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821B1 -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821B1
KR100707821B1 KR1020050072539A KR20050072539A KR100707821B1 KR 100707821 B1 KR100707821 B1 KR 100707821B1 KR 1020050072539 A KR1020050072539 A KR 1020050072539A KR 20050072539 A KR20050072539 A KR 20050072539A KR 100707821 B1 KR100707821 B1 KR 10070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ics
plant
separating
soil
flu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8154A (en
Inventor
유기정
Original Assignee
(재)충청문화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충청문화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충청문화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7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821B1/en
Publication of KR2007001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8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06Flotation machines with special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flotation cells, e.g. positioning a flotation cell insid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12Flotation machines with baffles, e.g. at the wall for redirecting settling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1443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flotation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DFLOTATION; DIFFERENTIAL SEDIMENTATION
    • B03D1/00Flotation
    • B03D1/14Flotation machines
    • B03D1/24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고학 및 고민족식물학(Paleoethnobotany) 등의 조사과정에서 식물유체나 유물이 포함된 문화재 조사지역의 토양을 유물분리통으로 주입하여 수동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ㆍ선별ㆍ채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물유체와 유물이 포함된 토양에서 비교적 큰 부피와 무게를 가진 유물을 크기별로 거를 수 있도록 다단계 거름 크기를 가진 원통형거름망을 구비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소정크기의 유물들을 분리할 수 있는 유물 분리탱크를 구비하며, 유물 분리탱크에는 식물유체 및 유물들이 물과 함께 존재하며 이들을 원통형거름망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잡고 흔들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면서 용이한 운반을 위하여 손잡이가 부착 설치되고, 유물 분리탱크의 상단 일측에는 비교적 큰 부피와 무게를 가진 유물들을 분리한 후에 부유물속에 존재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식물유체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인접하여 설치된 다단계 소형 원형거름체로 이루진 구조물을 구비하며, 유물분리통 상단에는 부유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시킴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nually separating, selecting, and collecting plant fluids and relics by injecting the soil of a cultural property research area containing plant fluids or relics into a relics separator during the investigation of archeology and paleoethnobotany. will b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tructure having a cylindrical sieve having a multi-stage filter size to filter the relic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weight in the soil containing the plant fluid and relics by size to separate the relics of a predetermined size There is a relic separation tank that can be, and the relic separation tank is equipped with plant fluids and relics with water and can be easily separated by grasping and shaking the structure consisting of a cylindrical strainer, while the handle is attached for easy transportation, The upper side of the relic separation tank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consisting of multi-stage small circular filter bodies installed adjacently to separate the relatively small sized plant fluids present in the suspended solids after separating remnant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weight. At the top of the keg can be easily By it designed to enable and simultaneously projected to be formed is rotated to its characteristics to effectively remove the plant remains fluid and at the same time with a low cost.

고고학, 문화재, 식물유체, 소형 유물 Archeology, Cultural Properties, Plant Fluids, Small Relics

Description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수동으로 분리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계 거름망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stage filte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유물분리통 12, 13; 회전용 손잡이11; Relic separator 12, 13; Rotary knob

14; 밸브 15; 회전축14; Valve 15; Axis of rotation

16; 부유물을 용이하게 따르기 위한 도출구16; Outlet for easily pouring floats

17; 유물분리통의 지지대 18; 유물분리통의 바닥면 지지대17; Support 18 of the remains separator; Bottom support of the remains separator

19; 원통형거름체의 고정을 위한 체결수단19; Fastening means for fixing cylindrical filter bodies

20; 다단계 거름체 20; Multilevel filter

21, 22, 23; 원통형 거름체 24; 25; 고정수단21, 22, 23; Cylindrical strainer 24; 25; Fixing means

26; 배수구 또는 주입구26; Drain or inlet

31, 32, 33; 원통형 거름망 31, 32, 33; Cylindrical sieve

34, 35, 36; 원통형 거름망의 손잡이34, 35, 36; Handle of cylindrical sieve

본 발명은 고고학 및 고민족식물학(Paleoethnobotany) 등의 조사과정에서 식물유체나 유물이 포함된 문화재 조사지역의 토양을 유물분리통으로 주입하여 수동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ㆍ선별ㆍ채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nually separating, selecting, and collecting plant fluids and relics by injecting the soil of a cultural property research area containing plant fluids or relics into a relics separator during the investigation of archeology and paleoethnobotany. will be.

