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149B1 -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 Google Patents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149B1
KR100704149B1 KR1020050072394A KR20050072394A KR100704149B1 KR 100704149 B1 KR100704149 B1 KR 100704149B1 KR 1020050072394 A KR1020050072394 A KR 1020050072394A KR 20050072394 A KR20050072394 A KR 20050072394A KR 100704149 B1 KR100704149 B1 KR 10070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photocatalyst
water
atomization tank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7800A (ko
Inventor
이바도
Original Assignee
이바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바도 filed Critical 이바도
Priority to KR102005007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1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2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layered or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로 가습기의 공기 송풍수단과 필요한 경우에는 가습기의 다른 요소에 자외선 램프와 광촉매가 코팅된 접촉부를 갖는 광촉매 리액터를 제공하여 습기를 갖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슈퍼옥시젼과 하이드록시 라디칼을 사용하여 분무입자를 살균함으로써
낮은 소비전력으로 살균형 가습기를 제공한다.
살균형 가습기, 광촉매, 리액터

Description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humidifier with sterilizatin function using photocatalytic reactor}
도1은 종래의 복합식 가습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2는 종래의 다른 복합식 가습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서 송풍수단에 광촉매 리액터를 장착한 실시양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4는 상기 도3의 송풍수단만을 사시도로 보인 것이고,
도5는 도3과 다른 광촉매 리액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6은 도3과 또 다른 광촉매 리액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서 유로에 광촉매 리액터를 장착한 실시양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8은 상기 도7의 유로만을 사시도로 보인 것이고,
도9는 본 발명에서 물통에 광촉매 리액터가 장착된 실시양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에서 무화조에 광촉매 리액터가 장착된 실시양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30, 31; 물통 40;무화조 90; 광촉매 리액터
91; 팬 96;투명보호관 98; 자외선 램프
110; 유로 111;물통 밸브 개방 돌출부
본 발명은 살균형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동절기에는 난방시스템의 발전과 더불어 실내공기가 건조하게 되어 노약자들에게 호흡기계통의 질병이 유발되기 때문에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가습기가 많이 사용된다.
가습기에는 가습방식에 따라 히터가습기와 초음파가습기로 대별된다
히터가습기는 무화조 내의 물을 높은 온도로 가열시켜 발생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방식이고 초음파방식은 무화조내의 물을 초음파로 진동하는 진동자에 의하여 물을 미세 입자화하여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이다.
히터가습기에는 물을 가열증발시키기 위해서 고용량의 히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무화입자가 충분하게 발생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에 의하여 무화된 가습입자를 형성시키고 송풍기에 의하여 무화입자를 토출시키므로 진동자와 접하고 있는 물과 무화입자는 오염된 송풍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세균이 번식되고 이러한 세균을 분무와 함께 공기중에 비산시킴으로서 노약자에게는 오히려 심각한 건강상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진동자와 접하고 있는 무화조에서 세균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수조의 물을 정수한다든지 수조의 물이 초음파 진동자에 닿기 전에 가열하여 소독한다든지 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한국특허 제164173호에는 수조의 물이 초음파진동자에 닿기 전에 별도의 가열실에서 가열하는 가열살균식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습기에 사용하는 물은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소독의 필요성이 낮고 가습기에 사용되는 물을 무화조와는 별도로 끓인다든지 정수한다는 것은 비능률적이다.
