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783B1 - 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 Google Patents

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9783B1
KR100709783B1 KR1020050018468A KR20050018468A KR100709783B1 KR 100709783 B1 KR100709783 B1 KR 100709783B1 KR 1020050018468 A KR1020050018468 A KR 1020050018468A KR 20050018468 A KR20050018468 A KR 20050018468A KR 100709783 B1 KR100709783 B1 KR 100709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radle
image combiner
image
pano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8703A (en
Inventor
김배훈
Original Assignee
김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배훈 filed Critical 김배훈
Priority to KR102005001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783B1/en
Priority to PCT/KR2006/000718 priority patent/WO2006093387A1/en
Publication of KR2006009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7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대략 85 °내지 285°) 감시를 위한 복수의 감시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를 조심스럽고, 신중을 가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the object of which can be improved by carefully and carefully applying a cradle capable of mounting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for front (approximately 85 ° to 285 °) surveillance. To help.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의하면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배면부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를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의 측단부에서 연장된 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조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브라켓의 후면으로는 상기 힌지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the rear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amera is seated, and includes a camera fixing portion formed of a frame surrounding it while forming a front open portion to open the front, wherein the rear portion It includes an adjustment bracket consisting of a hi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end, the rear of the adjustment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bracket hinged to the hinge portion.

카메라, 거치대, 프레임, 영상조합기, 파노라마 Camera, Cradle, Frame, Combiner, Panorama

Description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카메라가 장착된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equipped with a camera.

도 3은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의 일실시예와 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diagram showing the image using the sam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다른 실시예와 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5 is a view showing a state using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using the sam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또다른 실시예와 이의 이용하여 영상을 나타낸 사용상태도.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diagram showing an image using the same.

도 7은 상하로 조정브라켓을 회동시켜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보인 다른 실시예.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at the shooting angle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adjustment bracket up and dow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가 다 양하게 디자인된 감시카메라에 장착된 것을 보인 다른 실시예.8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at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variously designed surveillance camera.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도.9 is a detailed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 거치대의 다양한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10 is a view showing the various axis of rotation of the panoramic camera holder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2: 배면부 14: 전면개방부12: rear part 14: front open part

16a,16b: 상,하프레임 16c: 고정홀16a, 16b: Upper and Lower Frames 16c: Fixing Holes

17: 체결구(볼트) 18: 힌지고정부17: fastener (bolt) 18: hinged government

20: 고정브라켓 22: 지지프레임20: fixing bracket 22: support frame

24: 받침대 30: 거치대 24: base 30: holder

40: 보호케이스 100: 카메라 및 렌즈40: protective case 100: camera and lens

120: 카메라 고정부 200: 모니터120: camera fixing part 200: monitor

본 발명은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직 내지 수평방향의 모든 각도를 촬영할 수 있어 영상입사선 사이에 존재하는 수직 내지 수평 사각지대의 폭을 최소할 수 있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capture all angles in a vertical to horizontal direction desired by a user, thereby minimizing the width of a vertical to horizontal blind spot existing between image incident lines. It relates to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종래에는 일정 지역을 감시하는 경우, 특정 구역마다 각각 하나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모니터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감시 활동을 수행하였다.Conventionally, when monitoring a certain area, one camera is installed in each specific area, and monitoring is performed by checking image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through a monitor.

그러나, 하나의 카메라만으로 특정 구역을 감시하는 경우 좁은 화각 범위로 인하여 사각 지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blind spots occur due to a narrow field of view when monitoring a specific area with only one camera.

따라서, 복수의 카메라를 일 군으로 구성하여 감시활동을 수행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본 출원인에 의해 기 등록된 등록특허 제10-445548호에 이미 클레임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것은 동서남북에 각각 1대씩의 렌즈와 CCD 센서를 설치하되 CCD센서의 간격을 최소로 하여 일정한 거리 이상 떨어질 경우 그 차이가 거의 없도록 하는 한편, 4대의 렌즈와 CCD 센서를 거쳐 발생되는 90° 각도를 갖는 4개의 영상신호를 하나로 합쳐 하나의 영상신호로 송신되고, 하나의 영상신호를 180°각도의 영상으로 모니터에 상하 2줄로 360°가 표시되게 한 것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performing a monitoring activity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cameras as a group, which is already claimed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445548, which is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which is one each in east, west, north and south. Install a lens and a CCD sensor, but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CCD sensors so tha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f they fall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and combine the four video signals with 90 ° angle generated by the four lenses and the CCD sensor into one. The video signal is transmitted as one video signal, and one video signal is displayed at an angle of 180 °, and 360 ° is displayed on the monitor in two rows.

