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222B1 -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222B1
KR100695222B1 KR1020050008731A KR20050008731A KR100695222B1 KR 100695222 B1 KR100695222 B1 KR 100695222B1 KR 1020050008731 A KR1020050008731 A KR 1020050008731A KR 20050008731 A KR20050008731 A KR 20050008731A KR 100695222 B1 KR100695222 B1 KR 10069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item
consumption
mixed
operating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868A (ko
Inventor
김진문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05000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2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45Boxes or c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연산 장치 및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혼탄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력 발전소에서의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에 있어서, (a)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화면에서 메뉴 아이콘 중 입하탄 성상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입하탄 성상을 입력받고, 상기 입하탄 성상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석탄 관리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혼탄종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석탄 관리 모드에서 항목 아이콘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하탄 성상을 근거로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과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을 이용하여 하역 저탄 항목, 상탄 항목, 연소 항목 및 배출 및 부산물 처리 항목으로 분류되는 각 항목의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의 운영 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석탄 관리 모드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건배기 가스의 산출식, 연료 수분의 산출식, 연료 수소의 산출식 및 공기 수분의 산출식이며,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연소 특성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에 산출되는 연소 특성 자료의 추이를 나타낸 계산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석탄을 하역부터 상탄, 연소, 배출 및 부산물 처리할 때까지 과정 등 산출 가능한 모든 항목의 운영 비용을 수치화하여 신규탄 도입 가격과 운영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경제성 평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석탄, 운영 비용, 혼탄, 입하탄, 화력, 발전

Description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Method for Estimating Coal Operation Cos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it}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혼탄종을 선정할 때 발전 설비의 안정 운전을 판정하는 혼탄 판정 모니터링 화면의 일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혼탄 프로그램과 혼탄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메뉴 중 입하하는 석탄의 성상을 입력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메뉴 중 탄종의 혼소 비율별 운영 비용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메뉴 중 탄종의 혼소 비율별 혼탄 판정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제어부 210 : 롬(ROM)
220 : 램(RAM) 230 : 보조 기억 장치
240 : 통신 제어 장치 250 : 입력 장치
260 : 표시 장치 270 : 버스
본 발명은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의 하역부터 배출 및 부산물 처리까지 과정의 각 항목당 운영 비용을 이론식과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하여 운영 비용을 수치화함으로써, 탄종의 혼소비별 총 운영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총 운영 비용과 탄단가를 통해 연료비를 포함한 발전 비용을 산출해서 총 운영 비용과 발전 비용을 혼탄종을 선정하는 경우 평가 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전력 산업은 정부가 독점해 오던 체계에서 전력 공급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소비자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 민영화가 추진되었다. 민영화 이전에 전력 산업은 수급 안정과 공공성을 근거로 정부의 개입과 규제가 이루어져 왔다면, 민영화 이후에 전력 산업은 효율성과 경제성이 중시되는 경쟁 체제로 재편되는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최근 전력 산업은 전력 시장 개방에 따른 발전 회사의 발족 등으로 대표되는 전력 계통 운영 구조의 변화 속에서 경쟁적인 전력 시장의 환경이 구축되었다. 따라서, 경제적인 발전소 운영은 경쟁적인 전력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은 수력, 화력, 원자력 발전소 등이 있으며, 그 중 특히, 화력 발전소는 발전 설비를 운영하기 위해 연료를 외국에서 수입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화력 발전소는 연료로 쓰이는 석탄이 하역에서부터 부산물 및 배기 가스 처리까지 다양한 형태로 비용이 소모되며, 이러한 비용은 발전소를 운영하는 데 많은 부분을 차지하므로 석탄을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을 각 과정마다 합리적으로 관리한다면, 발전소 운영 비용을 크게 줄이고, 경제적인 발전소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혼탄종을 선정할 때 발전 설비의 안정 운전을 판정하는 혼탄 판정 모니터링 화면의 일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혼탄 가능한 탄종 및 혼소 비율에 따라 형성되는 각 항목(점진성, 마모성, 총 수분 등), 즉 이론식에 의거 산출된 탄종 특성에 가중치를 주어 각 항목을 점수화함으로써, 발전 설비의 운전을 위한 중요 항목으로 평가하고, 점수화된 중요 항목을 발전 설비가 안정되게 운전할 수 있는 환경을 판단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취득 점수는 70 이상인 경우, 발열량은 낮아야 하며, 황 함량은 높아야 하는 등, 각 항목별 수치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발전 설비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혼탄종과 혼소 비율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발전소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자료는 연료로 쓰이는 석탄이 하역에서부터 부산물 및 배기 가스 처리까지의 과정에서 필요한 운영 비용, 발전 비용 등이며, 이를 바탕으로 석탄 구입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는 이와 같은 경제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빠져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구매 석탄의 운영 비용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어, 석탄 구입의 적정성 판단이 곤란하여 원가를 절감하기 어려우며, 발전 운전할 때 필요한 운영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향후 