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044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044B1
KR100702044B1 KR1020050019172A KR20050019172A KR100702044B1 KR 100702044 B1 KR100702044 B1 KR 100702044B1 KR 1020050019172 A KR1020050019172 A KR 1020050019172A KR 20050019172 A KR20050019172 A KR 20050019172A KR 100702044 B1 KR100702044 B1 KR 10070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ross filter
cros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8850A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044B1/en
Publication of KR2006009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8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진 촬영이 가능한 촬상수단, 상기 촬상수단과는 분리되어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주변에 위치하며,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앞으로 이동되어 빛을 일정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필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필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크로스 필터가 위치 이동되도록 조정하는 조절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 필터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함에 따라 별도의 조리개 및 노출시간 조절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조리개 및 노출 시간 조절에 의한 빛 분산 효과를 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the image pickup means capable of taking pictures,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separated from the image pickup means, and moves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according to an external command And at least one cross filter for diffusing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a cross filter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cross filter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picture is taken using the cross filte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ight dispersion effect by adjusting the aperture and exposure time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aperture and exposure time adjusting device.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크로스 필터 Mobile terminal, camera, cross filter

Description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도시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이 도시된 도,2 is a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도,3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도,4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 3 실시예의 동작이 도시된 도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촬상수단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maging means

120: 크로스 필터 130: 조절버튼120: cross filter 130: control button

140: 부착대 140: mounting table

본 발명은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크로스 필터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촬상수단을 사용하여 촬영 시 빛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켜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촬상수단의 렌즈에 별도의 조리개 조절 장치를 구비하거나 노출 시간을 조절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조리개 조절 및 노출 시간 조절 효과를 낼 수 있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and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cross filt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the imaging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ffuse the light in various directions when shooting, mobile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that can provide a simple aperture control and exposure time adjustment effect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aperture control device or an exposure time adjustment to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provided in the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급화가 이루어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With the advanc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cameras capable of taking picture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spreading.

최근에는 백만 화소 이상의 화질을 가지는 카메라가 내장된 고급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급되는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가 단순 촬영 기능뿐만 아니라 플레시, 접사, 줌 기능 등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이 추가되어 점점 고급화 되어 가고 있다.Recently, high-e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built-in cameras with 1 million pixels or more have become popular, and cameras attach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not only simple shooting functions but also functions provided by general digital cameras such as flash, macro, and zoom functions.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advanced.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야간에 불빛 촬영 시 조리개 조절 또는 노출 시간을 조절하여 가로등이나 별빛 등의 빛을 효과적으로 여러 방향으로 퍼지도록 촬영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general digital camera, when shooting a light at night, by adjusting the aperture or exposure tim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hoot the lights such as street lights or starlight in various directions.

또한 빛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켜 촬영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크로스 필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크로스 필터는 렌즈 표면에 십자 모형으로 여러개의 홈이 파여 있어 홈이 파인 방향과 모양에 따라 빛을 분산시켜준다.In addition, a cross filter is generally used to diffuse light in various directions, and the cross filter distributes light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hape of the groove by dividing a plurality of grooves into a cross model on the lens surface. .

그러나 상기 크로스 필터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필름 카메라 렌즈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제작되는 바, 렌즈 구경이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되는 카메라에는 적합하지 않다.However, the cross filter is manufactured to be attached to a digital camera or a film camera lens and is not suitable for a camera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mall lens aperture.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카메라 셔터 스피드 조절, 노출 조절, 조리개 조절을 위한 장치를 구비하여 조리개를 조이고 장시간 노출을 하면 크로스 필터를 부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카메라가 부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공간적인 제약에 의해 카메라 셔터 스피드 조절, 노출 조절, 조리개 조절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수 없어 빛을 여러 방향으로 퍼지도록 촬영 할 수 있는 고급형 이동통신 단말기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Of course, if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separate camera shutter speed control, exposure control, and aperture control device to tighten the aperture and expose for a long time, the same effect as the cross filter is attached,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camera is attached. In the case of a terminal, due to space constraints,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high-e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light in various directions because it canno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evice for adjusting the camera shutter speed, adjusting the exposure, and controlling the apertur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용 크로스 필터가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별도로 크로스 필터를 소지하여 촬영시 부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cross filter for a camera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veloped,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carry a cross filter separately and attach it when photograph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촬상수단의 렌즈에 크로스 필터를 부착하여 밤 촬영시 빛의 퍼짐 효과를 낼 수 있 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촬상수단에 별도의 조리개 조절 장치를 구비하거나 노출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없어 공간 효율을 늘리고 간단하게 조리개 조절 및 노출 효과를 낼 수 있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attaching a cross filter to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can produce a light spreading effect during night shooting, and is separate from the imaging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diaphragm adjusting device or to adjust the exposure time, there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that can increase space efficiency and provide a simple aperture control and exposure effec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진 촬영이 가능한 촬상수단, 상기 촬상수단과는 분리되어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주변에 위치하며,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앞으로 이동되어 빛을 일정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필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필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크로스 필터가 위치 이동되도록 조정하는 조절 버튼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mage pickup means capable of taking a picture, is separated from the image pickup means is located around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the external command according to the And at least one cross filter which is mov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to diffuse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 adjustment button which adjusts the cross filter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cross filter to be mo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이 도시된 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사진 촬영이 가능한 촬상수단(110)과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앞에 위치하여 빛을 일정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하나 이상의 크로스 필터(120)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camer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n image pickup means 110 capable of photographing and at least one cross filter 120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to diffuse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o.

