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002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002B1
KR100692002B1 KR1020040081134A KR20040081134A KR100692002B1 KR 100692002 B1 KR100692002 B1 KR 100692002B1 KR 1020040081134 A KR1020040081134 A KR 1020040081134A KR 20040081134 A KR20040081134 A KR 20040081134A KR 100692002 B1 KR100692002 B1 KR 10069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flash
flash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32113A (en
Inventor
이용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002B1/en
Publication of KR2006003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0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장 플래시를 연결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도록 하는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an external flash to have a standardized interface for connecting an external flash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have.

이러한 본 발명은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외장 플래시(Flash)를 연결하기 위한 플래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장 플래시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플래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방전과 상기 영상 촬영부의 동작 시점의 오차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image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image, wherein a flash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an external flash and the external flash a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external flash,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external flash through the flash interface unit and to correct the error of the external flash and the operation timing of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외장 플래시, 인터페이스 표준, UARTMobile terminal, camera, external flash, interface standard, UART

Description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촬영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an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hotographing an external imag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장 플래시의 결합관계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flash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otograph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an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에서 촬영명령인가 시점간의 시간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the shooting command is applied in the shoot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외장 플래시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external flash

100 : 안테나 101 : 송수신 회로부100: antenna 101: transceiver circuit

102 : 메모리 103 : 명령 입력부102: memory 103: command input unit

104 : 음성 입력부 105 : 음성 출력부104: voice input unit 105: voice output unit

106 : 표시부 107 : 영상 촬영부106: display unit 107: video recording unit

108 : 제어부 109 : 플래시 인터페이스108: control unit 109: flash interfa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시 외장 플래시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an external flash to shoot an external image with an external flash when shooting, and a shooting method using the same.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무선으로 다른 사람과 통화하기 위한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최근 기술을 발달로 음성 신호 뿐만 아니라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신호도 송,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등장하여 현재 이러한 영상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편화 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mply provided a function for talking to another person wirelessly. 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not only audio signals but also video signals such as photographs and videos have emerge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ch video signals have become commonplace.

더욱이, 소정의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됨으로써, 장착함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신호를 송, 수신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외부의 영상,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거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Furthermore, by develop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camera, the user of the onboard not only transmits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apture an external image such as a picture or a video. It can be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ransmitted to a user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소정의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때 사용자는 외부의 환경을 고려하여 촬영옵션을 설정한 이후에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어두운 실내에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이 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의 양이 더욱 많아지도록 환경을 설정하여 촬영함으로써, 어두운 실내에서의 외부의 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When capturing an external imag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predetermined camera, a user may capture an external image after setting a recording option in consideration of an external environment. For example, when capturing an external image in a relatively dark room, the environment is set so tha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camera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ed. You can shoot.

또한, 이와는 다르게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플래시(Flash)를 내장하여 상대적으로 어두운 실내에서 촬영 시 촬영시점에 맞추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플래시를 방전시켜 순간적으로 피사체에 소정의 빛을 비추어 촬영함으로써, 어두운 실내의 외부의 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a predetermined flash (Flash)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contrast to the shooting time when shooting in a relatively dark room by discharging the flash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hooting a predetermined light to the subject instantaneously, You can take pictures of the outside of the dark room more effectively.

하지만,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플래시를 내장하는 경우에서는 소정의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타입의 플래시를 이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빛을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LED타입의 플래시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기 위하여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방전하기 때문에 그 소모 전력이 작아야 하기 때문에 LED플래시에서 발생되는 광량이 절대적으로 적다. 이에 따라 어두운 환경에서 정상적인 촬영의 거리가 1m 정도로 매우 짧아, 어두운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촬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embedding a predetermined flash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a predetermined light emitting diode (LED) type flash is use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That is, in the case of a general type of LED flash,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in the LED flash is absolute because its size is relatively small in order to be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ss Accordingly, the normal shooting distance in the dark environment is very short, such as 1m, there was a problem that effective shooting in the dark environment is difficul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외장 플래시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촬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an external flash to enable effective shooting in a relatively dark environment by using an external flash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hoot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외장 플래시(Flash)를 연결하기 위한 플래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장 플래시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플래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방전과 상기 영상 촬영부의 동작 시점의 오차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image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a predetermined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flash interface unit and the external flash unit for connecting an external flash. And controlling a discharge of the external flash through the flash interface unit and correcting an error between the discharge of the external flash and an operation time of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여기서, 상기 외부의 외장 플래시는 크세논(Xe)가스 방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external external flash may include a xenon (Xe) gas discharge tube.

