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960B1 - 코드 정의와 입력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중개 방법과 이로부터 파생된 부가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 정의와 입력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중개 방법과 이로부터 파생된 부가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960B1
KR100692960B1 KR1020030052537A KR20030052537A KR100692960B1 KR 100692960 B1 KR100692960 B1 KR 100692960B1 KR 1020030052537 A KR1020030052537 A KR 1020030052537A KR 20030052537 A KR20030052537 A KR 20030052537A KR 100692960 B1 KR100692960 B1 KR 10069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user
ability
post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082A (ko
Inventor
오승환
Original Assignee
오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환 filed Critical 오승환
Priority to KR102003005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9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96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과 같은, 이동전화 단말 기능이 내장된 모바일 기기로 이루어지는 중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메뉴 형태의 방식을 대폭 간소화시킴과 아울러 다양한 응용까지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즉, 중개의 대상이 되는 것들을 같은 종류끼리 분류하여 각각 특정한 코드 번호 또는 이름을 부여한 뒤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그 사용자와 동일한 구역, 동일한 코드에 해당되는 내용만을 전달하여 그 내용을 게시한 자와 직접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모바일 기기 사용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는, 미리 정의된 특정한 코드 번호 또는 이름(예 : 079 - 친구찾기)을 입력하면 서비스 서버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게시물들 중에서 게시물의 등록자가 위치 정보 시스템상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구역에 있으면서 사용자가 입력한 코드와 동일한 것들만을 전송받아 열람한 후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당사자의 게시물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그 당사자에게 직접 전화 연결 또는 문자 메시지 송신을 가능하게 하여 매우 단순한 절차만으로 인접한 사람들 간의 다양한 성격의 중개를 하나의 형식으로 도모하는 방법이다.
또한, 사업자가 특정인에게 특정 코드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임대하는 방법으로 중개 이외의 목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신이 위치하지 않은 구역의 게시물 검색과 등록, 다른 유, 무선 전화 번호의 등록, 그리고 유선 인터넷 연계 등과 같은 부가적인 방법들이 포함된다면 서비스의 폭을 더욱 넓힐 수 있다.
위치 정보, 코드, 모바일, 중개

Description

코드 정의와 입력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중개 방법과 이로부터 파생된 부가 서비스 방법 {The mobile intermediation and additional service method with code definition, code input and location information}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에서의 단계별 서비스 구현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의 기본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사용자의 근접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재화나 용역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를 즉시 연결시켜 주는 방법과 그로 인해 파생될 수 있는 부가적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바일이라 함은 이동전화 단말기나 이동전화 기능이 내장된 휴대 기기(PDA, 웹패드) 등을 통칭하는 것이다.
기존에 모바일 기기로 이루어지는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의 경우 재화나 용역 등의 제공자는 이동통신업체와 같은 사업자가 미리 지정한 특정한 절차에 따라 서비스 이용 신청을 하거나 아니면 사업자로부터 임의로 선택됨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들은 사업자가 분류한 기준 내에서, 사업자가 등록한 재화나 용역 등의 제공자들 중에서만 자신이 원하는 대상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자신이 위치한 주변의 음식점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경우 그 주변의 대부분의 음식점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등록 또는 허가한 일부 업체만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극히 좁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의 경우 여러 차례의 선택 과정을 거쳐 점점 자신이 원하는 대상에 접근하는 다단계의 메뉴 방식을 이용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음식점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서비스 접속 - 찾기 - 문화, 생활 - 음식점 - 중식점 - OO 중식점 등의 순서와 같이 5, 6 단계를 거쳐야 하며 서비스에 따라서는 전화 연결을 위해서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리고, 특정 분야에만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어서 응용이 매우 제한되어 있다. 이를테면,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면서 뜻이 맞는 친구를 찾으려는 행위와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찾으려는 행위는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특정한 상대를 찾는다는 점에서 목적과 구성이 동일하나 실제 이같은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친구 찾기 서비스와 물물 교환 서비스를 각각 이용해야 한다.
현재 채택되고 있는 이와 같은 방법은 이동통신업체와 같은 사업자가 허가 내지는 파악한 자들만으로 재화나 용역 등의 제공자를 매우 제한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고 그 결과 극히 한정된 정보만을 제공하게 됨으로 사용자 역시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동기를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의 경우 다단계의 메뉴 방식을 이용하게 되어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일부 사람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오랜 시간과 조작의 번거로움을 안겨 주고 있기도 하다.
또한, 비슷한 목적과 구성의 서비스들끼리도 상호 호환이나 응용이 전혀 안 되므로 사용자는 여러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와 사용법을 숙지하고 또 각 서비스에 가입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도, 보다 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면 사생활 보호라는 측면에서 문제의 소지를 가질 염려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우선, 재화나 용역 등의 제공자가 자발적으로 등록을 하기 때문에 매우 광범위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공자의 필요에 의해 그 때 그 때 내용을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항상 최신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다단계 메뉴 방식이 아니라 코드 입력이라는 간편한 방식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이전보다 훨씬 손쉽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본 서비스 하나로 가까운 지역 내의 특정한 상대를 찾는 목적과 구성을 갖고 있는 서비스의 대부분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본 서비스 하나만 가입하고 활용할 줄 알면 된다. 다시 말해서, 위치 관련 서비스의 통합을 이루게 된다.
