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385B1 -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 Google Patents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4385B1 KR100704385B1 KR1020050113398A KR20050113398A KR100704385B1 KR 100704385 B1 KR100704385 B1 KR 100704385B1 KR 1020050113398 A KR1020050113398 A KR 1020050113398A KR 20050113398 A KR20050113398 A KR 20050113398A KR 100704385 B1 KR100704385 B1 KR 1007043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upport
- center
- peripheral
- buoyancy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863 Cortaderia jub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82 Grewia occid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54 ir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식물을 인공의 부유구조물에 식재하여 댐이나 자연호수 또는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로서, 수중 바닥에 고정되어 최고 수위 이상의 높이로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100); 중앙 주위에 다수개의 식물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식물망 삽입홈(114)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테두리 측면 각각에는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홈(116)이 형성되며,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하여 지주(1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중앙에 지주(100)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는 지주삽입홈(112)이 구비되는 중앙프레임(110); 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22)과 파이프 삽입홈(124)이 구비된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 및 일측면에만 파이프 삽입홈(134)이 길게 구비된 다수개의 마감프레임(130)으로 구성되되,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quality purification for improving water quality of dams or natural lakes or rivers by planting aquatic plants in artificial floating structures, which are fixed to the bottom of water and vertically installed at a height above a maximum water level (100); A plant network insertion groove 114 is formed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plant networks are inserted and fixed around the center, and pipe insertion grooves 116 into which buoyancy pipes 140 are inserted are formed at each side of the edge. A central frame 110 having a support insertion groove 112 into which the support 100 is vertically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center so as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support 100 by buoyancy; A plurality of peripheral frames 120 having a plurality of plant network insertion grooves 122 and pipe insertion grooves 124 formed in the above shape; And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nishing frames 130 provided with a long pipe insertion groove 134 only on one side,
상기 중앙프레임(110) 외곽으로 주위프레임(120)이 연결되고 각각의 주위프레임(120) 외곽으로 별개의 주위프레임(120) 또는 마감프레임(130)이 차례로 연결되도록, 중앙프레임(110)과 주위프레임(120) 사이 및 주위프레임(120)과 마감프레임(130) 사이에 소정 길이의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간에 U볼트(150)로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된다.The peripheral frame 1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frame 110, and each of the peripheral frame 120 or a separate peripheral frame 120 or the finishing frame 130 is connected in turn, the center frame 110 and the surroundings Fastening with U bolt 150 between each frame 110, 120, 130 with buoyancy pipe 140 of predetermined length inserted between frame 120 and between peripheral frame 120 and finishing frame 130. It is formed as a whole structure.
지주, 중앙프레임, 주위프레임, 마감프레임, 부력파이프 Strut, center frame, surrounding frame, finishing frame, buoyancy pip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부유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floating structure is installed.
도 2는 종래의 부유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floating structure is installed.
도 3은 종래의 부유구조물에 식물망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nt network is coupled to the conventional floating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구조물의 정단면도.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5b 및 5c는 각각 도 4를 구성하는 중앙프레임, 주위프레임 및 마감프레임의 사시도.5a, 5b and 5c are perspective views of a center frame, a peripheral frame and a finishing frame, respectively, of FIG.
도 6a, 6b 및 6c는 각각의 프레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6A, 6B and 6C are sectional views showing respective frame coupling states.
도 7은 본 발명의 부유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floa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지주 102 : 기초콘크리트100: shore 102: foundation concrete
110 : 중앙프레임 112 : 지주삽입홈110: center frame 112: strut insertion groove
114, 122 : 식물망 삽입홈114, 122: Inserting slotted plant
116, 124, 132 : 파이프 삽입홈 120 : 주위프레임116, 124, 132: pipe insertion groove 120: surrounding frame
130 : 마감프레임 140 : 부력파이프130: finishing frame 140: buoyancy pipe
150 : U볼트150: U bolt
본 발명은 수생식물을 인공의 부유구조물에 식재하여 댐이나 자연호수 또는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파이프가 테두리에 내장된 프레임상에 수생식물을 식재한 식물망을 탑재하여 수면 위에 설치함으로써 수생식물에 의한 수중의 유기질 및 영양염류를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시키는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dams, natural lakes or rivers by planting aquatic plants in artificial floating structures, and more specifically, a plant network in which a buoyancy pipe is planted on a frame with a buoyancy pipe embedded therein. By installing on the water surface to remove the organic and nutrients in the water by aquatic plants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of water purification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우리나라는 댐에 의하여 조성되거나 습지나 호수와 같은 담수호가 많은데, 담수호는 상류로부터 축사의 오염물질과 생활 하수, 잉여분의 비료 및 농약 등이 유입되어 적조나 플랑크톤 등의 이상 증식이 일어나는 부영양화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In Korea, there are many freshwater lakes, such as wetlands and lakes, formed by dams, and the freshwater lakes often contain contaminants, live sewage, surplus fertilizers, and pesticides from upstream, causing abnormal growth of red tide and plankton. Is generated.
