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는 그 자체의 형상, 구조 및 결합관계에서도 확인되듯이, 시트 재료 분배부(18) 쪽까지 잉크 카트리지를 연장시키지 못하고 있어, 일반적인 필기구의 전체 길이에 대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짧은 축길이의 잉크 카트리지만을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용량 잉크 카트리지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riting instruments with a conventional sheet dispenser do not extend the ink cartridge to the sheet material distributing portion 18, as can be seen from its shape, structure, and coupling relationship, and thus, compared with the general length of a writing instrument, Since only a very short shaft length ink cartridge can be mount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only a small capacity ink cartridge can be used.

잉크 카트리지의 용량 차이는 마카펜과 같은 필기구(예 : 제품명 매직 펜, 형광펜, 화이트 등)와 단순 필기용 펜(예 : 볼 포인트 펜 등)의 사이에서 극명한 차이점을 갖는다.The difference in capacity of the ink cartridges ha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writing instruments such as maca pens (e.g., product name magic pens, highlighters, white, etc.) and simple writing pens (e.g. ball point pens, etc.).

즉, 마카펜과 같은 필기구는 그의 용도의 특징에 의해 대용량 잉크 카트리지를 요구하면서도, 통상적인 필기구의 축길이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기본 설계에 단순 부가적으로 시트 재료 분배부(18)를 장착시킬 경우, 전체 필기구 축길이가 제품으로서 가치를 잃어 상품판매촉진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That is, writing instruments such as maca pens require a large capacity ink cartridge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use, but have a shaft length of conventional writing instruments, and when the sheet material distribution unit 18 is simply added to this basic design, The entire writing instrument shaft length loses its value as a product and loses its ability to promote product sales.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카펜과 같은 필기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트의 사용 용도와 매우 적합할 뿐만 아니라,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필기구 내부에 장착함과 함께 대용량 잉크 카트리지의 사용이 가능하고, 전체 필기구의 축길이는 통상적인 길이를 갖게 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Nevertheless, writing instruments such as maca pens are not only well suited for the use of sheets as mentioned above, but also allow the use of high-capacity ink cartridges with the anti-drying mechanism inside the writing instruments, The situation is pointed out as a very difficult problem to have a normal length.

왜냐하면, 실제 시트 재료 스택의 길이는, 그의 다양한 제품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갖고 있으나, 표준형 제품의 길이만을 살펴볼 경우, 대략 직선 길이 4.4㎝나 된다. 더욱이, 직선 길이 4.4㎝를 수납하기 위한 시트 재료 분배부(18)의 축 길이는 7㎝ 정도의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결국 실제 종래의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의 직선 축길이 15㎝에 대비할 때, 거의 50%에 해당하는 공간 영역을 시트 재료 분배부(18)를 위해 할애하고 있는 상황이다.Because the length of the actual sheet material stack, as can be seen in its various products, has a different width depending on the type, but when looking only at the length of the standard product, it is approximately 4.4 cm in length. Furthermore, since the axial length of the sheet material distributing portion 18 for storing the linear length 4.4 cm requires about 7 cm of space, when compared with the linear axis length of 15 cm of the writing instrument with the actual conventional sheet dispenser, Almost 50% of the space area is reserved for the sheet material distributor 18.

또한, 종래의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는 회전식 커버(28)를 시트 재료 분배부(18)의 외부에서 유한한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킴에 따라, 시트 재료 분배부(18)의 슬롯(26)이 창(30)의 영역으로 표출되어, 시트를 필기구로부터 빼내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의 사용이 필요할 때마다 회전식 커버(28)를 회전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In addition, a writing instrument with a conventional sheet dispenser rotates the rotary cover 28 within a finite rotation angle range outside of the sheet material distribution unit 18, so that the slot 26 of the sheet material distribution unit 18 is rotated. Since the sheet 30 can be pulled out of the writing instrument and used to express the area of the window 30,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rotary cover 28 must be rotated and opened whenever the sheet is required to be used.

만일 회전식 커버(28)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시트가 필기구의 측면으로 경사지기 돌출되는 타입으로 종래의 시트 디스펜서가 있는 필기구가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와 검지 사이의 골 부분에 돌출된 시트가 걸려 시트 자체가 훼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된 시트가 엄지와 검지 사이의 골 부분의 피부를 찌르거나 얇게 벨 수 있어 안전상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If the writing instrument is used while the rotary cover 28 is opened, the writing instrument with a conventional sheet dispenser is manufactured in a type in which the sheet is inclined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Not only the protruding sheet may be caught and the sheet itself may be damaged, but the protruding sheet may pierce or thin the skin of the bone portion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which is a situation in which safety problems are pointed ou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수납분배부에 의해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필기구 전체 길이의 확장 없이 대용량 잉크 탱크부 사용과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축방향을 따라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시트의 장착 및 사용이 용이하고, 시트 보호부에 의해 시트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by 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so a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o that the use of a large-capacity ink tank unit and an anti-drying mechanism along the axial direction without the extens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writing instrument can be moun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riting utensil having a sheet dispenser which is easy to mount and use, and which can securely protect the sheet by the sheet protec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카트리지와 커버를 갖는 카트리지 고정식 필기구, 볼펜, 연필, 샤프심, 멀티펜, 마카펜, 사인펜, 수정펜(화이트펜), 특히 잉크 카트리지를 갖는 노크식 필기구와 같이 거의 모든 필기구에 적용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lmost all types of ink cartridges, such as fixed cartridges, ballpoint pens, pencils, sharpeners, multi-pens, maca pens, sign pens, correction pens (white pens), especially knock-type writing instruments with ink cartridg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applicable to the writing instrumen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내부에 구비한 필기구 몸체인 제1필기구멤버(101)와; 상기 제1필기구멤버(101)의 외부에 결합 되어 상기 제1필기구멤버(101)의 작동 제어를 수행하게 결합된 안전노크식 클립부인 제2필기구멤버(102)와; 상기 제1필기구멤버(101)에 구비된 잉크 카트리지의 펜심 반대쪽 끝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 노크부인 제3필기구멤버(103)를 포함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3필기구멤버(103)는 그 끝단에서 축심방향으로 시트(91)를 인출시키도록 격벽(111)으로 정의되는 U자형 스택 장착 부위(112)가 구비된 수납분배부(100 ∼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거의 모든 필기구에서 필심의 반대쪽 끝단이나, 카트리지 고정식 필기구의 중공축 끝단에 장착될 수 있으나, 특히 필기구의 끝단에서 출몰을 제어하는 노크(knock)부에 형상 및 구조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시트 디스펜서를 장착하여 사용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which is a writing instrument body having an anti-drying mechanism including an ink cartridge therein; A second writing mechanism member 102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which is a safety knock type clip unit coupled to perform operation control of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In the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a third writing mechanism member 103, which is a knock portion inserted into the opposite end of the pen tip of the ink cartridge provided in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the third writing mechanism member 103 Writing utensils having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 700) is provided with a U-shaped stack mounting portion 112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111 to pull out the sheet 91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end. Is achieved b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pen in almost all writing instruments, or the hollow shaft end of the cartridge fixed writing instruments, but in particular the bone having a shape and structural features in the knock (knock) to control the appearance of the writing instrument It is configured to mount and use the seat dispenser of the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8b를 각각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2 to 8B.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수납분배부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제1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며,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제1수납분배부의 평면도이고, 도 2e는 도 2d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제1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shown in FIG.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2B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part shown in FIG. 2A, and 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part cut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B, and FIG. 2D is a first view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part shown in FIG. 2A. FIG. 2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BB shown in FIG. 2D.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총 세 개로 구분 가능한 제1필기구멤버(101), 제2필기구멤버(102) 및 제3필기구멤버(103)로 이루어져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a secon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2, and a thir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3 that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three. .

