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792B1 -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792B1
KR100693792B1 KR1020040110965A KR20040110965A KR100693792B1 KR 100693792 B1 KR100693792 B1 KR 100693792B1 KR 1020040110965 A KR1020040110965 A KR 1020040110965A KR 20040110965 A KR20040110965 A KR 20040110965A KR 100693792 B1 KR100693792 B1 KR 10069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m
folder
degree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365A (ko
Inventor
정길석
전병기
서보현
노치열
Original Assignee
정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석 filed Critical 정길석
Priority to KR102004011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7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폴더를 좌우 양방향으로 반자동 방식의 180도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휴대폰 폴더의 회전 각도의 변화에 따라 휴대폰 폴드가 상방으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는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은, 휴대폰 폴더와 휴대폰 본체사이에 측방향으로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스윙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피봇축의 중심에 일치되어 좌우 180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스토퍼에 걸리는 각도 제한 돌기를 갖는 회전 캠이 구비된다. 상기 스윙 힌지 모듈은, 상기 피봇축의 중심에 일치되어 상기 회전 캠에 연결되며, 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안내되는 안내홈을 갖는 베렐캠(barrel cam)과, 상기 베렐캠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 돌기를 갖는 플런저(plunger)를 더 구비하되, 상기 휴대폰 폴더의 양방향 회전시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베렐캠의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어 휴대폰 폴더가 소정의 기울기를 갖게 된다.
스윙 힌지, 회전 캠, 베렐 캠, 고정핀, 슬라이딩 캠, 스토퍼

Description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Two Direction Swing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이 휴대폰에 장착되어 작동 상태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10; 회전캠 11; 회전각도 제한 돌기
12, 13; 캠 돌기
20; 베렐 캠(barrel cam) 21; 안내홈
23; 고정핀 30; 플런저(plunger)
31; 스토퍼(stoper) 32; 안내 돌기
33; 스토퍼 슬라이딩부 40; 슬라이딩 캠
41, 42; 캠 면 50; 스프링
60; 내부 하우징 70; 외부 하우징
80; 피봇축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폰 폴더와 휴대폰 본체사이에 스윙 힌지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휴대폰 폴더를 좌우 양방향으로 반자동 방식의 180도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폴더의 회전 각도의 변화에 따라 휴대폰 폴드가 상방으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는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이동 통신 단말기, PCS 폰, PDA 등과 같은 휴대폰은 개폐 방식에 따라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스윙형(turnable type),로터리형(rotary type), 스위블형(swivel type), 스위버블형(swiveable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피봇형(pivot type)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휴대폰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유행에 민감하고 독특한 취향으로 어필할 수 있는 소비자층의 계속적인 고품질 제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대형화되고 있는 LCD 또는 양면 LCD 등을 장착하여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폴더의 길이가 길어지는 등과 같이 대형 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 중에 폴더형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와 그 상단부에 힌지로 고정되는 휴대폰 폴더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 본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과 마이크 등이 구비되며, 상기 휴대폰 폴더에는 엘시디창 및 스피커(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폴더형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에 힌지 결합된 휴대폰 폴더를 후방으로 회전시켜야만 엘시디창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불편함으로 해소하고자 스윙형의 폴더 휴대폰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스윙형의 휴대폰에 장착된 탄성 힌지는 피봇축을 기준으로 본체 또는 커버 중 어느 하나와 같은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을 회전시키되, 이때 피봇축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피봇축에서 상호 마주보는 경사면을 압착시킴에 따라 축방향의 탄성력이 회전력으로 변환되는 수동식 소형 지지구조의 힌지이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 개폐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는 