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9071B1 -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9071B1
KR100699071B1 KR1020060030936A KR20060030936A KR100699071B1 KR 100699071 B1 KR100699071 B1 KR 100699071B1 KR 1020060030936 A KR1020060030936 A KR 1020060030936A KR 20060030936 A KR20060030936 A KR 20060030936A KR 100699071 B1 KR100699071 B1 KR 10069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ag
fixing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주) 코웰메디
김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웰메디, 김수홍 filed Critical (주) 코웰메디
Priority to KR102006003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2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 A61C1/144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constricting the operating tool, e.g. chu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5Instruments or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 함몰형 매식체와 같이 상부에 돌출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내부 나사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을 핸드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에 접속시키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마운트 드라이버는 자루, 핀 및 스프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자루는 핸들링 공구에 결합되는 스핀들부의 하측에 하단면으로 개구되는 고정홀을 갖는 홀더부가 형성되고, 홀더부의 하단면에서 고정홀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내측으로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된다. 핀은 상단이 자루의 고정홀로 삽입되어 고정홀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자루에 고정된다. 스프링은 중심상에서 상단면과 하단면으로 관통되는 중심홀이 형성되는 몸체를 갖고, 몸체 둘레에 이격되도록 하단면에서 윗방향으로 절개되어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되므로써 상부가 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된 몸체의 하측은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MOUNT DRIVER FOR DENTALIMPLANT SYSTEM}
도 1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의 대상의 한 종류인 중간 함몰형 매식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의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가 중간 함몰형 매식체에 결합된 상태 및 그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 대상물, (중간 함몰형) 매식체
2 : 나사부 3 : 미세 나사
4 : 탭핑 나사 5 : 머리부
6 : 내부 나사 7 : (매식체) 상단면
10 :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20 : 자루 22 : 스핀들부
30 : 홀더부 31 : 고정홀
32 : 핀 고정홀 34 : 스프링 유격홀
36 : 스프링 지지턱 38 : (매식체) 체결홈
39 : (자루) 하단면 40 : 핀
42 : 자루 고정부 43 : (끼움단) 상단턱
44 : 끼움단 45 : (끼움단) 하단턱
46 : 스프링 유격부 48 : 가이딩부
50 : 보조팁 60 : 스프링
62 : (스프링) 몸체 63 : (스프링) 중심홀
64 : (스프링) 핀 고정홀 66 : 유격홀
68 : 지지턱 70 : (스프링) 상단면
72 : (스프링) 하단면 74 : 슬롯
76 : 록킹 돌기 78 : 록킹 경사면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중간 함몰형(external type) 매식체와 같이 상부에 돌출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머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내부 나사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을 핸드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에 접속시키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스템(dentalimplant system)은 치조골에 매식되어 결합되는 매식체(fixture), 이 매식체에 결합되어 인공치아(crown)를 고정하기 위한 받침대(abutment) 등의 보철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임플란트 시술완료시까지 마운트(mount), 커버 스크류(cover screw), 힐링 받침대(healing abutment), 포지셔닝 실린더(positioning cylinder) 등의 보조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310318호 "치과용보철구", 제0394071호 "인공치아 고정체 및 그 제조방법", 제0545853호 "크라운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제0545852호 "브리지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22976호 "임플란트시술용 인공치아고정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534243호 "치과용 임플란트의 심미적 표면 처리방법", 제0539415호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및 그 표면의 심미적 표면처리방법", 제0540447호 "크라운 타입 임플란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83249호 "치과용 임플란트 매식체" 등을 제안한 바 있다.