제1필기구멤버(101)는 필기구 몸체로서, 그의 내부에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위한 복수개의 구성 요소들(예 : 푸싱오링 또는 고정오링, 볼형 도어 조립체 또는 벨트형 기구부, 스프링, 잉크 카트리지 등)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1필기구멤버(101)의 구성, 결합 및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은 대한민국 2004년 특허출원 제12867호 및 제31012호의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와; 2005년 특허출원 제22855호의 마름방지용 출몰식 필기구에 각각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생략한다.The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is a writing instrument body, which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example, a pushing or ring, a ball-shaped door assembly or a belt-type mechanism, a spring, an ink cartridge, etc.) for the anti-drying mechanism therein. will b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coupling and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first writing member 101 is a writing instrument with a pen preventing devic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2867 and No. 31012 of 2004; Since it is disclosed in detail in the sunscreen type writing implements of 2005 Patent Application No. 22855, it will be omit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필기구멤버(102)는 안전노크식 클립부이며, 그의 내부에 안전노크식 펜심출몰장치를 위한 복수개의 구성 요소들(예 : 기어부 또는 반 기어부, 돌출턱 및 해당 돌출턱 안착부, 클립부 등)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2필기구멤버(102)의 구성, 결합 및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은 대한민국 2003년 특허출원 제55414호 및 제56940호의 안전노크식 필기구에 각각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역시 생략한다.The secon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2 is a safety knock clip portion,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example, gear or semi-gear portion, the projection jaw and the corresponding projection jaw seating portion) Clip portion). Description of the composition, coupling and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secon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2 is disclosed in detail in the safety knock-type writing instruments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555414 and 56940, 2003, also omit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

마지막으로, 제3필기구멤버(103)는 U자형 시트 재료 스택 장착 및 시트 분배를 목적으로 각각 소정 형상 또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필심을 갖는 필기구의 끝단에 부설되는 부재, 필기구 중공축의 끝단에 부설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특히, 잉크 카트리지의 끝단에 부설되는 부재로서 수납분배부(sheet dispensing holder)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다.Lastly, the thir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3 has a predetermined shape or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mounting the U-shaped sheet material stack and distributing the sheet, respectively, and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hollow shaft and writing instrument with the pen core. It may be configured as a member, but in particular, as a member attached to the end of the ink cartridge to function as a sheet dispensing holder (sheet dispensing holder).

수납분배부는 제1실시예의 경우, 제1수납분배부(100)라 호칭되며, 제2 내지 제7실시예에서도 각각 해당 실시예를 구분하는 동일 방식에 준하여 제2 내지 제7수납분배부라 호칭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is referred to as a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and in the second to seventh embodiments, 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to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of distinguishing the respective embodiments. will be.

제1수납분배부(100)는 본 발명의 명칭에서 언급된 '시트 디스펜서'와 동일한 개념의 구성요소이다.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is a component of the same concept as the 'sheet dispenser' mentioned in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제1수납분배부(100)를 비롯하여 하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할 각종 제2 내지 제7수납분배부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시트 재료 분배부 또는 시트 디스펜서와 달리, ① U자형의 시트 재료 스택(이하, '스택'이라 칭함) 장착공간을 갖는 형상적 특징; ② 스택을 자체 탄성에 의해 고정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협소한 공간을 갖게 하는 기능적 특징; ③ 시트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분배할 수 있는 사용상의 특징; ④ 필기구의 끝단(예 : 노크부)에 배치됨과 함께, 필기구의 끝단에서 축심 방향으로 뽑아 사용할 수 있게 한 시트 인출 방향의 특징; ⑤ 필기구 전체 부품수를 혁신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부품수로 이루어진 구성상의 특징 각각에 의한 새로운 기술적 사상을 더 포함한다.However, unlike the sheet material distribution unit or the sheet dispenser mentioned in the prior art, various second to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ncluding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may have a U-shaped sheet material stack. Geometrical features with mounting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ack'); (2) the functional feature of fixing the stack by its elasticity to give a relatively narrower space; ③ characteristics of use which can distribute the sheet while protecting it securely; (4) the feature of the sheet withdrawal direction, which is arranged at th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eg, knocking part) and made to be pulled out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writing instrument end; (5) It further includes new technical ideas for each of the structural features consisting of a minimum number of parts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otal number of writing instruments.

이런 제1수납분배부(100)를 비롯한 하기의 제2 내지 제7수납분배부는 제1필기구멤버(101)의 중공축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라 칭함)의 펜심 반대쪽 끝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 노크부와 같은 역할과; 필기구의 누름 부위, 즉 노크부의 위치에 스택을 배치 및 장착시킬 수 있는 역할 및; 스택에서 개별적으로 시트를 분배 및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second to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parts, including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part 100,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en tip of the ink cartrid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rtridge') mounted inside the hollow shaft of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A role such as a knock portion inserted into the end by a force fitting method; A role capable of arranging and mounting the stack at the pressing por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that is, the knock portion; It is responsible for dispensing and discharging the sheets individually from the stack.

이런 제1수납분배부(100)를 비롯한 하기의 제2 내지 제7수납분배부는 상기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그의 구성 부품수는 1개 또는 2개로 제한됨에 따라, 전체 필기구의 조립 부품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The second to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s including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as described above play a variety of roles, but the number of component parts thereof is limited to one or two,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assembly parts of the entire writing instrument. To be able.

이하, 제1수납분배부(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납분배부(100)는 안전노크식 클립부 구성에 상응한 제2필기구멤버(102)를 마름방지 메커니즘에 상응한 제1필기구멤버(101)에 결합한 필기구에서, 제1필기구멤버(101)의 중공축(101a)의 개구부쪽 내경에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직경의 몸체(110)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A,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is a writing instrument that combines the secon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2 corresponding to the safety knock-type clip unit to the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corresponding to the anti-drying mechanism. In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has a body 110 of a diameter that can be freely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side of the hollow shaft (101a).

몸체(110)는 미국 회사명 '3M'사를 비롯한 유사 견출시트 제조사에서 제작된 스택(90)의 규격(specification)에 대응하게 비율적으로 정해진 체적을 갖고 격벽 (111)으로 정의되는 U자형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112)를 갖는다.The body 110 has a U-shaped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111 having a proportionally determined volum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stack 90 manufactured by a similar adhesive sheet maker including the US company '3M'. Phosphor stack mounting portion 112.

예컨대, 스택(90)은 통상적인 '3M'사에서 제조된 시트 재료 스택으로서, 반절로 접은 절곡부위에서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한 것이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하며, 물론, '3M'사의 시트 재료 스택 이외의 범용적인 시트를 지그재그로 적층시킨 모든 스택(90)도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하다.For example, the stack 90 is a sheet material stack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3M' company,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to have a gentle curve at the bent portion folded in half. All stacks 90 in which other general purpose sheets are stacked in a zigzag manner can als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몸체(110)의 일측 끝단에는 일체형으로 중공 또는 솔리드형의 삽입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돌기(120)는 형상 구조적으로 원형, 중공형, 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돌기(120)는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돌기 형상 또는 홈 형상을 갖는 탄착테두리(121)를 형성하고 있다. 삽입돌기(120)는 중공축(101a)의 내부에 존재하는 미도시된 카트리지의 끝단의 내경에 삽입되고, 이때, 탄착테두리(121)가 카트리지의 끝단의 내경의 홈 또는 돌기에 안착됨에 따라 기밀을 유지하면서 카트리지와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body 11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ollow or solid insertion protrusion 120. Insertion protrusion 120 preferably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f a circular, hollow, square, hexagonal, triangular in shape. The insertion protrusion 120 forms an impact rim 121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 shapes or groove shapes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sertion protrusion 1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end of the cartridge not shown in the inside of the hollow shaft (101a), at this time, the impact border 121 is airtight as it is seated in the groove or the projec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end of the cartridge It can be combined with the cartridge while maintaining.

