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763B1 - Water treatment equipment to purify the polluted water including the storm water runoff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equipment to purify the polluted water including the storm water runof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91763B1 KR100691763B1 KR1020050026005A KR20050026005A KR100691763B1 KR 100691763 B1 KR100691763 B1 KR 100691763B1 KR 1020050026005 A KR1020050026005 A KR 1020050026005A KR 20050026005 A KR20050026005 A KR 20050026005A KR 100691763 B1 KR100691763 B1 KR 1006917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lope
- water treatment
- vegetation
- treatment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28D7/16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conduit assembli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square or annular; with 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with multiple groups of conduit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arranged inside common casing
- F28D7/163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conduit assembli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square or annular; with 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with multiple groups of conduit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arranged inside common casing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or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inside the conduits assemblies, e.g. change of flow direction from one conduit assembly to another one
- F28D7/164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with conduit assembli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square or annular; with 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geometrical features; with multiple groups of conduit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and arranged inside common casing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or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inside the conduits assemblies, e.g. change of flow direction from one conduit assembly to another one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of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outside the conduit assemblies, e.g. change of flow dir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02—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2—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 F17C2265/033—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cooling
- F17C2265/034—Treating the boil-off by recovery with cooling with condensing the gas pha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1—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hase-change applications
- F28D2021/0063—Cond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사면에 설치되어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 정화처리하는 사면 수처리부와, 하천의 둔치에 설치되어 2차 정화처리하여 방류하는 평면 수처리부로 구성되며, 사면 수처리부 및 평면 수처리부가 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는 다수개의 다공성 여재와, 다공성 여재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식생을 식재하는 다수개의 식생포트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으로 방류되는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다양한 오염수를 다공성 여재에 의한 여과 및 흡착, 여재 표면 및 다공질 내에 부착,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한 섭취, 및 식생 뿌리의 흡수를 통해 정화함으로써, 자연생태를 보호함은 물론 주민들에게 친환경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lope water treatment unit installed on the bank's bank slope to purify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rainfall runoff, and a planar water treatment unit installed on the river's blunt and discharged by secondary purification. And the planar water treatment unit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porous media for purifying contaminants, and a plurality of vegetation ports that are detachably installed on top of the porous media to plant veget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s various contaminated waters, including rainfall runoff, which are discharged to rivers, by filtration and adsorption by porous media, ingestion by microorganisms that adhere to media surfaces and pores, and by absorption of vegetation roots. It is effective in providing eco-friendly space to residents as well as protecting them.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시스템의 공정 블록도이고,1 is a process block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rainfall run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수처리시스템을 제방사면 및 둔치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1 is applied to a bank slope and a blunt,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처리시스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면 수처리부를 구성하는 모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odule constituting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shown in FIG.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사면 수처리부를 구성하는 식생포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getation port constituting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illustrated in FIG. 3.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생포트로 수분을 공급하는 개념의 수관을 도시한 개략도이고,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ater pipe of the concept of supplying water to the vegetation port shown in Figure 6,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사면 수처리부에 적용되는 슬러지 배출배관 및 역세배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ludge discharge pipe and backwash pipe applied to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shown in FIG.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평면 수처리부를 구성하는 식생포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getation pot constituting the planar water treatment unit shown in FIG. 3;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평면 수처리부에 적용되는 여재의 충진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lling form of the filter medium applied to the planar water treatment unit shown in FIG.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시스템의 개념도이다. 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rainfall runoff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300 : 사면 수처리부 340 : 사면 접촉조300: slope water treatment unit 340: slope contact tank
341 : 육각형 모듈 342, 421 : 다공성 여재341:
343, 422 : 식생포트 344 : 수관 343, 422: Vegetation pot 344: Water pipe
400 : 평면 수처리부 420 : 평면 접촉조400: plane water treatment unit 420: plane contact tank
423 : 침전호퍼 450 : 인공습지423: sedimentation hopper 450: artificial wetland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사면 및 둔치를 활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유출수(비점오염물질),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CSOs ; Combined Sewer Overflows), 오염하천수, 농업배수, 가정하수 등 하천으로 방류되는 다양한 오염수를 다공성 여재에 의한 여과 및 흡착, 여재 표면 및 다공질 내에 부착,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한 섭취, 및 식생 뿌리의 흡수를 통해 정화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utilizing the bank's embankment slope and blunt, and more specifically, rainfall runoff (non-point pollutant), combined sewage overflow (CSOs), contaminated river water, agricultural drainage, household sewage,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purifying a variety of 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o a river through filtration and adsorption by porous media, adhered to the media surface and porous, ingestion by inhabitants, and absorption of vegetation roots.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In general, pollutants include point pollutants emitted from a defined and limited point source such as domestic sewage, industrial waste and livestock waste, agricultural land, grassland, forest land, construction sites, mines, logging sites, waste treatment plants, Discharge areas such as landfills, urban areas, roads and industrial sites can be divided into nonpoint pollutants emitted from a wide range of nonpoint sources.