그러나, 실질적인 감시 활동에 있어서, 360°범위가 아니라 전방 감시 즉, 85 내지 285°범위 내에서의 감시 활동이 실질적으로 필요성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일군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한 복수의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하나의 영상군을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감시 효과를 높일 필요성이 높아지게 되었다.However, in practical surveillance activities, forward surveillance rather than 360 degrees, that is, surveillance activities in the range of 85 to 285 degrees, has become increasingly necessary, and a plurality of cameras having a group are installed, and the plurality of cameras described above. The necessity of enhancing the monitoring effect is increased by monitoring one image group received from the single panorama imag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하게 디자인 될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거치대를 조심스럽고, 신중을 가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mproved by carefully and carefully applying a cradle that can be equipped with a camera for panoramic photography that can be variously designed.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촬영 시 다양하고 미세한 촬영각도를 제공하도록 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all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various and fine photographing angles when shooting.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배면부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를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의 측단부에서 연장된 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조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브라켓의 후면으로는 상기 힌지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브라켓으로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ar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amera is seated, including a camera fixing portion made of a frame surrounding it while forming a front open portion to open it to the front, extending from the side end of the rear portion It includes an adjustment bracket made of a hinge, the rear of the adjustment bracket is achieved by a fixed bracket hinged to the hinge.

또한, 상기 카메라 고정부는 좌우가 40 내지 140° 각도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ameras are arranged bent at an angle of 40 to 140 °.

아울러, 상기 프레임의 평면상으로는 카메라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홀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ne of the frame is preferably formed with one or more fixing holes for fixing the camera.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는 상하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여유 공간을 두고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amera is characterized by being seated with a free space between the frame formed up and down.

한편, 상기 프레임에 안착된 카메라는 상하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을 통과한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mera seated on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a fastener passing through a fixing hole formed in the plane of the frame formed up and dow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functionally identical 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파노라마 카메라가 장착된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equipped with a panoramic camera, and FIG.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30)는 카메라(100)가 안착되도록 배면부(12)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14)를 형성하면서 이를 상하로 둘러싼 상,하프레임(16a,16b)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고정부(120)를 포함하며, 배면부(12)의 측단부(12a)에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있는 힌지고정부(18)로 이루어지는 조정브라켓(1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브라켓의 후면으로는 상기 힌지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한다.1 to 3, the cradle 30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ar portion 12 formed so that the camera 100 is seated, and the front open portion 14 opened to the front thereof. And at least one camera fixing part (120)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frames (16a, 16b)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extending while being bent at the side end (12a) of the rear part (12). An adjustment bracket 10 made of a government 18 is included, and a rear side of the adjustment bracket includes a fixing bracket hinged to the hinge.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면은 카메라(100)가 전방으로 촬영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술하는 좌측 또는 우측은 카메라(100)의 좌, 우측 수평방향을 의미한다.The front surface used herein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100 photographs forwards, and a left or right side to be described later means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camera 100.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를 일 세트로 하여 하나의 거치대에 장착하고, 일 세트에서 수신되는 복수의 영상(이하, '영상군' 이라 함)을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모니터에 표시하는데, 이때, 각 영상의 왜곡 및 겹침 영역 제거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고가의 이미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대신, 영상군을 단순 재배 치하는 영상 조합기를 사용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ameras are mounted on one cradle with one set, and a plurality of imag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roup of images) received from one set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as one panoramic image, wherein Instead of using an expensive image processor that performs the process for removing distortion and overlapping area of each image, an image combiner that simply rearranges the image group is us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거치대는 일 세트로 설치되는 카메라의 인접 영상 입사각이 개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카메라에 저왜곡 렌즈, 바람직하게는 광학 왜곡률이 15% 이하인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프로세서의 수행 없이 하나의 영상군을 파노라마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o this end, the camer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djacent image incidence angles of the cameras installed in a set to b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also uses a low distortion lens, preferably a lens having an optical distortion of 15% or less, in the camera. This makes it possible to display one image group as a panorama image without performing a complicated processor.