크로스 필터(120)는 일반적으로 야간 촬영에 주로 쓰이는 카메라 필터로서, 가로등이나 별, 촛불 등 강한 광원이 있는 경우 빛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는 필터이다.The cross filter 120 is generally a camera filter mainly used for night photographing, and is a filter having an effect of dispersing light when there is a strong light source such as a street light, a star, a candl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크로스 필터(120)는 빛을 4방향으로 분산하는 4방향 크로스 필터(121) 또는 빛을 6 방향으로 분산하는 6방향 크로스 필터(122) 또는 빛을 8방향으로 분산하는 8 방향 크로스 필터(123) 또는 12 방향으로 분산하는 12 방향 크로스 필터(124)를 사용할 수 있고, 크로스 필터의 종류는 본 명세서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ross filter 1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r-way cross filter 121 for dispersing light in four directions or a six-way cross filter 122 for dispersing light in six directions or an eight direction for dispersing light in eight directions. The cross filter 123 or the 12-way cross filter 124 distributed in 12 directions can be used, and the kind of cross filter is not limited to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크로스 필터(120)가 촬상수단(110)의 렌즈 앞에 위치하도록 크로스 필터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절 버튼(130)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button 13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ross filter so that the cross filter 1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110).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크로스 필터(120)를 구비한다.(a) 상기 크로스 필터는 조절 버튼(130)을 조작하면 상기 촬상수단(110)의 렌즈 앞에 위치하게 되고(b),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별도 구비된 촬영버튼을 눌러 촬영을 진행하면, 사용된 크로스 필터의 종류에 따라 빛이 분산되어 촬영된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camer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one or more cross filters 120. (a) The cross filter operates when the control button 130 is operated. (B) When the user presses the photographing button separatel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photograph, the light is distributed and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type of cross filter used. .

도 3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빛을 4방향으로 분산하는 4방향 크로스 필터(121)와 빛을 6 방향으로 분산하는 6방향 크로스 필터(122)와 빛을 8방향으로 분산하는 8 방향 크로스 필터(123)와 12 방향으로 분산하는 12 방향 크로스 필터(124)를 모두 사용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camer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ncludes a four-way cross filter 121 for dispersing light in four directions, a six-way cross filter 122 for dispersing light in six directions, and a light eight. The 8-way cross filter 123 distributed in the direction and the 12-way cross filter 124 distributed in the 12 direction are used.

상기 크로스 필터(120)는 촬상수단(110)의 렌즈 주위의 상/하/좌/우에 하나 씩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절 버튼(130)은 상기 크로스 필터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조절 버튼(131)과, 상기 크로스 필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 버튼(132)으로 이루어진다.The cross filter 120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one by one up, down, left, or right around the lens of the imaging unit 110, and the adjustment button 130 adjusts the left and right to move the cross filter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And a button 131 and an up and down adjustment button 132 for moving the cross filter up and down.

예를 들어, 4방향 크로스 필터(121)를 사용하여 사진 촬영을 하려면, 사용자는 촬상수단(110)의 왼쪽 위에 위치한 4방향 크로스 필터를 렌즈 앞에 오도록 조절 버튼(130)을 조작해야 한다.For example, to take a picture using the four-way cross filter 121, the user must operate the control button 130 so that the four-way cross filter located in the upper left of the image pickup means 110 is in front of the lens.