몸체(110)의 타측 끝단에는 두 개의 뿔과 같이 양쪽 외원주면에서 연장 및 돌출되어서, 시트의 안전한 인출과 필심의 돌출 또는 몰입시에도 항상 중공축의 외부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 높이의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가 형성되어 있다.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extends and protrudes from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s two horns, so that the first height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always maintained to protrude out of the hollow shaft even when the sheet is safely pulled out and protruded or immersed in the core. , Second guide pressing parts 130 and 131 are formed.

도 2b 내지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누름부(130)는 스택(90)의 첫 번째 시트(91)를 통과시켜서, 스택(90)을 U자형의 스택 장착 부위(112)에 장착시키기 위한 측면 슬롯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반면, 제2가이드누름부(131)는 그의 축방향에 일치되게 절개되고 스택 장착 부위(112)의 상부와 관통하게 연결된 측면 슬롯(132)을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2B to 2E, the first guide pressing portion 130 passes through the first sheet 91 of the stack 90 to pass the stack 90 to the U-shaped stack mounting portion 112. While the side slot for mounting is not formed, the second guide pusher 131 forms a side slot 132 cut in correspondence with its ax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

또한, 시트가 뽑혀나가는 구멍에 해당하는 출구 슬롯(114)은 스택 장착 부위(112)의 상부와 관통하도록, 몸체(110)의 손가락 지지용 상부(113)에 형성되어 있다. 출구 슬롯(114)은 제1가이드누름부(130)와 제2가이드누름부(131)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의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통공되어 있다. 이런 출구 슬롯(114)은 시트(91)로 하여금 제1가이드누름부(130)와 제2가이드누름부(131)의 사이에서 안전하게 보호되면서 뻗어 나오게 한다.In addition, the outlet slot 114 corresponding to the hole from which the sheet is pulled out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113 for supporting the finger of the body 110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portion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The outlet slot 114 is perforated in a direction coinciding with the direction of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first guide pressing part 130 and the second guide pressing part 131. This outlet slot 114 allows the seat 91 to extend securely between the first guide pressing portion 130 and the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 131.

스택(90)은 측면 슬롯(132)을 이용하여 스택 장착 부위(112)에 안착된다. 이런 경우, 스택(90)의 첫 번째 시트(91)는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가 돌출된 높이는 상기 스택 장착 부위(112)에 안착된 스택(90)으로부터 연장된 시트(91)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 0.5 ∼ 2㎜ 정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ck 90 is seated in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using the side slots 132. In this case, the first sheet 91 of the stack 9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110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heet 91 extending from the stack 90 seated on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length is as small as about 0.5 to 2 mm.

즉, 시트(91)는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의 끝단보다 0.5 ∼ 2㎜ 사이 범위 내에서 약간 돌출되게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용이하게 스택(9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at is, as the sheet 91 is disposed to protrude slightly within the range between 0.5 and 2 mm from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the sheet 91 is easily removed from the stack 90 by the user's finger. It can be withdrawn individually.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의 끝단은 라운드형상으로서 라운드 곡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아프지 않게 손가락으로 눌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Since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have a round shape as a round shape, they can be used by pressing them with a finger without hurting them.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즉 스택 장착 부위(112)를 정면으로 하여 볼 때, 두 개의 손가락이 밀착시 시트(91)와 손가락 표면이 접촉되어 시트를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대향적으로 대향 포물선 곡선과 같이 축심을 기준으로 끝단으로 갈수록 곡선간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함몰형 외형상을 갖는다.Wh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are viewed from the side, that is, when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when the two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the sheet 91 and the finger surface contact each other.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pull out the sheet, it has an indented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between curves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such as opposing parabolic curves.

이와 유사하게, 몸체(110)의 손가락 지지용 상부(113)의 외표면도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의 외형상과 대등하거나 더욱 큰 곡면 기울기를 갖는 함몰형 외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손가락 지지용 상부(113)의 외형적 특징은 손가락이 반구면과 같이 3차원 입체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이유이다.Similarly, the outer surface of 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113 of the body 110 also has a recessed outer shape having a curved slop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It is desirable to have. The external feature of 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113 is a reason for considering this situation, since the finger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like a hemisphere.

또한, 몸체(110)의 손가락 지지용 상부(113)의 내표면은 U자형으로 완만하게 접힌 스택의 곡면으로부터 연장된 시트(91)의 곡면과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함몰되어 출구 슬롯(114)의 표면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적 특징은 스택(90)에서 시트(91)가 분리되어 출구 슬롯(114)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때, 스택(90)이 출구 슬롯(114)의 안쪽에서 고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시트(91)가 스택(90)의 탄발력에 의해 경쾌하게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기능적 특징을 갖는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113 of the body 110 is recessed in a streamline shape so as to smoothly contact the curved surface of the sheet 91 extending from the curved surface of the stack gently folded into a U-shape, the outlet slot ( It is preferred to connect with the surface of 114). This shape feature prevents the stack 90 from sticking inside the outlet slot 114 when the seat 91 is separated from the stack 90 and exits through the outlet slot 114. In addition, the sheet 91 has a functional feature that allows the sheet 91 to be taken out to the outside light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tack 90.

여기서, 스택(90)이 U자 형상으로 완만한 곡선을 유지하게 반절로 접혀진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스택(90)이 접히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시트(91)가 접철되어 접힌 선이 표출되는 바와 같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스택(90)이 자체 탄성력을 유지하여 탄발적으로 스택 장착 부위(112)의 내표면에서 면접촉하면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스택 장착 부위(112)의 최적을 최소화시 킬 수 있어, 결국 본 발명 필기구의 전체 축길이를 최소화시키는데 일조하기 때문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stack 90 is folded in half so as to maintain a gentle curve in a U shape is as follows. That is, while the stack 90 is folded, the sheets 91 are individually folded to prevent the folded lines from being damaged as the folded lines are exposed. In addition, the stack 90 is intended to maintain its elastic force to be seated while elasticall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And, becau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ptimum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which in turn helps to minimize the overall axis length of the writing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스택 장착 부위(112)의 입구(115)는 격벽(1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간 함몰되어 있는 형상을 갖게 됨에 따라, 손가락으로 U자 형상의 스택(90)을 손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115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has a shape that is slightly recessed relative to the partition wall 111, the U-shaped stack 90 may be easily inserted by a finger.

일단 삽입된 스택(90)은 스택 장착 부위(112)의 내부 공간 내에서 격벽(111)에 의해 U자 형상을 유지하며, 이를 위해 격벽(111)은 스택(90)의 접혀진 안쪽 공간에 위치하여, 스택(90)의 형상 유지에 도움을 준다.Once inserted, the stack 90 maintains a U shape by the partition wall 111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For this purpose, the partition wall 111 is located in the folded inner space of the stack 90. , To help maintain the shape of the stack 90.

