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907B1 -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907B1
KR100706907B1 KR1020050071571A KR20050071571A KR100706907B1 KR 100706907 B1 KR100706907 B1 KR 100706907B1 KR 1020050071571 A KR1020050071571 A KR 1020050071571A KR 20050071571 A KR20050071571 A KR 20050071571A KR 100706907 B1 KR100706907 B1 KR 100706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im card
terminal
bip
data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698A (ko
Inventor
홍재성
김성
한정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9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IP(Bearer independent Protocol)를 이용한 WCDMA 패킷망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자가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USIM 카드와의 데이터 접속을 요청하고,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USIM 카드와 BIP 채널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USIM 카드와 CAT_TP 링크를 형성한 후, 상기 컨텐츠 제공자와 상기 USIM 카드 사이에 패킷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CDMA, BIP, 데이터, 패킷

Description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ata Transmiss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 BIP}
도 1은 WCDMA망의 개요도,
도 2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망 구성을 설명하는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중 BIP 채널이 개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중 CIP_TP 링크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중 CIP_TP 링크 및 BIP 채널이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UE(User Equipment) 110 : ME(Mobile Equipment)
120 : USI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200 :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320 :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400 : 외부망 500 : OTA 서버
600 : SMS 서버 700 : UCMS(USIM Card Management System)
800 : 컨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본 발명은 BIP(Bearer independent Protocol)를 이용한 WCDMA 패킷망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WCDMA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USIM 카드에 대용량 데이터를 패킷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WCDMA 통신과 관련하여 3세대 이동통신용 '가입자인증모듈'로서 WCDMA 단말에 탑재되는 USIM 카드가 이용되는데, 여기에는 휴대폰의 고유번호인 ESN(Eletronic Serial Number)을 비롯하여 비밀번호 등 서비스 개통에 필요한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현재 WCDMA 단말에 탑재되는 USIM 카드로의 데이터 전송은 SMS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SMS를 통한 전송은 한 번에 80바이트(Byte)라는 전송용량의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SMS를 이용하여서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전송속도 또한 느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SMS 대신 BIP를 이용하여 WCDMA 패킷망을 통해 USIM 카드에 대용량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USIM 카드와의 BIP 접속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을 경유하여 USIM 카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자;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BIP 접속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단말로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USIM 카드 관리 시스템;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USIM 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과 상기 USIM 카드와의 BIP 접속을 중계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에 탑재되며,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과의 BIP 접속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 USIM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은, a) 컨텐츠 제공자가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USIM 카드와의 데이터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USIM 카드와 BIP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USIM 카드와 CAT_TP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제공자와 상기 USIM 카드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는, b-1)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OTA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OTA 서버가 상기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한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USIM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b-4) 상기 USIM 카드가 상기 단말로 BIP 채널 개방을 명령하는 단계; 및 b-5) 상기 단말이 GGSN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BIP 채널이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c)는, c-1)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CAT_TP 링크형성 요청 데이터를 단말을 통해 USIM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USIM 카드가 단말을 통해 "SYN PDU" 데이터를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c-3)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SYN-ACK PDU" 데이터를 상기 단말을 통해 USIM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c-4) 상기 USIM 카드가 "ACK PDU" 데이터를 상기 단말을 통해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WCDMA망의 개요도를 참조하여 WCDMA망의 일반적 구성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WCDMA망은 UE(User Equipment; 100),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200), CN(Core Network; 300), 및 이들과 연결된 외부망(400)으로 구성된다. UE(100)와 UTRAN(200) 사이의 통신은 Uu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루어지며, UTRAN(200)과 CN(300) 사이의 통신은 Iu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루어 진다.
UE는 ME(Mobile Equipment; 110)와 USIM(UMTS Subscriber Identity Module; 120)로 구성되며, ME(110)와 USIM(120)은 Cu 인터페이스로 통신한다. ME(110)는 Uu 인터페이스를 거쳐 무선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단말이며, USIM(120)은 가입자를 확인하고 인증 알고리즘을 수행하며 단말에서 필요로 하는 인증 및 암호 키와 몇 가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스마트 카드이다.
