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370B1 - Spark plug providing improved operating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Spark plug providing improved operating characteris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370B1
KR100701370B1 KR1020007009713A KR20007009713A KR100701370B1 KR 100701370 B1 KR100701370 B1 KR 100701370B1 KR 1020007009713 A KR1020007009713 A KR 1020007009713A KR 20007009713 A KR20007009713 A KR 20007009713A KR 100701370 B1 KR100701370 B1 KR 100701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center electrode
electrode
spark plug
groun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7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34551A (en
Inventor
가렛트놀만에이취.3세
Original Assignee
피로텍 엔터프라이즈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로텍 엔터프라이즈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로텍 엔터프라이즈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3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5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3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2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arthed electrode

Landscapes

  • Spark Plug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charge Lamp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spark plugs for igniting the fuel charg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an improved spark plug construction which improves combustion pressure and fuel mileage and diminishes exhaust pollution, as compared with known prior art plugs.

Description

점화 플러그{SPARK PLUG PROVIDING IMPROVED OPERATING CHARACTERISTICS}Spark plug {SPARK PLUG PROVIDING IMPROVED OPERAT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서 충전 연료를 작열(灼熱)시키는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지된 종래 기술의 플러그와 대비하여 연소 압력과 연료 효율을 향상하고 배기 오염이 감소되어 그 성능을 향상시킨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k plug for burning a fill fue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k plug which improves combustion pressure and fuel efficiency and reduces exhaust pollution in comparison with a known conventional plug. It is about.

점화 플러그는 종래 기술에서 널리 공지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화 플러그는 중심전극(center electrode)과 중심전극으로부터 이격져 있는 접지전극(ground electrode)을 갖는다. 간극을 횡단하기에 충분한 전기력(electrical potential)이 주어지면, 점화장치는 상기 간극을 횡단하는 스파크를 일으키어 점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스파크는 내연기관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점화하는데 사용한다. Spark plugs are well known in the art. In general, a spark plug has a center electrode and a groun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electrode. Given an electrical potential sufficient to traverse the gap, the ignition causes sparks to traverse the gap to cause ignition. These sparks are used to ignite the air-fuel mixtur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미국특허 5,051,651호는 외부 접지전극을 차폐하여 중심전극 둘레에 생성된 "원통형 홀(cylindrical hole)"을 기재한 것이다. 미국특허 5,051,651호는 이러한 원통형 홀의 내측에 "점화 시드(ignition seeds)"를 다양하게 한 것을 개재한 것이다. 모든 예에서, 접지전극은, "중심전극의 방사 면을 드러나게 하는 오목한 내부 면"(8세로단, 33열)을 구비한다. 상기 구조는, "원통형 홀의 반경과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진, 점화 간극과 중심전극의 반경과의 합"(1세로단, 54열)과 동일한 내부 반경을 가진 동심(同心) 곡선 면을 생성한 것이다.U.S. Patent 5,051,651 describes a "cylindrical hole" created around a center electrode by shielding an external ground electrode. U.S. Patent 5,051,651 discloses a variety of "ignition seeds" inside the cylindrical hole. In all examples, the ground electrode has a "concave inner surface that reveals the radiation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8 vertical stages, 33 rows). The structure produces a concentric curved surface with an inner radius equal to "sum of the ignition gap and the radius of the center electrode, which is made approximately equal to the radius of the cylindrical hole" (one vertical column, 54 rows).

미국특허 5,051,651호의 도 13에서 볼 수 있고 그리고 독립 청구항 18항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발명은 특정적으로는 "각각의 내부 직각측의 적어도 일 부분에 중심전극의 축을 형성하는 면을 제공하는 곡선을 가진 오목 면이 설치된" 스파크 타격지(spark strike areas)에 의지하는 것이다.As can be seen in FIG. 13 of U. S. Patent 5,051, 651 and as described in independent claim 18, the invention specifically provides for a " surface that forms an axis of the center electrode on at least a portion of each inner right side. Rely on "spark strike areas" with curved concave surfaces.

모든 스파크가 접지전극으로 최단거리 중심전극을 따라 이동함으로, 미국특허 5,051,651호의 실제 면은 접지전극이 중심전극과 동일한 축선상에서 중심을 가진 반경으로 형성된 다른 동심 링 구조(미국특허 1,748,338호; 1,942,242호; 1,912,516호; 5,430,346호; 및 5,280,214호)와 유사한 것이다. 활성적으로 불꽃이 튀는 지점에 기능성 코어가 있는 미국특허 5,051,651호도 다른 동심 링 구조와 유사하게 동작한다.As all the sparks move along the shortest center electrode to the ground electrode, the actual face of U.S. Patent 5,051,651 shows another concentric ring structure in which the ground electrode has a radius centered on the same axis as the center electrode (US Pat. Nos. 1,748,338; 1,942,242; 1,912,516; 5,430,346; and 5,280,214. U. S. Patent No. 5,051, 651, with a functional core at the point of active sparks, operates similarly to other concentric ring structures.

그런데, 상기 동심 링 구조는 표준 점화 플러그 구조를 능가하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concentric ring structure does not exhibit superior performance over the standard spark plug structure.

또한, 미국특허 5,612,586호는, 특정 주요부를 표준 점화 플러그와 공동하는 90도 절곡부를 제거하고 배치한 것이다. U.S. Patent 5,612,586 also removes and places a 90 degree bend that ties a particular main part with a standard spark plug.

상기 종래 기술의 특허들은 어느 정도 유익한 특징을 가진 것이기는 하지만, 상기 특허들에는 종래 플러그 구조를 개량하여 연료효율을 증진하고 배기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여전히 있는 것이다.Although the patents of the prior art have some beneficial features, there is still a ne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lug structure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displacement.

본 발명은 중심전극과 상관 접선하는 엣지 모서리(edge corners)가 있는 점화 플러그의 사용과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spark plugs with edge corners that correlate tangentially with the center electrode.

본 발명의 목적은 개량된 점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spark plu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량된 점화 플러그의 접지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grounding electrode of a spark plu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연료 효율을 나타내는 개량된 점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spark plug that exhibits improved fuel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연소압력을 나타내는 개량된 점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spark plug which exhibits an improved combustion press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 오염량이 감소된 개량된 점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spark plug with reduced emissions of pollu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 그리고 이점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고로 양호한 실시예를 통해 이하에 설명하며, 그 특징적인 기술내용은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특징적으로 한정된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and the technical description thereof is characteristically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일 부분을 나타낸 상부도이다.1 is a top view showing a part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점화 플러그(10)를 나타내며,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측부평면도이다.FIG. 2 shows a spark plug 10 and is a side plan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도 3은 2개 상관 접선부와 1개 꼭지점(two tangential relationships and one vertex)을 가진 "포크(fork)" 구조로 이해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51)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도이다.3 is a ground electrode 51 and a center electrode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nderstood to be a "fork" structure having two correlation tangents and two tangential relationships and one vertex. Top view of the two electrodes of (20).

도 4는 3구간, 3개 상관 접선부, 및 2개 꼭지점을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52)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도이다.4 is a top view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ground electrode 52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ree sections, three correlation tangents, and two vertices.

도 5는 적어도 4개 상관 접선부와 5개 꼭지점을 가진 6개 구간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53)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도이다.5 is a top view of two electrodes of a ground electrode 53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ix sections having at least four correlation tangents and five vertices.

도 6은 4개 구간, 3개 꼭지점, 및 4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60)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도이다.6 is a top view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ground electrode 60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four sections, three vertices, and four correlation tangents.

도 7은 4개 상관 접선부와 4개 꼭지점을 가진 "폐쇄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70)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도이다.FIG. 7 is a top view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ground electrode 70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ing of a "closed box" structure having four correlation tangents and four vertices. .

도 8은 6개 상관 접선부와 6개 꼭지점을 가진 "폐쇄 6면체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80)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도이다.FIG. 8 is a top view of two electrodes of a ground electrode 80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losed hexahedral box" structure having six correlation tangents and six vertices. It is also.

도 9는 1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단일 직선 전극"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90)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도이다.9 is a top view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ground electrode 90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ingle straight electrode" structure with one correlated tangent.

도 10은 2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이중 직선 전극"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사용된 2개 접지전극(100, 100)과 중심전극(20)의 3개 전극의 상부도이다.10 is a top view of three electrodes of two ground electrodes 100 and 100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double linear electrode" structure with two correlated tangents. to be.

도 11은 2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이중 T형상 전극"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사용된 2개 접지전극(110, 110)과 중심전극(20)의 3개 전극의 상부도이다.11 shows the tops of three electrodes of two ground electrodes 110 and 110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double T-shaped electrode" structure having two correlation tangents. It is also.

도 12는 2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중심이탈한 이중 T형상 전극"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사용된 2개 접지전극(120, 120)과 중심전극(20)의 3개 전극의 상부도이다.FIG. 12 shows two ground electrodes 120 and 120 and three center electrodes 20 used in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entered double T-shaped electrode" structure having two correlated tangents. Top view of the electrode.

도 13은 3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삼각구조 삼중 T형상 전극"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사용된 3개 접지전극(130, 131, 132)과 중심전극(20)의 4개 전극의 상부도이다.FIG. 13 shows three ground electrodes 130, 131, and 132 and four of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riangle triple T-shaped electrode" structure having three correlation tangents. Top view of a dog electrode.

도 14는 상관 접선 관계로 중심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부 모서리 엣지를 가진 접지전극(140)의 일 부분의 하측부 단면과, 일반적인 중심전극(20)의 단면을 나타낸 측부 입면도이다.14 is a side elevation view showing a lower cross section of a portion of the ground electrode 140 having a lower edge edge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electrode in a correlation tangent relationship, and a cross section of the general center electrode 20.

