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438B1 -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thereby - Google Patents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there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438B1
KR100706438B1 KR1020050133838A KR20050133838A KR100706438B1 KR 100706438 B1 KR100706438 B1 KR 100706438B1 KR 1020050133838 A KR1020050133838 A KR 1020050133838A KR 20050133838 A KR20050133838 A KR 20050133838A KR 100706438 B1 KR100706438 B1 KR 10070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ussing
coi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3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4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gnetising or demagnetising
    • H01F13/006Methods and devices for demagnetising of magnetic bodies, e.g. workpieces, sheet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 장치의 내부에 디가우싱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화된 자기 센서를 원 상태로 복구하는 디가우싱부를 구비한 충전 장치 및 디가우싱 방법, 그리고 그에 따라 디가우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AC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에 정격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부; 및 사용자의 디가우싱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로부터 상기 정격 충전 전원을 온오프하면서 코일에 공급하여 자기장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화된 부품을 디가우싱하는 디가우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센서가 자화되었을 때 서비스 센터에 맡기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디가우싱을 수행할 수 있다.A charging device and a degaussing method including a degaussing unit for restoring a magnetized magnetic sensor to its original stat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during charg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providing a degaussing unit inside the charging device, and according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is disclosed. The charging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the AC power to supply the rated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gaussing unit for degaussing the magnetized par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forming a magnetic field by supplying a coil to the coil while turning on and off the rated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 user's degaussing execution command. It is characterized by. Accordingly, when the magnetic sens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gnetized, the user can directly perform degaussing without leaving the service center.

Description

디가우싱부를 구비한 충전 장치 및 그 디가우싱 방법, 그에 따라 디가우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thereby}Charging device having a degaussing unit and a degaussing method thereof,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gaussing accordingly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he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의 간략한 블록도,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충전 장치의 상세 블록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harging device of FIG.

도 3은 도 1의 거치대(130) 내부에 디가우싱을 위한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이 설치되어 있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il is generated inside the cradle 130 of FIG. 1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for degaussing.

도 4는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가우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gau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hysteresis curv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가우싱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degauss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자화된 센서를 디가우싱(degaussing)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장치의 내부에 디가우싱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화된 자기 센서를 원 상 태로 복구하는 디가우싱부를 구비한 충전 장치 및 디가우싱 방법, 그리고 그에 따라 디가우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gaussing a magnetized sensor ins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degaussing unit inside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during charg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a degaussing method including a degaussing unit for restoring a magnetized magnetic sensor to its original stat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accordingly.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많아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GPS 센서, 자기 센서, 움직임 센서, 중력 센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센서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다. 이러한 센서들은 인접한 부품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이나 기타 외부 요인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rease and diversify,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GPS sensors, magnetic sensors, motion sensors, and gravity sensors are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se sensors are often magnetized by magnetic fields generated by adjacent components or by other external factors, preventing them from functioning.

