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168B1 - 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168B1
KR100700168B1 KR1020050065152A KR20050065152A KR100700168B1 KR 100700168 B1 KR100700168 B1 KR 100700168B1 KR 1020050065152 A KR1020050065152 A KR 1020050065152A KR 20050065152 A KR20050065152 A KR 20050065152A KR 100700168 B1 KR100700168 B1 KR 10070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hortcut key
shortcut
group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0507A (en
Inventor
유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168B1/en
Priority to CNA2006100867178A priority patent/CN1901564A/en
Publication of KR2007001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5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키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축키의 사용 제한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단축키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해당 번호에 대한 단축키를 할당할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번호를 할당하고자 하는 단축키에 대응하는 해당 그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와; 상기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에 상기 해당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단축키 지정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연상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제한된 단축키를 효과적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nd provides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for improving the restriction of use of the shortcut key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comprises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ssign a shortcut key for the number; A second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orresponding group corresponding to a shortcut key to which the number is to be allocated exists; And a storing step of allocating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number in a lower category of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associate a shortcut key designation state, thereb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and thus, the limited shortcut key can be effectively used in various ways.

단축키, hot key, 이동통신 단말기, 단축번호 Hot key, hot ke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peed dial

Description

단축키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Method for setting shortcut ke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 확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dentifying a subcategory of a shortcut key;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의 단축키 관리메뉴를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ortcut management menu of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subcategory of a shortcut key is displayed.

도 7은 종래의 단축키 설정 방법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hortcut key setting metho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RF 송수신부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RF transceiver

120 : 키입력부 130 : 중앙제어부120: key input unit 130: central control unit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140: display unit 150: storage unit

본 발명은 단축키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키를 중심으로 한 그룹 편집이 가능하고, 지정된 그룹을 유사한 단축키로 할당함으로써 단축키의 기억에 대한 제한성을 탈피하여 단축키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축키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 shortcut key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dit a group centered on the shortcut key, and to utilize a shortcut key by removing a limitation on the memory of the shortcut key by assigning a designated group to a similar shortcut key. It relates to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중화됨에 따라 사용자 사이의 통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통화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사용자는 많은 수의 전화번호를 기억하여야 한다.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come popularized, calls between users are increasing,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targets to be called increases, so the user must remember a large number of telephone numbers.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부와 같이 대량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폰북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한다.In view of this,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phone book that can store a large number of telephone numbers, such as a phone book, the user tries to use the call.

또한, 대량의 전화번호를 저장한 경우에도, 매 통화시마다 폰북을 검색하거나 각각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일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므로,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 기능과 함께 단축키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 large number of telephone numbers are stored, it is very cumbersome to search for a phone book or input each telephone number at every call, and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rovide a shortcut key setting function together with a phone book function.

도 7은 종래의 단축키 설정 방법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hortcut key setting metho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번호의 저장 방법은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에 대해 임의적으로 또는 자동적인 순서에 따른 번호가 해당 번호의 단축키로 설정된다. As shown in FIG. 7,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of storing a number using a shortcut key is a number in a random or automatic order for the telephone number to be stored by the user as a shortcut key of the corresponding number.

먼저,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은 신규 번호를 등록하는 경우, 해당 번호를 입력하거나, 발신자 정보가 표시된 착신번호를 선택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에 저장된 번호를 선택하여 해당 단축키를 변경할 수도 있다. First, in the method of setting a shortcut, when registering a new number, input the corresponding number or select a called number on which caller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may be changed by selecting a number stored in the phone boo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음으로, 해당 번호에 적용하고자 하는 단축키로 사용될 숫자를 입력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기억하기 편한 번호를 임의로 입력하여 단축키를 설정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내에서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숫자를 단축키로 설정할 수 있다. Next, enter a number to be used as a shortcut for the number. In this case, the user may arbitrarily input a number which he or she easily remembers to set a shortcut, or may set a number automaticall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shortcut.

이와 같이 설정된 단축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통화 대상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그에 대응하는 단축키를 선택함으로써 상대방과의 호를 설정할 수 있다. By using the shortcut key se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et a call with the other party by selecting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hereto without inputting a phone number of the callee.

또한, 단축키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을 검색하여 해당 번호에 대한 단축키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user does not remember the shortcut key, the user may search the phone boo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heck the shortcut key for the corresponding numb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축키 설정 방법은 사용자의 기억력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실제 단축키의 사용이 제한된 숫자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shortcut key sett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actual shortcut key is limited to a limited number because it is entirely dependent on the memory of the user.