도 15는 접지전극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 1개 엣지 상관 접선부를 가지고, 중심전극(20)에 볼록 곡선의 엣지를 제공하는 접지전극(150)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ound electrode 15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having one edge correlation tangent and providing a convex curve edge to the center electrode 20.

도 16은 접지전극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 1개 엣지 상관 접선부를 가지고, 중심전극에 직선 엣지를 제공하는 접지전극(160)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ound electrode 16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and having one edge correlation tangent and providing a straight edge to the center electrode.

도 17은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4개 접지전극(170, 171, 172, 173)이, 도 26에 기재된 구역에 4개 엣지가 있지만 엣지 상관 접선을 도시하지 않은, 중심전극(20)에 다양한 직선 엣지를 제공하도록 연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17 shows four straight electrodes 170, 171, 172, and 173 of rectangular cross section, with four straight edges in the region described in FIG. 26, but with various straight edges at the center electrode 20, not showing edge correlation tangents. Figure is shown in conjunction to provide.

도 18은 접지전극의 각 직선 구간의 횡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3개 엣지 상관 접선부를 갖는, 중심전극(20)이 3개 상관 접선부와 3개 꼭지점을 갖게 하는 삼각형상의 접지전극(180)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8 shows a triangular ground electrode 180 having a center electrode 20 having three correlated tangents and three vertices, the cross section of each straight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being approximately rectangular and having three edge correlated tangents. Drawing.

도 19는 3개 엣지 상관 접선부와 3개 꼭지점이 주어진, 삼각형상 중심전극(20)과 삼각형상 접지전극(195)을 나타낸 도 18과 유사한 도면이다.FIG. 19 is a view similar to FIG. 18 showing triangular center electrode 20 and triangular ground electrode 195, given three edge correlation tangents and three vertices.

도 20은 상관 접선이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전극(20)에 2개 꼭지점과 3개 곡선 엣지를 제공하는 접지전극(200)으로 이루어진 단부 개방된 모양의 전극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0 illustrates an electrode with an open end shape consisting of a ground electrode 200 having a correlation tangent of “straight lines” and “curves” and providing two vertices and three curved edges to the center electrode 20. to be.

도 21은 3개 엣지 상관 접선부와 2개 꼭지점이 주어지며, 중심전극(20)에 3개 직선 엣지와 2개 꼭지점을 제공하는 접지전극(210)으로 이루어진 단부 개방된 모양의 전극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1 is an end-opened electrode consisting of a ground electrode 210 which is provided with three edge correlation tangents and two vertices and provides three straight edges and two vertices in the center electrode 20. FIG. to be.

도 22는 3개 상관 접선 관계로 주어지며, 사각형상 접지전극(220)과 대체로 대응하는 모양의 중심전극(2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21에 도시된 전극과 유사한 단부 개방된 모양의 전극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2 is given in three correlation tangent relations, and has an end-opened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electrode shown in FIG. 21, except for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rectangular ground electrode 220 and a center electrode 20 having a generally corresponding shape.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lectrode of.

도 23은 그 안에 단일 꼭지점을 가지며, 2개 곡선진 엣지 상관 접선부가 "포크" 모양으로 이루어진 접지전극(230)과 중심전극(20)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3 is a diagram showing a ground electrode 230 and a center electrode 20 having a single vertex in it, and two curved edge correlation tangents having a "fork" shape.

도 24는 4개 상관 접선부와 3개 꼭지점을 가지고, 중심전극(20)의 돌출부를 대략적으로 둘러싸는, 그 단부가 각각 "미늘(barb)"로 이루어진, 2개 접지전극(240, 241)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4 shows two ground electrodes 240 and 241 having four correlating tangents and three vertices, the ends of each of which being " barbs " each of which roughly enclose the protrusions of the center electrode 20. It is a diagram showing.

도 25는 접지전극(250)에 의해 중심전극(20)에 주어진 오목한 곡선의 엣지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5 shows an edge of a concave curve given to the center electrode 20 by the ground electrode 250.

도 26은, 출원 시, 이건 발명자의 이해로, 기체 흡입을 위한 "화구(chimney)" 효과가 발생하도록 중심전극의 외부 엣지로 접지전극의 하부 엣지가 노출되는 구역에 위치하는, "영역(zone)"에 있는 3개 위치(1, 2, 3)에 중심전극과 관련하여 접지전극(260)을 위치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1, 2, 3)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6 shows, at the time of filing, a region in which the lower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is exposed to the oute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so that a "chimney" effect for inhalation of the gas occurs. FIG. 3 illustrates various positions 1, 2, 3 in which the ground electrode 260 can be positioned in relation to the center electrode at three positions 1, 2, and 3 at "

도 27은 중심전극으로의 둘레 돌출부에 대한 상관 접선 상태로 중심전극 위에 설치된 접지전극(270)의 하부 엣지가 있는, 도 1(중심전극(20)의 중앙 종방향 축선을 통한 절취)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부 단면도이다.FIG. 27 is shown in FIG. 1 (cutting throug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center electrode 20) with the lower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270 installed over the center electrode in a correlative tangent to the circumferential protrusion to the center electrod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도 28은 접지전극(280)의 횡단면이 전방 화염 전파(the flame front's propagation)에 대한 방해를 거의 받지 않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도 27과 유사한 도면이다. FIG. 28 is a view similar to FIG. 27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280 is streamlined with little interference with the flame front's propagation.

도 29는, 중심전극(20)의 상부 엣지에 최근접한 면으로 엣지(직선 또는 다른 모양)를 제공하는 단면이 도시된 것과는 다른 임의적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5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도 25의 전극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호(arc) 모양으로 받쳐지고 그리고 접지전극(290)이 1개 엣지로 감소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8의 것과 유사한 도면이다.FIG. 29 may be formed in an arbitrary shap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the cross section providing an edge (straight or other shape) to the surface closest to the uppe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20, and may also be applied to FIG. 28 is a view similar to that of FIG. 28 except that it is supported in an arc shape as seen at the electrodes of and the ground electrode 290 is reduced to one edge.

도 30은 가늘고 긴 부재의 선단부 엣지의 최종 위치 만큼 중요하지는 않은 각도로 상방향과 내부방향으로 경사진 직선부를 경유하여 중심전극의 상부에 주어진 복수의 직선 엣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접지전극(300, 301, 302)(도시하지 않은 제 4접지전극 사용 가능)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0 shows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s 300 which provide a plurality of straight edges given on top of the center electrode via straight portions inclined upward and inward at an angle that is not as critical as the final position of the leading edge of the elongated member. 301 and 302 (a fourth ground electrode (not shown) can be used).

도 31은, 접지전극 엣지 위와 아래에 절결부(chamfers)로 인하여 점화로 발생하는 화염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중심전극의 상부 원형 엣지에 주어진 "다이어몬드" 모양의 접지전극(310)의 단면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조와 유사하게 이루어진 구조의 측부 단면도이다.FIG. 31 shows a "diamond" shaped ground electrode 310 given to the upper circula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which has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the flow of the flame resulting from ignition due to chamfers above and below the ground electrode edge.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similar to that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 except for the cross section of FIG.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구조의 일부 특징부를 취하면서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접지전극(320)의 상부 면에 제공된 단순 절결부를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조를 변경한 실시예의 측부 단면도이다.FIG. 32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of FIG. 1 except for a simple cutout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320, which makes manufacturing easier while taking some feature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An example side sectional view.

도 33은 노치를 스파크 효율이 향상되도록 중심전극(335)에 설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한 접지전극(330)을 구비한 실시예의 측부 단면도이다.FIG. 3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having a ground electrode 330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1 except that the notch is installed on the center electrode 335 to improve spark efficiency.

도 34는, "목부(necked-down)"가 중심전극(20)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는 강선(fine wire)" 방출 선단부를 중심전극에 생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접지전극(345)을 구비한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의 구조의 측부 단면도이다.34 shows ground electrode 345, except that a "necked-down" is provided on top of center electrode 20 and a "fine wire" emission tip is created in the center electrod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of an embodiment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도 35는 중심전극(20)의 선단부가 절결되고, "주요(important)" 엣지를 지지하는 단일(도시) 또는 복수(도시 않음) 동체를 통해 위로부터 주어지는 접지전극(350)의 엣지를 나타낸 도면이다.35 shows the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350 cut from the top through a single (not shown) or multiple (not shown) fuselage, with the leading end of the center electrode 20 cut away and supporting an "important" edge. to be.

도 36은, 소형 크기의 중심전극이 유입 연료의 충전 및 현재 화염 핵심부(existing flame kernel)에 대한 장애를 감소시키는 역활을 하는 구조로, 다른 실시예의 제조에서 소요되는 비용보다 많은 비용을 사용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차폐가 거의 없는 엣지-대-엣지 방식의 스파크를 연소실에 제공하며, 중심전극과 접지전극(365, 360) 각각에 의해 형성된 2개 엣지의 "최대 엣지-대-엣지 표출부"를 가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6 is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sized center electrode serves to reduce the charging of incoming fuel and the disturbance to the present flame kernel, but uses more cost than the cost of the manufacture of another embodiment. This structure provides edge-to-edge sparks with little shielding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provides the "maximum edge-to-edge display" of the two edges formed by the center and ground electrodes 365 and 360, respectively.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n excitation.

도 37은 정점(chisel point) 중심전극(375)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도 2의 것과 유사한 접지전극(370)을 가진 점화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7 shows a spark plug with a ground electrode 370 similar to that of FIGS. 1 and 2 except that a chisel point center electrode 375 is used.