임플란트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체결 및 조립기구를 사용하여 시술된다. 통상 임플란트 시술은 임플란트 시술용 키트(implant surgical kit)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용 키트에는 포인트 드릴(point drill) 및 탭 드릴(tab drill) 등 기초공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드릴이 있고, 핸드피스(handpiece) 또는 토크 렌치와 같은 핸들링 공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시스템의 각종 요소 및 각종 드릴을 사용하도록 하는 각종 드라이버가 있으며, 임플란트 시술시 측정을 위한 각종 게이지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임플란트 시술용 키트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453726호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제0453728호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0300718호 "임플란트시술용 토크렌치" 및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539414호 "치과용 드릴세트" 등을 제안한 바 있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용 키트에서 마운트 드라이버(mount driver)는 핸드 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에 결합시켜 매식체를 기초공에 매식시키거나 받침대를 매식체에 고정시킬 때 주로 사용되는 조립기구이다.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가 제안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453726호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및 제0453728호 "임플란트시 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0345938호 "치과용 임플란트에 구성요소를 부착하는 방법 및 그 수단",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67899호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지대치 설치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73710호 "치열교정용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의 고정드라이버 구조",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14341호 "인공치아용 픽스츄어 드라이버"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86076호 "픽스처 드라이버"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된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는 마운트 드라이버가 매식체와 같은 고정 대상물과 확실히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어 마운트 드라이버 또는 고정대상이 손상되거나, 마운트 드라이버와 그 고정대상이 분리되므로 인해 시술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마운트 드라이버를 사용하기 위해 임플란트 시술 과정이 세분화되고 부가적인 부품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가가 상승되며, 임플란트 시술시 다른 형태의 다양한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하므로 임플란트 시술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마운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매식체를 기초공에 매식시키는 경우, 매식체에 결합된 마운트에 마운트 드라이버를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마운트 드라이버와 마운트가 완전히 록킹(고정)되어야 하지만, 종래 마운트 드라이버는 이와 같은 록킹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마운트 드라이버와 마운트가 불완전한 록킹이 이루어진 경우 매식체의 매식과정 또는 이동과정에서 마운트 드라이버와 매식체(마운트)가 어긋나거나 분리되어 매식체의 손상 또는 시술 불량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매식체의 매식을 위해 마운트와 같이 별도의 추가 부품이 사용되어야 하고, 매식체의 매식이 완료된 후 마운트를 분리시키고, 커버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해 별도의 드라이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치과 의사 등의 사용자가 마운트 드라이버를 매식체 등의 고정 대상물과 결합시켰을 때 마운트 드라이버가 매식체에 확실히 고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마운트 드라이버와 매식체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시술 불량을 방지하고, 마운트 드라이버 또는 매식체 등의 고정 대상물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마운트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매식체를 고정하도록 하므로써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시술시 최소의 공구(드라이버 종류)를 사용하도록 하도록 하므로써 시술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중간 함몰형(external type) 매식체와 같이 상부에 돌출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머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내부 나사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의 시술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중간 함몰형 매식체와 같이 상부에 돌출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내부 나사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을 핸드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에 접속시키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공구에 결합되는 스핀들부의 하측에 하단면으로 개구되는 고정홀을 갖는 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고정홀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내측으로 상기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는 자루와; 상단이 상기 자루의 고정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상기 자루에 고정되는 핀 및; 중심상에서 상단면과 하단면으로 관통되는 중심홀이 형성되는 몸체를 갖고, 상기 몸체 둘레에 이격되도록 상기 하단면에서 윗방향으로 절개되어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되므로써 상부가 상기 