여기서, 격벽(111)은 삽입돌기(120)쪽 스택 장착 부위(112)의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축심방향으로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격벽(111)의 끝단은 몸체(110)의 손가락 지지용 상부(113)의 내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스택(90)의 접혀진 부위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큰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111)의 끝단은 라운드 곡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artition wall 111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axial center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on the insertion protrusion 120 side. At this time, the end of the partition 111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113 of the body 110 at leas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stack (9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partition wall 111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 of a round curved shape.

또한, 스택 장착 부위(112)의 입구(115)의 안쪽에는 스택(90)의 외곽을 안착시키고 삽입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스택(9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inlet 115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is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jaw 116 that sea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ack 90 and prevents the stack 90 from being sepa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direction. It is preferable.

제1수납분배부(100)는 앞서와 같이 몸체(120)의 원주면에 형성된 스택 장착 부위(112)의 입구(115)에 의해 스택(90)만을 리필(refill)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may refill only the stack 90 by the inlet 115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20.

이와 반면, 제1수납분배부(100)는 삽입돌기(120)에 의해 카트리지와 탈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스택(90)을 포함한 제1수납분배부(100) 전체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is detachable from the cartridge by the insertion protrusion 120,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including the stack 90 may be refilled and used.

사용자는 통상의 마름방지 및 안전식 노크(nock) 기능을 갖는 출몰식 필기구를 손으로 잡고, 상기 필기구의 중공축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잉크 카트리지의 끝단에 부착된 제1수납분배부(100)를 눌러 펜심 또는 닙(nib)을 돌출시켜 필기 또는 마킹을 하고, 상기 제1수납분배부(100)를 다시 한번 누르거나 제2필기구멤버인 안전노크식 클립부가 손가락 또는 옷깃 등에 의해 조작될 때, 닙을 함몰시켜 안전하게 닙을 보호하고 닙의 잉크 마름을 방지한다.A user holds the penetrating writing implement having a normal anti-drying and safe knock function by hand, and a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attached to the end of the ink cartridge which is coupled forward or backward in the hollow shaft of the writing instrument. Press (100) to protrude a pen nib or nib to write or mark, and press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again or operate the safety knock type clip unit, which is a second writing instrument member, by a finger or a collar. When the nip is in place, the nip is safely protected to prevent the nip from drying out.

이러한 필기구 조작 상황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은 제1수납분배부(100)의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 및 시트(91)의 끝단 미약한 일부분에 접촉함에 따라, 시트(91)의 대부분이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에 의해 보호된다.In this writing instrument manipulation situation,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touches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of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and the weak portions of the ends of the sheet 91. Most of the 91 is pro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또한,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 및 시트(91)는 필기구의 출몰 어느 때든지 중공축의 외부에 배치됨에 따라, 시트(91)를 빼내기 위한 어떠한 조작도 할 필요 없이, 필요할 때마다 시트(91)를 제1수납분배부(100)에서 곧바로 잡아당겨 인출한 후 책갈피 내지 탭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and the sheet 91 are disposed outside of the hollow shaft at any time of the appearance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and the sheet 91 are not necessary to perform any operation for removing the sheet 91. Each time the sheet 91 is pulled out immediately from the first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and then used as a bookmark or tab.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 실시예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제1, 제2가이드누름부를 갖는 커버부와 스택 장착 부위를 갖는 본체부를 분해 조립형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비해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대등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로 설명될 것이 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ver portion hav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and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the stack mounting portion are formed in an exploded assembly type. Compared to or have a similar configuration. Accordingly, equivalent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제2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다.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of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3.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필기구멤버(101)에 제2필기구멤버를 결합시킨 필기구에서 U자형의 스택(90)을 장착한 상태에서 시트(91)를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① 제작상 금형의 단순화의 목적과; ② 외부로 표출된 스택 장착 부위 및 측면 슬롯의 깔끔한 마감 처리를 위해 분해 조립형으로 구성된 제2수납분배부(200)를 갖는다.As shown in FIG. 3,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U-shaped stack 90 in the writing instrument combining the secon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with the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to be used to pull out the sheet 91 in the state of mounting, ① the purpose of simplifying the mold in manufacturing; ② has a second storage distribution unit 200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for a clean finish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and side slots exposed to the outside.

제2수납분배부(200)는 스택 장착 부위(112)를 갖는 본체부(210)와, 제1, 제2가이드누름부를 갖는 커버부(220)로 이루어져 있다.The second storage distribution unit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having a stack mounting portion 112 and a cover 220 having first and second guide presses.

먼저, 본체부(210)는 몸체(211)의 일측에 삽입돌기(21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몸체(211)의 타측에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First, the main body 2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212 on one side of the body 211, and integrally formed the upper portion 213 for finger sup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11.

스택 장착 부위(112)는 몸체(211)의 일측 원주면을 개구시켜 스택(90) 장착을 위한 입구로 사용하되, 격벽(111)에 의해 U자형을 갖는 내부 공간이다.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is used as an inlet for mounting the stack 90 by opening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1, but is an inner space having a U-shape by the partition wall 111.

스택 장착 부위(112)의 상부에 위치한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는 두 손바닥을 그의 바닥면끼리 약간 유격을 유지한 상태로 마주보게 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유격에 대응한 크기의 출구 슬롯(114)을 끝단에 형성하고 있다.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213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has a shape in which two palms face each other while keeping a slight play between the bottoms thereof, and an outlet slot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play ( 114) is formed at the end.

측면 슬롯(132)은 스택 장착 부위(112)의 개구된 쪽 상부에 형성되어서 출구 슬롯(114)의 일측 부위와 관통하게 연결된다.The side slots 132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 side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so as to penetrate through one side portion of the outlet slot 114.

스택(90)과 첫 번째 시트(91)는 각각 스택 장착 부위(112)의 입구와 출구 슬롯(114) 및 측면 슬롯(132)을 통해서 스택 장착 부위(112)에 안착된 후, 스택 장착 부위의 입구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16)에 의해 스택 장착 부위(112)에서 U자 형상으로 장착된다.The stack 90 and the first seat 91 are seated in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through the inlet and outlet slots 114 and the side slots 132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respectively, It is mounted in a U shape at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by the release prevention jaw 116 formed at the inlet.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는 시트(91)의 인출 방향으로 스택(90)을 빠져나오지 않게 저지하면서도, 스택(9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시트(91)만이 빠져나오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213 serves to prevent only the sheet 91 from the stack 90 individually while preventing the stack 90 from escaping in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sheet 91.

이러한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손가락 지지용 상부를 비롯하여 하기에 설명할 대등한 목적과 형상을 갖는 해당 구성과 동일하거나 대등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이다.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213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ame as or equivalent to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having the equivalent purpose and shape to be described below, including 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체부(210)는 커버부(220)의 탄성을 이용한 결착을 위해 삽입돌기(212)에 근접한 몸체(211)의 원주면에 결착돌기(214)를 형성하고 있다. The main body 210 forms a binding protrusion 214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1 proximate to the insertion protrusion 212 for binding using the elasticity of the cover 220.

한편, 커버부(220)는 앞서 설명한 본체부(210)의 외부를 감싸게 본체부(210)와 결합함에 따라, 본체부(210)의 스택 장착 부위(112)를 덮어 표출되지 않게 마감하도록 중공 커버 형상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220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10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210 described above, the hollow cover to cover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of the body portion 210 so as not to be expressed It has a shape.

