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393B1 - 캡슐형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캡슐형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393B1
KR100707393B1 KR1020060097365A KR20060097365A KR100707393B1 KR 100707393 B1 KR100707393 B1 KR 100707393B1 KR 1020060097365 A KR1020060097365 A KR 1020060097365A KR 20060097365 A KR20060097365 A KR 20060097365A KR 100707393 B1 KR100707393 B1 KR 100707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ndoscope device
capsule
organ
auxiliar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예선
강헌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9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393B1/ko
Priority to PCT/KR2007/004733 priority patent/WO20080418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8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agnetic fi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3Manipulators for magne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bot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내부의 장기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 내에서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캡슐 외부에 형성되는 와이어의 방향을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 자유롭게 전환하여 장기와의 점착시 장기의 꼬임을 예방하기 위해 캡슐의 회전 방향을 역전 시키더라도 캡슐의 진행 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는 내부에 장기의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촬영 수단과 자석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장기 내에서 진행하는 본체와; 그 일단이 상기 본체 외부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이 보조 링에 고정되되, 본체의 외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슬립 와이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회전 운동에 따라 장기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슬립 와이어가 나선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가이드 하는 보조 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시경, 캡슐, 캡슐형 내시경, 회전 자계

Description

캡슐형 내시경 장치{Capsule type Endoscop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부의 자석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인체 내부의 장기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제 공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 내에서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캡슐 외부에 형성되는 돌기의 방향을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 자유롭게 전환하여 장기와의 점착시 장기의 꼬임을 예방하기 위해 캡슐의 회전 방향을 역전 시키더라도 캡슐의 진행 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인체의 내장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제작된 의료기구로써,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류로는 기관지경, 식도경, 위경, 십이지장경, 직장경, 방광경, 복강경 등이 있고, 그 밖에 특수한 것으로는 흉강경, 종격경, 심장경 등이 있다.
내시경에는 1개의 통으로 되어 있어서 장기를 직접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형, 렌즈시스템을 이용한 형, 카메라를 직접 장기에 삽입하는 형과 유리섬유를 사용한 파이버스코프 등이 있다.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은 장기 안으로 소형 카메라를 삽입하여 직접 위의 점막을 촬영 및 기록하여 미세한 위의 병변을 발견/진단할 수 있다.
위 파이버스코프는 해상력이 좋고, 점막상태를 관찰하면서 병변부 조직을 절단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치도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기, 특히 위(胃)에 관한 내시경의 고도발달로 인해 보통 내시경이라고 하면 위카메라 또는 위 파이버스코프를 가리킨다.
한편, 인체 내부의 장기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촬영 수단에 의해 촬 영된 영상을 인체 외부의 수신기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해당 촬영 수단 및 무선 통신 장치의 구동을 위한 소형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캡슐형 내시경은 경구를 통해 인체 내에 투입되면, 장기의 연동 운동에 의해 식도, 위, 소장, 대장을 지나 체외로 배출될 때까지 이동하는 동안 장기 내부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인체 밖의 수신기로 송신을 한다.
