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426B1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426B1
KR100693426B1 KR1020050067468A KR20050067468A KR100693426B1 KR 100693426 B1 KR100693426 B1 KR 100693426B1 KR 1020050067468 A KR1020050067468 A KR 1020050067468A KR 20050067468 A KR20050067468 A KR 20050067468A KR 100693426 B1 KR100693426 B1 KR 10069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icrophon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3103A (en
Inventor
조아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426B1/en
Publication of KR2007001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1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향성이 다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지향성이 다른 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하여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적절한 마이크로폰을 사용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높은 음질의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icrophone having different directivity,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microphones having different directivity, a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need, a suitable microphone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Sound can be obtained.

마이크로폰, 지향성, 단말기 Microphone, directional, handset

Description

지향성이 서로 다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지향성이 서로 다른 마이크로폰의 수음감도 특성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2a to 2c show the sound absorption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microphone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respectively.

본 발명은 특성이 다른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황과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마이크로폰을 달리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높은 음질의 음향을 획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icrophone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btaining a high quality sound more efficiently by varying a microphone to be us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needs.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상 통화수단에 구비되는 음성 출력수단으로서의 스피커와, 음성 입력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a speaker as a voice output means and a microphone as a voice input means, which are usually provided in the call means to perform a call function.

2000년대 이후 인터넷 및 이동통신 기술과 제반 인프라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관련 서비스의 다양성 및 확장성이 커졌으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가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으로 다양하게 진화하고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높아지면서, 근래에 와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종래의 일반 유무선전화기와 같은 기능인 통화기능 외에도 카메라, 캠코더, 오디오 등의 기능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장치로 발전하였다. Since the 2000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the variety and expandability of mobile communication-related services have increased. In particula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evolved into mobile phones, PDAs, smartphones, etc. Increasing consumer expectatio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recently developed into a multimedia service device having a function such as a camera, a camcorder, audio, etc. in addition to a call function, which is the same function as a conventional general wired or wireless telephon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새로운 다양한 기능 가운데, 음성녹음기능, 동영상 촬영/편집 기능 등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의 음성신호를 입력신호로 감지하며,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음성신호의 입력을 위해서 종래에 구비되어 있는 음성 입력수단인 마이크로폰이 사용된다. Among various new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erforming a voice recording function, a video recording / editing func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n external voice signal as an input signal. For input, a microphone, which is a voice input means conventionally provided, is used.

그런데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일반 통화를 위한 마이크로폰 하나만이 구비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위한 마이크로폰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상기 일반 통화를 위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모든 음성신호가 입력된다. However,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only one microphone for a general call and a microphone for a multimedia function is not provided separately, so that all voice signals are input using the microphone for the general call.

상기 일반 통화를 위한 마이크로폰은 통상 수음 환경과 상관없이 모든 방향으로부터 전파되는 소리에 동일한 이득을 적용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이다. The microphone for a general call is an omnidirectional microphone which receives a voice signal by applying the same gain to the sound propagated from all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sound receiving environment.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행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에 따라, 단말기로부터 특정한 거리 이내의 음성신호를 주로 입력받거나, 단말기로부터 특정한 방향으로부터 전파되는 음성신호를 주로 입력받는 경우 등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일정한 조건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이 사용되어, 상기 요구되는 조건과 상관없이 평상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 According to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required for an input voice signal such as a voice signal within a certain distance or a voice signal propagating from a specific direction. It may become. Even in this case,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is used to receive a voice signal in the same manner as usual regardless of the required condition.

상기와 같이 음성신호의 입력에 있어서, 음성신호의 입력조건 및 입력 상황에 따라 입력방식을 달리하지 않는 경우, 수행하고자 하는 기능에 사용되지 않는 음성신호도 잡음으로 함께 입력받게 되어, 보다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기능의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In the input of the voice signal as described above, if the input method i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input condition and the input condition of the voice signal, the voice signal which is not used for the function to be performed is also received with noise, thereby providing a higher quality multimedia. There is a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func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과 필요에 따라 지향성의 특성이 다른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a microphone having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need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마이크로폰; 상기 제 1 마이크로폰과 지향성 특성이 다른 제 2 마이크로폰;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icrophone; A second microphone having a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 from the first microphon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또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작동하도록 제어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one microphone selec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or the second microphone.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폰과 지향성 특성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different in directivity from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폰은 각각 무지향성 마이크로폰, 단일지향성 마이크로폰, 초지향성 마이크로폰, 및 양지향성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omnidirectional microphone, a unidirectional microphone, a superdirectional microphone, and a bidirectional microphone,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또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폰 중에서 하나 이상은 수음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first microphone or the second microphone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the following drawings,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통상적인 단말기의 구조에서 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둘 이상의 마 이크로폰은 서로 지향성 특성이 다른 것으로, 무지향성 마이크로폰, 단일지향성 마이크로폰, 초지향성 마이크로폰, 및 양지향성 마이크로폰 가운데 선택되는 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two or more microphones in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erminal having a microphone, wherein the two or more microphones are different in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rom each other, omnidirectional microphone, unidirectional microphone, It is preferably at least two selected from a superdirectional microphone and a bidirectional microphone.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향성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마이크로폰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처럼 단말기의 외부본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101). 또한, 특정한 방향의 지향성이 뛰어난 마이크로폰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의 수음부가 단말기의 외부본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102). In the embodiment of FIG. 1, two or more microphone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may be embedded inside the outer body of the terminal like a microphon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phone having excellent directivity in a specific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for the receiver of the microphone to protrude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102).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지향성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마이크로폰은 하나가 선택되어 수음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둘 이상의 마이크로폰 가운데 하나가 선택되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microphone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provided in the terminal are selected to perform a masturbation oper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ne of the two or more microphones by a control module provided therein. It is preferred to be selected and operated.