UTRAN(200)은 적어도 하나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220) 및 이와 연결된 Node B(210)로 구성되며, RNC(220)와 Node B(210)는 Iub 인터페이스로 통신하고, RNC(220) 사이에는 Iur 인터페이스로 통신한다. RNC(220)는 무선 자원을 소유하고 제어하며, UTRAN(200)이 CN(300)에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예, UE에 접속 관리)에 대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이다. Node B(210)는 Iub 인터페이스와 Uu 인터페이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변환하며, 무선 자원 관리에 참여한다.
CN(300)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일반적으로 HLR(Home Location Register; 330), MSC/VLR(Mobile Services Centre/Visitor Location Register; 340), GMSC(Gateway MSC; 350),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310),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320)를 들 수 있다. HLR(330)은 사용자 서비스 프로파일의 마스터 사본을 저장하는 사용자 홈 시스템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이다. MSC/VLR(340)은 회선 교환(Circuit Switched; CS) 서비스를 위해 현재의 위치에서 UE(100)에 제공해 주는 스위치(MSC)와 데이터베이스(VLR)이다. GMSC(350)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이 외부 회선 교환망에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스위치이다. SGSN(310)의 기능은 MSC/VLR의 기능과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Packet Switched; PS) 서비스를 위해 이용된다. SGSN(310)을 거쳐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일부는 종종 패킷교환 도메인으로 간주된다. GGSN(320)의 기능은 GMSC의 기능과 유사하며, 회선 교환 서비스 대신 패킷 교환 서비스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외부망은 회선 교환망(420)과 패킷 교환망(410),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진다. 회선 교환망(420)은 기존의 전화 서비스처럼 회선 교환 접속을 제공하며, PLMN, PSTN, ISD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패킷 교환망(410)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터넷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ME)내 탑재되는 USIM 카드로 데이터 전송시 기존에는 SMS 센터(SMS Center)를 이용하였는데, 본 발명은 GGSN 센터(GGSN Center)를 통한 패킷 데이터 전송을 이용한다(도 2 참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간단히 살펴보면, 패킷망을 이용하여 카드에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CP; Contents Provider)(800); 카드 정보, 카드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생성, 가입자 관리 등을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BIP 패킷망 전송요청을 받아 USIM 카드에 BIP 채널을 열도록 요청하는 USIM 카드 관리 시스템(UCMS; USIM Card Management System)(700); WCDMA 단말로서 USIM 카드가 탑재되어 있는 단말(ME; Mobile Equipment); 그리고, WCDMA 단말에 탑재되는 스마트 카드의 일종으로 통신 및 인증 등의 기능 담당하는 UICC(USIM Card)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컨텐츠 제공자(800)는 단말의 USIM 카드(120)로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UCMS(700)로 카드와의 접속을 요청하면, UCMS(700)는 BIP 접속을 초기화시키기 위하여 단말(ME)(110)로 SMS를 전송하고, 그리고 단말(110)에 탑재된 USIM 카드(120)와 컨텐츠 제공자(800) 사이에 BIP 채널이 형성되면 이를 통해 패킷 데이터가 USIM 카드(120)로 전송된다.
만약, 컨텐츠 제공자(800)가 BIP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 컨텐츠 제공자(800)가 USIM 카드(120)로 전송할 데이터를 UCMS(700)로 전송하고, UCMS(700)는 단말(카드)와 패킷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을 함께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BIP(Bearer Independent Protocol)에 대하여 살펴보면, BIP는 단말과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패킷망(GPRS/UMTS packet bearer, Bluetooth, IrDA 등)을 이용하여 외부 노드와 단말내 카드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BIP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단말, 카드, 외부노드 모두 BIP를 지원해야 한다. BIP를 지원하는 노드는 CAT_TP(Card Application Toolkit _ Transport Protocol) 전송계층 기능을 지원하여야 하며, 이러한 전송계층 기능에는 접속관리(connection management), 통화 품 질(reliable communication), 흐름 제어(flow control), 데이터 세그먼트 관리(data segmentation management) 등이 있다. BIP를 이용한 패킷 통신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카드와 단말 사이에 BIP 채널(BIP Channel)이 생성되고 카드와 원격 노드간에 CAT_TP 링크(CAT_TP link)가 형성되어야 한다.
