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124B1 - Accessory for Mobile-Phone - Google Patents

Accessory for Mobi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24B1
KR100693124B1 KR1020040076412A KR20040076412A KR100693124B1 KR 100693124 B1 KR100693124 B1 KR 100693124B1 KR 1020040076412 A KR1020040076412 A KR 1020040076412A KR 20040076412 A KR20040076412 A KR 20040076412A KR 100693124 B1 KR100693124 B1 KR 100693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ans
case bod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7563A (en
Inventor
국태용
김시중
Original Assignee
국태용
김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태용, 김시중 filed Critical 국태용
Priority to KR102004007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24B1/en
Publication of KR2006002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단순한 악세서리의 기능을 탈피하여 이동통신수단의 각종 기능을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보조하는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가 개시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disclosed as an interface device that assists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t the user's discretion by deviating from the function of a simple accessory.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외형적으로 사용자와 상호되기 위하여 캐릭터형상을 이루는 케이스본체(14)가 마련되고, 이 캐릭터형상의 케이스본체를 출력수단으로 음향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6)와 상기 케이스본체(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8)와 캐릭터의 표정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20)이 포함되며, 이 출력수단을 발동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서 케이스본체(14)와 통신포트(44)에 의해 통해 통신되는 이동통신수단(10) 또는 퍼스널컴퓨터(22)가 입력수단으로 마련되는 한편, 이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출력수단을 조작하는 제어모듈(24)이 포함되어지되, 제어모듈(24)은 평상시 케이스본체의 동작과 표정과 음성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시모듈(26)과, 이동통신수단(10)의 착신시 이를 고지하는 착신모듈(28)과, 전자달력모드를 포함하여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을 스피커(16)로 출력하는 스케줄 모듈(30)과, 상기 각 모듈의 출력에 따른 출력모듈(32)과 상기 각 모듈의 설정조건에 따라 출력속성이 저장되는 메모리(34)로 이루어진 것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ase body 14 that forms a character shape in order to externally interact with the user, and a speaker 16 and a case body for outputting sound or voice as output means using the case body of the character shape. A driving device 18 for driving 14 and a display panel 20 for displaying an expression or a character of a character are included, and the case body 14 and the communication port as an operation means for activating this output means (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or a personal computer 22 communicated via 44 is provided as an input means, while a control module 24 for operating the output means via the input means is included. 24 includes a constant module 2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facial expression, and voice output of the case body, a receiving module 28 for notifying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is received, and an electronic calendar mode. A schedule module 30 for outputting a voice set by a user according to a schedule set through an input means to the speaker 16, and an output module 32 according to the output of each module, and output according to the setting conditions of each module It consists of a memory 34 in which attributes are stored.

Description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Accessory for Mobile-Phone}External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means {Accessory for Mobile-Phone}

도 1 은 종래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devic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mean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수단의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외장장치를 나타낸 외관설명도 및 제어모듈을 나타낸 개념도,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xternal device as an interface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를 나타낸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terna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장치의 표시모드 중 표정의 변화를 예시한 설명도, 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of expression in a display mode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입력수단의 지정모드를 예시한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designation mode of an input mean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통신수단, 12 - 체결수단,10-means of mobile communication, 12-means of fastening,

14 - 케이스본체, 16 - 스피커,14-case body, 16-speaker,

18 - 구동장치, 20 - 디스플레이패널,18-drive, 20-display panel,

22 - 퍼스널컴퓨터, 24 - 제어모듈,22-personal computer, 24-control module,

26 - 상시모듈, 28 - 착신모듈,26-Always module, 28-Incoming module,

30 - 스케줄모듈, 32 - 출력모듈,30-schedule module, 32-output module,

34 - 메모리, 36 - 모드스위치,34-memory, 36-mode switch,

38,66 - 홈부, 40,64 - 개페커버,38,66-Groove, 40,64-Opening cover,

42 - 통신케이블, 44 - 통신포트,42-communication cable, 44-communication port,

46 - 커넥터, 48 - 디스플레이모듈,46-connector, 48-display module,

50 - 지정모드, 52 - 서버/클라이언트시스템,50-directed mode, 52-server / client system,

54 - 결제시스템, 56 - 체온감지모듈,54-payment system, 56-body temperature sensor module,

58 - 체온감지센서, 60 - 경호모듈,58-body temperature sensor, 60-bodyguard module,

62 - 긴급스위치, 68 - 알람모듈,62-emergency switch, 68-alarm module,

70 - 소리감지센서, 72 - 접촉센서,70-sound sensor, 72-contact sensor,

74 - 착신감지스위치, 76 - 데이터베이스,74-call detection switch, 76-database,

본 발명은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외장구의 기능에 탈피하여 이동통신수단의 각종 기능을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보조하는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n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s an interface device that assists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a user's arbitrary,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a simple external device. .

근래에 들어,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수단은 단순한 통화를 위한 통신수단의 범주를 초월하여 발전되어 왔다.In recent yea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mobile phones have been developed beyond the category of communication means for simple calls.

이것은 이동통신 수단이 제공하는 편의사항에 마추어 발전되어온 것으로, 예를 들어, 이동통신수단과 다이어리 기능을 담당하는 전자수첩과의 조합이나,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와의 조합, 무선 인터넷의 접속 등에 따른 멀티미디어와 조합 등이다.This has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ien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the comb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electronic notebook in charge of the diary function, the combination with the portable digital camera, the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and the like. Combinations and the like.

이에 따라 이동통신수단과 관련된 각종 주변장치나 타 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한 각종 모듈이나 인터페이스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Accordingly, various modules or interface devices for linking with various peripheral devices or other systems related to mobile communication means have been devised.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수단은 사용자에게 충분한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does not provide sufficient convenience to the user.

이것은 이동통신수단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 미비에 따른 것으로, 이동통신수단과 사용자간의 상호반응을 위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매개수단인 인터페이스는 이동통신수단의 사용목적과 외형자체에 의해 불편함이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This is due to the lack of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user, and the interface, which is an intermediary means for the user's convenience for mutual rea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user, may be inconvenien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ere is no underlying reason.

즉, 이동통신수단이 비록 각종 편의수단을 제공한다하더라도, 그 근본은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통신을 위한 외형(디자인)을 이루고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마련된 전자수첩 등의 기능은 부수적인 기능인데, 이 기능을 끌어내기 위하여는 하위 모드로 선택하여 인터페이스 창을 발동시키고, 그 인터페이스창을 다시 확인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provides various convenience means, the basis thereof is used for communication, forming an appearance (design) for communication,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an electronic notebook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a secondary function, in order to bring out this func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 lower mode to activate the interface window, and there is inconvenience in using the interface window again.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별도로 구비하였던 전자수첩은 이동통신에 내장된 기능으로, 전자수첩 기능은 단순히 기상시간이나 사용자가 기억하는 특정의 업무의 시각을 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알람과는 차이가 있다.In more detail, the electronic organizer, which has been separately provided in the related art, is a built-in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electronic organizer function is different from the alarm used to simply notify the weather time or the time of a specific task that the user remembers. .