마지막으로, 재화나 용역 등의 제공자의 자발적인 등록으로 본 서비스의 정보가 구성되므로 사생활의 침해의 염려가 전혀 없다.
결국 이러한 장점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위치 관련 서비스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동기를 부여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서 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특정한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한다. (모바일 기기에 미리 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키를 내장시켰거나 WIPI나 Brew 등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 또는 그러한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아이콘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전제로 하며 그러한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경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본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 정보 시스템상 자신이 속한 구역에서 선택할 수 있는 코드들이 나열된다.
여기서 말하는 구역의 더 정확한 의미는, 본 서비스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그 위치에 해당하는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지역을 구분할 때 그 구분된 각각을 말하는 것으로서 각 구역의 설정 기준은 위치 측정 기술이나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잇다. 다만, 현재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위치 측정 기술이 기지국 중심의 Cell-ID 방식이므로 각 Cell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향후 GPS와 같은 더 정밀한 위치 측정 기술이 보편화된다면 각 사용자의 반경이나 주변 정보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역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코드라 함은 사용자들이 재화나 용역 등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특정한 용도를 위해 등록한 게시물을 그 특정한 용도별로 분류했을 때 그 용도를 나타내는 일종의 색인어로 번호와 간단한 단어의 형태로 표현된다.
이 코드들이 나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특정한 코드 이름 또는 그 코드에 해당하는 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열거된 코드들을 열람하여 자신이 원하는 코드를 선택한다. 그러면 그 코드로 이미 분류되어 있으면서, 위치 정보 시스템상 자신이 속한 구역에 현재 위치해 있는 자가 등록한 게시물들이 열거된다. 이 때, 그 게시물들 중에서 어떤 게시물의 등록자와 의사 교환을 원한다면 그 게시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즉시 그 게시물의 등록자에게 전화를 하거나 문자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자신의 게시물, 사실상 자신이 지금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를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 게시물 열람 단계에서 게시물을 선택하는 대신 등록의 기능을 하는 특정한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여 어떤 재화나 용역 등을 제공하겠다는 의사 표시와 같은 내용을 입력한다. 입력 단계가 완료되면 자신의 게시물이 이미 선택했던 코드로 분류되어 등록된다.
(참고로, 여기서 게시물이라 함은 일반 웹 환경의, 입력시에는 제목과 내용을 분리하여 입력하고 열람시에는 게시물들의 제목만이 열거되어 그 중 하나를 선택했을 때 그 제목하의 내용을 열람하는 형식의 게시물이 아니라 입력시에는 짧은 길이의 내용만을 입력하고 열람시에는 그 내용이 직접 보여지는 형식의 게시물로서 사용자가 보기에는 마치 한 줄 메모들이 열거되어 있는 모습이 된다. 따라서, 게시물을 선택하면 다시 상세한 내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바로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 송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제목과 내용을 분리하여 입력하게 한다면 이 경우에는 게시물의 제목 하의 내용을 열람할 때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 송신의 기능을 별도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서비스 시작 - 코드 열람, 선택 - 게시물 열람, 선택(통화, 문자 메시지 전송) 또는 게시물 등록의 3단계 과정만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한 구역 내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재화나 용역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상대와 신속한 연결이 가능하거나 자신이 위치한 구역 내의 사람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재화나 용역 등에 대해 알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공급자와 수요자 각각의 입장에서 위의 절차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면,
우선 수요자는 모바일 기기에서 특정한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여 본 서비스 이용을 시작한다. 그러면 수요자의 현 위치에서 선택할 수 있는 모든 코드 번호와 그 코드의 이름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 나열된다.