도 38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접지전극(380)을 가진, 원추 정 점 중심전극(385)으로 이루어진 점화 플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8 shows a spark plug consisting of a conical vertex center electrode 385 with a ground electrode 380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1 and 2.

도 39는 정점(395-A), 피라미드 점(395-B), V-홈(395-C), 중앙 오목부(395-D), 다각형(395-E), 단일 점(395-F), 복수 엣지(395-G), 절결 점(395-H), 중공 원통부(395-I), 중공 다각형(395-J), 및 목부(395-K)를 구비한, 다른 접지전극에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중심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9 shows vertices 395 -A, pyramid points 395 -B, V-grooves 395 -C, center recesses 395 -D, polygons 395 -E, single points 395 -F And other ground electrodes, having a plurality of edges 395 -G, cutouts 395 -H, hollow cylinders 395 -I, hollow polygons 395 -J, and necks 395 -K. Figure is a diagram showing a series of center electrode structure that can be.

도 40a 및 도 40b는, 중심전극의 엣지가 1:1 관계로 접지전극의 엣지에 제공되며, 각각이 엣지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1쌍의 접지전극(400, 401)과, 각각이 엣지를 형성하는 T형상 단부를 가진 T형상 중심전극(405)을 구비하는 구조의 상부 및 측부 평면도이다.40A and 40B show that the edges of the center electrode are provided at the edges of the ground electrodes in a 1: 1 relationship, similar to each forming an edge, a pair of ground electrodes 400 and 401 and each edge Top and side plan views of a structure including a T-shaped center electrode 405 having a T-shaped end portion to be formed.

도 41a 및 도 41b는 2개 구간이 도 40a 및 도 40b에서와 같이 사용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구간이 도 40a 및 도 40b의 구조의 어느 하나에 사용되며, 곡선진 접선 엣지를 가진, 접지전극(410)과 L형상 중심전극(415)을 구비하는 구조의 상부 및 측부 평면도이다.41A and 41B illustrate a ground electrode having two curved sections as shown in FIGS. 40A and 40B or two or more sections used in any one of the structures of FIGS. 40A and 40B and having a curved tangent edge. Top and side plan views of the structure including 410 and an L-shaped center electrode 415.

도 42a 및 도 42b는 3개 상관 접선부를 형성하게 결합된, 접지전극(420)과 중심전극(425)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측부 평면도이다.42A and 42B are side plan views of a structure consisting of a ground electrode 420 and a center electrode 425 coupled to form three correlation tangents.

도 43은, 도 26의 "영역" 개념을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는, 'G1'이 제로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그리고 'G2'가 제로보다 크거나 동일한, 'G1'과 'G2'로 참고된 2개 지점사이에 수직수평방향 이격동작부를 제공하는 접지전극(430)과 중심전극(20)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3 is a reference to 'G1' and 'G2', where 'G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zero and 'G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zero, illustrating the "region" concept of FIG. 26 in another way.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cluding a ground electrode 430 and a center electrode 20 that provide a vertical horizontal separation operation between two points.

도 44는 상관 "접선"이 전극(20, 440)과 관련한 "제1경우"만이 아니라 전극(20, 441)과도 관련한 "제2경우"에도 나타낸,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진 상관 접선을 추가로 설명하는, 일반적인 2개 접지전극(440, 441)과 일반적인 중심전극(20)을 설명하는 상부 평면도이다.FIG. 44 further illustrates a correlation tangent with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rrelation "tangential" is shown not only in the "first cas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s 20, 440 but also in the "second cas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s 20, 441. It is a top plan view explaining the general two ground electrodes 440 and 441 and the general center electrode 20 which are demonstrated.

도 45는 중간위치 꼭지점(455)도 나타낸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44의 "제2경우"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상관 접선부(453, 454)가 있는 단길이 지부(prong)를 가진, 2개 지부의 접지전극(450)과 일반적인 중심전극(20)을 나타내는 상부 평면도이다.FIG. 45 is a view similar to FIG. 3 showing an intermediate position vertex 455, showing a short length prong with two correlating tangents 453 and 454 as shown in " second case " It is an upper plan view showing the ground electrode 450 and the general center electrode 20 of two branches.

도 46은 출원 시, 이건 발명인의 이해로서, 도 26에 설명된 "유입 충전물 흐름" 개념으로 추가 공간을 제공하는, 4개 상관 접선부를 가지는 대신, 접지전극(460)의 4개 엣지가 도 26의 "영역"에 그리고 중심전극의 돌출부 외측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것과 유사한 "광폭개방-박스"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6 shows, at the time of filing, that the four edges of the ground electrode 460, instead of having four correlated tangents, provide additional space with the concept of “influent fill flow” described in FIG. FIG. 1 shows a "wide open-box"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1 except that in the " area " and outside the protrusion of the center electrode.

도 47은 출원 시, 이건 발명인의 이해로서, 도 26에 설명된 "유입 충전물 흐름"개념으로 추가 공간을 제공하는, 2개 상관 접선부를 가지는 대신, 접지전극(470)의 2개 엣지가 도 26의 "영역"에서 그리고 중심전극(20)의 돌출부 외측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3의 것과 유사한 "광폭개방-포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7 shows, at the time of filing, the two edges of the ground electrode 470 instead of having two correlated tangents, providing additional space with the "influent fill flow" concept described in FIG. FIG. 3 shows a "wide open-fork"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FIG. 3, except in the " area "

도 48은 개방 전극 면이 화염 핵심부의 전파를 장려하는 성질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도록 도시한, 일반적인 중심전극(20)과 상관된 "개방" 접지전극(481)과 동심 접지전극(480)을 나타낸 동심 및 비동심 전극 성질으로 확인된 차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8 is a concentric representation of an "open" ground electrode 481 and a concentric ground electrode 480 correlated with a typical center electrode 20, showing that the open electrode face has the property of encouraging propagation of the flame core. And a diagram illustrating the difference identified by the non-concentric electrode properties.

본 발명은 종래 중심전극과 1개 이상의 접지전극을 가진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그 각각은 대체로 둥근 전극 둘레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방향진 1개 이상의 하부 모서리 엣지를 형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k plug having a conventional center electrode and at least one ground electrode, each of which forms at least one lower edge edge tangentially oriented about the round electrode.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박스" 플러그로 참고 되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 "박스" 플러그는 위에서 보았을때 점화 플러그의 중심전극을 "에워싸고" 있는 대략 정사각형 모양의 접지전극을 사용한다. 그런데, 사실상,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는 갈라진 지부부분(split prong members)이 있는 하방향 하부 면에 위치한 평면과 중심전극의 상부 둥근 단부 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일 테스트에서 0.025")이 있어서, 점화 플러그의 중심전극을 완전히 에워싼 것은 아니다.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ed to by the "box" plug shown in Figs. The "box" plug uses a substantially square ground electrode that "wraps" around the center electrode of the spark plug when viewed from above. By the way, in fact, as shown in FIG. 2, the box has a gap (0.025 in one test) formed between the plane located on the lower bottom face with the split prong members and the upper rounded end face of the center electrode. "), It does not completely surround the center electrode of the spark plug.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30)은 갈라져서 출발하지만 다시 모여지게 연장 형성된 2개 단부 지부(32)를 구비한다. 2개 단부 지부(32)는 각각 대체로 동일한 길이의 2구간(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2구간은 "분기(diverging)"구간(34)과 "수렴(converging)"구간(34)으로 구분 이해 한다. 따라서, 각각의 지부가 "분기"구간과 "수렴"구간을 갖고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ode 30 has two end portions 32 which are formed to start apart but extend back to gather. The two end branches 32 each consist of two sections 34 of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The two sections are understood to be divided into a "diverging" section 34 and a "converging" section 34.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each branch has a "branch" section and a "convergence" section.

"팔꿈치(Elbow) 연결부"는 특정 구간의 분기 구간을 그 대응 수렴 구간에 연결시키는 역활을 한다. 상기 팔꿈치 연결부(도 1의 실시예에서는 2개)는 중앙 지부의 중앙 세로축을 통해 연장된 수직면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다.The "Elbow Connection" serves to connect the branch section of a particular section to its corresponding convergence section. The elbow connection (two in the embodiment of FIG. 1) is shown as being in a vertical plane extending throug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central branch.

접지전극은 주 꼭지점(40)과 2개 팔꿈치 연결부의 내부 꼭지점(41)으로 이루어진 3개 꼭지점을 갖는다.The ground electrode has three vertices consisting of a main vertex 40 and an inner vertex 41 of the two elbow connections.

구간(34)의 횡단면은 0.050"의 폭과 0.050"의 두께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구조인 것으로 이해한다. 상기 단면에는 4개 외부방향 선형(적어도 근처에 굽힘부가 없음) 모서리 엣지가 주어진다(도 14에도 도시). 중심전극에 대한 적어도 내부 하부 모서리 엣지의 상관 관계가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상기 관계는, 각각의 구간(34)이, 도 1에 도시된 구조에서 주어진 4개 상관 접선부를 갖는 접선 관계인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ection 34 is a rectangular structure consisting of 0.050 "wide and 0.050" thick. The cross section is given four outwardly linear (no bends at least near) corner edges (also shown in FIG. 14). Correlation of at least the inner bottom edge edge to the center electrode provides improved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is a tangential relationship in which each section 34 has four correlated tangents given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중심전극은 본원 명세서에서는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설명을 목적으로 지칭한 것이지, 상기 기술이 그에 한정한다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작동 시에, 상기 전극은 사용하면서 많은 다른 방향으로 향해질 수 있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enter electrode shown in FIG. 2 is a "upward" extending center electrode herei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fact is referred to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that the descrip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peration, the electrode can be directed in many different directions while in use.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접지전극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 기술한다.Other grounding electrod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2개 상관 접선부와 1개 꼭지점을 가진, "포크" 모양 구조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51)과 중심전극(20)으로 이루어진, 2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top view of two electrodes consisting of a ground electrode 51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 fork " structure with two correlating tangents and one vertex. It is a figure which shows a part.