또한, 종래에는 단축키 지정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과 단축키만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부재로 인하여 단축키의 효과적이 사용이 곤란하였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use shortcut keys due to the methodological approach to assigning shortcut keys and the absence of a user interface for effectively managing only shortcut keys.

따라서, 해당 그룹에 대한 추가적인 번호를 저장하는 경우에도, 단축키의 유사성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even when storing the additional number for the group,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maintain the similarity of the shortcut ke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번호들간 의 연관성을 활용하여 단축키를 지정하고 이를 관리하여, 단축키의 사용 제한성을 개선할 수 있는 단축키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shortcut key by us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and manage it, providing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restriction of use of the shortcut key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It aims to do 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당 번호에 대한 단축키를 할당할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번호를 할당하고자 하는 단축키에 대응하는 해당 그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와; 상기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에 상기 해당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ssign a shortcut key for the number; A second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corresponding group corresponding to a shortcut key to which the number is to be allocated exists; And a storing step of allocating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number in a lower category of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roup.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판단 단계에서 상기 해당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번호에 새로운 그룹을 지정하기 위한 단축키를 할당하는 신규할당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corresponding group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new allocation step of allocating a shortcut key for designating a new group to the corresponding nu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당 그룹은 단자리 숫자키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rresponding group may be designated by the numeric terminal keys.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위 카테고리는 상기 숫자키와 동일한 숫자를 사용하여 자릿수만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b category may be differently assigned only by the number of digits by using the same number as the numeric key.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단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저장하고자 하는 해당 번호와 할당하고자 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단축키가 입력되는 키입력부와; 단축키 관리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와; 상기 번호 및 상기 그룹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번호를 상기 그룹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shortcut key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shortcut number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number to be stored and a group to be assigne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hortcut management menu;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number and the group; And a central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number to be assigned to a lower category of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the group and to store the nu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해당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번호에 새로운 그룹을 지정하기 위한 단축키를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entral control unit may control to allocate a shortcut key for designating a new group to the number when the corresponding group does not exist.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당 그룹은 단자리 숫자키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rresponding group may be designated by the numeric terminal keys.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위 카테고리는 상기 숫자키와 동일한 숫자를 사용하여 자릿수만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b category may be differently assigned only by the number of digits by using the same number as the numeric ke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RF 송수신부(110)와, 단축키의 선택 및 저장이 입력되는 키입력부(120)와, 단축키 및 그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할당과 저장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30)와, 단축키 관련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140)와, 단축키 및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저장부(150)로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llocates and stores an RF transceiver 110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base station, a key input unit 120 through which selection and storage of a shortcut key is input, and a shortcut key and a group corresponding thereto.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central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a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a shortcut key menu, and 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a shortcut key and a phone number corresponding thereto.

RF 송수신부(110)는 단축키의 선택에 따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호를 설정한다. The RF transceiver 110 establishes a corresponding call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selection of a shortcut key.

키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하고자 하는 해당 번호와 할당하고자 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단축키가 입력된다. The key input unit 120 may input a corresponding number to be stored by the user and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the group to be assigned.

중앙제어부(130)는 저장하고자 하는 번호를 해당 그룹에 대응하는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에 할당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저장하고자 하는 번호에 새로운 그룹을 지정하기 위한 단축키를 할당한다.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controls to store the number to be stored by assigning it to a subcategory of a shortcu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roup, and if the group does not exist, assigns a shortcut to specify a new group to the number to be stored. do.

여기서, 해당 그룹은 단축키에 의해 지정되며, 이러한 단축키는 키입력부(120)의 단자리 숫자키에 해당한다. 또한, 하위 카테고리는 해당 그룹의 대표 단축키인 단자리 숫자키와 동일한 숫자를 이용하여 자릿수만 다르게 할당된 것이다.Here, the group is designated by a shortcut key, and the shortcut key corresponds to the terminal key of the key input unit 120. In addition, the sub-category is differently assigned only by the number of digits by using the same number as that of the mono key, which is a representative shortcut key of the group.

예를 들면, 단축키 1에 대하여 그 하위 카테고리는 11, 111, 1111 등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b category for the shortcut key 1 may be assigned to 11, 111, 1111, and the lik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화번호간의 연관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각 숫자키에 원하는 그룹 또는 대상을 대응시키고, 그 각각의 하위 카테고리에는 동일 숫자키를 반복입력한 형태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축키를 쉽게 연상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is configuration makes the most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telephone numbers to match the desired group or object to each numeric key, and sets the same numeric key repeatedly for each subcategor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ssociate it with a shortcut. Can be.