한편, 조정브라켓(10)은 바람직하게 성형된 일반철재, 알루미늄, 아크릴 또는 다른 적절한 단단하고, 경량의 재료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djustment bracket 10 is preferably formed of molded ordinary steel, aluminum, acrylic or other suitable hard, lightweight material.

이러한 조정브라켓(10)은 복수의 카메라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카메라 고정부(120)는 내부가 면처리되어 있고, 전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배면부(12)를 갖고 있으며, 배면부(12)는 카메라(100)의 주변 가장자리 즉, 측단부(12a)에서 끝나고, 카메라(100)의 후방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adjustment bracket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 fixing part 120, the camera fixing part 120 has a rear portion 12 which is face-treated inside, open to the front, and the rear portion ( 12 is formed at a peripheral edge of the camera 100, that is, the side end portion 12a, and surrounds the rear portion of the camera 100.

또한, 카메라 고정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면처리되어 절곡된 찬넬의 형상, 바람직하게는 "[ "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as shown, the camera fixing part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hannel, bent surface treatment, preferably in the shape of "[".

본 발명에 따른 일 세트의 카메라는 전방 범위, 즉, 85 내지 285° 범위를 감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하나의 카메라 거치대에 두 개의 카메라가 설치되는 경우, 그 목적에 따라 서로 40 내지 140°의 각도로 절곡된 후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14)가 형성될 수 있다.Since a set of camer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monitors a front range, that is, a range of 85 to 285 °, when two cameras are installed in one camera cradle, each of the cameras has a range of 40 to 140 °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front opening 14 may be formed to be bent at an angle and then opened to the front.

전면개방부(14)는 이를 상하로 둘러싼 상,하프레임(16a,16b)에 의해서 그 높이가 한정되어 있고, 높이는 여기에 안착되는 카메라(100)보다 더 크게, 바람직하게는 2mm-15mm 사이에서 형성된다.The front opening 14 has its height limited by the upper and lower frames 16a and 16b surrounding it up and down, and the height is larger than the camera 100 seated here, preferably between 2mm-15mm. Is formed.

상,하프레임(16a,16b)은 카메라(100)가 촬영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후 돌출되어 있으며, 그 길이와 넓이는 카메라(1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고정부(120)의 높이를 형성시킨다.The upper and lower frames 16a and 16b are protruded after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100 is photographed, and the length and width thereof are larger than that of the camera 10.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fixing unit The height of 120 is formed.

상,하프레임(16a,16b)의 평면상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두개, 상하로 이격된 상,하프레임(16a,16b)에 총 4개의 고정홀(16c)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구(17)가 마련된다.A total of four fixing holes 16c are formed in at least one, preferably two, upper and lower frames 16a and 16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plane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6a and 16b. A fastener 17 is coupled to penetrate through.

상기에서는 프레임이 상하로 형성되는 것을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프레임이 카메라 고정을 위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In the above, it is described that the frame is formed up and down,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rame may b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fixing the camera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고정홀(16c)은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구(17)는 전기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고정홀(16c)을 통과한 후 카메라(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hole 16c has a screw thread formed therein, and the fastener 17 which is fastened and coupled thereto is also threaded to correspond to the electric screw thread,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16c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ix the camera 100.

체결구(17)는 고정홀(16a)에 각각 다양한 깊이로 관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체결구(17)의 말단과 카메라(100)와의 결합 고정시 발생할 수 있는 슬립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립방지구(19)를 체결구(17)의 말단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작용의 효과는 각 실시예의 설명으로 미룬다.The fasteners 17 may be penetrated to the fixing holes 16a at various depths, and preferably slip rooms to prevent slips that may occur when the end of the fasteners 17 and the camera 100 are coupled and fixed. The earth 19 can also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fastener 17. Furthermore, the effect of this action is deferr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다시, 배면부(12)의 측단부에는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있는 힌지고정부(18)가 형성되어 있다.Again, the hinge portion 18 is formed at the side end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2, which extends while being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힌지고정부(18)는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의 측단부 중앙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The hinge portion 18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ide end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2, extends from and protrudes from it,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rear portion 12.

특히, 이 힌지고정부(18)는 배면부(12)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용접 등의 결합방법 등에 의해서 배면부(1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hinge portion 1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portion 12, or may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rear portion 12 by a joining method such as welding.

계속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카메라 고정부(120)는 90°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1 to 3, the two camera fixing parts 120 may be formed at an angle of 90 °.