도 4는 3개 구간과 3개 상관 접선부와 2개 꼭지점을 가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52)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Fig. 4 shows the upper part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ground electrode 52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ree sections, three correlation tangents and two vertices.

도 5는 적어도 4개 상관 접선부와 5개 꼭지점이 있고, 6개 구간을 가진,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53)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5 shows the upper part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ground electrode 53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t least four correlation tangents and five vertices, and having six sections. Indicates.

도 6은 4개 상관 접선부, 3개 꼭지점, 그리고 4개 구간을 가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60)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FIG. 6 shows the upper part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ground electrode 60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four correlation tangents, three vertices, and four sections. .

도 7은 4개 상관 접선부와 4개 꼭지점을 가진, "폐쇄 박스" 구조로 이해되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사용되는 접지전극(70)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7 shows two electrodes of a ground electrode 70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stood as a "closed box" structure, with four correlating tangents and four vertices. Represents the upper part.

도 8은 6개 상관 접선부와 6개 꼭지점을 가진, "폐쇄 6면체 박스" 구조로 이해되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사용되는 접지전극(80)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FIG. 8 shows two of the ground electrode 80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nderstood to be a "closed hexagonal box" structure with six correlation tangents and six vertices. Represents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도 9는 1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단일 직선 전극"구조로 이해되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사용된 접지전극(90)과 중심전극(20)의 2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FIG. 9 shows the upper part of the two electrodes of the ground electrode 90 and the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understood as a "single straight electrode" structure with one correlated tangent. .

도 10은 2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이중 직선 전극" 구조로 이해되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사용된 2개 접지전극(100, 100)과 중심전극(20)인 3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FIG. 10 is a diagram of three electrodes, two ground electrodes 100 and 100 and a central electrode 20 used in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stood as a "double straight electrode" structure with two correlated tangents. Represents the upper part.

도 11은 2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이중 T형상 전극" 구조로 이해되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사용되는 2개 접지전극(110, 110)과 중심전극(20)인 3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11 is a three electrode, two ground electrodes 110 and 110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stood as a "double T-shaped electrode" structure with two correlated tangents. Represents the upper part of.

도 12는 2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이중 T형상 전극" 구조로 이해되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사용되는 2개 접지전극(120, 120)과 중심전극(20)인 3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12 shows three electrodes, two ground electrodes 120 and 120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stood as a "double T-shaped electrode" structure with two correlated tangents. Represents the upper part of.

도 13은 3개 상관 접선부를 가진, "삼각구조의 삼중 T형상 전극" 구조로 이해되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사용되는 3개 접지전극(130, 131, 132)과 중심전극(20)인 4개 전극의 상부 부분을 나타낸다.FIG. 13 shows three ground electrodes 130, 131, and 132 and a center electrode 20 used in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understood to be a " triangled triple T-shaped electrode " structure having three correlation tangents. The upper part of four electrodes which are) is shown.

도 14는 상관 접선으로 중심전극을 향하는 하부 모서리 엣지를 구비하는 접지전극(140)의 일 부분의 횡단면 하측부와, 일반적인 중심전극(20)의 측부 입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bottom portion of a portion of the ground electrode 140 having a lower edge edge toward the center electrode at a correlative tangent and a side elevation of the general center electrode 20.

도 15는 1개 엣지 상관 접선부를 갖는, 중심전극(20)에 볼록하게 곡선진 엣지를 제공하는 접지전극(150)을 나타낸 도면이다. 접지전극(150)의 횡단면은 직사각형이다. FIG. 15 shows a ground electrode 150 providing a convexly curved edge to the center electrode 20 with one edge correlation tangent. The cross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150 is rectangular.

도 16은 중심전극(20)에 제공된 간단한 직선 엣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접지전극(160)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1개 엣지 상관 접선부가 있다.16 shows a simple straight edge provided to the center electrode 20. The cross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160 is rectangular. There is one edge correlation tangent.

도 17은 중심전극(20)에 복수의 단순 직선인 엣지를 제공하도록 연합된 4개 접지전극(170, 171, 172, 173)의 사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4개 접지전극의 각각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다. 엣지 상관 접선은 없다.FIG. 17 illustrates the use of four ground electrodes 170, 171, 172, 173 associated to provide a plurality of simple straight edges to the center electrode 20. Each cross section of the four ground electrodes is rectangular. There is no edge correlation tangent.

도 18은 중심전극(20)에 3개 엣지 상관 접선부와 3개 꼭지점을 제공하는 삼각형상 접지전극(180)을 나타낸 도면이다. 접지전극의 각각의 선형 구간의 횡단면은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3개 엣지 상관 접선부가 있다. 18 illustrates a triangular ground electrode 180 providing three edge correlation tangents and three vertices to the center electrode 20. The cross section of each linear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is generally rectangular. There are three edge correlation tangents.

도 19는 도18에 도시된 모양과 유사하며, 삼각형상 중심전극(20)을 가진 삼각형상 접지전극(195)을 도시한 도면이다. 3개 엣지 상관 접선부와 3개 꼭지점을 도면에서 볼 수 있다.FIG. 19 is a view similar to the shape shown in FIG. 18 and shows a triangular ground electrode 195 having a triangular center electrode 20. Three edge correlation tangents and three vertices can be seen in the figure.

도 20은 중심전극(20)에 2개 꼭지점과 곡선진 3개 엣지를 제공하는 접지전극(200)을 구비하는 단부 개방된 전극을 나타낸다. 도면에서는, 3개의 "곡선진" 엣지 상관 접선부가 제공되었다. 상관 접선부는 "직선" 상관 접선이거나, 또는 "곡선" 상관 접선을 가질수 있다.20 shows an end-opened electrode having a ground electrode 200 providing two vertices and three curved edges to the center electrode 20. In the figure, three "curved" edge correlation tangents are provided. The correlated tangent may be a "straight" correlated tangent or have a "curved" correlated tangent.

도 21은 중심전극(20)에 3개 직선 엣지와 2개 꼭지점을 제공하는 접지전극(210)을 구비한 단부 개방된 전극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는 3개 엣지 상관 접선부와 2개 꼭지점이 있다.FIG. 21 shows an end-opened electrode having a ground electrode 210 providing three straight edges and two vertices to the center electrode 20. In the figure there are three edge correlation tangents and two vertices.

도 22는 사각형상의 접지전극(2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중심전극(20)을 가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부 개방된 전극인 것이다. 3개 상관 접선부가 있다. FIG. 22 is an end-opened electrod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21 except that the center electrode 2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ground electrode 220. There are three correlation tangents.

도 23은 내부에 단일 꼭지점을 가지고, 2개 곡선진 엣지 상관 접선부를 가진 "포크" 모양의 전극을 나타낸 도면이다. 접지전극(230)과 중심전극(20)을 나타내었다.FIG. 23 shows a “fork” shaped electrode with a single vertex inside and two curved edge correlation tangents. The ground electrode 230 and the center electrode 20 are shown.

도 24는 중심전극(20)의 돌출부를 에워싸고, 그 단부가 "미늘(barb)"로 이루어진 2개 접지전극(240, 241)을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서는 4개 직선 상관 접선부와 2개 꼭지점이 있다.FIG. 24 shows two ground electrodes 240 and 241, which enclose a protrusion of the center electrode 20 and whose ends are made of "barbs." In this figure there are four straight line correlation tangents and two vertices.

도 25는 접지전극(250)에 의해 중심전극(20)에 제공된 단순 곡선진 엣지를 나타낸다.25 shows a simple curved edge provided to the center electrode 20 by the ground electrode 250.

도 26은, "영역(zone)"에 있는 3개 위치(1, 2, 3)에 접지전극(260)을 중심전극(20)과 상관하여 배치된, 다양한 위치(1, 2, 3)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영역에 있는 위치들은, 이건 출원 시에 이건 발명자의 이해로서, 기체 흡입을 위한 "화구(chimney)" 효과가 발생하도록 중심전극의 외부 엣지로 접지전극의 하부 엣지가 노출된 것이다.FIG. 26 shows various positions 1, 2, 3 arranged at three positions 1, 2, 3 in the “zone” with the ground electrode 260 correlated with the center electrode 20.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positions in this region, as it is understood by the inventors, at the time of filing, are the lower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exposed to the oute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so that a "chimney" effect for gas intake occurs.

도 27은 중심전극으로 둘레 돌출부에 대한 상관 접선 상태로 중심전극 위에 설치된 접지전극(270)의 하부 엣지가 있는, 도 1(중심전극(20)의 중앙 세로축을 통한 절취)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부 단면도이다.FIG. 27 is a sid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cutting throug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center electrode 20), with the lower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270 installed over the center electrode in a correlative tangent to the circumferential protrusion with the center electrode. It is a cross section.

도 28은 접지전극(280)의 횡단면이 전방 화염 전파(the flame front's propagation)에 대한 방해를 거의 받지 않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27과 유사한 도면이다. FIG. 28 is a view similar to FIG. 27 except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280 is streamlined with little interference with the flame front's propagation.

도 29는 도 2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호 모양으로 지지되고 그리고 접지전극(290)이 1개 엣지로 감소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28의 것과 유사한 것이다. 상기 전극 구조는 도 15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횡단면은 중심전극(20)의 상부 엣지에 최근접한 면으로 엣지(직선 또는 다른 모양)를 제공하는 단면이 도시된 것과는 다른 임의적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G. 29 is similar to that of FIG. 28 except that it is supported in an arc shape as seen in FIG. 25 and the ground electrode 290 is reduced to one edge. The electrode structure is also applicable to FIG. 15. The cross section may be of an arbitrary shape other than that shown, where the cross section providing an edge (straight or other shape) to the surface closest to the uppe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20 is shown.