표시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단축키 관리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a shortcut management menu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저장부(150)는 해당 번호 및 그에 대응하는 그룹 등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storage unit 150 stores data designated by a user, such as a corresponding number and a group corresponding theret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120)의 단자리 숫자키를 그룹의 대표 단축키로 사용하여 그 하위 카테고리에 그룹에 적합한 번호를 동일한 숫자로 구성된 유사한 단축키로서 할당할 수 있다.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shortcut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a terminal key of the key input unit 120 as a representative shortcut key of a group, and a similar number consisting of the same number in the sub-category suitable for the group. Can be assigned as a shortcu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키입력부(120)의 단자리 숫자키를 이용하여 단축키별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First, a group of shortcut keys may be set by using the numeric terminal keys of the key input unit 120.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키 "1"에 애인을 할당하고, 그 하위 카테고리에는 애인과 관련된 휴대폰 번호, 집 전화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등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때, 할당되는 단축키는 자릿수만 다를 뿐 동일한 숫자를 사용하여 할당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lover can be assigned to the numeric key " 1 ", and a sub-category can specify a mobile phone number, a home phone number, an office phone number, etc. related to the lover. Shortcuts can be easily remembered by the user by assigning them using the same number, but with different digits.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그룹에 대해서 동일한 숫자키를 반복적으로 입력함으로써 하위 카테고리의 단축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use the shortcut key of the lower category by repeatedly inputting the same numeric key for the corresponding group.

또한, 숫자키 "2"에 가족을 할당하고, 그 하위 카테고리에는 가족 구성원들의 각 휴대폰 번호를 할당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단축키를 자릿수만 다르게 하여 동일 숫자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단축키를 용이하게 기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mily can be assigned to the numeric key "2", and each mobile phone number of the family members can be assigned to the sub-category.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assign the shortcut by using the same number with different digits. I can remember.

또한, 주요 사용번호를 키입력부(120)의 단자리 숫자키에 할당함으로써, 단축키의 효과적인 사용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ssigning the main use number to the numeric keypad of the key input unit 120,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ive use of the shortcut key.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계 S301에서, 사용자가 신규 번호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단축키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First, in step S301, when a user wants to register a new number,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is started.

단계 S302에서, 중앙제어부(130)는 신규 번호에 단축키를 할당할지를 판단하 여, 단축키를 할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즉, 사용자가 단축키의 할당을 선택한 경우에는 단계 S303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120)를 통하여 단축키 관리 메뉴를 실행한다. 이때, 표시부(140)에는 도 5와 같은 해당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In step S302,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o assign a shortcut key to the new numb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hortcut key is assigne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shortcut ke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3. 120) to execute the shortcut management menu.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menu as shown in FIG. 5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축키 설정 방법의 단축키 관리메뉴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ortcut management menu of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축키 관리 메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120)의 단자리 숫자키에 해당하는 "1" 내지 "9"에 의해 그룹이 지정될 수 있고, 각 그룹별로 하위 카테고리에는 자릿수만 다를 뿐 동일한 숫자로 구성된 단축키가 할당된다. In the shortcut management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5, groups may be designated by “1” to “9”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key of the key input unit 120. Each sub-category is assigned a hotkey consisting of the same number, but with different digits.

단계 S304에서, 중앙제어부(130)는 신규 번호에 적합한 해당 그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신규 번호를 기존의 그룹에 부가하고자 선택한 경우에는 단계 S305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신규 번호를 할당하고자 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단축키를 선택한다.In step S304, the central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ing group suitable for the new number, and if the corresponding group exists, that is, if the user selects to add the new number to the existing group,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5. Select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the group to which the user wants to assign a new number.

이때, 선택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하위 카테고리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1번을 선택한 경우, 숫자키 1의 하위 카테고리인 단축키 "11", "111"에 대한 해당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In this case, a sub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hortcut key is display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selects No. 1,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shortcut keys “11” and “111” which are subcategories of the numeric key 1 is displayed.