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된 상기 몸체의 하측은 상기 고정 대상물의 상기 내부 나사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이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상기 고정 대상물을 록킹하고, 상기 자루의 홀더부에 상기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고정 대상물을 홀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서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에 삽입되는 스프링 몸체의 하측은 상기 몸체의 하단면 이 상기 체결홈내에 위치되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서 상기 핀은 상기 자루의 하단면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는 가이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고정 대상물과 결합될 때 상기 자루 및 스프링보다 먼저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로 삽입되어 상기 자루 및 스프링의 결합방향을 가이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서 상기 가이딩부의 끝단에는 사각, 육각 및 팔각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보조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중간 함몰형 매식체와 같이 상부에 돌출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내부 나사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을 핸드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에 접속시키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공구에 결합되는 스핀들부의 하측에 하단면으로 개구되는 고정홀을 갖는 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핀 고정홀, 스프링 유격홀 및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핀 고정홀은 상기 스프링 유격홀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유격홀과의 사 이에 스프링 지지턱을 가지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홀더부의 하단면에서 내측으로 상기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자루와;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자루 고정부, 끼움단 및 스프링 유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단은 상기 자루 고정부의 외경과 상기 스프링 유격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자루 고정부와의 사이에 상단턱을 갖고 상기 스프링 유격부와의 사이에 하단턱을 가지는 핀 및; 중심상에서 상단면과 하단면으로 관통되는 중심홀이 형성되는 몸체를 갖고, 상기 중심홀에는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핀 고정홀과 유격홀을 가지며, 상기 핀 고정홀은 상기 유격홀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격홀과의 사이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유격홀이 형성된 상기 몸체 둘레에 이격되도록 상기 하단면에서 윗방향으로 절개되어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핀 고정홀은 상기 핀의 자루 고정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격홀의 내경은 상기 스프링 유격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핀 고정홀에 상기 핀의 자루 고정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턱이 상기 핀의 자루 고정부의 상단턱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핀에 고정되고, 상기 핀은 상기 자루 고정부가 상기 자루의 핀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써 상기 스프링이 상기 자루의 고정홀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서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에 삽입되는 스프링 몸체의 하측은 상기 몸체의 하단면 이 상기 체결홈내에 위치되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서 상기 핀은 상기 자루의 하단면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는 가이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고정 대상물과 결합될 때 상기 자루 및 스프링보다 먼저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로 삽입되어 상기 자루 및 스프링의 결합방향을 가이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서 상기 가이딩부의 끝단에는 사각, 육각 및 팔각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보조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의 대상의 한 종류인 중간 함몰형 매식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통상 중간 함몰형 매식체(1)는 미세 나사(3)와 탭핑 나사(4)로 이루어지는 나사부(2)를 갖고, 상단면(7)상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머리 부(5)가 형성되며, 중심에 머리부(5)로부터 하방향으로 내부 나사(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매식체(1)의 시술은 마운트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핸드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에 접속되므로써 시술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머리부(5)는 육 각, 사각, 팔각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는 이와 같이 상단면(7)상에 머리부(5)를 갖고 내부 나사(6)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1) 특히 매식체를 시술할 때 이들을 핸들링 공구에 접속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 대상물(1)은 주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은 중간 함몰형 매식체가 될 수 있으나, 임플란트 시스템과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다른 대상물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의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는 자루(20), 핀(40) 및 스프링(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는 종래와 달리 스프링(60)을 통해 록킹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자루에 