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737B1 - 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 Google Patents

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737B1
KR100701737B1 KR1020000081716A KR20000081716A KR100701737B1 KR 100701737 B1 KR100701737 B1 KR 100701737B1 KR 1020000081716 A KR1020000081716 A KR 1020000081716A KR 20000081716 A KR20000081716 A KR 20000081716A KR 100701737 B1 KR100701737 B1 KR 10070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robe
terminal
pwr
access
outpu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52443A (en
Inventor
조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737B1/en
Publication of KR20020052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4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CDMA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CDMA 단말기는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하는 무선부와; 상기 액세스 프로브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CDMA 단말기의 기존 액세스 프로브 처리에 있어서 단말기 내부적으로 보정값을 사용하여 현재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 필드 특성에 적합하도록 출력 전력을 계속 보정함으로써 통화 접속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DMA terminal capable of correcting the access probe output power. The CDMA terminal capable of correcting the access probe output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unit for transmitting the access probe;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ccess probe correction value; Memory for storing the incremental number of the access prob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ntional access probe processing of the CDMA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rate can be improved by continuously correcting the output power to be suitable for the field characteristic of the terminal currently being used by using the correction value internally in the terminal.

액세스 프로브, CDMA, 단말기, 출력 전력, 통계적Access probe, CDMA, terminal, output power, statistical

Description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CDMA 단말기{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CDMA terminal capable of compensating access probe output power {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access probe outpu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Po in a conventional terminal.

도 2는 종래의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access probe output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Po in a conventional terminal.

도 3은 종래의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 보다 현저히 작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access probe output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Po in a conventional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capable of correcting the access probe output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지국 요구 출력보다 적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n access probe output is less than a base station request output in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지국 요구 출력보다 현저히 적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6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access probe output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base station request output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 : CDMA 단말기 12 : 무선부10: CDMA terminal 12: radio unit

14 : 제어부 16 : 메모리14 controller 16 memory

본 발명은 CDMA 단말기의 출력 전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한 통계적 전력 제어를 효율적으로 실시 할 수 있는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CDMA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utput power control of a CDM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DMA terminal capable of correcting an access probe output power capable of efficiently performing statistical power control for improv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CDMA 단말기와 기지국간에는 IS-95(800MHz 대역 이동전화)와 J-STD-008(PCS 이동전화)에 규정된 방법으로 링크(link)가 이루어지게 된다.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과 기지국(Base Station: BS) 사이에 존재하는 무선 통신선로는 크게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향하는 순방향 링크(forward link)와 반대로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향하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로 구별된다. 또한 음성 호가 설정되기 전에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 공용 채널(common channel)인 호출 채널(paging channel)과 접근 채널(access channel)이 사용된다. 호출 채널은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응답을 받는 데에 사용하고, 접근 채널은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의 응답을 받고, 이동국이 기지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에 사용한다.A link is established between the CDMA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by the method specified in IS-95 (800 MHz band mobile phone) and J-STD-008 (PCS mobile phone).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line existing between a mobile station (MS) and a base station (BS) is largely a reverse link from a mobile station to a base station as opposed to a forward link from a base station to a mobile station. reverse link). In addition, a paging channel and an access channel, which are common channels, are used to exchange dat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before the voice call is established. The calling channel is used by the base station to send a message to the mobile station, the mobile station to receive a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access channel is used by the base station to receive a response from the mobil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to send a message to the base station.

특히, 이동국이 기지국으로 엑세스 채널(Access Channel)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액세스(Access)라고 한다. 이러한 액세스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동국은 먼저 초기 출력을 갖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메시지를 소정의 전력 증분량 만큼 증가시켜 전송하여 액 세스를 시도한다. 엑세스 시도(Access Attempt)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으로 엑세스 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을 받을 때까지의 전체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액세스 과정에서, 이동국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신호의 각 전송 단위가 액세스 프로브(Access Probe)이며, 각 액세스 프로브는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초기 출력에 소정의 전력량을 증분하여 얻어진다. 이러한 액세스 프로브들의 집합을 액세스 프로브 시퀀스(Access Probe Sequence)라고 한다.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of a message through an access channel by an mobile station to a base station is called access. Referring to this access procedure, the mobile station first transmits a message having an initial output to the base station, and if there is no response to the message transmission, attempts to access it by increasing the message by a predetermined power increment. Access Attempt refers to the entire process until the mobile station transmits a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access channel and receives a response to the message transmission. In this access process, each transmission unit of a signal transmitted by the mobil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is an access probe, and each access probe is obtained by incremen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to the initial output from the mobil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This set of access probes is called an access probe sequence.

