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135B1 -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35B1
KR100693135B1 KR1020050063281A KR20050063281A KR100693135B1 KR 100693135 B1 KR100693135 B1 KR 100693135B1 KR 1020050063281 A KR1020050063281 A KR 1020050063281A KR 20050063281 A KR20050063281 A KR 20050063281A KR 100693135 B1 KR100693135 B1 KR 10069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image
information
aquatic plants
histogram
pixel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223A (ko
Inventor
최홍근
황인준
신현철
남윤영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6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가 각 종 수생식물에 해당하는 생태 및 위치정보를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후, 저장부의 생태정보 DB 및 위치정보 DB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입력된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지도 이미지 DB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에, 입력부를 통해 각 종 수생식물에 해당하는 히스토그램을 매핑하며, 매핑된 각 종 수생식물의 히스토그램 별로 각각 고유한 색깔을 지정하는 단계;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의 히스토그램을 통해 지정된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와 근접한 픽셀좌표에 다른 색깔의 히스토그램이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각 종 수생식물을 고유 색깔로 지정한 히스토그램이 지도 이미지 상의 근접한 픽셀좌표에 중복되면, 중복된 히스토그램을 적층시키는 단계;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픽셀좌표에 존재하는 수생식물의 검색이 요청되어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특정 위치에 있는 히스토그램이 선택되면, 선택된 히스토그램에 해당되는 픽셀좌표의 경도와 위도정보를 통해 선택된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생식물, 생태정보, 위치정보, GPS좌표, 픽셀좌표, 히스토그램

Description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METHOD FOR DISPLAYING DISTRIBUTION OF AQUATIC PLANT ON MAPPING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입력양식 및 입력된 생태정보 DB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 종 수생식물 중의 하나를 해당 위치의 지도 이미지 상에 히스토그램으로 매핑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을 지정하여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한 것을 나타낸 검색화면.
도 6은 도 5의 히스토그램이 표시된 검색화면을 4배로 확대한 지도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검색결과' 란의 특정 식물을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생태정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 110 : 인터페이스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저장부 141 : 생태정보 DB
142 : 위치정보 DB 143 : 지도 이미지 DB
150 : 제어부 200 : 네트워크
300 : 사용자 컴퓨터
본 발명은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종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 한 후,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위치에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여 각 종 수생식물의 분포 및 해당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서 쉽게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생식물은 정상적으로는 물속에서 생육하고 있으면서, 물 밖으로 나오게 되는 경우에도 그들의 생활사 중 어느 한 일정시기를 물속에서 생육하게 되는 식물로서, 수중에서 물질생산과 영양소 순환, 어류와 무척추동물 등 수서생물의 산소와 먹이원 및 서식처 제공, 수질오염 물질 제거와 수질정화 기능 담당 및 수중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등의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경제발전과 더불어 도심 공간내 소생활권(biotope) 조성, 습지와 자연형 하천 복원 및 생태통로 조성에 필요한 수생식물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특히 수생식물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일반 사용자들이 검색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생식물 관련 연구의 기본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성 및 전국에 산재해 있는 각 종 수생식물 관련정보를 한 장소에서 통합관리하여 수생식물을 이용한 새로운 자원개발에 필요한 종합적인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수생식물에 대한 외국에서의 연구로서, 구미에서는 1885년 schenk의 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Casper와 Kraushch에 의해 유럽 중부의 수생식물이 망라되어 각 과, 속, 종에 대한 기재와 검색표가 작성되어 현재까지 수생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1910년 Nakano의 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Ikusima와 Kunii에 의해 수생식물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수생식물의 역할이 밝혀짐에 따라 연구 대상이 광범위해지는 추세에 있다.