이러한 부영양화는 담수의 생태계를 파괴하여 담수내의 모든 생물을 폐사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담수호에 갈대, 달뿌리풀, 물억새, 꽃창포, 줄, 부들 등과 같은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영양물질을 흡수,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임은 주지의 사실이다.This eutrophication destroys freshwater ecosystems and kills all living creatures in freshwater, so in order to prevent them, it is necessary to plant aquatic plants such as reeds, moon roots, pampas grass, irises, rows and buds to absorb and remove nutrients. Effectiveness is well known.
그런데 수생식물은 수심이 낮은 담수호의 가장자리에 심는 것은 가능하지만,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 없으므로 부력에 의하여 수면에 뜨는 인공의 부유구조물에 수생식물을 식재할 필요가 있었다.However, it is possible to plant aquatic plants at the edge of freshwater lakes with low depth, but since plants cannot grow in deep waters, it is necessary to plant aquatic plants in artificial floating structures floating on the surface by buoyancy.
종래의 부유구조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08705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대나무나 목재 등 천연재질로 부유체를 만들고, 천연 섬유사 매트를 올려놓아 흙을 채우고 수생식물을 심은 포트를 천연 섬유사 매트에 끼워서 수면에 부유하도록 하였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loating structu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0-0008705, a floating body is made of natural materials such as bamboo or wood, and a natural fiber yarn mat is placed to fill soil and plant aquatic plants on the natural fiber yarn mat. To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부유구조물에 의하면 천연재질의 부유체와 매트는 내구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부패가 진행되므로 오히려 수질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대형화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loat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floating material and mat of the natural material is not only weak in durability, but because the decay progresses over a long period of use can act as a water pollution source, there was a fundamental problem that can not be enlarged.
이러한 부유구조물을 개선한 종래의 다른 부유구조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4911호)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Referring to another conventional floating structu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74911) that improves such a floating structur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0)에는 망상구조물로 된 식물망(20)이 탑재되도록 다수개의 개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식물망에는 수생식물이 식재된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틀(1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고정틀(10)과 다수개 연결되고, 외곽 고정틀(10)의 모서리에는 부유체(30)가 설치되어 전체 구조물을 수면에 부상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체 구조물이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떠내려가지 않도록 고정틀(10)은 앵커(40)에 의하여 수중 바닥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그러나, 위와 같이 형성된 부유구조물은 부유체(30)가 고정틀(10)의 외곽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형화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는 부유틀(10)의 개수를 증가시키게 되면 부유체(30)가 설치되지 않은 중앙 부분이 수면 아래로 침수되어 제기능을 다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홍수와 같이 담수호의 수위가 급 격히 상승하게 되면 전체 구조물을 고정시키고 있던 앵커(40)의 기능이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유체(30)가 고정틀(10) 외곽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므로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floating structure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because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담수호의 수위나 유속의 급격한 증가가 있더라도 유실되거나 침수되지 않도록 수중 바닥에 고정된 지주에 결합되고, 수생식물이 식재될 프레임이 대규모로 설치되더라도 침수되지 않도록 각각의 프레임 사이에 부력파이프가 내장된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a support fix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so that even if there is a sudden increase in the water level or flow rate of freshwater lakes are not lost or flooded, aquatic pla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in which buoyancy pipes are embedded between frames to prevent flooding even if the frames are installed in a large sca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은, 담수호의 부영양화를 방지하는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면 위에 부유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of water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structur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to plant aquatic plants to prevent eutrophication of freshwater lakes,
수중 바닥에 고정되어 최고 수위 이상의 높이로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100);A
중앙 주위에 다수개의 식물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식물망 삽입홈(114)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테두리 측면 각각에는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홈(116)이 형성되며,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하여 지주(1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중앙에 지주(100)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는 지주삽입홈(112)이 구비되는 중앙 프레임(110);A plant
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22)과 파이프 삽입홈(124)이 구비된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 및A plurality of