예를 들어, 001-한식점, 002-중식점, 003-일식점, ... , 079-친구찾기, ... 119-긴급구난, ...등과 같은 모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중 자신이 필요로 하는 코드를 선택한다. 선택 방법으로는 코드 이름이나 코드 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찾는 방법과 모바일 기기의 커서키를 이용하여 찾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직접 입력 방법의 경우 입력되고 있는 문자나 숫자와 철자상 가장 가까운 코드에 자동으로 근접하게 함으로 코드의 종류가 아무리 많아도 코드의 용도와 관련된 간단한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어렵지 않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고 자주 사용하는 코드는 아예 그 코드 번호를 기억하고 있음으로 차후에 더욱 빠른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기 집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직장을 구하고 있으며 구인의 용도로 쓰이는 코드가 ‘구인’이라는 이름의 77번 코드라고 가정을 하면 그는 직접 문자키로 '구인'을 입력하거나 숫자키로 '077'을 입력하든지 아니면 커서키로 77번째 코드인 '구인'으로 이동하여 [077-구인]이라는 코드를 선택한다. [도면 1 - 1 참조]
이러한 방법으로 [077-구인] 코드를 선택하면 다시 서비스 서버로부터 모바일 기기로 위치 정보 시스템상 자신이 속한 구역에 현재 위치해 있는 자가 등록한 게시물들 중에서 [077-구인]이라는 코드로 분류된 것들만 전송되어 일련 번호와 함께 정렬되어 표시된다. [도면 1 - 2 참조]
그러면, 그는 자기 구역 내의 구인 관련 게시물들만을 열람하게 되며 그 중 자신이 관심있는 게시물을 선택하면 즉시 그 게시물의 등록자와 전화가 연결되고, 선택을 할 때 선택 기능에 해당하는 키나 아이콘 대신 메시지 기능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면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입력 창이 떠서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이 때, 게시물을 선택하는 방법 역시 게시물 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과 커서키로 이동하는 방법을 병행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목적과 관련 있는 코드를 수요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선택한 뒤 게시물 열람 단계에서 등록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한다. 그렇게 해서 입력 창이 뜨면 알리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고, 등록 기간과 같은 부가 사항을 추가로 입력하여, 입력 단계를 완료하면 자신의 게시물이 이미 선택했던 코드로 자동 분류되어, 정한 기간만큼, 서비스 서버에 등록된다. [도면 1 - 3 참조]
물론, 이 때 서비스 서버에는 게시물 외에 공급자의 전화 번호를 비롯한 관련 정보도 함께 등록되겠지만 사용자에게는 공개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아래에 기술될 일반 PC 등에서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고려하는 등의 이유로 공개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부분을 추가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입력 창에 입력할 수 있는 글의 길이는 모바일 기기 화면의 크기와 서버의 저장 용량 문제 등으로 인해 매우 짧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게시물 등록시 자신이 등록한 구역의 범위를 지도 서비스로 확인하게 할 수도 있으나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적인 제약으로 인한 서비스 속도의 저하를 감안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 동일한 내용을 가진 게시물의 중복 등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1명당 동일한 코드에 등록할 수 있는 게시물 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급자가 자신의 목적을 완료하여 더 이상 게시물이 등록되어 있을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위의 등록 단계에서 자신이 등록한 게시물 중 삭제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동한 다음 ‘CLR’과 같은 삭제 기능의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신이 등록한 게시물이 삭제된다. 만약, 다른 사람의 게시물을 삭제하고자 할 때는 당연히 경고 신호를 내보내게 된다. 마찬가지로, 자신이 등록한 게시물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위의 등록 단계에서 자신이 등록한 게시물 중 수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동한 다음 수정 기능의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신이 등록한 게시물을 수정하게 되며 다른 사람의 게시물일 경우에 역시 경고 신호를 내보내게 된다.
만약, 게시물의 등록, 수정, 삭제시 문제가 발생했다면 서비스 서버는 다시 해당 작업을 수행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
그리고, 게시물의 등록, 수정, 삭제 등이 완료되면 이전의 단계로 돌아갈 수 있는 기능의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여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다시 코드 입력, 선택을 하거나 게시물을 열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서비스의 이용을 종료하고자 한다면 종료 기능의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여 안전하게 접속을 해지하게 된다.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서비스 기본 요금이나 서비스 접속 시간에 따른 이용 요금과 같은 서비스 이용료 외에 게시물의 등록 요금을 부과할 수 있고 이 때 등록 구역별로, 코드별로 요금을 차등하게 적용할 수도 있으며 등록 기간에 따라, 등록 건수에 따라 각각 추가 요금을 부과하여 수입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사업자가 이동통신업체일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 시간만큼의 전화 요금이 별도로 가산되고 전화 연결이나 문자 메시지 전송시 다시 한 번 요금 부과 상황이 발생하므로 수익성이 대단히 높다. (사업자에 따라서는 이러한 전화 이용 요금을 더 기대하고 서비스 관련 요금은 낮게 또는 전혀 책정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코드는 그 성격에 따라 사업자측에서 코드 이름과 코드 번호를 고정시켜 둔 기본 코드와 특정한 사람들에게 그 코드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임대한 특별 코드로 나눌 수 있다.
기본 코드는 사용자들이 빈번히 사용할 만한 코드들을 미리 특정한 코드 이름과 코드 번호로 고정시켜 둔 것으로서 이 서비스를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코드를 쉽게 찾도록 도와주고 동시에 어느 구역에 위치해 있든지 동일한 이름과 번호로 찾을 수 있으므로 이 서비스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게끔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중국 음식점이 '002'의 코드 번호로 고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그 사실을 알고 있다면 그는 어느 지역에 가든지 이 서비스를 이용할 때 '002'만 입력하면 즉시 자신이 위치한 구역에 있는 중국 음식점들의 전화 번호를 찾을 수 있게 되는 매우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기본 코드 중 일부에는 특별한 용도를 정해 두지 않는 것으로 정의하여 응용의 폭을 넓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코드 401부터 500까지 용도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코드의 영역이고 어떤 서클 회원들이 그 중 항상 475를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그들은 어느 곳에서 모이든 모임 장소 부근에 도착하여 코드 475만 입력하면 코드 475에 속한 게시물들 중에서 같은 서클 회원들이 등록한 게시물을 찾아서 쉽게 연락할 수 있다. 또, 평소에도 같은 서클 회원 중에서 현재 자신과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을 발견하게 된다면 즉각적으로 친목을 도모할 수 있다.