예상되는 운영 비용을 산출할 수 없어 경제적인 발전소 운영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석탄을 하역부터 상탄, 연소, 배출 및 부산물 처리할 때까지 과정 등 산출 가능한 모든 항목의 운영 비용을 이론식과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하여 운영 비용을 수치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연산 장치 및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혼탄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력 발전소에서의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에 있어서, (a)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화면에서 메뉴 아이콘 중 입하탄 성상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입하탄 성상을 입력받고, 상기 입하탄 성상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석탄 관리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혼탄종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석탄 관리 모드에서 항목 아이콘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하탄 성상을 근거로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과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을 이용하여 하역 저탄 항목, 상탄 항목, 연소 항목 및 배출 및 부산물 처리 항목으로 분류되는 각 항목의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의 운영 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석탄 관리 모드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건배기 가스의 산출식, 연료 수분의 산출식, 연료 수소의 산출식 및 공기 수분의 산출식이며,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연소 특성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에 산출되는 연소 특성 자료의 추이를 나타낸 계산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컴퓨터 상에 설치되고, 구동되어, (a)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화면에서 메뉴 아이콘 중 입하탄 성상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프로세스; (b) 입하탄 성상을 입력받고, 상기 입하탄 성상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프로세스; (c)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석탄 관리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혼탄종이 선택되는 프로세스; 및 (d) 상기 석탄 관리 모드에서 항목 아이콘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하탄 성상을 근거로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과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을 이용하여 하역 저탄 항목, 상탄 항목, 연소 항목 및 배출 및 부산물 처리 항목으로 분류되는 각 항목의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의 운영 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석탄 관리 모드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실현시키되,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건배기 가스의 산출식, 연료 수분의 산출식, 연료 수소의 산출식 및 공기 수분의 산출식이며,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연소 특성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에 산출되는 연소 특성 자료의 추이를 나타낸 계산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 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혼탄 프로그램과 혼탄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은 제어부(200), 롬(ROM)(210), 램(RAM)(220), 보조 기억 장치(230), 통신 제어 장치(240), 입력 장치(250), 표시 장치(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장치는 버스(270)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00)는 연산 처리, 제어 처리 등의 전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혼탄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연산 알고리즘을 통해 석탄의 운영 비용, 발전 비용 등을 산출하여 표시 장치(260)에 출력해 준다.
롬(210)에는 제어부(20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롬(210)에는 혼탄 프로그램 등 각종 소프트웨어의 구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프로그램의 변수나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램(220)에는 통상적으로 가동중인 동작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의 실행하는 경우 데이터 버퍼(Buff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입력 장치(250)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보조 기억 장치(230)는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되는 입하하는 석탄의 성상을 입력한 데이터 테이블과, 주탄종, 보조 탄종을 선택할 수 있는 탄종명, 입하년도, 항차를 포함하는 데이터 테이블 등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되어 있다.
통신 제어 장치(240)는 다른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할 때에 접속용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입력 장치(250)는 입하하는 석탄의 성상을 입력하거나, 메인 메뉴와 항목 아이콘, 주탄종, 보조 탄종 등을 선택할 때 사용된다.
표시 장치(260)는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 혼탄 프로그램에 의해 산출된 운영 비용, 발전 비용 등의 수치를 나타내는 각 항목이 표시되는 운영 비용, 혼탄 판정, 입하탄 성상의 모니터링 화면 등이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화면으로서, 운영 비용과, 혼탄 판정, 입하탄 성상 등의 메인 아이콘으로 구성된다. 또한, 운영 비용은 운영 비용 화면과 각 항목별 운영 비용을 세분화한 상세 운영 비용 화면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혼탄 판정은 혼탄 판정 화면과 혼탄 판정의 각 항목을 세분화한 상세 혼탄 판정 화면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입하탄 성상은 입하탄 성상 화면, 혼소비별 조성 화면 및 저탄종 탄종 화면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기술에 해당하는 운영 비용 산출에 관련된 운영 비용 항목의 운영 비용 화면을 위주로 설명하겠다.
입하탄 성상은 입하하는 석탄의 성상, 즉 석탄의 탄소, 수소, 산소 등의 원소 분석, 발열량, 입하량, 탄종명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운영 비용을 산 출하거나, 혼탄 판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장된 석탄의 성상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이용하게 된다.
운영 비용은 석탄의 하역부터 저탄, 상탄, 연소, 배출 및 부산물 처리까지의 각 항목의 운영 비용을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과, 경험에 의해 축적되어 만들어진 상관 관계식을 이용하여 수치화하고, 입하탄 성상 입력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탄종의 혼소 비율별 운영 비용을 산출하게 된다. 이론식과 상관 관계식은 도 5에서 별도로 설명하겠다.
