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801B1 -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801B1
KR100692801B1 KR1020050015742A KR20050015742A KR100692801B1 KR 100692801 B1 KR100692801 B1 KR 100692801B1 KR 1020050015742 A KR1020050015742 A KR 1020050015742A KR 20050015742 A KR20050015742 A KR 20050015742A KR 100692801 B1 KR100692801 B1 KR 10069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color
light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605A (ko
Inventor
김성호
황현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8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 유기발광패널로부터 제공되는 백색광을 입사 받고,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순차적으로 투과시키는 컬러제어부;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 구동방법은,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 유기발광패널로부터 제공되는 백색광을 입사 받고,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순차적으로 투과시키는 컬러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있어서, 컬러제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투과되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백색의 빛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고휘도, 고색순도의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채용되는 컬러제어부의 투과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있어서, 유기발광패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와 컬러제어부의 구동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R, 101G, 101B... 유기발광층 103, 205, 305... 음극
105, 207, 307... 양극 110, 210, 310... 기판
201W... 백색 유기발광층 203R, 203G, 203B... 컬러필터
301B... 청색 유기발광층 303R, 303G... 색변환 매질
410... 유기발광패널 411... 보호캡
413... 제 1 기판 415... 반사전극
417... 백색 유기발광층 418... 공통전극
419... 제 2 기판 420... 컬러제어부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정보를 화면에 나타내는 화면 표시 장치들 중에서 브라운관 표시 장치(혹은 CRT: Cathode Ray Tube)가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것은 표시 면적에 비해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따라, 표시 면적이 크더라도 그 두께가 얇아서 어느 장소에서든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박막형 평판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고, 점점 브라운관 표시 장치를 대체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박막형 평판 표시 장치로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 표시소자(OELD), 플라즈마 표시패널(PDP), 전계발광 표시소자(FED)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컬러 영상을 구현함에 있어 여러 가지 방안 이 제시되고 있는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구현방안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컬러 영상 구현방식은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각각 방출하는 적색 유기발광층(101R), 녹색 유기발광층(101G), 청색 유기발광층(101B)을 별도로 구비한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의 컬러 영상 구현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이 각각의 유기발광층(101R, 101G, 101B)으로부터 각각 제공됨으로써, 적색광/녹색광/청색광이 혼합되어 컬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 유기발광층(101R, 101G, 101B)은 전자수송층(ETL), 발광층(EML), 정공수송층(HTL)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며, 도면부호 103은 음극을, 105는 양극을, 110은 기판을 각각 나타내며, 그 배열 및 구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와 같이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컬러 영상 구현방식은 백색 유기발광층(201W)과 적색 컬러필터(203R), 녹색 컬러필터(203G), 청색 컬러필터(203B)를 구비한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의 컬러 영상 구현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색 유기발광층(201W)으로부터 제공되는 백색 빛이 적색 컬러필터(203R), 녹색 컬러필터(203G), 청색 컬러필터(203B)를 각각 투과하면서, 적색광/녹색광/청색광이 각각 생성되어 혼합됨으로써 컬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 백색 유기발광층(201W)은 전자수송층(ETL), 발광층(EML), 정공수송층(HTL)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며, 도면부호 205는 음극을, 207은 양극을, 210은 기판을 각각 나타내며, 그 배열 및 구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와 같이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컬러 영상 구현방식은 청색 유기발광층(301B)과 적색 색변환 매질(color changing medium)(303R), 녹색 색변환 매질(303G)을 구비한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의 컬러 영상 구현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색 유기발광층(301B)으로부터 제공되는 청색 빛이 적색 색변환 매질(303R), 녹색 색변환 매질(303G)을 각각 투과하면서, 적색광/녹색광/청색광이 각각 생성되어 혼합됨으로써 컬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청색 유기발광층(301B)은 전자수송층(ETL), 발광층(EML), 정공수송층(HTL)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며, 도면부호 305는 음극을, 307은 양극을, 310은 기판을 각각 나타내며, 그 배열 및 구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와 같이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컬러 영상 구현방식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다음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점 및 단점을 갖는다.
