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798B1 -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798B1
KR100692798B1 KR1020050047111A KR20050047111A KR100692798B1 KR 100692798 B1 KR100692798 B1 KR 100692798B1 KR 1020050047111 A KR1020050047111 A KR 1020050047111A KR 20050047111 A KR20050047111 A KR 20050047111A KR 100692798 B1 KR100692798 B1 KR 100692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information
broadcasting
loc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207A (ko
Inventor
이군섭
이동학
김성근
오세현
이명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798B1/ko
Publication of KR20060125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6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broadcast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 사용자 개인이 제작하였거나 방송하고자 선택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의 방송을 희망하는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지역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 단말기; 복수의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콘텐츠 정보 및 복수의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토대로, 방송할 방송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방송할 방송 시간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한 방송 시간 정보에 맞추어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지역방송 서버; 및 상기 지역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서비스 사용자 개인도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및 편집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히, 기지국 또는 방송 중계기를 기준으로 설정된 소정의 영역별로 지역 방송 서버를 구비하여 지역별로 차별화된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역 방송, 개인 미디어 방송, DMB, 기지국, 방송 중계기

Description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MEDIA BROADCASTING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위성 DMB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Cell) 별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라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콘텐츠 공급자 20 : 지구국 송출센터
30 : DMB 위성 40 : 지상 보조 방송 중계기(Gap Filter)
50 : DMB 수신기 60 : 음영 지역
100 : 송신 단말기(콘텐츠 공급 단말기)
200 : 지역방송 서버 300 : 수신 단말기
400 : 통신망 430 : 기지국(지역 BTS)
460 : 방송 중계기
본 발명은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 방송 서비스 망을 기반으로 시청자 또는 통신 서비스 사용자 개인에게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화된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 및 미디어의 다양화로 인하여 방송 서비스의 제공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컨대, 195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을 통해 아날로그 TV 와 라디오가 방송되었으며, 1990년대 들어와서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한 위성방송,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이 활성화되었다. 한편, 일반적인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TV 방송은 고화질(HDTV : 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송이 지상 및 위성을 통해서 방송되고 있으며, 라디오 방송은 디지털 라이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이 유럽에서부터 도입되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상용화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 라 한다) 서비스가 등장하여 새로운 방송 인프라로 구축되고 있다.
특히, 위성 DMB는 이동형 서비스를 주목적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로 이동전화,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수신기 또는 차량용 수신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채널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신개념의 위성 방송 서비스이다.
즉,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위성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지구국 송출센터(20), DMB 위성(30), 지상 보조 방송 중계기(보통, Gap Filter)(40) 및 DMB 수신기(50) 등을 포함한다.
지구국 송출센터(20)는 콘텐츠 공급자(10)로부터 각종 콘텐츠를 공급받아 이를 13GHz 내지 14GHz(Ku 밴드 대역)의 CDM 신호 및 TDM 신호를 DMB 위성으로 송출하며, DMB 위성(30)은 상기 CDM 신호 및 TDM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CDM 신호는 2.6GHz(S 밴드 대역)로 주파수 변환하여 DMB 수신기로 직접 전송하고, 상기 TDM 신호는 11GHz 또는 12GHz(Ku 밴드 대역)으로 변환하여 지상 보조 방송 중계기(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지상 보조 방송 중계기(40)는 상기 11GHz 또는 12GHz(Ku 밴드 대역)의 신호를 2.6GHz(S 밴드 대역)의 CDM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DMB 수신기(50)로 전송하며, 신호가 약한 음영 지역(6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DMB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위성 방송 및 케이블 방송 등과 비교하여 다채널을 통한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으로 미디어의 다양화를 실현하고 있지만, 이 또한 상기 기존의 아날로그/디지털 TV 방송 및 케이블 방송 등과 마 찬가지로 정해진 방송 사업자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이 제작 및 제작되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이용에 수동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사업자에 의해 제작 및 편성된 방송 프로그램은 방송 신호의 영향이 미치는 영역이라면 모두 동일하게 제공되는 전국 방송 형태가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지역별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자 개인이나 통신 서비스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및 편성에 참여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기지국 또는 방송 중계기를 기준으로 설정된 지역별로 지역 방송 서버를 구축하여 상기 개인 미디어 방송을 지역별로 차별화된 지역방송 서비스 형태로써 제공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 사용자 개인이 제작하였거나 방송하고자 