도 4는 BIP 채널이 개방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인 UCMS(USIM Card Management System)은 카드 정보, 카드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생성, 가입자 관리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으로, USIM 카드에 BIP 채널을 개방(open)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OTA 서버(OTA Server)는 UCMS의 요청에 의해 단말(혹은 카드)로 SMS을 전송하는 시스템이며, ME(Mobile Equipment)는 WCDMA 단말로 USIM 카드(UICC)가 탑재되어 있으며,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WCDMA 단말에 탑재되는 스마트 카드의 일종으로 통신 및 인증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도 4를 참조하여 BIP 채널이 개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카드에서 BIP 채널을 열기 위해 UCMS는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OTA 서버 및 단말을 거쳐 USIM 카드로 전송한다.
이를 상술하면, UCMS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생성하여 "PUSH(for open channel) command APDU"를 SMS 베어러(SMS bearer)로 단말(ME)에 전송한다. 즉, UCMS는 "PUSH(for open channel) command APDU"를 전송요청 메시지를 통해 OTA 서버로 전송하고(S100), OTA 서버는 이에 응답하여 전송요청 확인 메시지를 UCMS로 전송하고(S105), SMS 딜리버(SMS Deliver) 메지시를 이용하여 SMS 데이터를 단말(ME)에 전송한다(S110).
상기 단말(ME)로 전송되는 "PUSH command APDU"의 데이터 부분에는, 1) 전송 프로토콜 형태(UDP)와 포트 번호(Port number)를 포함하는 UICC/단말 인터페이스 전송 레벨(UICC/terminal interface transport level)과, 2) UCMS IP 주소에 해당하는 데이터 목적지 주소(Data destination address)가 저장되어 있다.
단말(ME)은 인벨롭(Envelope) 명령을 통해 수신한 SMS 데이터를 UICC(USIM 카드)로 전송한다(S115). 인벨롭(Envelope) 메시지를 받은 UICC는 단말(ME)로 "91 xx"를 보내고(S120), "91 xx"를 받은 단말(ME)은 UICC로 패치(Fetch) 명령을 보내 UICC로부터 다음 명령을 받을 준비를 한다(S125). 여기서 "xx"는 이후 UICC가 단말(MI)에 전송하는 채널 개방 명령(OPEN Channel command)의 길이를 나타낸다. UICC가 단말(ME)로 전송하는 "91 xx"는 UICC가 어떤 명령을 수행한 후 이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상태 워드(Status word)라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91 xx"에서 "91"은 UICC가 단말(ME)로부터 수신한 명령어를 정상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로 단말(ME)이 UICC로부터 받아야 하는 명령어나 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데 사용되고, "xx"는 단말(ME)이 UICC로부터 가져가야 할 정보의 크기를 나타낸다. 단말(ME)은 UICC로부터 "91 xx"를 수신하는 경우 UICC로 패치 명령을 보내 UICC가 단말(ME)로 해당 명령어 또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UICC는 PUSH 명령을 해석하여 BIP 채널을 열기 위해 단말로 채널 개방 명령(OPEN Channel command)을 보낸다(S130). 상기 채널 개방 명령에는, 1)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 설명(Bearer description)과, 2)카드가 요청하는 버퍼의 크기 혹은 단말이 카드에 제공할 수 있는 버퍼의 크기를 나타내는 버퍼 크기(Buffer size), 3) 전송 프로토콜 타입(UDP)와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UICC/단말 인터페이스 전송 레벨(UICC/terminal interface transport level), 그리고 4) UCMS IP 주소에 해당하는 데이터 목적지 주소(Data destination address) 등이 포함된다.
채널 개방 명령을 받은 단말(ME)은 PDP 컨텍스트 액티베이션(PDP Context Activation) 과정을 통해 통신을 위한 IP 주소(IP Address)를 할당받게 된다. 즉, 단말(ME)은 SGSN/GGSN에 PDP 컨텍스트 액티베이션을 요청하고(S135), SGSN/GGSN은 이에 단말(ME)의 IP 주소를 할당한 후 단말(ME)로 PDP 컨텍스트 액티베이션을 허가한다(S140).