고정 대상물(1)의 머리부(5)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의 작용은 록킹과정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통해 치과 의사 등의 사용자가 마운트 드라이버가 매식체에 확실히 고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마운트 드라이버와 매식체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시술 불량을 방지하고, 마운트 드라이버 또는 매식체 등의 고정 대상물의 파손을 효과적으 로 방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에서 자루(20)는 핸들링 공구에 결합되는 스핀들부(22)의 하측에 하단면(39)으로 개구되는 고정홀(31)을 갖는 홀더부(30)가 형성되고, 이 홀더부(30)의 하단면(39)에서 고정홀(3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내측으로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5)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홈(38)이 형성된다. 그리고 핀(40)은 상단이 자루(20)의 고정홀(31)로 삽입되어 고정홀(31)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자루(20)에 고정된다. 또한 스프링(60)은 중심상에서 상단면(70)과 하단면(72)으로 관통되는 중심홀(63)이 형성되는 몸체(62)를 갖고, 이 몸체(62) 둘레에 이격되도록 하단면(72)에서 윗방향으로 절개되어 다수개의 슬롯(74)이 형성되므로써 상부가 핀(4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다수개의 슬롯(74)이 형성된 몸체(62)의 하측은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6)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는 스프링(60)이 고정 대상물(1)의 내부 나사(6)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고정 대상물(1)을 록킹하고, 자루(20)의 홀더부(30)에 고정 대상물(1)의 머리부(5)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고정 대상물(1)을 홀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통상의 임플란트 시스템 및 그와 관련된 임플란트 시술용 키트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조립부분 또는 연결부분의 크기와 형상이 약간 차이나 보이거나 다른 도면과의 치수차이는 단지 도시상 차이일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의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가 중간 함몰형 매식체에 결합된 상태 및 그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는 중간 함몰형 매식체와 같이 상부에 돌출된 머리부(5)가 형성되고, 중심에 머리부(5)로부터 하방향으로 내부 나사(6)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1)을 핸드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도시 않음)에 접속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 대상물(1)을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는 특별히 구성된 자루(20), 핀(40) 및 스프링(6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는 자루(20)에 핀(40)이 고정되도록 하고, 핀(40)에 스프링(60)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고정 대상물(1)에 대해 스프링(60)에 의한 록킹이 이루어지고 자루(20)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록킹 과정의 발생은 통상의 기술과 차이점이 있는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의 록킹은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마운트 드라이버(10)와 고정 대상물(1)이 결합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록킹은 자루(20)의 체결홈(38)에 고정 대상물(1)의 머리부(5)가 안착되어 고정되기 직전에 이루어지고, 스프링(60)의 탄성작용에 의해 스프링(60)의 하측이 고정 대상물(1)의 내부 나사(6)내로 삽입될 때 소리가 나도록 하므로써 록킹시 발생되는 소리에 의해 치과 의사가 마운트 드라이버(1)와 고정 대상물(1)의 고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의 자루(20)는 핸들링 공구에 결합되는 스핀들부(22)의 하측에 하단면(39)으로 개구되는 고정홀(31)을 갖는 홀더부(30)가 형성된다. 이때 스핀들부(22)는 사용되는 핸들링 공구의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인 스핀들부(22)의 형태는 통상의 임플란트 시술용 키트에 적용되는 핸드 피스에 맞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한편 자루(20)는 하단면(39)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 는 고정홀(31)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핀 고정홀(32), 스프링 유격홀(34) 및 체결홈(38)이 형성된다. 여기서 핀 고정홀(32)은 스프링 유격홀(34)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스프링 유격홀(34)과의 사이에 스프링 지지턱(36)을 가진다. 그리고 체결홈(38)은 홀더부(30)의 하단면(39)에서 내측으로 고정 대상물(1)의 머리부(5)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체결홈(38)은 머리부(5)와 같은 형상 및 조립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체결홈(38)의 높이(h2)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부(5)의 높이(h1)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하여 머리부(5)가 체결홈(38)에 완전히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후술하는 스프링(60)이 먼저 고정 대상물(1)에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치과 의사가 록킹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핀(40)은 환봉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자루 고정부(42), 끼움단(44), 스프링 유격부(46), 가이딩부(48) 및 보조팁(50)이 형성된다. 이때 끼움단(44)은 자루 고정부(42)의 외경과 스프링 유격부(4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루 고정부(42)와의 사이에 상단턱(43)을 갖고, 스프링 유격부(46)와의 사이에 하단턱(45)을 갖는다. 