일측면에만 파이프 삽입홈(134)이 길게 구비된 다수개의 마감프레임(130)으로 구성되되,Only one sid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상기 중앙프레임(110) 외곽으로 주위프레임(120)이 연결되고 각각의 주위프레임(120) 외곽으로 별개의 주위프레임(120) 또는 마감프레임(130)이 차례로 연결되도록, 중앙프레임(110)과 주위프레임(120) 사이 및 주위프레임(120)과 마감프레임(130) 사이에 소정 길이의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간에 U볼트(150)로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조명등(102)을 포함한 시설물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프레임(110)은 지주삽입홈(112)이 수직하게 반분되도록 분할되어 지주(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U볼트(150)로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구조물의 정단면도이고, 도 5a, 5b 및 5c는 각각 도 4를 구성하는 중앙프레임, 주위프레임 및 마감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6a, 6b 및 6c는 각각 중앙프레임의 결합상태, 중앙프레임과 주위프레임의 결합상태 및 주위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부유구조물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5b and 5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er frame, peripheral frame and finishing frame constituting Figure 4, respectively, Figures 6a, 6b and 6c Each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enter frame, the coupling state of the center frame and the peripheral frame and the coupling state of the peripheral frame and the finishing frame,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a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본 발명은 크게, 전체 부유구조물을 수중 바닥에 고정시키는 지주(100)와, 지주(100)에 결합되는 중앙프레임(110), 중앙프레임(110)의 외곽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 주위프레임(120)의 외곽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마감프레임(130),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을 부상시키는 부력파이프(140) 및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을 체결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주(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기초콘크리트(102)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그 상단은 적어도 최고 수위 이상의 높이이어야 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이때, 지주(100)에 결합되는 중앙프레임(110) 외곽과 연결되는 주위프레임(120)에 또 다시 연결되는 주위프레임(120)의 수가 많을수록 지주(100)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므로 지주(10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보강지지대(104)를 별도의 기초콘크리트(102)에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the number of the
본 발명을 구성하는 중앙프레임(110)은 상기 지주(100)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는 지주삽입홈(112)이 중앙에 형성되어,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하여 지주(100)를 따라 중앙프레임(110)이 승하강된다. 그리고 그 주위에는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다수개의 식물망(도 1에서의 20)을 탑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14)이 수직하게 형성된다.The
이와 같이 형성된 중앙프레임(11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주삽입홈(112)의 하부 개구를 통하여 지주(100) 상단으로 삽입된다.The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중앙프레임(11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의 조립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지주(100) 상단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명등(106)이 설치되어 있거나 분수의 노즐이 설치된 구조물인 경우 지주(100) 상단으로의 삽입이 곤란하므로 지주(100)의 외주면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110)의 지주삽입홈(112)이 반원형으로 수직하게 반분되도록 2개의 조립체로 형성되며, 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주삽입홈(112)에 지주(100)의 외주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조립체 중앙 근방에 형성된 체결구(118)의 하부를 통과하여 U볼트(150)의 상단을 삽입시킨 후 U볼트(150)의 상단에 와셔(152)를 삽입한 다음 너트(154)로 고정시킴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중앙프레임(110)을 이루게 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A, the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위프레임(120)은 상기 중앙프레임(110)과 유사하게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22)과 파이프 삽입홈(124)이 구비된다.The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마감프레임(130)은 상기 주위프레임(120)의 측면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프레임(120)의 파이프 삽입홈(124)과 대응되는 형상의 파이프 삽입홈(132)이 구비되어 있어 주위프레임(120)의 외곽에 부력파이프(14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한 부유구조물 전체를 마감하게 된다.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중앙프레임(110), 주위프레임(120) 및 마감프레임(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주위로 중앙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중앙프레임(110) 외곽으로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이 연결되고, 각각의 주위프레임(120) 외곽으로 별개의 주위프레임(120) 또는 마감프레임(130)이 설치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프레임(110)과 주위프레임(120) 또는 주위프레임(120)과 별개의 주위프레임(120)의 결합을 살펴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110, 120) 외곽으로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되도록 양측단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구(118, 126) 하부로 U볼트(150)를 삽입시킨 후 그 상단에 와셔(152)를 삽입시킨 다음 너트(154)로 체결함으로써 각각의 프레임(110, 120)은 견고하게 연결된다.Specifically, looking at the combination of the
이때 부력파이프(140)는 1개의 프레임(110, 120) 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로도 할 수 있으나 프레임의 연결 형태에 따라 2 이상의 프레임(110, 120) 길이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부력이 충분한 경우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되 전체 부유구조물이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주위프레임(120)과 마감프레임(130)의 결합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combination of the