이러한 자기 센서가 자화되면 그 자화 성분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디가우싱(degaussing) 이라고 하고, 이러한 디가우싱은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센서가 자화되어 그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가우싱을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서비스 센터에 맡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When the magnetic sensor is magnetized, the magnetic component must be removed. This is called degaussing. If the magnetic sensor is magnetized and its function does not work normally, the degaussing cannot be done by the user.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lea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service center for the Gaussing.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디가우싱부를 더 구비하여 자화된 자기 센서를 디가우싱하는 디가우싱부를 구비한 충전 장치 및 그 디가우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having a degaussing unit for degaussing a magnetized magnetic sensor by further including a degaussing unit in a charg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gaussing method thereof. will b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충전장치에 의해 디가우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by a charging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 AC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에 정격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부; 및 사용자의 디가우싱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로부 터 상기 정격 충전 전원을 온오프하면서 코일에 공급하여 자기장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화된 부품을 디가우싱하는 디가우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g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harging circuit unit receiving AC power to supply a rated charging power to a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degaussing unit for degaussing the magnetized par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upplying a coil to the coil while turning on and off the rated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to form a magnetic field according to a user's degaussing execution command. It is achieved by a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디가우싱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삽입되는 충전 삽입구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바꾸고,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값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을 일정회수 반복하면서 상기 코일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gaussing unit includes a coil installed around a charging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erted, and alternately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whenever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s changed. It is preferable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coil while repea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o gradually decrease the maximum value of.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의 디가우싱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의 디가우싱 명령을 수신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입력되는 데이터값과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값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아날로그 출력되는 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아 그 값에 따라 FET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FET로부터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단계; 및 (d)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가우싱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problem is in the degauss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nent, (a) receiving a degaussing command from the user data input to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Outputting a command to control a value and on / off of power supplied to the coil; (b) receiving the data value, converting the analog data into analog data, and outputting the analog data; (c)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coil from the FET by receiving the analog output signal as a gate and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FET according to the value thereof; And (d) receiving power from the switch unit to form a magnetic field.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의 디가우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삽입되는 충전 삽입구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바꾸고,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상기 코일 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값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을 일정회수 반복하면서 상기 코일에 자기장을 형성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의 자화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가우싱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degauss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nent, 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s changed while alternat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provided around the charging insertion hole is insert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egaussing method is also achieved by removing the magnetization compon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nent by forming a magnetic field in the coil by repea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o gradually decrease the maximum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every time.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충전 장치에 의해 디가우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AC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에 정격 충전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디가우싱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정격 충전 전원을 온오프하면서 코일에 공급하여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기 자화되었던 부품을 디가우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gaussed by a charging device, the technical problem is to supply the rated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C power supply and the rated charging according to the user's degaussing execution command It is also achiev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degaussing a part that has been magnetized by the influence of a magnetic field formed by supplying the coil with power on and of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충전 장치의 간략한 블록도이다.1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장치는 충전 회로부(110), 디가우싱부(120), 거치대(130)를 포함한다. 충전 회로부(110)는 AC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정격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거치대(130)의 충전 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거치대(130)는 일반적으로 밧데리가 결합된 상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삽입하여 충전하는 단말기 삽입부와 여분의 밧데리를 그대로 삽입하여 충전하는 밧데리 삽입부가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밧데리를 삽입하면 충전이 이루어진다. 디가우싱부(120)는 사용자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어, 이 스위치를 누르면 코일을 통해 자기장을 생성함으로써, 자화된 자기 센서의 자화 성분을 제거한다.Charging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circuit unit 110, the degaussing unit 120, the cradle 130.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receives AC power, converts the power into a rated DC power required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it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holder 130. The cradle 130 generally includes a terminal insertion unit for inserting and charg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battery coupled state and a battery insertion unit for inserting and charging an extra battery as it is, and charging is performed by inser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battery. . The degauss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user switch, and when the switch is pressed,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through the coil, thereby removing the magnetization component of the magnetized magnetic sensor.

도 2는 도 1의 충전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charging device of FIG. 1.

충전 회로부(110)는 정류부(111), 변압부(112), DC 변환부(113) 및 충전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정류부(11)는 입력된 AC 전원을 정류하고(rectify) 그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 변압부(112)는 입력된 110V 또는 220V의 AC 전원을 충전 장치의 DC 변환부(113) 규격에 맞도록 강압한다. DC 변환부(113)는 변압부(112)에 의해 강압된 AC 전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 규격에 맞는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밧데리 충전 규격은 DC 5.2V가 될 수 있다. 충전 제어부(114)는 과전류가 흐르거나 충전 회로부(110)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전 회로부(110) 전체를 제어한다.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includes a rectifier 111, a transformer 112, a DC converter 113, and a charging controller 114. The rectifier 11 rectifies the input AC power and removes noise components included therein. The transformer 112 steps down the input AC power of 110V or 220V to meet the DC converter 113 standard of the charging device. The DC converter 113 converts the AC power stepped down by the transformer 112 into a DC power that meets the battery charging standar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DC power. For example, the battery charge specification could be DC 5.2V. The charging control unit 114 controls the entire charging circuit unit 110 to prevent an overcurrent or an abnormal rise in the temperature of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디가우싱부(120)는 디가우싱 제어부(12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 저항(123), FET(124), 스위치부(125) 및 코일(126)을 포함한다.The degaussing unit 120 includes a degaussing control unit 121,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a resistor 123, a FET 124, a switch unit 125, and a coil 126.