이를 위해 이동통신수단에는 전자달력모듈이 내장되며,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와 시각에 특정의 업무를 표시해주고 있다.To this end,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has a built-in electronic calendar module, and displays a specific task at the date and time specified by the user.

그러나, 이러한 전자수첩은 그 기능상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스케줄의 도래시 이를 충분히 고지시킬 수 없고, 반복되는 스케줄에 있어서도 그 고지의 수단이 미비하다.However, such an electronic notebook has a limitation in its function, and it cannot be sufficiently announced when the schedule arrives, and the means of the notification are insufficient even in a repeated schedule.

특히, 스케줄은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반복적인 스케줄이 있을 수 있고, 일회성 스케줄이 있는데 이것을 구분하여 고지시킬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일일히 확인할 수 밖에 없는 기능이고, 이에 좀 더 부가되면 알람의 기능을 추가하여 단순히 음향으로 표시해줄 뿐이다.In particular, the schedule may vary according to the user's designation, and there may be a repetitive schedule, and there is a one-time schedule, which cannot be distinguished and notified. It simply adds the alarm function and displays it as a sound.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메세지를 그 날짜와 시각에 마추어 표시시킬 수 없고, 필요한 메세지는 입력과 그 송출은 단순한 문자이며, 메세지와 연동되는 알람은 단순히 제공된 음향멜로디로서, 이 멜로디에 맞는 스케줄의 행위를 기억에서 끌어내어 사용할 뿐이었다.Thereby, the user cannot display his or her required message at the date and time, the necessary message is input and its transmission are simple characters, and the alarm associated with the message is simply a provided acoustic melody, which is a schedule suitable for this melody. I only used to draw my deeds from memory.

결국, 이동통신수단에 구비된 전자수첩에서 스케줄의 기능은 사용자가 특별히 응용시키지 않는 한 유명무실한 기능 중의 하나였고, 이러한 응용은 사용자에게 부과되었던 것이다.After all, the function of the schedule in the electronic organizer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was one of the obscure functions unless the user specifically applied, this application was imposed on the user.

한편, 이동통신수단에 각종 편의기능이 조합됨에 따라, 오히려 불편한 경우가 발생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various convenient functions are combin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 rather uncomfortable case occurs.

예를 들어, 취침을 위한 알람의 설정에서, 사용자는 전화를 받지 않고 알람만을 수행시키기 원할 때가 있는데, 전원이 차단된 경우 알람기능 역시 차단된다.For example, in the setting of an alarm for sleeping, the user may want to perform only an alarm without answering a phone call, but the alarm function is also blocked when the power is cut off.

이러한 이유에서, 이동통신수단과 그 편의기능을 조합시키되, 그 기능이 별도로 수행되도록 배려함이 또 하나의 관건이다.For this reason, it is another key to combine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convenience function, but to consider that the function is performed separately.

즉, 편의기능을 통합시키면서도 분리시킬 필요도 있는 모순되는 영역이 발생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contradictory areas are generated that need to be separated while integrating convenience functions.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될 수 있는 것으로, 휴대폰의 착신을 알려주는 작동구(출원번호 10-2000-0075162) 등이 안출되어 있으며, 이것은 예시도면 도 1 에서와 같이, 휴대폰의 착신신호 검출시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주기위한 인지수단의 구동에 필요한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그 전류를 원격검출하는 전류검출센서에 의해 스위칭부를 작동케하고, 스위칭부의 작동에 의해 작동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부가 동작하도록 하는 작동구이며, 작동구는 작동부를 편심축을 갖는 구동모터 및 이와 결합된 다수의 링크에 의해 전원 인가시 다수의 링크가 동작하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may b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port (application number 10-2000-0075162), etc. to inform the incoming of the mobile phone is conceived, which is shown in Figure 1, when the incoming signal detection of the mobile phone When a current required to drive the recognition means for recognizing the user is generated, the switching unit is operated by a current detection sensor that remotely detects the current, and the operating unit is oper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operating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It is an operating tool to operate, the operating tool is to operate the plurality of links when the power is applied by the drive motor having an eccentric shaft and the plurality of links coupled thereto.

이것은 이동통신수단의 주변장치로서 악세서리를 이용하며, 악세서리에 이동통신수단의 기능 일부를 이전시켜 단순 외장구의 장식기능을 탈피하고 하나의 기능성 외장장치로서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This uses an accessory as a peripher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ransfers a part of th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o the accessory to escape the decorative function of the simple exterior port and to play a role as a functional external device.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장식품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그 기능이 추가되었다 하더라도 착신에 대한 표시수단에서 그 기능을 강화한 것으로, 사용자와 이동통신수단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장치라 할 수 없다.However, this simply does not escape the function of the ornament, even if the function is added to the display means for the call to enhance the function, it is not an interface device for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수단의 각종 편의기능을 더욱 조합시키되, 그 편의기능을 이동통신수단의 장식품이 담당하도록 하여, 그 장식품이 이동통신수단의 편의기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사용자와 이동통신수단과의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combination of the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but the convenience function of the orna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o take charge of the convenience function, the ornament is a convenienc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n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s an interface device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o further improve.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objects, features, and operational advantages, including the purpose, working effect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며,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For refere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understanding various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수단의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외장장치를 나타낸 외관설명도 및 제어모듈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예시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장치의 표시모드 중 표정의 변화를 예시한 설명도이며, 예시도면 도 5 는 입력수단의 지정모드를 예시한 설명도이다.Exemplary Drawing FIG.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a control module showing an external device as an interface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extern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facial expression of a display mode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designation mode of an input means.

본 발명은 이동통신수단(10)의 장식체로서 사용되기 위하여 이동통신수단(10)과의 체결수단(12)을 포함하며, 외형적으로 사용자와 상호되기 위하여 캐릭터형상을 이루는 케이스본체(14)가 마련되고, 이 캐릭터형상의 케이스본체를 출력수단으로 음향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6)와 상기 케이스본체(14)를 구동시키 기 위한 구동장치(18)와 캐릭터의 표정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20)이 포함되며, 이 출력수단을 발동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서 케이스본체(14)와 통신포트(44)에 의해 통해 통신되는 이동통신수단(10) 또는 퍼스널컴퓨터(22)가 입력수단으로 마련되는 한편, 이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출력수단을 조작하는 제어수단으로 케이스본체(14)에 내장되며, 각 모듈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모듈(24)이 포함되어지되, 제어모듈(24)은 평상시 케이스본체의 동작과 표정과 음향 또는 음성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상시모듈(26)과, 이동통신수단(10)의 착신시 표정과 음성 또는 음향과 구동장치의 발동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착신을 고지하는 착신모듈(28)과, 전자달력모드를 포함하여 입력수단을 통해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20)을 통한 표정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을 스피커(16)로 출력하는 스케줄 모듈(30)과, 상기 각 모듈의 출력에 따라 음성 및 표정을 연산출력하는 출력모듈(32)과 상기 각 모듈의 설정조건에 따라 출력하기 위하여 음성과 음향과 표정과 구동장치의 출력속성이 저장되는 메모리(34)로 이루어진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means 12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to be used as a decorative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and the case body 14 to form a character shape to mutually interact with the user And a speaker 16 for outputting sound or voice to the character-shaped case body as an output means, a driving device 18 for driving the case body 14, and an expression or character of the character. Display panel 20 is includ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or the personal computer 22 communicated through the case body 14 and the communication port 44 as an operation means for activating the output means input On the other hand, as a control means for operating the output means through the input means is built in the case body 14, and includes a control module 24 for performing each module, the control module 24 Is usually Receive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expressions, voices, sounds, and driving device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receives a constant module 2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se body and facial expression and sound or voice output. The reception module 28 for notifying of the schedule and the schedule module 30 for outputting the expression through the display panel 20 and the voice set by the user to the speaker 16 according to a schedule set through the input means, including the electronic calendar mode. And an output module 32 for calculating and outputting voices and faci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output of each module, and a memory for storing voices, sounds, facial expressions, and output attributes of the driving device for outputting according to the setting conditions of the respective modules ( 34) an externa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여기서, 입력수단은 케이스본체(14) 자체에 제어모듈(24)의 작동과 전원공급의 제어를 위해 설치된 모드스위치(36)를 별도로 포함하며, 모드스위치(36)는 케이스본체(14)에 홈부(38)가 형성되고, 이 홈부(38)에 개페커버(40)에 의해 수납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put means separately includes a mode switch 36 installed in the case body 14 itself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24 and the control of the power supply, and the mode switch 36 has a groove portion in the case body 14. 38 is form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portion 38 is provided to be accommodated by the opening cover 40.