여기서 자루 고정부(42)의 상측은 자루(20)의 핀 고정홀(3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측은 스프링(60)의 핀 고정홀(6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끼움단(4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60)의 고정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프링(60)의 탄성력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 유격부(46)는 후술하는 스프링(60)의 유격홀(66)의 내경보다 작 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스프링(60)이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한다. 이와 같은 핀(40)에는 가이딩부(48)와 보조팁(50)이 부가된다. 가이딩부(48)는 자루(20)의 하단면(39)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대상물(1)과 결합될 때 자루(20) 및 스프링(60)보다 먼저 고정 대상물(1)의 내부 나사(6)로 삽입되어 자루(20) 및 스프링(60)의 결합방향을 가이딩하도록 하므로써 마운트 드라이버(10)와 고정 대상물(1)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업중 핸들링 공구가 꺾이는 경우에도 가이딩부(48)가 지지하게 되므로 고정 대상물(1)과 마운트 드라이버(10)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팁(50)은 가이딩부(48)의 끝단에 사각, 육각 및 팔각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조팁(50)은 매식체와 같이 시술후 고정 스크류를 체결할 때 별도의 마운트 드라이버로 바꾸지 않고도 핸들링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임플란트 시술을 더욱 편리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보조팁(50)의 형상은 통상 고정 스크류에 사용되는 육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고정 스크류의 홈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스프링(60)은 중심상에서 상단면(70)과 하단면(72)으로 관통되는 중심홀(63)이 형성되는 몸체(62)를 갖는다. 그리고 중심홀(63)에는 상단면(70)으로부터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핀 고정홀(64)과 유격홀(66)이 형성된다. 이때 핀 고정홀(64)은 유격홀(66)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격홀(66)과의 사이에 지지턱(68)이 형성된다. 핀 고정홀(64)은 핀(40)의 자루 고정부(4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므로써 핀(40)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격홀(66)의 내경은 스프링 유격부(4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자루(20)의 스프링 유격홀(3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몸체(62)의 하측이 자루(20)의 홀더부(30)내에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몸체(62)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슬롯(74)이 형성된다. 이 다수개의 슬롯(74)은 유격홀(66)이 형성된 몸체(62) 둘레에 이격되도록 하단면(72)에서 윗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에서 스프링(60)은 몸체(62)의 하단면(72)이 자루(20)의 체결홈(38)내에 위치되는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핀(40)에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마운트 드라이버(10)와 고정 대상물(1)이 고정되기 전에 즉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5)가 자루(20)의 체결홈(38)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에 스프링(60)의 끝단이 내부 나사(6)에 록킹되도록 한다. 록킹과정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60)은 몸체(62)의 하단에 록킹 돌기(76)와 록킹 경사면(78)이 형성되도록 한다. 록킹 돌기(76)는 몸체(62)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록킹 경사면(78)은 록킹 돌기(76)의 외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경사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록킹 돌기(76)와 록킹 경사면(78)은 스프링(60)의 하단이 내부 나사(6)의 입구에 닿았을 때 내측으로 수축되었다가 다시 튀어나오도록 하므로써 록킹 돌기(76)가 내측 나사(6)의 내측면에 닿았을 때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여 치과 의사가 소리로서 록킹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의 조립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스프링(60)을 핀(40)에 고정하고,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60)이 결합된 핀(40)을 자루(20)에 고정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스프링(60)과 핀(40)의 결합은 핀(40)의 자루 고정부(42)가 스프링(60)의 핀 고정홀(64)에 억지끼움되고 스프링(60)의 지지턱(68)이 핀(40)의 자루 고정부(42)의 상단턱(43)에 걸리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스프링(60)이 결합된 핀(40)은 자루 고정부(42)가 자루(20)의 핀 고정홀(32)에 억지끼움되고 스프링(60)의 상단면(70)이 스프링 지지턱(36)에 걸리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드라이버(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록킹과정(a)을 걸치고 고정 대상물(1)과 고정(b)되게 된다. 즉 상세히 보인 록킹과정(a)과 고정과정(b)의 도면과 같이, 치과 의사가 고정 대상물(1)의 머리부(5)를 자루(20)의 하단 즉 홀더부(30)에 대략적으로 맞추어 결합시키면, 마운트 드라이버(10)는 스프링(60)의 하단 즉 록킹 돌기(76)가 내부 나사(6)의 입구에 닿게 된다. 