단말(ME)은 채널 개방에 대한 응답으로 채널 식별자(Channel identifier), 베어러 특성(Bearer description), 버퍼 크기(Buffer Size)를 UICC로 전송하고(S145), UICC는 단말(ME)로 "91xx"를 보낸다(S150). "91xx"를 받은 단말(ME)은 마찬가지로 UICC로 패치(Fetch) 명령을 보내 UICC로부터 다음 명령을 받을 준비를 한다(S155).
상기 과정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나면, UICC는 UCMS에게 PUSH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워드(Status word) "90 00(정상처리 완료)"을 SMS 베어러(SMS bearer)에 담아 보낸다. 즉, UICC는 단말(ME)로 SMS[90 00] 전송을 요청하고(S160), 단말(ME)은 SMS 서브밋(SMS Submit) 메시지를 이용하여 OTA 서버로 전송하고(S165), OTA 서버는 UCMS로 전송보고 메시지를 보낸다(S170). 마지막으로, UCMS가 OTA 서버로 전송보고 확인 메시지를 보냄으로써(S175), BIP 채널 개방 과정이 완료된다. 여기에서 "90 00"은 UICC에서 수행된 명령어의 최종 결과가 성공임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CIP_TP 링크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UICC로부터 BIP 채널이 개방되었다는 응답이 오면, UCMS는 CAT_TP 링크(CAT_TP link)를 형성하기 위해 CAT_TP 링크형성 요청 데이터를 OTA 서버 및 단말을 통해 USIM 카드로 전송한다.
이를 상술하면, 우선 UCMS는 CAT_TP 링크 설정관련 "PUSH command APDU"를 SMS 베어러(SMS bearer)로 단말에 전송한다. 즉, UCMS는 "PUSH command APDU"를 전송요청 메시지를 통해 OTA 서버로 전송하고(S200), OTA 서버는 이에 응답하여 전송요청 확인 메시지를 UCMS로 전송하고(S205), SMS 딜리버(SMS Deliver) 메지시를 이용하여 SMS 데이터를 단말(ME)에 전송한다(S210).
상기 단말(ME)로 전송되는 "PUSH command APDU"의 데이터 부분에는, 1) 전송 프로토콜 형태(UDP)와 포트 번호(Port number)를 포함하는 UICC/단말 인터페이스 전송 레벨(UICC/terminal interface transport level)과 2) UICC가 지원 가능한 최대 SDU 크기를 질의하는 MAX SDU 크기(MAX SDU size)가 저장되어 있다.
단말(ME)은 인벨롭(Envelope) 명령을 통해 수신한 SMS 데이터를 UICC(USIM 카드)로 전송한다(S215). 인벨롭(Envelope) 메시지를 받은 UICC는 단말(ME)로 "91 xx"를 보내고(S220), "91 xx"를 받은 단말(ME)은 UICC로 패치(Fetch) 명령을 보내 UICC로부터 다음 명령을 받을 준비를 한다(S225). 여기서 "xx"는, 마찬가지로, 이후 UICC가 단말(MI)에 전송하는 채널 개방 명령(OPEN Channel command)의 길이를 나타낸다.
UICC는 데이터 전송 명령(SEND DATA command)을 통해 채널 식별자(Channel identifier)와 "SYN PDU(Protocol Data Unit)"를 단말로 전송하고(S230), 단말은 이를 패킷으로 UCMS로 전송한 후(S235), UICC로 채널 식별자 및 채널 데이터 길이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S240). 한편, "SYN PDU" 패킷을 받은 UCMS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SYN-ACK PDU" 패킷을 단말로 보내며(S245), "SYN-ACK PDU"를 받은 단말은 다시 인벨롭(Envelop) 명령을 통해 이를 UICC로 전달한다(S250). UICC 로 전송되는 정보에는 채널 식별자와 채널 데이터 길이가 포함되며, UICC는 다시 단말로 수신된 채널 식별자와 채널 데이터 길이를 확인하고(S255), 이에 응답하여 단말은 채널 식별자, 채널 데이터, 채널 데이터 길이가 포함된 정보를 전송한다(S260).
