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173B1 -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교환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173B1
KR100700173B1 KR1020050126747A KR20050126747A KR100700173B1 KR 100700173 B1 KR100700173 B1 KR 100700173B1 KR 1020050126747 A KR1020050126747 A KR 1020050126747A KR 20050126747 A KR20050126747 A KR 20050126747A KR 100700173 B1 KR100700173 B1 KR 10070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른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RFID 리더기에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통신정보를 식별하는 블루투스 정보 식별단계; 상기 블루투스 정보 식별단계에서 식별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블루투스 통신 설정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상대방 개인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정보, RFID, 블루투스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A Method for Transmi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Bluetooth Mobile Phone by RFID}
도 1은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RFID 기술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 교환시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 교환시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 이다.
개인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이름, 집전화변호, 이메일 주소, 집주소 등의 개인의 신상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상기와 같은 정보를 의미한다.
종래에 이동통신 사용자 간에 전화번호, 이름 등의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으로 적외선 통신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적외선 통신을 통해 교환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방법은 적외선 통신 기능을 갖춘 두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일직선에 위치하도록 한 후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외선 통신 수신모드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외선 통신 송신모드로 설정하여 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상기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를 자신의 전화번호, 이름 등의 간략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각각 최소 4 ~ 5번 버튼을 눌러야 하는 등 절차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개인정보 교환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보다 편리하게 개인정보를 교환하게 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른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접근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RFID 리더기에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통신정보를 식별하는 블루투스 정보 식별단계; 상기 블루투스 정보 식별단계에서 식별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블루투스 통신 설정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상대방 개인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대방 개인정보 수신단계 이후에,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상기 수신한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개인정보 저장 문의단계; 및 상기 개인정보 저장 문의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상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을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블루투스 통 신을 하기 위해서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블루투스(Bluetooth)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 컴퓨터, 컴퓨터 주변장치, 포켓컴퓨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근거리 범위에서 상호 무선접속하도록 하는 데이터통신 위주의 기술이며 가정이나 회사 또는 공공지역 등의 제한된 지역에서 전화, 컴퓨터 등과 무선연결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블루투스를 적용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2.45 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데이터 채널과 최대 3개의 음성채널을 포함하고, IEEE 802 표준에 의하여 48 비트(bit)가 주소(address)를 위하여 할당되며, 점대점 및 멀티포인트 접속이 가능하다.
상기 블루투스의 현재 무선접속 가능 범위, 즉 서비스 영역은 10 m 내지 1 Km 이고, 데이터 전송은 1 Mbps 내지 2 Mbps 정도이며, 기술의 개발 및 발달에 의하여 응용 및 적용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기지국(120)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1),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12), 상기 중앙처리장치(112)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2)를 통해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임시 기억장치로 동작하는 메모리(113), 사용자의 제어 의사를 반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4), 상기 중앙처리장치(1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15), 상기 중앙처리장치(1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17)를 통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컨트롤러(116) 및 상기 블루투스 컨트롤러(116)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출력시키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17)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117)를 통하여, 블루투스 장치(13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블루투스 장치(130)의 대표적인 예로 블루투스 헤드셋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하므로 본 발명에서 블루투스 장치(13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된다.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블루투스 장치(13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등록과정이 이뤄져야 한다. 등록과정은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110)나 블루투스 장치(130)에서 블루투스 기능이 장착된 장치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검색하여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경로의 설정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와 RFID 태그를 장착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통해 자동 등록 및 개인정보 전송을 구현한다.
본 발명에서는 RFID 태그가 붙어있는 블루투스 장치에서 태그정보를 읽어들이고, 그 읽어들인 정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를 교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RFID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각종 물품에 소형 칩을 부착해 사물의 정보와 주변 환경정보를 무선주파수로 전송·처리하는 비접촉식 인식 기술이다.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전용 근거리 통신) 또는 무선식별기술이라고도 한다.
RFID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은 판독·해독기능이 있는 RFID 리더기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 운용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된다. RFID 리더기는 대상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RFID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정보를 처리한다.