종래의 수작업을 위한 장치 또는 식물유체나 유물이 포함된 토양을 분리하여 선별 및 채집하는 기계식 장치들은 모두 식물유체만 분리시키는데 집중되어 있고, 토양속의 유물은 별도의 거름망을 사용하여 한 번 더 작업을 하여야 하며 식물유체 및 유물이 들어 있는 토양을 수조에 넣어 수작업으로 물에 풀어서 부유시키고 비교적 커다란 유물만을 분리ㆍ채취할 수 있는 원통형거름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다시 식물유체를 분리하기 위하여서는 새로이 원통형거름체를 이용하여 분리ㆍ채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동시간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manual devices or mechanical devices for separating and screening and collecting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or relics are all concentrated to separate plant fluids, and the relics in the soil can be re-worked using a separate strainer.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strainer that can float the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relics in a water tank by hand, float them by hand, and separate and collect only relatively large relics. Since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using a sieve requires a lot of work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bor cost burden increases according to the moving time.

종래의 수동식 및 기계식 장치들은 식물유체와 유물을 동시에 분리ㆍ채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부피가 크고 고가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설치하거나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manual and mechanical devices are not only provided with mean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plant fluids and relics at the same time, but also have a problem that they cannot be easily installed or used because they are relatively bulky and expensiv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물유체와 유물이 포함된 토양에서 비교적 큰 부피와 무게를 가진 유물을 크기별로 거를 수 있도록 다단계 크기를 가진 원통형거름망으로 설계 제작된 구조물이 설치된 유물 분리탱크를 구비하 며, 유물 분리탱크에는 식물유체 및 유물이 물과 함께 존재하며 이들을 원통형거름망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고 흔들어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분리된 유물의 용이한 운반을 위하여 손잡이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유물 분리탱크에서 비교적 큰 부피와 무게를 가진 유물들을 분리한 후에 부유물속에 존재하는 작은 크기의 식물유체들을 분리ㆍ채취하기 위하여 인접하여 설치된 다단계 원통형거름체로 이루어진 구조물에 부유물을 부어서 식물유체를 분리할 수 있는 수단과 부유물이 들어 있어 무거운 유물분리통을 회전할 수 있고 회전을 위한 손잡이를 유물분리통 하단에 부착함으로써 간단하게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solve it,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relic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weight in the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relics by size It has a relic separation tank installed with a structure designed and manufactured with a cylindrical sieve having a multi-stage size. A handle is attached for easy transportation of the separated artifacts while being easily separated, and after separating the object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weight from the remains separation tank, the small-sized plant fluids present in the suspended matter are separated. ㆍ Multi-level cylinders installed adjacent to collect It is equipped with a means to separate the plant fluids by pouring the suspended solids into the structure consisting of a mold filter and a floating object to rotate the heavy oil separator, and by attaching a handle for rotation to the bottom of the oil separator, it is simple and efficient.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separate plant fluids and artifact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작업으로 간단하게 식물유체 및 유물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도록 다단계 원통형거름망과 다단계 원통형거름체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장치를 설계 제작함으로써 장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비교적 간단하게 원하는 식물유체 및 유물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st of equipment purchase and relatively simple by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e device to use a multi-stage cylindrical strainer and a multi-stage cylindrical strainer to simultaneously separate the plant fluid and artifacts by hand manually It is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separating the desired plant fluid and artifact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물분리통, 소형 원통형거름체 및 지지대 등을 필요에 따라 분리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함으로써 식물유체 및 유물의 분리ㆍ채취를 필요로 하는 현장이나 작업실로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sign and manufacture a receptacle separation container, a small cylindrical filter body and a support to separate and assemble as necessary, so that it is easy to move to a field or a work room requiring separation and collection of plant fluids and relics. It also aims to minimize the space taken up during storage.

본 발명은 고고학 및 고민족식물학(Paleoethnobotany) 등의 조사과정에서 식물유체나 유물이 포함된 문화재 조사지역의 토양을 유물분리통으로 주입하여 수동 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ㆍ선별ㆍ채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nually separating, selecting, and collecting plant fluids and relics by injecting the soil of a cultural property research area containing plant fluids or relics into a relics separator during the investigation of archeology and paleoethnobotany. will be.