이 액세스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단말기가 기지국에 액세스 프로브 신호를 보내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출력 전력은 IS-98(800MHz 대역 이동전화)과 J-STD-018(PCS 이동전화)에 규정된 출력 전력으로 보내게 된다. 만약 기지국이 단말기의 액세스 프로브를 인지하면 통화 설정(call set-up)이 이루어져서 통화상태가 되고 기지국이 단말기의 액세스 프로브를 인지하지 못하면 단말기는 액세스 프로브 제어 파라미터인 PWR_STEP 값만큼 액세스 프로브 출력을 증가시켜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이때, 기지국에서 증가된 액세스 프로브를 인지하게 되면 통화 설정이 이루어지며, 또 다시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이 없으면 단말기는 다시 액세스 프로브 신호를 액세스 프로브 제어 파라미터 PWR_STEP만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 동작은 액세스 프로브 파라미터로서 엑세스 프로브 재전송 회수를 나타내는 NUM_STEP만큼 이루어지게 된다.In detail, the access process is performed by the terminal sending an access probe signal to the base station, where the output power is specified in IS-98 (800 MHz band mobile phone) and J-STD-018 (PCS mobile phone). It is sent by power. If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e access probe of the terminal, call set-up is established and the call is established. If the base station does not recognize the access probe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increases the output of the access probe by PWR_STEP, the access probe control parameter. Send to base station. At this time, if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e increased access probe, call setup is made.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increases the access probe signal by the access probe control parameter PWR_STEP again.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is made by NUM_STEP.

만약 액세스 프로브가 NUM_STEP 만큼의 증가한 후에도 통화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술한 전체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것은 MAX_RSP_SEQ값에 의해 이 동작의 회수가 정해지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모두 행해진 후에도 통화 설정이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호 실패(call fail)가 되어 단말기는 다시 CDMA 시스템 초기화(initialize)동작을 하게 된다. If the call is not established even after the access probe has increased by NUM_STEP,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peated. The number of times of this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value of MAX_RSP_SEQ. If call setup is not made even after all of these series of operations are performed, a call fails and the terminal performs CDMA system initialization.

이 때, CDMA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링크를 위해서 액세스 프로브를 보내는데, 이때 최초로 보내는 액세스 프로브 출력은 IS-98(800MHz 대역 이동전화)과 J-STD-018(PCS 이동전화)에 규정된 개방 루프(open loop) 출력에 따르게 된다. 이 최초 액세스 프로브 출력은 IS-98(800MHz 대역 이동전화) 규정인 경우에는 수학식 1에 따르고, J-STD-008(PCS 이동 전화) 규정인 경우에는 수학식 2에 따른다.At this time, the CDMA terminal sends an access probe for linking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first access probe output is an open loop defined in IS-98 (800 MHz band mobile phone) and J-STD-018 (PCS mobile phone). open loop) will follow the output. This initial access probe output follows Equation 1 for IS-98 (800MHz band mobile phone) regulation and Equation 2 for J-STD-008 (PCS mobile telephone) regulation.