RFID 태그는 반도체로 제작된 트랜스폰더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며, 수동식과 능동식이 있다. 수동식이 내부 전원 없이 판독기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데 비해 능동식에는 스스로 작동하기 위해 RFID 태그 전원이 내장되어 있다. 실리콘 반도체 칩을 사용하는 칩 태그와 LC소자,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polymer:중합체) 소자로만 구성된 무칩 태그로 구분하기도 한다.
RFID 기술은 바코드처럼 직접 접촉하거나 가시대역 안에서 스캐닝할 필요가 없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바코드를 대체할 기술로 평가받으며, 활용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저주파 RFID 시스템(30 kHz~500 kHz)은 1.8m 이하의 짧은 거리에서 사용되며, 고주파 RFID 시스템(850 MHz~950 MHz 또는 2.4 GHz~2.5 GHz)은 27m 이상의 먼 거리에서 전송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RFID 기술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2는 RFID 기술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보면, RFID 리더기(210)가 있고 RFID 태그(221)가 부착된 제품(220)이 있다. 상기 RFID 태그(221)에는 제품(22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RFID 태그(221)가 부착된 제품(220)을 RFID 리더기(210)에 접근시키면, 즉, RFID 태그(221)가 부착된 제품(220)을 RFID 리더기(210)의 인접위치에 위치시키면, RFID 리더기(210)는 RFID 태그(221)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RFID 리더기(210)를 통해서 제품(220)에 관련된 여러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310) 내에 RFID 리더기(318)와 RFID 태그(319)가 장착되어 있다. 나머지 구성은 앞에서 도 1을 통해 살펴본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하므로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RFID 리더기(318)와 RFID 태그(319)는 중앙처리장치(312)에 연결되어 있다.
330은 310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이하에서는 31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3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정보를 인식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330 이동통신 단말기는 310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이나,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에는 330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37)와 RFID 태그(339)만 필요하므로 도 3에서는 이 두 가지 구성요소만 도시하였다.
상기 RFID 리더기(318)는 블루투스 컨트롤러(316) 및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17)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즉, RFID 리더기(318)는 중앙처리장치(312)를 통해 블루투스 컨트롤러(316)로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제어정보는 310 이동통신 단말기와 330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블루투스 컨트롤러(316)는 수신한 제어정보에 의해 블루투스 인터페이스(317)를 제어한다.
도 3에서 330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RFID 태그(339)가 내장되어 있다. RFID 태그(339)에는 기본적으로 310 이동통신 단말기와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정보 교환을 위한 명령을 입력한 후 두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310, 330)를 서로 접근시키면 상기 RFID 리더기(318)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330)의 RFID 태그(339)를 인식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330)의 블루투스 통신정보를 읽어들여 이동통신 단말기(310, 330)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설정한다. 블루투스 통신을 설정한 후에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한다.
상기 개인정보 교환을 위한 명령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핫키를 누르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메뉴를 통해 설정하는 등의 소프트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개인정보 저장 여부에 대한 문의에 대하여 사용자가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것으로 응답하면 사용자의 응답을 받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RFID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경로가 설정되고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한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 교환시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4를 보면 410, 420, 430 세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이 나타나 있다. 410은 블루투스 통신이 설정된 후 개인정보를 저장할 것인지 사용자에세 문의하는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이고, 420은 상기 410 화면에서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저장할 것으로 선택한 경우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한 후에 표시되는 화면이며, 430은 410 화면에서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저장하지 않을 것으로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화면이다.
410 화면을 보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와 개인정보 저장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표시창에 표시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상대방의 개인정보로 상대방의 이름인 "김철수"와 상대방의 전화번호인 "010-xxx-xxxx"이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한다.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려면 OK를 선택하면 되고 저장하지 않으려면 취소를 선택하면 된다.
사용자가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기 위해 OK를 선택한 경우는 상대방의 개인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후 420 화면과 같이 "저장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창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지 않기 위해 취소를 선택한 경우는 430 화면과 같이 "취소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창에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 교환시에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5를 보면 510, 520 두 개의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되는 화면이 나타나 있다. 510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대방의 개인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는 메시지가 표시된 화면이고, 52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화면이다.
상대방의 개인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다시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510 화면과 같이 "이미 등록된 번호입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520 화면과 같이 메인화면으로 돌아간다.
