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5591B1 -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5591B1
KR100705591B1 KR1020060005804A KR20060005804A KR100705591B1 KR 100705591 B1 KR100705591 B1 KR 100705591B1 KR 1020060005804 A KR1020060005804 A KR 1020060005804A KR 20060005804 A KR20060005804 A KR 20060005804A KR 100705591 B1 KR100705591 B1 KR 100705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message
management
network
client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5591B1/ko
Priority to US11/640,900 priority patent/US2007016841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0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 H04L41/060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filtering, e.g. reduction of information by using priority, element types, position or time based on severity or prio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관리 클라이언트 별 자동 메시지(Autonomous Message)의 수신 허용 여부를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로만 상기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관리 클라이언트가 특정 자동 메시지에 대하여 발생 금지 명령을 내리는 경우, 다른 관리 클라이언트가 상기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Autonomous Message Transmission}
도 1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컬 옵션 자동 메시지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옵션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의 내부 구조를 나 타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메시지 발생 금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입력창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메시지 발생 금지 메시지 출력창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관리 클라이언트 모듈 222 :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
20 : 관리 서버 223 : 계정 관리 모듈
30 : 네트워크 장비 321 : 자동 메시지 생성 모듈
221 :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 322 : 자동 메시지 이벤트 제어 모듈
본 발명은 TL1, SNMP 등을 이용한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무 환경에서 정보 인프라 구축을 위하여 네트워크가 대규 모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라우터(Router), 스위치(Switch)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들이 증가하게 되어 네트워크 관리에 더욱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를 하는 도구들이 필요하게 되었고, 현재 네트워크 장비의 물리적인 장애를 해결하고 상태 점검과 제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안정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내의 통신 서비스에 사용되는 라우터, 스위치, 허브, 서버 등을 감시, 제어, 관리하는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 대상 장비들을 감시하고 제어한다. 즉,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상의 관리 대상 장비들과 통신함으로써 관리 대상 장비의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MIB : Management Information Base)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장비에 대하여 명령을 내리게 되고, 네트워크 장비는 이에 대하여 응답을 하고, 상기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그 후 명령 수행 결과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 통지하게 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장애 관리, 성능 관리, 구성 관리, 보안 관리 등의 기능과 관련된 명령을 내리게 된다.
장애 관리는 발생한 장애에 대하여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리고, 이 장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그 대처 방안을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신속한 네트워크 장애 복구를 하는 것이다. 성능 관리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현재 혹은 과거의 상태, 그 활용도 및 부하를 검사하여 미래의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검출한 기능이다. 구성 관리는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를 비롯하여 서버나 클라이언트 PC 등의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뿐만 아니라 프로토콜, 토폴로지와 같은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이다. 마지막으로 보안 관리는 내부의 중요한 데이터에 대하여 외부로부터의 침입이나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각종 네트워크 장비(NE : Network Element)와 이를 관리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이 포함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장비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 실시간 자동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과 관련된다. 여기서 자동 메시지(Autonomous Message)는 TL1 표준에 의하여 정의된 알람(Alarm), 에러(Falut), 이벤트(Event)를 통보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여러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중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특정의 네트워크 장비에 발생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자동 메시지(Autonomous Message)의 전송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 메시지의 전송을 중지시키게 되면,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다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도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특정 네트워크 장비의 자동 메시지의 발생 금지는 실제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하나의 네트워크 장비에서 발생한 자동 메시지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 보고되지 못하여 최악의 경우 네트워크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시스템이 운용자가 예상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 메시지 발생하지 원하는 경우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이를 통보하고,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로만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관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클라이언트,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 및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 별 자동 메시지(Autonomous Message) 수신 허용 여부를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로만 상기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허용 여부를 저 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수신한 자동 메시지를 수신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관리 클라이언트로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은 상기 수신한 자동 메시지의 코드, 중요도, 자동 메시지 생성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 특성의 자동 메시지를 수신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제1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로컬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여 응답받도록 하는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이벤트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고,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허용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의 