Po= -73 - 입력 전력 + 간섭 정정 + NOM_PWR-16 ×NOM_PWR_EXT + INIT_PWR(dBm)Po = -73-Input Power + Interference Correction + NOM_PWR-16 × NOM_PWR_EXT + INIT_PWR (dBm)

Po= -76 - 입력 전력 + 간섭 정정 + NOM_PWR-16 ×NOM_PWR_EXT + INIT_PWR(dBm)
단,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상기 NOM_PWR은 기지국에서 정확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정값(-7 ~ +8dB)이고, 상기 NOM_PWR_EXT는 페이딩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 주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값(0 또는 1)이며, 상기 INIT_PWR은 액세스 과정에서 단말기의 액세스 프로브 초기 출력전력 값을 나타낸다.
Po = -76-Input Power + Interference Correction + NOM_PWR-16 × NOM_PWR_EXT + INIT_PWR (dBm)
However, in Equation 1 and Equation 2, the NOM_PWR is a correction value (-7 to +8 dB)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o receive the correct power, and the NOM_PWR_EXT is used to correct the effects of fading. A value (0 or 1)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and the INIT_PWR represents the initial output power value of the access probe of the terminal during the access process.

위와 같은 CDMA 단말기는 출력전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생산시 교정(calibration) 과정을 거쳐서 송수신단의 RF 특성과 각 단말기간의 차이에 대한 정보를 가지게 되며 이 값에 의해 출력 전력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이 출력 전력은 field 특성과 단말기의 노후화, 안테나의 손상, 교정 오차 등으로 이론적 수치와 틀릴 수가 있다. 위와 같은 첫 번째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후의 상황을 다음 3가지 경우로 생각 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output power as described above, the CDMA terminal undergoes a calibration process during production to have information on the RF characteristics of the transceiv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terminals, thereby controlling the output power. However, this output power may differ from theoretical figures due to field characteristics, terminal aging, antenna damage and calibration errors. The situation after sending the first access probe as above can be considered as the following three cases.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를 나타내고, 도 2는 종래의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내며, 도 3은 종래의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 보다 현저히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1 illustrates a case where an access probe outpu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Po in a conventional terminal, FIG. 2 illustrates a case where an access probe output is smaller than a reference value Po in a conventional terminal, and FIG. 3 illustrates a conventional terminal. Shows the case where the access probe output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Po.

1)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1) When the access probe outpu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Po)

이 경우는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첫 번째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후 통화 설정이 완성되어 통화 상태로 되는 경우이다. 통화 상태로 되면 출력 제어는 close loop상태로 바뀌게 된다. 출력이 기준값과 같은 경우는 이상적인 경우이며 기준값보다 큰 경우 통화 접속은 되나 짧은 시간이나마 필요 없는 전력을 소비한 것이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after the first access probe is sent, call setup is completed and the call state is established. When the call state is reached, the output control is changed to the close loop state. If the output is the same as the reference value, it is ideal. If the output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all is connected but consumed a short time.

2)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보다 작은 경우2) When the access probe outpu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Po)

이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로 첫 번째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후 통화 설정이이 이루어지지 않아 액세스 프로브 파라미터인 PWR_STEP 만큼 보정된 후 통화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이다. 몇 번의 출력 전력 증가 후에 통화 설정은 되었지만 그만큼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링크가 될 확률은 낮아진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call setup is not performed after the first access probe is transmitted, and thus the call setup is performed after correcting by the access probe parameter PWR_STEP. The call is established after a few output power increases, but the probability of link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decreases.

3)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 보다 현저히 작은 경우3) The access probe output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Po).

이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액세스 프로브 재전송 회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NUM_STEP만큼 액세스 프로브를 PWR_STEP 증분씩 증가시킨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후에도 통화가 성립되지 않아 통화 실패한 상태로서 사용자는 통화가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call is not established because the call is not established even after sending the access probe whose access probe is increased by PWR_STEP increment by NUM_STEP, which is a parameter indicating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of the access probe, and thus the user cannot call. Becomes                         