가습기내 무화조의 세균번식은 가습기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로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무화조의 물 또는 무화입자와의 접촉에 의하여 실내공기에 기인한 세균이 번식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뉴스매체에서 발표한(SBS 2002.12. 25. 8시뉴스) 실험 데이터에 의하면 초음파 가습기에서 공급된 물이 잔류염소량에 의하여 처음 하루 동안은 세균이 1mm리터당 10마리로 억제되다가 이틀째는 600마리 사흘째는 10만마리로 증식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가습기는 일반적으로 바닥에 위치하고 바닥에 쌓은 먼지 등에 포함된 세균이 송풍에 의하여 무화조에 혼입되고 무화조내의 습기와 온도조건에 의하여 번식하여 무화입자와 함께 실내공기 중에 비산되어 실내에 퍼지게 된다. 다시말하면 가습기가 잘못 사용되면 실내 세균오염을 확산시켜 건강에 도음이 되기는 커녕 심각한 위험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습기 무화조 내의 세균번식은 송풍기에서 공급된 오염된 실내공기에 의하여 유발되고 알맞은 습도조건에 의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가습기에 공급하는 물을 정수한다고 하여 해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조로부 터 무화조로 공급되는 물을 부분적으로 가열하는 것 또한 무화조 전체의 물을 살균온도와 살균시간 이상 유지하지 않는 이상 세균번식을 막을 수 없다. 송풍기에 공기정화기능을 부여하여 정화된 송풍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은 구조가 복잡하고 살균효능이 불확실할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필터를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또한, 초음파 가습기가 내뿜는 차가운 무화입자의 온도를 높이거나 초음파 진동자의 무화기능을 보조하거나 무화입자를 미립화하거나 또는 살균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송풍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 2001-88754호에는 무화입자 분출관에 히터가 내장된 방열판으로 된 증발기를 구비한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1998-56268호에는 히터 코일이 출구에 배치되고 팬이 후방에 위치한 열풍로를 채택하여 초음파 진동자 상부의 수면에 열풍을 비산 시켜 무화입자의 온도를 높이고 초음파 무화기능을 보조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14450호에는 방열판에 의한 열풍 송풍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157781호는 히터 및 초음파 복합가습기에서 무화조 전단계의 가열조의 히터 방열판을 송풍공기 출구관으로 연장하여 송풍공기를 예열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송풍 가열방식은 그 구조 자체가 무화입자의 가온을 위하여 고려된 것으로 유입공기의 완전한 살균을 위하여 불충분한 구조이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 1998-56268호에는 열풍로에 히터 코일을 배치하여 공기를 가열시키므로 공기의 평균적인 온도는 상승할 수 있지만 유입공기 전부가 살균온도이상으로 히터와 접촉하는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지 의문이다. 한국특허공개 2001-88754호는 분 무입자의 배출구에서 분무입자를 가열(증발)시키기 때문에 송풍공기는 무화조에서 무화입자나 무화조 내의 물과 접촉하므로 실내공기로부터 유인된 세균오염을 막을 수 없다.
한편 마츠시타의 일본실용공개 특개평 6-58581과 특개평 6-147569호에는 무화조를 소형으로 설계하고 물 저장수단 하부의 저수조와 상기 무화조를 턱이나 다른 전동밸브로서 차단하여 무화조에 유입된 소량의 수량을 무화조 측벽에 장착된 히터로 저온 살균온도로 가열하고 진동자로 무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마츠시타의 기술은 저온 살균 방법으로 무화조에 유입된 소량의 물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므로 가장 실질적인 방법 중에 하나이기도 하지만 물 저장수단과 저수조의 물이 항상 연통되고 무화조와 저수조와의 사이도 전동밸브에 의하여 차단될 때도 있지만 서로 연통되므로 가열이 되지 않은 저수조와 가열이 되는 경우에도 불충분한 온도와 시간 때문에 무화조의 물과 송풍공기의 유입에 의하여 특히 더 낮은 온도인 무화조의 무화입자는 세균에 노출되고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기타 물 저장수단에서 자외선 살균 장치를 설치거나 송풍기 출구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살균을 도모하는 고안과 발명들이 상당수 있다. 그러나 자외선에 의한 살균은 상당한 접촉시간이 소요되고 자외선이 조사되는 표면에 국한된다. 스쳐 지나가는 바람에 자외선이 조사된다고 살균되지 않음이 명백하다. 뿐만 아니라 살균이 수행되어야 하는 곳은 유출되는 분무입자에 영향을 미치는 무화조이다.