이와 같이 인체의 장기의 운동을 통해 이동하는 캡슐형 내시경은 병에 따른 증상으로 판단되거나 정밀한 관찰이 필요한 부위에서 임의로 정지하거나 이미 지나친 부위로 다시 이동하여 그 부위를 재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캡슐형 내시경 장치가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촬영 영상을 통해 장기 안에서 병변 부위가 발견되었다고 하더라도 정밀한 관찰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광섬유형 내시경을 장기에 다시 삽입하여 일차 발견되었던 병변 부위를 다시 찾아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캡슐형 내시경의 원활한 보급과 활용에 대하여 커다란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는 인체 내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인체 외부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캡슐형 내시경 안에 영구자석을 내장하고, 인체 외부에서 대형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력에 의해 캡슐을 회전시키면서 장기의 경로를 따라 임의로 이동 및 정지시킬 수 있는 기술(출원번호 JP 2005-58430, JP 2004-229922)을 특허 출원한 바 있다. 일본특허출원 제JP 2004-229922호에서는 캡슐의 외피에 고정 나선 돌기를 형성하여 캡슐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캡슐이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캡슐의 고정 나선 돌기는 마찰력이 높은 좁은 장기 내에서 캡슐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때 소정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캡슐의 전진을 위한 회전 방향이 예를 들어 오른 나사 구조에 의해 기계적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캡슐이 장기와 점착되었을 경우 캡슐을 전진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장기가 강제로 꼬이게 되어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것은 물론, 장기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캡슐의 장기 점착에 따른 장기의 꼬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된 캡슐을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진행중이던 캡슐이 역주행하게 되므로 장기의 꼬임을 방지하면서 계속 전진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캡슐형 내시경 장치 외부에 나선형 와이어의 방향을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장기와 캡슐형 내시경 장치가 점착되더라도 외부에서 인가하는 자력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나선형 슬립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하여 동일한 진행 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상술한 기능을 가지면서 캡슐형 내시경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는 내부에 장기의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촬영 수단과 자석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장기 내에서 진행하는 본체와, 그 일단이 본체 외부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이 보조 링에 고정되되, 본체의 외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슬립 와이어와,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본체의 회전 운동에 따라 장기와의 마찰력에 의해 슬립 와이어가 나선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가이드 하는 보조 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캡슐형 내시경 장치가 경구를 통해 검사자의 인체로 투입되면, 인체 외부에서 3축 헬름홀츠 코일과 같은 전자석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자계를 인가한다.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내부에 진행 축에 수직으로 구비된 자석은 인가되는 자계에 따라 회전하면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외부에 구비되는 슬립 와이어는 장기 내벽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캡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오른 나사 또는 왼 나사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 본체의 일단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보조 링은 다수의 슬립 와이어가 일정한 각도로 정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캡슐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슬립 와이어가 유동적으로 오른 나사 또는 왼 나사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가하는 자계의 회전 방향 및 그에 따른 캡슐의 회전 방향과 관계없이 정해진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10)는 내부에 장기의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촬영 수단과 자석(110)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장기 내에서 진행하는 본체(100)와, 그 일단이 본체(100) 외부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이 보조 링(300)에 고정되되, 본체(100)의 외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슬립 와이어(200)와,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2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본체(10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장기와의 마찰력에 의해 슬립 와이어(200)가 나선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가이드 하는 보조 링(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경구를 통해 인체에 투입시 장기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인체 밖의 수신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카메라 및 무선 통신 수단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또한, 인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자력에 의해 본체(100)가 회전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자석(110)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는 예를 들면, 광섬유 내시경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소형 기기 에 사용되는 CCD 또는 CMOS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상 본체(100)의 진행 방향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체(1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는 장기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외부의 수신기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 수단은 외부 수신 장치와 무선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출력되는 장기 내부 영상 신호를 외부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수단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지그비, 알에프 통신과 같은 현존하는 무선 통신 규약은 물론 추후 등장하게 될 무선 통신 규약을 모두 포함한다.
배터리는 카메라와 무선 통신 수단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소형 배터리로 구현된다.
이러한 카메라, 무선 통신 수단, 배터리의 구성은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미 종래에 출시된 캡슐형 내시경 장치(10)를 통해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는 일단에 보조 링(300)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홈(120)의 양단은 결합된 보조 링(3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턱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110)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자석(110)의 양극(N/S)은 본체(100)의 회전축에 수직 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자석(110)은 외부로부터 회전 또는 규칙적으로 전환되어 인가되는 자계에 따라 인력과 척력을 반복적으로 생성하면서 회전하며 전진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부의 자석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110)은 본체(10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캡슐형 내시경의 보다 원활한 진행을 위해 본체(100)의 전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의 전후에 자석(11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극성이 본체(100)의 회전축에 수직 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슬립 와이어(200)는 예를 들면, 실리콘과 같은 소프트 하며 굽힘 변형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제조되되, 소정 두께를 가지는 와이어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본체(100)의 전방 즉, 진행 방향 상의 전단 외부에 고정 결합되며, 그 타단은 본체(100)의 슬라이딩 홈(12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보조 링(300)의 외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슬립 와이어(200)는 원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단면의 형상에 따라 장기 벽과의 마찰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슬립 와이어(200)는 본체(100)가 회전하며 전진하는 데 있어 장기 내벽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밀리면서 본체(1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형상으로 굽힘 변형된다. 이때 보조 링(300)은 슬립 와이어(200)의 변경 각도에 따라 진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각각의 슬립 와이어(200)가 일정한 각도와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슬립 와이어(200)의 길이는 나사 각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즉, 슬립 와이어(20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회전시 나사 각이 커지며, 슬립 와이어(200)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회전시 나사 각이 작아진다.