도 30은 상방향과 내부방향으로 경사진 직선부를 경유하여 중심전극(20)의 상부에 주어진 복수의 직선 엣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접지전극(300, 301, 302)(도시 않은 제 4접지전극도 사용)을 구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경사는 가늘고 긴 부재의 선단부 엣지의 최종 위치 만큼 중요하지는 않은 것이다. FIG. 30 shows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s 300, 301, 302 (the fourth ground electrode not shown) providing a plurality of straight edges given on top of the center electrode 20 via straight portions inclined upwardly and inwardly. The use example) is shown. The incline is not as important as the final position of the leading edge of the elongate member.

도 31은 중심전극(20)의 상부 원형 가장자리에 엣지를 제공하며, 접지전극(310)의 단면이 "다이어몬드" 모양을 가진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대체로 유사한 구조의 측부 단면도이다. 이러한 구조는, 접지전극 엣지의 위와 아래에 있는 절결부(chamfers)로 인하여 스파크로 발생하는 화염의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FIG. 31 provides an edge at the upper circula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20 and has a structure generally similar to that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 except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ground electrode 310 has a “diamond” shape. Side section of the. This structure facilitates the flow of flames resulting from sparks due to chamfers above and below the ground electrode edge.

도 32는 접지전극(320)의 상부 면에 제공된 단순 절결부를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도 31에 도시된 구조의 일부 특징부를 취하면서 제조가 보다 용이한 것이다.32 is a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FIG. 1 except for a simple cutou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320. The structure is easier to manufacture while taking some features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도 33은 스파크 효율이 향상되도록 중심전극(335)을 절결하여 노치를 설치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한 접지전극을 구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FIG. 33 illustrates an embodiment having a ground electrode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1 except that the notch is formed by cutting the center electrode 335 to improve spark efficiency.

도 34는 "목부(necked-down)"가 중심전극(335)에 "가는 강선" 방출 선단부를 생성하는, 중심전극(20)의 상부에 제공된 것을 제외하고, 접지전극(345)을 구비한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의 측부 단면도이다.FIG. 34 shows a ground electrode 345 except that a "necked-down" is provided on top of the center electrode 20, creating a "thin wire" emission tip to the center electrode 335. FIG.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1.

도 35는 "주요(important)" 엣지를 지지하는 단일(도시) 또는 복수(도시 않음) 동체를 통해 위로부터 주어지는 접지전극(350)의 엣지를 나타낸다. 또한, 중심전극(20)도 선단부가 절결된 것이다.35 shows the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350 which is given from above through a single (shown) or multiple (not shown) fuselage supporting an "important" edge. In addition, the tip portion of the center electrode 20 is also cut out.

도 36은 중심전극과 접지전극(365, 360) 각각에 의해 형성된 2개 엣지의 최대 엣지-대-엣지 표출부(maximized edge-to-edge presentaton)를 가진 구조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 비해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더 많이 소비되지만, 이러한 구조는 연소실에 차폐를 거의 받지 않는 엣지-대-엣지 스파크를 제공한다. 소형 크기의 전극이 유입 연료의 충전 및 현존 화염 핵심부(existing flame kernel)에 대한 장애를 감소시키는 역활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FIG. 36 illustrates a structure having a maximum edge-to-edge presentaton of two edges formed by the center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s 365 and 360, respectively. Although more expensive to manufacture compared to other embodiments, this structure provides edge-to-edge sparks with little shielding in the combustion chamber. The small sized electrode has a structure that serves to reduce the charge of the incoming fuel and the disturbance to the existing flame kernel.

도 37은 절두 정점(chisel point) 중심전극(375)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의 것과 유사한 접지전극(370)을 가진 점화 플러그를 나타낸다.FIG. 37 shows a spark plug with a ground electrode 370 similar to that of FIGS. 1 and 2 except that a chisel point center electrode 375 is used.

도 38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접지전극(380)을 가진, 1개 원추 정점 중심전극(385)으로 이루어진 점화 플러그를 나타낸다.FIG. 38 shows a spark plug consisting of one conical vertex center electrode 385 with a ground electrode 380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1 and 2.

도 39는 정점(395-A), 피라미드 점(395-B), V-홈(395-C), 중앙 오목부(395-D), 다각형(395-E), 단일 점(395-F), 복수 엣지(395-G), 절결 점(395-H), 중공 원통부(395-I), 중공 다각형(395-J), 및 목부(395-K)를 구비한, 다른 접지전극에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중심전극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9 shows vertices 395 -A, pyramid points 395 -B, V-grooves 395 -C, center recesses 395 -D, polygons 395 -E, single points 395 -F And other ground electrodes, having a plurality of edges 395 -G, cutouts 395 -H, hollow cylinders 395 -I, hollow polygons 395 -J, and necks 395 -K. Figure is a diagram showing a series of center electrode structure that can be.

도 40a 및 도 40b는 각각이 엣지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1쌍의 접지전극(400, 401)과, 각각이 엣지를 형성하는 T형상 단부를 가진 T형상 중심전극(405)을 구비하는 구조의 상부 및 측부 평면도이다. 중심전극의 엣지는 1:1 관계로 접지전극의 엣지에 제공된다.40A and 40B show a structure having a pair of ground electrodes 400 and 401 and a T-shaped center electrode 405 each having a T-shaped end forming an edge, similarly to forming an edge. Top and side plan views. The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in a 1: 1 relationship.

도 41a 및 도 41b는 곡선진 접선 엣지를 가진, 접지전극(410)과 L형상 중심전극(415)을 구비하는 구조의 상부 및 측부 평면도 이다. 2개 구간은 도 40a 및 도 40b에서와 같이 사용되거나 또는 2개 이상의 구간이 도 40a 및 도 40b의 구조의 어느 하나에 사용되는 것이다.41A and 41B are top and side plan views of a structure having a ground electrode 410 and an L-shaped center electrode 415 with curved tangent edges. Two sections are used as in FIGS. 40A and 40B or two or more sections are used in any one of the structures of FIGS. 40A and 40B.

도 42a 및 도 42b는 3개 상관 접선부를 형성하게 연합된, 접지전극(420)과 중심전극(425)으로 이루어진 구조의 측부 평면도이다.42A and 42B are side plan views of a structure consisting of a ground electrode 420 and a center electrode 425, associated to form three correlation tangents.

도 43은 각각 'G1'과 'G2'로 참고된 2개 지점사이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격져 있는 접지전극(430)과 중심전극(20)을 구비한 구조이다. 양호하게, 'G1'은 제로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그리고 'G2'도 제로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이것은 도 26의 "영역(zone)"개념을 다른 방식으로 설명한 것이다. 43 is a structure having a ground electrode 430 and a center electrode 20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etween two points referred to as 'G1' and 'G2', respectively. Preferably, 'G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zero and 'G2' is also greater than or equal to zero. This is another way of explaining the concept of " zone "

도 44는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진 상관 접선을 추가로 설명하는, 일반적인 2개 접지전극(440, 441)과 일반적인 중심전극(20)을 설명하는 상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관 "접선"은 전극(20, 440)과 관련한 "제1경우" 만이 아니라 전극(20, 441)과도 관련한 "제2경우" 도 포함한다.FIG. 44 is a top plan view illustrating two common ground electrodes 440 and 441 and a common center electrode 20, further illustrating the correlation tangent with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orrelation "tangential" includes not only the "first cas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s 20, 440 but also the "second case"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s 20, 441.

도 4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면서, 도 44의 "제2경우"의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상관 접선부(453, 454)가 있는 단길이 지부(prong)를 가진, 2개 지부의 접지전극(450)과 일반적인 중심전극(20)을 설명하는 상부 평면도이다. 중간위치 꼭지점(455)도 나타내었다. FIG. 45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3, with two branches, with short prongs with two correlating tangents 453 and 454 as shown as an example of the “second case” of FIG. 44. A top plan view illustrating the ground electrode 450 and the general center electrode 20 of FIG. An intermediate position vertex 455 is also shown.

도 46은 4개 상관 접선부를 가지는 대신, 접지전극(460)의 4개 엣지가 도 26의 "영역"에 그리고 중심전극(20)의 돌출부 외측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것과 유사한 "광폭개방-박스(wide-box)"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6 shows a “wide” similar to that of FIG. 1, except that the four edges of the ground electrode 460 are in the “area” of FIG. 26 and outside the protrusion of the center electrode 20, instead of having four correlated tangents. Shows a wide-box "structure.

도 47은 2개 상관 접선부를 가지는 대신, 접지전극(470)의 2개 엣지가 도 26의 "영역"에서 그리고 일반적인 중심전극(20)의 돌출부 외측에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도 3의 것과 유사한 "광폭개방-포크(wide-fork)"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건 출원 시에 이건 발명인의 이해로서, 도 26에 설명된 "유입 충전물 흐름(intake charge flow)" 개념으로 추가 공간을 제공한다.
도 48은 개방 전극 면이 화염 핵심부의 전파를 장려하는 성질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도록 도시한, 일반적인 중심전극(20)과 상관된 "개방" 접지전극(481)과 동심 접지전극(480)을 나타낸 동심 및 비동심 전극 성질로 스파크가 닿는 정도를 확인시켜주는 도면이다.
FIG. 47 is similar to that of FIG. 3 except that the two edges of the ground electrode 470 are outside the "region" of FIG. 26 and outside the protrusion of the typical center electrode 20, instead of having two correlated tangents. Figure is a view showing a wide-fork "(wide-fork) structure. This, at the time of filing, provides additional space with the concept of the "intake charge flow" described in FIG.
FIG. 48 is a concentric representation of an "open" ground electrode 481 and a concentric ground electrode 480 correlated with a typical center electrode 20, showing that the open electrode face has the property of encouraging propagation of the flame core. And it is a diagram confirming the degree of spark contact due to the non-concentric electrode properties.