광촉매는 최근 10여년 동안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오염물질의 원소화에 의한 간단한 제거방식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지만 몇 가지 제약에 의하여 시장에서 각광받는 뚜렷한 제품이 없다. 그 이유의 첫째는 도핑 등의 방법으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 광촉매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자연광(자외선 5%이하)이나 실내광의 영역에서 효율적인 광촉매가 개발되지 않았다는 것이고 둘째는 광촉매의 탑재부위는 자외선으로 효과적으로 조사되어야 함과 동시에 셋째는 광촉매의 탑재부에 피처리물의 이동이 원활하여야 함에도 이런 조건 들은 서로 상충되거나 동시에 만족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피처리물의 이동과 탑재된 광촉매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허니컴 구조의 반응기가 고려되지만 허니컴의 내측 벽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자는 광촉매 반응기가 오염물의 연속적인 처리에는 부족하지만 자외선에 여기된 광촉매 효과의 정공과 전자에 의한 OH·라디칼과 O2 _ 생성에 의하여 이런 물질이 무화조에 도입되고 가습기 무화조의 항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데 착안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형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이 낮은 살균형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음파 가습기가 내뿜는 차가운 무화입자를 가열하여 접촉감이 적절하고 미세한 무화입자를 분무하는 가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 저장수단; 저면에 초음파 진동자가 배치된 무화조; 상기 물 저장수단에서 상기 무화조에 물을 흘러보내기 위한 유로; 상기 무화조에 송풍공급구를 통하여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 상기 무화조에 설치된 무화입자 배출구;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에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살균형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수단, 상기 무화조, 상기 유로와 상기 송풍수단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자외선 램프, 공기 또는 물 통과용 종방향 통로와 공기 또는 물이 접촉하도록 광촉매가 코팅된 접촉부를 가진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각 구성요소가 연결되거나 형성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습기는 별도의 가열실을 가지거나 상기 무화조에 히터를 갖는 복합식 가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습기는 밸브 조작 없이 상기 무화조와 상기 유로와 상기 물 저장수단의 밸브 수위에 의하여 무화조의 수위가 보충되어 제어되는 통상적인 가습기뿐만 아니라 무화조의 수위 센서에 의하여 물 저장수단의 밸브가 개폐 제어되는에 단속형 가습기에도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와 상기 송풍수단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송풍수단이 상기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수단은 가열형 송풍수단일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리액터는 간단한 구조로는 예를 들면 구형 또는 원주형 또는 이들의 변형의 용기와 이 용기의 내 벽면에 코팅된 광촉매와 이 광촉매에 빛이 조사되도록 이 용기의 중 심부 인근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진다. 이 때 광촉매 코팅된 벽면이 접촉부를 구성한다.
상기 광촉매 리액터는 조금 복잡한 구조로는 예를 들면, 원주형, 반원주형 또는 이들의 변형의 용기와 이 용기의 중심 상에 배치된 길다란 자외선 램프와 이 자외선 램프를 중심축으로 하여 용기 벽면에 연접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또는 경사진 원형 또는 일련의 나선형의 리브 또는 배플과 상기 리브또는 배플에 광촉매가 탑재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용기의 내 벽면에 광촉매가 탑재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배플은 통기성 구조 또는 불통기성 구조로서 상기 조사 수단에 의하여 잘 조사되도록 배치된다. 배플 또는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중심축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조사 수단에 직각으로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는 수정, 파이렉스, 유리, 화학적으로 안정한 플라스틱 또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다른 고체 등으로 자외선 투과용 보호 튜브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촉매로 사용되는 화합물에는 티타늄 산화물을 비롯하여 예를 들면 지르코늄, 비소, 아연, 주석 또는 세륨의 산화물 또는 카드뮴의 산화물 또는 황화물등이 있다. 이러한 반도체성 재료는 특정 에너지 준위 보다 높은 에너지 주파수의 빛을 흡수하여 정공과 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와 정공은 강력한 산화 환원 작용에 의하여 접촉되는 산소 수소 또는 물 등과의 반응에 의하여 라디칼을 형성하고 형성된 라디칼은 후속 분해 반응으로 이루어져 고급 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을 구성한다. 광촉매 화합물 중에서 이산화티탄은 미분말의 제조가 용이하고 인체에 무해하고 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조촉매로서 백금족 금속, Au, Ag, Cu, Ni, Rh, Sn, Co 등의 금속이나 루테늄 산화물, 니켈 산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그리드로 된 리브는 통기성이 있는 클로스, 예를 들면, 유리섬유포에 광촉매를 탑재하여 제조된다. 광촉매 탑재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나노광촉매 분말을 세라믹 졸 바인더를 이용하여 용기의 벽 또는 상기의 리브에 침지 등의 방법으로 탑재한다.