이와 같이, CDMA 단말기는 처음 생산 직후에는 출하 검사를 통하여 정상인 제품만 출하되지만 오랜 시간 사용하다보면 부품의 노화, 물리적 충격과 field 특성의 변화 등에 의해 처음 생산 직후의 특성이 변할 수 있다. 이 경우 정교한 전력제어를 요구하는 CDMA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3)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준값(Po) 보다 현저히 작은 경우 통화 접속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 경우 CDMA 단말기는 출력 보정을 하는 방법 없이는 이러한 변화를 자체적으로 반영할 수 없다. 또한 기지국의 특성 변화 등으로 단말기에 요구되는 전력이 변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기존 단말기들은 전혀 대처 할 수 없었다.As such, the CDMA terminal is only shipped to the normal product through the shipment inspection immediately after the first production, but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istics immediately after the first production may change due to aging of components, physical shocks and changes in field characteristics. In this case, in the CDMA system requiring sophisticated power control, the call connection rate may decrease when the aforementioned access probe output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Po. In this case, the CDMA terminal cannot reflect this change by itself without the method of output correction. In addition, the power required for the terminal may change due to a chang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e station, but in this case, the existing terminals could not cope at all.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 액세스 프로브 처리에 있어서 단말기 내부적으로 보정값을 사용하여 현재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 필드 특성에 적합하도록 출력 전력을 계속 보정하는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n the conventional access probe processing, by using a correction value internally in a terminal, the output power is continuously corrected so as to be suitable for field characteristics currently used by the terminal. It is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출력 전력의 차이로 통화 접속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terminal that can prevent the call connection rate from being lowered due to a difference in output power.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는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하는 무선부와; 상기 액세스 프로브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correcting the access probe output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unit for transmitting the access probe;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ccess probe correction value;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increment number of the access prob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CDMA 단말기가 출력 전력 제어를 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정함으로써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필드 특성에 적응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노화, 사용자의 잘못된 사용법, 기지국의 특성 변화 등에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대처함으로서 송수신율을 높이거나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DMA terminal collects and corrects the output power control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terminal to adapt itself to the field characteristic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or maintain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te by dealing with itself.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존 액세스 프로브 처리에 있어서 단말기 내부적으로 보정값을 사용하여 현재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는 필드 특성에 적합하도록 출력 전력을 계속 보정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power may be continuously corrected to suit the field characteristic of the terminal currently being used by using the correction value in the terminal in the existing access probe proces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CDMA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CDMA 단말기(10)는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하는 무선부(12), 액세스 프로브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어부(14) 및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저장하는 메모리(1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기지국과 링크시 통화 설정이 될 때까지 송출된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초기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회수를 나타내는 값으로써, 전체 액세스 프로브 송출 회수 - 1로서 구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초기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후 액세스 프로브를 PWR_STEP만큼 증분 시킬 때마다 카운트하여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구하고, 이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메모리(16)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기의 제어부(14)는 이 저장된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액세스 프로 브의 출력 전력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값을 산출한다.4 is a block diagram of a CDMA terminal capable of correcting the access probe output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DMA terminal 10 capable of correcting the access probe output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unit 12 for transmitting an access probe, a controller 14 for calculating an access probe correction value, and an access probe. And a memory 16 for storing the incremental number of. Such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as the total number of access probe transmissions-1 as the value indic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initial access probe is sent until the incremented number of access probes transmitted until the call is established with the base station. . That is,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nts each time the access probe is incremented by PWR_STEP after sending out the initial access probe to obtain an increment number of the access probe, and stores the increment number of the access probe in the memory 16. The controller 14 of the terminal calculates a correction value for correcting the output power of the access probe of the terminal using the stored increment number of the access probe.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의 제어부(14)가 단말기의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한 출력은 IS-98(800MHz 대역 이동전화) 규정에 대해서는 수학식 3을 J-STD-018(PCS 이동전화) 규정에 대해서는 수학식 4에 따른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control unit 14 of the terminal correcting the output power of the access probe of the terminal is expressed in Equation 3 in J-STD-018 (PCS mobile telephone) regulation for the IS-98 (800 MHz band mobile telephone) regulation. Regarding the equation (4).