종래의 수작업을 위한 장치 또는 식물유체나 유물이 포함된 토양을 분리하여 선별 및 채집하는 기계식 장치들은 모두 식물유체만 분리시키는데 집중되어 있고, 토양속의 유물은 별도의 거름망을 사용하여 한 번 더 작업을 하여야 하며 식물유체 및 유물이 들어 있는 토양을 수조에 넣어 수작업으로 물에 풀어서 부유시키고 비교적 커다란 유물만을 분리ㆍ채취할 수 있는 원통형거름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로부터 다시 식물유체를 분리하기 위하여서는 새로이 원통형거름체를 이용하여 분리ㆍ채취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동시간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manual devices or mechanical devices for separating and screening and collecting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or relics are all concentrated to separate plant fluids, and the relics in the soil can be re-worked using a separate strainer.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sieve that can float the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relics in a water tank by hand, float them by hand, and separate and collect only relatively large relics. Since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using a sieve requires a lot of work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bor cost burden increases according to the moving time.

종래의 수동식 및 기계식 장치들은 식물유체와 유물을 동시에 분리채취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부피가 크고 고가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설치하거나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manual and mechanical devices not only have a means for separating and separating plant fluids and artifacts at the same time, but also have a problem that they cannot be easily installed or used because they are relatively bulky and expensi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이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도면을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거름망을 크기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수단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식물유체와 유물이 포함된 토양에서 비교적 큰 부피와 비중을 가진 유물을 크기별로 거를 수 있도록 다단계 원통형거름망으로 설계 제작된 구조물이 내장된 유물분리통과, 유물분리통에서 비교적 큰 부피와 비중을 가진 유물들을 분리ㆍ채취한 후에 부유물속에 존재하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물유체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유물 분리통의 지지대 하단부의 바닥면 지지대(18)와 체결되어 설치된 다단계 원통형거름체로 설계 제작된 구조물에 부유물을 부어서 식물유체를 분리ㆍ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망의 크기가 서로 다른 원통형거름망으로 설계 제작된 구조물이 설치된 유물분리통에는 토양 속에 존재하는 유물 중에 비교적 부피와 비중이 큰 유물들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원통형거름망의 크기는 유물분리통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구조물의 원통형거름망이 가장 조밀하고 내측에 위치하는 원통형거름망 일수록 망의 크기가 크게 구성되어 주입되는 토양으로부터 단계별로 유물의 크기에 따라 원통형거름망에 의하여 분리ㆍ채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거름망을 내장한 구조물에는 부유물 속에 있는 유물을 흔들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유물을 분리ㆍ채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분리된 유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의 하단에는 토양을 부유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물을 공급하거나 세척시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물 주입 및 배수를 위한 배관 및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은 회전이 가능하면서 작업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지지대와 체결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부유물에 포함된 식물유체를 분리ㆍ채취하기 위하여 원통형거름체로 부유물을 부을 때 또는 필요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유물분리통의 하단부에는 유물분리통을 회전시킬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회전용 손잡이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에서 수작업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이 포함된 토양을 부유시켜 비교적 큰 유물을 분리ㆍ채취한 후에 상기 유물분리통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하단부 바닥면 지지대(18)일측에 체결 고정된 원통형거름체로 유물분리통 의 부유물을 상기 회전용 손잡이를 이용하여 천천히 부으면서 부유물에 포함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물유체들을 분리ㆍ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동식 회전용 손잡이는 상용의 기어를 이용하여 핸들로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의 상단에는 부유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돌출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일측에 체결 고정된 원통형거름체에는 물을 저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부유물을 부으면 바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거름체는 유물분리통에 부유된 부유물에 존재하는 식물유체만을 거르기 위하여 설계 제작된 구성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유물분리통의 내부에 설치된 다단계의 원통형거름망을 이용하여 토양 속에 포함된 유물을 분리ㆍ채취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유물분리통의 부유물에 포한된 식물유체들을 소형 원통형거름체를 이용하여 분리ㆍ채취함으로써 식물유체와 유물을 동시에 분리ㆍ채취할 수 있는 수동형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거름망 및 거름체는 원통형 또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또는 사용 중 외부로부터 유물분리통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뚜껑을 구비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Look at the drawings to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shows a block diagram of the entir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cylindrical siev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size. Looking at the construction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eptacle separation passage having a structure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a multi-stage cylindrical sieve to filter by size the relic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specific gravity in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relics, and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In order to separate the relatively small plant fluids present in the suspended matter afte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objects with specific gravity, the structure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by a multi-stage cylindrical filter body which is fastened to the bottom support 18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of the oil separation container. It is designed to separate and collect plant fluids by pouring suspended matter.