상기 송풍수단에 포함되는 광촉매 리액터는 송풍기와 무화조와 연결되는 송풍공급구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광촉매 리액터는 간단하게는 원주형의 길다란 튜브로서 광촉매 반응에 불활성인 물질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리질이거나 이들로 피복된 재료로서 내벽이 광촉매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 크기의 이산화티탄이 피복되고 상기 원주형의 중심부에는 자외선 램프가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자외선 램프에 덧붙여 벽을 가열하기 위하여 별도의 적외선 램프와 같은 히터를 자외선 램프와 같이 배치하거나 송풍기와 광촉매 리액터 사이에 히터를 배치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램프를 중심으로 하여 통과하는 공기와 광촉매와의 접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광촉매가 탑재된 투과성 원형 또는 경사진 원형의 리브를 가질 수 있다. 광촉매가 탑재된 불투과성 또는 투과성 헬리칼 리브를 가질 수도 있다. 불투과성 헬리칼 리브는 공기의 통과길이를 증가시켜 광촉매 접촉부와 접촉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유로에 포함되는 광촉매 리액터는 그 자체가 바람직하게는 유로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하프 실린더 형으로의 자외선 램프가 길게 배치된다. 유리와 같은 자외선 차단막이 설치되면 상부가 개방돼도 상관없다. 상기 송풍수단에 포함 되는 광촉매 리액터와 같이 투과성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물 저장수단에 포함되는 광촉매 리액터는 상기 송풍수단에 포함되는 광촉매 리액터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 저장수단의 광촉매 리액터는 바람직하게는 물 저장수단의 물통, 이 물통 내벽에 피복된 이산화티탄과 이 물통이 상기 유로에 연결되도록 밸브가 개방되도록 물통 결합부에 돌출되고 이 물통과 결합시에 물통 내부로 돌출되어 물통의 내부 벽을 조사하는 전구형의 자외선 램프로 구성된다.
상기 무화조에 포함되는 광촉매 리액터는 상기 물 저장수단에 포함되는 광촉매 리액터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리액터는 원주형 무화조와 무화조 벽면에 코팅된 광촉매제와 무화조 중심부에 인근에 위치한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 저장수단은 일반적으로 물을 넣기 위한 입구와 뚜껑을 가지고 무화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개방 가능한 밸브를 가진다. 밸브 조작 없이 상기 무화조와 상기 유로와 상기 물 저장수단의 밸브 수위에 의하여 무화조의 수위가 보충되어 제어되는 통상적인 가습기 방식뿐만 아니라 무화조의 수위 센서에 의하여 물 저장수단의 밸브가 개폐 제어되는 단속형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초음파 진동자, 히터, 송풍기 및 제어회로 등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에 필요한 주파수와 전압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초음파 진동자, 히터, 송풍기, 전기 제어수단, 전원부와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가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수납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의 전압, 전류와 개폐를 제어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 또는 상기 전기 제어수단은 가습기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하우징의 하부 내측에 보이지 않도록 수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무화조에 설치된 무화입자 배출구는 무화조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무화입자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무화조 뚜껑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분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2는 종래기술을 도시한 것이다.
