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334B1 -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334B1
KR100706334B1 KR1020050051538A KR20050051538A KR100706334B1 KR 100706334 B1 KR100706334 B1 KR 100706334B1 KR 1020050051538 A KR1020050051538 A KR 1020050051538A KR 20050051538 A KR20050051538 A KR 20050051538A KR 100706334 B1 KR100706334 B1 KR 100706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history
request
terminal
applican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252A (ko
Inventor
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5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334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18Call detai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통화 내역을 요청한 신청인 및 요청 사유에 상응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제공 장치에서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방법은 신청인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신청인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결과, 신청인이 단말기의 명의자인 경우에는,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인증번호에 의해 인증이 완료되면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명의자와 실제 사용자가 다를 경우에도 명의자로부터의 통화 내역 요청에 따른 인증절차가 간편한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화 내역, 단말기, SMS, 인증번호

Description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Method and Record Medium for providing detail of cal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말기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요청 신청인 및 요청 사유에 따른 인증절차 수행 여부를 나타낸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제공장치에서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제공장치에서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확인 메시지를 SMS로 전송할 시의 단말기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단말기
30 : 통신망
50 : 통화 내역 제공장치
60 : 데이터베이스(D/B)
본 발명은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통화 내역을 요청한 신청인 및 요청 사유에 상응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말기의 가입 명의자와 실제 사용자가 다를 경우, 명의자로부터 통화 내역 요청을 수신하여 따라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인증절차를 수행하기가 어려웠다. 현재 사용되는 인증절차는 전상상에 실제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만 실제 사용자와의 전화통화에 의해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그나마 전상상에 실제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어려워 통화 내역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아예 인증 절차가 생략되어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보안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의 명의자와 실제 사용자가 다를 경우에도 명의자로부터의 통화 내역 요청에 따른 인증절차가 간편한 통화 내역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증번호를 통한 인증절차 수행으로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 내역 요청 신청인 또는 통화 내역 요청 사유에 상응하여 인증절차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여 보안상 필요할 경우에만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효율성 높은 통화 내역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따르면, 통화 내역 제공 장치에서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청인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청인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결과,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인 경우에는,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번호에 의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방법 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따르면, 통화 내역 제공 장치에서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내역 요청 사유 및 신청인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 및 상기 신청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이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가 미리 설정된 인증 생략 사유이면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이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가 미리 설정된 인증 발송 사유이면,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번호에 의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측면 및 제 2측면에서,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되거나 인증된 수사기관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된 개인 또는 법인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번호 및 확인 메시지는 SMS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체 시스템은 단말기(10), 통신망(30), 통화 내역 제공장치(50),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0)는 PCS, 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뿐만 아니라, 전화국을 통해 통화하는 일반 전화기를 포함하는 음성 통화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지칭하며, 특히, 통화 내역 제공 장치(5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이하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되,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통화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해질 것이다.
통화 내역 제공장치(50)는 임의의 신청인으로부터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 받기를 요청받을 시, 해당 단말기(10)의 통화 내역을 데이터베이스(60)으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통화 내역 제공장치(50)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기에 앞서, 신청인의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이후 입력 또는 수신되는 번호와 상기 인증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인증번호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형식으로 해당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통화 내역 제공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제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통화 내역 제공장치(50)는 수신부(51), 인증번호 생성부(54), 메시지 전송부(55), 통화 내역 추출부(56), 저장부(57) 및 제어부(58)를 포함한다.
수신부(51)는 통화 내역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 내역 요청은 수신부(51)의 입력부(52)를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며, 통신부(53)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과 결합된 임의의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즉, 통신망을 통해 통화 내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입력부를 통해 통화 내역 요청을 입력받는다. 통화 내역 요청에는 통화 내역을 요청하는 신청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와 요청 사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인증번호 생성부(54)는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여 인증이 필요할 경우에는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번호는 숫자, 문자, 기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인증번호 생성부(54)에 의해 생성된 인증번호는 메시지 전송부(55)를 통해 단말기(10)로 전송된다.
메시지 전송부(55)는 인증번호가 포함된 메시지 또는, 인증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신청인으로부터 요청된 통화 내역 요청에 관한 확인 메시지를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메시지 전송방식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통화 내역 추출부(56)는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통화 내역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정보, 통화 시간 정보를 통해 해당 통화 내역을 추출한다.