특히, 외국에서는 각 종 수생식물의 연구를 통해 수질 정화 기술, 수질 지표 기술 및 수생식물을 이용한 폭발물 제거 기술에 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생식물을 이용한 응용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에 분포하는 수생식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가 거의 전무할 뿐만 아니라, 수생식물과 관련된 정보를 외국에서 정리해 놓은 자료를 통해 획득하고 있는 실정이며, 초중고 교과서에 수생식물이 실려있으나 이들에 대한 정보가 현저히 부족하여 제대로 학습자료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 종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 한 후,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위치에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여 각 종 수생식물의 분포 및 해당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서 쉽게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은,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300)에 제공되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가 각 종 수생식물에 해당하는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후, 저장부(140)의 생태정보 DB(141) 및 위치정보 DB(142)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S410 및 S420); (B) 상기 (A) 단계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지도 이미지 DB(143)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에, 입력부(120)를 통해 각 종 수생식물에 해당하는 히스토그램을 매핑(S430)하며, 매핑된 각 종 수생식물의 히스토그램 별로 각각 고유한 색깔을 지정하는 단계(S440); (C) 상기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의 히스토그램을 통해 지정된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와 근접한 픽셀좌표에 다른 색깔의 히스토그램이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50)에서 판단하는 단계(S450);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각 종 수생식물을 고유 색깔 로 지정한 히스토그램이 지도 이미지 상의 근접한 픽셀좌표에 중복되면, 입력부(120)를 통해 중복된 히스토그램을 적층시키는 단계(S460); (E)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로부터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픽셀좌표에 존재하는 수생식물의 검색요청이 있으면,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가 지도 이미지 DB(143)에 저장된 지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로부터 지도 이미지 상의 특정 위치에 있는 히스토그램이 선택되면, 선택된 히스토그램에 해당되는 픽셀좌표의 경도와 위도정보를 통해 선택된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출력부(3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7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각 종 수생식물에 해당하는 히스토그램을 입력부(120)를 통해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에 매핑하는 것은, 상기 (A) 단계를 통해 입력된 생태정보의 도, 분, 초로 구성된 위도와 경도정보의 좌표를 픽셀 단위의 좌표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히스토그램은, 해싱함수를 이용하여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을 갖도록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도 이미지 DB(143)는 1배, 2배, 4배 및 6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율로 확대 및 축소가능한 지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은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 네트워크(200) 및 사용자 컴퓨터(300)로 구성된다.
즉,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는 수중에 서식하는 각 종 수생식물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를 통해 채집 및 연구하여, 수생식물의 채집장소, 조사일, 식물명, 좌표, 생육지형 및 각 종 사진 등과 같은 서식지의 환경에 대한 생태정보 및 상기 생태정보 중에서 채집장소 및 좌표를 통한 위치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매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기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의 요청에 따라 수생식물의 생태 및 위치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10)와, 각 수생식물의 생태 및 위치정보 등의 각 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20)와,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수생식물과 관련된 각 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화면 및 각 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130)와,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각 수생식물의 생태, 위치 및 지도 이미지 등의 각 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상기 인터페이스(110) 및 각 부(120 내지 140)의 기능을 제어하여 수생식물의 생태 및 위치정보 등의 각 종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매핑하여 사용자 컴퓨터(300)에 제공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40)는 각 종 수생식물의 채집장소, 조사일, 식물명, 좌표, 생육지형 및 각 종 사진 등과 같은 서식지의 환경에 대한 생태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한 생태정보 DB(141)와, 상기 생태정보 중에서 채집장소 및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위치정보 DB(142)와, 상기 위치정보와 생태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매핑하여, 배율 별로 크기가 조정가능한 지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지도 이미지 DB(143)와, 매핑 프로그램과 같은 각 종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각 종 수생식물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하에서 설명될 사용자 컴퓨터(300)의 입력부(320)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 상기 네트워크(200)는 컴퓨터를 통하여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의 무선 인터넷망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 컴퓨터(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이미지를 통해 각 종 수생식물의 생태 및 위치정보를 검색하는 단말기로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10)와,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지도 이미지를 통해 제공되는 위치 및 생태정보를 선택 및 각 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320)와,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제공되는 수생식물과 관련된 각 종 정보를 지도 이미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330)와, 상기 사용자 컴 퓨터(300)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정보 및 각 종 소프트웨어정보 등이 저장된 저장부(340)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의 인터페이스(310) 및 각 부(320 내지 34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 및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는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등을 포함하며, 최소한 window98 이상의 운영체제, pentium급 이상의 CPU, 64Mb 이상의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를 상술한 컴퓨터 장치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에서 지도 이미지를 통해 제공하는 수생식물과 관련된 각 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기만 하면, PDA,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전화 및 IMT-2000 등이어도 상관없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입력양식 및 입력된 생태정보 DB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 종 수생식물 중의 하나를 해당 위치의 지도 이미지 상에 히스토그램으로 매핑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을 지정 하여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한 것을 나타낸 검색화면이고, 도 6은 도 5의 히스토그램이 표시된 검색화면을 4배로 확대한 지도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5의 검색결과 란의 특정 식물을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생태정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의 정보 제공자는 전국의 수중에 서식하는 각 종 수생식물을 GPS를 통해 채집 및 연구하여,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생태정보 입력양식에, 채집장소, 조사일, 식물명, 좌표, 생육지형 및 각 종 사진 등과 같은 서식지의 환경에 대한 생태정보를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한 후, 저장부(140)의 생태정보 DB(141)에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S410).