혼탄 판정은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을 바탕으로 석탄의 마모성, 분쇄도, 총 수분 등의 특성을 탄종의 혼소 비율별로 산출하며, 전술한 운영 비용 항목에서 산출된 운영 비용 및 발전 비용 항목을 추가하여 최적의 혼탄종 및 혼소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메뉴 중 입하하는 석탄의 성상을 입력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영 비용, 발전 비용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입하하는 석탄의 성상이 요구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종명, 입하년도, 항차, 원산지 등을 입력하고, 석탄 분석기를 이용하여 석탄의 원소 분석(탄소, 수소, 질소 등), 회 성분 분석, 연소 시작 온도, 발열량, 공업 분석(고유 수분, 휘발분 등), 황 함량 등의 고유 성상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입하탄 성상 자료는 운영 비용과 혼탄 판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 장하여 입하탄 자료의 신속하고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메뉴 중 탄종의 혼소 비율별 운영 비용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화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종의 혼소 비율별로 하역에서부터 저탄, 상탄, 연소, 배출 및 부산물 처리까지 산출 가능한 모든 운영 비용을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과, 경험에 의해 축적되어 만들어진 상관 관계식을 이용하여 수치화한다.
여기서, 탄종은 탄의 명칭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석탄을 공급하는 회사명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회사들이 일정한 탄광에서 석탄을 채취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탄종의 성상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예를 들어 원산지가 호주인 탄종: MIM, BHP, ENSHAM 등, 원산지가 중국인 탄종: SCIEC, CNCIEC, SHENHUA 등, 원산지가 인도네시아 탄종: Indominco, Tanito, KIDECO, ABK, KPC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NCIEC(주 탄종), ROTOSOUTH(보조 탄종)을 예로 들었다.
혼소비는 주 탄종(양품질의 탄)과 부 탄종(저품질의 탄)의 섞는 비율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비율은 80 : 20, 70 : 30 처럼 100을 기준으로 한다.
운영 비용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석탄 1 ton을 하역에서부터 배출 및 부산물 처리까지 산출 가능한 모든 운영 비용을 입하탄 성상과 연계시켜 수치화(원/Coal ton)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 비용을 산출하는 항목은 크게 하역 저탄, 상탄, 연소, 배출 및 부산물 처리로 분류한다. 하역 저탄은 하역 동력 항목과 저탄 손실 항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하역은 석탄을 선적한 배가 부두에 도 착하면, 배로부터 저탄장으로 석탄을 이송하는 것을 말한다. 하역 동력은 하역할 때 소요되는 동력이며, 하역 동력의 운영 비용은 석탄 1 ton을 하역하는 데 소용되는 동력을 소내 전력 단가(38.92 원 / kWh, 변동 가능)를 적용하여 원 단위로 환산한 값을 의미한다. 즉, 하역 동력 비용(UPC : Unloading Power Cost)은 탄종별 하역 동력(UP : Unloading Power) × 소내 소비 전력 단가(Standard Power Cost, 이하 'SPC'라 칭한다)로 계산된다.
또한, 저탄은 하역한 석탄을 저장하는 것을 말하며, 저탄 손실은 저탄장에 저장된 석탄이 휘발분, 수분 등의 석탄 성상에 의한 화학 작용으로 석탄의 열량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저탄 기간이 길어질수록 온도가 상승하여 상승한 온도만큼 석탄의 열량이 감소하여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저탄 손실 비용은 석탄을 저탄할 때 감소하는 열량을 석탄 구입 가격으로 환산한 비용을 말한다. 즉, 저탄 손실 비용(HVDC : Heat Value Drop Cost : 저탄 온도 상승에 따른 발열량 손실 비용)은 [(TR × HVD) ÷ HV] × CP로 계산한다. 여기서, TR(Temperature Rise)은 저탄 온도 상승, HVD(Heat Value Drop)는 온도 상승(1 ℃)에 따른 발열량 하락, HV(Heat Value)는 발열량, CP(Coal Price)는 탄단가를 의미한다.
상탄은 상탄 동력 항목, 급탄기 동력 항목 및 미분기 동력 항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탄은 저탄장에 저장된 석탄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Coal Silo(1개 호기당 6개)에 이송하는 것을 말한다. 상탄 동력은 상탄할 때 소용되는 동력이며, 상탄 동력 비용은 석탄을 상탄하는 경우 소요되는 동력비를 소내 전력 단가로 환산한 비용을 말한다. 즉, 상탄 동력 비용(CBPC : Conveyor Belt Power Cost)은 0.0007(DC × 4) + 70.93으로 계산한다. 여기서 DC(Demand of Coal)는 1 일 1 개 호기의 탄 사용량을 의미한다.
급탄기는 Coal Silo에 저장된 석탄을 미분기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급탄기 동력은 급탄기가 소비하는 동력을 말한다. 또한, 급탄기 동력 비용은 급탄기가 소비하는 동력을 소내 전력 단가로 환산한 비용을 의미하며, 산출식은 연료 톤당 소비 동력(DPF : Demand Power of Coal Feeder) × 소내 소비 전력 단가(SPC)로 계산한다.
미분기는 석탄을 연소에 적합한 크기로 분쇄하는 설비를 말하며, 미분기 동력은 미분기가 소비하는 동력을 말한다. 여기서 미분기 동력 비용은 미분기가 소비하는 동력을 소내 전력 단가로 환산한 비용이며, 산출식은 (PP × SPC × 5대 × 24hr / d) / DC로 계산한다. 여기서 PP(Pulverizer Power)는 Pulv 소비 동력이며, SPC(Standard Power Cost)는 소내 소비 전력 단가, DC(Demand of Coal)는 1 일 1 개 호기의 탄 사용량을 의미한다.