즉, 상기 상하조절 버튼(132)을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4방향 크로스 필터(121)가 아래로 이동하고(a) 좌우조절 버튼(131)을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4방향 크로스 필터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b) 촬상수단(110)의 렌즈 앞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면 빛이 4 방향으로 분산되어 촬영된다.That is, when the up and down adjustment button 132 is moved downward, the four-way cross filter 121 moves downward (a) when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button 131 is moved to the right side, and the four-way cross filter moves to the right. (B)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110,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photographing button, the light is dispersed in four directions and photographed.

만일, 사용자가 크로스 필터(120) 사용을 원하지 않으면, 상기 좌우조절 버튼(131) 및 상하조절 버튼(132)을 중간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크로스 필터가 촬상수단(110)의 렌즈의 상하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촬영시 크로스 필터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If the user does not want to use the cross filter 120, when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button 131 and the up and down adjustment button 132 are moved to an intermediate position, the cross filter i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110. This eliminates the use of cross filters when shooting.

상기 각 크로스 필터(121 내지 124)가 회전축(150)에 부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조절버튼(130)의 조작 횟수에 따라 상기 크로스 필터(121 내지 124)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When each of the cross filters 121 to 124 is attached to the rotation shaft 15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camer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ross filters 121 to 124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control button 130 is operated. Configurable for selection and use

예를 들어, 상기 조절 버튼(130)을 한번 조작하면 4방향 크로스 필터(121)가 촬상수단(110)의 렌즈 앞쪽으로 이동하고, 두 번 조작하면 4방향 크로스 필터(121)는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상부 좌측으로 이동하고 6방향 크로스 필터(122)가 촬상 수단의 렌즈 앞쪽으로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control button 130 is operated once, the four-way cross filter 121 moves to the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110, and if it is operated twice, the four-way cross filter 121 is moved to the image pickup means. The six-way cross filter 122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조절 버튼(130)의 조작 횟수에 따라 상기 크로스 필터(1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촬영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user may selectively photograph using the cross filter 1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ipulations of the control button 130.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크로스 필터(120)는 4방향 크로스 필터(121)와 6방향 크로스 필터(122)를 각각 2개씩 구비하여 4방향, 6방향, 8방향, 12방향 크로스 필터를 각각 장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 filter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four-way cross filter 121 and two six-way cross filter 122, respectively, four-way, six-way, eight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one-way and 12-way cross filters can be provided.

즉, 상기 동종의 크로스 필터(120)를 겹쳐 촬영함에 따라 각각 8방향 및 12방향 크로스 필터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절버튼(130)을 사용하여 4방향 크로스 필터(121) 두 개를 겹쳐서 사용하여 촬영하면 빛이 8방향으로 분산되어 촬영되므로 8방향 크로스 필터(123)를 사용한 효과를 낼 수 있고, 6방향 크로스 필터(122) 두 개를 겹쳐서 사용하면 빛이 12방향으로 분산되어 촬영되게 된다.In other words, by superimposing the same type of cross filter 120, the 8-way and 12-way cross filter effects can be achieved, respectively. When the photographing using two four-way cross filter 121 by using the control button 130 is superimposed, the light is distributed in eight directions, so that the eight-way cross filter 123 can be used to produce an effect. When the two cross filters 122 are overlapped and used, light is distributed in 12 directions and photographed.

본 발명의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크로스 필터(120)가 부착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부착대(140)와 상기 부착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camera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r or polygonal mounting table 140 to which the cross filter 120 is attached, and a rotating device (not shown) for rotating the mounting table. .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의 부착대(140)에 같은 간격으로 4방향 크로스 필터(121), 6방향 크로스 필터(122), 8방향 크로스 필터(123), 12방향 크로스 필터(124)가 부착된다.As shown in FIG. 4, the four-way cross filter 121, the six-way cross filter 122, the eight-way cross filter 123, and the 12-way cross filter 124 at equal intervals on the circular mounting table 140. ) Is attached.

상기와 같은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조작 버튼(130)이 조작됨에 따라 크로스 필터(1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130) 이 조작되면 조작 버튼과 연결된 회전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부착대(140)가 일정 구간만큼 회전하여 크로스 필터(120)가 선택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camera filter as described above may selectively use the cross filter 120 as the operation button 130 is operated. When the manipulation button 130 is operated, the cross filter 120 is selected by rotating the attachment table 140 by a predetermined period by a rotating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manipulation button.