커버부(220)는 본체부(210)의 삽입을 위해서, 본체부(210)의 외경에 대등한 내경을 갖고 내주면에 상기 본체부(210)의 결착돌기(214)에 대응한 결착홈(224)을 형성한 중공부(221)를 일측에 형성하고 있다.The cover portion 220 has an inner diameter that is equivalent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10 for inse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a binding groove 224 corresponding to the binding protrusion 214 of the body portion 21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hollow part 221 which formed () is formed in one side.

커버부(220)는 두 개의 뿔과 같이 양쪽 외원주면에서 연장 및 돌출되어서, 시트(91)의 안전한 인출과 필심의 돌출 또는 몰입시에도 항상 중공축의 외부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측면 슬롯(132)을 덮어 표출되지 않게 마감하도록 소정 높이의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를 형성하고 있다.The cover part 220 extends and protrudes from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s two horns, so that the sheet 91 can always b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shaft even when the sheet 91 is safely pulled out and protruded or immersed in the core.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re formed to cover the 132 so as not to be exposed.

커버부(220)는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의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210)의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가 끝단을 각각 감싸는 상부 마감부(222)를 형성하고 있다. 상부 마감부(222)에는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의 출구 슬롯(114)과 관통하면서도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를 연결하는 가상의 수평선의 방향과 일치되게 통공되어 있다.The cover portion 220 forms an upper finishing portion 222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wherein the upper portion 213 for supporting the finger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surrounds the ends thereof. have. The upper finishing portion 222 is penetrated through the outlet slot 114 of the upper finger support 213 while coinciding with the direction of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10)를 감싸도록 커버부(220)가 본체부(210)에 결합되며, 이때, 결착돌기(214)와 결착홈(224)이 탄착되어 커버부(220)와 본체부(210)의 용이한 분리를 방지한다.As shown in FIG. 3A, the cover part 2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art 210 so as to surround the main body part 210. At this time, the binding protrusion 214 and the binding groove 224 are attached to the cover part ( 220 and easy separa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부(210)의 스택 장착 부위(112)에 장착된 스택(90) 및 시트(91)의 측면은 커버부(220)에 의해 가려져 있으므로, 수려한 외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스택 장착 부위(112)에 이물질,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In this state, the side surfaces of the stack 90 and the seat 91 mounted on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are covered by the cover portion 220, so that the beautiful appearance can be maintained. The foreign matter, dust, etc. do not flow into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부(220)를 본체부(210)로부터 분리하여, 스택(90)을 리필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user may separate the cover 220 from the main body 210 and refill the stack 90.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설명할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일체형 힌지를 갖는 커버캡부와 스택 장착 부위를 갖는 본체부를 분해 조립형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비해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대등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로 설명될 것이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1 또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역시 생략될 것이다.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to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has a similar or identical configuration to that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except that the cover cap portion having an integral hinge and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 stack mounting portion are formed in an exploded assembly type. Has Accordingly, equivalent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s will also be omitted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3수납분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제3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며, 도 4b와 도 4c는 도 4에 도시된 제3수납분배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4, and FIGS. 4B and 4C are shown in FIG. 4. Front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도 4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앞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필기구에서 U자형 스택(90)의 시트(91)를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① 필요에 따라 시트를 노출 혹은 표출시키려는 목적과; ② 손가락으로 안정되게 카트리지를 왕복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용이하게 전달시키려는 목적 및 ③ 외부로 표출된 스택 장착 부위 및 측면 슬롯의 깔끔한 마감하려는 목적을 위한 제3수납분배부(30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to 4C,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be used to pull out the sheet 91 of the U-shaped stack 90 from the writing instrument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1) the purpose of exposing or exposing the sheet as necessary; ② further includes a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300 for the purpose of easily transferring the force required to reciprocate the cartridge with a finger and for the purpose of neat closing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and side slots exposed to the outside.

즉, 제3수납분배부(300)는 격벽(111)에 의해 U자형 스택 장착 부위(112)를 갖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를 감싸는 원통부(311) 끝단의 일체형 힌지(312)에서 원터치 캡(313)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된 커버캡부(31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300 is an integral type of the body portion 210 having the U-shaped stack mounting portion 112 by the partition wall 111 and the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1 surrounding the body portion 210. It is desirable to have a cover cap portion 310 formed to open or close the one-touch cap 313 at the hinge 312.

본체부(210)는 몸체(211)의 일측에 삽입돌기(21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몸체(211)의 타측에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The main body 2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212 on one side of the body 211, and integrally formed the upper portion 213 for finger sup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11.

커버캡부(310)는 상기 본체부(210)의 외부를 감싸면서 삽입되는 것으로서, 스택(90)으로부터 시트(91)를 뽑아 쓸 때 커버캡부(310)의 원터치 캡(313)을 툭 건드려서 개방시킨다.The cover cap 310 is inserted whil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when the sheet 91 is pulled out from the stack 90, the one-touch cap 313 of the cover cap 310 is touched and opened. .

또한, 필기구의 잉크 카트리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필요가 있을 때, 원터치 캡(313)을 폐쇄시킨 후, 커버캡부(310)를 직접적으로 손가락으로 눌러서, 손가락의 누름력을 제3수납분배부(300) 및 그의 결합부위(예 : 잉크 카트리지)에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advance or reverse the ink cartridge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 one-touch cap 313 is closed, and then the cover cap 310 is directly pressed by a finger to press the pressing force of the finger to the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300. ) And its coupling portion (e.g. ink cartridge).

이러한 제3수납분배부(300)는 종래 기술의 회전식 커버와 달리, 시트(91)가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지 않게 필기구의 끝단에 배치됨에 따라, 필기구 사용 도중 시트(91)의 인출을 위해서 반복적으로 개폐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Unlike the rotary cover of the prior art, the third storage distribution unit 300 is repeatedly arranged for the withdrawal of the sheet 91 during use of the writing instrument as the sheet 91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so as not to contact the user's fing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need to be opened and closed.

캡(313)은 투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개방된 부위를 통해서 시트(91)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p 313 is formed in the pitching shape, and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heet 91 through the open part.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4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중복 구성 요소는 제외하고 핵심 주요 부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the descrip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with the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nly the core main parts will be described except for the redundant components.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4수납분배부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제4수납분배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선 C-C를 따라 절단한 제4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고, 도 5c와 도 5d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에서 제4수납분배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 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A is a front view of the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5.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urth storage distributor cut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5A, and FIGS. 5C and 5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ourth storage distributor in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

도 5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수납분배부(400)는 본 발명 필기구의 제1필기구멤버(101)의 중공축(101a)(도 2a참조)의 개구부쪽 내경에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직경의 몸체(401)를 갖는다.As shown in Fig. 5 to Fig. 5B, the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400 can be freely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side of the hollow shaft 101a (see Fig. 2A) of the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writing instrument. It has a body 401 of diameter.

몸체(401)의 일측 끝단에는 중공형의 삽입돌기(410)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돌기(41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 형상 또는 홈 형상을 갖는 탄착테두리(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one end of the body 401 is a hollow insertion protrusion 410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an impact rim 121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or grooves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10.

몸체(401)의 중앙 부위에는 스택(90)을 U자 형상을 유지시키면서 장착하도록, 격벽(111)으로 정의되는 U자형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112)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401, a stack mounting portion 112, which is a U-shaped space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111, is formed to mount the stack 90 while maintaining the U-shape.

몸체(401)의 타측 끝단에는 축심을 지나는 평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면을 갖는 솔리드형 또는 중공형 가이드돌부(402)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개방된 공간으로서 손가락이 상부에 놓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the other end of the body 401, a solid or hollow guide protrusion 402 having a spherical surface is form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axis, and the finger is placed on the upper side as an open space on the right side.

