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661B1 -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661B1
KR100693661B1 KR1020050092551A KR20050092551A KR100693661B1 KR 100693661 B1 KR100693661 B1 KR 100693661B1 KR 1020050092551 A KR1020050092551 A KR 1020050092551A KR 20050092551 A KR20050092551 A KR 20050092551A KR 100693661 B1 KR100693661 B1 KR 10069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portable terminal
sharpness value
camer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LCD 모듈뿐 아니라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에도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게 초기 설정된 선명도값으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가공한 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임의의 선명도값을 다시 설정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명도,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

Description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METHOD FOR DISPLAYING SHARPNESS IN POTABLETERMINAL HAVING CAMER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간략화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RF 부 200: 키 입력부
300: 카메라부 400: 제어부
500: 데이터 처리부 600: 영상 처리부
700: 오디오 처리부 800: 메모리부
900: 디스플레이 모듈부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모듈과 관계없이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및 단말기 제작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복합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 형태로 발전하는 추세이다.
휴대폰을 예로 들면,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며 일명 카메라폰이나 캠코더폰으로 불리 우는 단말기 제품들이 출시되어 기존의 촬영 기능을 갖추지 못한 단말기 제품들을 대체해가고 있는 상황이며, 또한 화상통화가 가능한 단말기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 속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휴대용 단말기에서뿐만 아니라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PC)을 통해서도 볼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최상의 화질을 요구하고 있다.
즉, 휴대폰에서의 카메라 화질이라 함은 크게 LCD에서 보여지는 화질과 JPEG 엔코딩 후 PC로 전송하여 PC 상에서 보여지는 화질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LCD에서 보여지는 화질과 PC에서 보여지는 화질 모두를 동시에 만족해야만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켰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두 포인트(LDC에서 보여지는 화질과 PC로 전송하여 보여지는 화질)는 서로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조정이 필요한데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선명도(Sharpness) 조정은 처음 카메라의 진입 시에 설 정하고 그 설정 값을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만들고, 이 만들어진 영상 데이터를 LCD와 JPEG 모듈에 전송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선명도(Sharpness) 값을 설정하였을 경우 LCD에서 보여지는 화질은 선명하나 이 데이터로 JPEG 엔코딩을 하여 PC로 출력하였을 경우에는 영상에 노이즈(noise)가 많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또한 낮은 선명도 값을 설정하였을 경우 PC로 출력한 영상에는 노이즈가 나타나지 않으나, LCD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기존에는 LCD의 화질과 PC의 화질을 최상으로 만족시키지 않고 적절한 중간값을 적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계없이 최상의 화질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게 초기 설정된 선명도값으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가공한 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임의의 선명도값을 다시 설정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의의 선명도값은 상기 초기 설정된 선명도값보다 높거나 낮은값이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제 1, 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진입시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제 1 선명도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선명도값을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거나,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제 2 선명도값을 설정하여 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엔코딩 된 영상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며, 이 디스플레이 모듈은 LCD 모듈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지 않은 인터페이스 모듈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며, PC 이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이 LCD 이고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이 PC이면 제 1 선명도값은 높고 제 2 선명도값은 낮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간략화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는 크게 RF 처리부(100), 키 입력부(200), 카메라부(300), 제어부(400), 데이터 처리부(500), 영상 처리부(600), 오디오 처리부(700), 메모리부(800), 디스플레이 모듈부(900)로 구성된다.
상기 RF부(100)는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하며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도시하지 않음)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50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50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70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500)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 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5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키 입력부(30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80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30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검출센서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가지며,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화상검출센서 및 조도 센서 그리고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화상 검출센서와 조도센서에 의해 화상에 대해 검출결과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와 조도 검출결과를 상기 제어부(400)로 입력하며, 상기 조도의 검출결과에 따라 영상 처리부(600)의 제어로 프레임 수 변경 또는 증폭이득 상승 또는 증폭 이득 오프 값이 상승 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영상 처리부(600)는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상기 카메라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가공하여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90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600)는 상기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이하, 'DCT'라고 칭함)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DCT 계수를 이용하여 선명도를 계산하는데, 상기 DCT는 직교 변환 부호화 방식의 하나로서, 시간 영역의 화상 신호를 고주파 성분과 저주파 성분으로 분해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신호의 전력은 저주파수 영역에서 집중되기 때문에 적절한 비트 배분으로 양자화하면 전체의 비트 수를 적게 하여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명도는 화상의 명암 경계 부분의 명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화상의 주파수 스펙트럼 등과 상관관계가 크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모듈(90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600)을 이용하여 선명도값이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900) 뿐만 아니라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로도 볼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모듈(900)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LCD 모듈(제 1 모듈)과 USB로 연결된 PC 모듈(제 2 모듈)로 가정한다면, 사용자는 먼저 상기 LCD 모듈에 맞는 선명도값을 설정하여 촬영된 영상을 가공하여 상기 LCD 모듈에 디스플레이하고,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듈이 PC일 경우에는 PC에 맞는 선명도값을 다시 설정하며, 이 설정된 선명도값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엔코딩하여 상기 PC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900)이 LCD 인 경우에는 높은 선명도 값으로 설정되며, PC인 경우에는 낮은 선명도 값으로 설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촬영되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또는 휴 대용 단말기를 USB 모듈 등을 이용하여 또 다른 표시 모듈과 연결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볼 수 있다는데 착안하여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키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카메라 동작 모드로 진입시킨다(S100).
그런 다음,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는 제 1 선명도값을 설정한다(S110).
여기서, 상기 선명도값 설정은 I2C(Intelligent Interface Controller)를 이용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로 LCD를 이용한다.
상기 LCD에서 보여지는 화질은 높은 선명도 값을 설정하여야만 영상의 화질이 최상으로 선명하다. 따라서 제 1 선명도 값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이 LCD 인 경우 높은 선명도 값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는 제 1 선명도 값이 설정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고 가공한다(S120).
그런 다음, 상기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모듈이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인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판단 결과(S130), 디스플레이될 모듈이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이면, 상기 영상을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한다(S140)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30), 디스플레이될 모듈이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이 아닌 다른 모듈이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이 아닌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는 제 2 선명도 값을 설정한다(S15).
여기서, 상기 제 2 선명도 값 설정 또한 I2C(Intelligent Interface Controller)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선명도 값은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이 PC인 경우 상기 제 1 선명도 값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왜냐하면, 상기 PC인 디스플레이 모듈은 낮은 선명도 값을 설정하였을 경우 최상으로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상기 제 2 선명도 값이 설정되면, 이 설정 값으로 촬영된 영상을 엔코딩한다(S160).
그런 다음, 상기 엔코딩 된 영상을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한다(S17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에서의 화질을 적절한 중간값을 적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계없이 모두를 충족하도록 선명도값을 디스플레이에 모듈에 맞게 설정함으로서 화질이 보다 향상된 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맞게 초기 설정된 선명도값으로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가공한 후,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임의의 선명도값을 다시 설정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엔코딩한 후 표시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선명도값은 상기 초기 설정된 선명도값보다 높거나 낮은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3. 삭제
  4. 제 1, 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진입시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제 1 선명도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선명도값을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거나,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적합한 제 2 선명도값을 설정하여 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엔코딩 된 영상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LCD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지 않은 인터페이스 모듈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P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듈이 LCD 이고 제 2 디스플레이 모듈이 PC이면 제 1 선명도값은 높고 제 2 선명도값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KR1020050092551A 2005-09-30 2005-09-30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KR10069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551A KR100693661B1 (ko) 2005-09-30 2005-09-30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551A KR100693661B1 (ko) 2005-09-30 2005-09-30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661B1 true KR100693661B1 (ko) 2007-03-14