저장부(57)는 인증번호 생성부(54)에서 생성된 인증번호를 임시 저장하거나, 서비스 가입된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의 정보에는 가입된 명의자, 사용자, 단말기 번호 또는 일련번호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7)에는 각 단말기마다 통화 내역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또는 법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수사기관, 공공기관에 의한 요청 등과 같이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통화 내역을 제공할 수 있는 신청인 또는 통화 내역 요청 사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58)는 상기 각 구성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인증번호 생성부(54)에서 생성된 인증번호와 수신부(51)를 통해 입력된 번호의 일치여부를 통해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화 내역 요청에 포함된 신청인 정보와 요청 사유 정보를 통해, 인증절차의 필요성과 통화 내역을 제공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인증절차 수행시 인증이 되지 않거나, 타당한 신청인이 아니거나 타당한 요청 사유가 아닌 경우에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신청인 및 통화 내역 요청 사유에 따른 인증절차 수행 여부 및 통화 내역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57)에 저장되는 단말기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요청 신청인 및 요청 사유에 따른 인증절차 수행 여부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3에 따르면, 단말기 정보는 각 단말기 번호에 대응하도록 명의자 및 실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기 정보를 통해 해당 명의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신청인이 명의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청인이 명의자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기 번호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신청인으로부터 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만을 통해 신청인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정보는 실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신청인이 명의자일 경우에도, 인증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신청인이 명의자가 아닌 경우에도 신청인 및 통화 내역 요청 사유에 따라 통화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통화 내역 제공 장치는 신청인 및 통화 내역 요청 사유에 따라 인증절차의 수행여부 및 확인 메시지 발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신청인이 명의자일 경우에도 단말기 분실 또는 파손 등의 사유일 경우에는 인증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통화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법원, 경찰, 국방부, 국가 정보원, 검찰 등의 수사기관의 요청에 따라서는 인증절차 및 확인 메시지 전송없이 통화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보다 우선되는 요청일 경우에는 인증절차 및 확인 메시지의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물론 상술한 수사기관 이외에도 인증절차가 생략될 수 있는 신청인이 미리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하에서는 수사기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각 단말기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개인 또는 법인일 경우에도 인증절차 없이 통화 내역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만을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의 통화요금을 회사에서 지원해줄 경우, 해당 회사의 법인명이 통화 내역 제공장치(50)에 등록되어 법인명으로 통화 내역을 요청하면 해당 통화 내역을 제공받는다.
통화 내역 제공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 통화 내역 요청 사유를 저장부(57)에 저장하고 있음으로, 신청인으로부터 통화 내역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인증절차의 수행여부 및 확인 메시지 발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제공장치에서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내역 제공장치에서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통화 내역 요청을 입력받거나 수신하고, 단계 515에서 통화 내역 요청에 포함된 신청인을 판단한다. 판단결과 단말기(10)의 명의자일 경우에는 단계 520에서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단계 525에서 인증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SMS형식으로 단말기(10)로 발송하고 임시 저장한다.
이후, 단계 530에서 인증을 위한 번호를 입력받거나 수신하면 해당 인증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일치하면 인증됐음을 인식하여 단계 535에서 통화 내역을 데이터베이스(60)로부터 추출하여 신청인에게 제공한다. 입력되거나 수신된 번호가 인증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증되지 않음을 인식하여 단계 540에서 인증 불가에 대한 메시지를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화 내역 요청을 전송한 장치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 515에서 신청인의 판단결과가 미리 설정된 개인 또는 법인일 경우에는 신청인 또는 통화 내역 요청 사유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요청에 관한 확인 메시지를 SMS를 통해 단말기(10)로 전송하고, 단계 535에서 통화 내역을 제공한다.
단계 515에서 신청인의 판단결과가 미리 설정된 수사기간과 같은 인증절차가 필요하지 않은 신청인 및 요청 사유일 경우에는 별도의 인증절차 및 메시지 전송없이 통화 내역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 내지 단계 615는 도 5의 단계 510 내지 515와 동일하며, 단계 620에서 신청인이 명의자일 경우 반드시 인증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인증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지를 요청 사유를 통해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분실 및 파손 등의 미리 설정된 요청 사유일 경우에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다.
판단 결과, 요청 사유가 인증발송 사유인 경우에는 단계 625내지 635에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된 경우 통화 내역을 제공한다.
판단 결과, 요청 사유가 인증생략 사유인 경우에는 단계 650에서 신청인 또는 통화 내역 요청 사유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요청에 관한 확인 메시지를 SMS를 통해 단말기(10)로 전송하고, 단계 640에서 통화 내역을 제공한다.
단계 615에서의 신청인의 판단결과가 미리 설정된 개인 또는 법인이거나, 수사기관일 경우에는 도 5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 및 확인 메시지를 SMS로 전송할 시의 단말기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증번호 메시지(700)는 통화 내역 요청이 있었다는 확인을 위한 내용("발신통화 번호 요청")과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 발송 시각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확인 메시지(710)는 통화 내역 요청 사유("요금확인용"), 제공된 내용("발신통화 번호 제공"), 발송 시각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증번호 메시지(700) 및 확인 메시지(710)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조직명에 대한 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발송된 메시지의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서, 통화 내역을 관리 및 제공하는 회사 또는 조직의 상호를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의 명의자와 실제 사용자가 다를 경우에도 명의자로부터의 통화 내역 요청에 따른 인증절차가 간편한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증번호를 통한 인증절차가 수행되어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는 통화 내역 요청 및 제공에 따른 단문 메시지(SMS) 등의 형식으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함에 따라, 누군가가 자신의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확인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어,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통화 내역 요청 신청인 또는 통화 내역 요청 사유에 상응하여 인증절차의 수행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보안상 필요할 경우에만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성 높은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통화 내역 제공 장치가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청인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단말기에 대한 통화 내역 요청을 입력 받거나 임의의 요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청인 정보를 이용하여 신청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인 경우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 이후, 상기 인증번호에 의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 또는 출력하고,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되거나 인증된 수사기관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 또는 출력하고,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된 개인 또는 법인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 또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2. 통화 내역 제공 장치가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화 내역 요청 사유 및 신청인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요청을 입력 받거나 임의의 요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 및 상기 신청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이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가 미리 설정된 인증 생략 사유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하거나 출력하고,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이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가 미리 설정된 인증 발송 사유인 경우,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번호에 의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하거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되거나 인증된 수사기관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된 개인 또는 법인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번호는 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메시지는 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화 내역 제공 방법.