그러나, 90°는 일예에 불과하며, 그 내부에 안착된 카메라(100)가 전방으로 85 내지 285°범위의 촬영을 위해 카메라 고정부(120)는 40 내지 140°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However, 90 ° is only one example, and the camera fixing part 120 may be formed to have 40 to 140 ° for the camera 100 mounted therein to be photographed in a forward range of 85 to 285 °.

나아가, 도시된 구현예에 있어서 카메라(100)는 다양한 각도 예를들면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것은 전술한 체결구(17)에 의해서 충분히 다른 실시예로 증명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mera 100 can be moved at various angles, for example vertically, which can be demonstrated in a sufficiently different embodiment by the fastener 17 described above.

다시, 40 내지 140°의 각도로 두개가 절곡된 후 배치된 카메라 고정부(120)를 포함하는 조정브라켓(10)의 후면에는 고정브라켓(20)이 위치한다.Again, the fixing bracket 2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adjustment bracket 10 including the camera fixing part 120 disposed after the two bent at an angle of 40 to 140 °.

고정브라켓(20)은 카메라 고정부(120), 바람직하게는 배면부(12)의 측단부(12a) 일측에 결합된 힌지고정부(18)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결합되는 곳은 두개가 맞붙은 카메라 고정부(120)의 좌우에서 결합된 후 하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2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프레임(22)을 받쳐주는 받침대(24)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The fixing bracket 20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hinge fixing portion 18 coupled to the camera fixing portion 120, preferably one side end portion 12a of the rear portion 12, and the two coupling portions are rotatable. The support frame 22 extending downward after being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amera fixing unit 120 is formed at intervals, and the support 24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22 is integrally formed. have.

지지프레임(22)은 카메라 고정부(120)와 카메라(1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선단(22a)에서 바람직하게 힌지고정부(18)와 결합된다.The support frame 22 has a suitable thickness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camera fixing part 120 and the camera 100, and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18 at its tip 22a.

이때, 힌지고정부(18)와 지지프레임(22) 선단(22a)은 직접 결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부싱(미도시)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inge portion 18 and the support frame 22 tip 22a may be directly coupled, but may also be connected to a bushing (not shown).

미도시된 부싱은 그 일단이 힌지고정부(18)와 일체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타단은 지지프레임(22) 선단(22a)과 체결구(17)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bushing not shown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hinge portion 18,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by the support frame 22, the tip 22a and the fastener 17.

선단(22a)에는 체결구(17)가 관통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은 카메라 고정부(1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front end 22a is formed of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fastener 17 can pass therethrough, which allows the front fastener 17 to move forward or backward of the camera fixing part 120.

미도시된 부싱의 내부로는 나사산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체결구(17)와 일정한 깊이로 체결됨이 바람직하고, 체결구(17)를 해제한 상태에서 카메라 고정부(120)의 상하위치를 이격된 지지프레임(22) 사이에서 변경시킨 후 다시 체결하면 카메라 고정부(120)의 상하위치를 소망하는 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bushing is not shown, the thread is formed to a certain depth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fastener 17 and a predetermined depth,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amera fixing part 120 in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er 17 is released After changing between the spaced apart support frame 22 and tightening again, the up and down position of the camera fixing part 120 can be changed to a desired angle.

받침대(24)는 거치대(30)가 장착될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타원형등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한다.Pedestal 24 is made of a flat plate to be fix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radle 30 can be mounted,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 circle, polygon, oval, and the like.

위와 같은 구성예에서 알 수 있듯이, 간단한 형상으로 성형된 카메라 고정부(120)와 고정브라켓(20)의 결합으로 전방위로 소망하는 위치를 촬영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as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desired position can be photographed in all directions by the combination of the camera fixing part 120 and the fixing bracket 20 formed in a simple shape.

다음에는 이러한 거치대(30)에 장착된 카메라(100)의 작동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amera 100 mounted on the cradle 30 and the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다른 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또다른 실시예와 이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4 is a state diagram using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adle of the panorama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and its use state diagram, 6 is another embodiment of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of use thereof.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카메라를 하나의 카메라 거치대에 설치하고, 이와 같은 거치대를 2개(400,402) 구비한 경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30)와 이를 이용하여 영상이 재배치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4 is a state diagram when two cameras are installed in one camer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wo holders 400 and 402 are provided as shown in FIG. 4, as shown in FIG. 4. The crad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on the screen rearrang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30)는 전방 범위(85 내지 285°)의 감시를 위해 대략 40 내지 140° 각도를 갖는 카메라 고정부(120)가 적용된다.The cradle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mera fixing part 120 having an angle of approximately 40 to 140 ° for monitoring the front range (85 to 285 °).