예컨대, 도 3b는 상기 단계 S410을 통해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생태정보 DB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명, 조사일 및 채집장소 등이 구체적으로 표시되며, 상기 식물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입력된 생태정보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생태정보 입력양식에 기재되어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단계 S410을 통해 입력된 각 종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중에서 채집장소 및 좌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입력부(120)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저장부(140)의 위치정보 DB(142)에 저장한다(S420).
이후, 상기 생태정보 DB(141) 및 위치정보 DB(142)에 저장된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도, 분, 초로 구성된 위도와 경도정보를 픽셀 단위의 좌표값으로 변환한 후, 입력부(120)를 통해 지도 이미지 DB(143)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이미 지 상에 매핑하여 각 종 수생식물 별로 지정된 해당 위치에 히스토그램(Histogram ; 기둥모양 그림)으로 표시한다(S430).
예컨대, 도 4는 각 종 수생식물 중, '나도겨풀'이 서식하고 있는 해당 위치의 지도 이미지 상에 히스토그램으로 매핑하여 나타낸 도면을 나타내며, 지도 이미지 상에 '보라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지도 이미지 DB(143)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 이미지는 픽셀(Pixel) 단위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도, 분, 초로 구성된 위도 및 경도를 픽셀 단위의 좌표값으로 매핑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컨대, 지도 이미지 상의 픽셀 단위의 좌표값을 위도와 경도로 매핑하기 위해, 픽셀좌표를 (X, Y)라 표현하고 서울이 지도 이미지 상의 픽셀좌표 (323, 185)에 위치하면, 이 픽셀좌표는 GPS 좌표, 즉 동경 126도 57분, 북위 37도 30분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픽셀좌표에 대한 경도 및 위도좌표의 매핑이 필요한데, 매핑하는 방법은 예컨대, 이미 알려진 두 장소의 특정 위치에 대한 경도 및 위도좌표와 지도 이미지 상의 픽셀좌표의 차이를 구한 후, 이 차이를 변환값으로 이용하여 매핑을 한다.
즉, 변환값(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1
)은 이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2
(여기서, a = X의 좌표(초), b = Y의 좌표(초), a' = X의 좌표(픽셀), b' = Y의 좌표(픽셀))
즉, X축(경도)과 Y축(위도)의 좌표 변환값을 각각 구한다.
이 때, 지도 이미지의 시작점(0, 0)에서의 실제 초단위 좌표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한다.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3
(여기서, O = 시작점)
따라서, 상기 수학식 1과 2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4
예컨대, '구룡포'의 GPS 좌표가 동경 129도 34분 57초, 북위 36도 2분 34초이고, 지도 이미지 상의 픽셀좌표가 (610, 385)이며, '제주시'의 GPS 좌표가 동경 126도 26분 59초, 북위 33도 31분 50초이고, 지도 이미지 상의 픽셀좌표가 (264, 729)이면, 구룡포와 제주시의 GPS 좌표 및 픽셀좌표를 이용하여 계산한 X좌표 및 Y좌표의 변환값은 각각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5
x = 32.595,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6
y = -26.291이고, Ox = 446614" = 124°3' 34"(124도 3분 34초), Oy = 166495" = 46°14' 55"가 된다.
이 때, 위치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현하기 위해 GPS 좌표를 지도 이미지의 픽셀 단위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7
즉, 상기 GPS 좌표를 지도 이미지 상의 픽셀 단위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은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통해 구한 변환값과 지도 이미지의 시작점(픽셀좌표 (0, 0))에서의 초단위 좌표값을 이용한다.
한편, 상기 단계 S430 후,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픽셀좌표에 히스토그램으로 표시된 각 종 수생식물 별로 입력부(120)를 통해 각각 다른 고유한 색깔을 지정한다(S440).