이때, 상기 조작 버튼(130)은 조그셔틀로 구성되어 조작 버튼이 회전하는 만큼 상기 부착대(140)가 회전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조작 버튼이 눌려지면 부착대(140)가 일정 구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button 130 is composed of a jog shuttle can be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table 140 as much as the operation button is rotated or can be configured to rotate the mounting table 140 by a predetermined section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Do.

이때,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필터(120)가 부착되는 부착대(140)는 일정 구간(s)이 잘려지도록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크로스 필터(120)를 사용하고 싶지 않은 경우 조작 버튼(130)을 조작하여 상기 부착대의 잘려진 구간(s)이 촬상수단(110)의 렌즈앞에 오도록 함으로써 크로스 필터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mounting table 140 to which the cross filter 120 is attached is configured to cut a predetermined section s.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use the cross filter 120, the manipulation button 130 is operated so that the cut section s of the mounting table is plac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110 so as not to use the cross filter.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대(140)는 다각형으로 구성 가능한데, 이때 상기 부착대는 n 개의 크로스 필터가 사용되는 경우 n+1 각형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대의 일정 구간(s)이 잘려지도록 구성된다(a).As shown in FIG. 5, the mount 140 may be configured as a polygon, wherein the mount is configured with n + 1 squares when n cross filters are used, and as described above, a predetermined section ( s) is cut off (a).

다각형의 부착대(140)가 사용되는 경우, 크로스 필터(120)는 부착대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여 조작 버튼(130)의 조작에 의해 회전 장치(미도시)가 회전하여 크로스 필터가 선택된다.When the polygonal mounting table 140 is used, the cross filter 120 is located at each vertex of the mounting table and a rotating device (not shown) is rotat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130 to select the cross filter.

촬상수단(110)의 렌즈 앞에 부착대(140)의 빈공간(s)이 위치하고, 4방향/6방향/8방향/12방향 크로스 필터가 순서대로 위치하고, 조작 버튼(130)의 조작 횟수에 따라 부착대가 일정 구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조작 버튼을 한 번 누르면 촬상 수단의 렌즈 앞에 4방향 크로스 필터(121)가 위치하고(b), 두 번 누르면 6방향 크로스 필터(122)가, 세 번 누르면 8방향 크로스 필터(123)가, 네 번 누 르면 12방향 크로스 필터(124)가 선택되고, 다섯 번 누르면 다시 크로스 필터(120)가 아닌 빈공간(s)이 렌즈 앞에 위치하게 된다.The empty space s of the mounting table 14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110, and the four-way / 6-direction / 8-direction / 12-direction cross filter is positioned in order, 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operation button 130 is operated. When the mounting table is configured to rotat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our-way cross filter 12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once (b), and the six-way cross filter 122 is pressed three times. Press the 8-way cross filter 123, press four times, the 12-way cross filter 124 is selected, press five times again the empty space (s) rather than the cross filter 1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lens.

물론, 조그셔틀을 사용하여 조작버튼(130)을 구성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조작버튼(130)을 회전하면, 조작버튼의 회전각만큼 부착대(14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촬상수단(110)의 렌즈 앞에 크로스 필터(120)가 위치하게 된다.Of course, when the operation button 130 is configured using the jog shuttl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button 130, the mounting table 140 is rotated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button, accordingly the imaging means 110 The cross filter 1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ected. The application is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로스 필터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촬상수단을 사용하여 촬영 시 사용한 크로스 필터의 종류에 따라 빛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시켜줌으로써, 별도의 조리개 조절 장치 또는 노출시간 조절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조리개 조절 및 노출 시간 조절 효과를 낼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a cross filter to diffuse light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cross filter used when photographing using an imaging mean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zooming, the aperture control and the exposure time adjustment effect can be easily achieved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aperture control device or exposure time control device.