계정을 추가, 수정, 삭제하는 계정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자원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관리 서버로부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메시지 표시 모듈 및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의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그 결과를 관리 서버로 응답하는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전송된 자동 메시지를 수신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자동 메시지를 상기 검색된 관리 클라이언트에게만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관리 서버는 제1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로컬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거나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고,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 결과에 따라 각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자동 메시지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생성 모듈과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여 응답받는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이벤트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은 네트워크 관리 서버가 네트워크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네트워크 장비가 소정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자동 메시지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관리 서버가 제1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로컬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소정의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상기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는 단계와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자동 메시지의 코드, 중요도, 자동 메시지 생성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메시지 특성 별로 수신 허용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관리 클라이언트(NMS Client)(10), 관리 서버(NMS Server)(20) 및 관리 서버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NMS Database), 네트워크 장비(NE : Network Element)(30) 및 서브 네트워크 장비(Sub Network Element)(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 클라이언트(10)는 관리 서버(20)들로부터 자동 메시지를 수용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관리 클라이언트(10)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로컬 옵션, 또는 글로벌 옵션의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자신이 등록한 각 네트워크 장비(30)의 자동 메시지를 수용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24, 25, 26)에 저장하고 연결된 관리 클라이언트(10)들에게 전파한다. 본 발명에서 관리 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24, 25, 26)는 각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20)는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10)로만 자동 메시지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장비(30)는 네트워크 장비에 연결된 서브 네트워크 장비(40)들의 자동 메시지를 수용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34, 35, 36)에 저장하는 한편 연결된 관리 서버(20)들에게 전파한다. 네트워크 장비(30)는 글로벌 옵션의 전송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관리 서버(20)를 이용하여 자동 메시지 금지 이벤트를 각 관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서브 네트워크 장비(40)는 네트워크 장비(30)에 연결되어 있는 부속 장비로써 네트워크 장비(30)의 제어를 받는다. 서브 네트워크 장비(40)에 의하여 자동 메시지 전송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장비(30)를 통하여 각 관리 클라이언트(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를 이용한 자동 메시 지 전송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는 각 관리 클라이언트(10) 별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를 수신 허용 또는 수신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관리 클라이언트(11)는 500번 코드의 자동 메시지 수신 명령 또는 자동 메시지 금지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리 클라이언트(10)는 로컬 옵션 또는 글로벌 옵션의 자동 메시지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각 옵션에 따른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자.
로컬 옵션의 자동 메시지 제어 명령은 상기 명령을 내리는 관리 클라이언트(10)에만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제1 관리 클라이언트(11)가 로컬 옵션으로 특정 자동 메시지의 금지 명령을 내린 경우, 상기 제1 관리 클라이언트(11)로는 해당 자동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다. 물론 다른 관리 클라이언트(12, 13)로는 자동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로컬 자동 메시지 제어 명령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신이 체크할 필요가 없는 자동 메시지를 수신 금지시키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글로벌 옵션의 자동 메시지 제어 명령은 상기 명령을 내리는 관리 클라이언트(10)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관리 클라이언트(10)에 적용될 수 있다. 관리 클라이언트(10)가 글로벌 옵션으로 특정 자동 메시지 제어 명령을 내린 경우, 네트워크 내의 각 관리 클라이언트(10)에게 해당 자동 메시지 수신 금지 여부를 질문한다. 상기 질문에 대하여 자동 메시지 수신을 금지하기로 응답한 관리 클라이언트(10)로는 해당 자동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게 된다. 이하, 예를 들어 자동 메시지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1, 22, 23)는 총 3개로 구성되는데 각각 네트워크 장비 1, 2, 3(31, 32, 33)을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다. 관리 서버(20)는 관리하고 있는 네트워크 장비 1, 2, 3(31, 32, 33)으로부터 자동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를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관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만일, 제1 관리 클라이언트(11)가 1440 코드를 가진 자동 메시지를 로컬 옵션으로 금지하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이러한 명령은 제1 관리 서버(21)로 전달된다. 제1 관리 서버(21)는 제1 관리 클라이언트(11)가 1440번 코드를 가진 자동 메시지 수신을 원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한다. 그 후 제1 관리 서버(21)가 제2 네트워크 장비(32)로부터 1440번 코드의 자동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24)를 참조하여 자동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관리 서버(21)는 제1 관리 클라이언트(11)로 1440번 코드의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제2, 3 관리 클라이언트(12, 13)로만 상기 자동 메시지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각 관리 서버(20)는 관리 클라이언트(10)로부터 글로벌 옵션으로 자동 메시지 금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리 클라이언트(11)가 제3 네트워크 장비(33)의 1670번 코드의 자동 메시지 수신을 글로벌 옵션으로 전송 금지한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제1 관리 서버(21)는 상기 글로벌 옵션의 자동 메시지 금지 명령을 제3 네트워크 장비(33)로 전달하여 자동 메시지 금지 이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3 네트워크 장비(33)로 자동 메시지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이유는 제1 관리 서버(21)가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11, 12, 13)뿐만 아니라, 제2, 3 관리 서버(22, 23)가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14~17)에게도 상기 명령을 적용하기 위함이다.