이 때, 상기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각각 다른 고유한 색깔을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해싱함수를 이용하는데, 이 해싱함수의 알고리즘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8
즉,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해싱함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종 수생식물 별로 색깔을 최대한 고유하게 표현하기 위해, 색깔의 RGB(적색, 녹색, 청색)값에 따른 특정 수를 재계산함으로써,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 값을 얻는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도 이미지 상에 나타난 히스토그램 및 도 5의 아래부분에 나타난 '색인란'을 참조하면,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상기 단계 S440 이후,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의 히스토그램을 통해 지정된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와 동일하거나 근접한 픽셀좌표에 다른 색깔의 히스토그램이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50)에서 판단한다(S450).
상기 판단 결과, 각 종 수생식물을 고유 색깔로 지정한 히스토그램이 동일하거나 근접한 픽셀좌표에 중복되면, 중복된 히스토그램을 적층시킨다(S460).
즉, 동일하거나 근접한 픽셀좌표에 각 종 수생식물을 지정한 색깔이 여러 개 존재하면, 동전을 여러 개 겹쳐놓은 것과 같은 형태로 히스토그램을 적층시키고, 각 종 수생식물을 지정한 색깔의 히스토그램이 하나만 존재, 즉 히스토그램이 중복되지 않으면, 그 하나의 히스토그램 만을 표시하여 제공한다.
이 때, 히스토그램을 적층하는 알고리즘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Figure 112005037920516-pat00009
즉,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히스토그램이 표시되는 위치의 픽셀 좌표값을 배열에 넣고, 히스토그램의 픽셀 좌표값을 배열에서 찾은 후, 같은 픽셀 좌표값에 이미 다른 히스토그램이 존재하면, 픽셀 좌표값에 일정한 값을 더하여 적층되는 형태, 즉 히스토그램을 동전을 쌓는 것과 같은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지도 이미지 상의 동일 위치에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 색깔을 지정한 히스토그램이 적층되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컴퓨터(300)로부터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수생식물에 대한 검색요청이 있으면,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는 지도 이미지 DB(143)를 통해 지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지도 이미지 상의 특정 위치에 있는 히스토그램이 사용자 컴퓨터(300)로부터 선택되면, 선택된 히스토그램이 해당하는 픽셀좌표의 경도와 위도정보를 통해 선택된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검색 및 확인가능하도록 한다(S470).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사용자 컴퓨터(300)에 제공된 각 종 수생식물의 해당 위치에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낸 지도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가 원주 근처에 서식하는 수생식물을 검색하기 위해, 지도 이미지 상에서 '원주' 부근에 표시된 히스토그램을 선택하면, 도 5의 우측의 '검색결과'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주 부근에 서식하는 식물명으로서 '갈대', '나도겨풀' 및 '줄'이 나타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결과'란의 식물들은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예컨대, 원주)의 지도 이미지 상의 픽셀좌표를 GPS 좌표, 즉 도, 분, 초 좌표로 변환함으로써 가능한데, 이 픽셀좌표를 도, 분, 초 좌표로 변환하는 것은 상술한 표 1의 도, 분, 초 좌표를 픽셀좌표로 변환하는 과정과 반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 반대과정을 통해 얻어진 도, 분, 초 좌표를 생태정보 DB(141)에 요청하여 해당 위치 내의 식물들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컴퓨터(300)의 사용자가 상기 '나도겨풀'에 대한 생태정보를 알 기 위해, '검색결과'란에서 '나도겨풀'을 선택하게 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도겨풀의 식물명, 생육지형, 군집사진 및 꽃사진 등을 포함하는 생태정보가 구체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때,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의 지도 이미지 DB(143)에는 사용자 컴퓨터(300)의 사용자에게 특정 위치 및 그에 존재하는 각 종 수생식물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자세한 검색을 제공하기 위해, 배율 별로 각각 크기가 다른 지도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즉, 사용자 컴퓨터(300)로부터 지도 이미지를 통한 각 종 수생식물의 분포를 검색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을 때, 사용자 컴퓨터(300)의 사용자가 배율에 따른 이미지 크기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미리 지도 이미지를 확대 및 축소 가능한 배율 별로 저장하여, 사용자의 검색 요청시, 자세한 검색을 제공하기 위한 응답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킨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지도 이미지는 1배, 2배, 4배 및 6배의 배율을 지원하며, 이에 따라 1배율, 2배율, 4배율 및 6배율 지도 이미지가 각각 지도 이미지 DB(143)에 저장되어 있다.