디가우싱 제어부(121)는 사용자로부터 디가우싱을 실행한다는 입력을 스위치, 버튼 등을 통해 입력받아 본 발명의 디가우싱 알고리즘에 따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에 입력될 데이터를 달리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치부(125)에 포함된 제1스위치(127), 제2스위치(128)의 스위칭을 디가우싱 과정에 따라 제어한다. 제1스위치(127), 제2스위치(128)의 스위칭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The degaussing control unit 121 receives an input for executing degaussing from a user through a switch, a button, or the like, and receives data to be input to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according to the degaussing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Print it differently. Then,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127 and the second switch 128 included in the switch unit 125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gaussing process.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127 and the second switch 128 will be described later.

FET(124)의 게이트는 DAC(122)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은 충전 회로부의 충전 전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스는 스위치부(125)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FET(124)는 충전 회로부(110)의 DC 변환부(113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전류의 양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를 통해 입력되는 게이트의 전압에 따라 조절한다. 즉, 게이트 전압이 크면 FET(124)를 통해 드레인에서 소스로 흐르는 전류는 작아지고, 게이트 전압이 작으면 FET(124)를 통해 드레인에서 소스로 흐르는 전류는 커진다. 저항(123)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에서 출력되어 FET(124)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을 조정한다. The gate of the FET 124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DAC 122, the drain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wer supply of the charging circuit portion and the source is connected to the switch section 125. Accordingly, the FET 124 adjusts the amount of charge current output from the DC converter 1130 of the charge circuit unit 110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gate input through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In other words, if the gate voltage is large,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drain to the source through the FET 124 is small, and if the gate voltage is small,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drain to the source through the FET 124 is large. The resistor 123 adjusts the voltage output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and input to the gate of the FET 124.

한편 스위치부(125)는 제1스위치(127)와 제2스위치(128)를 구비하여 제1스위치(127)의 출력단은 코일(126)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128)의 출력단은 코일(126)의 다른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스위치(127)와 제2스위치(128)는 입력단은 각각 FET(124)의 출력과 접지에 연결되어 있어 디가우싱 제어부(121)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FET(124) 출력 또는 접지 신호가 제1스위치(127)와 제2스위치(128)의 출력단으로 연결되어 코일(136)에 전달된다. 이때 제1스위치(127)와 제2스위치(128)의 스위칭은 서로 반대로 이루어진다. 즉, 제1스위치(127)의 출력단이 FET(124)의 출력(소스단)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되면 제2스위치(128)의 출력단은 접지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된다. 코일(126)은 스위치부(125)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생성한다. Meanwhile, the switch unit 125 includes a first switch 127 and a second switch 128 so that an output end of the first switch 127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il 126 and an output end of the second switch 128.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il 126. In addition, since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127 and the second switch 128 is connected to the output and the ground of the FET 124, respectively, the output or the ground of the FET 124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of the degaussing controller 121. The sig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127 and the second switch 128 and transmitted to the coil 136. At this time,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127 and the second switch 128 is reversed. That is, wh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127 is switched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source terminal) of the FET 124,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 128 is switched to be connected to ground. The coil 126 generates a magnetic field by the current input from the switch 12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에서 출력되는 전압값과 FET(124)에서 출력되는 전류 및 스위치부(125)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the current output from the FET 124, and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125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도 3은 도 1의 거치대(130) 내부에 디가우싱을 위한 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이 탑재되어 있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oil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for degaussing is mounted inside the cradle 130 of FIG. 1.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130)는 단말기 삽입부(310)와 밧 데리 삽입부(3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자화된 자기 센서를 자화 성분을 소거하는 디가우싱을 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삽입부(310) 주변에 디가우싱부(120)의 코일(126)을 감는다. 이에 따라 코일(126)에 형성된 자기장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영향을 주어, 자화된 자기 센서의 자화 성분을 소거시킨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삽입부(310)를 코일(126)로 감은 예를 설명하였으나 코일(126)의 위치는 단말기 형태, 거치대(130)의 형태 또는 단말기 삽입부(310)의 형태에 따라 달리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cradle 130 includes a terminal insertion unit 310 and a battery insertion unit 320. The coil 126 of the degaussing unit 120 is wound around the insertion unit 3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gauss the magnetized magnetic sensor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coil 126 affec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canceling the magnetization component of the magnetized magnetic sensor.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insertion unit 310 is wound with the coil 126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osition of the coil 126 may vary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terminal, the form of the cradle 130, or the form of the terminal insertion unit 310. It may be installed differently.