여기서, 가이드돌부(402)는 격벽(111)의 평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수평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uide protrusion 402 preferably has a horizontal plan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11.

따라서, 스택(90)의 시트(91)가 출구 슬롯(114)을 통해 가이드돌부(402)의 수평면 연직 상부에 수평하게 놓여지며, 사용자는 일측 손가락을 시트(91)와 면접촉시키고, 타측 손가락을 가이드돌부(402)의 외표면에 면접촉하면서 시트(91)를 잡아당겨 필기구의 축심방향으로 시트(91)를 인출시키도록 되어 있다.Thus, the sheet 91 of the stack 90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vertical vertical top of the guide protrusion 402 through the outlet slot 114,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eat 91 with one finger, the other finger The sheet 91 is pulled ou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while the surface 91 is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402.

도 5c 및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돌부(402)는 잉크 카트리지에 결합된 닙(105)의 출몰을 위해서 손가락의 누름력을 제4수납분배부(400) 및 그의 결 합부위(예 : 잉크 카트리지)에 전달하며, 이때, 제1필기구멤버(101)에 해당하는 필기구 몸체의 외부에 항상 표출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어느 때든지(필기구로 필기구를 할 때, 또는 필기를 하지 않을 때) 시트(91)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S. 5C and 5D, the guide protrusion 402 applies a pressing force of the finger to the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400 and its engagement portion (eg, for the appearance of the nip 105 coupled to the ink cartridge). : To the ink cartridge, and at this time, as it is always expressed on the outside of the writing instrument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at any time (when writing instruments with a writing instrument, or not writing) When the sheet 91 is taken out to be used.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제5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역시 중복 구성 요소는 제외하고 핵심 주요 부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겠다.In the description of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nly the core main parts will be described except for the redundant components.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5수납분배부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제5수납분배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선 D-D를 따라 절단한 제5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고, 도 6c는 도 6에 도시된 제5수납분배부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d는 도 6c에 도시된 선 E-E를 따라 절단한 제5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A is a front view of the fif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6.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fth storage distribution part cut along the line D-D shown in FIG. 6A, and FIG. 6C is a plan view of the fifth storage distribution part illustrated in FIG. 6. 6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fth storage distribution section cut along the line E-E shown in FIG. 6C.

도 6 내지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수납분배부(500)는 앞서 설명한 제4수납분배부(400)(도 5참조)와 외형적으로는 거의 유사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일체형 몸체(501)를 갖지만, 제4수납분배부(400)와 다른 특징적인 점은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S. 6 to 6D, the fifth storage distribution unit 500 has an integrated body having a shape that is substantially similar or identical to the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400 (see FIG. 5) described above. 501), but f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fourth storage distribution unit 400 are as follows.

즉, 제5수납분배부(500)는 몸체(501)의 타측 끝단에 가이드돌부(502)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있어서, 가이드돌부(502)가 격벽(111)의 평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That is, in the fifth storage distribution unit 500, the guide protrusion 502 is integral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501, and the guide protrusion 502 is horizonta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11. It is intended to form a.

따라서, U자형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112)에 안착된 스택(90)의 시트(91)가 출구 슬롯(114)을 통해 가이드돌부(402)의 수평면 연직 상부에서 수직하게 놓여지며, 사용자는 일측과 타측 손가락 모두를 시트(91)의 코너쪽 정면과 저면에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시트(91)를 잡아당겨 시트(91)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Thus, the seat 91 of the stack 90 seated in the U-shaped space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is vertically placed on the top of the vertical plane of the guide protrusion 402 via the outlet slot 114, and the user is on one side. The sheet 91 can be pulled out by pulling the sheet 91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other finger and the other finger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ront 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ner side of the sheet 91.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에 따른 제6수납분배부의 사시도이고, 도 7a는 도 7에 도시된 제6수납분배부의 정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선 F-F를 따라 절단한 제6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제6수납분배부에 마감용 스티커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front view of the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7, and FIG. 7B is a line FF shown in FIG. 7A.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6th storage distribution part cut along the side. 7C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finishing sticker is mounted on the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illustrated in FIG. 7A.

도 7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제6수납분배부(600)를 갖는다.As shown in FIGS. 7 to 7C,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has a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600.

제6수납분배부(600)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몸체(601)의 끝단에 반구면(610)을 형성하고 있다.The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600 has a bar shape as a whole, and forms a hemispherical surface 610 at the end of the body 601.

몸체(601)의 스택 장착 부위(112)는 격벽(111)에 의해 U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of the body 601 forms a U-shaped space by the partition wall 111.

몸체(601)의 끝단에 해당하는 반구면(610)에는 출구 슬롯(114)이 형성되어 있다.An outlet slot 114 is formed in the hemispherical surface 610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body 601.

스택 장착 부위(112)와 출구 슬롯(114)의 일측은 측면 슬롯(132)에 의해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결국 스택(90) 및 시트(91)가 측면 방향으로 U자 형상으 로 장착될 수 있게 한다.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and one side of the outlet slot 114 are connected through the side slot 132 so that the stack 90 and the seat 91 may be mounted in a U shape in the lateral direction. To be.

제6수납분배부(600)를 비롯하여, 상기 또는 하기 및 특허청구범위의 몸체(601)는 스택(90)의 장착 상태를 표출시키지 않도록, 스택 장착 부위(112)를 기준으로 몸체(6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보호 스티커(620)를 접착시키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스티커(620)는 스택 장착 부위(112)의 외부로 이물질,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로고, 상표, 설명문구 등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호 스티커(620)의 사용에 따라 제6수납분배부(600) 전체가 리필되는 형식으로 필기구에 결합될 수 있다.The body 601 of the above or the following and the claims, including the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600, does not express the mounting state of the stack 90, so that the body 601 of the body 601 is referred to based on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It is preferable to adhere the protective sticker 620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ection sticker 620 may be used as an area in which a foreign material, dust, or the like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outside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and a logo, a trademark, a description sentence, and the like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rotection sticker 620, the entire sixth storage distribution unit 600 may be coupled to the writing instrument in a refilled form.

제7실시예Seventh embodiment

도면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7수납분배부의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8에 도시된 제7수납분배부의 정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선 G-G를 따라 절단한 제7수납분배부의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front view of the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 shown in FIG. 8, and FIG. 8B is a line GG shown in FIG. 8A.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7th storage distribution part cut along.

도 8 내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실시예에 따른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제7수납분배부(700)를 갖는다.8 to 8B,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has a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 700.

제7수납분배부(700)는 전체적으로 바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몸체(701)의 끝단에 함몰홈(710)을 형성하고 있다.The seventh storage distribution unit 700 has a bar shape as a whole, and forms a recessed groove 710 at the end of the body 701.

몸체(701)의 스택 장착 부위(112)는 격벽(111)에 의해 U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되, 스택 장착 부위(112)로부터 함몰홈(710)의 안쪽에 형성된 출구 슬롯(114)까지 측면 슬롯(132)이 관통하게 연장되어 있음에 따라, 결국 스택(90)의 시 트(91)가 함몰홈(710)을 통과하여 함몰홈(710)의 외부에서 0.5 ∼ 2㎜ 정도 더 튀어나오게 된다.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of the body 701 forms a U-shaped space by the partition wall 111, from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to the outlet slot 114 formed inside the recess 710. As the side slots 132 extend through, the sheet 91 of the stack 90 eventually passes through the recess 710 to protrude 0.5 to 2 mm further from the outside of the recess 710. do.