제3 네트워크 장비(33)는 제1, 2, 3 관리 서버(21, 22, 23)를 통하여 제2 내지 제7 관리 클라이언트(12~17)로 상기 자동 메시지 금지 이벤트를 전달한다. 이를 수신한 제2 내지 제7 관리 클라이언트(12~17)는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1670번 코드의 자동 메시지 수신을 금지할 것인지 입력받아 제1 내지 제3 관리 서버(21, 22, 23)로 전달한다. 각 관리 서버(20)는 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차후 제3 네트워크 장비(33)로부터 1670번 코드의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를 참고하여 상기 자동 메시지를 선택적 전송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컬 옵션 자동 메시지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관리 클라이언트(10)는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로컬 옵션으로 특정 네트워크 장비의 특정의 자동 메시지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S301). 이 경우 네트워크 관리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통하여 상기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기 타 CLI(Command Line Interface)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관리 클라이언트(10)는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10)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302). 관리 서버(20)는 상기 발생 금지 명령을 수신하고,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호출한다(S303). 관리 서버(20)는 호출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10)가 상기 자동 이벤트를 수신 또는 허용한다는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304). 관리 서버(20)는 네트워크 장비(30)로부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동 메시지를 전송한다(S305). S305 과정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옵션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임의의 관리 클라이언트(10)는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글로벌 옵션으로 특정 네트워크 장비(30)의 특정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S401).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10)는 이러한 상기 발생 금지 명령을 관리 서버(20)를 통하여 해당 네트워크 장비(30)로 전달한다(S402).
상기 해당 네트워크 장비(30)는 자신을 관리하는 모든 관리 서버(20)로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403). 상기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감지한 관리 서버(20)는 자신이 관리하는 각 관리 클라이언트(10)로 상기 이벤트를 전달한다(S404).
이벤트를 전달받은 관리 클라이언트(10)는 상기 자동 메시지 제어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수락 여부를 입력받는다(S405). 이에 따라 관리 클라이언트(10)는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자동 메시지 제어의 수락 여부를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S406).
살펴본 바와 같이 자동 메시지 제어 방법은 자동 메시지 수신 허락 명령 또는 자동 메시지 수신 금지 명령으로 구분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10)가 자동 메시지 수신 금지를 원하는지 판단한다(S407).
만일, 자동 메시지 금지를 선택한 경우, 관리 서버(2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수신 상태를 금지 상태로 업데이트한다(S408).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동 메시지 수신 허용을 선택한 경우 관리 서버(20)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해당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수신 상태를 허용 상태로 업데이트하게 된다(S409).
관리 서버(20)는 이와 같이 업데이트된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따라 자동 메시지를 각 관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S41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네트워크 장비(30)는 서브 네트워크 장비(40) 또는 네트워크 장비(30)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자동 메시지를 생성한다(S501).
관리 서버(20)는 네트워크 장비(30)로부터 자동 메시지가 전송되는지 주기적 으로 체크한다(S502).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관리 서버(20)는 자동 메시지의 코드를 체크하고 상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할 관리 클라이언트(10) 목록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503). 즉, 도 3 또는 도 4의 과정에 의하여 저장된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허용 여부 정보를 체크하는 것이다(S504).
만일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수신 상태가 금지 상태인 경우, 관리 서버(20)는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10)로 현재 수신한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S505).
만일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수신 상태가 허용 상태인 경우, 관리 서버(20)는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10)로 현재 수신한 자동 메시지를 전송한다(S506). 이에 따라 관리 클라이언트(10)는 자동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한편 이를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507).