도 4는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가우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degau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a hysteresis curve.

먼저 디가우싱 제어부(121)가 사용자로부터 디가우싱 명령을 받으면, 스위치부(125)를 초기화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값을 출력하도록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를 제어한다. 스위치부(125)가 초기화되면 제1스위치(127)의 입력이 FET(124)의 소스단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128)의 입력이 접지에 연결된다.First, when the degaussing control unit 121 receives a degaussing command from the user,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is configured to initialize the switch unit 125 and output the maximum value that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can output. (DAC) 122 is controlled. When the switch unit 125 is initialized, the input of the first switch 127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FET 124, and the input of the second switch 128 is connected to the ground.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이 최대값이 되면 FET(124)는 오프가 되어 충전 회로부(110)에서 FET(124)로 흐르는 전류가 0이 된다. 그리고 나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값을 줄이면, 즉 FET(124)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전압값을 줄이면, FET(124)에 흐르는 전류값이 점점 커지게 되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값이 0이 되면 FET(124)에 흐르는 전류값은 최대가 된다. 이 과정은 도 4의 곡선부 A(420)에 대응된다.When the output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reaches a maximum value, the FET 124 is turned off so that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to the FET 124 becomes zero. Then, if the output value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is reduced, that is, the voltage value input to the gate of the FET 124 is decreased, the current value flowing to the FET 124 becomes larger, and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is increase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DAC) 122 becomes 0,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FET 124 becomes maximum. This process corresponds to curve A 420 of FIG.

그리고 다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값을 크게 하면 FET(124)에 흐르는 전류값이 점점 작아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값이 최대가 되면 FET(124)에 흐르는 전류값이 0이 된다. 이 과정은 도 4의 곡선부 B(430)에 해당된다. 전류값이 0이 되는 지점이 그래프에서 C(440) 지점이다. 이렇게 한 단계가 수행되면 카운터 값을 하나 증가시킨다. 그리고 카운터 값이 증가될 때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 최대값을 감소시킨다. 일예로 12가 되면 최대값이 0이 되도록 감소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When the output value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is increased again,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FET 124 is gradually decreased, an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reaches the maximum value, the FET 124 is supplied to the FET 124. The flowing current value becomes zero. This process corresponds to the curved portion B 430 of FIG. The point at which the current value becomes zero is the point C 440 in the graph. When this step is performed, the counter value is increased by one. Each time the counter value is increased, the output maximum value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is decreased. For example, when 12 is reached, the amount of decrease is adjusted so that the maximum value becomes 0.