2000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14945호인 '회전 개방식 휴대폰'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제 214945 호의 힌지 결합 구조에서는 소정 설치홈에 고정되는 캠축이 삽입고정 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형상의 몸체를 갖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지지부가 휴대폰의 본체의 결합홈에 나사결합된 후, 상기 캠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 또는 덮개 중 어느 하나가 일측 방향으로 수평회전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 개방식 휴대폰의 힌지 결합 구조는 캠축의 상사점 및 하사점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볼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간섭효과를 이용한 것 으로서, 본체의 개방시 덮개와 본체의 회전각도가 180°위치에 존재하게 되나, 단방향으로의 정/역회전만이 가능하며, 회전방향에 직접적으로 대항하는 정지턱 내지 정지력(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덮개가 좌우측면방향으로 흔들리고, 안정감 있게 일자형으로 유지시키기 힘들며, 또한 스프링의 인장 압축 방향이 결국 볼을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 방향으로 작용함과 동시의 그러한 스프링의 스트로크 거리가 짧기 때문에, 0°∼ 180°사이에서 반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을 만큼의 절도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지 못함은 물론 부드러운 회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스윙형 휴대폰은 단순 슬라이딩만 하여 최종적으로 폴더가 개방되었을 때는 휴대폰 폴더가 본체와 거의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어, 마이크와 스피커가 상당히 먼 위치에 있게 되어 휴대폰의 통화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폴더와 휴대폰 본체사이에 스윙 힌지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휴대폰 폴더를 좌우 양방향으로 반자동 방식의 180도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폴더의 회전 각도의 변화에 따라 휴대폰 폴드가 상방으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는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방향의 반자동 스윙을 하기 위한 회전 캠의 캠 돌기 및 슬라이딩 캠의 캠면이 두 개씩 형성되어 있음으로, 휴대폰 폴더의 회전시에 언벨런스(unbalance)에 의한 좌우 흔들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캠돌기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은, 휴대폰 폴더와 휴대폰 본체사이에 측방향으로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스윙 힌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피봇축의 중심에 일치되어 좌우 180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각도 제한 돌기를 갖는 회전 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윙 힌지 모듈은, 상기 피봇축의 중심에 일치되어 상기 회전 캠에 연결되며, 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안내되는 안내홈을 갖는 베렐캠(barrel cam)과, 상기 베렐캠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 돌기를 갖는 플런저(plunger)를 더 구비하되, 상기 휴대폰 폴더의 양방향 회전시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베렐캠의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어 휴대폰 폴더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플런저의 소정 위치에는 스토퍼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장공(長空)형의 스토퍼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폴더가 대략 180 도의 각도로 좌우 방향 회전된 경우 상기 회전각도 제한 돌기가 스토퍼에 걸려서 각도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회전 캠의 하부에는 소정 거리를 두고 두 개의 캠 돌기가 형성 되며, 그 하부에는 내부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두 개의 캠 돌기에 대응되는 두 개의 캠면을 갖는 슬라이딩 캠이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 폴더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경우에 상기 두 개의 캠 돌기와 상기 두 개의 캠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탄성 수단의 힘에 의해 반자동식으로 180도까지 오픈되어진다.
또한, 상기 휴대폰 폴더의 상방향 기울기는 상기 휴대폰 폴더가 소정의 회전 각도까지는 0도의 기울기를 가지며, 그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소정 각도부터 180도까지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반자동 회전이 발생하는 상기 휴대폰 폴더의 회전 각도는 30도 전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폰 폴더의 반자동의 회전 및 회전 각도의 변화에 따른 기울기의 발생은 상기 휴대폰 폴더의 닫힘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반자동'이란 회동 분기점을 의미하는 소정 기준각(대략 30 도의 각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기준각 이하로 폴더를 회전시킬 경우 탄성 수단의 탄성력 작용방향에 따라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반대로 기준각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 탄성 수단의 탄성력 작용 방향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 