연소는 미연 탄소 항목, 건배기 가스 항목, 연료 수분 항목, 연료 수소 항목, 공기 수분 항목 및 팬(FAN) 동력 항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소는 연료 중의 탄소, 수소 등 가연 성분이 산소와 반응하여 빛과 열을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며, 미연 탄소는 Flue Dust나 Ash Pit Refuse에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가연성 물질(Combustibles)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탄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미연 탄소(Unburned Carbon)라고 부른다. 여기서, Flue Dust는 연소 후 발생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가벼운 재(Ash)이며, Ash Pit Refuse는 연소 중 또는 연소 후 발생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무거운 Ash를 의미한다. 또한, 미연 탄소 손실 비용은 미연의 가연성 물질이 가진 미방출 에너지를 미연 탄소 손실이라 하며, 이를 비용으로 환산한 값을 말한다. 여기서 미연 탄소 손실 비용(UCC : Unburned Carbon Cost)은 [(Cu × 8050) / HV] × CP로 계산한다. 여기서, Cu는 연료 1 ㎏ 당의 미연 탄소(UC : Unburned Carbon) 발생량이며, HV(Heat Value)는 발열량, CP(Coal Price)는 탄단가를 의미한다.
건배기 가스(Dry Gas)는 연소 생성물 중 수분을 제외한 각종 연소 가스이다.건배기 가스 손실 비용은 건배기 가스의 최종 출구 온도가 보유하고 있는 총 열량과 건배기 가스가 기준 공기 온도(Reference Air Temp)로 냉각되었을 경우 가지게 되는 열량과의 차이가 건배기 가스 손실이라하며, 이를 비용으로 환산한 값을 건배기 가스 손실 비용이라 한다. 또한, 건배기 가스 손실 비용(FGC : Flue Gas Cost)을 구하는 산출식은 [WDG × cpg × (TGO - TRA)] ÷ HV × CP로 계산한다. 여기서, WDG(Weight kg of Dry Gas per kg of Fired Fuel)는 건배기 가스량, cpg(Calorie per Dry Flue Gas)는 건배기 가스 비열, TGO(Air Preheater Outlet Gas Temp)는 AH Oultlet 가스 온도(123 ℃, TGO), TRA(Reperence Air Temp)는 대기 중 온도(20 ℃, 설계치), HV(Heat Value)는 발열량, CP(Coal Price)는 탄단가를 의미한다.
연료 중의 수분은 연소 전에는 액화 상태로 존재하나 연소 중에는 아무런 일을 하지 않은 채 단지 열을 받아 가열 및 증발된 상태로 습배기 가스가 되어 보일러를 떠나게 되며, 이 습배기 가스 중 연료의 수분에 의하여 발생된 수증기의 열손실을 연료 중의 수분 손실이라 하며, 그 증발 잠열 및 보일러의 출구 온도에서의 보유현열 모두가 열손실이 된다. 이와 같은 열로 인하여 손실된 비용을 연료 수분 손실 비용(FMC : Fuel Moisture Cost)이라 하며, 산출식은 [mf(%) × (He - HRW)] ÷ HV × CP로 계산한다. 여기서, mf는 연료 중 수분, He(Heat Enthalpy of Vapour at Partial Pressure and Exit Gas Temperature)는 TGO에서의 증기 엔탈피, HRW(Heat Enthalpy of Satrrated Water at TRA)는 TRA에서의 포화 액체의 엔탈피를 의미한다.
연료 중의 수소는 연소하는 경우 산화되어 물이 되며, 수소는 다시 보일러의 열을 받아 증발된 상태로 Flue Gas 중에 함유되어 보일러를 떠나게 된다. 수소가 연소하여 물이 되면서 많은 열을 발생하나 수소가 연소되어 발생된 물은 증발 잠열을 흡수하여 수증기가 되고, 다시 이것은 현열을 보유한 채 보일러를 떠나게 되므로 이것이 곧 손실이 되며 이러한 손실을 비용으로 환산한 값이 연료 중 수소 연소 손실 비용이 된다. 연료 중 수소 연소 손실 비용(FHC : Fuel Hydrogen Cost)을 산출하는 식은 [8.936 × H(%) / 100 × (He - HRW)] ÷ HV × CP로 계산한다.
연소용 공기 중의 수분은 보일러 내에서 연소에 아무런 기여도 하지 못한 채 오히려 보일러로부터 열을 흡수한 상태로 건배기 가스와 함께 보일러를 떠나게 되며, 이 열량이 곧 수분 손실이며, 이러한 손실을 비용으로 환산한 값이 공기 중 수 분 손실 비용이 된다. 공기 중 수분 손실 비용(AMC : Air Moisture Cost)은 [0.01 × WDA × (He - HRV)] ÷ HV × CP로 계산한다. 여기서, WDA(Weight kg of Dry Air per kg of Fired Fuel)는 건공기량이며, HRV(Heat Enthalpy of Saturated Steam(vapour) at TRA)는 TRA에서의 포화 증기 엔탈피를 의미한다.