또한, 상기 체결수단(12)은 입력수단인 이동통신수단(10)과 케이스본체(14)와의 통신케이블(42) 및 통신포트(44)를 연결하는 커넥터(46)가 케이스본체(14)를 장식구로 하여 이동통신수단(12)과 체결되는 수단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12 is a connector 46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able 42 and the communication port 44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and the case body 14 which is an input means is connected to the case body 14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eans to be fasten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2 as a decorative tool.

한편, 상기 제어모듈(24) 중 출력모듈(32)에는 사용자가 문자로 입력한 사항을 음성으로 연출하는 문자/음성변환모듈이 포함되어지되, 출력모듈(32)에는 문자/음성의 변환시 이를 감지하여 그 문자의 중성에 따라 입모양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48)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module 32 of the control module 24 includes a text / voice conversion module for directing the user inputted by the text, the output module 32 detects this when converting the text / vo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module 48 for outputtin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mouth according to the neutral of the character.

상기 스케줄모듈(30)에는 이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을 통해 날짜와 시각에 대한 다이어리 표시창이 제공되며 이 다이어리 표시창에는 스케줄에 대한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정을 지정하는 입력수단으로 지정모드(50)가 별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hedule module 30 is provided with a diary display window for the date and time through the server / client system 52 as an application of an input means for manipulating the same. The diary display window has an input for specifying an expression of the display panel with respect to the schedule. The designation mode 50 is set separately by means.

상기 제어모듈(24)로의 데이터 갱신정보는 입력수단인 이동통신수단 또는 퍼스널컴퓨터를 매개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24)으로부터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update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2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from the server / client system 24 via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a personal computer as an input means.

상기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24)에서 데이터 갱신정보의 제공은 유료로 수행되도록 결제시스템(54)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 client system 2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update information provided is connected to the payment system 54 to be performed for a fee.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편의모듈이 더 포함되며, 편의모듈은 체온측정모듈(56)로서, 제어모듈의 입력단에 체온감지센서(58)가 설치되고, 메모리에는 체온감지모듈에 따라 인체체온에 대해 상기 출력모듈로 표정과 음향 또는 음성과 동작으로 건강상태를 연출하는 데이터속성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further comprises a convenience module, the convenience module is a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56, the body temperature sensor 58 is installed at the input of the control module, the memory for the body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body temperature detection module The output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attribute to produce a health state by facial expression, sound or voice and motion is set.

아울러, 상기 편의모듈에 경호모듈(60)이 더 포함되며, 경호모듈(60)은 제어모듈의 입력단에 조작수단으로 긴급스위치(62)가 연결되고, 이 긴급스위치(62)는 케이스본체(14)에 별도로 마련되며, 이 긴급스위치(62)의 조작시 별도의 경음이 방출되도록 스피커(16)를 발동시키되, 긴급경우 사용을 위해 상기 긴급스위치(62)는 케이스본체(14)에 개패커버(64)를 매개로 홈부(66)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venience module further comprises a security module 60, the security module 60 is connected to the emergency switch 62 as an operation means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module, the emergency switch 62 is the case body 14 ) Is provided separately, to activate the speaker 16 so that a separate sound is emit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switch 62, the emergency switch 62 for the use in case of emergency the case cover (14) 6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groove 66.

또 다른 편의모듈로는 알람모듈(68)이 더 포함되며, 알람모듈(68)은 제어모듈에 내장된 전자달력모듈과 연동되어 모드스위치(36)로부터의 설정에 의해 출력수단을 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convenient module further includes an alarm module 68, the alarm module 68 is interlocked with the electronic calendar module built in the contro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trigger the output means by the setting from the mode switch 36 It is done.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수단의 부가적기능과 사용자가 충분히 교신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물리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함과 아울러, 그 매개에 있어서 더욱 자연스럽고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는 오락수단으로서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means for mediating an additional physica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an appropriate physical connection to allow a user to fu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n addition, provides a more natural and convenient usage in the medium. As an entertainment means, an external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provided.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수단에 이웃되는 장식품으로, 외장장치를 이용하여 이 외장장치에 이동통신수단의 부가기능을 증대하여 내장시키고, 이 외장장치를 직접조작하여, 부가기능을 즉시 발동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과 외장장치의 사용에 따른 오락기능이 조합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n ornament adjac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by using an external device to increase the built-in mobile communication means to increase the built-in, by directly operating this external device, it is used to immediately activate the additional function It is to combine the convenience of the entertainment function with the use of the external device.

여기서, 각 기능은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며, 즉 외장장치로의 부가기능 전가에 따라 독립적인 장치를 통한 부가기능의 증대가 수행되고, 직접조작에 의한 조작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며, 여기에 오락기능이 추가되어 그 조작성과 부가기능의 증대가 자연스럽게 조화되는 것으로, 서로의 역할은 연계상승되는 시너지의 영역이다.Here, the functions are not independent of each other, that is, the increase of the additional functions through the independent devic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additional functions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by the direct operation is further improved. As functions are added, the operability and increase of additional functions are naturally harmonized, and the roles of each other are synergistic areas of synergy.

이러한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독특한 개성과 이미지가 부여된 존재로서, 캐릭터 형상의 케이스본체(14) 그 자체가 출력수단의 하나로서 마련된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a unique personality and an image has been given, the case body 14 itself of a character shape is provided as one of the output means.

캐릭터 형상의 케이스본체(14)는 일반적인 체결끈 등의 체결수단(12)을 통해 휴대폰과 이웃되며, 이러한 캐릭터를 통한 이동통신수단의 장식은 사용자와 감성적으로 연계되고, 그 사용에 있어서 편의성과 오락성을 제공하게 된다.The case body 14 in the shape of a character is adjacent to the mobile phone through a fastening means 12 such as a general fastening strap, and the deco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rough such a character is emotionally associated with the user, and convenience and entertainment in its use. Will be provided.