관리 서버(20)는 자신이 관리하는 모든 관리 클라이언트(10)에 대하여 상기 S503내지 S507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S508). 모든 관리 클라이언트(10)에 대하여 자동 메시지의 선택적 전송이 종료되는 경우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2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데이터베이스(230), 제어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관리 클라이언트(10) 또는 네트워크 장비(30)와 통 신을 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이를 통하여 자동 메시지 또는 자동 메시지 허용 또는 금지 명령 등의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은 TL1, SNMP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는 네트워크에 속한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관리 클라이언트별, 자동 메시지 종류 별로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클라이언트(10)별로 정보를 관리한다는 것은 특정의 관리 클라이언트(10)에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자동 메시지에 대하여 각각 수신 여부를 관리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자동 메시지 별로 정보를 관리한다는 것은 특정의 자동 메시지를 선택한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의 수신 상태를 네트워크 내의 관리 클라이언트(10)별로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제어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메시지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며,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221),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222), 계정 관리 모듈(22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221)은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를 어느 관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할 것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221)은 자동 메시지의 인덱스인 1423을 추출한다.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221)은 추출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230)를 검색하게 된다. 그 결과 제2, 제3 관리 클라이언트만 1423번 인덱스의 자동 메시지를 수신 허용한 경우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221)은 그 자동 메시지를 제2, 제3 관리 클라이언트로만 전송하는 것이다.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222)은 각 관리 클라이언트(10)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설정하는 구성 요소이다.
예를 들어, 제1 관리 클라이언트(11)가 로컬 옵션의 1500번 코드의 자동 메시지 금지 명령을 내린 경우, 제1 관리 서버(21)의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222)은 데이터베이스(230) 중 제1 관리 클라이언트(21)의 1500번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제4 관리 클라이언트(14)가 1600번 코드의 글로벌 옵션의 자동 메시지 전송 금지 명령을 내린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 전송 금지 명령은 네트워크 장비(30)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관리 서버(21)는 네트워크 장비(30)로부터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222)은 상기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자신이 관리하는 제2, 제3 관리 클라이언트(12, 13)로 전달한다. 상기 제2, 제3 관리 클라이언트(12, 13)는 자동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222)로 응답한다.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222)은 상기 응답 결과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30)를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계정 관리 모듈(223)은 관리 서버가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10)의 계정을 추가, 수정, 삭제하는 구성 요소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제5 관리 클라이언트(15)로부터 접속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제2 관리 서버(22)의 계정 관리 모듈(223)은 제5 관리 클라이언트(15)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 등 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장비는 데이터 송수신부(310)와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자동 메시지 생성 모듈(321)과 자동 메시지 이벤트 제어 모듈(322)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로부터 글로벌 옵션의 자동 메시지 금지 명령을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자동 메시지 이벤트 제어 모듈(322)은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30)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서버(20)로 전파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생성하였다고 하여도, 상기 네트워크 장비(30)는 자동 메시지를 종래와 동일하게 생성한다. 네트워크 장비(30)의 자동 메시지 생성 모듈(321)은 기존과 동일하게 자동 메시지를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20)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수신을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10)로만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클라이언트(10)는 데이터 송수신부(110), 제어부(120),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30), 메모리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관리 서버(20), 네트워크 장비(30)의 경우와 동일하게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비에 해당한다.
제어부(120)는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 모듈(121)과 자동 메시지 표시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 모듈(121)은 관리 서버(20)로부터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전달받은 경우 그에 따른 제어를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30)를 통하여 자동 메시지 전송을 허용 또는 금지할 것인지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물어보고, 그 응답을 입력받아 관리 서버(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자동 메시지 표시 모듈(122)은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로 자동 메시지가 전달된 경우, 이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한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3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30)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케 하거나, 자동 메시지를 조회하는 등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물론, 네트워크 관리자는 다른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3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클라이언트의 그래픽 유저 인터 페이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조작하여 전체적인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의 제어를 위하여 관리 클라이언트는 도 6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 클라이언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7가지의 주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1번 메뉴는 현재 관리되고 있는 네트워크 장비를 트리(Tree) 형태의 구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비를 클릭함으로써 제어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2번 메뉴를 이용하여 제어하려는 자동 메시지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2번 메뉴를 선택하면, 알람(Alarm), 에러(Fault), 상태(Status)의 서브 메뉴가 존재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만일 네트워크 관리자가 에러 관련 자동 메시지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Fault 서브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다.
3번 메뉴는 자동 메시지 옵션을 설정하는 메뉴이다. 만일, 3번 메뉴에서 로컬(Local)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만 자동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다. 만일 3번 메뉴에서 글로벌(Global)을 선택하는 경우, 1번 메뉴에서 선택된 대상 네트워크 장비를 관리하는 모든 관리 클라이언트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동 메시지를 수신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4번 메뉴는 조회(Get), 허용(Allow), 금지(Inhibit) 단추로 구성될 수 있다. 조회(Get) 단추를 클릭하는 경우 네트워크 장비의 정보를 가져와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허용(Allow) 또는 금지(Inhibit) 단추를 클릭하는 경우 1번, 2번, 3번 메뉴 에서 선택한 옵션에 따라 자동 메시지 전송을 허용 또는 금지하게 된다.