도 4에서는 카메라 고정부(120)가 90°의 각을 이루며, 카메라 고정부(120) 및 받침대(24)가 45°를 이루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FIG. 4, the camera fixing part 120 forms an angle of 90 °, and the camera fixing part 120 and the pedestal 24 form 45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두 개의 카메라 거치대(400,402)에서 전송된 영상은 각각 하나의 영상군, 즉, 파노라마 영상을 이루는 것이며, 이와 같은 영상군은 영상조합기(404)를 거쳐 모니터(200)로 입력되고, 모니터(200)에는 상측(406, 400으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군) 및 하측(408, 402로부터 수신된 제2 영상군)이 표시된다. Images transmitted from the two camera cradles 400 and 402 constitute one image group, that is, a panoramic image, respectively, and the image groups are input to the monitor 200 through the image combiner 404 and the monitor 200. The first image group received from the upper side 406 and 400 and the second image group received from the lower side 408 and 402 are displayed.

다시 언급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된 카메라(100)는 저왜곡 렌즈를 사용하며, 카메라 거치대가 일 세트로 설치된 카메라의 인접 부분 영상 입사각이 평행하도록 배치하기 때문에 복잡한 화상 처리 없이 영상을 단순 재배치하는 기능만 수행하는 영상조합기(404)만으로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 Again, the camera 1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ow distortion lens and performs a function of simply rearranging an image without complicated image processing because the camera holder is disposed so that the incident angles of the images of adjacent parts of the camera installed as a set are parallel. Only one image combiner 404 can be shown one panorama image.

이와 같은 영상조합기(404)는 인접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을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능 뿐만 아니라,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선택적으로 보여주는 기능도 수행한다.Such an image combiner 404 not only show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adjacent camera as a panoramic image, but also selectively shows the image captured by each camera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즉, 제1 영상군(406)과 제2 영상군(408)을 모니터 전체에 표시하거나, 제1 영상군만을 모니터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410 참조), 제1 영상군의 a부분(412) 및 b부분(414)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That is, the first image group 406 and the second image group 408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monitor, or only the first image group may be displayed on the monitor (refer to 410), and a portion 412 of the first image group may be displayed. And only b portion 414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마찬가지로 제2 영상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하다(416,418 및 420 참조).Similarly, selective display of the second image group is possible (see 416, 418 and 420).

특히, 상기 도면 부호(412,414,418,420)는 하나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만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좁은 화각 범위를 갖는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reference numerals 412, 414, 418, and 420 indicate only images received from one camera, so that images received through one camera having a narrow angle of view range can be clearly seen.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와 이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로 세 개의 카메라를 수용할 수 있는 카메라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며, 카메라 고정부(120)가 받침대(24)와 60°의 각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it shows a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a camera cradle that can accommodate three cameras in another embodiment using the same, the camera fixing unit 120 is a pedestal It is shown that the combined with the 24 at an angle of 60 °.

이때, 카메라 고정부(120)는 서로 60°의 각을 이루게 되나, 이는 일예에 불 과하며, 이때, 각 카메라 고정부(120)는 전방 85 내지 285°범위의 감시를 위해 대략 30 내지 95°의 각을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camera fixing part 120 forms an angle of 60 ° to each oth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each camera fixing part 120 is approximately 30 to 95 ° for monitoring in the front 85 to 285 ° range. Will be the angle of.

한편, 도 5의 하단에는 3개의 카메라가 일 세트로 이루어진 카메라 거치대를 3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며, 3개의 카메라 거치대(500,502,504)에서 각각 3개의 영상군(하나의 영상군이 파노라마 영상을 구성함)이 영상조합기(404)를 통해 모니터(200)에 표시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Meanwhile, at the bottom of FIG. 5, three cameras are provided with three sets of camera holders, each of which includes three image groups (one image group constitutes a panoramic image) in three camera holders 500, 502, and 504. ) Is displayed on the monitor 200 through the image combiner 404.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영상조합기(404)를 통해 다양한 영상을 모니터(200)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영상군(506), 제2 영상군(508), 제3 영상군(510)을 모니터 전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개별 영상군만을 확인하거나(512,520,528 참조), 각 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만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516,524,532 참조).As in FIG. 4, various images may be confirmed by the monitor 200 through the image combiner 404, and the first image group 506, the second image group 508, and the third image group 510 may be monitored.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each individual image group only (see 512, 520, 528), or to check only images captured by each camera (see 516, 524, 532).