오락성은 기존의 동작완구 또는 캐릭터형 완구가 갖는 유희성을 제공하며 편의성의 측면에서는, 예를 들어 스케줄에 대한 음성표출은 캐릭터에 부여된 특징에 의해 자연스러움을 제공한다.Amusement provides the amusement of existing motion toys or character toys, and in terms of convenience, for example, voice expression on a schedule provides naturalness by a feature given to a character.

이것은 단순한 전화기 케이스에서 방출되는 안내음성과는 다른 성질의 표현양식을 제공하며, 사용자와의 상호관계에 대해 시각과 청각을 모두 자극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provides a form of expression different from the guide voice emitted from the simple phone case and stimulates both visual and auditory interactions with the user.

청각에 대한 연출은 스피커(16)를 통한 음성 및 음향에 의해 수행되고, 시각에 대한 연출은 구동장치(18)를 통한 케이스본체(14)의 움직임 및 디스플레이패널(20)을 통한 캐릭터의 표정연출에 의해 수행된다.Directing to the auditory is performed by the voice and sound through the speaker 16, and directing to the visual is the movement of the case body 14 through the driving device 18 and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display panel 20 Is performed by.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수단(미도시)이 케이스본체(14)에 마련됨은 당연하고, 각 출력수단이 캐릭터 형상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전원수단은 휴대와 반복사용을 위한 충전지일 수 있다.Naturally, a power supply means (not shown) for performing this is provided in the case body 14, and each output means is installed according to a character shape, and the power supply means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for carrying and repeating use.

상기 케이스본체(14)의 동작은 모우터 등의 구동장치(18)의 제어로 수행되며, 예를 들어 각 관절부에 모우터가 내장될 수 있고, 또한 목이나 어깨부위 등의 주관절에 내장되어 모우터의 전원공급 및 회전제어에 의해 그 동작의 제어가 가능 하다.Operation of the case body 14 is performed by the control of the drive device 18, such as a motor, for example, a motor may be built in each joint portion, and also built in the elbow joints, such as neck or should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by the power supply and rotation control of the rotor.

이러한 동작의 제어는 생산성 등을 감안한 부품의 투입량에 의해 결정되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 상세설명은 생략하며, 관건은 이러한 일련의 동작제어를 통한 이동통신수단과의 인터페이스의 수행으로, 후술되는 인터페이스 제어에서 표정과 음성의 조합으로 상세히 서술된다.The control of the operation i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input amount of the component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and the like,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key point is the performance of the interfac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rough the series of operation control. It is described in detail by the combination of and voice.

다음으로, 표정의 제어는 디스플레이패널(20)의 조합에 의해 수행된다.Next, control of the facial expression is per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isplay panel 20.

예를 들어, 표정의 연출은 눈에 의한 연출과 입에 의한 연출의 조합으로 수행되며, 눈은 두눈의 변화에 따라 또다시 조합된다.For example, the expression of the expression is per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production by the eyes and the production by the mouth, and the eyes are combined agai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yes.

예시도면 도 4a 는 두눈과 입에 의한 표정연출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눈의 모양 및 입의 모양에 따라 기쁨과, 우울 또는 지루함과 화남을 표시하여 주고 있다.Exemplary Drawing FIG. 4A shows expression of expression by two eyes and a mouth, and shows joy, depression or boredom and ang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yes and the shape of the mouth.

이것은 간단한 디스플레이패널(20)의 표시제어로서 달성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모양의 조합을 어떠한 식으로 배치하냐에 따라 컴비네이션의 수는 더욱 늘어나게 되며, 표정의 조합은 더욱 다양하게 된다.This is achieved as the display control of the simple display panel 20, but the number of combinations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combination of expressions is more varied depending on how the basic combinations as shown are arranged.

예시도면 도 4b는 음성방출시 연동되는 표정연출을 나타내며, 음절의 초성 중성 종성에서 입모양은 중성을 따르며, 크게 5가지 또는 3가지 입모양으로 구분될 수 있다.Exemplary drawings Figure 4b shows the expression of the interlocking expression when the voice release, the symptom in the initial triglycerides of the syllable follows the neutral shap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ive or three mouth shape.

이러한 입모양은 후술되는 문자/음성변환모듈과 연동되어, 음성표출시 문자의 중성신호에 따라 입모양의 연출이 가능한 것이다.This mouth shape is linked to the character / voice conversion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outh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neutral signal of the character at the time of speech expression.

다음으로, 입력수단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을 제공하며, 이것은 이동통신수단(10) 또는 퍼스널 컴퓨터(22)이며, 일부는 케이스본체(14)의 모드스위치(36)가 직접 입력수단으로 사용된다.Next, the input means provides an operation means for the user to operate th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or the personal computer 22, and part of the mode switch 36 of the case body 14. ) Is used as a direct input means.

이 중 이동통신수단(10) 또는 퍼스널 컴퓨터(22)를 입력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케이스본체(14)에는 상기 이동통신수단 또는 퍼스털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포트(44)가 마련된다.In order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or the personal computer 22 as an input means, the case body 14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ort 44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the personal computer.

통신포트(44)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수단과(10)의 커넥팅을 위한 표준 24핀 커넥터일 수 있고, 범용직렬버스(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포트(44)를 통한 충전역시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port 44 may be, for example, a standard 24-pin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10, and may be a universal serial bus (USB) port, such a communication port 44. Charging via is also possible.

또한, 통신케이블(42)이 이동통신수단(10)과 이것의 악세서리이자 인터페이스장치인 케이스본체(14)와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able 42 may serve as a connection ring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and the case body 14, which is an accessory thereof and an interface device.

이것은 통신포트 위치에 따른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수단의 통신포트가 하부에 위치되고, 악세서리를 체결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연결고리는 이동통신수단의 상부에 위치되어 이것의 공용이 어려운 것이만, 이동통신수단의 통신포트가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 이것의 공용이 가능한 것이다.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port position, generally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located at the bottom, the general connection ring for fastening accessories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difficult to share,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f the communication port of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mmon use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수단(10)과 케이스본체(14)와의 통신케이블(42)이 케이스본체(14)를 장식구로 하여 이동통신수단(10)과 체결시키는 체결수단(12)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cable 42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and the case body 14 is a fastening means 12 for faste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with the case body 14 as a decoration. It features.

한편, 이러한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는 메모리(34)로의 각 모듈에 대한 속성저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수단 또는 퍼스널컴퓨터가 입력수단이 되기 위하여는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장치와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rough such input means, the user can perform attribute storage for each module to the memory 34, in ord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the personal computer to be an input means, an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interfa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t is necessary.

이 어플리케이션은 별도로 공급되거나,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을 통해 제공받게 된다.This application may be supplied separately o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erver / client system 52.

이러한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는 음성스케줄을 입력시 이동통신수단의 문자입력키나 컴퓨터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메모리로(34)의 저장을 수행하고, 상황에 따른 케이스본체(14)의 표정을 사용자의 취향에 마추어 지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user inputs the voice schedule, the user performs storage of the memory 34 using the character input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and expresses the expression of the case body 14 according to the situation. Can be specified in

한편, 이와는 별도로 케이스본체(14)에 모드스위치(36)가 마련되며, 모드스위치(36)는 단축키를 통해 출력수단의 직접제어를 수행한다.Meanwhile, a mode switch 36 is provided on the case body 14 separately, and the mode switch 36 performs direct control of the output means through a shortcut key.