그리고, "SYN-ACK PDU"를 받은 UICC는 채널 식별자와 "ACK PDU"를 단말로 전송하고(S265), 단말은 UCMS로 "ACK PDU" 패킷을 보냄으로써 CAT_TP 링크가 형성된다. 즉, CAT_TP 링크가 형성되기 위하여는 "SYN", "SYN-ACK", "ACK"라는 3가지 핸드쉐이크(three-way handshake)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단말은 UICC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275).
상기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CAT_TP 링크가 개방(OPEN) 상태가 되면, UICC는 UCMS에게 PUSH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상태 워드(Status word) "90 00(정상처리 완료)"을 SMS 베어러(SMS bearer)에 담아 보낸다. 즉, UICC는 단말(ME)로 SMS[90 00] 전송을 요청하고(S280), 단말(ME)은 SMS 서브밋(SMS Submit) 메시지를 이용하여 OTA 서버로 전송하고(S285), OTA 서버는 UCMS로 전송보고 메시지를 보낸다(S290). 마지막으로, UCMS가 OTA 서버로 전송보고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S295).
CTA-TP 링크가 개방된 이후 부터는 패킷망을 통해 패킷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컨텐츠 제공자(CP)와 단말(ME)사이에 BIP 접속이 이루어져, 컨텐츠 제공자가 전송하는 대용량의 데이터가 패킷망을 통해 단말(ME)의 USIM 카드(UICC)로 전송된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CIP_TP 링크 및 BIP 채널이 폐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패킷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UCMS는 CAT_TP 링크 및 BIP 채널을 폐쇄(Close)하기 위하여 "RST PDU"를 UICC로 보내게 된다. 즉, UCMS가 OTA 서버를 통해 단말로 "RST PDU"를 보내고(S305), 단말은 인벨롭(Envelop) 명령을 통해 이를 UICC로 전달한다(S310). "RST PDU"를 보내고 나면 UCMS의 CAT_TP 링크 상태는 폐쇄 대기(CLOSE-WAIT) 상태가 되며 일정시간 이후 폐쇄된다.
UICC가 단말로부터 인벨롭 명령을 통해 "RST PDU"를 수신하게 되면 UICC의 CAT_TP 링크 상태 또한 폐쇄 대기가 되며 일정시간 이후 폐쇄된다. 한편, UICC는 단말로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고(S315), 단말은 이에 응답한다(S320).
UICC는 채널 폐쇄 명령(CLOSE Channel command)을 단말로 보내 단말의 IP 주소 자원을 해지하도록 요청한다(S325). 그러면, 단말은 SGSN/GGSN에 PDP 컨텍스트 디액티베이션(PDP Context Deactivation)을 요청하고(S330), SGSN/GGSN은 이에 단말(ME)의 IP 주소를 해지한 후, 다시 단말(ME)로 PDP 컨텍스트 디액티베이션을 통보한다(S335). 마지막으로, BIP 채널 관련 자원 해지가 성공하면 단말은 응답(terminal response)를 통해 성공여부를 UICC에게 알려준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WCDMA 가입자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USIM 카드에 대용량 데이터를 패킷으로 전송함으로써 기존 SMS 전송방식보다 전송시간 단축, 전송실패율 감소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향후 대용량 스마트 카드가 대중화 될 경우, 가입자들에게 멀티미디어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2)

  1. WCDMA망에서 BIP(Bearer independent Protocol)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USIM 카드와의 BIP 접속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을 경유하여 USIM 카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자;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BIP 접속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단말로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전송하는 USIM 카드 관리 시스템;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USIM 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과 상기 USIM 카드와의 BIP 접속을 중계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에 탑재되며,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과의 BIP 접속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 USIM 카드를 포함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은 카드 정보, 카드 라이프 사이클, APDU 생성, 가입자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BIP 접속을 위하여 GGSN에 IP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는 상기 USIM 카드와 BIP 접속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5. WCDMA망에서 BIP(Bearer independent Protocol)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컨텐츠 제공자가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USIM 카드와의 데이터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USIM 카드와 BIP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USIM 카드와 CAT_TP 링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제공자와 상기 USIM 카드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OTA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OTA 서버가 상기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단말이 상기 수신한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를 USIM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b-4) 상기 USIM 카드가 상기 단말로 BIP 채널 개방을 명령하는 단계; 및
    b-5) 상기 단말이 GGSN으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BIP 채널이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2)에서,