도1은 가열 및 초음파복합가습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무화조(142)에는 초음파진동자(162)가 배치되어 있고 무화조(142)와 수조(132) 사이에는 히터(152)가 장착된 가열실(182)을 배치하여 수조(132)의 물을 가열하여 무화조(142)로 보내고 무화조에서는 초음파진동자(162)에 의하여 가습하는 방식을 꾀하고 있다. 무화입자는 배출구(172)로 배출된다. 가열살균이 무화조에서 일어나지 않고 무화조에서는 송풍기(192)의 공기에 의하여 오염되기 때문에 송풍의 공기에 기인한 세균을 없앨 수는 없다.
도2는 마쯔시다의 일본 특개평 6-147569호에 개시된 기술로 물통(206) 밑의 저수조(215)와 무화조(202) 사이에 전동밸브(216)를 설치하고 무화조(202)는 초음파 진동자(204)와 히터(203)를 배치하여 일부 만의 물을 저온살균온도로 가열하여 소비전력을 낮춘 복합식 가습기를 개시하고 있다. 송풍기(211)에 의하여 측벽 흡입구(209)로 유입된 공기는 무화조(208)를 거쳐 배출구(213)로 배출되면서 무화조(208)내의 무화입자를 같이 배출한다. 무화조에는 히터(212)가 배치되고 무화조바닥에는 초음파 진동자(205)가 배치되어 가열하면서 무화시킨다. 수위감지센서(212)는 무화조의 물높이를 감지하여 전동밸브(216)을 여닫아 일정수위를 유지한다. 물통 밑의 저수조(215)와 전동밸브(216) 개방시에 물이 무화조(202)와 상기 저수조(215) 사이에 연통이 가능하므로 상기 저수조(215)에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농후하고 상기 무화조의 저온살균온도에서 살균되지 않을 정도의 많은 미생물이 무화조(202)로 유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화조 내에 있는 무화입자는 도입되는 상온의 살균되지 않은 공기에 의해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 되고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를 보여준다. 도4는 광촉매 리액터와 일체화된 송풍수단 만을 떼어서 사시도로 표시한 것이다. 송풍기 리액터 구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초음파 가습기와 유사하다. 무화조(41)바닥에는 초음파 진동자(60)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수단은 광촉매 리액터(90)와 일체화되어 있다. 팬(91)에 의하여 인입된 공기는 중심부의 투명보호관(96) 내부의 자외선 램프(98)와 내부 벽에 코팅된 광촉매로 이루어진 광촉매 리액터(90)를 따라 흐른다. 광촉매 리액터(90)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일부는 자외선이 조사된 내벽 광촉매(99)와 접촉하여 수퍼옥시젼(O2 _)과 하이드록사이드 라디칼(OH·)이 형성되고 이들은 상기 광촉매 리액터나 무화조(40)내에서 강력한 살균적용을 한다.
도5는 도4의 광촉매 리액터와는 달리 공기흐름상에 광촉매가 탑재된 그리드(100)가 다수 형성된 경우를 보여준다. 자외선 램프(98)는 투명보호관(96)을 통해 상기 그리드(100)와 내벽의 광촉매를 조사하고 팬(91)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이들과 접촉하여 O2 _ 과 OH·를 생성하게 된다.