특히, 하나의 거치대에 3개의 카메라를 설치하는 경우, 한 개의 카메라는 더 좁은 화각 범위에서 특정 구역을 집중 감시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줌 기능을 사용함이 없이 좁은 구역에 대한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ree cameras are installed in one cradle, one camera can monitor a specific area in a narrower angle of view, and a clear image of a narrow area can be obtained without using a separate zoom function. There is an advantage.

이것은 카메라 고정부(120)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다양한 영상입사각을 얻기 위한 것이다.This shows that the camera fixing unit 120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obtain various image incident angles.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를 또 다른 실시예와 이를 통해 본 영상을 표현한 것으로, 이는 받침대(24)와 카메라 고정부(120)를 75°(카메라 고정부 사이는 45°)의 각도로 형성시킨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일예에 불과하며, 이때, 각 카메라 고정부(120)는 전방 85 내지 285°범위의 감시를 위해 대략 20 내지 70°의 각을 이루도 록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represent the image through another embodiment, which is the pedestal 24 and the camera fixing part 120 Although shown to be formed at an angle of (degrees between the camera fixing portion 45 °), this is also just an example, wherein each camera fixing portion 120 is approximately 20 to 70 for monitoring in the front 85 to 285 ° range Can be formed to form an angle of °.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 거치대의 다양한 회전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이 카메라 고정부(120)의 후단(70)에 위치한 경우, 중간부(72)에 위치한 경우와 기어열에 의해 카메라 고정부(120) 전단(74)에 위치한 경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various axis of rotation of the panoramic camera cradle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xis of rotation is located at the rear end 70 of the camera fixing unit 120, The case where it is located in the middle part 72 and the case where 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camera fixing part 120 by the gear train is shown.

회전축이 중간부(72)에 위치한 경우는 하기의 도 7을 통해 설명되며, 전단(74)에 위치한 경우는 도 8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다.The case where the axis of rota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7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below, and the case where it is located in the front end 7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7은 상하로 카메라 고정부(120)를 회동시켜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보인 것으로, 이것은 특히 감시 또는 촬영하고자 하는 상하각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Figure 7 shows that the camera angle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camera fixing part 120 up and down, which shows that it can be easily changed in particular the vertical angle to be monitored or photographed.

즉, 여기에는 카메라 고정부(120)의 중간부(72)에 볼체결구(45)를 결합시킨 것으로, 볼의 회동각도에 따라 자유로운 상하 회동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ball fastener 45 is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72 of the camera fixing part 120, so that the free up and down rotation angl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ball.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This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various forms, without deviating from the mind or main characteristic. For this reas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ation text. Again, all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ing to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서 천정 뿐만 아니라, 벽의 수직면에도 설치할 수 있는 회동감시카메라(50)에 적용되는 것도,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to 9, it is not necessary to deviate from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applied to the rotational monitoring camera 50 which can be installed not only on the ceiling but also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wall as needed.

회동감시카메라(50)는 거치대(30)를 회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기어열(52a)(54a)과 회동단(53)의 작동에 의해서 회동시킨다.The rotation monitoring camera 50 does not rotate the cradle 30 but rotates by a series of gear trains 52a and 54a and the rotational end 53.

위와 같은 회동감시카메라(50)는 특히 벽면에 고정되고, 전면의 외측으로 고정기어(5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단관통홈(52b)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프레임(52)과, 상기 고정프레임(52)과 치합되며, 회동하는 회동커버(54)가 고정프레임(52)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다.The rotating surveillance camera 50 as described above is particularly fixed to the wall surface, the fixed gear 52a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ront, the fixed frame 52 and the fixed end through groove 52b is formed, and the fixed frame Engaging with the 52, the rotating cover 54 is rotated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ixed frame (52).

회동커버(54)에는 회동력에 의해서 회동하는 회동단(53)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는 고정프레임(52)의 회동단관통홈(52b)을 관통한 후 미도시된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Rotating cover (53) is equipped with a rotating end (53) which rotates by a rotating force, which is fastened by a fastener not shown after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end through hole (52b) of the fixed frame (52). .