이때 록킹 돌기(76)의 외경이 내부 나사(6)의 외경보자 크게 형성되어 있지만, 스프링(60)은 슬롯(74)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적으로 오므려 지고, 록킹 돌기(76)의 하단 외측에는 록킹 경사면(7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60)의 끝단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밀면, 스프링(60)의 끝단 즉 록킹 돌기(76)는 내부 나사(6)의 상측에서 다시 외측으로 약 간 밀려 "딱"하는 소리와 함께 내부 나사(6)의 내측면에 탄성적으로 압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운트 드라이버(10)의 자루(20)의 하단면(39)은 고정 대상물(1)의 상단면(7)에 밀착되어 고정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 의하면, 스프링이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에 삽입되면서 탄성적으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므로 치과 의사 등의 사용자가 마운트 드라이버를 매식체 등의 고정 대상물과 결합시켰을 때 마운트 드라이버가 매식체에 확실히 고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트 드라이버와 매식체의 불완전한 결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시술 불량을 방지하고, 마운트 드라이버 또는 매식체 등의 고정 대상물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마운트 드라이버에 매식체를 바로 고정하여 시술할 수 있으므로 마운트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매식체를 고정하도록 하므로써 임플란트 시스템의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시술시 최소의 공구(드라이버 종 류)를 사용하도록 하도록 하여 시술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딩부(48)가 부가되므로 고정 대상물(1)과 결합될 때 자루(20) 및 스프링(60)보다 먼저 고정 대상물(1)의 내부 나사(6)로 삽입되어 자루(20) 및 스프링(60)의 결합방향을 가이딩하도록 하므로써 마운트 드라이버(10)와 고정 대상물(1)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업중 핸들링 공구가 꺾이는 경우에도 가이딩부(48)가 지지하게 되므로 고정 대상물(1)과 마운트 드라이버(10)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중간 함몰형 매식체와 같이 상부에 돌출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내부 나사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을 핸드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에 접속시키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공구에 결합되는 스핀들부의 하측에 하단면으로 개구되는 고정홀을 갖는 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의 하단면에서 상기 고정홀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내측으로 상기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는 자루와;
    상단이 상기 자루의 고정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상기 자루에 고정되는 핀 및;
    중심상에서 상단면과 하단면으로 관통되는 중심홀이 형성되는 몸체를 갖고, 상기 몸체 둘레에 이격되도록 상기 하단면에서 윗방향으로 절개되어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되므로써 상부가 상기 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된 상기 몸체의 하측은 상기 고정 대상물의 상기 내부 나사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이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상기 고정 대상물을 록킹하고, 상기 자루의 홀더부에 상기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고정 대상물을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에 삽입되는 스프링 몸체의 하측은 상기 몸체의 하단면이 상기 체결홈내에 위치되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자루의 하단면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는 가이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고정 대상물과 결합될 때 상기 자루 및 스프링보다 먼저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로 삽입되어 상기 자루 및 스프링의 결합방향을 가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의 끝단에는 사각, 육각 및 팔각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보조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5. 중간 함몰형 매식체와 같이 상부에 돌출된 머리부가 형성되고, 중심에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내부 나사가 형성되는 고정 대상물을 핸드피스 또는 토크 렌치 등의 핸들링 공구에 접속시키도록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공구에 결합되는 스핀들부의 하측에 하단면으로 개구되는 고정홀을 갖는 홀더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핀 고정홀, 스프링 유격홀 및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핀 고정홀은 상기 스프링 유격홀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유격홀과의 사이에 스프링 지지턱을 가지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홀더부의 하단면에서 내측으로 상기 고정 대상물의 머리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자루와;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자루 고정부, 끼움단 및 스프링 유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단은 상기 자루 고정부의 외경과 상기 스프링 유격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자루 고정부와의 사이에 상단턱을 갖고 상기 스프링 유격부와의 사이에 하단턱을 가지는 핀 및;
    중심상에서 상단면과 하단면으로 관통되는 중심홀이 형성되는 몸체를 갖고, 상기 중심홀에는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핀 고정홀과 유격홀을 가지며, 상기 핀 고정홀은 상기 유격홀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격홀과의 사이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유격홀이 형성된 상기 몸체 둘레에 이격되도록 상기 하단면에서 윗방향으로 절개되어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핀 고정홀은 상기 핀의 자루 고정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격홀의 내경은 상기 스프링 유격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스프링은 상기 핀 고정홀에 상기 핀의 자루 고정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턱이 상기 핀의 자루 고정부의 상단턱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핀에 고정되고, 상기 핀은 상기 자루 고정부가 상기 자루의 핀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써 상기 스프링이 상기 자루의 고정홀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에 삽입되는 스프링 몸체의 하측은 상기 몸체의 하단면이 상기 체결홈내에 위치되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자루의 하단면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는 