FAN 동력은 보일러에 석탄을 연소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할 때 필요한 각종 FAN 동력을 의미한다. FAN 동력 비용은 석탄이 연소하는 경우 필요한 각종 FAN 동력을 소내 전력 단가로 환산한 값으로, FAN 동력 비용을 산출하는 식은 [(1.4812TA + 3854.1) × 24 / DC] × SPC로 계산한다. TA는 Total Air량(t/h)이며, SPC는 소내 소비 전력 단가, DC는 1 일 1 개 호기의 탄 사용량을 의미한다.
배출 및 부산물 처리는 회처리 및 탈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회처리는 회처리 항목 및 회판매 항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처리는 연소 생성물 중 고형 물질에 해당하는 것을 Refuse(회 + 미연 탄소, 일반적으로 Ash 또는 회라 함)라고 하며, 이 중 특히 연소 가스 속에 함유되어있는 것을 Flue Dust(일반적으로 Fly Ash라 부름)라고 칭하고, 현재 전량 집진기에서 집진되어 재활용하기 위하여 Ash Silo로 보내져 저장한 후 판매한다. Ash Pit 속에 포집되는 것을 Ash Pit Refuse(일반적으로 Bottom Ash라 부름)라고 하며 이것은 해수를 이용하여 회처리장(회사장)으로 라인을 통하여 이송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 전부를 회처리라 한다.
회처리 동력은 회를 집진하고 처리하는 데 소요되는 동력으로 Fly Ash를 포집하는 집진기 동력, 포집된 Ash를 이송하는 데 소요되는 동력 등을 말한다.
여기서, 회처리 동력 비용은 회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동력을 소내 전력단가로 환산한 값으로, 회처리 동력 비용(AOC : Ash Operation Cost)의 산출식은 EC - AC로 계산된다. EC는 회처리 소비 동력비이고, AC는 Ash 판매 대금이다. 회 판매는 포집한 Fly Ash를 재활용 업체에 판매하여 발생하는 이익비용을 말한다.
탈황은 소비 동력 항목, 석회석 소모 항목, 탈황 용수 항목 및 석고 판매 항목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석탄 연료에 포함되어 있는 황 성분은 보일러 연소과정을 통해 SO2, SO3 등의 황산화물(SOx)로 배출되어 산성비, 스모그 등 대기 오염을 유발하므로 이를 제거하는 것이 탈황이며 대부분 대용량 발전소에서는 물, 알카리 용액 등으로 배기 가스를 세정하여 SO2를 흡수 제거하는 습식 배연 탈황 방식을 이용하며, 흡수제로는 2차 오염 발생이 거의 없고 비교적 값이 저렴한 석회석(CaCO3)을 흡수제로 사용하며 반응에 의하여 부산물로 석고를 생산한다.
탈황 소비 동력은 탈황 설비에서 소요되는 동력을 말하며, 탈황 소비 전력 비용(DSPC : Desulfurization Power Cost)을 계산하기 위한 산출식은 (DSP × 1000) / DC × SPC로 계산한다. 여기서, DSP(Desulfurization Power)는 탈황 설비 소비 전력이며, SPC는 소내 소비 전력 단가를 의미한다.
석회석 소모는 탈황을 하기 위한 흡수제인 석회석 소모량을 석회석 가격으로 환산한 값으로, 석고 판매 금액을 구하는 산출식은 [LN × LP] / DC로 계산된다. 여기서, LN(Limestone Need)는 1 일 1 개 호기의 석회석 소모량이며, LP(Limestone Price)는 석회석 단가, DC는 1 일 1 개 호기의 석탄 사용량을 의미한다.
석고 판매는 탈황 설비의 부산물인 석고를 재활용 업체에 판매하여 발생하는 이익 비용으로, 석고 판매 금액(GSC : Gypsum Sales Cost)을 구하는 산출식은 [GP × GSP] / DC로 계산된다.
여기서, GP(Gypsum Production)는 1 일 1 개 호기의 석고 발생량이며, GSP(Gypsum Sales Price)는 석고 판매 단가를 의미한다.