구분 적색/녹색/청색 발광층 적용 적색/녹색/청색 컬러필터 적용 색변환 매질 적용
장점 - 대형 평판표시소자에 적합함 - 색순도가 우수하지만 발광층(EML)에 따라 가변적임 - 색순도가 우수함 - 컬러필터를 적용함으로 인해 제조 공정이 용이함 - Low end 제품에 적합함 - 색순도가 우수함 - 제조 공정이 용이함 - 발광효율이 우수함 - 중형 평판표시소자에 적합함
단점 - 제조 공정이 복잡함 - 재료 비용이 비싸다 - 적색/녹색/청색 발광층에 따라 별도의 에이징(aging)이 필요함 - 개구율이 낮다 - 발광효율이 낮음 - 개구율이 낮음 - 색번짐(color bleeding) 문제가 있음 - 개구율이 낮음
이에 따라,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있어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개구율을 향상시켜 고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고휘도, 고색순도의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로부터 제공되는 백색광을 입사 받고,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순차적으로 투과시키는 컬러제어부;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 구동방법은,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로부터 제공되는 백색광을 입사 받고,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순차적으로 투과시키는 컬러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투과되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고휘도, 고색순도의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410)과, 컬러제어부(color switch means)(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제어부(420)는 상기 유기발광패널(410)로부터 제공되는 백색광을 입사 받고, 그 입사된 백색광을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으로 순차적으로 투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컬러제어부(420)는 상기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순차적으로 투과시켜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서로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과시켜 1 프레임의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기발광 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컬러제어부(420)는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컬러에 대응되는 고속응답 투과형 액정패널 3매와, 특정 파장 대역의 편광만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위상차판이 교대로 중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제어부(420)는 2매의 고속응답 투과형 액정패널과 위상지연판(retarder stack)으로 구성되어 적색, 녹색, 청색 파장 대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컬러제어부(420)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된 것으로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유기발광패널(410)은 어레이 소자가 구비된 제 1 기판(413), 상기 제 1 기판(413)에 대향 되어 마련된 제 2 기판(419), 상기 제 1 기판(413) 위에 형성된 반사전극(415) 및 백색 유기발광층(417), 상기 제 2 기판(419) 아래에 형성 된 공통전극(418), 상기 제1기판(413) 아래에 형성된 보호캡(4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백색 유기발광층(417)은 전자수송층(ETL), 발광층(EML), 정공수송층(HTL)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상기 각 구성요소의 상세 내역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개략적인 설명만을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백색 유기발광층(417)이 단층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서 나타내었으나,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층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청색 발광층을 수직으로 적층시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어레이 소자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구분되어지는 화소 영역,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루는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비정질 실리콘층을 이용하거나 다결정 실리콘층을 이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있으므로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어레이 소자가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어레이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아닌 단순 스위치 소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채용되는 컬러제어부의 투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채용된 컬 러제어부는 적색광에 대응되는 파장 영역의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광에 대응되는 파장 영역의 빛과 청색광에 대응되는 파장 영역의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컬러제어부는 백색광을 입사 받고, 그 입사된 백색광 중에서 적색광/녹색광/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원하는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있어서, 유기발광패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와 컬러제어부의 구동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드 순차구동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유기발광패널의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연동되어 컬러제어부가 구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인 유기발광 표시소자의 구동회로와는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발광패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 구동신호가 60Hz의 메인 프레임 신호로 출력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 신호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의 서브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적색광/녹색광/청색광용 신호의 기입(data write)과 백색광의 발광시간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한편, 투과되는 광의 제어부 역할을 하는 컬러제어부는 상기 적색광/녹색광/ 청색광의 서브 프레임 시간 동안 상기 유기발광패널로부터 입사되는 백색광을 순차적으로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의 순으로 필터링하여 통과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각 필드 동안 컬러제어부를 통하여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이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투과된다. 통상적으로 60Hz로 구동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의 한 프레임의 시간 간격은 16.7ms(1/60s)이다. 따라서, 필드 순차구동 방식의 필드는 5.55ms(1/180s)의 시간 간격을 갖는다. 이 시간 간격은 매우 짧은 시간으로서, 이 짧은 시간 간격의 필드 변화는 사람의 눈으로 감지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사람의 눈에는 16.7ms의 통합된 시간으로 인식되어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에 의하여 합성된 컬러가 인식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컬러제어부는 상기 유기발광패널로부터 입사되는 백색광에 대하여 적색광/녹색광/청색광으로 선택적으로 필터링하여 투과시킴에 있어 그 응답시간이 각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5.55ms 보다 더 빠른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그 응답시간이 빠를수록 적색광/녹색광/청색광이 투과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되어 더욱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패널과, 적색광/녹색광/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컬러제어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컬러 필터를 채용하지 않고도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컬러 필터가 구비되지 않은 유기발광패널을 적용하여 컬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컬러필터에 의한 광흡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고휘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화소를 R, G, B의 각 서브 화소로 분할하지 않기 때문에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고해상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컬러 필터가 채용된 종래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는 적색, 녹색, 청색을 표시하는 3 개의 서브 화소가 모여서 하나의 단위 화소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는 적색, 녹색, 청색의 서브 화소 및 블랙 매트릭스 없이 단일 구조의 단위 화소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는 개구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단위 화소의 크기를 보다 줄일 수 있는 자유도가 확장됨에 따라 고해상도를 갖는 유기발광 표시소자를 더욱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R, G, B의 각 서브 화소별로 구동시키지 않고, 종래 