함몰홈(710)의 주위에는 몸체(701)로부터 연장된 원주벽(711)이 배치되어 있다.A circumferential wall 711 extending from the body 701 is disposed around the recessed groove 710.

따라서, 시트(91)는 함몰홈(710) 주위의 원주벽(711)에 의해 거의 가려져 있는 상태로 보호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함몰홈(710)의 안쪽으로 손가락 끝을 넣어 시트(91)를 집어내는 방식으로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Thus, the sheet 91 is protected in a state almost hidden by the circumferential wall 711 around the recessed groove 710, the user put the fingertip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ssed groove 710 as necessary, the sheet 91 Can be withdrawn by picking it up.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출몰식 메커니즘을 갖는 필기구를 기준으로 각종 시트 수납분배부가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설명을 통해 이해된 후에는 단순 설계 변경 정도로 일반 필기구의 끝단이나, 일반 노크식 필기구의 잉크 카트리지 끝단 등에 수납분배부가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heet storage distribution units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retractable mechanism, but after understanding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d of a general writing instrument or an ink cartridge end of a general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after a simple design change is understood. Of course, 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may be arranged in the back.

따라서, 본 발명의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대용량 잉크 카트리지와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채용하고서도, U자형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에 U자형으로 스택을 장착시킬 수 있음에 따라, 필기구의 전체 길이를 확장시키지 않고도 필기구로서의 역할과 시트 디스펜서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writing imple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n a U-shape at a stack mounting portion, which is a U-shaped space, even when employing a large-capacity ink cartridge and an anti-drying mechanism, thereby not extend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erve as a writing instrument and the role as a sheet dispenser at the same time without.

즉, 직선 길이 4.4㎝의 직선형 스택의 길이를 절반으로 2㎝ 이하로 줄어들게 할 수 있어서, 카트리지의 끝단에 다양한 형식의 수납분배부를 탈부착시켜서, 수납분배부 자체가 리필의 용도로도 사용가능하며, 스택만을 수납분배부에 리필시킬 수 있는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straight stack of straight line 4.4 cm to 2 cm or less in half, and by attaching and detaching various types of storage dividers at the end of the cartridge, the storage dividers themselves can be used for refilling purpos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complex function that can only refill the stack in the storage distribution.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스택을 U자형으로 만곡되게 접어 보관함에 따라, 시트를 스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인출시킬 때, 스택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경쾌하고 신속하게 시트를 인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riting instrument with the sheet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lded and stored in a U-shape, so that when the sheets are pulled out individually from the stack, the elastic force of the stack acts to lightly and quickly pull out the sheets.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종전처럼 시트의 사용이 필요할 때마다 회전식 커버를 회전시킬 필요 없이, 필기구의 사용시 또는 비 사용시에 관계없이, 직접적이면서도 바로바로 수납분배부로부터 시트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the sheet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need to rotate the rotary cover every time the use of the sheet as before, withdraw the sheet directly and immediately from 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regardless of the use or non-use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제3수납분배부를 필기구의 끝단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캡부를 최초 사용시에 열어 둔 상태에서, 시트가 손가락 또는 피부에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어느 때든지 시트를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시트 인출시마다 회전식 커버를 반복적으로 개폐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rd storage distribution portion disposed at th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 cover cap portion is left open at the time of first use, so that the sheet does not contact the finger or the skin. Since the sheet can be taken out at any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tary cover does not need to be opened and closed repeatedly every time the sheet is taken out as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시트의 인출 방향이 필기구의 끝단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약간이라도 돌출된 시트가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접촉되지 않아서, 종전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점도 해결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heet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sheet is made at the end of the writing instrument, the slightly protruding shee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hand or finger, thereby solving the safety problems as befor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는 스택 장착 부위를 보호 스티커 등으로 가려 이물질,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로고, 상표, 설명문구 등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고품질의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the sheet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dust, etc. from entering the stack mounting portion with a protective sticker, etc., and can be used as an area where a logo, a trademark, an explanatory phrase, etc. are displayed. It is effective to provide the product to the consumer.

Claims (18)