Family

ID=38103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551A KR100693661B1 (ko) 2005-09-30 2005-09-30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6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665A (ko) * 2004-09-03 200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의 화면 선명도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60073330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줌에 따라 촬영 화소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고화소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665A (ko) * 2004-09-03 200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의 화면 선명도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60073330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디지털 줌에 따라 촬영 화소 크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고화소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21665
1020060073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290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US20060126954A1 (en) Image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varying quantization parameter according to image complexity
KR100770835B1 (ko) 영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0203B1 (ko) 휴대단말기의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US2019030646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videoconference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735289B1 (ko) 휴대단말기의 통화수행 방법
KR20080106668A (ko)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US86989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dule in a mobile terminal to reduce power consumption
US7606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umbnail image data on a mobile terminal
KR10070335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전송방법
KR100678214B1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프리젠테이션 수행 방법
US20060139444A1 (en) System of using digital frames in an idle web video conferencing device
KR100693661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질 설정 방법
US7705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wireless terminal
US20080291262A1 (en) Visual communication method and appratus
KR100678208B1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저장 및 표시방법
KR100459422B1 (ko) 카메라 결합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질 보정 방법
KR100557096B1 (ko) 양방향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표시방법
KR100769672B1 (ko) 화상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520666B1 (ko) 카메라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의 선명도를표시하는 방법
KR101276874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29454A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44426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제어방법
KR10080083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카메라를 개인용 컴퓨터의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100593298B1 (ko) 고화소 영상을 프리뷰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