도6은 도5와는 달리 헬리칼 핀(103)을 장착하였다. 이러한 핀은 공기투과성 또는 공기 불투과성일 수 있다. 도5와 마찬가지로 광촉매를 장착한다. 인입공기와 광촉매의 접촉을 증가시키고 광촉매 조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4, 도5와 도6에서 팬(91) 다음에 히터(도시 안됨)를 배치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공기는 송풍공급구(93)를 경유하여 개구부(95)에서 무화조(41) 또는 무화조 상부의 무화조(40)으로 들어간다. 개구부는 경우에 따라서 물속에 노출될 수 있다. 개구부가 물속에 설치될 때는 체크밸브(94)와 같은 역류방지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도7과 도8은 물통(30)으로 부터 무화조(40)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110) 상에 광촉매 리액터가 일체형으로 설치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8은 광촉매 리액터와 일체화된 유로(110)만을 떼어서 시시도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 광촉매 리액터는 가습기 본체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도록 하프 실린더 형이고 유로 상단부에는 돌출부(111)을 마련하여 물통의 밸브를 개방하고 하프실린더의 중심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118)는 투명 보호관(116)을 통하여 하프실린더 내벽에 코팅된 광촉매(117)을 조사하고 이들과 접촉하는 물 또는 공기는 수퍼옥시젼(O2 _)과 하이드록사이드 라디칼(OH·)이 형성되고 이들은 상기 광촉매 리액터나 무화조(40)내에서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
도9는 물통(31)에 광촉매 리액터가 설치된 경우를 보여준다. 본체의 물통 결합부 근처에 돌출된 투명보호관(36) 내부에 장착된 자외선 램프(38)가 물통(31) 내부벽의 광촉매 코팅층(37)을 조사한다. 이들과 접촉하는 물 또는 공기는 수퍼옥시젼(O2 _)과 하이드록사이드 라디칼(OH·)이 형성되고 이들은 물통(40)내에서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
도10는 무화조(40) 바닥에 광촉매 리액터가 설치된 경우를 보여준다. 무화조 하부 중심부 가까이에 자외선 램프(68)가 투명보호관(66)내부에 장착되어 설치되고 무화조 하부 벽의 광촉매 코팅층(62)을 조사한다. 이들과 접촉하는 물 또는 공기는 수퍼옥시젼(O2 _)과 하이드록사이드 라디칼(OH·)이 형성되고 이들은 무화조(40)내에서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가열식 살균 방식(보통400w)이나 중간가열실 방식(보통140w)보다 적은 소비전력으로 살균형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물 저장수단; 저면에 초음파 진동자가 배치된 무화조; 상기 물 저장수단에서 상기 무화조에 물을 흘러보내기 위한 유로; 상기 무화조에 송풍공급구를 통하여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수단; 상기 무화조에 설치된 무화입자 배출구; 전원공급수단;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기로 작동하는 부위에 전류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무화조, 상기 물저장수단, 상기 유로와 상기 송풍수단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자외선 램프, 공기 또는 물 통과용 종방향 통로와 공기 또는 물이 접촉하도록 광촉매가 코팅된 접촉부를 가진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별도의 가열실을 가지거나 상기 무화조에 히터를 갖거나 가열형 송풍수단을 갖는 살균형 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는 무화조의 수위 센서에 의하여 물 저장수단의 밸브가 개폐 제어되는 단속형인 살균형 가습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와 상기 송풍수단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이 상기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리액터는 구형 또는 원주형 용기와 이 용기의 내 벽면에 코팅된 광촉매와 이 광촉매에 빛이 조사되도록 배치된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진 살균형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리액터는 원주형, 반원주형 또는 이들의 변형의 용기와 이 용기의 중심 상에 배치된 기다란 자외선 램프와 이 자외선 램프를 중심축으로 하여 용기 벽면에 연접되어 형성된 다수의 원형 또는 경사진 원형 또는 일련의 나선형의 그리드 형 리브와 상기 그리드 형 리브에 광촉매가 탑재되고 상기 용기의 내 벽면에 광촉매가 탑재된 구조를 갖는 살균형 가습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 포함되는 광촉매 리액터는 하프 실린더 형으로의 자외선 램프가 길게 배치된 살균형 가습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수단에 포함되는 광촉매 리액터는 물통, 이 물통 내벽에 피복된 이산화티탄과 이 물통이 상기 유로에 연결되도록 밸브가 개방되도록 물통 결합부에 돌출되고 이 물통과 결합시에 물통 내부로 돌출되어 물통의 내부 벽을 조사하는 전구형의 자외선 램프로 구성된 살균형 가습기
KR1020050072394A 2005-08-08 2005-08-08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KR10070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94A KR100704149B1 (ko) 2005-08-08 2005-08-08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2394A KR100704149B1 (ko) 2005-08-08 2005-08-08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800A KR20070017800A (ko) 2007-02-13