보조 링(300)은 본체(100)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되되, 본체(100)의 일단에 구비되는 슬라이딩 홈(12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그 외부에는 슬립 와이어(200)의 타단과 고정 결합된다. 보조 링(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가 회전하면서 진행하는데 본체(100)와 보조 링(300)에 연결된 슬립 와이어(200)가 장기 벽과의 마찰력에 의해 굽힘 변형되면, 보조 링(300)은 이탈 방지 턱에 걸릴 때까지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슬립 와이어(200)가 일정한 각도와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본체(100)가 진행을 중지하여 슬립 와이어(200)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 후방에 형성된 이탈 방지 턱에 걸릴 때까지 슬라이딩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10)는 경구를 통해 검사자의 인체로 투입되면, 인체 외부에서 3축 헬름홀츠 코일과 같은 전자석 또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10)와 대칭축에 위치한 자석(110)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자계를 인가한다.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110)은 외부의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으로부터 회전하는 자계가 인가되면, 극성에 따른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여 회전 자계의 방향에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본체(100)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100)와 보조 링(300)에 연결된 슬립 와이어(200)가 장기 벽과의 마찰력에 의해 굽힘 변형되면 보조 링(300)은 이탈 방지 턱에 걸릴 때까지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슬립 와이 어(200)가 일정한 각도와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따라서 이렇게 굽힘 변형되는 슬립 와이어(200)에 의해 변형되는 나선형은 장기 내에서의 보다 원활한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자계의 회전 방향이 달라지면, 슬립 와이어(200)의 나선의 방향도 그에 따라 변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 장치(10)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진행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형 내시경 장치(10)가 회전 진행중에 장기의 외벽에 점착된 경우 장기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자석(110)은 자계의 회전 방향이 변하게 되는 경우 회전 방향을 전환하여 회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슬립 와이어(200)는 본체(100)의 회전 방향과 장기 내벽의 마찰력에 의해 나선 방향이 변하게 되어 본체(100)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진행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본체(100)의 회전방향이 시계 방향일 경우에는 슬립 와이어(200)는 내벽과의 마찰력에 따라 오른 나사와 같은 나선을 형성하고, 나선의 마찰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진행중에 슬립 와이어(200)가 장기 내벽과 점착이 되었다면 외부에서 인가하는 자계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전환한다. 그러면, 본체(1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전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슬립 와이어(200)는 내벽과의 마찰력에 따라 왼 나사와 같은 나선을 형성하게 되어 장기의 꼬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점착 상태를 완화할 수 있음은 물론 주 행 방향을 유지한다.
따라서, 캡슐형 내시경 장치(10)의 회전 방향이 변하더라도 그에 따라 슬립 와이어(200)의 나선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동일한 진행 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장기의 관찰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10)는 본체(100)의 양단에 슬라이딩 홈(120)을 구비하고, 각각의 슬라이딩 홈(120)에 보조 링(300)을 결합하며, 슬립 와이어(200)의 양단을 보조 링(300)의 외부에 고정 결합함으로써, 전진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10)는 도 5와 도 6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10)는 내부에 장기의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촬영 수단과 자석(110)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계(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장기 내에서 진행하되, 양측에 슬라이딩 홈(120)이 구비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양단의 슬라이딩 홈(1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보조 링(301, 302)에 양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며, 본체(100)의 외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슬립 와이어(200)와, 상기 본체(100)의 양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120)에 각각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제 1 또는 제 2 보조 링(301, 302) 중 하나가 고정 수단(40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10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장기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슬립 와이어(200)가 나선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 1 및 제 2 보조 링(301, 3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의 양단에는 제 1 및 제 2 보조 링(301, 302)이 결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홈(1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홈(120)의 양단은 결합된 보조 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 방지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홈(120)에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10)의 진행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보조 링(300)의 고정 수단(400)이 구비된다. 이는 두 개의 보조 링(301, 302)이 모두 유동적으로 움직인다면, 본체(100)가 회전하더라도 슬립 와이어(200)가 나선형으로 굽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보조 링(301, 302) 중 하나는 본체(100)에 고정하여 진행 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제 1 보조 링(301)을 본체(100)와 고정시키고, 제 2 보조 링(301)은 고정시키지 않음으로써, 슬립 와이어(200)가 나선형으로 굽힘 변형할 수 있게 하고, 이로 인해 캡슐형 내시경 장치(10)가 전진하게 된다.