모드스위치(36)는 전원공급을 위한 파워스위치나 케이스본체의 동작제어나 알람의 설정 등 단축키로 직접제어가능한 기능이 추출되어 장착된다.The mode switch 36 is installed by extracting a function that can be directly controlled by a shortcut key such as a power switch for power supply or operation of the case body or setting an alarm.

여기서, 모드스위치(36)는 케이스본체(14)로 노출되지만 수납될 것이 필요하며, 이것은 케이스본체(14)가 이동통신수단(10)과 일체로 이동되는 휴대품으로서, 휴대시 스위치의 오조작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Here, the mode switch 36 is exposed to the case body 14, but needs to be accommodated. This is a portable device in which the case body 14 is integrally mov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This is to prevent.

이를 위해 케이스본체(14)에는 홈부(38)가 형성되어 여기에 모드스위치(36)가 배치되고, 이 홈부의 외측으로는 개폐커버(4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case body 14 has a groove 38 formed therein, and the mode switch 36 is disposed therei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ver 40 is mounted outside the groove.

다음으로 상기 입력수단에 따른 조작지시와 이에 의한 출력수단의 통제를 수행하는 제어모듈(24)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control module 2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input means and the output means thereby will be described.

제어모듈(24)은 각 모듈에 따라 표정, 동작, 음성 및 음향이 설장된 메모리(34)로부터 이를 최종출력하는 출력모듈(32)을 위시하여, 각 설정에 따른 출력을 통제하는 상시모듈(26)과 착신모듈(28)과 스케줄모듈(30) 및 편의모듈로 구분되며, 편의모듈은 이동통신수단의 상시 휴대성의 특성에 따라 체온측정모듈(56)과 경호모 듈(60) 및 알람모듈(68)로 구분된다.The control module 24 includes an output module 32 which finally outputs it from the memory 34 in which facial expressions, motions, voices, and sounds are installed according to each module, and the constant module 26 controls the output according to each setting. ) And the receiving module 28, the schedule module 30 and the convenience module, the convenience modu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portabi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56 and the security module 60 and alarm module ( 68).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어모듈(24)은 그 출력모듈(32)에 문자/음성변환기를 포함한다.In detail, first, the control module 24 includes a character / voice converter in its output module 32.

문자/음성변환기는 상기 입력수단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스피커(16)를 통해 음성으로 전환시켜주며, 이 수단은 일반적인 것이다.The text-to-speech converter converts the text input by the user in the input means to the voice through the speaker 16, which means is common.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문자/음성 변환에서 출력모듈이 문자의 중성과 연동되는 디스플레이모듈(48)을 포함하여, 음성의 출력시 스피커의 음성변환 송출과 더불어, 디스플레이패널(20)의 입모양을 그 중성에 따라 표현시킨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module includes a display module 48 in which the output module is linked to the neutrality of the characters in the text / voice conversion, and together with the voice conversion transmission of the speaker when the voice is output, the shape of the display panel 20 is changed. Express in neutral.

이에 의해 특히 음성의 출력에 있어서, 예를 들어 날짜와 시각에 따른 스케줄의 음성송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장치는 캐릭터의 음성과 표정의 연출이 수행된다.Thereby, especially in the output of the voice, for example, in the voice transmission of the schedule according to the date and time, th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the voice and expression of the character.

상기 출력모듈(32)은 설정 조건에 따라 각 모듈에 의해 구동되며, 메모리(34)에 저장된 속성데이터의 출력에 의해 수행된다.The output module 32 is driven by each module according to setting conditions, and is performed by outputting attribute data stored in the memory 34.

따라서, 속성데이터는 구동장치의 발동에 대한 속성과, 음성 및 음향에 대한 속성과, 표정 디스플레이에 대한 속성으로 구분된다.Therefore, the attribute data is divided into attributes for actuation of the drive device, attributes for voice and sound, and attributes for facial expression display.

상시모듈(26)은 구동완구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모듈로서, 소리감지센서(70) 또는 접촉센서(72)와도 연동되며, 주변의 소리나 케이스본체의 접촉이 발생되었을 때, 구동장치(18)를 발동시킨다.The module 26 is a module generally applied to a driving toy, and interlocks with a sound sensor 70 or a contact sensor 72, and when a peripheral sound or a case body contact occurs, the driving device 18 Activates.

이와 더불어, 디스플레이패널이나 스피커를 발동시키며, 구동장치의 동작이나 디스플레이패널 및 스피커를 발동시키기 위하여 상시모듈에 설정되는 표정이나 음성의 연출은 따라 다수의 행동패턴 속성으로 설정되고, 이 영역에서 무작위로 추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or the speaker is actuated,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or the expression of the facial expression or voice set in the module to activate the display panel and the speaker are set according to a plurality of behavior patter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randomness in this area. Can be extract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뼉을 치거나 건드렸을 경우, 춤을 추거나 웃는 표정의 연출이나 화난 표정의 연출 등이 그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user claps or touches, it is a dance or a smiley expression or an angry expression.

또한, 상기 상시모듈은 성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소위 다마구치라 불리우는 전자애완동물에서의 제어모드로,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놀아주거나 먹이을 주거나 배변을 시키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와 구동완구와의 상호체계를 자연스럽게 유도시키는 기능이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odule may include a growth module, which is a control mode in an electronic pet called so-called Tamaguchi, which induces a user to play, feed or defecate periodically, thereby inducing a user with a driving toy. It is a function that naturally induces the interaction system.

다만, 본 발명에서 상시모듈은 모드 스위치(36)와 연결되어 그 발동의 제어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이것은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장치가 상시 휴대물품으로서, 휴대시 접촉센서(72)를 구동시키는 진동에 노출되거나 소리감지센서(70)를 구동시키는 소음환경에 노출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ways-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mode switch 36 and is set to allow the user to control the control of the actuation. This means that the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ways a portable article, and the touch sensor 72 when carrying This is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being exposed to the driving vibration or the noise environment driving the sound sensor 70.

한편, 착신모듈(28)에서는 이동통신수단의 착신시 이를 알려주는 모듈이며, 착신시 발생되는 전자파등을 감지하는 착신감지스위치(74)를 매개로 구동장치(18) 및 디스플레이패널(20)과 스피커(16)를 발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module 28 is a module for informing when rece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drive device 18 and the display panel 20 and the reception detection switch 74 for detec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when the incoming; Activate the speaker 16.

상기 구동장치만의 구동은 진동의 기능을 대체하며,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스피커를 통한 연출에서 종래와는 다른 입체적인 연출이 가능하다.The driving of the drive device only replaces the function of vibration,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production can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prior art through the display panel and the speaker.

특히, 상기 성장모듈과 유사한 패턴으로, 표정이나 음성의 연출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착신신호의 모니터링을 통해 착신신호 횟수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pattern similar to the growth module, the expression or voic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the monitoring of the incoming signal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coming signals.