여기서, 상기 외부의 외장 플래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독립된 전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external external flash is characterized by using a power source independ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여기서, 상기 플래시 인터페이스부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외장 플래시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lash interfac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external flash using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또한,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촬영모드 선택신호 입력 시 외장 플래시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외장 플래시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외장 플래시가 연결된 경우 외장 플래시 사용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촬영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촬영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외부 플래시를 방전시켜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flash is connected via the interface unit when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ignal input,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external flash, and if the external flash is connected Determining whether a flash use command is input, and determining whether a shooting command is input, and if the shooting command is input, discharging the external flash to take an image.

여기서, 상기 촬영명령과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방전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rrecting an error between the photographing command and the discharge of the external flash.

여기서, 상기 외장 플래시 사용 입력에 따라 상기 외장 플래시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harging the external flash according to the external flash use inp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촬영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an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100), 송, 수신회로부(101), 메모리부(102), 명령 입력부(103), 음성 입력부(104), 음성 출력부(105), 표시부(106), 영상 촬영부(107), 제어부(108) 및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0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09)에 소정의 외장 플래시(11)가 연결된다. 여기서 외장 플래시(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력공급 능력 및 외장 플래시(11)의 전력소비를 고려할 때 자체에 전원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외장 플래시(11)에는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소정의 건전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그 공간에 건전지를 삽입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와는 별도로 외장 플래시(1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외장 플래시는 크세논(Xe)가스 방전관 등의 촬영에 충분한 빛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an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ntenna 100,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unit 101, the memory unit 102, the command input unit 103, voice input unit 104, voice The output unit 105 includes a display unit 106, an image capturing unit 107, a control unit 108, and a flash interface unit 109. A predetermined external flash 11 is connected to the flash interface unit 109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ere, the external flash 1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supply capabi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xternal flash 11. For example, the external flash 11 is provided with a space into which a predetermined battery (not shown) capable of supplying DC power can be inserted, and the user inserts the battery into the space, thereby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ic power can be supplied to (11).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rnal external flash can emit light sufficient for imaging such as a xenon (Xe) gas discharge tube.

송수신 회로부(101)는 안테나(100)를 통해 외부로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를 송, 수신한다.The transceiver circuit unit 101 transmits and receives audio, video or data signals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tenna 100.

음성 출력부(105)는 스피커(Speaker) 등의 음성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음성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unit 105 includes voice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and outputs a voice signal so that a user can listen to the voice signal.

표시부(106)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크기를 고려할 때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평판 표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문자 또는 영상 등을 화면상에 표시한다.In view of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display unit 106 is preferably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splays text or images on the screen.

음성 입력부(104)는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의 음성 입력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The voice input unit 104 is composed of voice in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and converts external voice into an electric voice signal.

명령 입력부(103)는 소정의 키패드(Keypad)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의 송, 수신 및 영상 촬영을 위한 소정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키들을 구비한다.The command input unit 103 includes various keys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capturing a predetermined keypad voice, an image or a data signal.

영상 촬영부(107)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소정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촬영 명령 입력 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The image capturing unit 107 includes a predetermined camera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and photographs an external image when a 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메모리부(102)는 전술한 영상 촬영부(107)에서 촬영한 영상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02 stores data such a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107 described above.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09)는 외장 플래시(11)를 연결하기 위한 소정의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외장 플래시(11)가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09)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연결된다. 여기서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09)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라면 어떤 인터페이스라도 관계없지만, 바람직하게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표준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 와 상기 외장 플래시(11)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술한 UART는 이동통신 단말기기 입출력단자의 접속 표준 중의 하나로서, 24핀 표준접속 단자를 제공한다.The flash interface unit 109 includes a predetermined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xternal flash 11. Accordingly, the external external flash 11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rough the flash interface unit 109. Here, the flash interface unit 109 may be any interface as long as it is a standardized interface. Preferably, the flash interface unit 109 exchanges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external flash 11 using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standard. Do. Here, the above-described UART is one of connection standards of an input / output termi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s a 24-pin standard connection terminal.