선택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의 방송을 희망하는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지역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 단말기; 복수의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콘텐츠 정보 및 복수의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토대로, 방송할 방송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 송 콘텐츠 정보를 방송할 방송 시간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한 방송 시간 정보에 맞추어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지역방송 서버; 및 상기 지역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지역방송 서버 또는 상기 지역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DMB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DMB 콘텐츠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송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송신 단말기가 통신 서비스 사용자 개인이 제작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의 방송을 희망하는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지역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지역방송 서버가 복수의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콘텐츠 정보 및 복수의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토대로 방송할 방송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방송할 방송 시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지역방송 서버가 상기 설정한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설정한 방송 시간 정보에 맞추어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지역방송 서버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방송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방송 중계기가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DMB 콘텐츠 정보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DMB 콘텐츠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구조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Cell) 별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송신 단말기(100), 지역방송 서버(200), 수신 단말기(300), 방송 중계기(460) 등을 포함한다.
송신 단말기(100)는 웹(Web) 또는 왑(WAP)을 통해 지역 방송 서버(200)에 연결 가능한 모든 단말기로, 통신 서비스 사용자가 방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가 방송되기를 희망하는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지역 방송 서버(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정보는 사용자 개인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송신 단말기(100)는 지역방송 서버(200)가 지역을 분리하여 관할하는 관할 구역(530)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방송 수신 단말기(300)는 지역방송 서비스 가입자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지역방송 서버(200) 및 관할 구역 설정 방법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역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체 영역(500)을 기지국(430) 또는 방송 중계기(460)를 중심으로 상기 기지국(430) 또는 방송 중계기(460)에서 발사하는 전파가 도달하는 범위의 소 영역(532)으로 나눈다.
그리고 상기 소 영역을 셀(Cell)(532)이라 하면, 지역방송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형성된 클러스터드Clustered) 관할 영역(530)을 관리한다.
예컨대, 설정하기에 따라 상기 클러스터드 관할 영역(530)은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430) 또는 방송 중계기(460)가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셀 별로 설정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역방송 서버(200)는 복수의 송신 단말기(100)들로부터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이들을 편집한다.
예컨대, 송신 단말기(100)로부터 방송 요청된 내용을 시간과 내용에 따라 내용을 심사하여 방송할 콘텐츠 정보(이하, '방송 콘텐츠 정보'라 한다)를 설정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역방송 서버(200)는 '미아찾기' 및 '아파트 매매' 등의 콘텐츠 정보를 수신 및 편집하여 '미아찾기' 및 '부동산 컨설팅'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부동산 컨설팅' 프로그램이 편집까지 완료될 경우, 지역 방송 서버(200)는 상기 '부동산 컨설팅' 프로그램을 방송용으로 선택할 것인지와 방송 시간은 언제로 할 것인지 등의 부가적인 편집만 수행하 면 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복수의 방송 콘텐츠 정보들은 설정된 방송 시간 정보에 맞추어 순서대로 방송을 진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지역방송 서버(200)는 시디엔(CDN : Contents Delivery Network) 기술 방식을 통해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상기 CDN 기술 방식은 기존의 중앙 집중식 콘텐츠 서비스 방식과 대조되는 지역 분산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네트워킹 기술 방식으로, 콘텐츠 캐시 서버(미도시)를 지역방송 서버(200)와 연결하여 방송 콘텐츠 정보를 지역방송 서버(200)가 아닌 상기 콘텐츠 캐시 서버를 통해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콘텐츠 캐시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역방송 서버(200)에 의해 업데이트되며, 지역방송 서버(200)는 방송하고자 하는 방송 콘텐츠 정보가 콘텐츠 캐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을 경우, 수신 단말기(300)가 위치하고 있는 곳에서 가장 가까운 콘텐츠 캐시 서버를 통해 상기 방송 콘텐츠를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중앙 방송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지역 방송 서비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방송 서버(미도시)는 복수의 지역방송 서버(200)와 연동하여 지역방송 서버(200)들을 총 관리하며, 지역방송 서버(200)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재편집하고 이를 전체 영역(500)의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앙 방송 서버는 지역방송 서비스를 지역방송을 이용하지 않고도 모두 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역방송 서버(200)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재편집하고 이를 전체 영역(500)의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 방송 서버는 전체 영역(500)의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총 관리하여 서비스 가입자의 선호도에 따라 타 관할 영역의 지역방송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송 