즉, 제 1 보조 링(301) 쪽으로 캡슐형 내시경 장치(10)의 진행 방향을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 1 보조 링(301)만을 고정하고, 제 2 보조 링(302)이 구비되는 쪽으로 캡슐형 내시경 장치(10)의 진행 방향을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 2 보조 링(302)을 고정 수단을 통해 고정하면 된다. 이러한 캡슐형 내시경 장치(10)의 진행과 보조 링(300)의 돌기에 의한 나선의 형성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고정 수단(400)은 전원 인가 시에만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401)과 전자석(401)의 자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금속판(40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양 슬라이딩 홈(120)에 소형의 전자석(401)을 내장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되면 슬라이딩 홈(120) 양단에 구비되는 전자석(401)은 선택적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때 제 1 및 또는 2 보조 링(301, 302)에 해당 전자석(401)의 자력에 반응하는 금속판(402)을 구비하면 전자석(401)에 의해 제 1 또는 2 보조 링(301, 302) 중 하나의 보조 링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홈(12) 양단에 전자석(401)을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보조 링(301, 302)에는 그에 대응되는 금속판(402)을 구비하여 제 1 및 또는 2 보조 링(301, 302) 중 하나의 보조 링을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고정 수단(400)은 슬라이딩 홈(120)의 내벽과 그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보조 링(301, 302)에 돌기(403)와 돌기 홈(404)을 형성하여 억지 끼움을 통해 제 1 및 또는 2 보조 링(301, 302)을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고정 수단(400)으로는 좌우 슬라이딩 홈(120) 사이의 본체에 구비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제 1 및 또는 2 보조 링(301, 302)의 슬라이딩 되는 것을 제한하는 보조 링 지지대(405)와, 본체(100)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보조 링 지지대(405)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지지대 구동부(406)를 이용하여 원하는 보조 링(301, 302)을 고정할 수 있다.
양단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20) 사이에 보조 링 지지대(405)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보조 링 지지대(405)를 삽입한다. 보조 링 지지대(405)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구동하는 지지재 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되어 제 1 및 또는 2 보조 링(301, 302)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지지대 구동부(406)는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보조 링 지지대(405)의 슬라이딩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 링 지지대(405)의 슬라이딩 방향을 설정한다. 지지대 구동부(406)는 예를 들면, 소형의 모터와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기어와 보조 링 지지대(405)로 슬라이딩시키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면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보조 링 지지대(405)를 슬라이딩시킨다.