다음으로 디가우싱 제어부(121)가 스위치부(125)를 제어하여, 제1스위치(127)의 입력이 접지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128)의 입력이 FET(124)의 소스단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의 출력값을 줄이면 FET(124)에 흐르는 전류값이 점점 커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값이 0이 되면 FET(124)에 흐르는 전류값은 최대가 된다. 이 과정은 도 4의 곡선부 D(450)에 대응된다. 다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값을 크게 하면 FET(124)에 흐르는 전류값이 점점 작아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출력값이 최대가 되어 FET(124)에 흐르는 전류값이 0이 된다. 이 과정은 도 4의 곡선부 E(460)에 해당된다. 그리고 나서 카운터 값을 하나 증가시킨다.Next, the degaussing control unit 121 controls the switch unit 125 so that the input of the first switch 127 is connected to ground, and the input of the second switch 128 is connected to the source terminal of the FET 124. To be connecte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is reduced,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FET 124 is gradually increased.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becomes 0,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FET 124 is maximum. Becomes This process corresponds to curve D 450 of FIG.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is increased again,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FET 124 is gradually decreased, so that the output value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is maximized to flow to the FET 124. The current value is zero. This process corresponds to curve E 460 in FIG. Then increase the counter value by one.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 코일(126)에 흐르는 전류는 단계가 지날 때마다 점점 감소하게 되고, 마지막으로 0이 되면 디가우싱이 완료된다. 이 지점은 히스테리시스 그래프에서 (410) 지점이 된다.If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repeated,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126 gradually decreases with each passing step, and finally degaussing is completed when it reaches zero. This point is point 410 in the hysteresis graph.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가우싱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degauss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디가우싱을 실행한다는 디가우싱 실행 버튼(스위치)을 누르면, 이 신호를 입력받는다(S510). 그리고, 나면 디가우싱 제어부(121)가 코일(126)에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명령을 스위치부(125)로 출력하고(S52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에 공급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제어하면서 출력한다(S530). 이 때,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류값에 따라 충전회로부(110)로부터의 전원을 스위치부(125)가 온오프하여, 코일(126) 전원 공급을 온오프한다. 이렇게 하여 코일(126)은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한다(S540).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degaussing execution button (switch) to perform degaussing, the user receives this signal (S510). Then, the degaussing control unit 121 outputs a command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supply to the coil 126 to the switch unit 125 (S520), and supplies the digital to the analog-to-analog converter (DAC) 122. The data is output while controlling (S530).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analog data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the switch unit 125 turns on and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110, thereby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y of the coil 126. do. In this way, the coil 126 is supplied with power to form a magnetic field (S540).

그리고 나서 카운터를 1씩 증가시켜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여(S550),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하였으면 디가우싱을 종료하고,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스위치부(125)의 온오프 단계(S520) 단계로 되돌아가 스위치부(125)의 설정을 다시 한다. 즉, 스위치부(125)부를 구성하는 제1스위치(127)와 제2스위치(128)의 현재 스위치 상태를 각각 절환하여 코일에 흐르는 전원의 극성을 바꾼다. 그리고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의 제어가 이루어지는데, 처음 단계보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2)에서 출력되는 값을 작게 한다.Then, the counter is incremented by one to determine whether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has been reached (S550). If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reached, degaussing is terminated. If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not reached, the switch unit 125 turns on and off the step. Returning to step S520, the switch unit 125 is set again. That is, the current switch states of the first switch 127 and the second switch 128 constituting the switch unit 125 are respectively switched to change the polarity of the power flowing through the coil. The control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is performed, and the value output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122 is made smaller than the first step.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센서가 자화되었을 때 서비스 센터에 맡기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디가우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가우싱부를 별도의 장치로 만들지 않고 충전 장치에 탑재시킴으로써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구현이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gnetic sens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gnetized, the user can directly perform degaussing without leaving the service center, and the degaussing unit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without making a separate device. This saves space and is easy to implement.