중계기(460)는 지역방송 서버(200)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DMB 정보로 신호 변조한 후, 변조된 DMB 콘텐츠 정보를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즉, 방송 중계기(460)는 지역방송 서버(200)로부터 직접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DMB 신호로 변환하거나, 기지국(430)과 연결되어 기지국(430)을 통해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지역방송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정보도 수신하여 DMB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방송 중계기(460)는 기지국(430)의 위치와 근접하고 있는 특징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 방송 중계기(460)는 위성 DMB 신호를 음영 지역의 수신 단말기(300)도 수신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조하는 지상 보조 방송 중계기(보통, Gap Filter 라고 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단말기(300)는 기지국(430) 또는 방송 중계기(4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지역방송 서버(200)에서 전송하는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가 DMB 신호로 변조된 DMB 콘텐츠 정보일 경우, 수신 단말기(300)는 DMB 수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단말기(100)는 지역방송 서버(200)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의 방송을 희망하는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S 610).
그러면 지역방송 서버(200)는 복수의 관할 구역에 설치된 지역방송 서버(200)들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콘텐츠 정보 및 복수의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토대로 수신 단말기(300)에 전송할 방송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방송할 방송 시간 정보를 설정한다(S 620).
그리고 지역방송 서버(200)는 상기 설정한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방송 시간 정보에 맞추어 전송한다(S 630).
이때, 상기 지역방송 서버(200)가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지역방송 서버 (200)의 해당 관할 구역에 설치된 기지국(430)으로 전송하였을 경우, 상기 기지국(430)은 소정의 주파수 변조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 655).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마찬가지로, 지역방송 서버(200)가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해당 관할 구역에 설치된 방송 중계기(460)로 전송하였을 경우, 상기 방송 중계기(460)는 소정의 주파수 변조 과정을 수행한 후, 변조된 DMB 콘텐츠 정보를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때, 기지국(430)이 상기 관할 구역에 설치된 방송 중계기(460)와 연동할 경우, 상기 기지국(430)은 상기 방송 중계기(460)로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지국(430)이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방송 중계기(460)로 전송할 경우(S 640), 방송 중계기(460)는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소정의 주파수 변조 과정을 거쳐 DMB 신호로 변조하고(S 650), 이와 같이 변조된 DMB 콘텐츠 정보를 수신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 660).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서비스 사용자 개인도 방송 프로그램의 제작 및 편집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 또는 방송 중계기를 기준으로 설정된 소정의 영역별로 지역 방송 서버를 구비하여 지역별로 차별화된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 사업자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통하여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의하여 가입자당 월평균 매출액(ARPU)의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통신 서비스 사용자 개인이 제작하였거나 방송하고자 선택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의 방송을 희망하는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지역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 단말기;
    복수의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콘텐츠 정보 및 복수의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토대로, 방송할 방송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방송할 방송 시간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설정한 방송 시간 정보에 맞추어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지역방송 서버;
    상기 지역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 및
    상기 지역방송 서버 또는 상기 지역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DMB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DMB 콘텐츠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송 중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방송 서버는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이동 통신망 또는 DMB 방송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중계기는
    DMB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DMB 신호를 음영 지역의 수신 단말기가 수신 가능하도록 신호를 변조하는 지상 보조 방송 중계기(Gap Fil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지역방송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지역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수신 단말기에 동일한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중앙방송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지역방송 서버가 관할하는 관할 영역의 기지국 또는 방송 중계기의 주파수가 도달하는 영역의 인접 구역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관할 구역의 지역방송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신을 요청했을 경우에만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웹(web) 또는 왑(WAP)을 통해 상기 지역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방송 서버는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기술 방식을 통해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a) 송신 단말기가 통신 서비스 사용자 개인이 제작한 콘텐츠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정보의 방송을 희망하는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지역방송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지역방송 서버가 복수의 상기 