상관 접선(the tangential relationship)The tangential relationship

상술된 바와 같이, 임의 경우에서는, 접지전극의 원형(별칭, "둥근(round)") 상부 엣지와 상관 접선하는 1개 이상의 직선 엣지를 갖는 것을 원하게 된다. 이러한 것을 각각의 엣지가 중심전극의 원주부 돌출부에 대해 상관 접선 상태이도록 1개 이상의 직선 엣지를 접지전극에 의해 형성된 직선 엣지가 제공하는 "직선 엣지 상관 접선(straight edge tangential relationship)"으로서 언급한다. 다수 도면 중에서, 도 1, 3, 4, 9 및 10에 도시된 예의 것이 상기 내용을 나타 낸다. As described above, in any case, one would like to have one or more straight edges that correlate to the circular (alias, “round”) upper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This is referred to as a "straight edge tangential relationship" provided by a straight edge formed by the ground electrode such that each edge is correlated tangential to the circumferential protrusion of the center electrode. Among the many drawings, the example shown in FIGS. 1, 3, 4, 9 and 10 represents the above contents.

그러나, "곡선진 엣지 상관 접선(curved edge tangential relationship)"은 도 15, 23 및, 25에 대한 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원에 개재된 일 발명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이해 한다.However, "curved edge tangential relationship" is understood to be found in one invention disclosed herein, as shown by way of example for FIGS. 15, 23, and 25.

주시된 중요 포인트는 스파크가 중심전극과 최근접 접지전극과의 사이에서 화염을 전달할 수 있는 지점이 된다. 접지전극의 지부의 실질 배치는 중심전극의 선단부에 또는 그 위에 선택된 높이로 중심전극의 둘레(필히 둥글게 할 필요는 없음) 돌출부에 인접하여 또는 그 외측부에 임의 장소에 위치한다.An important point to watch is the point at which the spark can transfer flame between the center electrode and the nearest ground electrode. The actual arrangement of the branch of the grounding electrode is located at or near the outside of the periphery of the center electrode (not necessarily rounding) of the center electrode at a selected height on or above the center electrode.

본 발명의 일 면은 도 17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관 접선부에서 어느 정도 분가하여 사용하려는 기도를 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7 and 26,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irway intended to be used to some extent in the correlating tangent.

엣지의 직선(the straightness of the edges)The straightness of the edges

상술된 바와 같이, 임의 경우에서는, 접지전극의 곡선진 상부 엣지와 상관 접선 상태로 있는 직선 엣지를 가질 것을 요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면은 그러한 상관 접선 상태의 곡선진 엣지의 사용을 기도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any case, it is desired to have a straight edge that is in correlation tangent with the curved upper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ay for the use of such curved edges in such a tangent relationship.

구역 개념(the zone concept)The zone concept

도 26은 참고로서, 도시된 임의 위치가 중심전극의 외부 엣지(별칭은 원형이어야 하는 그 "상부 둘레 엣지(upper peripheral edge)")에 접지전극의 하부 엣지를 노출하는 "영역(zone)"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 26 is for reference, a "zone" concept in which the illustrated position exposes the lower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to the oute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namely its "upper peripheral edge" which should be circular). Figure is for explaining.

본 발명의 관련된 다른 개념에는, 서로에 대해 노출 또는 주어진 엣지가 반드시 접선일 필요는 없지만, 이들이 서로 점화영역 내에서, 엣지가 서로 2개 전극의 최근접한 부분이거나 또는 전극의 다른 2개 부분과 마찬가지로 최근접하게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레 외측부에 접지전극을 배치하여 중심전극의 상부를 "차폐 없이(unshielding)"하는 것이 상기 개념에서 유익한 것이며 그리고 접선 및/또는 꼭지점 개념과는 다른 것이다. 다시, 중심전극에 또는 그 위에 접지전극의 "활성 엣지(active edge)"의 최하부를 배치하는 것은 유입된 충전 기체가 보다 용이하게 점화영역으로 흐르게 한다.In another related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s exposed or given to each other need not necessarily be tangent, but they are within the ignition region of each other, as if the edges are closest parts of two electrodes to each other or like the other two parts of the electrodes. It must be installed so that it is closest. It is beneficial in this concept to dispose the ground electrode on the outer periphery and "unshielding" the top of the center electrode and is different from the tangential and / or vertex concept. Again, placing the bottom of the "active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on or above the center electrode allows the incoming charge gas to more easily flow into the ignition region.

꼭지점(the vertexes)The vertexes

일부 실시예(도 1, 3, 4, 5, 6 및 그외 다른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공된 꼭지점 및 상관 접선과의 조합은 종래 기술에 비해 상당한 우수성을 제공한다. 임의 꼭지점은, 향상된 화염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 수직 "개방(opening)" 또는 "화구 효과(chimney effect)"를 제공한다. 더우기, 이건 출원시에,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된 "영역" 관계와 꼭지점의 조합은 종래 기술에 비해 상당한 향상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입증 되었다.The combination with vertices and correlation tangents provided in some embodiments (examples shown in FIGS. 1, 3, 4, 5, 6 and other figures) provides significant superiority over the prior art. Any vertex provides a vertical "opening" or "chimney effect" that is known to provide improved flame characteristics. Moreover, at the time of filing this combination of vertex and “region” relationships provided in some examples has been demonstrated to provide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prior art.

사용된 공정Process used

상술된 접지전극의 간단한 모양은 산업분야에서 현재 사용되는 표준 강선-공급 전극에서 부수적인 작업단계에서 만들어진다. 특정 구조로 이루어진 맨드럴(mandrel)이 각각의 전극의 다양한 구간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다르게는, 타출된 전극(stamped electrode)이 다이를 사용하여 특정 구조를 생성하도록 제조된다. 다음, 타출로 이루어진 전극은 실제 사용시 점화 플러그의 기부에 용접하여 설치된다. 타출 대신에, 전극 모양이 레이저 절단, 워터 제트 절단, 화학적 에칭, 단조(鍛造), 주조, 분말 금속 형성작업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은 예정된 위치에 점화 플러그의 기부에 용접된다. The simple shape of the grounding electrode described above is made in ancillary work steps in standard wire-supply electrodes currently used in the industry. Mandrel of a specific structure is used to form various sections of each electrode. Alternatively, stamped electrodes are fabricated to produce a specific structure using a die. Next, the electrode made of the punching is installed by welding to the base of the spark plug in actual use. Instead of drawing, the electrode shape can be produced by laser cutting, water jet cutting, chemical etching, forging, casting, powder metal forming, or the like. Electrodes prepared using the method are welded to the base of the spark plug in a predetermined posi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조에 대하여, 상기 전극 구조는 현재 강선-공급 배치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생성할 수 있다. 중심전극에 대한 분가는 종래 특정한 보조 강선 배치를 생성하는 보조 작업을 사용하거나 또는 기본 강선 공급장치에 설정하여 생성된다.For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9 and 10, the electrode structures can be created with little change in the current liner-feed arrangement. The fractionation for the center electrode is conventionally created by using an auxiliary operation to generate a particular auxiliary wire arrangement or by setting it on a basic wire feeder.

기타 내용
본원에 사용된 치수는 중심전극의 횡단면으로 측정된 "최대폭 치수(widest measurement)"이다. 예를 들어, 도1과 관련하여, 중심전극(20)의 최대폭 치수는 도시된 원형 횡단면의 직경이 된다. 중심전극의 다른 형태와 단면에서, 직경은 대응 횡단면의 최대폭 치수가 된다.
Other information
As used herein, the dimension is the "widest measurement" measur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er electrode.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center electrode 20 is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shown. In other forms and cross sections of the center electrode, the diameter is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corresponding cross section.

예를 들어, 도 1에서, 단부 부분(해당 구간 구비)을 가진 접지전극의 두께는,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로서, 두께가 0.040 - 0.065" 일 때에,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략 0.010" - 0.150", 또는 다른 치수의 것일 수 있지만, 대략 0.050" 이다. "동체(stem)"의 폭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폭이 0.010" - 0.150" 또는 다른 치수일 수 있지만, 0.075 - 0.125" 이다.For example, in FIG. 1, the thickness of the ground electrode having an end portion (with a corresponding section), as known in the ar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is 0.040-0.065 ".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0.010 "-0.150", or other dimensions, but approximately 0.050 ". The width of the "stem" is 0.075 "-0.125", although its width may be 0.010 "-0.150" or other dimensions within the scope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지부의 폭이 임계성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엣지의 첨예도(sharpness)는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의 치수가 0.010" - 0.150" 또는 다른 치수 일지라도, 지부는 0.050" 폭과 0.050"두께의 것이다.The width of the branch is not critical, but the sharpness of the edge is important. An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ranches are 0.050 "wide and 0.050" thick, even if each dimension is 0.010 "-0.150" or other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접지전극이 도 14 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전극에 하부 모서리 엣지를 제공하는 예각 모서리를 구비하는 한에서, 접지전극은 사각형 또는 장방형인 것은 아니다.Further, as long as the ground electrode has an acute edge that provides a lower edge edge to the center electrode as shown in FIG. 14 or FIG. 26, the ground electrode is not rectangular or rectangular.