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installed with a structure designed and manufactured with cylindrical sieves having different sizes is configured to filter relic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specific gravity among relics existing in the soil. The cylindrical densities of the adjacent structures are the most compact and the cylindrical sieves are located inward, so that the size of the net is larger and separated and collected by the cylindrical siev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rtifacts from the injected soil. Structures with cylindrical sieves are equipped with handles or structures having the same function so that the separated objects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transported while shaking the remains in the floating material quickly and efficiently. At the bottom of the oil separation vessel, pipes and valves for water injection and drainage are installed to supply water necessary for floating the soil or to facilitate drainage during washing.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with a support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easily rotated and workable, and when the floating material is poured into a cylindrical manure body to separate and collect the plant fluid contained in the floating material, or when necessary Rotating handle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so that it can be used to rotate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Cylindrical manure fasten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pport 18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lics separation container after floating the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relics by hand in the relics separation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collect relatively small plant fluids contained in the float while slowly pouring the floats of the oil receptacle into the sieve using the rotary knob. The manual rotation knob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y a handle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gear. The upper end of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is formed with a protruding groove to easily follow the floats. Cylindrical filter body fasten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mains separation vessel is not provided with a means for storing water is configured to flow to the bottom when the floating material is poured. Circular filt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ituent mean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filter only the plant fluid present in the suspended solids suspended in the oil separation vessel.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multi-stage cylindrical sieve installed inside the receptacle separator, the artifacts contained in the soil are separated and collected, and in the next step, the plant fluids contained in the floats of the receptacle separator are collected using a small cylindrical filter sieve. By separating and extracting, a device for separating a passive plant fluid and an artifact capable of simultaneously separating and extracting a plant fluid and an artifact can be formed. The strainer and the strainer can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or various forms, and has a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 lid so that foreign matter does not flow into the remains separation container from the outside after use or during use. It looks at a specific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 EXAMPLES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1을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1에서 유물분리통(11)에 일정량의 물을 주입한 후 식물유체와 유물이 포함된 토양을 일정량 주입한 후에 수작업으로 토양을 부유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유물분리통(11) 내부에는 비교적 커다란 부피와 비중을 가진 유물을 크기별로 거를 수 있도록 망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설계 제작된 원통형거름망(31,32,33)이 다단계로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다단계 원통형거름망(31,32,33)은 비교적 커다란 부피와 비중을 가진 유물들을 분리ㆍ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다단계 원통형거름망(31,32,33)에 설치된 유물분리통(11)에서 비교적 커다란 부피와 비중을 가진 유물들을 분리ㆍ채취한 후에 부유물속에 존재하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물유체들을 분리ㆍ채취하기 위하여 유물분리통의 지지대(17) 하단부 바닥면 지지대(18)와 체결되어 설치된 다단계 원통형거름체(20)에 부유물을 부어서 식물유체를 