탈황 용수는 탈황 설비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용수(물)를 탈황 용수 단가로 환산한 값으로, 탈황 용수 비용(DSWP : Desulfurization Water Price)을 구하는 산출식은 (DSW × 323.7원 / ton) / DC로 계산된다. 여기서, DSW(Desulfurization Water)는 1 개 1호기의 1 일 탈화 용수량이며, DC는 1 일 1 개 호기 탄 사용량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역 저탄, 상탄, 연소, 배출 및 부산물 처리에 따른 각 항목의 비용을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과, 경험에 의해 축적되어 만들어진 상관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각 항목별 운영 비용을 합쳐 총 운영 비용을 추출하여 탄종의 혼소비별 운영 비용의 많고 적은 개소를 예측하여 사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연소 항목의 건배기 가스, 연료 수분, 연료 수소, 공기 수분의 4 가지 항목의 산출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학식이나, 수학식처럼 공식으로 정의되어 있는 식을 의미하며, 4 가지 항목의 산출식 외에는 모두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을 의미한다.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연소 특성에 따라 각 분기마다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에 산출되는 연소 특성 자료의 추이를 계산식으로 생성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관 관계식은 수 개월 내지 몇 년 동안 발전 설비를 운영하면서 산출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계산식으로, 기존의 프로그램은 계산식을 구성하여 프로그램화하면, 계산식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수정이 곤란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화된 상관 관계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자동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경험식을 수정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전 비용을 계산하는 식은 (총 운영 비용 + 탄단가) / 1 일 발전량(kWh)으로 계산한다. 이와 같이 각 항목당 최저 운영 비용 및 발전 비용이 계산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운영 비용의 합계와 연료비를 포함한 발전 비용을 고려한 kWh 당 가장 경제적인 탄종별 혼소비를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메뉴 중 탄종의 혼소 비율별 혼탄 판정을 나타내는 모니터링 화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탄의 운전 조건을 판정하는 화면으로 종래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던 항목 중 도 5의 탄종의 혼소 비율별 운영 비용 및 발전 비용을 계산한 항목을 추가하여 모니터링 화면을 구성한다. 따라서, 도 6은 혼탄 판정표에 연계하여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 혼탄종 및 혼소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탄 판정은 종래 프로그램과 달리 운영 비용, 발 전 비용, 탈황 펌프, 운전 대수, 발열량(인수식), 석탄 소요량, 미분기 입출력 온도, 연소 시작, 종료 온도 및 미연 석탄량 등의 중요 항목을 추가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예측하고자 하는 탄종과 년도, 항차를 선택하여 탄종별 혼합비에 따른 연소 특성 및 경제성을 감안하여 혼탄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각 혼합 비율에 따른 종합 판정을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하여 나표시하여 쉽게 최적의 혼탄 비율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미분기 입구의 입출구 온도와 연소 시작 온도를 추가하여 적정한 미분기 입구 온도를 유지하여 화재 방지 및 발전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화면에서 메뉴 아이콘 중 입하탄 성상 모드를 선택한다(S700). 사용자는 입하하는 석탄의 성상을 분석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탄종명, 입하년도, 항차 및 입하탄 성상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한다(S702). 사용자는 검색하기를 원하는 메뉴 아이콘(운영 비용 또는 혼탄 판정)을 선택하고 혼탄종을 선택한다(S704). 여기서, 혼탄종은 주 탄종(양품질의 탄)과 부 탄종(저 품질의 탄)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각의 주 탄종과 부 탄종의 탄종명과, 입하년도, 항차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자가 혼탄종을 선택하게 되면,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혼탄 프로그램의 석탄 관리 알고리즘에 따라 운영 비용을 평가하는 모니터링 화면 또는 혼탄 판정을 평가하는 모니터링 화면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메뉴 아이콘 중 운영 비용, 혼탄 판정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메뉴 아이콘의 항목 아이콘 즉, 운영 비용에서는 운영 비용 출력, 혼탄 판정에서는 혼탄 판정 출력을 선택하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모니터링 화면(도 5, 도 6)을 출력하게 된다(S706).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석탄을 하역부터 상탄, 연소, 배출 및 부산물 처리할 때까지 과정 등 산출 가능한 모든 항목의 운영 비용을 수치화하여 신규탄 도입 가격과 운영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경제성 평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영 비용 및 발전 비용을 혼탄 판정표와 연계시켜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의 혼탄종과 혼소비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장 경제적인 탄종 및 혼소비율의 선정으로 설비의 안정 운전과 경제성을 고려한 우선 순위에 따라 발전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8)

  1.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연산 장치 및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혼탄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력 발전소에서의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에 있어서,
    (a)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화면에서 메뉴 아이콘 중 입하탄 성상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입하탄 성상을 입력받고, 상기 입하탄 성상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석탄 관리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혼탄종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석탄 관리 모드에서 항목 아이콘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하탄 성상을 근거로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과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을 이용하여 하역 저탄 항목, 상탄 항목, 연소 항목 및 배출 및 부산물 처리 항목으로 분류되는 각 항목의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의 운영 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석탄 관리 모드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건배기 가스의 산출식, 연료 수분의 산출식, 연료 수소의 산출식 및 공기 수분의 산출식이며,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연소 특성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에 산출되는 연소 특성 자료의 추이를 나타낸 계산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 관리 모드는 운영 비용 모드, 혼탄 판정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 저탄 항목은 하역 동력 항목 및 저탄 손실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 동력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탄종별 하역 동력(UP : Unloading Power) × 소내 소비 전력 단가(Standard Power