즉, 10분을 단위시간으로 최초 평시표정(웃는표정)에서 10분 경과 후 착신신 호가 없으면, 지루한 표정을 연출하고 그 후 10분 경과 후에 슬픈표정과 다시 10분 경과 후 화난표정을 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re is no incoming call after 10 minutes in the initial calm expression (laughing expression) with 10 minutes as the unit time, you can produce a boring expression, and after 10 minutes sad expression and angry expression after 10 minutes. .

또한, 상기 단위시간내에 착신신호가 반복될 경우, 바쁜표정(땀흘리는 표정)의 연출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incoming signal is repeated within the unit tim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busy expression (a sweaty expression).

다음으로, 스케줄모듈(30)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스케줄에 따라 그 날짜 및 시각에 마추어 해당스케줄을 동작과 표정 및 음성으로 표시한다.Next, the schedule module 30 displays the corresponding schedule in motion, facial expression, and voice at the date and time according to a schedule set by the user.

이를 위해 제어모듈(24)에 전자달력모듈이 포함되며, 입력수단에는 메모리(34)로의 스케줄데이터 저장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An electronic calendar module is included in the control module 24 for this purpose, and an application is provided to the input means for storing schedule data into the memory 34.

어플리케이션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에 의해 제공되며, 일반적은 입력창으로서 다이어리 표시창 및 지정모드(50) 등이 제공된다.The application is provided by the server / client system 52, and a diary display window, a designated mode 50, and the like are generally provided as input windows.

상기 다이어리 표시창은 일반적인 것으로, 스케줄 날짜와 시각에 따라 문자로서 입력되며, 이동통신수단의 문자키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며, 통신포트와 케이블을 통해 메모리로 저장된다.The diary display window is general and is inputted as text according to a schedule date and time, inputted through a text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a keyboard of a personal computer, and stored in a memory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and a cable.

지정모드(50)는 예시도면 도 5 와 같이, 스케줄에 따라 그 연출을 달리하도록 출력상태를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스케줄의 중요도가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그 표출을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지정하기 위함이다.Designation mode 50 is to designate the output state to vary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as shown in Figure 5, this is the importance of the schedule can vary according to the user's arbitrary, the presentation of the user's To specify accordingly.

예를 들어, 거래처와의 미팅과 같은 중요하고 시급을 요하는 스케줄이 있을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반복되는 스케줄이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re may be important and urgent schedules such as meetings with customers, and there may be repeated schedules in daily life.

이러한 스케줄의 다양함 속에서 사용자는 스케줄의 중요도나 시급성에 따라, 음향과 음성 및 표정을 달리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지정모드(50)에서 그 표정을 급한표정이나 평시표정으로 지정하여 메모리로 저장토록 한 것이다.In such a variety of schedules, the user may output different sounds, voices, and faci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r urgency of the schedule, and designate the facial expressions as urgent or normal expressions in the designated mode 50 and store them in memory. It is so long.

따라서, 스케줄모듈에서 스케줄에 따른 날짜와 시각이 도래하면, 메모리로부터 입력된 스케줄을 스피커로 송출하며, 그전에 음향을 방출할 수도 있고, 스케줄의 송출은 동작과 연동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ate and time according to the schedule arrives in the schedule module, the schedule input from the memory may be transmitted to the speaker, and the sound may be emitted before that, and the transmission of the schedule may be linked with the operation.

또한, 상기 스케줄에 따른 표정은 음성이 송출되기 전의 표정이고, 스케줄의 스피커 송출은 문자/음성변환기를 통해 수행되며, 이 과정에서 출력모듈은 문자의 중성에 따라 표정의 입모양을 동시에 송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is the expression before the voice is sent, the speaker transmission of the schedule is performed through a text / voice converter, in this process the output module will simultaneously send out the mouth of th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neutrality of the text .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스케줄에 따라 음성이 송출되면서, 표정이 맞추어지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voice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chedule input by the user, and the expression is matched.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스케줄의 중요도에 따라 표정이 눈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연출된다.In addition, a facial expression is produced by a display that shows eyes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of a schedule designated by the user.

한편, 상기된 입력수단으로의 어플리케이션의 제공과 더불어, 제어모듈의 갱신을 위해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이 부가된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application to the input means described above, a server / client system 52 is added to update the control module.

이는 상기 표정의 연출에서 눈의 표정과 입의 표정에 따라 다양한 표정이 연출될 수 있고, 이것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없음을 감안하여 다양한 표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구동장치의 제어에 따른 행동의 변화역시 갱신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This is to produce a variety of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eyes and mouth in the direction of the expression,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select from among them by continuously providing a variety of expres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can not produce directly, This is because the change of behavior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e system also needs to be updated.

이를 위해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에서는 일반적인 웹사이트에 따라 브라우져 창이 제공되며, 갱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76)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erver / client system 52 provides a browser window according to a general website, and includes a database 76 for providing update information.

또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에서 사용자가 접속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거칠 수 있으며, 결제시스템(54)이 포함되어 서비스의 제공을 유료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 client system 52 may go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user to access, the payment system 54 is included to provide a service for a fe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장치는 휴대물품임에 비추어, 휴대물품에 따른 다른 편의장치가 조합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light of a portable article,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other convenient devices according to the portable article.

먼저, 휴대물품 중의 하나로 경호모듈(60)로서 경호용 경음기가 내장되며, 경호용 경음기는 긴급한 상황, 예를 들어 범죄의 상황에서 약 120db의 경호음을 방출하여 상대방을 심적 압박하는 수단이며, 고립 등의 상황에서는 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표시수단이 된다.First, as one of the portable goods, the security module 60 is built as a security horn, and the security horn is a means for releasing the alarm sound of about 120 db in an urgent situation, for example, a crime situation, to press the other person to the mental pressure. In such a situation, it becomes a display means for notifying others of their position.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장치는 이동통신수단과 일체로 휴대되는 것이고, 이동통신수단은 그 사용빈도에 비추어 사용자에게 가장 사용하기 용이한 위치로 휴대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integrally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carried in the position which is most convenient for the user in view of its frequency of use.

즉, 종래 경호용 경음기는 그 사용빈도에 비추어, 사용자의 특별한 주의가 없는 한, 휴대는 수행되지만 휴대위치는 무시될 수 있는 것에 그 근본이 있다.That is, in view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conventional security horn, unless there is special attention of the user, carrying is carried out but the carrying position can be ignor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빈도가 높아 휴대위치를 충분히 인식하고 바로 사용가능한 곳에 경호용 경음기가 상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frequency is high, the mobile horn can be always placed where the portable position is fully recognized and immediately available.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긴급스위치(62)를 조작하게 되면, 경호모듈(60)은 상기된 소음을 방출하기 위한 에너지를 전원수단(미도시)으로부터 인가받아 스피커를 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emergency switch 62, the security module 60 is to receive the energy for emitting the noise from the power supply means (not shown) to activate the speaker.

반면, 경호용 경음기의 상시 배치는 이것의 오조작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ant placement of the guard horn can cause its misoperation.