중심전극 직경은 0.010" - 0.150" 이다. 적용 가능한 장소에 전극"동체"의 두께는, 이것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0.010"-0.150" 또는 다른 치수 일 수 있지만, 0.040-0.065" 이다. The center electrode diameter is 0.010 "-0.150".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body" at the applicable location is 0.040-0.065 ", although this may be 0.010" -0.150 "or other dimens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공정을 통하여 사용된 재료는, 현재 사용되는 "프리미엄" 재료(예, 백금(platinum))를 포함하여 당 기술분야에서 모두 공지된 것이다. Materials us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are all known in the art, including currently used "premium" materials (e.g., platinum).

종래 기술과 대비Compared with the prior art

미국특허 제 5,051,651호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접지전극에 점화용 타격 면은 점화 지점에서 화염 핵심부가 확산되는 길에 방해물이 없도록, 개방된 오목한 곡선, 직선 라인, 또는 평평한 볼록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타격 면에 약간의 동심 반경이 있어도 화염 핵심부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극히 미세한 수준에서 발생한다. 타격 면 반경에 대해 연소공정이 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의 발견은 본 발명의 중요한 부분이다.In contrast to US Pat. No. 5,051,65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gnition striking face on the ground electrode is in the form of an open concave curve, a straight line, or a flat convex curve so that there is no obstruction on the way the flame core is spread at the ignition point. . This occurs at a very fine level, with a slight concentric radius on the striking side, which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the flame core. The discovery that the combustion process is extremely sensitive to the strike surface radius is an importa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심의 곡선진 구간의 길이를 최소로 할지라도, 동심의 링 구조는 실질적으로 종래 점화 플러그의 구조와 별 다름 없이 실행된다. 대체로, 미국특허 5,051,651호에 기술된 것과 피로텍(Pyrotek)의 발명과의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상기 미국특허의 발명은 " . . .로부터 연소가스가 나오는 . . . 중공 원통형 접지전극"(2단, 59열)에 의지하는 것이다.Although the length of the concentric curved section is minimized, the concentric ring structure is implemented substantially as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park plug. In general,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what is described in US Pat. No. 5,051,651 and the invention of Pyrotek. The invention of the U.S. patent relies on ".. hollow cylindrical ground electrode from which combustion gas comes from."

상기 미국특허 5,051,651호에 접지전극 공간은 틈에 의해 중심전극으로부터 항시 원거리로 이격진 것이다. 피로텍 발명에서는, 접선 관계가 타격 면의 개방성질로 인하여 유용한 것이다. 접선 관계로 타격 면에 부여되는 어느 정도의 동심 반경은 화염 핵심부의 확산을 상당히 방해한다.In US Patent 5,051,651, the ground electrode space is always spaced far from the center electrode by a gap. In the pyrotechnic invention, the tangential relationship is useful due to the open nature of the striking face. The somewhat concentric radius imparted to the striking face in a tangential relationship significantly hinders the spread of the flame core.

끝으로, 미국특허 5,051,651호는 특히, 피로텍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단일 동체와 대비하여 화염 핵심부에서 어느 정도 차폐 효과가 있는 2개 장착 동체를 합체한 것이다.Finally, U. S. Patent 5,051, 651, in particular, incorporates two mounted fuselages with some shielding effect at the flame core, as compared to the single fuselag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yrotech invention.

본 발명을 상술된 실시예를 참고로 특정한 예를 들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한 것임을 당 분야의 기술인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way of specific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Will understand.

Claims (20)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the spark plug is standing up: 횡단면 돌출부, 최대폭 치수 및, 높이로 이루어진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과;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consisting of a cross section protrusion,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height; 상기 중심전극의 최대폭 치수보다 더 멀리 연장된 장길이의 엣지를 형성하는 접지전극을 포함하며;A ground electrode forming an edge of a long length extending farther than a maximum width dimension of said center electrode; 상기 장길이 엣지는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의 횡단면 돌출부에 대해 접선되게 위치하고, 상기 접지전극의 장길이 엣지는 상기 중심전극의 최고 높이 이상의 높이에 최저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And the long length edge is tangential to the cross-sectional protrusion of the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and the long length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has a minimum at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ighest height of the center electr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2. The spark plug of claim 1 wherein said edge is a straight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는, 중심전극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그리고 중심전극의 반경 중심과는 다른 반경 중심을 가진 곡선 길을 따라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The spark plug of claim 1 wherein the edge is located along a curved path having a radius greater than the radius of the center electrode and having a radius cent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nter electrode.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the spark plug is standing up: 최대폭 치수를 갖고 중심전극 엣지를 형성하는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 및;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having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forming a center electrode edge; 중심전극의 최대폭 치수보다 더 멀리 연장된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를 형성하는 접지전극을 포함하고; A ground electrode forming at least one straight long length edge extending further than a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center electrode;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는 중심전극 엣지에서 이격 분리되고;The at least one straight long length edge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electrode edge;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는 상기 중심전극 엣지의 최상부 위치 이상에 위치하고;The at least one straight long length edge is located above a top position of the center electrode edge; 또한,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는 상기 중심전극 엣지의 둘레 돌출부에 또는 그 외측부에 배치되며;In addition, the one or more straight long length edges are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protrusion of the center electrode edge or on the outside thereof; 상기 중심전극 엣지와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가 점화영역 내에서 접지전극과 중심전극의 최근접한 부분에 있도록, 상기 중심전극 엣지와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The center electrode edge and the at least one linear long length edge ar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uch that the center electrode edge and the at least one linear long length edge are at the nearest portion of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center electrode in the ignition region. Spark plug, characterized in that.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the spark plug is standing up: 중심전극 엣지를 형성하는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 및;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forming a center electrode edge; 1개 이상의 장길이 엣지를 형성하는 접지전극을 포함하고; A ground electrode forming at least one long length edge; 상기 1개 이상의 장길이 엣지는 중심전극 엣지에서 이격 분리되고;The one or more long length edges are separated from the center electrode edge; 상기 1개 이상의 장길이 엣지는 상기 중심전극 엣지의 최상부 위치 이상에만 위치하고;The at least one long length edge is located only at a top position or more of the center electrode edge; 또한, 상기 1개 이상의 장길이 엣지는 상기 중심전극 엣지의 둘레 돌출부에 또는 그 외측부에만 배치되며;In addition, the one or more long length edges are disposed only on the circumferential protrusion of the center electrode edge or only on the outer side thereof; 상기 장길이 엣지는 중심전극 엣지와 동심이 아니고(non-concentric);The long edge is non-concentric with the center electrode edge; 상기 중심전극 엣지와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가 점화영역 내에서 접지전극과 중심전극의 최근접한 부분에 있도록, 상기 중심전극 엣지와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The center electrode edge and the at least one linear long length edge ar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uch that the center electrode edge and the at least one linear long length edge are at the nearest portion of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center electrode in the ignition region. Spark plug, characterized in that.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the spark plug is standing up: 횡단면 돌출부, 최대폭 치수 및 높이를 가진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 및;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having a cross-sectional protrusion, a maximum width dimension and a height; 중심전극의 최대폭 치수보다 더 멀리 연장되고 중심전극과 동심이 아닌 1개 이상의 장길이 엣지를 형성하는 접지전극을 포함하고; A ground electrode extending farther than the maximum width dimension of the center electrode and forming at least one long length edge not concentric with the center electrode; 상기 1개 이상의 장길이 엣지는 상기 돌출부 외측부에 있고, 그리고 접지전극의 최하부는 중심전극의 최상부 이상의 위치에 있으며;The at least one long length edge is at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and the bottom of the ground electrode is at a position above the top of the center electrode; 상기 중심전극 엣지와 상기 1개 이상의 장길이 엣지가 점화영역 내에서 접지전극과 중심전극의 최근접한 부분에 있도록, 상기 중심전극 엣지와 상기 1개 이상의 장길이 엣지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Wherein the center electrode edge and the at least one long length edge ar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uch that the center electrode edge and the at least one long length edge are in the nearest portion of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center electrode in the ignition region. Spark plugs ma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은 일정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The spark plug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of a predetermined diameter.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the spark plug is standing up: 횡단면 돌출부를 가진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과;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having a transverse cross-section; 상기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의 횡단면 돌출부에 대한 상관 접선 관계로 각각 2개 장길이 엣지를 형성하는 접지전극을 포함하고;A ground electrode each having two long edges in a correlation tangential relationship to the cross-sectional protrusion of the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상기 엣지는 또한 상기 돌출부의 외측부에 1개 중간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합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And the edge is also coalesced to form one intermediate vertex on the outside of the protrusion.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the spark plug is standing up: 횡단면 돌출부를 가진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 및;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having a cross-sectional protrusion; 단부에서 지부를 가진 박스모양 접지전극을 포함하며;A box-shaped ground electrode having a branch at the end; 상기 지부는 각각 후방향(back) 전환 단부를 가진 2개 단부를 생성하고, 횡단면 돌출부에 대한 4개 상관 접선부와 3개 중간 꼭지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Wherein the branch creates two ends, each having a back transition end, and providing four correlating tangents and three intermediate vertices for the cross-sectional projections.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In a spark plug which causes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standing up, the spark plug is: 1개 이상의 직선과 비원형 장길이 엣지를 형성하는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과;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forming one or more straight and non-circular long length edges; 엣지를 형성하는 접지전극을 포함하며;A ground electrode forming an edge; 상기 중심전극 엣지와 상기 접지전극 엣지는 비동심 관계로 있고, 상기 전극 사이에서 스파크를 생성하도록 중심전극과 접지전극을 최근접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And the center electrode edge and the ground electrode edge are in a non-concentric relationship, the spark plug being in a position closest to the center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to generate a spark between the electrodes.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In a spark plug which causes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standing up, the spark plug is: 원형 가장자리를 가진 중심전극과;A center electrode having a circular edge; 중심전극 위로 연장하고 2개 지부로 갈라지는 주 부분(main portion)을 가진 접지전극을 포함하며;A ground electrode having a main portion extending over the center electrode and split into two branches; 상기 지부는 부분적 "박스"모양체로 형성되며, 상기 박스 모양체는 중심전극의 원형 가장자리와의 접선방향으로 있는 4개 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And the branch is formed in a partially "box" shape, the box-shaped body having four sections tangential to the circula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중심전극의 원형 가장자리 밖에 위치한 꼭지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12. The spark plug of claim 11 wherein the ground electrode has a vertex located outside the circula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제12항에 있어서, 2개 지부의 적어도 2개 구간을 중심전극의 원형 가장자리를 따라서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The spark plug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t least two sections of the two branches are disposed along a circula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제1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구간은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14. The spark plug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and third sections are generally parallel. 제14항에 있어서, 제2 및 제4구간은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15. The spark plug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and fourth sections are generally parallel.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상기 점화 플러그는: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zone, when the spark plug is standing up: 중심전극과;A center electrode; 중심전극 위로 연장된 접지전극을 포함하며;A ground electrode extending over the center electrode; 상기 접지전극은 적어도 3개 상관 접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And the ground electrode forms at least three correlation tangent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극은 적어도 4개 상관 접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17. The spark plug of claim 16, wherein the ground electrode forms at least four correlated tangent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극은 적어도 5개 상관 접선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17. The spark plug of claim 16, wherein the ground electrode forms at least five correlated tangents.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점화 플러그는:For 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area, when standing up, the spark plug shall: 외측부 엣지를 가진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과;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having an outer edge; 일 꼭지점에서 함께 결합되는 제1엣지와 제2엣지를 가진 접지전극을 포함하며;A ground electrode having a first edge and a second edge coupled together at one vertex; 상기 접지전극의 제1엣지, 제2엣지, 및 꼭지점은, 접지전극의 제1엣지 또는 제2엣지가 중심전극에 대해 접지전극의 최근접부에 있고 그리고 중심전극의 외측부 엣지가 접지전극에 대해 중심전극의 최근접부에 있어서, 접지전극과 중심전극과의 사이에서 스파크가 일어날 수 있도록, 중심전극의 둘레 돌출부에 또는 그 외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The first edge, the second edge, and the vertex of the ground electrode are such that the first or second edge of the ground electrode is closest to the ground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electrode and the outer edge of the center electrode is center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electrode. The spark plu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rk plug is positioned at or around the periphery of the center electrode so that sparking can occur between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center electrode. 점화영역 내에서 스파크를 일으키는 점화 플러그에 있어서, 세워진 상태로 있을 때에 점화 플러그는:For spark plugs causing sparks in the ignition area, when standing up, the spark plug shall: 중심전극 엣지를 형성하는 상방향 연장 중심전극 및;An upwardly extending center electrode forming a center electrode edge;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를 형성하는 접지전극을 포함하며;A ground electrode forming at least one straight long length edge;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는 중심전극 엣지에서 이격분리되고;The at least one straight long length edge is separated from the center electrode edge;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는 상기 중심전극 엣지의 최상부에 또는 그 위에 만 위치하며;The at least one straight long length edge is located only at or on top of the center electrode edge;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도 상기 중심전극 엣지의 둘레 돌출부에 또는 그 외부에 만 위치하여;The at least one straight long length edge is located only at or outside the circumferential protrusion of the center electrode edge; 상기 중심전극 엣지와 상기 1개 이상의 직선 장길이 엣지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엣지는 점화영역 내에서 접지전극과 중앙전극의 최근접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And the center electrode edge and the at least one straight long length edge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edge is in the closest contact of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center electrode in the ignition region.
KR1020007009713A 1998-03-02 1999-03-02 Spark plug providing improved operating characteristics KR1007013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666998P 1998-03-02 1998-03-02
US60/076,669 1998-03-02
US8949198P 1998-06-16 1998-06-16
US8945898P 1998-06-16 1998-06-16
US8949998P 1998-06-16 1998-06-16
US60/089,499 1998-06-16
US60/089,458 1998-06-16
US60/089,491 1998-06-16
US11443998P 1998-12-31 1998-12-31
US60/114,439 1998-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551A KR20010034551A (en) 2001-04-25
KR100701370B1 true KR100701370B1 (en) 2007-03-28