분리ㆍ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망의 크기가 서로 다른 원통형거름망(31,32,33)으로 설계 제작된 구조물이 설치된 유물분리통(11)에는 토양 속에 존재하는 유물 중에 비교적 부피와 비중이 큰 유물들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원통형거름망의 크기는 유물분리통(11)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구조물의 원통형거름망(31,32,33)이 가장 조밀하고 내측에 위치하는 원통형거름망 일수록 망의 크기가 크게 구성되어 주입되는 토양으로부터 단계별로 유물의 크기에 따라 원통형거름망(31,32,33)에 의하여 분리ㆍ채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거름망의 크기는 토양속의 유물 분리시 많이 사용하는 4㎜, 2㎜, 1㎜ 로 구성되어 있으며, 망의 크기와 거름망의 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원통형거름망(31,32,33)이 설치된 구조물에는 부유물 속에 있는 유물을 흔들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유물을 분리ㆍ채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분리된 유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원통형거름망손잡이(34,35,36)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11)의 하단에는 토양을 부유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물을 공급하거나 세척시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물의 주입 및 배수를 위한 배수구(26) 및 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11)은 회전축(15)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면서 유물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지지대(17)와 체결되어 있다. 또한, 부유물에 포함된 식물유체를 분리ㆍ채취하기 위하여 원통형거름체(21,22,23)로 부유물을 부을 때 또는 필요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물분리통의 하단에는 유물분리통(11)을 회전시킬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회전용 손잡이(12,13)가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11)에서 수작업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이 포함된 토양을 부유시켜 비교적 큰 유물을 분리ㆍ채취한 후에 상기 유물분리통을 지지하는 지지대(17)의 하단부 일측에 체결 고정된 다단계 원통형거름체(20)로 유물분리통(11)의 부유물을 상기 회전용 손잡이(12,13)를 이용하여 천천히 부으면서 부유물에 포함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물유체들을 분리ㆍ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동식 회전용 손잡이(12,13)는 상용의 기어를 이용하여 핸들과 체결하여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유물분리통(11)을 지지하는 지지대(17)의 하단부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원통형거름체(21,22,23)는 이동시 분리할 수 있고 필요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일체형으로 설계 제작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다단계 원통형거름체(20)는 상부에 거름크기가 큰 거름체를 위치시키고 하부에 거름크기가 작은 거름체를 위치시켜 식물유체를 단계별로 용이하게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단계 원통형거름체(20)의 거름크기는 식물유체 분리ㆍ채취시 많이 사용되는 2㎜, 0.710㎜ 및 0.2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망의 크기와 거름망의 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 다. 상기 유물분리통(11)의 상단에는 부유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시킨 돌출구(16)가 있다. 상기 유물분리통(11)을 지지하는 지지대(17)의 일측에 체결(19) 및 고정 수단(25)에 의하여 설치된 다단계 원통형거름체(20)에는 물을 저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부유물을 따르면 바닥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주로 현장이나 배수가 용이한 작업실에서 용이하게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단계 원통형거름체(20)는 유물분리통(11)에 부유된 부유물에 존재하는 식물유체만을 거르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유물분리통의 내부에 설치된 다단계의 원통형거름망(31,32,33)을 이용하여 토양 속에 포함된 유물을 분리ㆍ채취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유물분리통(11)의 부유물에 포한된 식물유체들을 소형 원통형거름체(21,22,23)를 이용하여 분리ㆍ채취함으로써 식물유체와 유물을 동시에 분리ㆍ채취할 수 있는 수동형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다단계거름체(20)를 유물분리통(11)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성은 유물분리통(11)을 지지하고 있는 하단부 바닥면 지지대(18) 상에 부유물을 따를 수 있는 거리를 고려하여 상용의 다양한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이룰 수 있으며, 필요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식물유체 및 유물의 분리 장치의 이용 순서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Figure 1, after the injection of a certain amount of water into the remains separation container 11,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artifacts is injected to perform the operation of floating the soil by hand. In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11, cylindrical sieves (31, 32, 33) designed in different sizes are installed in multiple stages so as to filter relic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specific gravity by size. Multi-stage cylindrical sieve (31, 32, 33)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extract the artifact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specific gravity. In order to separate and collect the relatively small plant fluids present in the suspended matter afte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relic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specific gravity in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11 installed in the multi-stage cylindrical sieve (31, 32, 33) It is configured to pour suspended matter into the multi-stage cylindrical filter body 20 which is fastened to the bottom support 18 of the lower end of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and is capable of separating and extracting the plant fluid. Relic separation container (11) equipped with a structure designed and manufactured with cylindrical sieves (31, 32, 33) having different sizes of nets is configured to filter relics having relatively large volume and specific gravity among relics existing in the soil. , The size of the cylindrical