이 때, 2배, 4배 및 6배의 배율로 확대된 지도 이미지에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1배율의 픽셀좌표에 해당되는 확대배율을 곱하여 새로운 좌표값을 얻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더욱 정확한 픽셀좌표의 계산을 위해서는 최초의 1배율 픽셀좌표를 정수형이 아닌 소수형으로 구한 후, 각각의 배율을 곱하여, 정수형 픽셀좌표로 변환시킨다.
예컨대, 상기 표 1의 알고리즘으로 변환된 좌표값이 (51.3, 124.7)이면, 그 좌표는 1배율에서는 (51.3, 124.7), 2배율에서는 (102, 249), 4배율에서는 (205, 498) 및 6배율에서는 (307, 748)이 된다.
즉,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각 종 히스토그램이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서, '색인란'의 ×4를 선택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 도 5의 지도 이미지를 4배율로 확대하여 나타낸 지도 이미지가 나타나게 되며, 이를 통해 해당 지역 및 서식하는 수생식물을 보다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컴퓨터(300)의 사용자는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이미지를 통해, 각 지역에 서식하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쉽게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에 따르면, 각 종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 한 후,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위치에 히스토그램으로 표시하여 각 종 수생식물의 분포 및 해당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서 쉽게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생식물 관련 연구의 기본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국에 산재해 있는 각 종 수생식물 관련정보를 한 장소에서 통합관리하여 수생식물을 이용한 새로운 자원개발에 필요한 종합적인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각 종 수생식물의 분포 및 해당 정보를 지도 이미지 상에서 쉽게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물학, 약학, 한의학, 농학 및 조경학 등에 관계있는 학자들과, 초중고 및 대학생들의 정보제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300)에 제공되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가 각 종 수생식물에 해당하는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후, 저장부(140)의 생태정보 DB(141) 및 위치정보 DB(142)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S410 및 S420);
    (B) 상기 (A) 단계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지도 이미지 DB(143)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에, 입력부(120)를 통해 각 종 수생식물에 해당하는 히스토그램을 매핑(S430)하며, 매핑된 각 종 수생식물의 히스토그램 별로 각각 고유한 색깔을 지정하는 단계(S440);
    (C) 상기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의 히스토그램을 통해 지정된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와 근접한 픽셀좌표에 다른 색깔의 히스토그램이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제어부(150)에서 판단하는 단계(S450);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각 종 수생식물을 고유 색깔로 지정한 히스토그램이 지도 이미지 상의 근접한 픽셀좌표에 중복되면, 입력부(120)를 통해 중복된 히스토그램을 적층시키는 단계(S460);
    (E)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로부터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픽셀좌표에 존재하는 수생식물의 검색요청이 있으면, 정보제공 서버 컴퓨터(100)가 지도 이미지 DB(143)에 저장된 지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사용자 컴퓨터(300)로부터 지도 이미지 상의 특정 위치에 있는 히스토그램이 선택되면, 선택된 히스토그램에 해당되는 픽셀좌표의 경도와 위도정보를 통해 선택된 수생식물의 생태정보 및 위치정보를 출력부(33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470)를 포함하되,
    상기 히스토그램은, 해싱함수를 이용하여 각 종 수생식물 별로 고유한 색깔을 갖도록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각 종 수생식물에 해당하는 히스토그램을 입력부(120)를 통해 지도 이미지 상의 해당 위치의 픽셀좌표에 매핑하는 것은, 상기 (A) 단계를 통해 입력된 생태정보의 도, 분, 초로 구성된 위도와 경도정보의 좌표를 픽셀 단위의 좌표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이미지 DB(143)는 1배, 2배, 4배 및 6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율로 확대 및 축소가능한 지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KR1020050063281A 2005-07-13 2005-07-13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KR10069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281A KR100693135B1 (ko) 2005-07-13 2005-07-13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281A KR100693135B1 (ko) 2005-07-13 2005-07-13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23A KR20070008223A (ko) 2007-01-17
KR100693135B1 true KR100693135B1 (ko) 2007-03-13

Family

ID=3801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281A KR100693135B1 (ko) 2005-07-13 2005-07-13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808A2 (en) * 2010-08-19 2012-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3405A (zh) * 2021-09-15 2021-12-14 杭州睿胜软件有限公司 用于呈现植物的分布的方法、计算机系统和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551A (ko) * 1997-06-02 1999-01-25 이데이 노부유끼 디지털 지도 디스플레이 주밍 방법, 디지털 지도 디스플레이 주밍 장치, 및 디지털 지도 디스플레이 주밍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매체
KR20020032133A (ko) * 2000-10-25 2002-05-03 이종훈 수평수질 및 위치정보의 동시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91486A (ko) * 2001-05-30 2002-12-06 이기동 인터넷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방법