이하에서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정보를 교환하라는 명령을 한다(S610). 이러한 명령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핫키를 누르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메뉴를 통해 설정하는 등의 소프트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명령은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양측 이동통신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만 있어도 하기의 과정이 실행된다.
그 후 310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RFID 리더기(318)에 330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RFID 태그(339)가 접근하는지 판단한다(S620). 판단결과 RFID 태그(339)의 접근이 없으면 계속 RFID 태그(339)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RFID 태그(339)의 접근이 있으면, RFID 리더기(318)에서는 RFID 태그(339)를 식별한다(S630).
RFID 리더기(318)에서 RFID 태그(339)를 식별한 후에는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경로 설정이 이루어진다(S640). 블루투스 통신경로 설정은 블루투스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언제나 필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이 생략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RFID 태그(339)에는 블루투스 통신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로는 블루투스 장치의 종류, 주소 등이 있다.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설정한 후에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수신한다(S650). 개인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와 비교한다(S660).
상기 비교결과 수신한 개인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 보인지 아니면 신규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70). 상기 S660 단계의 판단결과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라면 과정을 종료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은 신규정보라면 사용자에게 개인정보의 저장 여부를 문의한다(S680).
사용자가 저장할 것으로 선택하면 수신한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한다(S690).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개별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의 범위는 본 출원서에 설명된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모든 변형된 형태와 수정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경우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경로가 설정되고 바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와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개인정보를 교환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 중 하나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접위치에 다른 하나의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RFID 리더기에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통신정보를 식별하는 블루투스 정보 식별단계;
    상기 블루투스 정보 식별단계에서 식별한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블루투스 통신 설정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통신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블루투스 통신경로를 이용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는 상대방 개인정보 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개인정보 수신단계 이후에,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상기 수신한 개인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개인정보 저장 문의단계; 및
    상기 개인정보 저장 문의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것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상기 상대방의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 교환방법.
KR1020050126747A 2005-12-21 2005-12-21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교환방법 KR10070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747A KR100700173B1 (ko) 2005-12-21 2005-12-21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교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747A KR100700173B1 (ko) 2005-12-21 2005-12-21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교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173B1 true KR100700173B1 (ko) 2007-03-28

Family

ID=4156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747A KR100700173B1 (ko) 2005-12-21 2005-12-21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교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1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914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직교 위상 편이 방식 복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914A (ko) * 2002-10-31 2004-05-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직교 위상 편이 방식 복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37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218B1 (ko) 정보제공장치, 정보수신장치, 정보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정보수신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무선통신장치
EP1410571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device identifier block on a second communication link separated from the bluetooth link
KR100594127B1 (ko)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US74094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ddress book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recognition section
KR100862953B1 (ko) 트랜스폰더 기능을 구비한 판독 장치를 이용한 무선 주파수식별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탐색방법
JP4961002B2 (ja) ショートレンジ無線通信のための高周波識別(rf−id)に基づく発見
JP3871113B2 (ja) 通信端末装置、通信確立方法、および該方法に係るプログラム
KR20080031291A (ko) Sim 카드상에 집적된 rfid 판독기 및 wlan송신기를 가진 모바일 전화
CN101523959A (zh) 利用近场通信进行通信移动性管理的装置和方法
KR101081535B1 (ko)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및 장치
CN103098499A (zh) 信息处理装置
US11727741B2 (en) Rea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der
KR20090047144A (ko)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통신 방법
KR20110037110A (ko)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44809B1 (ko) 가입자 인식 모듈 카드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70138383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0700173B1 (ko) Rfid를 이용한 블루투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정보교환방법
KR100687202B1 (ko) Rfid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
KR101246343B1 (ko) Rfid 태그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러한단말기의 rfid 리더기 접근제어 방법
KR100542924B1 (ko) Rfid 단말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단말기에서의 rfid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622641B1 (ko) Rfid 인식을 위한 이동단말과 관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7813B1 (ko) 태그를 이용한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방법과 이를 위한블루투스 장치
EP1194788A2 (en) Identifying an object
KR100677234B1 (ko) 대기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86292B1 (ko) 무선 랜 카드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