sieve network is the most compact and cylindrical sieve sieve (31, 32, 33) of the structure located adjacent to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11, the larger the size of the cylindrical sieve mesh from the soil is injected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and collected by cylindrical sieve nets 31, 32 and 33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lics step by step. The size of the strainer is composed of 4mm, 2mm, 1mm that is used a lot when separating the remains in the soil, the size of the mesh and the number of strainer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ser's requirements. Cylindrical strainer handles (34, 35, 33) are installed on the structure where the cylindrical strainer (31, 32, 33) is installed so that the separated matter can be separated and collected quickly and efficiently by shaking the remains in the float. 36) Or a structure having the same function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11 is provided with a drain hole 26 and a valve 14 for the injection and drainage of water in order to supply water necessary for floating the soil or to facilitate drainage during washing. The remains separation cylinder 11 is fastened to the support 17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rotation shaft 15 an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artifacts. In addition, to separate and extract the plant fluid contained in the float, when rotating the float to the cylindrical sieve (21, 22, 23) or if necessary rotate the artifact separator 11 at the bottom of the artifact separator can be rotated Rotating handles 12 and 13 are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used when making them. Multi-stage cylindrical, fasten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7 for supporting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by floating the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relics by hand in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11 by separating and collecting relatively large relics It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collect relatively small plant fluids contained in the suspended matter while slowly pouring the suspended matter of the oil separation vessel 11 into the filter body 20 using the rotary knobs 12 and 13. The manual rotary knobs 12 and 13 may be configured to rotate by engaging with a handle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gear, and fasten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7 supporting the artifact separation container 11. Cylindrical filter bodies (21, 22, 23) can be separated when moving and configured to be easily assembled when necessary or can be fixed and installed by designing and manufacturing in one piece. The multi-stage cylindrical filter body 20 is configured to filter the plant fluid step by step by placing a filter medium with a large manure size in the upper portion and a manure body with a small manure size in the lower portion. The fertilization size of the multi-stage cylindrical filter body 20 is composed of 2 mm, 0.710 mm, and 0.212 mm,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plant fluids. Can be. At the upper end of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11 there is a protrusion 16 formed to protrude so as to easily follow the floats. The multi-stage cylindrical filter body 20 installed by the fastening 19 and the fixing means 25 on one side of the support 17 for supporting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11 does not have a means for storing water, so that the floating material is not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configured to flow to the floor, it is preferable to use it easily in the workplace or in a work room that is easily drained. The multi-stage cylindrical filter body 20 is a constituent means used to filter only the plant fluid present in the suspended matter suspended in the oil separation vessel (11).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multi-stage cylindrical sieve (31, 32, 33) installed in the remains separation vessel to separate and extract the relics contained in the soil, and in the next step contained in the float of the remains separation vessel (11) By separating and extracting the plant fluids using the small cylindrical filter bodies 21, 22 and 23, a device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s and the artifacts which can separate and collect the plant fluids and the artifacts at the same time can be achieved. Fastening the multi-stage filter body 20 to the remains separation container 11 is fix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follow the float on the bottom surface support (18) supporting the remains separation container (11) It can be achieved by using a variety of fixing means,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f necessary. It looks at the order of use of the manual plant fluid and artifact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detail.