Po= -73 - 입력 전력 + 간섭 정정 + NOM_PWR-16 ×NOM_PWR_EXT + INIT_PWR(dBm)+오프셋×PWR_STEP(dBm)Po = -73-Input Power + Interference Correction + NOM_PWR-16 × NOM_PWR_EXT + INIT_PWR (dBm) + Offset × PWR_STEP (dBm)

Po= -76 -입력 전력 + 간섭 정정 + NOM_PWR-16 ×NOM_PWR_EXT + INIT_PWR(dBm)오프셋×PWR_STEP(dBm)
단,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서, 상기 NOM_PWR은 기지국에서 정확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정값(-7 ~ +8dB)이고, 상기 NOM_PWR_EXT는 페이딩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 주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값(0 또는 1)이며, 상기 INIT_PWR은 액세스 과정에서 단말기의 액세스 프로브 초기 출력전력 값이며, 상기 PWR_STEP는 액세스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의 프로브 출력전력 증분 값을 나타낸다.
Po = -76-Input Power + Interference Correction + NOM_PWR-16 × NOM_PWR_EXT + INIT_PWR (dBm) Offset × PWR_STEP (dBm)
However, in Equation 3 and Equation 4, the NOM_PWR is a correction value (-7 to +8 dB)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o receive the correct power, and the NOM_PWR_EXT is used to correct the effect of fading. A value (0 or 1)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wherein INIT_PWR is the initial output power value of the access probe of the terminal during the access process, and PWR_STEP represents the probe output power increment value when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access process. .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서 오프셋 값은 통계적인 방법으로 구하게 되는데,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통화 설정이 될 때까지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계속 추적하여 그 수가 평균 1이상이면 기지국이 요구하는 출력보다 적은 출력으로 액세스 프로브가 송출된 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이 경우 오프셋은 양(+)의 값), 0이면 그 출력이 적당하거나 초과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 오프셋 값을 찾기 위해서 추적하는 데이터 수는 경우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In Equation 3 and Equation 4, the offset value is obtained by a statistical method. The number of access probes is continuously tracked until the call is establish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You can see that the access probe is sent out with a small output (in this case, the offset is a positive value), and a value of 0 can be inferred as being appropriate or exceeded. The number of data tracked to find this offset value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in some case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기지국과 링크시 통화 설정이 될 때까지 초기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후 액세스 프로브를 PWR_STEP만큼 증가시킬 때마다 카운트하여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구하는 제어부(14)와 이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30)를 구비하는데, 이 메모리(30)는 예컨대,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 수를 20개 기억하는 기억 장소를 구비하고 매 20개의 데이터가 확보될 때마다 이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이용하여 보정값 즉, 오프셋 값을 구한다. 이하, 3 경우를 나누어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itial access probe until the call is established when the link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n counts each time the access probe is increased by PWR_STEP to calculate the increment number of the access probe 14 And a memory (30) for storing this value, the memory (30) having, for example, a storage location for storing 20 incremental numbers of the access probe and each time 20 data is obtained. The increment value is used to obtain a correction value, that is, an offset value. Hereinafter, three cases will be explained separatel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지국 요구 출력보다 적을 경우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액세스 프로브 출력이 기지국 요구 출력보다 현저히 적은 경우를 나타낸다. 5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access probe output is less than the base station request output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access probe output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base station request output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단말기의 출력이 기지국이 요구하는 출력보다 낮을 경우1) When the output of the terminal is lower than the output required by the base station

단말기의 기억 장소에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수집됐을 경우 그 평균값을 약 2로서 단말기의 출력이 기지국의 요구 출력보다 낮음을 의미한다.If the following data is collected in the storage location of the terminal, the average value is about 2, which means that the output of the terminal is lower than that of the base station.

수집된 데이터: 2 3 1 1 0 2 3 1 4 2 3 1 2 0 1 0 1 3 2 4 ->평균 약 2Data collected: 2 3 1 1 0 2 3 1 4 2 3 1 2 0 1 0 1 3 2 4-> Average about 2

이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적으로 3번의 액세스 프로브(2회의 증분) 후에 기지국과 접속됨을 알 수 있다. 위 데이터의 평균치는 2이므로 오프셋=2를 적용하여 PWR_STEP×2 만큼 첫 액세스 프로브 출력을 증가시키면 단말기 실제 출력이 기지국 요구 출력에 보다 가까이 근접하게 되어 최초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후에 통화가 성공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it can be seen that on average, three access probes (two increments) ar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Since the average value of the above data is 2, increasing the first access probe output by PWR_STEP × 2 by applying offset = 2 causes the terminal actual output to be closer to the base station request output, so that the probability of a successful call after sending the initial access probe is unlikely. Will be higher.