한편,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부유구조물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각의 프레임(110, 120) 연결 방식을 변경, 예컨대 중앙프레임(110)의 외곽 일부에만 주위프레임(120)을 연결하게 되는 전체 부유구조물의 형태를 바꿀 수 있으며, 프레임(110, 120)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된 육면체(4각기둥) 이 외에 삼각기둥, 오각기둥 등의 형태로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십자가, 별, 꽃 모양 등)를 표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지주(100)와 이와 결합되는 별도의 중앙프레임(110)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내구성을 강화시킴은 물론, 설계자가 원하는 복잡한 형태를 표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을 사용하면, 중앙프레임 중앙이 지주에 결합되어 유수에 떠내려갈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위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 외곽에 부력파이프가 설치됨으로써 많은 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더라도 어느 한 쪽으로의 치우침 없이 수면위에 부상하게 된다. 또한 지주의 상단에 조명등과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각각의 프레임 형태 및 연결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표출이 가능하므로 주위 환경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using the floating water purification structure of the water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of the central frame is coupled to the shore, there is no fear of floating in the running wat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fluctuation of the water level, respectively The buoyancy pipe is installed outside the frame, so even if a large number of frames are connected, they float on the water surface without any bias. In addition, by installing facilities such as lighting on the top of the pillar, or by changing the shape of each frame and the connection type can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3398A KR100704385B1 (en) | 2005-11-25 | 2005-11-25 |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13398A KR100704385B1 (en) | 2005-11-25 | 2005-11-25 |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7208U Division KR200369561Y1 (en) | 2004-09-22 | 2004-09-22 | Floating structural body for purifying water quality of river, lake and mars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7302A KR20060027302A (en) | 2006-03-27 |
KR100704385B1 true KR100704385B1 (en) | 2007-04-06 |
Family
ID=3713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13398A KR100704385B1 (en) | 2005-11-25 | 2005-11-25 |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438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MX2011011789A (en) * | 2009-05-08 | 2011-11-29 | Macrofitas S L | Floating assembly structure. |
ES2358715B1 (en) * | 2009-09-23 | 2012-03-21 | Macrofitas S.L. | SYSTEM AND DEVICES FOR HELP IN THE PLANTATION AND GROWTH OF VEGETABLE SPECIES IN FLOATING OF THE MACROPHYT TYPE IN USES INTENDED FOR WATER CLEANING. |
US11490572B2 (en) | 2017-11-30 | 2022-11-08 | Chris Walker | Modular floating structure |
CN108046435A (en) * | 2017-12-19 | 2018-05-18 | 高邮市恒昌泡沫制品有限公司 | It is a kind of biological floating bed |
CN115006897B (en) * | 2021-12-30 | 2023-09-12 | 广州城建职业学院 | Assembled sewage immersible pump supports lake water filter equipm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0640A (en) * | 1999-05-10 | 2002-01-05 | 아코르디스 인두스트리알 피베르스 게엠베하 | Thread-forming polyesters and copolyester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2005
- 2005-11-25 KR KR1020050113398A patent/KR10070438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0640A (en) * | 1999-05-10 | 2002-01-05 | 아코르디스 인두스트리알 피베르스 게엠베하 | Thread-forming polyesters and copolyester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200264083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7302A (en) | 2006-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0237B1 (en) | An ecological system for restoration of the water-ecology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ater | |
KR100714673B1 (en) | Multifunctional Ecological Restoration Artificial Island | |
KR20020096770A (en) | Floating island with Mooring apparatus and Mooring apparatus for variable water level | |
KR101309593B1 (en) | Artificial plant island for preventing water bloom and purifying water | |
KR20020074911A (en) | Floating structural body for purifying water quality of river, lake and marsh | |
KR100704385B1 (en) | Floa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 |
KR100289084B1 (en) | System for purifying quality of water of river using aquatic plant | |
KR200433035Y1 (en) | Frame structure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river banks | |
KR200202650Y1 (en) | Floatablely artificial island for purifying quality of water of river | |
KR100297876B1 (en) | Artificial Water Purification Diagram of Fresh Water Lake | |
KR101239060B1 (en) | Floating body for cultivating plants | |
KR200369561Y1 (en) | Floating structural body for purifying water quality of river, lake and marsh | |
KR101742191B1 (en) | EcoLogical type artificial island | |
KR100834091B1 (en) | Fence prefabricated ecological aquatic island | |
JPH10276598A (en) | Floating planter and fixing method therefor | |
KR200181461Y1 (en) | Floating bridge for observing artificial floating island | |
KR101154472B1 (en) | A plant floating island reinforced the outside | |
KR20070017567A (en) | Natural retaining wall blocks used to create natural ecosystems | |
KR100595961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Artificial Plant Island for Water Purification of Streams | |
KR101343259B1 (en) | Planting Structure for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Macrophyte | |
KR100675145B1 (en) | Variable frame structure of river for improving self-cleaning function | |
KR200202649Y1 (en) | Buoyant element of artificial floating island | |
KR102419030B1 (en) | Artificial Floating Island Having Bidirectional Vegetation Base Materials | |
CN213738797U (en) | Lifting ecological floating bed | |
KR100886265B1 (en) | Artificial plant islan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8 | Dual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51125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