사용자는 지지대 구동부(406)로 조작 명령을 전송하여 보조 링 지지대(405)를 제 1 보조 링(301)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제 1 보조 링(301)을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제 2 보조 링(302) 방향으로 보조 링 지지대(405)를 슬라이딩 전환하게 되면, 제 2 보조 링(302)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또는 2 보조 링(301, 302)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고 외부 자계(20)의 회전 방향을 달리하여 인가함으로써, 캡슐형 내시경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내시경 장치는 유동적인 슬립 와이어를 이용하여 나선 방향이 자동으로 바뀌게 함으로써,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경우 외부에서 인가하는 자력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캡슐형 내시경의 회전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이동 방향의 지속적인 유지는 물론 장기의 꼬임을 방지하고 나아가 장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회전 방향이 변하더라도 그에 따라 나선형 와이어의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동일한 진행 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장기의 관찰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 장치에 선택적으로 고정 가능한 제 1 및 제 2 보조 링을 형성하고, 제 1 또는 제 2 보조 링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 자계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캡슐형 내시경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능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1)

  1. 내부에 장기의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촬영 수단과 자석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장기 내에서 진행하는 본체와;
    그 일단이 상기 본체 외부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이 보조 링에 고정되되, 본체의 외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슬립 와이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회전 운동에 따라 장기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슬립 와이어가 나선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가이드 하는 보조 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립 와이어가 굽힘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본체의 중앙 또는 전후에 구비되되, 양극이 상기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5. 내부에 장기의 영상을 촬영하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촬영 수단과 자석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계에 의해 회전하면서 장기 내에서 진행하되, 양측에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의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보조 링에 양단이 각각 고정 결합되며, 본체의 외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슬립 와이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에 각각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며, 제 1 또는 제 2 보조 링 중 하나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회전 운동에 따라 장기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슬립 와이어가 나선형상으로 변형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 1 및 제 2 보조 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슬라이딩 홈의 내벽에 전자석과 그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조 링에 구비되되, 상기 전자석의 인력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슬라이딩 홈의 내벽과 그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조 링에 구비되는 돌기와 돌기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슬라이딩 홈 사이에 구비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제 1 또는 제 2 보조 링의 슬라이딩 되는 것을 제한하는 보조 링 지지대와;
    상기 보조 링 지지대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지지대 구동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립 와이어가 굽힘 변형 가능한 소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11.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본체의 중앙 또는 전후에 구비되되, 양극이 상기 캡슐형 내시경 장치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내시경 장치.
KR1020060097365A 2006-10-02 2006-10-02 캡슐형 내시경 장치 KR10070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365A KR100707393B1 (ko) 2006-10-02 2006-10-02 캡슐형 내시경 장치
PCT/KR2007/004733 WO2008041809A1 (en) 2006-10-02 2007-09-28 Capsule type endoscop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365A KR100707393B1 (ko) 2006-10-02 2006-10-02 캡슐형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7393B1 true KR100707393B1 (ko) 2007-04-13

Family

ID=3816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365A KR100707393B1 (ko) 2006-10-02 2006-10-02 캡슐형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7892A1 (en) * 2008-02-29 2009-09-03 University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Korea Aerospace University Endoscope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277A (ko) * 2003-06-17 2004-12-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캡슐형 로봇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277A (ko) * 2003-06-17 2004-12-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캡슐형 로봇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공보1020040108277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7892A1 (en) * 2008-02-29 2009-09-03 University 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Korea Aerospace University Endoscope system
KR100960289B1 (ko) * 2008-02-29 2010-06-0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내시경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90932B2 (ja) 飲み込み型内視鏡装置
WO2008041809A1 (en) Capsule type endoscope device
US7578788B2 (en) Capsule-type medical device
JP3490933B2 (ja) 飲み込み型内視鏡装置
JP4611320B2 (ja) 移動運動システムが設けられた遠隔操作内視鏡カプセル
JP4855771B2 (ja) 体内画像撮影装置および体内画像撮影システム
JP5469867B2 (ja) 撮像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を有する内視鏡および内視鏡を構成する方法
US20070049799A1 (en) Insertion device
JP3623894B2 (ja) 体内留置型内視鏡
US20080177141A1 (en) Memory-type two-section endoscopic system
JP4961898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GB2437339A (en) Controllable microcapsule type robot endoscope
JP2006334246A (ja) 内視鏡装置
JP2008012035A (ja) カプセル型内視鏡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検体内医療システム
KR100707393B1 (ko) 캡슐형 내시경 장치
KR100707395B1 (ko) 캡슐형 내시경 장치
KR102432354B1 (ko) 소화기 진단용 유·무선 복합 내시경
EP4373379A1 (en) Inspection robot
KR100810732B1 (ko) 캡슐형 내시경 장치
JP2000342526A (ja) 飲み込み型内視鏡装置
JP6261953B2 (ja) 内視鏡装置
JP2006239439A (ja) カプセル型内視鏡
KR101492072B1 (ko) 탄성 캐터필러를 이용한 자가추진형 대장내시경 로봇
JP4578823B2 (ja) ガイドワイヤ式カプセル内視鏡装置
JP4578824B2 (ja) ガイドワイヤ式カプセル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