예를 들어, 이동통신수단의 휴대는 가방이나 주머니에 수행되는데, 긴급스위치의 직접노출은 상시 휴대대비 오조작의 역기능이 예상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carry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carried in a bag or a pocket, the direct exposure of the emergency switch is expected to be a reverse function of the wrong operation compared to the usual carrying.

이에 따라, 긴급스위치의 조건은 오조작을 방지함과 더불어, 긴급한 상황에서 패닉상태에 빠질 수 있는 사용자에게 조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간편한 조작위치와 크기를 제공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condition of the emergency switch should be provided with a simple operation position and size in order to prevent misoperation, and to provide ease of operation to the user who can panic in an emergency situation.

이러한 조건에서, 본 발명의 긴급스위치는 상기 모드 스위치와 별도로 마련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한 후 누를 수 있는 머리부분에 마련되며, 개폐커버(64) 내에 장착되어 있다.In this condition, the emergency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ode switch, for example, is provided in the head that can be pressed by the user easily, and is mounted in the opening / closing cover 64.

한편, 체온감지모듈(56)로서 체온계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간단한 건강체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고, 이 역시 이동통신수단과 일체로 휴대되는 인터페이스장치에 통합됨으로써, 상시 비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temperature sensor module 56 as a thermometer to detect the user's body temperature to perform a simple health check, this is also integrated into the interface device to be carri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t will be always available .

이를 위해 체온감지센서(58)가 설치되며, 이는 접촉식 온도센서로서 예를 들어 캐릭터의 돌출부인 팔이나 다리에 노출되어 장착됨이 바람직하고, 수납된 후 인출되는 방식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다.To this end, the body temperature sensor 58 is installed, which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arm or leg, which is a protruding part of the character, for example, as a contact temperature sensor, and may be adopted after being stored.

또한, 체온계를 통한 체온의 표시는 상기된 디스플레이패널(20)과 연동되며, 체온의 표시와 더불어, 표정이나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표시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of the body temperature through the thermometer is linked to the display panel 20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state of the user through the expression or operation, along with the display of the body temperature.

아울러, 일반적인 편의모듈로서, 알람모듈(68)이 적용되며 알람모듈은 일반적인 수단으로서 모드스위치(36) 및 내장된 시계모듈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general convenience module, the alarm module 68 is applied and the alarm module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ode switch 36 and the built-in clock module as a general means.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작용을 종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케이스본체(14)에는 모드스위치(3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 해 사용자는 케이스본체(14)로의 전원공급이나 각 모듈의 발동을 제어한다.The case body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de switch 36, through which the user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case body 14 or the actuation of each module.

상시모듈(26)은 평상시 사용자 상호의 오락성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뼉을 치거나, 케이스본체를 건드리는 경우, 구동장치가 발동되어 케이스본체가 작동되고, 여러가지 형태의 음향이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방출하게 된다.The module 26 always provides entertainment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a user claps or touches the case body, a driving device is activated to operate the case body, and various types of sounds or voices are provided. Emitted through the speaker.

이것은 사용자의 임의에 의하며, 특히 이동통신수단의 휴대시 상시모듈이 작동되지 않도록 상시모듈만의 작동제어를 모드스위치를 통해 제어하게 된다.This is at the user's discretion, and in particular,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module always is controlled through the mode switch so that the module is not always operat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is carried.

그리고, 이러한 상시모듈(26)은 다양한 연출로서 제공되며, 그 갱신을 위해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을 통해 상시모듈의 설정데이터를 제공받게 된다.In addition, the constant module 26 is provided as a variety of directing, and the setting data of the constant module is provided through the server / client system 52 for the update.

여기서, 케이스본체(14)와 이동통신수단(10)과의 체결은 일반적인 체결끈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며, 상기 이동통신수단과 통신을 위한 통신케이블 및 커넥터 자체가 체결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case body 14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may be fastened through a general fastening strap or the like, and the communication cable and the connector itself for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may be used as the fastening means.

다음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수단(10)으로 착신신호가 송달되는 경우 착신모듈(28)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하며, 이 신호는 디스플레이패널로의 표정연출이나 스피커로의 음향 및 음성의 송출이나 구동장치를 통한 케이스본체의 움직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조합일 수 있다.Next, when an incom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the receiving module 28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signal, which is a facial expression output to a display panel or sound and voice to a speaker. Or it may be any one or combination of the movement of the case body through the drive device.

한편, 입력수단인 이동통신수단(10) 또는 퍼스널컴퓨터(22)를 통해 스케줄모듈(30)로의 스케줄설정이 수행되며, 이동통신수단 또는 퍼스널컴퓨터를 입력수단으로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에 의해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the schedule setting to the schedule module 30 is perform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or the personal computer 22 which is an input means, and the applic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the personal computer as the input means is the server / client system. Provided by 52.

상기 입력수단에 어플리케이션이 발동되면, 스케줄모듈로의 스케줄입력을 가능케 하는 다이어리 표시창이 발동되고, 입력수단을 통해 메모리에 날짜와 시각에 따른 스케줄 입력이 가능해 진다.Whe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by the input means, a diary display window for enabling a schedule input to the schedule module is activated, and the schedule input according to the date and time is possible in the memory through the input means.

그리고, 스케줄의 중요도에 따라 지정모드(50)를 통해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정과 음향 또는 음성상태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에는 스케줄모듈을 발동하기 위한 전자달력모듈이 내장되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chedule, the expression mode, sound or voice state of the display panel may be designated through the designation mode 50, and the control module has an electronic calendar module for invoking the schedule module.

따라서, 스케줄이 도래하면,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각 출력수단을 발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chedule arrives, each output means is activated according to the user's designation.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수단의 외장품인 캐릭터 형상의 케이스본체에 스피커와 구동장치 및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한 출력수단을 마련하고, 이동통신수단 등을 입력수단으로 그 발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동통신수단에 마련된 부가기능을 외장장치가 직접담당하여 그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n output means through a speaker, a driving device and a display panel in the case body of the character shape that is the exteri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by controlling the actu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like as input means 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device directly takes charge of additional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e convenience thereof is increased.

특히, 캐릭터형상의 케이스본체와 연계되는 음성 및 표정이 연출되어 스케줄의 도래시 그 고지를 직접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하며, 휴대물품의 특성을 갖는 외장장치에 따라 편의장치로서 체온계와 경호용 경음기가 내장되어 그 사용이 편리하고 궁극적으로 외장장치의 상품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voice and facial expressions associated with the case body are directed to perform the notification directly and conveniently when the schedule arrives, and as a convenience device according to the external devic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table goods, the thermometer and the horn for the body are built in. It is convenient to use and ultimately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of the external device.