특별 코드는 임의의 개인이나 단체가 자신들의 특별한 목적을 위해 일정 수수료를 지불하고 일정 기간 동안의 독점적인 권리를 획득한 특정 코드로서 권리를 획득한 자는 자신이 원하는 코드 이름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들의 게시물의 열람과 등록을 제한할 수 있는 것과 같은 권리를 가진다.
이 때, 열람이나 등록을 제한하는 방법으로는 특정한 비밀 번호를 입력하게 하거나 열람이나 등록의 제한과 관련된 정보를 미리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여 그 정보에 따라 열람과 등록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있다. 비밀 번호의 설정이나 게시물의 열람, 등록의 제한과 관련된 설정 작업은 코드에 대한 권리를 획득한 자가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하게 할 수도 있고 별도의 특정한 절차를 거치게끔 할 수도 있다.
한편, 이 특별 코드에는 하나의 구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광역적,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만약, 다수의 구역에서 사용하고자 한다면 각 구역마다 권리를 획득하면 된다. (향후 위치 측정 기술의 발달로 가변적인 구역의 설정이 가능할 경우 구역 단위별 임대는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특별 코드의 활용 방안의 예를 들자면,
어떤 지역 정보지 업체가 특정 코드 번호 '567'과 코드 이름 'XX 정보'를 그 업체가 위치한 구역에서만 사용하기로 사업자에게 신청하여 그에 대한 권리를 획득하고 게시물의 열람과 등록이 가능한 직원들의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였다면, 그 구역 내의 사용자들은 코드 열람시 [567-XX 정보] 라는 코드를 보게 되지만 그 코드의 게시물을 열람하거나 등록할 수는 없다. 그러나, 위 업체 직원들은 별다른 조작 없이 자유롭게 그 코드의 게시물을 열람하고 등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위 업체는 그들이 위치한 구역 내에서 간단한 자체 연락망이나 게시판을 하나 갖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어떤 대형 가전 업체가 자사 제품의 A/S를 위해 '890'이라는 코드를 전국적으로 사용하기로 사업자에게 신청하여 그에 대한 권리를 획득하고 게시물 등록에 대해서만 비밀 번호 입력의 제한을 두면서 자사의 가맹 수리 업체나 수리 요원의 전화 번호, 즉 게시물을 ‘890’ 코드로 등록시켜 놓으면 소비자는 A/S가 필요할 때 본 서비스에서 '890' 코드를 선택만 하면 현재 그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가맹 수리 업체나 수리 요원을 손쉽게 찾아 연락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소비자는 게시물의 열람만 할 수 있으며 등록을 시도할 경우 비밀 번호 입력이 요구될 것이다. 그리고,‘890’ 코드 선택시 서비스 이용 요금은 업체측에서 부담하는 형태가 일반적일 것이다.
한편, 모바일 플랫폼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라서는 코드 목록을 아예 모바일 기기에 저장시킴으로 서버의 부담을 덜고 불필요한 전송을 줄일 수도 있는데 본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제작된 프로그램에 기본 코드들은 미리 내장시킨다거나 서비스를 처음 이용할 때 전송받은 모든 코드 목록을 저장해 두었다가 차후 본 서비스를 이용할 때 추가된 코드나 변동 사항이 있는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코드만 갱신하여 코드 목록을 바로 보여줌으로 그렇게 할 수 있다.
참고로, 기본 코드와 특별 코드, 그리고 특별 코드 중에서 다시 한 구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광역적, 전국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등에 배당될 수 있는 코드 번호의 범위를 각각 미리 정해두고 기본 코드 중 자주 사용되어지는 코드에는 두 자릿수 이내의 기억하기 쉬운 번호를, 긴급 구난이나 범인 수배 등과 같은 공익성이 강한 용도의 코드에는 차후 어떠한 코드 번호의 확장이나 변동에도 영향을 받지 않게 다른 코드와는 매우 구별되거나 특징적인 번호를 배당하는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할 것이다.
그런데, 본 서비스의 경우 자신이 위치한 구역 내에서만 대상을 찾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서비스 사업자에 따라서는 다른 구역에서도 대상을 찾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특정 지역 지정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여 특정 지역을 입력하거나 선택하면, 그 지역에 해당되는 구역의 코드와 게시물을 열람, 선택할 수 있게 되는 부분을 추가할 수 있다.