a) 식물유체 및 유물의 분리 장치를 작업이 필요한 장소에 다단계 거름망을 내장한 유물분리통과 다단계 거름체를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설치한다. a) Install the separation device of plant fluid and relics by assembling the relic separator and multistage filter media with multi-stage strainer at the place where work is needed.

b) 배수구 및 주입구를 통해서 유물분리통에 소정의 높이로 물을 채우고, 밸브를 잠근다.b) Fill the water separation container with water at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the drain and inlet, and close the valve.

c) 식물유체 및 유물이 포함된 토양을 유물분리통에 필요한 량만큼 주입한다. c) Inject the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artifacts in the amount required for the remains.

d) 주입한 토양을 물에 풀어서 최대한 토양을 부유시킨다.d) Release the injected soil in water and float the soil as much as possible.

e) 부유시킨 부유물로부터 유물분리통에 내장된 다단계 거름망을 이용하여 비교적 부피가 크고 비중이 무거운 유물을 단계별로 분리ㆍ채취한다.e) Separate and collect the relatively bulky and heavier relics in stages by using the multi-stage strainer built in relic separator from the suspended suspension.

f) 부유물에 포함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물유체를 거르기 위하여 유물분리통 하단부에 설치된 손잡이 부분을 잡고 유물분리통을 소정각도로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유물분리통에 설치된 돌출구를 통해서 다단계거름체로 부유물을 부어서 부유물에 포함된 식물유체를 분리ㆍ채취한다.f) In order to filter out the relatively small plant fluid contained in the float, grab the handle portion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il separation vessel, and slowly rotate the oil separation vessel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pour the float into the multistage sieve through the protrusion installed in the oil separation vessel. Isolate and collect the plant fluid contained in

g)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ㆍ채취한 후에 다단계 거름망이 내장된 유물분리통 및 다단계거름체 등을 깨끗하게 세척한다.g) After separating and collecting plant fluids and relics, clean the receptacle separator and multistage filter sieve with multi-stage strainer.

h) 깨끗하게 세척한 후에 다단계 거름망이 내장된 유물분리통 및 다단계거름체 등을 분리하여 이동하거나 보관 장소에 보관한다.h) After washing cleanly, remove the material separation container and the multi-stage filter body with multi-stage filter net and store it in the storage place.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식물유체 및 유물의 분리 장치는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설계 제작하거나 상기와 같이 분해ㆍ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할 수 있다.The manual plant fluid and artifact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be integrally fixed, or can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be used by being disassembled and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식물유체와 유물이 포함된 토양에서 비교적 커다란 크기를 가진 유물을 크기별로 거를 수 있도록 다단계 크기를 가진 원통형거름망으로 설계 제작된 구조물이 설치되어 소정크기의 유물들을 부유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제작된 유 물 분리탱크를 구비하며, 유물 분리탱크에서 비교적 큰 부피와 비중을 가진 유물들을 분리한 후에 부유물속에 존재하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식물유체들을 분리ㆍ채취하기 위하여 인접하여 설치된 다단계의 원통형거름체로 구성된 구조물에 부유물을 부어서 식물유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물분리통 외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시킨 구성과 부유물이 들어 있어 무거운 유물분리통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고 회전을 위한 손잡이를 유물분리통 하단부에 부착 설치함으로써 간단하게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식물유체 및 유물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ructure designed by a cylindrical sieve having a multi-stage size to filter the relics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n the soil containing plant fluids and relics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by floating the relics of a predetermined size It is equipped with the oil separation tank, which is a multistage cylindrical sieve installed adjacently to separate and collect the relatively small sized plant fluids in the suspended solids after separating the relics having relatively large volume and specific gravity. It is designed to separate plant fluids by pouring suspended matter on the structure. It has a structure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and floats to easily rotate the heavy relic separation container, and by attaching a handle for rotation to the lower part of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the plant fluid and It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artifacts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수작업으로 간단하게 식물유체 및 유물을 동시에 분리할 수 있도록 다단계 원통형거름망과 다단계 원통형거름체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장치를 설계 제작함으로써 장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비교적 간단하게 원하는 식물유체 및 유물을 동시에 분리ㆍ채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cost of equipment purchase and relatively simple by designing and manufacturing a device to simultaneously use a multi-stage cylindrical strainer and a multi-stage cylindrical strainer to separate plant fluids and artifacts at the same time by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separating and collecting desired plant fluids and relics.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유물분리통, 소형 원통형거름체 및 지지대 등을 필요에 따라 분리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함으로써 식물유체 및 유물의 분리채취를 필요로 하는 현장이나 작업실로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에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ove to the site or work room that requires separation of plant fluids and artifacts by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o separate and assemble the oil separation container, small cylindrical filter and support as necessary Rather, it is to minimize the space taken up during storage.

Claims (6)