송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콘텐츠 정보 및 복수의 방송 선호 시간 정보를 토대로 방송할 방송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방송할 방송 시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지역방송 서버가 상기 설정한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설정한 방송 시간 정보에 맞추어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지역방송 서버가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방송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방송 중계기가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DMB 콘텐츠 정보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DMB 콘텐츠 정보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지역방송 서버는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를 이동통신망 또는 DMB 방송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중계기는
    DMB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DMB 신호를 음영 지역의 수신 단말기가 수신 가능하도록 신호를 변조하는 지상 보조 방송 중계기(Gap Filter)인 것을 특징을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방송 서버는
    상기 지역방송 서버를 총괄하는 중앙 방송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지역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방송 콘텐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복수의 관할 영역의 수신 단말기에 동일한 방송 콘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및 상기 방송 선호 시간 정보는 웹(web) 또는 왑(WAP)을 통해 상기 지역방송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콘텐츠 정보는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기술 방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50047111A 2005-06-02 2005-06-02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92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11A KR100692798B1 (ko) 2005-06-02 2005-06-02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111A KR100692798B1 (ko) 2005-06-02 2005-06-02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207A KR20060125207A (ko) 2006-12-06
KR100692798B1 true KR100692798B1 (ko) 2007-03-12

Family

ID=3772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111A KR100692798B1 (ko) 2005-06-02 2005-06-02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768B1 (ko) * 2015-12-23 2022-10-28 주식회사 케이티 협력 방송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클라우드 소싱을 활용한 협력 방송 제공 방법, 협력 방송 제공 서버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906A (ko) * 1999-12-20 2001-07-11 서평원 디지털 티브이 중계기를 이용한 지역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20083733A (ko) * 2001-04-30 2002-11-04 포디오코리아주식회사 컨텐츠를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906A (ko) * 1999-12-20 2001-07-11 서평원 디지털 티브이 중계기를 이용한 지역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20083733A (ko) * 2001-04-30 2002-11-04 포디오코리아주식회사 컨텐츠를 방송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64906
102002008373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207A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800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grated antenna and satellite dish
US6622007B2 (en) Datacast bandwidth in wireless broadcast system
JP4799134B2 (ja) 衛星ラジオ使用の対話的監視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0356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blocking
Layer Digital radio takes to the road
CN100358270C (zh) 数字格式u.s.商用fm广播系统
Kozamernik Digital Audio Broadcasting–radio now and for the future
US869504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ver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 system and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 system
US20050102703A1 (en) On demand broadcast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0692798B1 (ko) 개인 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03715A (ko) 위성 디엠비에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이용한 예약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US6477369B1 (en)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KR100542973B1 (ko)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에이 에서 시분할다중화 방식의 경로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50213526A1 (en) Broadcast retransmitter, method of retransmitting a broadcast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Witherow et al. Digital audio broadcasting-the future of radio
KR10080657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hung et al. An overview of S‐DMB system and the testbed for satellite–mobile convergence services
Haddad DVB-H in Denmark Technical and Economic aspects
KR10120119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지역 기반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에 따른 지역기반 방송서비스 수신 장치 및그 방법
Cornell The AM signalling system (AMSS)
Gleave Digital radio takes off
Scott et al. Video transmission using millimetre wave radio systems
Series Implementation consider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and transition to digital terrestrial sound and multimedia broadcasting
Keefer Cable television in Europe
Lothian Multi-channel broadcasting to the European 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