상기와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로는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유독물질 및 기타 염류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 Contaminants emitted from such pollutants are distribut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including heavy metals, pathogenic microorganisms, organic compounds, radioactive materials, toxic substances and other salts.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통상 강우시에 빗물에 쓸려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을 야기 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까지 매우 큰 폐해를 주게 된다. These pollutants are usually swept away by rainwater and flow into public waters such as rivers, bays and lakes, or underground water, causing water pollution, and eventually destroying ecosystems. It is very damaging.
한편, 상기 오염물질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강우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 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oint pollutants with a clear discharge point among the pollutants, a separate purification device or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s installed in homes, factories, livestock farms, etc. In this case, the discharge area is not only extensive but mostly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nd it is the main cause of water pollution by entering the public water or groundwater such as rivers, bays and lakes with rainwater during rainfall.
그래서 종래에는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기 위해 장치형 설비나 단순 저류형 시설을 이용하고 있으나, 그 처리비용에 비해 처리효율이 떨어지고, 정기적인 시스템의 교체를 필요로 하는 등 추가적인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설비는 그 시설에 비하여 처리의 안정성과 효율성에 한계를 대부분 가지고 있어, 주로 대형건축물, 도로, 주차장 등의 매우 한정된 장소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어 아직까지 그 효용성이 미미하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다양한 오염원을 지닌 강우유출수를 처리하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Therefore, in the past, apparatus type facilities or simple storage facilities are used to purify contaminants contained in rainfall runoff, but the cost is inferior to the treatment cost, and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system regularly. There was a downside to this being exhaust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facilities have most limitations on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of treatment compared to the facilities, and are mainly piloted in very limited places such as large buildings, roads, and parking lots. There are limitations to treat rainfall runoff with various sources of pollution.
또한, 종래에는 일부 정화시설을 하천변에 설치하여 수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화시설은 하천변의 표면을 걷어내고 그 곳에 정화기능을 하도록 자갈층, 모래층 등을 적층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다양한 오염원에 대하여 이용될 수 없는 제한성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홍수시 처리시설이 침수되거나 접촉여재(자갈층, 모래층) 등이 토사에 의해 폐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에 복토 후 대부분 잔디 등의 단일 식생으로 단일 생태계를 조성하기 때문에 하천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육상 생태계와의 단절을 초래하고 있다. 이렇게 단일 생태계로 조성된 지역은 홍수시 과다한 침식이 발생하고 토양 침식물에 의한 퇴적, 세굴 등이 발생하여 구간별 보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인근 주민들에게 산책로 등의 친수적인 공간으로 이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some purific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at riversides to treat water. However, these purification facilities are not limited to various pollutants because they are composed by stacking gravel layers and sand layers to remove the surface of rivers and to purify th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medium (gravel layer, sand layer) is closed by the soil. In addition, since a single ecosystem is formed by a single vegetation, such as grass, after covering the upper part, it is not in harmony with the river ecosystem and causes disconnection with the land ecosystem. Areas formed of such a single ecosystem have excessive erosion during flooding, sedimentation and scour due to soil erosion, which requires repairs for each section, and it is restricted to use the area as a promenade such as a walkway. There is no problem.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21160호에는 그 고안의 명칭이 "하천수, 호소수, 하폐수처리장의 방류수 처리를 위한 복류식 정화장치"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이 기술은 하천의 둔치 일부분을 굴착한 후 그 곳에 정화처리를 위한 여러 층 을 적층 구성하여 그 곳을 거쳐 정화된 처리수가 지표를 따라 유동하여 하천 등으로 방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 또한 상기와 동일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04-21160 describes the name of the design of "Reflow Type Purification Device for Treatment of Effluents in River Water, Lake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is technique is designed to excavate a portion of the river's blisters and then build up several layers for purification, where the purified water flows along the surface and discharges into the stream. However, this technique also has the same problem as above.