회동단관통홈(52b)은 회동각도에 비례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단(53)은 이곳에서 회동한다.Rotating end through groove (52b) is formed in a size proportional to the rotation angle, the rotating end 53 is rotated here.

회동하는 회동단(53)은 카메라(100)가 고정된 거치대지지프레임(56)과 결합되어 있으며, 거치대지지프레임(56)의 전방으로 커버(58)와 유리(59)가 장착되어 있다.Rotating end 53 is coupled to the cradle support frame 56 fixed to the camera 100, the cover 58 and the glass 59 is mounted in front of the cradle support frame 56.

회동단(53)은 거치대지지프레임(56)과 결합된 특성으로 거치대지지프레임(56)을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되어 회동하고, 회동커버(54)에 마련된 회동기어(54a) 와 고정프레임(52)의 고정기어(52a)가 치합되어 있으며, 회동시 그 회동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한다.Rotating end 53 is a combination of the support frame 56, and when the support frame 56 is rotated in rotation is linked to this, the rotation gear 54a and the fixed frame 52 provided on the rotation cover 54 Of the fixed gear (52a) is engaged, and the rotation angle is precisely adjusted during rotation.

특히 고정기어(52a)는 우레탄 등의 재질이 적용되어 회동기어(54a)와 치합되되, 일정한 힘을 받으면 미끄러지고, 회동시키는 힘이 소멸하면 회동기어(54a)와 다시 치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례는, 모두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fixed gear 52a is engaged with the rotational gear 54a by applying a material such as urethane. The fixed gear 52a has a characteristic of slipping when receiving a constant force and sliding back with the rotational gear 54a when the rotating force is extinguished. Accordingly, all modifications exist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claim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에 의하면, 일체로 이루어지되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두개의 카메라 고정부(120)와, 여기에 체결되는 체결구(17)로 인해 미세하게 장착된 카메라(100)를 조정하여 자연스러운 파노라마 촬영이 가능해지며, 특히 카메라 고정부(120)를 고정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수직 상하로도 미세한 촬영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생산비용의 절감을 가져 올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방 감시용 카메라의 제품 신뢰성, 다양성과 대중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전방 감시용 카메마를 감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의 일부를 캡쳐하여 광고 또는 홍보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과 효과가 발생한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the image comb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camera fixing part 120 is made integrally an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astener 17 fastened thereto. Due to the fine adjustment of the camera 100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take a natural panorama, in particular, by combining the camera fixing part 120 to the fixed bracket 20 to be rotated to adjust the fine shooting angle vertically up and down In addition, the simple configuration can bring down the production cost.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product reliability, diversity and popularity of the front surveillance camera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front surveillance camera can be used for surveillance as well as to capture a portion of the image for advertisement or promotion. There are advantages and effects available.