상기 실시예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체적으로 막대기형으로 표현되었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상기 단말기의 전체적인 형태가 플립형, 폴더형 등인 경우로도 응용할 수 있음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above embodiment is generally expressed in a bar shap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overall form of the terminal can be applied to a flip type, a folding type, or the like.

도 2a 내지 도 2c는 지향성이 서로 다른 마이크로폰의 수음감도 특성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2a to 2c show the sound absorption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microphones having different directivities, respectively.

도 2a는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수음감도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무지 향성 마이크로폰은 모든 방향에서 나오는 소리를 균일한 감도로 수음하는 특성이 있다. Figure 2a shows the sound sensitivity of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sound coming from all directions with a uniform sensitivity.

도 2b는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수음감도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은 특정하게 좁은 각도를 이루는 영역으로부터의 소리를 주로 수음하는 특성이 있다. Figure 2b shows the sensitivity of the sound absorption of the super-directional microphone, the super-directional microphone has a characteristic that mainly receives sound from a region of a particular narrow angle.

도 2c는 양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수음감도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양지향성 마이크로폰은 지향 축과 그 반대 축의 양 방향에 대해서는 수음감도가 높고 지향 축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수음감도가 매우 낮은 특성이 있다. FIG. 2C illustrates the sound absorption sensitivity of the bidirectional microphone. The bidirectional microphone has a high sound absorption sensitivity in both directions of the directional axis and the opposite axis, and has a very low sound absorption sensitivit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directional axis.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적절한 지향성을 가진 마이크로폰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보다 높은 음질의 음향을 획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ng and using a microphone having an appropriate directiv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ne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er quality sound more efficiently.

Claims (5)

제 1 마이크로폰; 상기 제 1 마이크로폰과 지향성 특성이 다른 제 2 마이크로폰;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A first microphone; A second microphone having a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 from the first microphone;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상기 제어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또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마이크로폰을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control modul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ne microphone selec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or the second microphone to opera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폰과 지향성 특성이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microphone having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from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폰은 각각 무지향성 마이크로폰, 단일지향성 마이크로폰, 초지향성 마이크로폰, 및 양지향성 마이크로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ar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omnidirectional microphone, a unidirectional microphone, a superdirectional microphone, and a bidirectional microphone,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또는 상기 제 2 마이크로폰 중에서 하나 이상은 수음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protrudes out of the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067468A 2005-07-25 2005-07-25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 KR100693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68A KR100693426B1 (en) 2005-07-25 2005-07-25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468A KR100693426B1 (en) 2005-07-25 2005-07-25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103A KR20070013103A (en) 2007-01-30
KR100693426B1 true KR100693426B1 (en) 2007-03-12

Family

ID=3801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468A KR100693426B1 (en) 2005-07-25 2005-07-25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42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103A (en)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32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hangeable acoustic properties
US9749737B2 (en) Decisions on ambient noise suppre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handset device
US9609409B2 (en) Use of an earpiece acoustic opening as a microphone port for beamforming applications
KR101059299B1 (en) Remote speaker controller with microphone
EP1697932B1 (en) Multi-mode audio processor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9872102B2 (en) Microphon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733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obile station and hearing aid compatibility
JP2010517328A (en) Wireless telephone system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in the system
KR201301216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KR101330476B1 (en)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US201803245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ight-left ear detection for headphones
KR201101000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KR201100994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oting zoom microphone functionality in portable terminal
CN107277208B (en) Communication method,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terminal
US10750002B2 (en) Communication device
US94381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dapting a user volume input rang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0693426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icrophones having various directivity
CN112565494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damping method for electronic equipment
JP466057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12195813A (en) Telephon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692773B1 (en) Receiver-loud part integrating speaker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ame
KR1011431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input signal in case of photographing moving images in portable termination
CN112311926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earphone device thereof
CN213545127U (en) Notebook computer
KR20040058660A (en) Mobile phone for outputting stereo s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