특정 지역을 입력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주소 직접 입력, 메뉴 입력, 지도 검색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직접 입력의 경우 정확한 주소명이나 동(洞)과 같은 소규모 단위의 주소를 입력하면 현재 그 주소에 가장 근접한 구역의 코드 정보를 보여주게 하고 메뉴 입력의 경우 '서울-서초구-서초동'과 같이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점차 좁은 범위의 지역을 선택해 가면서 자신이 원하는 구역을 찾아 코드 정보를 열람하게 하며 지도 검색의 경우 자신이 위치한 지점을 중심으로 지도가 표시되고 나서 커서키를 이용해 자신이 원하는 구역으로 이동한 뒤 선택 기능의 키를 누르거나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구역의 코드 정보를 보여주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신이 위치하지 않은 다른 구역의 게시물 열람이나 선택의 경우와는 달리 다른 구역에 등록을 하거나 여러 구역에 동시 등록을 하는 것은, 특정 지역을 입력하고 나서 게시물 등록을 할 때 또는 별도의 특정한 절차에 따라 다른 구역 등록 신청을 할 때 위치 시스템 상에 가상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그 구역에 고정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가능할 수는 있겠으나 게시물의 무분별한 등록이나 서버의 부담 등을 고려하여 다른 구역 등록은 제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게시물 등록자가 자신의 게시물이 선택되었을 때 자신이 등록 당시 사용한 모바일 기기가 아닌 다른 유,무선 전화로 연결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게시물 등록과 같은 단계에 다른 전화 번호를 등록하는 부분을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가까운 구역만을 염두에 둔 사용자의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다른 유, 무선 전화 번호의 등록을 원할 경우에는 별도의 특정한 신청 절차를 통해서만 등록하게끔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특정한 신청 절차 중 하나로 다른 유선 전화 번호 등록의 경우 등록을 원하는 자가 ARS를 통해 코드와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허용된 범위 내에서(예를 들어, 전화 번호부 정보 수준) 그 전화 번호의 가입자 신원과 주소를 확인한 뒤 그 가입자의 이름이나 정보를 내용으로 하는 게시물을 그 주소에 해당하는 구역으로 입력받은 코드, 유선 전화 번호와 함께 고정적으로 등록시키는 방법이 있다.
한편, 본 서비스는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접속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일반 PC 등에서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함으로 활용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시물 열람시 - 게시물 등록 단계에 전화 번호 공개 여부 선택 부분이 있을 경우 - 게시물의 전화 번호 공개 여부에 따라 그 게시물을 선택할 때 등록자의 전화 번호만 확인할 수 있게 하거나, 인터넷 전화 방식을 이용하여 전화 연결, 문자 메시지 전송을 하게 할 수 있으며 구역 확인과 같은 지도를 이용한 서비스도 훨씬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등록되는 전화 번호를 설정하는 부분이나 게시물 등록의 단계에서 별도의 전화 번호를 등록하는 부분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
이렇게 다른 유, 무선 전화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본 서비스를 유선 인터넷과 연계하여 일반 PC 등에서도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였을 때 활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보면,
중국 음식점의 경우 보통 모바일 기기가 아니라 유선 전화로 주문을 받는다. 따라서, 어떤 중국 음식점이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유선 전화로 주문을 받고 싶다면 ARS를 통한 유선 전화 번호 신청 절차를 거쳐 그들의 상호와 유선 전화 번호를 자동으로 등록할 수도 있고 일반 PC로 본 서비스에 접속하여 광고성 게시물을 등록하면서 전화 번호 등록을 할 때 주문을 받는 유선 전화 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다른 구역 등록까지 가능하다면 그들이 등록한 구역을 일반 PC에서 지도 서비스 등으로 확인하여 배달 범위와 차이가 있을 경우 다른 여러 개의 구역에 추가로 자신의 유선 전화 번호를 등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구역 설정 단위를 Cell-ID 방식의 Cell 단위로 하면 각 Cell마다 크기도 다르고 사용자가 Cell의 가장자리 또는 여러 Cell의 교차 지점에 위치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게시물을 열람할 때 각 Cell의 크기나 주변 Cell의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이 위치한 Cell 뿐만 아니라 그 인접한 Cell의 게시물까지 전송하여 열람과 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른 구역 동시 등록의 필요성도 낮아질 것이다. (구역 단위로 사용되는 특별 코드의 경우에는 이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본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기기나 PC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본 정보나 사용 환경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게 한다면 더 편리하고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코드만으로 코드 목록을 구성한다거나, 항상 다른 유, 무선 전화 번호 등록을 해야 한다면 기본적으로 등록되는 전화 번호를 변경하여 매번 반복되는 번거로운 작업을 피할 수도 있으며, 전화 번호의 공개 여부도 기본 정보에서 한 번만 설정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서버가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코드의 게시물의 열람과 등록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방법이 매우 유용하다. 이를테면, 성별과 연령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여성 전용의 코드나 10대 전용의 코드 등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에 따라 요금을 차등하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특별 코드의 경우에 이 방법을 적용하여 특정 코드의 게시물의 열람이나 등록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의 기본 정보에 미리 저장하고 서비스 접속시에 그 정보만 확인한다면 굳이 비밀 번호 입력이나 서비스 서버에 게시물의 열람이나 등록과 관련된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것과 같은 과정이 필요 없다. 그러나,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허위로 설정하여 발생하는 피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성별, 나이 등과 같은 기초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최초 이용시에 사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하는 방식을 택할 수도 있다.