위치까지 탄 성 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반자동을 일으키는 탄성 수단은 가요성 있는 텐션바(tension bar) 또는 토션바(torsion bar)와 같이 코일형, 바형, 판형, 핀형, 유체형, 반유체형, 자기가변 유체형, 고무형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의 결합 상태도이고,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이 휴대폰에 장착되어 작동 상태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은 스윙 폴더 타입의 컬러폰, PDA, 이동 통신 단말기, 핸드폰, PCS 폰 등에서 스윙식 또는 회전식의 개폐를 담당하는 힌지 부품으로 상기와 같은 모든 기기를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을 통일하여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1)는, 휴대폰 폴더(101)가 좌우 180도의 각도로 양방향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캠(10)과, 상기 양방향의 회전시 휴대폰 폴더(101)의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는 베렐캠(barrel cam)(20)과 플런저(plunger)(30)와, 대략 180 정도의 양방향 각도를 조절을 위한 플런저(30)의 스토퍼 슬라이딩부(33)에 슬라이딩되는 스토퍼(31)와, 반자동의 스윙 힌지를 제공하는 슬라이딩 캠(40) 및 스프링(5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1)는 내부 하우징(60) 및 외부 하우징(70)내에 부착되어 휴대폰 본체(100)와 휴대폰 폴더(101)의 소정 케이싱 내에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소정의 고정 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진다. 이러한 장착 구조는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 캠(10)은 중공상의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의 홀(14)은 피봇축(80)과 축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한 피봇축(30)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피봇축(30)은 그 최하단은 와셔(washer)(90) 및 볼트나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미도시)에 의해 외부 하우징(70)에 결합하고, 상부에는 관통된 고정홀(8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회전 캠(10)의 홀(14)과 후술하는 베렐 캠(20)의 고정홀(22)을 서로 고정핀(23)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지면서 좌우향방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 캠(10)에 의해 휴대폰 폴더(101)가 닫혀진 상태에서 피봇축(80)을 중심으로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회전 캠(10)은 측면에 소정 크기의 회전각도 제한 돌기(11)가 형성되어 휴대폰 폴더(101)가 좌우 방향으로 180도 회전된 경우에 후술하는 스토퍼(31)에 걸려 상기한 휴대폰 폴더(101)가 180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23)에 회전 캠(10) 및 피봇축(80)에 연결된 원통형의 베렐 캠(barrel cam)(20)이 회전 캠(10) 상측에 형성되어 진다. 또한, 베렐 캠(20)의 대략 중앙부에는 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로 안내되는 안내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21)은 후술하는 플런저(plunger)(30)의 상측에 형성된 안 내 돌기(32)가 휴대폰 폴더(101)의 회전시에 안내되도록 하여 휴대폰 폴더(101)가 윗쪽으로 기울어져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폰 폴더(101)를 윗쪽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것은 완전히 휴대폰 폴더(101)와 휴대폰 본체(100)가 180도로 회전된 경우, 통상의 폴더형 휴대폰처럼 기울어진 각을 가짐으로 마이크와 스피커의 위치가 가까워져 사용이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회전에 따른 기울기의 각도는 0∼10도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그 각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회전 캠(10)의 회전각도 제한 돌기(11)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대략 판상의 플런저(30)가 위치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30)의 상측에는 안내 돌기(32)가 형성되어 휴대폰 폴더(101)의 회전시에는 베렐 캠(20)의 안내홈(21)을 따라 안내되어 회전이 클수록 휴대폰 폴더(101)가 윗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플런저(30)의 소정 위치에는 스토퍼(3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장공(長空)형의 스토퍼 슬라이딩부(33)가 형성되어, 대략 180 도의 각도로 좌우 방향 회전된 경우 회전 캠(10)의 회전각도 제한 돌기(11)가 슬라이딩된 스토퍼(31)에 걸려서 180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회전 캠(12)의 하부에는 두 개의 캠 돌기(12)(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캠(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6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운동을 하고 상기한 두 개의 캠 돌기(12)(13)가 움직일 수 있도록 두 개의 캠면(41)(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폰 폴더의 회전시에는 회전 캠(10)이 회전 운동을 하고, 이때 회전 캠(10)의 두 개의 캠 돌기(12)(13)와 슬라이딩 캠(40)의 두 개의 캠면(41)(42)이 만나는 지점( 휴대폰 폴더(101)가 좌우 방향으로 대략 30도 정도 회전한 지점)에서 탄성을 갖는 스프링(50)의 힘에 의해 반자동식으로 180도까지 오픈되어지게 된다. 아울러, 닫힘시에도 동일한 동작에 의해 반자동식으로 닫히게 된다.