제어부(108)는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의 송, 수신을 제어하고, 전술한 외장 플래시(11)의 연결 시, 외장 플래시(11)의 방전과 촬영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8)는 전술한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장 플래시(11)가 동조되도록 외장 플래시(11)와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이의 정보교환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8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udio, video or data signals, and controls discharge and imaging of the external flash 11 when the external flash 11 is connec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8 control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he external flash 11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o that the external flash 11 connected through the flash interface unit 110 is synchroniz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송수신 회로부(101)가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1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들의 신호가 수신하면, 수신한 음성 신호는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음성 출력부(105)가 사용자로 하여금 청취 가능하도록 출력하고, 영상 신호, 예컨대 문자 등은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06)가 표시한다. 또한 소정의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 신호는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102)가 저장한다. 이와는 다르게 소정의 음성, 영상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경우에,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103)로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거나, 음성 입력부로 소정의 음성을 입력하면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송수신회로부(101)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또는 음성을 안테나(10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receiving an audio, video or data signal from the outsid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101 controls the antenna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8. When a signal of audio, video or data signals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received audio signal is output by the audio output unit 105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8, and the video signal, for example, a text, etc.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0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8.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02 stores data signals such as a predetermined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8. In contrast, when a predetermined voice, video or data signal is transmitted,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character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103 or a predetermined voice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unit ( 101 transmits the text or voice input by the us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ntenna (100).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장 카메라(11)를 장착할 수 있는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09)를 구비하 여, 외장 카메라(11)가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09)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촬영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제어부(109)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외장 카메라(11) 사이의 정보교환을 제어하여 플래시 인터페이스부(109)를 통해 연결된 외장 플래시(11)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영상 촬영부(107)와 동조되어 촬영 시 오차범위 내에서 촬영과 동시에 방전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flash interface unit 109 for mounting the external camera 11, the external camera 11 is the flash interface unit 109 When the shooting command is input by the user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109 control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external camera 11 to be connected through the flash interface unit 109. The external flash 11 is synchronized with the image capturing unit 107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discharge simultaneously with the shooting within the error range during the shooting.

이렇게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외장 카메라를 이용하여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 도 2와 같다.An example of capturing an external image b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xternal camera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s follows.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일예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20)에 외장 플래시(11)가 소정이 각도로 빛을 쏘아주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영상 촬영부(107)가 피사체(20)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에 따라 피사체(20)가 위치하는 곳이 실내 등의 상대적으로 어두운 곳이더라도 촬영 시 충분한 양의 빛을 이용하여 피사체(20)를 촬영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hotographing an external imag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As shown in the drawing, an example of capturing an external imag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lash 11 shoots ligh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a subject 20 to be photographed. The image capturing unit 107 of 10 captures an image of the subject 20. Accordingly, even if the place where the subject 20 is located is a relatively dark place such as a room, by photographing the subject 20 by using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when photographing, th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도 2에서는 도면의 작성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외장 카메라(11)가 소정의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외장 카메라(11)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일체화되도록 외장 카메라(11)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장 카메라(11)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결합관계의 일예를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다.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external camera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cable for convenience of drawing. However, the external camera 11 is integr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external camera 11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 example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camera 11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장 플 래시의 결합관계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장 플래시의 결합관계의 일예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측, 예컨대 하측에 외장 플래시(11)가 일체로 연결된다. 이렇게 외장 플래시(11)를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일체화되도록 연결하기 위해서는 외장 플래시(11)의 인터페이스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가 서로 동일해야 한다. 또한 외장 프래시(11)의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장(11) 및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예컨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가 제공하는 표준화된 24핀 표준 접속 단자를 갖는 인터페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flash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n example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flash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xternal flash 11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for example,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order to connect the external flash 11 so as to be integr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interface of the external flash 11 and the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hould be identical to each other.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atibility of the external flash 11, the interface of the external 11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ses a standardized 24-pin standar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by an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interface, for example,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It is preferable to have an interface.