JP2003143962A (ja) 2001-11-16 2003-05-2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沿岸域環境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環境マッピング方法
KR20030088563A (ko) * 2002-05-13 2003-11-20 조우니테크 주식회사 산악용 입체지도 제작방법
KR20050041277A (ko) * 2003-10-30 2005-05-04 이준환 고정밀 위성 영상의 자동 분석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551A (ko) * 1997-06-02 1999-01-25 이데이 노부유끼 디지털 지도 디스플레이 주밍 방법, 디지털 지도 디스플레이 주밍 장치, 및 디지털 지도 디스플레이 주밍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매체
KR20020032133A (ko) * 2000-10-25 2002-05-03 이종훈 수평수질 및 위치정보의 동시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91486A (ko) * 2001-05-30 2002-12-06 이기동 인터넷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방법
JP2003143962A (ja) 2001-11-16 2003-05-20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沿岸域環境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環境マッピング方法
KR20030088563A (ko) * 2002-05-13 2003-11-20 조우니테크 주식회사 산악용 입체지도 제작방법
KR20050041277A (ko) * 2003-10-30 2005-05-04 이준환 고정밀 위성 영상의 자동 분석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06551
1020020091486 *
1020030088563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808A2 (en) * 2010-08-19 2012-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ents
WO2012023808A3 (en) * 2010-08-19 201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ents
CN103069470A (zh) * 2010-08-19 2013-04-2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搜索内容的方法和设备
CN103069470B (zh) * 2010-08-19 2015-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搜索内容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23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oter et al. Fully automated generalization of a 1: 50k map from 1: 10k data
US20170168701A1 (en) Methods and Systems of Generating Graphical Marks in a Graphical View Region of a User Interface
US200800744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s on a Digital Map
CN101208698B (zh) 用于基于实像而设计景观园林的系统和方法
US20210248180A1 (en) Map Search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Image Content Analysis Driven Geo-Semantic Index
Burian et al. Development of Olomouc city in 1930–2009: based on analysis of functional areas
KR100693135B1 (ko) 수생식물의 분포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법
Bowie et al. Interactive mapping of urban tree benefits using Google Fusion Tables and API technologies
Adreani et al. Design and develop of a smart city digital twin with 3d representation and user interface for what-if analysis
Cope et al. Developing an integrated cloud-based spatial-temporal system for monitoring phenology
Lafay et al. Automatic mapping and innovative on-demand mapping services at IGN France
Szilassi et al. Mobile Application-Based Field Survey as a Possible Tool for Investigating Visitors’ Perception and Preferences of the Vegetation in Urban Parks
Nobajas et al. From historical map to online 3D recreation: the 1861 cadastral map of Horta (Barcelona)
Levi Digitising the past: The beginning of a new future at the Royal Tropical Institute of The Netherlands
Prinz et al. GeoArchaeology Web 2.0: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facilitate new concepts of Web-based data visualization strategies in archaeology—two case studies from surveys in Sudan (Wadi) and Turkey (Doliche)
US8788975B1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geographic entities
JP4702906B1 (ja) 空中写真表示装置、空中写真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Nowak et al. The Adam Mickiewicz University Nature Collections IT system (AMUNATCOLL): portal, mobile application and graphical interface
CN109542996B (zh) 基于GeoPDF技术的新型移动地图应用服务系统
Sunar Erbek et al. The use of satellite image maps for urban planning in Turkey
Modara et al. Assessment of land-use/land-cover change in Muharraq Island using multi-temporal and multi-source geospatial data
Sarkar Application Of Spatial Database For Rural Development And Planning In Indian Context–A Theoretical Overview
Collado et al. Geomatics documentation techniques as monitoring tools for rural built heritage in Nabón (Ecuador)
Atzl et al. Design decisions for multidimensional digital and interactive basemaps of urban environments
Yun et al. Landscape Preference Based on User-generated Photograph Metadata: The Case of Xixi National Wetland Pa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