또한, 양방향의 반자동 스윙을 하기 위한 회전 캠의 캠 돌기 및 슬라이딩 캠의 캠면이 두 개씩 형성되어 있음으로, 종래와 같이 하나의 캠돌기만 형성된 것과 비교하여 회전시에 언벨런스(unbalance)에 의한 좌우 흔들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캠돌기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이로 인해 마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1)의 작동에 의한 휴대폰 폴더의 개폐작동 관계를 설명하기로 하며,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고하기로 한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동일하게 시계 방향으로도 180도 회전됨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스윙 힌지(1)는 휴대폰 본체(100)와 휴대폰 폴더(101)의 소정 케이싱 내의 장착면(도면 번호 미부여)에 고정 볼트, 리벳, 플라스틱 고온 열압착 등의 고정 방식에 의해 장착되어 진다. 또한, 통상 상기한 휴대폰 본체(100)에는 다수의 키버튼과 마이크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폰 폴더(101)는 엘시디창 및 스피커(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회전식 폴더(101)가 대략 30도 정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베렐 캠(20)의 안내홈(21)은 아직까지 거의 수평상태에 있음으로 휴대폰 폴더(101)의 기울기 변화는 없게 된다. 한편, 회전 캠(10)의 두 개의 캠 돌기(12)(13)와 슬라이딩 캠(40)의 두 개의 캠면(41)(42)은 회전 휴대폰 폴더(101)가 대략 30도 회전한 지점에서 만나게 되어 탄성을 갖는 스프링(50)의 힘에 의해 반자동식으로 180도까지 오픈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폴더(101)의 회전 각도가 30도에서 반자동이 됨이 바람직하나 30도 이하나 그 이상도 가능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도 정도 반시계 방향으로 반자동식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베렐 캠(20)의 안내홈(21)이 경사진 상태에 있음으로 플런저(plunger)(30)의 안내 돌기(32)와 상기한 안내홈(21)의 접촉에 의해 베렐 캠(20)이 기울여져 이에 연결 장착된 휴대폰 폴더(101)가 상부로 약간 기울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 폴더(101)의 회전이 50∼60 도 바람직하게는 대략 60도까지는 휴대폰 폴더의 기울기 변화는 없으나, 대략 60도 ∼ 150 도의 범위에서는 그 기울기 각도가 0도 ∼ 10 도정도로 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후의 180도의 회전까지는 10도의 기울기를 계속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폴더의 회전각이 60도 일 때까지 기울기 변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폴더의 회전과 동시에 기울기 변화를 발생되는 구조로도 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최대 각도도 10도로 함이 바람직하나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으며, 그 기울기 값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최종적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회전 캠(10)의 회전각도 제한 돌기(11)가 스토퍼(31)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휴대폰 폴더(101)가 180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 다. 물론, 휴대폰 폴더(101)의 대략 위쪽으로 10도 정도의 기울기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기울어진 각도로 인해 마이크와 스피커의 위치가 가까워져 사용이 편리해지게 된다. 또한, 휴대폰의 사용후의 닫힘시에도 그 역 방향으로 회전되어 동일하게 적용되며, 회전식의 회전 폴더(101)가 대략 30도 정도가 되면, 반자동식으로 닫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시킬 수 있음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에 의하면, 휴대폰 폴더와 휴대폰 본체사이에 스윙 힌지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휴대폰 폴더를 좌우 양방향으로 반자동 방식의 180도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휴대폰 폴더의 회전 각도의 변화에 따라 휴대폰 폴드가 상방으로 기울기를 가짐으로써 휴대폰의 통화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방향의 반자동 스윙을 하기 위한 회전 캠의 캠 돌기 및 슬라이딩 캠의 캠면이 두 개씩 형성되어 있음으로, 휴대폰 폴더의 회전시에 언벨런스(unbalance)에 의한 좌우 흔들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캠돌기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휴대폰 폴더와 휴대폰 본체사이에 측방향으로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도록 장착되는 스윙 힌지 모듈에 있어서,
    측면에 상기 휴대폰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피봇축의 중심에 일치되어 좌우 180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회전 각도 제한 돌기를 가지며 그 하부에는 소정 거리를 두고 두 개의 캠 돌기를 갖는 원통형의 회전 캠과;
    상기 피봇축의 중심에 일치되어 상기 회전 캠 상측에 연결되며 측면을 따라 소정 각도로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베렐캠과;
    상기 회전 캠의 회전 각도 제한 돌기가 형성된 반대쪽에 위치하며, 그 상부 내측에는 상기 베렐캠의 안내홈을 따라 상기 휴대폰 폴더가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안내되는 안내 돌기가 형성되며, 소정 위치에는 스토퍼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장공(長空)형의 스토퍼 슬라이딩부가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폴더가 대략 180 도의 각도로 좌우 방향 회전된 경우 상기 회전 각도 제한 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걸려서 각도가 제한되도록 하는 판상의 플런저와;
    하부에는 내부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직선운동을 하며 상기 회전캠의 두 개의 캠 돌기에 대응되는 두 개의 캠면을 갖는 슬라이딩 캠이 구비되어;