현재 개발되고 있거나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강우유출수(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은 강우시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기존 하천수를 직접 정화하는 시설의 경우에는 강우시에 처리시설의 정상적인 가동이 불가한 실정으로 그 사용용도가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Most rainfall runoff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currently being developed or applied have limitations that are used only during rainfall.In the case of facilities that directly purify existing river water, normal operation of the treatment facilities during rainfall As an impossible situation, its use has limita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의 제방사면 및 둔치에 시공하여 하천으로 방류되는 다양한 오염수를 다공성 여재에 의한 여과 및 흡착, 여재 표면 및 다공질 내에 부착,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한 섭취, 및 식생 뿌리의 흡수를 통해 정화함으로써, 자연생태를 보호함은 물론 주민들에게 친환경 공간을 제공하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various contaminated water discharged to the river by installing on the bank's bank slope and blunt, the filtration and adsorption by the porous media, the media surface and the poro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protects the natural ecosystem and provides eco-friendly space to the inhabitants by purifying through adhesion, ingestion by inhabiting microorganisms, and absorption of vegetation roo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사면에 설치되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는 수처리장치로서, 유출수를 순차적으로 제방사면의 하부로 유동시키면서 정화처리하는 사면 접촉조를 포함하며, 사면 접촉조는 유출수가 유동하는 다수개의 유동구멍과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멍을 구비하며, 상호간에 접하는 유동구멍끼리 서로 연통하도록 제방사면을 따라 상호간에 밀착되어 유출수가 제방사면의 하부로 순차적으로 유동가능하게 배열된 다수개의 다각형 모듈과, 다각형 모듈의 내부에 각각 충진되어 유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하는 다수개의 여재, 및 다각형 모듈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식생을 식재하는 다수개의 식생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bank of the river bank to purify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effluent flowing through the inlet, the effluent flowing in the bottom of the bank slope to clean the slope It includes a contact tank, the slope contact tank has a plurality of flow holes through which the effluent flows and th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sludge is discharged, and the flow hol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embankment so that the outflow water of the bank surface A plurality of polygonal modules arranged in a flowable order in the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media filling each of the inside of the polygonal module to purify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effluent, and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olygonal module to remove vegetation It comprises a plurality of vegetation pots for planting.
또한,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사면에 설치되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 정화처리하는 사면 수처리부와, 하천의 둔치에 설치되어 상기 사면 수처리부에 의해 1차 정화처리된 유출수를 2차 정화처리하여 방류하는 평면 수처리부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로서, 사면 수처리부가 상기와 같은 사면 접촉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is installed on the embankment slope of the river to the primary purification treatment of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flow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and the primary purification treatment by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is installed on the riverbed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planar water treatment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ischarged effluent by secondary purification, and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includes the slope contact tank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강우시에는 강우유출수를 처리시설로 유입시켜 정화하고, 강우유출수가 발생되지 않는 비강우시에는 오염된 하천수 혹은 노천배수 등 오염수를 처리시설로 유입시켜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즉, 평상시에는 오염된 하천수 등을 정화하고, 강우시에는 초기강우 오염물질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lean the rainfall runoff during the rainfall by flowing into the treatment facility, and in the rain during the rain runoff does not generate contaminated water, such as contaminated river water or open water drainage into the treatment facility. In other words, it is configured to purify contaminated river water and the like during normal rainfall, and to purify the initial rainfall contaminants during rainfall.