Cost)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탄 손실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TR × HVD) ÷ HV] × CP로 계산하되, TR(Temperature Rise)은 저탄 온도 상승, HVD(Heat Value Drop)는 온도 상승(1 ℃)에 따른 발열량 하락, HV(Heat Value)는 발열량, CP(Coal Price)는 탄단가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탄 항목은 상탄 동력 항목, 급탄기 동력 항목 및 미분기 동력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탄 동력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0.0007(DC × 4) + 70.93으로 계산하되, DC(Demand of Coal)는 1 일 1 개 호기의 탄 사용량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탄기 동력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연료 톤당 소비 동력(DPF : Demand Power of Coal Feeder) × 소내 소비 전력 단가(SPC : Standard Power Cost)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기 동력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PP × SPC × 5대 × 24hr / d) / DC로 계산하되, PP(Pulverizer Power)는 Pulv 소비 동력이며, SPC(Standard Power Cost)는 소내 소비 전력 단가, DC(Demand of Coal)는 1 일 1 개 호기의 탄 사용량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항목은 미연 탄소 항목, 건배기 가스 항목, 연료 수분 항목, 연료 수소 항목, 공기 수분 항목 및 팬(FAN) 동력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 탄소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Cu × 8050)/ HV] × CP로 계산하되, Cu는 연료 1 ㎏ 당의 미연 탄소 발생량이며, HV(Heat Value)는 발열량, CP(Coal Price)는 탄단가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건배기 가스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WDG × cpg × (TGO - TRA)] ÷ HV × CP로 계산하되, WDG(Weight kg of Dry Gas per kg of Fired Fuel)는 건배기 가스량, cpg(Calorie per Dry Flue Gas)는 건배기 가스 비열, TGO(Air Preheater Outlet Gas Temp)는 AH Oultlet 가스 온도(123 ℃, TGO), TRA(Reperence Air Temp)는 대기 중 온도(20 ℃, 설계치), HV(Heat Value)는 발열량, CP(Coal Price)는 탄단가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수분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mf(%) × (He - HRW)] ÷ HV × CP로 계산하되, mf는 연료 중 수분, He(Heat Enthalpy of Vapour at Partial Pressure and Exit Gas Temperature)는 TGO에서의 증기 엔탈피, HRW(Heat Enthalpy of Satrrated Water at TRA)는 TRA에서의 포화 액체의 엔탈피, HV(Heat Value)는 발열량, CP(Coal Price)는 탄단가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수소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8.936 × H(%) / 100 × (He - HRW)] ÷ HV × CP로 계산하되, He는 TGO에서의 증기 엔탈피, HRW는 TRA에서의 포화 액체의 엔탈피, HV는 발열량, CP는 탄단가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수분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0.01 × WDA × (He - HRV)] ÷ HV × CP로 계산하되, WDA(Weight kg of Dry Air per kg of Fired Fuel)는 건공기량이며, HRV(Heat Enthalpy of Saturated Steam(vapour) at TRA)는 TRA에서의 포화 증기 엔탈피, He는 TGO에서의 증기 엔탈피, HV는 발열량, CP는 탄단가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팬(FAN) 동력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1.4812TA + 3854.1) × 24 / DC] × SPC로 계산하되, TA는 Total Air량(t/h)이며, SPC는 소내 소비 전력 단가, DC는 1 일 1 개 호기의 탄 사용량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및 부산물 처리 항목은 회처리 항목 및 탈황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처리 항목은 회처리 세부 항목 및 회판매 세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처리 세부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EC - AC로 계산하되, EC는 회처리 소비 동력비이고, AC는 회(Ash) 판매 대금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 항목은 소비 동력 세부 항목, 석회석 소모 세부 항목, 탈황 용수 세부 항목 및 석고 판매 세부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동력 세부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DSP × 1000) / DC × SPC로 계산하되, DSP(Desulfurization Power)는 탈황 설비 소비 전력이며, DC는 1 일 1 개 호기의 탄 사용량, SPC는 소내 소비 전력 단가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석회석 소모 세부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LN × LP] / DC로 계산하되, LN(Limestone Need)는 1 일 1 개 호기의 석회석 소모량이며, LP(Limestone Price)는 석회석 단가, DC는 1 일 1 개 호기의 석탄 사용량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탈황 용수 세부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DSW × 323.7원 / ton) / DC로 계산하되, DSW(Desulfurization Water)는 1 개 1 호기의 1 일 탈화 용수량이며, DC는 1 일 1 개 호기 탄 사용량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 판매 세부 항목의 상기 운영 비용을 구하는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GP × GSP] / DC로 계산하되, GP(Gypsum Production)는 1 일 1 개 호기의 석고 발생량이며, GSP(Gypsum Sales Price)는 석고 판매 단가, DC는 1 일 1 개 호기 탄 사용량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아이콘은 운영 비용 아이콘, 상세 운영 비용 아이콘, 혼탄 판정 아이콘, 상세 혼탄 판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
  26. 컴퓨터 상에 설치되고, 구동되어,
    (a) 석탄 운영 비용 평가 시스템의 메인 화면에서 메뉴 아이콘 중 입하탄 성상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프로세스;
    (b) 입하탄 성상을 입력받고, 상기 입하탄 성상을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하는 프로세스;
    (c) 상기 메뉴 아이콘 중 석탄 관리 모드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혼탄종이 선택되는 프로세스; 및
    (d) 상기 석탄 관리 모드에서 항목 아이콘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하탄 성상을 근거로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과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을 이용하여 하역 저탄 항목, 상탄 항목, 연소 항목 및 배출 및 부산물 처리 항목으로 분류되는 각 항목의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의 운영 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석탄 관리 모드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출력하는 프로세스