단계 S304의 판단결과, 중앙제어부(130)가 신규 번호에 적합한 해당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가 신규 번호에 새로운 그룹을 지정하고자 선택한 경우에는 단계 S306으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은 숫자키를 선택하여 새로운 그룹을 지정함으로써, 신규 단축키를 할당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304,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does not have a corresponding group suitable for the new number,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o assign a new group to the new numb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6, where the user does not use the group. Assign a new shortcut by selecting a new group by selecting a numeric key.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할당 번호인 "6"을 선택하고 그에 해당하는 그룹명을 입력하면, 그 하위 카테고리인 6", "66", "666"이 할당되는데 이때 해당 단축키는 신규로 지정한 것이므로 해당 정보가 없는 상태가 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if an unassigned number "6" is selected and a group name corresponding thereto is entered, the subcategories 6 "," 66 ", and" 666 "are allocated. The shortcut is new, so no information is available.

단계 S307에서, 중앙제어부(130)는 저장하고자 하는 신규 번호를 해당 그룹의 하위 카테고리에 할당한다. 즉, 사용자가 해당 그룹의 하위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신규 번호를 입력한다. In step S307, the central controller 130 assigns a new number to be stored to a lower category of the corresponding group. That is, the user selects a lower category of the group and inputs a new number to be stored.

단계 S308에서, 중앙제어부(130)는 입력된 내용을 저장할지를 판단하여 저장한다고 판단한 경우, 즉, 사용자가 단축키 관리 메뉴의 학인("OK") 버튼을 입력한 경우에는 신규 번호와 해당 단축키 및 해당 그룹의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In step S308,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o save the input content is determined to save, that is, when the user enters the "OK" button of the shortcut management menu, the new number and the corresponding shortcut and corresponding The group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단계 S308의 판단결과, 중앙제어부(130)가 입력된 내용을 저장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즉, 사용자가 단축키 관리 메뉴의 확인("OK") 버튼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03으로 복귀하여 단축키 관리 메뉴 초기상태로 된다.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308 determines that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does not store the input contents,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input the "OK" button of the shortcut key management menu,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3 to manage the shortcut key. The menu is reset.

단계 S302의 판단결과, 중앙제어부(130)가 단축키를 할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즉, 사용자가 단축키의 할당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09로 진행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신규 번호를 저장부(150)의 폰북에 저장한다. 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302 determines that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does not assign a shortcut key,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assignment of the shortcut ke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09, where the new number is sto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150) to the phone book.

이때, 신규 번호에는 단축키를 설정할 수도 있고 단축키를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new number may be set or a shortcut key may not be set.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축키 설정 방법이 종료된다. In this manner, the shortcut key setting method is terminated.

도 4는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 확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dentifying a subcategory of a shortcut key.

먼저, 단계 S401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20)의 단자리 숫자키에 해당하는 단축키를 선택하면,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 확인 방법이 개시된다.First, in step S401, when the user selects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key of the key input unit 120, a method for checking a subcategory of the shortcut key is started.

단계 S402에서, 사용자가 확인("OK") 버튼을 입력한다. 이때, 중앙제어부(130)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단자리 숫자에 해당하는 그룹을 저장부(160)의 폰북에서 검색한다. In step S402, the user enters an OK button.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ler 130 searches for a group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number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20 in the phone book of the storage unit 160.

단계 S403에서, 표시부(140)는 해당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도 6에 도시된다. In operation S403,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a subcategory of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In this cas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is illustrated in FIG. 6.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계 S401에서 숫자키 "1"을 선택한 경우, 해당 그룹의 하위 카테고리인 단축키 "1", "11", "111"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는 단축키가 어떤 번호인지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실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번호 등의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numeric key "1" in step S401, information on the shortcut keys "1", "11", and "111" which are subcategories of the corresponding group is displayed. . Herein, only the information on which number the shortcut key is provided is provided, and substantially no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as shown in FIG. 5 is provided.

단계 S404에서, 사용자가 표시부(140)에 디스플레이된 해당 그룹의 하위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In operation S404,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subcategories of the corresponding group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단계 S405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20)의 전송 버튼을 선택하면, 중앙제어부(130)는 RF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해당 단축키에 대한 호를 설정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transmit button of the key input unit 120 in step S405, the central control unit 130 sets a call for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through the RF transceiver 110.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 확인 방법이 종료된다. In this manner, the subcategory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shortcut key end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 저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이 빈번한 번호들을 번호들간의 연관성을 활용한 단축키를 이용하여 그룹화함으로써, 단축키 지정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연상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제한된 단축키를 효과적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ortcut key storing metho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oup the frequently used numbers using shortcut keys utiliz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ssociate the shortcut key assignment state. Provides a user-friendly interface that improves user accessibility, allowing limited shortcuts to be used effectively and in a variety of ways.