또한, 이처럼 사용자 정보를 미리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업체와 같은 사업자라면 모바일 기기나 일반 PC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서비스 접속시에 서버에 저장된 그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코드의 게시물의 열람과 등록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서비스는 우선 재화나 용역 등을 제공할 의사가 있는 사용자가 직접 게시를 하게 되므로 사업자측에서 대규모적인 비용을 들여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오히려, 절대 다수의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참여하는 것이 되므로 사업자측에서 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절차가 3단계로 마무리되는 장점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용하기에 매우 간편하며 정보의 갱신도 매우 자발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게시한 것이므로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없으며 코드의 정의에 따라 옐로 페이지, 친구찾기, 물물교환, 구인구직, 광고홍보, 사내 연락망으로 활용, 영업 수단으로 활용, 범인 수배 등 다양한 형태의 활용이 가능하다.
더구나, 여러 가지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기억하고 이용할 필요 없이 본 서비스 하나만 활용하면 대부분의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이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자연스럽게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자체도 향상된다. 그 결과, 위치 기반 서비스의 활성화가 이루어진다.

Claims (14)

  1.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중개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게시물을 그 용도에 따라 분류하기 위한 특정한 코드, 즉 단어나 숫자로 표현되는 색인어를 정의해 두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각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그 위치에 해당하는 범위를 한정하는 기준인 각 구역을 설정하는 단계,
    재화나 용역 등의 제공자가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의 코드들을 열람하고 그 중 자신의 목적에 부합하는 특정한 코드를 선택한 다음 자신이 알리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면 제공자가 선택한 코드와 작성된 게시물의 내용, 제공자가 사용한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여 그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와 함께 일괄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재화나 용역 등의 수요자가 모바일 기기에서 상기의 코드들을 열람하고 그 중 자신의 목적에 부합하는 특정한 코드를 선택하면 수요자가 선택한 코드와 수요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를 서비스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는 수요자가 송신한 코드와 수요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게시물 중 그 등록자가 사용한 모바일 기기가 위치 정보 시스템상 수요자가 속한 구역에 현재 위치하고 있으면서 수요자가 송신한 것과 동일한 코드와 함께 저장된 것을 그 등록자가 사용한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 정보와 함께 수요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재화나 용역 등의 수요자가 모바일 기기에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그 등록자가 사용한 모바일 기기가 위치 정보 시스템상 수요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가 속한 구역에 현재 위치하고 있으면서 수요자가 선택한 것과 동일한 코드와 함께 저장된 게시물들을 열람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할 때 그 게시물의 등록자가 사용한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그와 전화 연결 내지는 문자 메시지 송신을 하는 단계,
    상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중개 방법.
  2. 1항에 있어서,
    서비스 사업자가 상기의 코드 중 일부를 특정한 자가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임대하면 그 특정한 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서버가 그 코드를 가진 게시물에 한해서 사용자들의 열람과 등록을 제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2항에 있어서,
    서비스 사업자가 코드를 특정한 자에게 임대할 때 그 코드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구역의 범위를 그 특정한 자가 선택하게 하고, 그 범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여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게시물 중에서 그 범위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와 그 특정한 자가 임차한 코드를 가진 것들의 열람과 등록을 제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1항에 있어서,
    재화나 용역 등의 수요자가 모바일 기기에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그 등록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가 위치 정보 시스템상 수요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가 속한 구역에 현재 위치하고 있으면서 수요자가 선택한 것과 동일한 코드와 함께 저장된 게시물들을 열람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할 때 그 게시물의 등록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전화 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즉시 그와 전화 연결 내지는 문자 메시지 송신을 하는 단계에서 그 게시물의 등록자가 등록할 때 사용한 모바일 기기가 아닌 다른 유, 무선 전화로 연결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1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가 ARS 방식을 통해 재화나 용역의 제공자로부터 그들이 원하는 코드와 전화 번호를 입력받으면 그 전화 번호의 가입자 신원과 주소를 확인하여 그 가입자의 이름이나 정보를 내용으로 하는 게시물을 입력받은 코드와 전화 번호, 그리고 그의 주소에 해당하는 구역의 위치 정보와 함께 서비스 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2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특정 코드를 가진 게시물의 열람과 등록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때, 서비스 가입자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특정 코드의 제한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모바일 기기로 전송받아 저장한 후 그 이후부터는 모바일 기기에서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기 이전 단계에서 코드의 열람과 등록을 제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1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서 각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그 위치에 해당하는 범위를 한정하는 기준인 각 구역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위치 정보 시스템상의 구역을 Cell-ID 방식의 Cell 단위로 설정할 경우 사용자의 현 위치에 해당하는 Cell 외에도 주변 Cell의 크기와 상황을 고려하여 인접한 Cell의 게시물까지 열람과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1항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을 기준으로 기본 요금을 산정하는 방법,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부터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접속 해제까지의 시간을 기준으로 요금을 산정하는 방법,
    서비스 서버에 게시물을 저장한 자에게 그가 저장한 게시물의 수, 게시물의 등록 기간, 게시물의 등록 구역, 게시물의 등록 구역 수, 선택한 코드,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요금을 산정하는 방법 중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가지를 적용하여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1항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코드를 열람하고 게시물을 등록, 수정, 삭제하는 절차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에서 또는 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해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1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위치 정보 시스템 상 접속자의 현 위치를 파악하여 현재 접속자가 속한 구역이나 접속자가 요청한 구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코드 목록을 접속자에게 송신하면 접속자는 그것을 열람하고 그 상태에서 코드 입력을 하는 2단계;
    서비스 서버로부터 접속자가 입력한 코드와 동일한 코드에 해당되면서 위치 정보 시스템상 접속자가 속한 구역이나 접속자가 요청한 구역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자가 저장한 게시물들만을 접속자에게 전송하면 접속자는 그것을 열람하고 그 상태에서 통화, 문자 메시지 송신 또는 게시물의 등록, 수정, 삭제를 선택하는 3단계;
    를 기본 구성으로 하는 방법.