KR100704149B1 true KR100704149B1 (ko) 2007-04-06

Family

ID=4162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394A KR100704149B1 (ko) 2005-08-08 2005-08-08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6534A1 (de) * 2014-12-09 2016-06-15 Roland Ing Kucera Luftbefeuchtungsvorrichtung zur Erhöhung der Raumluftfeuchtigkeit
CN106247516A (zh) * 2016-09-30 2016-12-21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健康振子、超声波加湿器和超声波清洗杀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44Y1 (ko) * 2008-01-03 2009-12-21 (주)엔드테크 살균기능을 향상시킨 가습기
FR2939046B1 (fr) * 2008-11-28 2011-01-21 Delattre Ind Dev Did Dispositif de brumisation muni de moyens de desinfection et un procede de desinfection associe
KR20130106997A (ko) * 2012-03-21 2013-10-0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led를 이용하는 살균기능이 있는 가습기
KR101375136B1 (ko) * 2012-05-21 2014-03-17 (주)위너테크 살균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102287262B1 (ko) 2014-05-13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737526A (zh) * 2019-02-28 2019-05-10 南通领先电器有限公司 家用空气净化器
CN110243027B (zh) * 2019-06-04 2021-02-02 成都钛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液相环流空气净化装置
CN110553332B (zh) * 2019-09-25 2024-03-19 佛山市一格科技有限公司 加湿器
KR102418190B1 (ko) * 2020-11-11 2022-07-07 (주)대영프로파일 초음파 분무 장치
CN117295915A (zh) * 2021-12-24 2023-12-26 科泰光触媒株式会社 一种加湿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2666A (ja) * 2003-08-19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映像投射装置およびその冷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2666A (ja) * 2003-08-19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映像投射装置およびその冷却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2005-62666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6534A1 (de) * 2014-12-09 2016-06-15 Roland Ing Kucera Luftbefeuchtungsvorrichtung zur Erhöhung der Raumluftfeuchtigkeit
CN106247516A (zh) * 2016-09-30 2016-12-21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健康振子、超声波加湿器和超声波清洗杀菌装置
CN106247516B (zh) * 2016-09-30 2019-03-19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健康振子、超声波加湿器和超声波清洗杀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7800A (ko) 200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149B1 (ko) 광촉매 리액터를 포함하는 살균형 가습기
KR100704148B1 (ko) 살균형 가습기
US9974881B2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JP3769595B2 (ja) 殺菌・脱臭手段を備えた空調装置
KR100943328B1 (ko) 공기살균기
KR20170036434A (ko) 가습 기능을 갖는 차량용 공기 청정기
KR100642818B1 (ko) 광촉매 공기청정기
KR102244689B1 (ko) 차량용 살균 정화 모듈, 차량용 살균 정화 장치 및 차량용 살균 정화 모듈의 설치 방법
CN205878423U (zh) 一种异味净化消毒机
CN110621353A (zh) 流体处理装置
CN115297901A (zh) 空气净化和灭菌单元
KR102183301B1 (ko)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JP3364708B2 (ja) 空調装置
JP2008073152A (ja) 乾燥装置
KR100704147B1 (ko) 살균형 가습기
KR101404402B1 (ko) 공기살균정화기능을 갖는 대용량 음용수공급장치
KR20030027362A (ko) 공기정화기
CN112443915A (zh) 一种加湿器及其控制方法
KR100935624B1 (ko) 가습장치
KR200321858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대용량 살균 및 정화장치
KR100601183B1 (ko) 탈취 및 살균 기능의 플라스마 가습장치
KR20100106173A (ko) 공기 살균 환기 시스템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2174252B1 (ko) 광촉매 장치
KR200262735Y1 (ko)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