특히, 본 발명은 상부에 식생의 활착 및 지지를 강화시키며 토양의 흘러내림과 씻김을 예방하는 식생포트를 설치하여, 수처리조 내부를 홍수에 의한 영향으로부터 철저히 배제시켜 침수와 미세한 토양 침식물에 의한 여재 공극의 폐쇄가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면 수처리부는 안정적인 구조와 하중의 분산을 유도할 수 있도록 육각형 형태의 모듈로 구성하고, 사면 수처리부와 평면 수처리부 상부에는 식생포트를 통해 다양한 자연식생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근 주민들에게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부여하고 건강한 생태계로 복원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vegetation port to prevent the flow and washing of the soil to enhance the swelling and support of the vegetation in the upper portion, to thoroughly exclude the inside of the water treatment tank from the effects of flooding by immersion and fine soil erosion It is configured so that closure of the media voids does not occur. In addition,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hexagonal module to induce a stable structure and load distribution, by configuring a variety of natural vegetation through the vegetation port on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and the planar water treatment unit In addition, it can provide a sense of security to nearby residents and restore a healthy ecosystem.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하천의 제방사면에 설치되는 식생 호안블록과 같이 협소한 면적으로 인해 다양한 수종의 식재가 어려운 단점과 식생이 안전히 활착되지 않은 도입초기 및 갈수기에 수분부족 현상으로 고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식생포트와 여재 사이에 수관을 도입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식생포트의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더불어, 식생포트에 조성된 식생의 뿌리가 수관을 따라 하부의 여재 사이로 자연스럽게 타고 내려갈 수 있어 수중의 영양염류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enomenon that the planting of a variety of species is difficult due to the narrow area, such as vegetation revetment block installed on the banks of the existing river and the lack of water in the early stage of introduction and the dry season that the vegetation is not securely sticking phenomenon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water pipe between the vegetation pot and the media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soil of the vegetation port by capillary action, and the roots of the vegetation formed in the vegetation port naturally ride between the lower media along the water pipe. It can go down, so it can be removed to remove nutrients in the water smoothly.
또한, 하천주변에 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홍수소통을 저해하는 문제점과 부지확보의 어려움, 나아가 심미적 측면에서 장애요소의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사면 및 둔치의 표층부를 걷어내고 지반 하부에 수처리조를 위치시키고 그 상부에 식생을 조성함으로써, 홍수시 통수단면적의 변화에 전혀 지장이 없으며 지하구조물로 조성되기 때문에 부지확보 및 활용도에도 어려움이 없다. 더불어, 수질정화시 발생할 우려가 있는 불쾌한 냄새 등을 식생포트 내 토양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할 수 있으므로 혐오시설에 대한 반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acilities are installed around the river, there is a problem of impeding flood communication, difficulty in securing the site, and furthermore, aesthetic problems, but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bank surface of the river and the surface layer of the blunt, By placing the water treatment tank and creating vegetation on top of it, there is no difficulty in changing the area of transportation during flooding, and it is not difficult to secure and utilize the site because it is composed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addition, the unpleasant odor that may occur during water purification can be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s in the soil in the vegetation pot, so that the antipathy to the aversive facility can be blocked in advance.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장치('수처리시스템'이라고도 함)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In the foll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also referred to as a 'water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rainfall run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 한 수처리시스템의 공정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수처리시스템을 제방사면 및 둔치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처리시스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1 is a process block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rainfall runo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1 is applied to a bank slope and a blunt.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system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스템은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00)와, 하천의 제방사면에 설치되어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1차 정화시키는 사면 수처리부(300)와, 하천의 둔치에 설치되어 사면 수처리부(300)에 의해 1차 정화된 강우유출수를 2차 정화시키는 평면 수처리부(400), 및 정화가 완료된 처리수를 하천 등으로 방류하는 유출부(500)로 크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세분적인 구성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술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elow, we will look in more detail at the subdivisional composition of the above components. However,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se components is on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유입부(100)(1) inlet (100)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스템은 강우유출수가 모이는 우수 집수조 혹은 합류식 하수관거의 경우에는 맨홀 등에서 유입부(100)까지 자연 유하식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자연 유하식으로 도입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펌프나 송풍기를 이용한 에어 리프트 펌프(air lift-pump) 등을 이용하여 강우유출수가 유입부(100)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natural inflow type from the manhole to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스템은 설치되는 지역특성에 따라 비강우시 하천으로 유입되는 지류 및 가정하수, 농업배수 등 처리시설이 위치한 하천수변 근처에 분포하는 여타의 오염수도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inflow of other polluted water distributed near the riverside where the treatment facility is located, such as tributaries, household sewage, and agricultural drainage, which flow into the river during rainy day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o be installed. Can be.