R, G, B 서브 화소에 대응되는 단위 화소로 구동시킴으로써, 구동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에 의하면,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고휘도, 고색순도의 컬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컬러 필터가 구비되지 않은 유기발광패널을 적용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컬러 필터에 의한 광흡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고휘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화소를 R, G, B의 각 서브 화소로 분할하지 않 기 때문에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고해상도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R, G, B의 각 서브 화소별로 구동시키지 않고, 종래 R, G, B 서브 화소에 대응되는 단위 화소로 구동시킴으로써, 구동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발광패널 전면에 컬러제어부를 위치시킴으로써, 기존의 유기발광 표시소자에서 사용해야 하는 원형편광자(circular polarizer)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방식에 비해 광이용 효율을 두 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 ㎛ 정도의 빠른 응답속도를 갖는 유기발광패널과 고속 스위칭이 가능한 컬러제어부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로부터 제공되는 백색광을 입사 받고,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순차적으로 투과시키는 컬러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는 상기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순차적으로 투과시켜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는 상기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서로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과시켜 1 프레임의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는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컬러에 대응되는 고속응답 투과형 액정패널 3매와, 특정 파장 대역의 편광만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위상차판이 교대로 중첩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는 2매의 고속응답 투과형 액정패널과 위상지연판(retarder stack)으로 구성되어 적색, 녹색, 청색 파장 대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패널은 단층의 백색 발광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패널은 적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청색 발광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패널은,
    어레이 소자를 갖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 되어 마련된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반사전극 및 백색 유기발광층;
    상기 제 2 기판 아래에 형성된 공통전극;
    상기 제 1 기판 아래에 형성된 보호캡;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소자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구분되어지는 화소 영역;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루는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층 또는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11. 백색광을 제공하는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로부터 제공되는 백색광을 입사 받고,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순차적으로 투과시키는 컬러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투과되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구동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는 상기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을 서로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과시켜 1 프레임의 컬러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구동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는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컬러에 대응되는 고속응답 투과형 액정패널 3매와, 특정 파장 대역의 편광만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위상차판이 교대로 중첩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구동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는 2매의 고속응답 투과형 액정패널과 위상지연판(retarder stack)으로 구성되어 적색, 녹색, 청색 파장 대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구동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제어부의 적색광/녹색광/청색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기 위한 반응시간은 5.5ms 보다 더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 구동방법.
KR1020050015742A 2005-02-25 2005-02-25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069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742A KR100692801B1 (ko) 2005-02-25 2005-02-25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742A KR100692801B1 (ko) 2005-02-25 2005-02-25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605A KR20060094605A (ko) 2006-08-30
KR100692801B1 true KR100692801B1 (ko) 2007-03-12

Family

ID=3760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742A KR100692801B1 (ko) 2005-02-25 2005-02-25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006A (ko) * 2017-04-18 2018-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21B1 (ko) * 2009-09-25 2016-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의료용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494339B1 (ko) * 2014-03-21 2015-02-23 이민우 샌드위치형 발광층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700A (ko) * 2002-07-10 2004-01-16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컬러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700A (ko) * 2002-07-10 2004-01-16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컬러 디스플레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057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006A (ko) * 2017-04-18 2018-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315968B1 (ko) * 2017-04-18 2021-10-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리어 패널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605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0787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799471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one or more color presenting pixels each with spaced apart color characteristics
JP2582644B2 (ja) 平面型画像表示装置
EP2899587B1 (en) Method for a display
WO2017012133A1 (zh) 一种显示面板
JP200630104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TW20120806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N106782317B (zh) Amoled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驱动装置
JP2007516564A (ja) 改善された効率性を有する積層oledディスプレイ
KR20070107498A (ko) 단일 편광기를 사용하는 자발광형 액정표시장치
US10025090B2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4611604B2 (ja) 画像表示装置
CN101546058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69825B1 (ko) 표시 장치
JP2002304135A (ja) 離間されたタイルを有する光生成ディスプレイ
CN104464649B (zh) 场色序法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0692801B1 (ko) 유기발광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US201200692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CN110716345B (zh) 芯片安装基板、显示装置以及芯片安装基板的制造方法
CN101103304A (zh) 液晶显示设备、其驱动方法以及具有该液晶显示设备的移动站
WO2021031318A1 (zh) 透明显示面板
KR101800884B1 (ko) 표시장치
US20170084219A1 (en) Display device
US10636344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0446617B2 (en) OLE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shared color sub pix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