5번 내지 7번 메뉴는 자동 메시지의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다. 5번 메뉴는 1번 메뉴에서 선택한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자동 메시지 코드(Code), 자동 메시지 중요도(Severity), 자동 메시지 이름(Name), 자동 메시지 분류(Category), 자동 메시지 타입(Type)과 허용 여부(ALW/INI)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5번 메뉴 중 6번 메뉴는 자동 메시지의 허용 또는 금지 여부를 로컬 또는 글로벌 옵션으로 지정했는지 표시하는 창이다. 마지막으로 7번 메뉴는 현재 수신되는 자동 메시지를 표시하는 창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자는 특정의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자동 메시지를 허용 또는 금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자가 도 6과 같이 1번 메뉴의 EMS 그룹, 2번 메뉴의 Alarm, 3번 메뉴의 Local을 선택하고, 4번 메뉴의 Inhibit 단추를 누르는 경우, EMS 그룹에 속하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발생되는 Alarm 자동 메시지를 로컬 옵션으로 전송 금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메시지 발생 금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입력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자는 글로벌 옵션으로 자동 메시지 발생 금지를 명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관리자는 1번 메뉴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와 5번 메뉴의 자동 이벤트 발생 이벤트를 선택하고, 3번 메뉴 중 글로벌 옵션을 선택한 후 4번 메뉴의 inhibit을 선택하면 된다. 이 경 우 관리 클라이언트는 도 7의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
글로벌 옵션으로 자동 메시지 전송 중지를 명령하는 경우, 다른 관리 클라이언트도 자동 메시지 수신을 중지할 것인지 물어보게 된다. 이 경우 단순히 자동 메시지 수신을 중지할 것인지만 묻는 것이 아니라, 자동 메시지 전송 중지 이유를 같이 표시하는 것이다.
도 10에서는 자동 메시지를 글로벌 옵션으로 중단한 네트워크 관리자가'시험중이므로 이 Fault를 잠시 발생 금지합니다.'라는 문구를 입력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메시지 발생 금지 메시지 출력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의 과정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비는 자동 이벤트 발생 금지 이벤트를 생성하여, 다른 관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데, 이 경우 입력된 메시지도 같이 전달된다. 관리 클라이언트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메시지와 함께 자동 메시지 수신을 금지할 것인지 물어보는 메시지 출력창을 팝업한다. 상기 메시지 출력장을 살펴보면 1040, SLPP, (MIN) 의 문자열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1040 문자열은 자동 메시지의 코드를 의미한다. SLPP는 자동 메시지 알람 그룹을 의미하며, (MIN)은 중요 등급을 의미한다. 또한, 도 10에서 입력한'시험중이므로 이 Fault를 잠시 발생 금지합니다.'라는 문구도 같이 표현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 클라이언트는 자동 메시지 이벤트의 정보와 함께 발생 금지 이유를 출력하므로, 네트워크 관리자는 자동 메시지 발생 금지 이벤트가 생성된 이 유를 쉽게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 장비는 통신을 위하여 TL1 프로토콜을 이용하지만, 본 발명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등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따라 임의의 관리 클라이언트가 특정 자동 메시지에 대하여 발생 금지 명령을 내리는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 수신을 원하는 다른 관리 클라이언트로 자동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아 네트워크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다른 네트워크 관리자는 자동 메시지 금지 명령의 이유를 쉽게 전달받을 수 있으며, 그에 대하여 편리하고 능동적으로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클라이언트;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 및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 별 자동 메시지(Autonomous Message) 수신 허용 여부를 저장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로만 상기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허용 여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와
    상기 수신한 자동 메시지를 수신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관리 클라이언트로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은,
    상기 수신한 자동 메시지의 코드, 중요도, 자동 메시지 생성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시지 특성의 자동 메시지를 수신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제1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로컬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여 응답받도록 하는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이벤트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고,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허용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제어하는 관리 클라이언트의 계정을 추가, 수정, 삭제하는 계정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8. 네트워크 관리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네트워크 자원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관리 서버로부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를 상기 인터 페이스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메시지 표시 모듈; 및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의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동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그 결과를 관리 서버로 응답하는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 모듈을 포함하는 관리 클라이언트.