2) 단말기의 출력이 기지국이 요구하는 출력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2) When the output of the terminal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utput required by the base station

단말기의 기억 장소에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수집됐을 경우 그 평균값을 약 4로서 단말기의 출력이 기지국의 요구 출력보다 현저히 낮음을 의미한다.When the following data is collected in the storage location of the terminal, the average value is about 4, which means that the output of the terminal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base station.

이 경우 수집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collected data is as follows.

수집된 데이터 : 4 4 4 3 4 3 4 4 4 4 3 4 4 3 4 4 4 4 4 3 ->평균 약 4 Data collected: 4 4 4 3 4 3 4 4 4 4 3 4 4 3 4 4 4 4 4 3-> Average 4                     

만약 각 데이터의 최대치를 4로 설정하면(실제 액세스 프로브는 15회까지 나올 수 있으나 4회의 출력 증가를 3회 반복하고 최대의 액세스 프로브는 4회의 출력 증가시 발생됨), 4의 의미는 최대 액세스 프로브 출력인 5번째 시도 후 통화 접속이 됐을 경우와 단말기 출력이 너무 낮아 통화 실패가 됐을 경우(이 경우도 액세스 프로브의 전송 회수는 5회 나옴)로 생각 할 수 있으나 양쪽의 경우 모두 단말기의 출력이 기지국 요구 출력보다 월등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데이터와 같이 오프셋=4를 적용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접속이 이루어질 확률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의 보정 후에도 여전히 단말기의 출력이 기지국의 요구 출력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다음 보정 시에 다시 +2 만큼 보정 될 수 있다.If the maximum value for each data is set to 4 (the actual access probe can come up to 15 times, but 4 output increments are repeated 3 times and the maximum access probe occurs at 4 output increments), meaning 4 means the maximum access probe If the call is connected after the fifth attempt, which is the output, and the call output is too low because the terminal output is too low (in this case,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access probe is 5 times), the output of the terminal is the base station in both cases. You can see that it is much lower than the requested output. If offset = 4 is applied as shown in the above data,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6, even after one calibration, the output of the terminal may still be lower than the required output of the base station. However, this case can be corrected again by +2 at the next calibration.

3) 단말기의 출력이 기지국이 요구하는 출력과 비슷하거나 높을 경우3) When the output of the terminal is similar or higher than the output required by the base station

이 경우는 호 접속이 순조로워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수집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call connection is smooth, so the data will be collected as follows.

데이터 : 0 0 0 0 0 1 0 0 1 0 0 0 1 0 0 0 0 0 0 0 -> 평균 약 0Data: 0 0 0 0 0 1 0 0 1 0 0 0 1 0 0 0 0 0 0 0-> Average about 0

이와 같은 경우는 단말기의 출력이 기지국 요구 출력에 부합하고 있으므로 오프셋=0이 되어 보정이 필요 없음을 나타낸다.In this case, since the output of the terminal meets the base station's required output, the offset is 0, indicating that no correction is necessary.

본 발명에 따르면 CDMA 단말기가 출력 전력 제어를 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데이터를 취합하여 보정 함으로써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필드 특성에 적응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노화, 사용자의 잘못된 사용법, 기지국의 특성 변화 등에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대처함으로서 송수신율을 높이거나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DMA terminal collects and corrects the output power control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terminal to adapt itself to the field characteristics. By cop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rate can be increased or maintained.