유입부(100)에는 각종 스크린과 침사지 등 전처리 시설을 두어 강우시 다양한 토지이용 형태에 따라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나 낙엽, 동식물의 사체 등의 협잡물과, 모래, 실트, 점토 등의 세립자를 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2) 사면 수처리부(300)(2) slop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이 제거된 오염수는 하천제방(200)을 관통하여 사면 수처리부(300)로 자연 유하식으로 유입된다. 이 때, 유입관(310)을 따라 유입되는 유입수가 배플(320 ; baffle)을 거쳐 정류된 후 유량 균등조(330)를 통해 후단의 사면 접촉조(340)로 균등 분배 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aminated water from which the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is introduced into the slope
본 실시예에 따른 사면 접촉조(340)는 하천의 제방사면에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가 밀폐형으로 구성되어 홍수시에 그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하천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즉, 사면 접촉조(340)는 제방사면의 표층을 걷어내고 그 하단부에 일정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육각형 모듈(341)을 안정적으로 배치하여 구성한다. 이 때, 육각형 모듈(341) 대신에 다른 다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육각형 모듈(341)은 구조적 안전성을 고려하여 일정 중량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육각형 모듈(341)은 콘크리트로 제작된다.The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사면 수처리부를 구성하는 모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육각형 모듈(34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만 완전 개방 되고 나머지 면들은 폐쇄되는 형태를 갖되 유출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동구멍(341a)을 갖거나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멍(341b)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육각형 모듈(341)의 측면에는 일정 높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유동구멍(341a)을 갖고, 하면 일측에 배출구멍(341b)을 갖는다. 여기서 유동구멍(341a)을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은 육각형 모듈(341)을 서로 간에 밀착시킬 경우 유동구멍(341a)끼리 서로 연통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한, 유동구멍(341a)을 육각형 모듈(341)의 하부에서 일정 높이에 형성한 것은 유출수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 등이 침적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배출구멍(341b)에는 배출관(341c)을 더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dule configuring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illustrated in FIG. 3. As shown in FIG. 5,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사면 접촉조(340)는 상기와 같은 다수개의 육각형 모듈(341)을 상호간에 밀착시켜 배열하여, 유동구멍(341a)을 통해 육각형 모듈(341)간에 서로 연통되게 배열하되, 배출구멍(341b)이 제방사면의 하부 쪽에 위치하도록 배열한다. 이 때, 육각형 모듈(341)은 제방사면의 면적과 유입수의 성상에 따라 그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적정한 체류시간을 제공하여 경제적이고, 고효율 처리가 가능하다.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면 접촉조(340)는 육각형 모듈(341)의 각각에 충진되는 다공성 여재(342)를 포함한다. 다공성 여재(342)는 유입수의 유동이 가능하고 일정 필터링 기능을 가지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하든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성 여재(342)는 현장 상황에 맞는 것을 사용하면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면 접촉조(340)는 각각의 육각형 모듈(341)의 상 부에 설치되어 자연식생을 식재하는 식생포트(343)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생포트(343)는 다양한 식생을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수처리시스템의 주변에 거주하는 시민들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어 혐오시설물에 대한 거부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상황에 맞추어 미리 식생포트(343)에 식생을 생육시켜 현장 적용함으로써 공사 완료 후 곧바로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사면 수처리부를 구성하는 식생포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포트(343)는 육각형 모듈(341)의 상부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운반의 편리성을 위한 운반용 손잡이(343a)가 그 