  10. 1항에 있어서,
    재화나 용역의 제공자나 수요자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때, 모바일 기기가 아니라 유선 인터넷으로도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모바일 기기에서 1항에 의한 위치 정보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중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과,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기능과,
    서버에 등록되는 기본 전화 번호를 설정하는 기능과,
    자주 사용하는 코드만으로 코드 목록을 만드는 기능과,
    본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과,
    특정 지역을 입력받는 기능과,
    코드 목록을 미리 내장하고 있는 기능과,
    코드 목록을 저장하고 변동 사항이 있을 때 그것을 갱신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속한 구역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코드 목록을 보여주는 기능과,
    코드를 입력 내지 선택할 수 있는 기능과,
    코드를 입력 내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에 있어서, 코드 목록을 보여주고 있는 상태에서 문자나 숫자를 입력받으면 자동으로 그 문자나 숫자와 가까운 코드로 접근하게 하고 방향키를 입력받으면 커서 이동으로 접근하게 하는 기능과,
    코드를 선택했을 때 서비스 서버로부터 그 코드와 일치하면서 위치 정보 시스템상 사용자가 속한 구역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역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이 등록한 게시물들만을 전송받아 보여주는 기능과,
    특별 코드의 경우 비밀 번호가 설정되어 있을 때 비밀 번호를 입력 받는 기능과,
    특별 코드의 경우 권한이 있는 자가 비밀 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특별 코드의 경우 권한이 있는 자가 사용자들의 게시물의 열람과 등록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기능과,
    게시물을 선택했을 때 그 등록자에게 전화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서비스 서버에 게시물을 등록 또는 서비스 서버의 게시물을 수정, 삭제할 수 있는 기능과,
    게시물의 저장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전화 번호의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게시물 등록시 본체의 전화 번호가 아닌 다른 유, 무선 전화 번호를 등록하는 기능과,
    자신이 등록한 구역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과,
    이전 단계로 각각 돌아갈 수 있는 기능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안전하게 접속을 해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2. 서비스 서버에서 1항에 의한 위치 정보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중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의 프로그램은,
    모바일 기기나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일반 PC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본 서비스 접속 요청시 접속을 허가, 연결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설정할 경우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과,
    모바일 기기로부터의 접속시 위치 서버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요청하였을 경우 위치 정보 시스템상 그 지역에 해당하는 구역을 검색하는 기능과,
    위치 정보 시스템상 사용자가 속한 구역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코드를 분류하는 기능과,
    위치 정보 시스템상 사용자가 속한 구역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코드 목록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기능과,
    위치 정보 시스템상 사용자가 속한 구역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역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이 등록한 게시물들을 분류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특정 코드를 선택했을 때 위치 정보 시스템상 사용자가 속한 구역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구역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이 등록한 것이면서 그 특정 코드와 일치한 게시물들을 분류하고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기본 정보에 따라 게시물을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기능과,
    구역 설정 기준이 Cell-ID 일 경우 주변 Cell의 게시물까지 함께 전송하는 기능과,
    특별 코드의 경우 게시물의 열람이나 등록시 비밀 번호 입력을 요구하거나 미리 저장된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기능과,
    특별 코드의 경우 권한이 있는 자가 비밀 번호를 설정하거나 게시물의 열람이나 등록을 제한할 경우 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게시물을 선택할 때 그 사용자와 게시물 등록자 간에 호를 연결시켜 주는 기능과,
    사용자가 게시물을 등록할 경우 그 게시물의 내용과 선택한 코드, 전화 번호 정보, 등록 기간 정보 등 관련 정보를 일괄적으로 저장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게시물을 수정,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그 게시물을 수정, 삭제하는 기능과,
    게시물을 등록한 사용자에게 구역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나 지도를 전송하는 기능과,
    다른 구역 등록이나 다른 전화 번호 등록의 경우에 가상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과,
    게시물의 등록, 수정, 삭제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시 해당 작업을 수행할 것을 요구하는 기능과,
    서비스 기본 요금, 서비스 접속 시간과 게시물 등록 기간, 등록 구역, 등록 구역 수,코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금을 부과하고 그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안전하게 접속을 해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3.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일반 PC와 같은 클라이언트에서 1항에 의한 위치 정보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중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과,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기능과,
    서버에 등록되는 기본 전화 번호를 설정하는 기능과,
    자주 사용하는 코드만으로 코드 목록을 만드는 기능과,
    본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과,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과,
    사용자로부터 위치나 특정한 지역을 입력받는 기능과,
    코드 목록을 미리 내장하고 있는 기능과,
    코드 목록을 저장하고 변동 사항이 있을 때 그것을 갱신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코드 목록을 보여주는 기능과,
    코드를 입력 내지 선택하는 기능과,
    코드를 선택했을 때 서비스 서버로부터 그 코드와 일치하면서 위치 정보 시스템상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에 해당되는 구역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이 등록한 게시물들만을 전송받아 보여주는 기능과,
    특별 코드의 경우 비밀 번호가 설정되어 있을 때 비밀 번호를 입력 받는 기능과,
    특별 코드의 경우 권한이 있는 자가 비밀 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특별 코드의 경우 권한이 있는 자가 사용자들의 게시물의 열람과 등록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기능과,