  9. 네트워크 관리 서버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전송된 자동 메시지를 수신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자동 메시지를 상기 검색된 관리 클라이언트에게만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로컬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고, 상기 쿼리에 대한 응답 결과에 따라 각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관리 모듈은,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13. 네트워크 장비에 있어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자동 메시지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생성 모듈; 과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여 응답받는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 메시지 이벤트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
  14.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 서버가 네트워크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네트워크 장비가 소정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자동 메시지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자동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자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제1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로컬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소정의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상기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는 단계; 와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부터 쿼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관리 클라이언트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 또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자동 메시지 제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에 속한 각 관리 클라이언트로 소정의 자동 메시지 수신 여부를 쿼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메시지 수신을 허용한 관리 클라이언트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자동 메시지의 코드, 중요도, 자동 메시지 생성 장비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와
    상기 추출된 메시지 특성 별로 수신 허용하는 관리 클라이언트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20060005804A 2006-01-19 2006-01-19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0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804A KR100705591B1 (ko) 2006-01-19 2006-01-19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640,900 US20070168416A1 (en) 2006-01-19 2006-12-19 Controlling autonomous message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804A KR100705591B1 (ko) 2006-01-19 2006-01-19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5591B1 true KR100705591B1 (ko) 2007-04-09

Family

ID=3816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804A KR100705591B1 (ko) 2006-01-19 2006-01-19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68416A1 (ko)
KR (1) KR100705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45203B (zh) * 2010-12-30 2013-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管理的方法、装置及网络管理系统
US8744980B2 (en) 2011-09-21 2014-06-0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sis of network equipment command line interface (CLI) and runtime management of user interface (UI) generation for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613A (ko) * 1998-12-01 2000-07-05 이계철 교환시스템에서의 텍스트 입출력 명령어 처리방법
KR20040045486A (ko) * 2001-10-05 2004-06-01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공용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할 때 클라이언트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4341B1 (en) * 1999-11-19 2003-05-13 Nortel Networks Limited Carrier-grade SNMP interface for fault monitoring
US7457858B1 (en) * 2001-04-02 2008-11-25 Fujitsu Limited Filtering network management messages
FR2846821B1 (fr) * 2002-11-04 2005-03-11 Cit Alcatel Dispositif et procede de controle de donnees de gestion d'equipements de reseau, pour un systeme de gestion de reseau de communications
DE60309286T2 (de) * 2003-04-23 2007-05-31 Comptel Corp. Ereignisvermittlung
US7573808B2 (en) * 2004-08-06 2009-08-11 Fujitsu Limited Smart resync of data between a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a network el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613A (ko) * 1998-12-01 2000-07-05 이계철 교환시스템에서의 텍스트 입출력 명령어 처리방법
KR20040045486A (ko) * 2001-10-05 2004-06-01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공용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요청할 때 클라이언트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68416A1 (en)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4987A (en) Method of dynamically creating nodal views of a managed network
US7831664B2 (en) Resource list management system
KR100620054B1 (ko) 장치 관리 기술에서의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05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component-based system
US20120246297A1 (en) Agent based monitoring for saas it service management
CN102045337A (zh) 用于管理网络资源的装置和方法
CN100349414C (zh) 远程管理系统
CN101005399A (zh) 网络设备管理方法、网络设备和网络设备管理系统
KR20120124345A (ko) 연결 상태 확인 이벤트에 기반하여 m2m 통신 개체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7665097B2 (en) Associating notifications of the status of a data network by use of a topology editor
KR100705591B1 (ko) 자동 메시지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726789A (zh) 流量管理、配置流量管理策略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5348907B2 (ja) サービス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sco Network Topology
Cisco CDM Software Overview
KR101214651B1 (ko) Snmp trap을 이용한 usp의 장애발생을 sms를 이용하여 통지하는 장치
JP2004023571A (ja) 監視装置、監視対象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およびメッセージ送信抑止制御方法
KR100608917B1 (ko) 분산 포워딩 구조 라우터의 장애 정보 관리방법
KR20030059367A (ko) 원격지에서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2283192B1 (ko) 다수개의 네트워크 장비 및 관리자용 대시보드를 연계하기 위한 임베디드 장치 연결 및 통신 방식의 내부 네트워크 통합 관리 방법 및 장치
Shankar et al. Network Manage-ment Using SNMP
CN109104291B (zh) 断网控制方法、断网控制装置以及网络控制系统
KR100256672B1 (ko) 통신관리망 환경에서의 데이터 일치 방법
KR20040046882A (ko) 운용자 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JP5629911B2 (ja) 無線基地局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の監視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