Claims (16)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배면부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를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의 측단부에서 연장된 힌지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조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브라켓의 후면으로는 상기 힌지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rear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amera is seated, and includes a camera fixing portion formed of a frame surrounding the front opening portion which opens the front opening portion thereof, and includes an adjustment bracket made of a hi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end portion of the rear portion. The rear of the adjustment bracket is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bracket hinged to the hin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메라 고정부는 40 내지 140°의 각도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camera fixing unit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bent at an angle of 40 to 140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의 평면상으로는 고정홀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xing hole formed on the plane of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레임에 안착된 카메라는 상기 프레임의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을 통과한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camera mounted on the frame is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by a fastener passing through a fixing hole formed in the plane of the fra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힌지고정부에 힌지결합된 후 하향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fixed bracket is hinged to the hinge portion is formed after the support frame extending downwards at intervals, and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is formed integrally connected Crad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프레임과 힌지고정부는 부싱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support frame and the hinge unit is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bushing.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부싱은 상기 힌지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bushing is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hing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부싱에는 나사산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bushing is a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 is formed to a certain depth.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힌지고정부와 부싱은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hinge portion and the bushing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y a fasten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정브라켓은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카메라 고정부는 40 내지 140°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adjustment bracket includes at least two camera fixing unit, each camera fixing unit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an angle of 40 to 140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정브라켓은 적어도 세 개의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카메라 고정부는 30 내지 95°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adjustment bracket includes at least three camera fixing units, each camera fixing unit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an angle of 30 to 95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정브라켓은 적어도 네 개의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카메라 고정부는 20 내지 70°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adjustment bracket includes at least four camera fixing units, each camera fixing unit cradle of a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an angle of 20 to 70 °. 카메라가 안착되도록 배면부가 형성되고, 이를 전면으로 개방시킨 전면개방부를 형성하면서 이를 둘러싼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정브라켓 및 상기 카메라 고정부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정브라켓을 상하 회동시키는 볼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A rear portion is formed to seat the camera, and an adjustment bracket including a camera fixing portion formed of a frame surrounding the front opening portion is formed to open the front, and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amera fixing portion to rotate the adjustment bracket up and down.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an image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l fastener. 카메라가 거치대에 안착되고, 이를 회동시키는 회동단과 기어가 체결 내지 치합되어 벽면 및 천정에 고정되어 전방을 감시하되, 상기 회동단과 일체로 회동하면서 상기 카메라가 안착되는 거치대지지프레임과, 상기 회동단이 회동하도록 관통하면서 그 외면에 회동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회동커버와, 상기 회동단이 다시 관통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회동커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고정기어가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어 있어 있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 회동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조합기를 이용한 파노라마 카메라의 거치대.The camera is mounted on the cradle, and the rotating end and the gear for rotating it are fastened or engaged to be fixed to the wall and the ceiling to monitor the front, and the support frame on which the camera is mounted while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end, and the rotating end is A rotating cover having a rotating gear formed on its outer surface while penetrating to rotate, and a fixed gear which is engaged while the rotating end penetrates again, and which adjusts the rotating angle of the rotating cover are fitted to the fixed gear. The cradle of the panoramic camera using a video comb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al surveillance camera configured. 삭제delete
KR1020050018468A 2005-03-02 2005-03-05 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KR1007097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68A KR100709783B1 (en) 2005-03-05 2005-03-05 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PCT/KR2006/000718 WO2006093387A1 (en) 2005-03-02 2006-03-02 Panorama watch camera apparatus and the deferment uni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68A KR100709783B1 (en) 2005-03-05 2005-03-05 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703A KR20060098703A (en) 2006-09-19
KR100709783B1 true KR100709783B1 (en) 2007-04-23

Family

ID=3763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468A KR100709783B1 (en) 2005-03-02 2005-03-05 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7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117A (en) 2018-02-08 2019-08-19 소프트상추주식회사 Panoramic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panorama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420B1 (en) 2006-08-24 2007-12-05 김배훈 Camera module with rotation-type camera
KR100712366B1 (en) * 2006-12-15 2007-05-02 주식회사 영국전자 Cctv system for pris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548B1 (en) * 2002-01-28 2004-08-25 주식회사 영국전자 Panorama shooting monitoring method and shooting monit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548B1 (en) * 2002-01-28 2004-08-25 주식회사 영국전자 Panorama shooting monitoring method and shooting monito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117A (en) 2018-02-08 2019-08-19 소프트상추주식회사 Panoramic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panorama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703A (en)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02525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9690173B1 (en) Rotating mount
JP3489510B2 (en) Camera system and display device
JP2005275398A5 (en)
KR100709783B1 (en) The deferment unit of the panorama camera which uses the image collator
KR101297835B1 (en) Camera fixing rig for three-dimensional image photographing
KR200469162Y1 (en) Camera mirror module for portable device
US10151968B2 (en) Multi-camera mount
KR100711570B1 (en) Lens assembly adjustable bracket for panorama cctv camera
EP2515529A1 (en) Surgical assembly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use of such surgical assembly and surgical facility
WO2007021143A1 (en) Pan/tilt camera apparatus having auxiliary camera
JP2010141485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O2006093387A1 (en) Panorama watch camera apparatus and the deferment unit thereof
WO2020211335A1 (en) Screen bendable electronic device
JP2007081834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405413B1 (en) Multi bracket for cctv installation
CN209949230U (en) Angle-adjustable prompter device
KR20060044129A (en) Camera device for 360-degree panorama shot
JP2017097047A (en) Imaging device
JP4306968B2 (en) Viewfinder for studio cameras
KR101711433B1 (en) Easily fixed on the ceiling and the floor panorama camera system using the pole
JP2007150465A (en) Imaging unit fixing structure of multiple focus camera
WO2015186924A1 (en) Ball head for tripod
US11042036B2 (en) Device mount for mixed-reality capture
KR100647267B1 (en) Focus adjusting device of watch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