Claims (8)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장치에 있어서,In the charg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에 정격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회로부; 및A charging circui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C power and supply rated charging power to a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사용자의 디가우싱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부로부터 상기 정격 충전 전원을 온오프하면서 코일에 공급하여 자기장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화된 부품을 디가우싱하는 디가우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And a degaussing unit for degaussing the magnetized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upplying a coil to the coil while turning on and off the rated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 user's degaussing execution command. The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가우싱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gaussing uni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삽입되는 충전 삽입구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바꾸고,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값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을 일정회수 반복하면서 상기 코일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And a coil installed around a charging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erted, and alternat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and gradually changing the maximum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each tim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s changed. Char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magnetic field in the coil while repeating a certain number of times to redu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가우싱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gaussing unit 사용자로부터 디가우싱 명령을 수신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입력되는 데이터값과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명령을 출력하는 디 가우싱 제어부;A degaussing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 degaussing command from a user and outputs a command for controlling a data value input to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an on / off of power supplied to a coil; 상기 디가우싱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for receiving the digital data output from the degaussing controller, converting the digital data into analog data, and outputting the analog data;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게이트로 입력받아 그 값에 따라 온오프되는 FET;A FET which receives a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s a gate and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value; 상기 디가우싱 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FET로부터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turning on and off power supplied from the FET to the coil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degaussing control unit; And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Charging device comprising a coil for receiving a power from the switch to form a magnetic fiel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witch unit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의 스위칭은 서로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And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wherein the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is per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의 디가우싱 방법에 있어서,In the degauss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onent, (a) 사용자로부터의 디가우싱 명령을 수신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에 입력되는 데이터값과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명령을 출력하는 단계;(a) receiving a degaussing command from a user and outputting a command for controlling on / off of data values input to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power supplied to the coil; (b) 상기 데이터값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b) receiving the data value, converting the analog data into analog data and outputting the analog data; (c) 상기 아날로그 출력되는 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아 그 값에 따라 FET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FET로부터 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단계; 및(c)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coil from the FET by receiving the analog output signal as a gate and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FET according to the value thereof; And (d)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가우싱 방법.and (d) receiving a power supply from the switch unit to form a magnetic field.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의 디가우싱 방법에 있어서,In the degauss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onen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삽입되는 충전 삽입구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바꾸고,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값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을 일정회수 반복하면서 상기 코일에 자기장을 형성시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부품의 자화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가우싱 방법.Alternat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installed around the charging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erted, and repeatedly decreasing the maximum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each tim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s changed While forming a magnetic field in the coil to remove the magnetization compon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nent. 충전 장치에 의해 디가우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gaussed by the charging device, AC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에 정격 충전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자의 디가우싱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정격 충전 전원을 온오프하면서 코일에 공급하여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기 자화되었던 부품을 디가우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Parts that were magnetized by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supplying the rated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AC power supply and supplying the coil with the rated charging power on and off according to the user's degaussing execution comm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aus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삽입되는 충전 삽입구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번갈아 가면서 바꾸고,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값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는 것을 일정회수 반복하면서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기 자화되었던 부품을 디가우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lternating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installed around the charging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erted, and repeatedly decreasing the maximum value of the current flowing in the coil every tim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is changed And degaussing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magnetiz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KR1020050133838A 2005-12-29 2005-12-29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thereby KR100706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838A KR100706438B1 (en) 2005-12-29 2005-12-29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838A KR100706438B1 (en) 2005-12-29 2005-12-29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thereb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438B1 true KR100706438B1 (en) 2007-04-10

Family

ID=3816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838A KR100706438B1 (en) 2005-12-29 2005-12-29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there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43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700A (en) * 1995-09-28 1997-04-30 배순훈 Self-extinguishing device of monitor and its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7700A (en) * 1995-09-28 1997-04-30 배순훈 Self-extinguishing device of monitor and its control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7001770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176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uction charging having improved efficiency
JP2010016984A (en) Charging controller and charging equipment
KR100777783B1 (en)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EP1239574A3 (en) DC-DC converter, power supply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08182314A (en) Switched current regulator
JP2009076457A (en) Electronic module for ac/dc coil withi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6518764B2 (en) Relay driving apparatus
JP2006325350A (en) Power supply device
CN110870186A (en) DC-DC converter
JP4281959B2 (en) Synchronous rectificatio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GB2317029A (en) Output voltage stabilizing circuit of a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KR101907367B1 (en) Protection of speakers from thermal damage
KR100706438B1 (en) Charger comprising a degaussing block and degauss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egaussed thereby
KR100820308B1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CN115912948A (en) Adaptive boosting of rectified voltage in wireless charging systems
JP2020129856A (en) Current transformer and electromagnetic induction power gener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8922191B2 (en) Peak current controlled switching voltage regulato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lf power down mode
JP2005512485A (e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delay compensated current mode control
KR101358263B1 (en) Driver for voice coil motor, imaging apparatus and error detecting method thereof
US6559624B1 (en) Voltage converter capable of outputting a stable output voltage
KR100823084B1 (en) SMPS controller
CN219938237U (en)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rotation direction of direct-current high-voltage motor
JP2005006433A (en) Power supply device
KR100326563B1 (en) Degaussing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05192362A (en) Standby power reduc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