또한, 외장 플래시(11)가 결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10) 상의 위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하측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좌, 우, 상측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which the external flash 11 is coupled may be not only the lower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but also the left, right, and upper sid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이러한 외장 플래시(11)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4와 같다.A photographing method of capturing an external imag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11 is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장 플래시를 장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은 먼저 촬영모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S400) 외장 플래시가 플래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었는지를 제어부가 판단한다(S40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hotographing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unting the external flash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ignal is input (S40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flash is connected through the flash interface unit (S401). .

제 S401단계의 판단 결과, 외장 플래시가 연결된 경우에는 외장 플래시 모드 로 설정하고(S403), 외장 플래시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모드의 기능을 수행한다(S402).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1, when the external flash is connected, the external flash mode is set (S403), and when the external flash is not connected, another mode is performed (S402).

제 S403단계 이후에, 외장 플래시 사용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04). 여기서 외장 플래시의 사용명령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외장 플래시를 사용하겠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광량 측정장치를 구비하여, 그 광량 측정장치가 측정한 빛의 양을 제어부가 판단하여 자동으로 외장 플래시의 사용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After operation S403,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xternal flash use command is input (S404). Here, the command for using the external flash may be a user inputting a command to use the external flash manuall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ight quantity measuring device,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mount of light measured by the light quantity measuring device. It can also determine whether to use an external flash automatically.

제 S404단계의 판단 결과, 외장 플래시 사용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어부는 외장 플래시로 충전명령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외장 플래시는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된다(S40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4, when the external flash use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applies a charging command to the external flash, and accordingly, the external flash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unit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S405). .

제 S405단계 이후, 촬영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06). 이런 경우는 사용자가 소정의 셔터를 눌러 촬영명령을 내리는 것이다.After operation S405, it is determined whether a 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S406). In this case,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shutter to give a shooting command.

제 S406단계의 판단 결과, 촬영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촬영명령이 입력된 시점과 외장 플래시에 촬영명령이 입력되는 시점과의 시간차를 보정한다(S407). 외장 플래시를 사용하여 외부의 영상을 촬영 시 고려할 사항 중에서 가장 중요한 점의 하나는 촬영 시점과 외장 플래시의 방전 시점이다. 이러한 촬영 시점과 외장 플래시의 방전시점간의 시간차이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촬영명령이 t0의 시점에서 인가되면 외장 플래시에는 t1의 시점에서 촬영명령이 인가된다. 즉, 사용자가 셔터를 누르는 방법 등을 통해서 촬영명령을 인가하면 제어부에서는 t0에서 촬영명령이 입력되고, 외장 플래시 또는 내장 플래시에는 제어부로부터의 신호 전송과정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해 t1에서 촬영명령이 입력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 플래시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라면 내장 플래시에 촬영명령이 인가되는 시점과 외장 플래시에 촬영명령이 인가되는 시점은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하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6, when the shooting command is input,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shooting command is input and the time when the shooting command is input to the external flash is corrected (S407). 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s to consider when shooting an external image using an external flash is the time of shooting and the discharge time of the external flash.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hotographing time point and the discharge time point of the external flash is shown in FIG. 5. Referring to FIG. 5, when the photographing command is applied at the time t0, the photographing command is applied to the external flash at the time t1. That is, when the user applies a shooting command through a method of pressing the shutter, the control command is input at t0, and the recording command is input at t1 due to the time required for the signal transmission process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external flash or the internal flash. . Her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the built-in flash, the time when the shooting command is applied to the built-in flash and the time when the shooting command is applied to the external flash are the same within an error range.