삭제delete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마름방지 메커니즘을 내부에 구비한 필기구 몸체인 제1필기구멤버(101)와; 상기 제1필기구멤버(101)의 외부에 결합 되어 상기 제1필기구멤버(101)의 작동 제어를 수행하게 결합된 안전노크식 클립부인 제2필기구멤버(102)와; 상기 제1필기구멤버(101)에 구비된 잉크 카트리지의 펜심 반대쪽 끝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 노크부인 제3필기구멤버(103)를 포함하는 필기구에 있어서,A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which is a writing instrument body having an anti-drying mechanism including an ink cartridge therein; A second writing mechanism member 102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which is a safety knock type clip unit coupled to perform operation control of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In the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a third writing mechanism member 103, which is a knock portion inserted in the manner opposite the pen tip of the ink cartridge provided in the first writing mechanism member 101, 상기 제3필기구멤버(103)는 그 끝단에서 축심방향으로 시트(91)를 인출시키도록 격벽(111)으로 정의되는 U자형 스택 장착 부위(112)가 구비된 수납분배부(100 ∼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third writing instrument member 103 is a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to 700) provided with a U-shaped stack mounting portion 112 defined by the partition wall 111 so as to pull out the sheet 91 in the axial direction at the end thereof. A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분배부(100)는,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100, 상기 제1필기구멤버(101)의 중공축(101a)의 개구부쪽 내경에 자유롭게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 몸체(110)와;A body (110) having a diameter freely insertable into an opening-sid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shaft (101a) of the first writing instrument member (101); 상기 몸체(110)의 외표면 일측으로 개구된 U자형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112)와;A stack mounting portion 112 which is a U-shaped space open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중공 또는 솔리드형의 삽입돌기(120)와;An insertion protrusion 120 of a hollow or solid type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body 110; 상기 몸체(110)의 타측 끝단에 일체형으로 두 개의 뿔과 같이 양쪽 외원주면에서 연장 및 돌출되고 끝단이 라운드 곡면을 갖는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 (130, 131) extending and protruding from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such as two horns integrally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the end having a rounded curved surface Writing instrument with a sheet dispens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가이드누름부(131)는 그의 축방향에 일치되게 절개되고 상기 스택 장착 부위(112)의 상부와 관통하게 연결된 측면 슬롯(13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second guide pusher 131 is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lot 132 is cut in accordance with the axi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는 측면 기준으로 대향적으로 대향 포 물선 곡선과 같이 축심을 기준으로 끝단으로 갈수록 곡선간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함몰형 외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may have an indented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between curves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with respect to the axis center as opposed to a parabolic curve on a side basis. A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a sheet dispens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분배부(200)는,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200, 스택 장착 부위(112)를 갖는 본체부(210)와;A main body portion 210 having a stack mounting portion 112; 상기 본체부(210)를 감싸게 삽입되어서 상기 스택 장착 부위(112)를 마감하도록 중공 커버 형상을 갖는 커버부(220)와;A cover portion 220 which is inserted to surround the main body portion 210 and has a hollow cover shape so as to close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상기 커버부(220)의 원주면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축심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1, 제2가이드누름부(130, 131)를 포함하되,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ressing portions 130 and 131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20, 상기 본체부(210)는 몸체(211)의 일측에 삽입돌기(212)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체(211)의 타측에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main body 2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ertion protrusion 212 on one side of the body 21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21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211. Writing instrument with a sheet dispens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손가락 지지용 상부(213)는 상기 스택 장착 부위(112)의 상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두 손바닥을 그의 바닥면끼리 약간 유격을 유지한 상태로 마주보게 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유격에 대응한 크기의 출구 슬롯(114)을 끝단에 형성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finger support upper portion 213 is positioned on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and has a shape in which two palms face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slight clear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s thereof, and corresponding size to the clearance. Writing instrument with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slot 114 of the end is form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커버부(220)의 탄성을 이용한 결착을 위해 상기 삽입돌기(212)에 근접한 상기 몸체(211)의 원주면에 결착돌기(214)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main body 210 has a binding protrusion 214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11 proximate to the insertion protrusion 212 for binding using the elasticity of the cover 220. Writing instrument with a sheet dispens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커버부(220)의 중공부(221)에는 상기 본체부(210)의 결착돌기(214)에 대응한 결착홈(224)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Writing device with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221 of the cover portion 220 is formed with a binding groove 224 corresponding to the binding projection 214 of the main body portion 210.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분배부(300)는 격벽(111)에 의해 U자형 스택 장착 부위(112)를 갖는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를 감싸는 원통부(311) 끝단의 일체형 힌지(312)에서 원터치 캡(313)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된 커버캡부(31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300 has a main body portion 210 having a U-shaped stack mounting portion 112 by the partition wall 111, and an integral hinge 312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311 surrounding the body portion 210.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ver cap portion 310 formed to open or close the one-touch cap (313).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캡(313)은 투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cap 313 is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itched shap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분배부(400)는,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400, 몸체(401)와;A body 401; 상기 몸체(401)의 일측 끝단에 중공형의 삽입돌기(410)와And a hollow insertion protrusion 410 at one end of the body 401. 상기 삽입돌기(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 형상 또는 홈 형상을 갖는 탄착테두리(121)와;An impact rim 121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 shapes or groove shap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10; 상기 몸체(401)의 중앙 부위에 격벽(111)으로 한정된 U자형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112)와;A stack mounting portion 112 that is a U-shaped space defined by a partition wall 111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401; 상기 몸체(401)의 타측 끝단에 축심을 지나는 평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면을 갖는 솔리드형 또는 중공형 가이드돌부(4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Writing instrument with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lid or hollow guide protrusions 402 having a spherical surface on the left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401 relative to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axis.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가이드돌부(402)는 상기 격벽(111)의 평면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수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guide protrusion 402 is 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orizontal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11).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분배부(500)는,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500, 몸체(501)와;A body 501; 상기 몸체(501)의 중앙 부위에 격벽(111)으로 한정된 U자형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112)와;A stack mounting portion 112 which is a U-shaped space defined by a partition wall 111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501; 상기 몸체(501)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격벽(111)의 평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가이드돌부(5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A writing instrument having a sheet dispenser, which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501 and includes a guide protrusion 502 formed to form a horizontal pla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11. .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분배부(600)는,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600, 바 형상의 몸체(601)와;A bar-shaped body 601; 상기 몸체(601)에 구비되고 격벽(111)으로 정의되는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112)와;A stack mounting portion (112) provided in the body (601) and a space defined by a partition wall (111); 상기 몸체(601)의 끝단에 형성된 반구면(610)과;A hemispherical surface 610 formed at an end of the body 601; 상기 반구면(610)에서 통공된 출구 슬롯(114)을 포함하되,Including the outlet slot 114 through the hemisphere 610, 상기 스택 장착 부위(112)와 상기 출구 슬롯(114)의 일측은 측면 슬롯(132)에 의해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Writing stack having a sea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and one side of the outlet slot 114 is connected through the side slot (132).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스택 장착 부위(112)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60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보호 스티커(620)를 더 접착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The writing instrument with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for further adhering a protective sticker (620)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601) based on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납분배부(700)는,The storage distribution unit 700, 바 형상의 몸체(701)와;A bar-shaped body 701; 상기 몸체(701)에 구비되고 격벽(111)으로 정의되는 공간인 스택 장착 부위(112)와;A stack mounting portion (112) provided in the body (701) and defined as a partition wall (111); 상기 몸체(701)의 끝단에 형성된 함몰홈(710)을 포함하되,Including a recessed groove 710 formed at the end of the body 701, 상기 스택 장착 부위(112)로부터 상기 함몰홈(710)의 안쪽에 형성된 출구 슬 롯(114)까지 측면 슬롯(132)이 관통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And a side slot (132) extending from the stack mounting portion (112) to an outlet slot (114) formed inside the recessed groove (710).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함몰홈(710)의 주위에는 몸체(701)로부터 연장된 원주벽(711)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디스펜서를 구비한 필기구.Writing instrument with a sheet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ipheral wall 711 extending from the body 701 is disposed around the recessed groove (710).
KR1020050033658A 2005-04-22 2005-04-22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KR1007107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658A KR100710732B1 (en) 2005-04-22 2005-04-22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658A KR100710732B1 (en) 2005-04-22 2005-04-22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199A KR20060111199A (en) 2006-10-26
KR100710732B1 true KR100710732B1 (en) 2007-04-24

Family

ID=3762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658A KR100710732B1 (en) 2005-04-22 2005-04-22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7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2973A1 (en) * 2007-08-22 2009-0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riting instrument with compact sheet dispense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081A (en) 1997-11-10 1999-05-25 Yoshiaki Miura Ball-point pen with indexes
JP2000025386A (en) 1998-07-14 2000-01-25 Yoshiaki Miura Index-containing ballpoint pen
KR200180763Y1 (en) 1999-12-06 2000-05-15 김홍만 Writing materials with memo paper
KR200308090Y1 (en) 2002-12-09 2003-03-20 김경태 Ball point pen having paper
KR20040012995A (en) * 2001-06-28 2004-02-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Writing instrument with sheet dispenser
KR20190000880A (en) * 2018-12-27 2019-01-03 김영문 Taxi driver's seat protecting device for avoiding interference of safe driving by the searchlight of the third vehicles
KR20190000960A (en)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nted decor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081A (en) 1997-11-10 1999-05-25 Yoshiaki Miura Ball-point pen with indexes
JP2000025386A (en) 1998-07-14 2000-01-25 Yoshiaki Miura Index-containing ballpoint pen
KR200180763Y1 (en) 1999-12-06 2000-05-15 김홍만 Writing materials with memo paper
KR20040012995A (en) * 2001-06-28 2004-02-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Writing instrument with sheet dispenser
KR200308090Y1 (en) 2002-12-09 2003-03-20 김경태 Ball point pen having paper
KR20190000960A (en) * 2017-06-23 2019-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nted decor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90000880A (en) * 2018-12-27 2019-01-03 김영문 Taxi driver's seat protecting device for avoiding interference of safe driving by the searchlight of the third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199A (en)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6117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sheet dispenser and housing for writing instrument and sheet material stack
US6921223B2 (en) Combo pen
US7290953B2 (en) Pocketable note holder with writing instrument
US7736080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tape flag dispenser
US7547155B2 (en) Marking device
US11390110B2 (en) Multi-purpose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US7316516B2 (en) Pocketable writing instrument
KR100710732B1 (en) Writing tools having sheet dispenser
CN213798965U (en) Writing tool
US20120003026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Removable Cartridge of Writing Material
EP2214916A1 (en) A multifunction applicator for dispensing fluid
KR20100076983A (en) Writing instrument with sheet dispenser
US20100158599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sheet dispenser
WO2008069776A1 (en) Multi-tip writing device
US20090154986A1 (en) Combination reading tool
KR200409232Y1 (en) Pen with flag tag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