    게시물을 선택했을 때 공개되지 않은 전화 번호일 경우 그 등록자에게 인터넷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게시물을 선택했을 때 공개된 전화 번호일 경우 전화 번호를 공개하고 인터넷 전화 통화도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게시물을 선택했을 때 그 등록자에게 문자 메시지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서비스 서버에 게시물을 등록 또는 서비스 서버의 게시물을 수정, 삭제할 수 있는 기능과,
    게시물의 저장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게시물 등록시 전화 번호를 별도로 등록하는 기능과,
    전화 번호의 공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과,
    자신이 등록한 구역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과,
    이전 단계로 각각 돌아갈 수 있는 기능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안전하게 접속을 해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4. 1항에 있어서,
    재화나 용역의 제공자나 수요자가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할 때,
    특정한 구역을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하여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의 위치 정보 대신에 그 특정한 구역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30052537A 2003-07-30 2003-07-30 코드 정의와 입력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중개 방법과 이로부터 파생된 부가 서비스 방법 KR10069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537A KR100692960B1 (ko) 2003-07-30 2003-07-30 코드 정의와 입력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중개 방법과 이로부터 파생된 부가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2537A KR100692960B1 (ko) 2003-07-30 2003-07-30 코드 정의와 입력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중개 방법과 이로부터 파생된 부가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082A KR20050014082A (ko) 2005-02-07
KR100692960B1 true KR100692960B1 (ko) 2007-03-12

Family

ID=3722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537A KR100692960B1 (ko) 2003-07-30 2003-07-30 코드 정의와 입력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중개 방법과 이로부터 파생된 부가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9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203A (ko) * 2000-08-29 2000-11-06 박병각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재화와 용역의 중개 시스템
KR20010003929A (ko) * 1999-06-26 2001-01-15 정장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부가 가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가 가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44404A (ko) * 2000-12-06 2002-06-15 구자홍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을 위한 운영 방법
KR20020091381A (ko) * 2001-05-30 2002-12-06 주식회사 브리지텍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중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929A (ko) * 1999-06-26 2001-01-15 정장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부가 가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부가 가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00064203A (ko) * 2000-08-29 2000-11-06 박병각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재화와 용역의 중개 시스템
KR20020044404A (ko) * 2000-12-06 2002-06-15 구자홍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을 위한 운영 방법
KR20020091381A (ko) * 2001-05-30 2002-12-06 주식회사 브리지텍 서비스 중개 시스템 및 그 중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082A (ko) 200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9047A1 (en) Systems and methods enabling real-time permission based privacy protection of real-time location and related location information
US9560479B2 (en) Secure and private location sharing for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8073461B2 (en) Geo-tagged journal system for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Figge Situation-dependent services—a challenge for mobile network operators
US20070282621A1 (en) Mobile dating system incorporating user location information
KR100798832B1 (ko) Gps 공개 응용 서버
US20040203854A1 (en) Formatt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output device specifications
US20070281716A1 (en) Message transmission system for users of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 a local area network
US20070281690A1 (en) Displaying and tagging places of interest on location-awa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 a local area network
US20030004743A1 (en) Methods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merchant presence
JP2002016956A (ja) 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取得方法
US8792868B2 (en) Personalized electronic address book
KR100555372B1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인접 지인 알림방법
KR101094063B1 (ko) 위치에 기반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0692960B1 (ko) 코드 정의와 입력 그리고 위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중개 방법과 이로부터 파생된 부가 서비스 방법
KR101648470B1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는 코드 및 키워드 기반의 실시간 정보 유통 시스템 및 정보 유통 방법
WO2001084267A2 (en) Method for enabling internet/intranet location specific directory of services and/or application options for wap-enabled devices
KR20030012420A (ko) Sms, vms 동보메시지에 관한 역과금 체계 및 그 처리 방법
KR100733907B1 (ko) 공중전화망의 전화설문 서비스를 인터넷상에서 구현하기위한 인터넷 가상번호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390292B1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친구 찾기 방법
KR10065355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공간적 위치조회 서비스 시스템
KR20110129603A (ko) 위치 정보 기반의 이벤트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