이러한 촬영명령이 인가되는 시점간의 시간차이로 인해 촬영 시 외장 플래시가 제때에 방전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영상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촬영 시점과 외장 플래시의 방전 시점의 매칭이 중요하다. 결국,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에서 원하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촬영명령 입력 시점과 외장 플래시의 방전 시점간의 시간차를 보정한다.Due to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points at which the shooting command is applied, the external flash is not discharged at the time of shooting, and thus the user cannot effectively capture a desired image. For this reason, matching between the shooting point and the discharge point of the external flash is important. As a result, in order to capture a desired external image in a relatively dark environment,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inputting the recording command and the discharge time of the external flash is corrected.

제 S407단계 이후, 외장 플래시를 방전 시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S408).After operation S407, the external flash is discharged to take an external image at operation S408.

제 S408단계 이후에 외장 플래시 모드를 종료할지를 판단(S409)하여 선택에 따라 외장 플래시 모드를 종료한다.After the step S408, it is determined whether to exit the external flash mode (S409), and the external flash mode is termina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이러한 방법으로 실내 등의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촬영을 할 수 있다.In this way, shoot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even in a relatively dark environment such as a room.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장 플래시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어두운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촬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ffectively photographing in a relatively dark environment by photographing using an external flash.

Claims (7)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촬영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image capturing unit for capturing an external image, 외장 플래시(Flash)를 연결하기 위한 플래시 인터페이스부; 및A flash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an external flash; And 상기 외장 플래시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플래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방전을 제어하고,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방전 시점과 상기 영상 촬영부의 동작 시점의 오차를 보정하는 제어부;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external flash, controlling discharge of the external flash through the flash interface unit, and correcting an error between a discharge time of the external flash and an operation time of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를 포함하는 외장 플래시 장착 이동통신 단말기.External flash moun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장 플래시는 크세논(Xe)가스 방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플래시 장착 이동통신 단말기.The external flash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external fla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xenon (Xe) gas discharge tub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래시 인터페이스부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와 상기 외장 플래시와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플래시 장착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flash interface unit exchanges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external flash by using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UART). 촬영모드 선택신호 입력 시, 외장 플래시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flash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when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ignal is input; 상기 외장 플래시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external flash is used; 상기 외장 플래시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장 플래시의 사용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command to use the external flash is input when the external flash is connected; 촬영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상기 촬영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외부 플래시를 방전시켜, 상기 촬영명령의 시점과 상기 외장 플래시의 방전 시점의 오차를 보정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 방법.And discharging the external flash when the photographing command is input, and correcting an error between a timing point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and a discharge point of the external flash to photograph an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81134A 2004-10-11 2004-10-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6920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34A KR100692002B1 (en) 2004-10-11 2004-10-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34A KR100692002B1 (en) 2004-10-11 2004-10-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113A KR20060032113A (en) 2006-04-14
KR100692002B1 true KR100692002B1 (en) 2007-03-09

Family

ID=3714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134A KR100692002B1 (en) 2004-10-11 2004-10-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00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113A (en) 200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668B2 (en) Digital camera system
US6812971B2 (en) Electronic apparatus, stand and electronic apparatus stand system
KR100762640B1 (en) Portab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photographing mode and method thereof
US20060061663A1 (en) Digital camera with touch screen display panel usable a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gital camera
US8330821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1320622A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camera
US8891003B2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hot shoe
US7161622B1 (en) Electronic camera and electronic camera system
JP2007208903A (en) Photographic system and photographic instruction apparatus
CN106331459A (en) Shooting system and mobile terminal
KR20040072174A (en) Digital camera and power feeding method to USB drive thereof
US20050124379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9200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quip of External Flash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the same
EP2653918A2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type of exter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external device
JP2002335434A (en) Mobile terminal
JP2001230954A (en) Image pickup device
JP2003087620A (en) Electronic camera system
KR200900202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 in mobile terminal
US20050122404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142140A (en) Camera with transmission function and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KR100399107B1 (en) Wireless cellular phone for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KR10112009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with multi-used module
KR101080410B1 (en) Camera connectable to external flash
KR20050072850A (en) Shooting system using a mobile han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213875B2 (en) Image storage system, image storage method, image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