    상기 BIP 채널 개방 요청 데이터는 UICC/단말 인터페이스 전송 레벨과 USIM 카드 관리 시스템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4)에서,
    상기 BIP 채널 개방 명령에는 베어러 특성(Bearer Description), 버퍼 크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 주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CAT_TP 링크형성 요청 데이터를 단말을 통해 USIM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USIM 카드가 단말을 통해 "SYN PDU" 데이터를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c-3)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SYN-ACK PDU" 데이터를 상기 단말을 통해 USIM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c-4) 상기 USIM 카드가 "ACK PDU" 데이터를 상기 단말을 통해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AT_TP 링크형성 요청 데이터는 UICC/단말 인터페이스 전송 레벨과 USIM 카드가 지원 가능한 최대 SDU 크기를 질의하는 MAX SDU 크기(MAX SDU siz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e) 상기 USIM 카드 관리 시스템과 상기 USIM 카드와 BIP 채널이 폐쇄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e-1) USIM 카드 관리 시스템이 "RST PDU" 데이터를 단말을 통해 USIM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e-3) 상기 USIM 카드가 단말로 BIP 채널 폐쇄를 명령하는 단계; 및
    e-5) 상기 단말이 GGSN으로 PDP 컨텍스트 디액티베이션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방법.
KR1020050071571A 2005-08-05 2005-08-05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571A KR100706907B1 (ko) 2005-08-05 2005-08-05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571A KR100706907B1 (ko) 2005-08-05 2005-08-05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698A KR20070016698A (ko) 2007-02-08
KR100706907B1 true KR100706907B1 (ko) 2007-04-12

Family

ID=4162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571A KR100706907B1 (ko) 2005-08-05 2005-08-05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03089B2 (en) 2020-08-07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multiple eSIM profi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954A (ko) * 2001-12-18 2004-07-14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 단말기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KR20050040133A (ko) * 2002-10-09 2005-05-03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국에 관한 정보 제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954A (ko) * 2001-12-18 2004-07-14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 단말기의 시스템간 핸드오버
KR20050040133A (ko) * 2002-10-09 2005-05-03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국에 관한 정보 제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698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81635B1 (en) Application triggering for a wireless device
JP4391531B2 (ja) Pdpコンテキスト作動後に、ローミング・ユーザの呼び出しの除外を可能にする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6885870B2 (en) Transferring of a message
US7127489B2 (en) Messaging service
CN111630824B (zh) 用于卸载数据流量的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WO2005115028A1 (en) A method for communication over an ip-based wireless wide are network and the internet
CN103026778A (zh) 用于减少频繁的服务器消息的装置和方法
WO2021093438A1 (zh) 一种接入网络的方法及通信装置
US20040147242A1 (en) Solution for managing user equipment vers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N107889175A (zh) 网络切换方法、装置及系统,网络接入方法及装置
US20060116122A1 (en) Mobile terminal identity protection through home location register modification
CN101765218B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CN102056141B (zh) 一种实现本地接入的系统和方法
EP1408706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node used for the system
CN101483922B (zh) 控制接入的方法、接入网关和鉴权服务器
CN101909275A (zh) 一种信息同步方法及通讯系统以及相关设备
CN101860976B (zh) 实现用户设备本地ip接入的方法、设备及系统
WO2011020408A1 (zh) 一种本地ip访问连接的释放系统及方法
KR100706907B1 (ko) Bip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9494A (ko) 액세스 노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방법 및 장치
WO2011035719A1 (zh) 一种释放本地连接的方法及系统
CN112463204A (zh) 直连充电桩无感知的桩服务程序灰度发布方法
CN102448115B (zh) 一种应用于移动通信的会话管理方法
WO2006069531A1 (fr) Procede permettant a un terminal utilisateur d&#39;acceder a un reseau central via un reseau a acces sans fil
CN100512208C (zh) 分组通信系统及分组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