    상기 휴대폰 폴더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경우에 상기 두 개의 캠 돌기와 상기 두 개의 캠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탄성 수단의 힘에 의해 반자동식으로 180도까지 오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폴더의 상방향 기울기는 상기 휴대폰 폴더가 소정의 회전 각도까지는 0도의 기울기를 가지며, 그 이후에는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소정 각도부터 180도까지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자동 회전이 발생하는 상기 휴대폰 폴더의 회전 각도는 30도 전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폴더의 반자동의 회전 및 회전 각도의 변화에 따른 기울기의 발생은 상기 휴대폰 폴더의 닫힘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KR1020040110965A 2004-12-23 2004-12-23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KR100693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65A KR100693792B1 (ko) 2004-12-23 2004-12-23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965A KR100693792B1 (ko) 2004-12-23 2004-12-23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65A KR20060072365A (ko) 2006-06-28
KR100693792B1 true KR100693792B1 (ko) 2007-03-12

Family

ID=3716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965A KR100693792B1 (ko) 2004-12-23 2004-12-23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94B1 (ko) 2007-12-24 2010-05-27 (주)제이엠씨 폴딩과 스위블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33B1 (ko) * 2006-01-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13431B1 (ko) * 2006-01-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80009789A (ko) * 2006-07-25 2008-01-30 아이티이코리아 주식회사 더블캠 구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커버 개폐용 힌지모듈및 휴대단말기
KR100796945B1 (ko) * 2007-03-12 2008-01-22 (주)제이엠씨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KR101400284B1 (ko) * 2007-04-16 2014-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딩형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101884171A (zh) 2007-10-18 2010-11-10 英资莱尔德无线通信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打开和关闭便携式终端的滑动机构
CN102202112B (zh) * 2010-12-06 2013-10-09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双向180°旋转的手机模组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811A (ko) * 2003-04-12 2004-10-20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811A (ko) * 2003-04-12 2004-10-20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94B1 (ko) 2007-12-24 2010-05-27 (주)제이엠씨 폴딩과 스위블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365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27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EP1528757B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20080051162A1 (en) Mobile phone having dual connection member and hinge device thereof
US7866000B2 (en) Swing hinge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EP1926290B1 (en) Swing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693792B1 (ko) 휴대폰용 스윙 힌지 모듈
US20060079303A1 (en)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KR20050002460A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27607B1 (ko) 휴대폰용 양방향 스윙 힌지 모듈
KR20060072019A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US20070261202A1 (en)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20060092778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685654B1 (ko) 반자동 로터리 힌지 모듈
KR100706129B1 (ko)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KR20060054605A (ko)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KR20040006977A (ko) 힌지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499885B1 (ko) 액정화면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8745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810277B1 (ko) 듀얼 연결부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KR200396211Y1 (ko)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64959Y1 (ko) 반자동 로터리 힌지 모듈
KR200389766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200374468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동개폐장치
KR100847536B1 (ko) 투웨이 폴딩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