Family

ID=2753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713A KR100701370B1 (en) 1998-03-02 1999-03-02 Spark plug providing improved operating characteristics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1060546B1 (en)
JP (1) JP4451984B2 (en)
KR (1) KR100701370B1 (en)
CN (1) CN100355167C (en)
AT (1) ATE282253T1 (en)
AU (1) AU754005B2 (en)
BR (1) BRPI9908448B1 (en)
CA (1) CA2321616C (en)
CZ (1) CZ300538B6 (en)
DE (1) DE69921784T2 (en)
DK (1) DK1060546T3 (en)
ES (1) ES2232118T3 (en)
ID (1) ID26507A (en)
MX (1) MXPA00008609A (en)
NZ (1) NZ506965A (en)
PL (1) PL195775B1 (en)
PT (1) PT1060546E (en)
WO (1) WO199904561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8426B2 (en) * 2001-01-18 2007-10-10 株式会社デンソー Spark plug
JP4125060B2 (en) * 2002-07-16 2008-07-2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Spark plug
JP4699918B2 (en) * 2006-03-03 2011-06-1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Spark plug
TWM378559U (en) * 2009-11-16 2010-04-11 Top 1 Green Dev Co Ltd Spark plug
JP5593236B2 (en) * 2010-02-09 2014-09-17 株式会社デンソー Spark plu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288930B2 (en) * 2010-05-14 2012-10-16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Spark ignition device and ground electrode therefor and methods of construction thereof
CN102611005B (en) * 2012-04-16 2015-08-26 张蝶儿 A kind of spark plug and ground electrode thereof
JP5862498B2 (en) * 2012-07-18 2016-02-16 株式会社デンソー Spark plu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3247937A (en) * 2013-05-02 2013-08-14 株洲湘火炬火花塞有限责任公司 Spark plug side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484717B2 (en) 2013-12-26 2016-11-01 Chentronics, Llc High energy ignition spark igni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2434A (en) * 1995-09-22 1997-04-04 Tamotsu Nakano Spark plu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8774A (en) * 1977-01-28 1981-05-19 Forkum Jr Maston Spark plug with ground electrode having diverging prongs
US5051651A (en) * 1988-11-24 1991-09-24 Tadaharu Fujiwara Ignition plug with a hollow cylindrical ground electrode and an ignition process by the use thereof
DE3935165A1 (en) * 1989-10-21 1991-04-25 Hermsdorf Keramik Veb Sparking plug with earthed electrodes curved towards centre - so that movement of combustible mixt. prolongs spark migrating towards region where inter electrode distance is greater
US5264754A (en) * 1992-01-24 1993-11-23 Santoso Hanitijo Spark plug
DE9403943U1 (en) * 1994-03-04 1994-06-09 Zuran Johann Dipl Ing Electrode shape and arrangement for a multi-spark pl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2434A (en) * 1995-09-22 1997-04-04 Tamotsu Nakano Spark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32118T3 (en) 2005-05-16
BRPI9908448B1 (en) 2015-06-09
CN100355167C (en) 2007-12-12
CZ300538B6 (en) 2009-06-10
EP1060546A1 (en) 2000-12-20
DE69921784D1 (en) 2004-12-16
AU2977299A (en) 1999-09-20
DK1060546T3 (en) 2005-02-14
MXPA00008609A (en) 2003-07-14
JP4451984B2 (en) 2010-04-14
ID26507A (en) 2001-01-11
KR20010034551A (en) 2001-04-25
PL342728A1 (en) 2001-07-02
AU754005B2 (en) 2002-10-31
CA2321616A1 (en) 1999-09-10
CN1292161A (en) 2001-04-18
ATE282253T1 (en) 2004-11-15
JP2002506278A (en) 2002-02-26
BR9908448A (en) 2004-06-15
CZ20003201A3 (en) 2001-01-17
PT1060546E (en) 2005-02-28
PL195775B1 (en) 2007-10-31
NZ506965A (en) 2003-07-25
EP1060546B1 (en) 2004-11-10
CA2321616C (en) 2008-02-05
WO1999045615A1 (en) 1999-09-10
DE69921784T2 (en)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5948B1 (en) Spark plug
KR100351392B1 (en) Ignition Plu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7615914B2 (en) Spark plu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704609C (en) Spark plug comprising a ground electrode support
US5408961A (en) Ignition plug
US5051651A (en) Ignition plug with a hollow cylindrical ground electrode and an ignition process by the use thereof
US9929539B2 (en) Prechamber spark plug
US20050023949A1 (en) Spark plug with noble metal chip joined by unique laser welding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701370B1 (en) Spark plug providing improv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P2584663B1 (en) Spark plug assembly for enhanced ignitability
US4268774A (en) Spark plug with ground electrode having diverging prongs
US11515690B2 (en) Spark plug
CN100461565C (en) Spark plug having enhanced capability to ignite air-fuel mixture
US5650687A (en) Ground electrodes for ignition plugs
US6603245B1 (en) Three-dimensional multiple series gap spark plug
US5751096A (en) Spark plug having a plurality of vertical ground electrodes and a vertical cylindrical shaped center electrode in parallel formation for use in a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18152A (en) Spark plu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333281B2 (en) Spark plug
KR200262294Y1 (en) Ignition spark plug
MXPA00008606A (en) Identifiable marking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00017973A1 (en) Three-dimensional multiple series gap spark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