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427B1 -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427B1
KR100697427B1 KR1020050031898A KR20050031898A KR100697427B1 KR 100697427 B1 KR100697427 B1 KR 100697427B1 KR 1020050031898 A KR1020050031898 A KR 1020050031898A KR 20050031898 A KR20050031898 A KR 20050031898A KR 100697427 B1 KR100697427 B1 KR 100697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member
main body
termi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665A (ko
Inventor
이재경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42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3Details concerning the support members or devices not related to the lift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모니터의 전원 및 신호 공급수단을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에 관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는 모니터 본체와, 상기 모니터 본체와 결합되고 내부에 전원 및 신호의 제공을 위한 케이블이 형성되며 단부에 제2연결부재 단자부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단자부와 대응하는 제1연결부재 단자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 및 신호의 제공을 위한 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 단자부가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내부 케이블와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베이스 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니터

Description

모니터 장치{MONITOR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모니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에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 본체를 베이스부재와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베이스부재 202 ; 모니터본체
204,206 ; 고정브래킷 208 ; 전원연결부
209 ; 신호연결부 210 ; 연결부재
220 ; 제2연결부재 221 ; 신호단자
222 ; 전원단자 223 ; 고정버튼
225 ; 케이블 230 ; 제1연결부재
234 ; 착탈 홈
본 발명은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의 전원 및 신호 공급수단을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장치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기기를 말한다.
최근, LCD 패널의 가격이 저렴해 짐에 따라 LCD 패널을 이용한 얇고 가벼운 모니터 장치가 대중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니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모니터 장치는 소정의 수평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201)와, 화상이 형성되는 모니터본체(202)와, 베이스부재(201)와 모니터본체(20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10)의 하단은 베이스부재(201)에 결합된 한 쌍의 고정브래킷(204,206)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연결부재(210)의 상단은 모니터본체(202)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모니터 장치는 화살표(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01)에 대해 연결부재(210)는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201)에는 전원연결부(208)와 신호연결부(209)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원연결부(208)와 신호연결부(209)는 전원 및 컴퓨터 본체와 연결 되는 케이블이 결합되어 상기 모니터본체(202)에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연결부재(210)의 내측으로는 상기 전원연결부(208)와 신호연결부(209)에서 상기 모니터본체(202)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 장치는 모니터 후면의 지저분한 케이블 등이 제거되어 미관상 매끈한 느낌을 가져다 준다.
즉, 일반적인 모니터 장치의 경우 모니터본체(202)의 후면에 전원 및 신호 연결을 위한 전원연결부와 신호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상기 모니터 장치의 경우 베이스부재(201)에 전원연결부(208)와 신호연결부(209)를 형성하여 미려한 느낌을 가져다 주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모니터 장치는 얇고 가벼운 LCD 패널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테스크 탑에 스탠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모니터 장치의 활용도가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모니터본체의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및 신호 공급수단을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는 모니터 본체와, 상기 모니터 본체와 결합되고 내부에 전원 및 신호의 제공을 위한 케이블이 형성되며 단부에 제2연결부재 단자부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단자부와 대응하는 제1연결부재 단자 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 및 신호의 제공을 위한 케이블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 단자부가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내부 케이블와 연결되는 단자부가 형성된 베이스 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모니터 본체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착탈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대응하는 제2연결부재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는 베이스부재(201)와, 상기 베이스부재(20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230)와, 상기 제1연결부재(2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220)와, 상기 제2연결부재(2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니터 본체(20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01)는 데스크 탑과 같이 소정의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컴퓨터 본체 및 전원과 연결되는 신호연결부(209) 및 전원연결부(208)가 형성 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30)는 상기 베이스부재(20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220)도 상기 모니터 본체(20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상기 모니터 본체는 LCD 패널 및 이를 구동하는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30)와 제2연결부재(220)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재(201)와 모니터 본체(202)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구비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케이블은 제1연결부재(230)와 제2연결부재(220)의 결합부에서 각각 착탈 가능한 단자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230)의 일측에는 착탈 홈(234)이 구비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220)와의 결합/분리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연결부재(230)와 제2연결부재(220)를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니터 본체(202)를 상기 베이스부재(201)와 분리하여 벽걸이용 모니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에서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230)와 제2연결부재(220)는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제2연결부재(220)에는 신호단자(221)와 전원단자(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220)에서 단자가 형성된 부분은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형 태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돌출된 부분의 측면에는 착탈 버튼(223)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연결부재(220)에 삽입된다.
상기 착탈버튼(223)은 제1연결부재(230)의 착탈 홈(234)과 대응하는 것으로서 제2연결부재(220)를 제1연결부재(230)와 분리/결합시 착탈버튼(233)을 사용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22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 본체(202)를 베이스부재(201)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모니터 본체(202)와 상기 모니터 본체(202)에 결합된 제2연결부재(220) 및 케이블(225)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220)에는 신호단자(221)와 전원단자(2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단자(221)와 전원단자(222)는 대응하는 제1연결부재(230)의 신호단자(미도시) 및 전원단자(미도시)와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단자(221)와 전원단자(222)에 컴퓨터 본체 및 전원으로부터 연결되는 케이블(225)을 연결함으로써 베이스부재(201)없이도 상기 모니터 본체(202)에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부재를 제1연결부재(220)와 제2연결부재(230)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니터 본체(202)를 베이스부재(201)와 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모니터 본체(202)를 벽걸이용 모니터 처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장치는 모니터본체의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및 신호 공급수단을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모니터 본체;
    상기 모니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모니터 본체에 전원 및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이 내부에 배치되며, 제2연결부재 단자부를 구비한 제2연결부재;
    전원 및 신호의 제공을 위한 케이블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 단자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 단자부를 구비한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내부의 케이블과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는 모니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모니터 본체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에는 착탈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와 대응하는 제2연결부재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장치.
KR1020050031898A 2005-04-18 2005-04-18 모니터 장치 KR100697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98A KR100697427B1 (ko) 2005-04-18 2005-04-18 모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898A KR100697427B1 (ko) 2005-04-18 2005-04-18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665A KR20060109665A (ko) 2006-10-23
KR100697427B1 true KR100697427B1 (ko) 2007-03-20

Family

ID=3761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898A KR100697427B1 (ko) 2005-04-18 2005-04-18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864B1 (ko) * 2018-01-29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665A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364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9990032063U (ko) 복합적인 다기능을 갖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
CN105388653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3264873A1 (en) Display device
JP2013505660A5 (ko)
US8355245B2 (en) Display device
US20140368990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8257245A5 (ko)
EP2670150B1 (en) Display apparatus
KR100697427B1 (ko) 모니터 장치
JP2001309276A (ja) 映像表示装置の設置構造
JP2007310186A (ja) 薄型表示装置
JP2009162919A (ja) 表示装置
TW200508735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5008619A3 (fr) Systeme d’affichage dynamique dans un boitier lumineux
JP2007088626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599560B1 (ko) 컴퓨터 탈착형 모니터
JP2002229464A (ja) パネル型装置の支持機構
KR200394034Y1 (ko) 컴퓨터 탈착형 모니터
KR100512749B1 (ko) 모니터장치
KR19990024544U (ko) 복합적인 사용기능을 갖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
CN219394994U (zh) 显示设备及用于显示装置的底座音响
EP1921493A3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WM288748U (en) Structure improvement of LCD TV
JP2004166771A (ja) ゲームボーイアドバンス専用導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