Claims (10)

이동통신수단의 장식체로서 사용되기 위하여 캐리터 형상의 케이스본체가 상기 이동통신수단과 체결되며, 상기 장식체를 통해 이동통수단의 착신을 고지하기 위한 제어모듈과 메모리를 포함한 음성출력수단이 케이스본체에 형성되고, 케이스본체의 제어모듈은 통신포트에 의해 이동통신수단과 퍼스털컴퓨터와 통신되는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에 있어서:Carrier-shaped case body is fasten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o be used as a deco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e voice output means including a control module and memory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through the decoration body The control module of the case body is formed in the extern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communic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personal computer by the communication port: 상기 캐릭터형성의 케이스본체(14)에는 이를 출력수단으로 음향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6)와 상기 케이스본체(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8)와 캐릭터의 표정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20)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모듈(24)에는 이동통신수단(10)의 착신시 이를 고지하는 착신모듈(28)과 함께, 전자달력모드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본체(14)와 통신되는 이동통신수단 또는 퍼스널컴퓨터를 입력수단수단으로 이를 통해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20)을 통한 표정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을 스피커(16)로 출력하는 스케줄 모듈(30)과, 상기 전자달력모듈과 연동되어 모드스위치(36)로부터의 설정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20)을 통한 표정과 사용자가 설정한 음성을 스피커(16)로 출력하는 알람모드(68)와, 제어모듈의 입력단에 체온감지센서(58)가 설치되고 메모리에는 체온감지모듈에 따라 인체체온에 대해 상기 출력모듈로 표정과 음향 또는 음성과 동작으로 건강상태를 연출하는 데이터속성이 설정된 체온측정모듈(56)과, 상기 제어모듈(24)의 입력단에 조작수단으로 긴급스위치(62)가 연결되고 이 긴급스위치(62)의 조작시 별도의 경음이 방출되도록 스피커(16)를 발동시키는 경호모듈과(60) 및, 상기 각 모듈의 출력에 따라 음성 및 표정을 연산출력하는 출력모듈(32)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The case body 14 of the character formation includes a speaker 16 for outputting sound or voice as an output means, a driving device 18 for driving the case body 14, and an expression or character of the character. A display panel 20 is included, and the control module 24 communicates with the case main body 14 including an electronic calendar mode together with a reception module 28 for notifying the rece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10. A schedule module 30 for outputting a facial expression through the display panel 20 and a voice set by the user to the speaker 16 according to a schedule s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or the personal computer as an input means means, and the electronic calendar The alarm mode 68 outputs the expression through the display panel 20 and the voice set by the user to the speaker 16 by interlocking with the module and the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The temperature sensor module 58 is installed in the memory, and the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56 has a data attribute set to produce a health state by the expression, sound, voice, and motion with the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body temperature sensing module in the memory. An emergency switch 62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control module 24 as an operation means, and a security module 60 for activating the speaker 16 to emit a separate alarm when the emergency switch 62 is operated, and Extern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module 32 for calculating the output of the voice and facial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each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수단은 케이스본체(14) 자체에 제어모듈(24)의 작동과 전원공급의 제어를 위한 모드스위치(36)를 별도로 포함하며, 모드스위치(36)는 케이스본체(14)에 홈부(38)가 형성되고, 이 홈부(38)에 개페커버(40)에 의해 수납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means separately includes a mode switch (36)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module (24) and the control of power supply in the case body (14) itself, and the mode switch (36) is the case body (14). External groov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portion (38) is formed, and provided in the groove portion (38) to be accommodated by the opening cover (4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모듈(32)은 사용자가 문자로 입력한 사항을 음성으로 연출하는 문자/음성변환모듈이 포함되어지되, 출력모듈(32)에는 문자/음성의 변환시 이를 감지하여 그 문자의 중성에 따라 입모양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48)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module 32 includes a text / voice conversion module for directing the user inputs the text to the text, the output module 32 detects this when converting the text / voice and the text Extern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mouth according to the neutral. 제 1 항에 있어서, 스케줄모듈(30)은 이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52)을 통해 날짜와 시각에 대한 다이어리 표시창이 제공되며 이 다이어리 표시창에는 스케줄에 대한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정을 지정하는 입력수단으로 지정모드(50)가 별도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The diary display window for the date and time is provided through the server / client system 52 as an application of an input means for manipulating the diary display window. Externa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ignated mode 50 is set separately as an input means for specifying the facial expres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긴급스위치(62)는 케이스본체(14)에 개패커버(64)를 매개로 홈부(66)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수단의 외장장치.The external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mergency switch (62) is installed in the groove part (66) via the cover cover (64) on the case body (14). (삭제)(delete)
KR1020040076412A 2004-09-23 2004-09-23 Accessory for Mobile-Phone KR1006931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412A KR100693124B1 (en) 2004-09-23 2004-09-23 Accessory for Mobi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412A KR100693124B1 (en) 2004-09-23 2004-09-23 Accessory for Mobi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63A KR20060027563A (en) 2006-03-28
KR100693124B1 true KR100693124B1 (en) 2007-03-13

Family

ID=3713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412A KR100693124B1 (en) 2004-09-23 2004-09-23 Accessory for Mobi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02B1 (en) 2006-09-26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key input in a wireless mobile teminal with a removable ca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65Y1 (en) 2000-04-27 2000-09-15 주식회사진성무역 Doll have a signal come to a handphone
KR200267300Y1 (en) 1999-05-13 2002-03-09 오오바 쥰 Incoming call reporting toy
KR20020080817A (en) * 2001-04-18 2002-10-26 모바일미디어텍(주) The interface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system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rcuit in a mobile information appliance.
KR100359272B1 (en) * 2000-05-16 2002-11-07 조석현 Cellular Phone for a Character
KR20050025725A (en) * 2003-09-08 2005-03-14 홍승진 Portable terminal with intelligent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00Y1 (en) 1999-05-13 2002-03-09 오오바 쥰 Incoming call reporting toy
KR200196565Y1 (en) 2000-04-27 2000-09-15 주식회사진성무역 Doll have a signal come to a handphone
KR100359272B1 (en) * 2000-05-16 2002-11-07 조석현 Cellular Phone for a Character
KR20020080817A (en) * 2001-04-18 2002-10-26 모바일미디어텍(주) The interface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system circuit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rcuit in a mobile information appliance.
KR20050025725A (en) * 2003-09-08 2005-03-14 홍승진 Portable terminal with intelligent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3592720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563A (en)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8202B2 (en)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user's body
KR101008085B1 (en) Robot system and robot apparatus control method
CN105814510B (en) Band body attachment mechanism with haptic response
CN100583007C (en) Movable device with surface display information and interaction function
JP430817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814627B2 (en) Toy set, game control program, and game device and toy communication system
CN103877727B (en) A kind of by mobile phone control and the electronic pet that interacted by mobile phone
JP2007133698A (en) Portable terminal
JP2008279165A (en) Toy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N1710921A (en) Call-in prompting apparatus and method
Yonezawa et al. Context-aware sensor-doll as a music expression device
CN101406752B (en) Interactive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KR100693124B1 (en) Accessory for Mobile-Phone
JP4284989B2 (en) Speech analyzer
CN107027340A (en) Wearable electronic system
JPH11331407A (en) Signal converter
CN207444429U (en) Intelligent bracelet
CN210348929U (en) Intelligent glove and user communication intelligent auxiliary system
CN210040016U (en) Intelligent glove and user communication intelligent auxiliary system
CN208971600U (en) A kind of police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 of clothes display screen
JP4609944B2 (en) Braille-compatibl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Braille information transmission board
JP2020046666A (en) Finger Braille system and Finger Braille device
CN213347742U (en) Mobile phone type VR handle interaction device
KR20070031251A (en) A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emotion expression function
EP4080329A1 (en) Wearable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n ear-wor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