Claims (8)

사진 촬영이 가능한 촬상수단;Imaging means capable of photographing; 상기 촬상수단과는 분리되어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주변에 위치하며,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앞으로 이동되어 빛을 일정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필터; 및At least one cross filter separated from the image pickup means and positioned around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and moved in front of the lens of the image pickup means according to an external command to diffuse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필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크로스 필터가 위치 이동되도록 조정하는 조절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button for adjusting any one of the at least one cross filter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cross filt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cross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크로스 필터는 빛을 4방향으로 분산하는 4방향 크로스 필터, 빛을 6 방향으로 분산하는 6방향 크로스 필터, 빛을 8방향으로 분산하는 8방향 크로스 필터, 12 방향으로 분산하는 12방향 크로스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cross filter includes a four-way cross filter for dispersing light in four directions, a six-way cross filter for distributing light in six directions, an eight-way cross filter for dispersing light in eight directions, and a twelve-way cross filter dispersing in 12 direction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크로스 필터는 4방향 크로스 필터와 6방향 크로스 필터가 각각 2개씩 구비되어, 동종의 상기 크로스 필터를 겹쳐 촬영함에 따라 각각 8방향 및 12방향 크로스 필터 효과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cross filter is provided with two four-way cross filters and two six-way cross filters, and the camera filt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eight-way and 12-way cross filter effect, respectively, as the cross-type of the same kind of the cross-filter is superimposed. Mobile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크로스 필터는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 주위의 상/하/좌/우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cross filt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one of the top / bottom / left / right around the lens of the imag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버튼은 상기 크로스 필터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조절 버튼; 및 상기 크로스 필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button includes a left and right control button for moving the cross filter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And a vertical control button for moving the cross filter up and dow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크로스 필터가 부착되어, 외부 명령에 따라 상기 크로스 필터의 위치가 상기 렌즈 앞에 위치되도록 이동하는 부착대; 및A mounting table to which the cross filter is attached and which moves the cross filter so as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ns according to an external command; And 상기 조절버튼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부착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rotation device that rotates the mounting table as the control button is operat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부착대는 원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하며, 상기 렌즈가 위치한 지점이 상기 원의 어느 한 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ounting table is in the form of a circ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camera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int where the lens is located at any point of the circl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부착대는 다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하며, n 개의 크로스 필터 사용 시 상기 렌즈가 위치한 지점을 하나의 꼭지점으로 하는 n+1 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필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mounting table has a polygonal shape, and when using n cross filte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n + 1 square shape with one vertex as a vertex.
KR1020050019172A 2005-03-08 2005-03-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KR100702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72A KR100702044B1 (en) 2005-03-08 2005-03-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72A KR100702044B1 (en) 2005-03-08 2005-03-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850A KR20060098850A (en) 2006-09-19
KR100702044B1 true KR100702044B1 (en) 2007-03-30

Family

ID=3763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172A KR100702044B1 (en) 2005-03-08 2005-03-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04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134A (en) 1999-12-28 2001-07-10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Artificial lung equipped with heat exchanger
KR20030064920A (en) * 2002-01-29 2003-08-06 김지형 earphone with fixator
KR20040103081A (en)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flash and digital camera having mobile phone
KR20050031770A (en) *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hutter speed control method for built-in camer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68936A (en) * 2003-12-30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flash fil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134A (en) 1999-12-28 2001-07-10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Artificial lung equipped with heat exchanger
KR20030064920A (en) * 2002-01-29 2003-08-06 김지형 earphone with fixator
KR20040103081A (en)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flash and digital camera having mobile phone
KR20050031770A (en) *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hutter speed control method for built-in camer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68936A (en) * 2003-12-30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flash filt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64920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850A (en)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653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with multiple optical chains
US9736365B2 (en) Zoom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EP1689148B1 (en) An optical device
US20130258044A1 (en) Multi-lens camera
US942634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ickup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JP2022128489A (en) Image capture device
KR10070204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filter
JP6075907B1 (en) Crane equipment for photography
CN105161005B (en) The system for shooting MTV using extended scene and immersion arc large screen
JP2016057546A5 (en)
JP2017517924A (en) SLR camera external connection electronic viewfinder
CN110881100A (en) Lens module
JP2005292544A (en) Focusing mechanism
CN111294486A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5966144A (en) Background display device
JPH10274799A (en) Ring light stroboscope provided with rotary light shielding plate for light balance and light quantity control
CN108267909A (en) Light emitting diode miniature array flash lamp
JP649849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7058443A (en) Light amount controller, imaging apparatus, and optical instrument
JP6429164B2 (en) Camera and lighting system
JP2009105640A (en) Imaging apparatus
JP7016722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control program
KR200487333Y1 (en) Camera Lens Unit of Roulette Type for Smart-Phone
JP3208634U (en) Black / grey card for multi-function cameras
JP6811935B2 (en) Imaging equipment, image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