  7.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기 위해 통화 내역 제공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통화 내역 제공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신청인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단말기에 대한 통화 내역 요청을 입력 받거나 임의의 요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청인 정보를 이용하여 신청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인 경우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 이후, 상기 인증번호에 의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 또는 출력하고,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되거나 인증된 수사기관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 또는 출력하고,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된 개인 또는 법인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 또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8. 단말기의 통화 내역을 제공하기 위해 통화 내역 제공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통화 내역 제공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통화 내역 요청 사유 및 신청인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내역 요청을 입력 받거나 임의의 요청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 및 상기 신청인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이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가 미리 설정된 인증 생략 사유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하거나 출력하고,
    상기 신청인이 상기 단말기의 명의자이고 상기 통화 내역 요청 사유가 미리 설정된 인증 발송 사유인 경우,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번호에 의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상기 요청 장치로 제공하거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되거나 인증된 수사기관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인이 미리 설정된 개인 또는 법인인 경우,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내역 요청에 상응하는 통화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50051538A 2005-06-15 2005-06-15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706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538A KR100706334B1 (ko) 2005-06-15 2005-06-15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538A KR100706334B1 (ko) 2005-06-15 2005-06-15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252A KR20060131252A (ko) 2006-12-20
KR100706334B1 true KR100706334B1 (ko) 2007-04-13

Family

ID=3781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538A KR100706334B1 (ko) 2005-06-15 2005-06-15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3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057A (ko) * 1999-07-24 2001-02-15 윤종용 이동무선 단말에서 통화요금 확인방법
KR20010054837A (ko) * 1999-12-08 2001-07-02 이계철 전자우편을 통한 이동전화 가입자의 통화내역 전달 방법
KR20020078879A (ko) * 2001-04-11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내역 실시간 통보 서비스 방법
KR20030027506A (ko) * 2001-09-28 2003-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컨텐츠 사용자의 인증및 과금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119034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상세내역 조회방법
KR20060039554A (ko) * 2004-11-03 2006-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서비스 이용내역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057A (ko) * 1999-07-24 2001-02-15 윤종용 이동무선 단말에서 통화요금 확인방법
KR20010054837A (ko) * 1999-12-08 2001-07-02 이계철 전자우편을 통한 이동전화 가입자의 통화내역 전달 방법
KR20020078879A (ko) * 2001-04-11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 내역 실시간 통보 서비스 방법
KR20030027506A (ko) * 2001-09-28 2003-04-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컨텐츠 사용자의 인증및 과금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119034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상세내역 조회방법
KR20060039554A (ko) * 2004-11-03 2006-05-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의 서비스 이용내역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252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5839B2 (en) Call authentification methods and systems
CN101808094A (zh) 身份认证系统和方法
CN107563712A (zh) 一种移动终端打卡方法、装置、设备及系统
TWI640189B (zh) 電信認證之身分核實系統及其方法
CN102984335A (zh) 拨打固定电话的身份认证方法、设备和系统
KR20120092857A (ko) 메시지 인증 방법
JP2009193272A (ja) 認証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CN108235310A (zh) 识别伪装电话号码的方法、服务器以及系统
CN105635060B (zh) 一种获取应用数据的方法、鉴权认证服务器及网关
CN108833105B (zh) 电子签名方法及装置
KR101793958B1 (ko) 검증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예방 방법
KR100706334B1 (ko) 통화 내역 제공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N109460647A (zh) 一种多设备安全登录的方法
KR101718368B1 (ko) 생체 인식을 통한 보안 통신 시스템 및 방법
EP2204030B1 (en) Transmission of messages
KR101662233B1 (ko) 발신 인증을 이용한 보이스 피싱 예방 방법
WO2018157211A1 (en) Securely verifying voice communication
KR102335892B1 (ko)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AU2019101103A4 (en) Securely verifying voice communication
KR20150092733A (ko) 검증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예방 방법
KR20110068465A (ko) 통신 단말의 Wi-Fi망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92074A (ko) 보이스 피싱 예방을 위한 등록 발신자 식별음 제공 시스템,방법 및 기록매체
TWI449402B (zh) 電子設備的名片發送、接收與更新方法及系統
JP4760842B2 (ja) 認証システム
KR2006011407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공인인증서를 이용한네트워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공인인증서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