Claims (5)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하는 무선부와;A radio unit for transmitting an access probe; 상기 액세스 프로브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ccess probe correction value; 상기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And a memory configured to store an increment number of the access pro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복수 개의 액세스 프로브 증분수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기억 장소를 구비하는 것을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has a plurality of storage locatio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access probe incremental numb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 액세스 프로브를 송출한 후 액세스 프로브를 PWR_STEP만큼 증분 시킬 때마다 카운트하여 상기 액세스 프로브의 증분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alculates an increment number of the access probe by counting each time the access probe is incremented by PWR_STEP after transmitting the initial access prob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액세스 프로부 증분수를 평균하고 이 평균값을 보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The wireless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verages a plurality of increments of the access probes and sets the average value as a correction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의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나타내는 IS-98(800MHz 대역 이동전화) 규정에 대해서 다음의 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is one of the following equations for the IS-98 (800 MHz band mobile telephone) specification indicating the access probe output power of the terminal; [Po= -73 - 입력 전력 + 간섭 정정 + NOM_PWR - 16 × NOM_PWR_EXT + INIT_PWR(dBm)+오프셋×PWR_STEP(dBm)][단, 상기 NOM_PWR은 기지국에서 정확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보정값(-7 ~ +8dB)이고, 상기 NOM_PWR_EXT는 페이딩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 주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하는 값(0 또는 1)이며, 상기 INIT_PWR은 액세스 과정에서 단말기의 액세스 프로브 초기 출력전력 값이며, 상기 PWR_STEP는 액세스 과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의 액세스 프로브 출력전력 증분 값임][Po = -73-Input Power + Interference Correction + NOM_PWR-16 × NOM_PWR_EXT + INIT_PWR (dBm) + Offset × PWR_STEP (dBm)] However, the NOM_PWR is a correction valu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o receive the correct power. (-7 to +8 dB), the NOM_PWR_EXT is a value (0 or 1)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o correct the effect of fading, and the INIT_PWR is the initial output power value of the access probe of the terminal during the access process. PWR_STEP is an access probe output power increment value when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during the access process.] 에 의해 보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프로브 출력 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And a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correcting access probe output power.
KR1020000081716A 2000-12-26 2000-12-26 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KR100701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716A KR100701737B1 (en) 2000-12-26 2000-12-26 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716A KR100701737B1 (en) 2000-12-26 2000-12-26 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443A KR20020052443A (en) 2002-07-04
KR100701737B1 true KR100701737B1 (en) 2007-03-29

Family

ID=2768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716A KR100701737B1 (en) 2000-12-26 2000-12-26 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7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478B1 (en) * 2005-07-26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s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output power on access signal for mobile pho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97A (en) * 1998-09-25 2000-04-15 김영환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paging channel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0076091A1 (en) * 1999-06-08 2000-1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device
KR20010028315A (en) * 1999-09-20 2001-04-06 서평원 Channel Access Probe Detection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37955A (en) * 1999-10-21 2001-05-15 김대기 Link method of accessd of special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13574A (en) * 2001-08-08 200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level of transmission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97A (en) * 1998-09-25 2000-04-15 김영환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paging channel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0076091A1 (en) * 1999-06-08 2000-1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device
KR20010028315A (en) * 1999-09-20 2001-04-06 서평원 Channel Access Probe Detection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37955A (en) * 1999-10-21 2001-05-15 김대기 Link method of accessd of special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13574A (en) * 2001-08-08 200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level of transmission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443A (en)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2973B2 (en) Control of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packet data transfer
CN102652448B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EP19720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t power for an access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3397677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1062744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450522B2 (en) Power control system using acknowledgments
US816063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nd a network element
US20060079264A1 (en) Outer loop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060072510A1 (en)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radio receiving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ransmission method, and radio receiving method
KR1009779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66899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controll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JP4015877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0701737B1 (en) Cdma terminal of calibrating output power of access probe
JP3414351B2 (en) Wireless network device, mobile devic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7869408B2 (en) Technique for output power dithering for improved transmitter performance
KR100400680B1 (en) Packet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KR10060077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ower controlling and initial power setting method
KR100697705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station for use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242431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wireless terminal
EP1810420A1 (en) Outer loop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