고고학 및 고민족식물학의 조사과정에서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separating plant fluids and relics in soil during the investigation of archeology and ankle plant botanicals, 상기 식물유체 및 유물이 포함된 토양을 넣고 부유시키기 위하여 일정의 높이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유물분리통과,Passing through the relic separation can be injected water to a certain height in order to put the soil containing the plant fluid and relics, 상기 유물분리통에서 수작업으로 부유시켜 부유물로부터 유물들을 크기별로 분리ㆍ채취할 수 있도록 상기 유물분리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단계 거름망과,A multi-stage strainer installed inside the remains separation vessel so as to manually float in the remains separation vessel so as to separate and collect the artifacts from the suspended matter by size; 상기 다단계거름망을 사용하여 유물들을 분리ㆍ채취한 후에 부유물에 포함된 식물유체를 크기별로 거를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다단계 거름체를 구비한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relics using the multi-stage strainer, and the device for separating plant fluids and relics in the soil having a multi-stage strainer designed to filter by size the plant fluid contained in the float. 청구항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유물분리통은 식물유체 및 유물의 분리ㆍ채취 작업을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물분리통의 부유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진 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된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is a plant in the soil that is installed to rotate on a support having a certain height so as to easily follow the floats of the relic separation contain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and collection of plant fluids and relics. Device for separating fluids and artifacts.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유물분리통은 식물유체를 분리ㆍ채취하기 위하여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단부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한 돌출구를 더 구비한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The remains separation container is a device for separating plant fluids and relics in the soil further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float to the outside in order to separate and collect the plant fluid.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다단계 거름체는 유물분리통의 하단부에 위치한 바닥면 지지대 일측에 체결하여 사용하고 이동시 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분리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조립식 구조로 설계 제작된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The multi-stage filter media is a device for separating plant fluids and relics in the soil designed to be assembled to facilitate storage by fastening to one side of the bottom support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remains separation container and separated when moving or not in use .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유물분리통은 물을 주입하거나 배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밸브 및 유물분리통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단부 일측에 회전시킬 때 사용하는 회전용 손잡이를 구비한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The relic separator has a drain opening that can be used to inject or drain water, a valv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rain opening, and a rotary knob used to rotate the lower side of the receptacle for easy rotation. A device for separating plant fluids and artifacts in soil.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다단계 거름망 및 다단계 거름체는 식물유체와 유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거름크기가 서로 다른 거름망 및 거름체가 두개 이상으로 구성된 토양 속의 식물유체 및 유물을 분리하는 장치.The multi-stage sieve and the multi-stage sieve is a device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relics in the soi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nure nets and manu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efficiently separate the plant fluid and relics.
KR1020050072539A 2005-08-09 2005-08-09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 KR100707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39A KR100707821B1 (en) 2005-08-09 2005-08-09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539A KR100707821B1 (en) 2005-08-09 2005-08-09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154A KR20070018154A (en) 2007-02-14
KR100707821B1 true KR100707821B1 (en) 2007-04-13

Family

ID=4162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539A KR100707821B1 (en) 2005-08-09 2005-08-09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82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772U (en) 1973-05-21 1975-01-27
JPS5134076U (en) 1974-09-05 1976-03-12
KR20000058632A (en) * 2000-06-20 2000-10-05 배진만 Wetfood's material's careful selection machine
KR200353106Y1 (en) 2004-03-16 2004-06-22 주식회사 오이코스 The screening machine for physical separation of washing fluid and soi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772U (en) 1973-05-21 1975-01-27
JPS5134076U (en) 1974-09-05 1976-03-12
KR20000058632A (en) * 2000-06-20 2000-10-05 배진만 Wetfood's material's careful selection machine
KR200353106Y1 (en) 2004-03-16 2004-06-22 주식회사 오이코스 The screening machine for physical separation of washing fluid and s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8154A (en)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1192B2 (en) Surface water filtration systems
KR101287539B1 (en) Filter for removing sediment from water
KR101257767B1 (en) Rainwater using apparatus
CN111875185A (en) Oil-water separation membrane treatment process for food waste
KR100707821B1 (en)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by Manual
KR101098900B1 (en) Drain for bridge
KR101765132B1 (en) Screen Manhole
CN106348534B (en) sewage treatment system
NO167021B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FLUID FROM SUSPENSIONS
CN210710983U (en) Concrete sewage filtering device
EP0979902B1 (en) Well water collection chamber and sedimentation tank therefor
KR101212948B1 (en) Grease Trap
CN207918565U (en) A kind of medical sewage treatment box
KR20110043123A (en) A rain water sewage
US20080078711A1 (en) Pool sweep filter adapter
KR101755113B1 (en) Grease Trap
KR200431109Y1 (en) Rainwater catcher
KR100707828B1 (en) A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Plant Fluid and the Remains of Soil Inside
KR102571160B1 (en) Water tank with multiple filters
KR20100050279A (en) Initial rain filtering device
CN101228324A (en) Waste container apparatus
KR101938773B1 (en) Filtering device
EP1417884B1 (en) Filter for rearing all kind of fishes in different rearing plants
KR102309961B1 (en) A drain trap for washhand stand
CN207645929U (en) A kind of rainwater filte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