상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운영상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식생포트(343)를 탈착하여 문제 해결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육각형 모듈(341)에 충진된 다공성 여재(342)를 교환하는 통로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식생포트(343)에는 토양을 복토하여 식생의 지지 및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고, 토양 미생물에 의해 운영시 발생되는 각종 냄새 등을 분해할 수 있는 장소로 이용된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getation port constituting the slope water treatment unit illustrated in FIG. 3. As shown in FIG. 6,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면 접촉조(340)는 여름철이나 갈수기 등에 발생되는 수분부족에 따른 식물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식생포트(343)의 하부에 다수개의 수관(344)을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식생포트로 수분을 공급하는 개념의 수관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관(344)은 식생포트(343)의 하부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타단이 육각형 모듈(341)의 하부를 향 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식생포트(343) 내에 식재된 식생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관(344)을 따라 이동하는 수분에 의해 여름철이나 갈수기에도 고사될 우려가 없다. 또한, 수관(344)은 식생포트(343) 내에 활착 증식된 식생의 뿌리가 자연스럽게 하부의 다공성 여재(342)의 사이로 뻗을 수 있도록 하여 수중의 영양염류의 흡수 효율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사면 수처리부(300)는 육각형 모듈(341) 속에 충진된 다공성 여재(342)와 오염물질 간의 충돌, 접촉을 통한 침전 및 침강, 그리고 각각의 육각형 모듈(341)에 침전된 슬러지의 배출을 통한 제거, 다공성 여재(342)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 부유물질의 침전에 따른 유기물과 유기성 질소 및 유기성 인의 동시제거, 식생이 안정화 된 후 식물 뿌리를 통한 영양물질의 흡수에 따른 무기질소와 인산염의 제거 등이 가능하다. The slope
또한, 사면 수처리부(300)는 여재를 이용한 오염수 처리기술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여재 막힘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 8과 같은 개념으로 사면 접촉조(340)에 슬러지의 배출배관 및 역세배관을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사면 수처리부에 적용되는 슬러지 배출배관 및 역세배관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은 육각형 모듈(341)의 배출관(341c)에 각각 연통되며, 슬러지의 배출 및 역세를 간단한 밸브조작으로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면 접촉조(340)는 육각형 모듈(341)의 배출구멍(341b)에 연통되며 개폐밸브(345a)가 설치된 배출배관(345)과, 배출배관(345)에 연통되고 개폐밸브(346a)가 설치된 제1 역세배관(346), 및 제1 역세배관(346)에 물을 공급하 여 역세하는 역세용 펌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역세배관(346)에 연통되고 개폐밸브(347a)가 설치된 제2 역세배관(347)과, 제2 역세배관(347)에 공기를 공급하여 역세하는 역세용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lope
따라서 사면 수처리부(300)는 슬러지의 배출상태에 따라 역세용 펌프를 이용한 물에 의한 역세와, 역세용 송풍기를 이용한 공기에 의한 역세 등 현장 상황에 맞는 역세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물에 의한 역세와 공기에 의한 역세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lope
또한, 사면 수처리부(300)는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고, 설치비와 운영비 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육각형 모듈(341)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모듈에 단계적으로 다공성 여재를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여재(342)가 쇄석인 경우에는 유출수와 가장 먼저 접촉하는 최상단의 육각형 모듈(341)에 가장 굵은 크기의 쇄석(200~150 mm)을 배치하고, 다음에 150~100mm, 100~50mm, 50~25mm 순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쇄석 사이의 공극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육각형 모듈(341)에 기능성 여재를 적층하여 특정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lope