가이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고정 대상물과 결합될 때 상기 자루 및 스프링보다 먼저 상기 고정 대상물의 내부 나사로 삽입되어 상기 자루 및 스프링의 결합방향을 가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의 끝단에는 사각, 육각 및 팔각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된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보조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KR1020060030936A 2006-04-05 2006-04-05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KR10069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936A KR100699071B1 (ko) 2006-04-05 2006-04-05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936A KR100699071B1 (ko) 2006-04-05 2006-04-05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071B1 true KR100699071B1 (ko) 2007-03-23

Family

ID=4156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936A KR100699071B1 (ko) 2006-04-05 2006-04-05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0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52B1 (ko) 2007-04-23 2008-06-20 (주) 코웰메디 매식체 식립을 위한 마운팅장치
CN102240229A (zh) * 2011-07-26 2011-11-16 常州百康特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科植入体安装工具
KR101918655B1 (ko) 2018-09-19 2018-11-15 김용서 임플란트 조립장치
US20200315750A1 (en) * 2017-12-20 2020-10-08 Straumann Holding Ag Receptacle for a dental impla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899A (ko) * 1996-07-18 2000-11-25 윌리엄 에이치. 로스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지대치 설치장치
KR100345938B1 (ko) 1994-03-10 2003-01-24 임플랜트 이노베이션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치과용임플란트에구성요소를부착하는방법및그수단
KR20030089728A (ko) * 2002-05-18 2003-11-28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20030089727A (ko) * 2002-05-18 2003-11-28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200386076Y1 (ko) 2005-03-02 2005-06-07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픽스처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38B1 (ko) 1994-03-10 2003-01-24 임플랜트 이노베이션즈, 인코오포레이티드 치과용임플란트에구성요소를부착하는방법및그수단
KR20000067899A (ko) * 1996-07-18 2000-11-25 윌리엄 에이치. 로스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지대치 설치장치
KR20030089728A (ko) * 2002-05-18 2003-11-28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20030089727A (ko) * 2002-05-18 2003-11-28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시술용 마운트드라이버구조
KR200386076Y1 (ko) 2005-03-02 2005-06-07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픽스처 드라이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52B1 (ko) 2007-04-23 2008-06-20 (주) 코웰메디 매식체 식립을 위한 마운팅장치
CN102240229A (zh) * 2011-07-26 2011-11-16 常州百康特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科植入体安装工具
CN102240229B (zh) * 2011-07-26 2014-07-02 常州百康特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牙科植入体安装工具
US20200315750A1 (en) * 2017-12-20 2020-10-08 Straumann Holding Ag Receptacle for a dental implant
US11723756B2 (en) * 2017-12-20 2023-08-15 Straumann Holding Ag Receptacle for a dental implant
KR101918655B1 (ko) 2018-09-19 2018-11-15 김용서 임플란트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2560B1 (en) Latch for dental abutment
US9931182B2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1670093B1 (ko) 임플란트 고정체용 수납 용기
US200700657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ntal implantation
CA2510782C (en) Device and arrangement for fixture installation
RU254303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US20030148246A1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a dental restoration using the same
JP2004521671A (ja) インプラント支持義歯を設けるための位置決め装置
EP1745758B1 (en) Dental implant for magnetic attachment
JP2014520599A (ja) 修復のための歯科インプラントおよびアバットメントの結合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699071B1 (ko)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EP2123236B1 (en) Detachable stopper for dental drill
US20040076924A1 (en) Dental implant abutment apparatus
KR100840352B1 (ko) 매식체 식립을 위한 마운팅장치
KR20070099766A (ko) 임플란트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드라이버
US6468081B2 (en) Dental prosthesis laboratory analog
KR100717141B1 (ko) 임플란트
KR200345598Y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드라이버 어댑터
KR20080049379A (ko) 임플란트 유닛의 나사풀림 방지용 체결공구
RU2005106357A (ru) Инструментарий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