    를 실현시키되, 상기 이론식에 의한 산출식은 건배기 가스의 산출식, 연료 수분의 산출식, 연료 수소의 산출식 및 공기 수분의 산출식이며, 상기 경험에 의한 상관 관계식은 연소 특성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에 산출되는 연소 특성 자료의 추이를 나타낸 계산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 관리 모드는 운영 비용 모드, 혼탄 판정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아이콘은 운영 비용 아이콘, 상세 운영 비용 아이콘, 혼탄 판정 아이콘, 상세 혼탄 판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종과 혼소비에 따른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50008731A 2005-01-31 2005-01-31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0695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31A KR100695222B1 (ko) 2005-01-31 2005-01-31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731A KR100695222B1 (ko) 2005-01-31 2005-01-31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868A KR20060087868A (ko) 2006-08-03
KR100695222B1 true KR100695222B1 (ko) 2007-03-14

Family

ID=3717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731A KR100695222B1 (ko) 2005-01-31 2005-01-31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2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865A (ko) * 2013-12-09 2015-06-17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연료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
US9954458B2 (en) 2016-01-26 2018-04-24 Lsis Co., Ltd. Control device in HVDC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KR102505819B1 (ko) * 2021-09-07 2023-03-06 주식회사 트윔 혼탄 조합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43B1 (ko) * 2009-03-11 2011-03-09 한국수자원공사 맛냄새 제어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101816212B1 (ko) 2016-09-12 2018-01-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물의 특성 요소의 영향도 분석 장치
CN112085329B (zh) * 2020-08-04 2024-03-08 神华国能集团有限公司 多煤种掺烧的综合发电成本估算方法和经济效益评估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702A (ja) * 1998-01-23 1999-08-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力系統の需給計画作成装置
JP2005160171A (ja) * 2003-11-25 2005-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702A (ja) * 1998-01-23 1999-08-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力系統の需給計画作成装置
JP2005160171A (ja) * 2003-11-25 2005-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865A (ko) * 2013-12-09 2015-06-17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연료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65614B1 (ko) * 2013-12-09 2016-10-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연료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
US9954458B2 (en) 2016-01-26 2018-04-24 Lsis Co., Ltd. Control device in HVDC system and operating method of thereof
KR102505819B1 (ko) * 2021-09-07 2023-03-06 주식회사 트윔 혼탄 조합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868A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shmukh et al. Thermal gasification or direct combustion? Comparison of advanced cogeneration systems in the sugarcane industry
KR100695222B1 (ko) 석탄 운영 비용 평가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Li et al. Evaluation of a biomass drying process using waste heat from process industries: A case study
Lee et al.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an integrated biomass gasification and power generation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applications
Wang et al. Life-cycle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 impacts of different corn ethanol plant types
Chau et al. Economic sensitivity of wood biomass utilization for greenhouse heating application
Kaliyan et al. Reducing life cycle greenhouse gas emissions of corn ethanol by integrating biomass to produce heat and power at ethanol plants
Wei et al. Emissions of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from uncompressed and pelletized biomass fuel burning in typical household stoves in China
Aviso et al. Fuzzy optimization of carbon management networks based on direct and indirect biomass co-firing
McGowan et al. Biomass and alternate fuel systems: an engineering and economic guide
Fogarasi et al. Assessment of coal and sawdust co-firing power generation under oxy-combustion conditions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ompton et al. Enviro-exergy sustainability analysis of boiler evolution in district energy system
CN103208035A (zh) 机组节能调度优化方法
Kwiatkowski et al. Bioenergy from feathers gasification–Efficiency and performance analysis
Bogoslavska et al. Comparative efficiency assessment of using biofuels in heat supply systems by levelized cost of heat into account environmental taxes
Hus et al. Cofiring multiple opportunity fuels with coal at Bailly Generating Station
Neto et al. Calcium looping post-combustion CO2 capture in sugarcane bagasse fuelled power plants
Keivani et al. RETRACTED: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coal and torrefied biomass co-combustion: A case study of oxy-combustion carbon capture power plants in Turkey
Wetterlund et al. Implications of system expansion for the assessment of well‐to‐wheel CO2 emissions from biomass‐based transportation
Bogoslavska et al. The impact of fuel delivery logistics on the cost of thermal energy on the example of biofuels boilers in Ukraine
Zitouni-Petrogianni et al. Modeling, optimization and cost analysis of municipal solid waste treatment with plasma gasification
Stein-Brzozowska et al. The Current Trends in Conventional Power Plant Technology on Two Contin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Contractor and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Hughes Utility coal-biomass cofiring tests
Junga et al. The assessment of the fuel additive impact on moving grate boiler efficiency
Janghathaikul et al. Bagasse-A sustainable energy resource from sugar m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