Claims (8)

해당 번호에 대한 단축키를 할당할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A first judging step of judging whether to assign a shortcut key for the number; 상기 번호를 할당하고자 하는 해당 그룹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와;A second judging step of judging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ing group to which the number is to be allocated; 상기 해당 그룹에 대응하여 단자리 숫자키로 지정된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에 상기 해당 번호를 할당하되, 상기 숫자키와 동일한 숫자의 반복으로 구성된 단축키를 할당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방법.And a storage step of allocating the corresponding number to a sub-category of the shortcut key designated by the terminal key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group, and storing and assigning the shortcut key consisting of repetition of the same number as the numeric key. How to set u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판단 단계에서 상기 해당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해당 번호에 새로운 그룹을 지정하기 위한 단축키를 할당하는 신규할당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 방법.And a new assignment step of allocating a shortcut key for designating a new group to the corresponding number if the corresponding group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저장하고자 하는 해당 번호와 할당하고자 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단축키가 입력되는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shortcut number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number to be stored and a group to be allocated; 단축키 관리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hortcut management menu; 상기 번호 및 상기 그룹이 저장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number and the group; 상기 번호를 상기 그룹에 대응하여 단자리 숫자키로 지정된 단축키의 하위 카테고리에 할당하되, 상기 숫자키와 동일한 숫자의 반복으로 구성된 단축키를 할당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allocating the number to a sub-category of a shortcut key designated by the numeric key corresponding to the group, and assigning and storing a shortcut key consisting of repetition of the same number as the numeric ke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se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해당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번호에 새로운 그룹을 지정하기 위한 단축키를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central control unit controls to assign a shortcut key for designating a new group to the number when the corresponding group does not exis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65152A 2005-07-19 2005-07-19 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700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152A KR100700168B1 (en) 2005-07-19 2005-07-19 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CNA2006100867178A CN1901564A (en) 2005-07-19 2006-06-16 Shortcut key set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152A KR100700168B1 (en) 2005-07-19 2005-07-19 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507A KR20070010507A (en) 2007-01-24
KR100700168B1 true KR100700168B1 (en) 2007-03-27

Family

ID=3765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152A KR100700168B1 (en) 2005-07-19 2005-07-19 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0168B1 (en)
CN (1) CN190156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6162A (en) * 2010-03-08 2011-09-21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enabling user to define hot key combinations and image pick-up device
US10365779B2 (en) * 2012-05-17 2019-07-3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Dynamically assigning shortcuts to menu items and actions
CN102957794A (en) * 2012-10-24 2013-03-06 艾体威尔电子技术(北京)有限公司 Shortcut ke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893A (en) * 2001-12-03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hot key to support by grouping in telephon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893A (en) * 2001-12-03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hot key to support by grouping in telephon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507A (en) 2007-01-24
CN1901564A (en)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246B1 (en) Telephone dialling apparatus and command inputting method thereof
EP0969644B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fingerprint recognition
US200301950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dialing operation using a phone boo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0168B1 (en) Method for storing hot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621431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using hot-key
US20090296691A1 (en) Method for making telephone apparatus operative with multiple networks
KR20020011047A (en) Method for user defined hot-key setting in a mobile station
KR201200821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roring telephone number in portable terminal
KR100382200B1 (en) Method of phone number access using short cut in a mobile phone
US801985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aligning preference items
KR100689587B1 (en) Method of Applying Short Key to Mobile Phone
EP2116018A1 (en) Method for making telephone calls with a telephone apparatus operative with multiple networks
KR10090028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a phone number in thereof
KR100434060B1 (en) Method for setting recent use menu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08828B1 (en) Method for registering direct dial telephone number
KR100389825B1 (en) Data terminal equipment having touch screen key as a soft hot key and method thereof
KR101129273B1 (en) Method for searching short telephone number in the mobile terminal
KR100995729B1 (en) Mobile phone and method of searching phonebook therefor
KR100669614B1 (en) Method for classficating kinds of tele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88867A (en) Method for call connecting using group function key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04925B1 (en) Simpler Method for dialing on Mobile Phone
KR100533036B1 (en) Method of operating macro key button for mobile phone
KR100724409B1 (en) Method for registering hot key i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hot key and memory storing the hot key
KR100520665B1 (en) Method for storing telephone numb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H10164211A (en)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