(3) 평면 수처리부(400)(3) the plana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수처리부(300)를 거쳐 1차 정화된 강우유출수는 유입유공조(410)를 통해 균등하게 평면 접촉조(420)로 유입되어 2차 정화된 후 유출유공조(440)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평면 접촉조(420)는 다수개 의 다공성 여재(421)가 충진되는 공간과, 다공성 여재(421)의 상부에서 식생포트(422)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충진된 다공성 여재(421)의 하부에 입자상 물질 등의 침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침전호퍼(423)를 갖도록 구성된다. 평면 접촉조(420)는 사면 접촉조(34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현장 상황에 적합한 다양한 다공성 여재(421)들이 충진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도 9와 같은 다수개의 식생포트(422)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first runoff rainwater purified through the slope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평면 수처리부를 구성하는 식생포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포트(422)는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운반의 편리성을 위한 운반용 손잡이(422a)가 그 상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식생포트(422)는 평면 접촉조(420)의 내부에 충진되는 다공성 여재(421)를 교환하거나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식생포트(422)에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수관이 연결되어 식생포트(422) 내의 식물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getation pot configuring the planar water treatment unit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ure 9, the
평면 접촉조(420)의 면적이 매우 넓은 경우에는 식생포트(422)와 식생포트(422)의 사이에 사람의 이동이 자유로운 통로를 별도로 설치하여 식생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접촉조(420)는 역세장치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역세 및 폭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접촉조(420)는 현장 상황에 따라 다공성 여재(421)의 충진 형태나 적용 여재의 선택을 가변적으로 행할 수 있다. 즉, 평면 접촉조(420)는 도 10과 같이 그 내부에 다공성 여재(421)를 전량 채우지 않고, 여재와 여재의 사이에 약간의 빈 공간을 두어 유출 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다공성 여재(421)와 입자성 물질의 충돌을 유도하여 침전이 용이하도록 다공성 여재(421)를 지그재그 형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충진 형태를 변화시켜 운영할 수 있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평면 수처리부에 적용되는 여재의 충진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When the area of the planar contacting
본 실시예에 따른 평면 수처리부(400)는 사면 수처리부(300)와 거의 동일한 방법인, 충진된 다공성 여재(421)와 오염수의 접촉에 따른 침전 및 침강, 다공성 여재(421) 내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 식생에 의한 영양물질의 제거 등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The planar
평면 수처리부(400)는 평면 접촉조(4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입자성 물질들이 원활하게 퇴적될 수 있도록 하부를 향해 좁아지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침전호퍼(423)를 설치하고, 이러한 침전호퍼(423)와 연통하는 배출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평면 접촉조(420)에 역세배관을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사면 접촉조(340)와 같은 역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planar
또한, 평면 수처리부(400)는 별도의 유입부(430)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부(430)는 예를 들어 청천시에 사면 수처리부(300)를 거쳐 정화처리하지 않고 평면 수처리부(400)를 통해서만 정화처리할 경우에 유출수(하천수 등등)의 유입통로 역할을 한다. 유입부(430)는 도 2에 도시된 유입부(100)와 유사하게 스크린, 침사지 등으로 조합된 전처리시설을 기본으로 하며, 홍수시 하천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갖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lanar
평면 수처리부(4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평면 접촉조(420)를 기본으로 설계되지만, 도 11과 같이 지역 및 현장 상황에 따라 평면 접촉조(420) 대신에 식생수로, 저수호안, 인공습지(450) 등으로 각각 조합하여 최적의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시스템의 개념도이다. The planar
(4) 유출부(500)(4)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강우유출수, 하천본류, 지류, 농업배수, 가정하수 등이 사면 수처리부(300)와 평면 수처리부(400)를 통해 정화된 후 유출부(500)를 통해 안정적으로 하천 본류로 배출되어 하천의 유지용수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유출부(500)는 하천 수위의 변동에 의해 역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수문 등을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1 to 5, rainfall runoff, river mains, tributaries, agricultural drainage, household sewage, etc. introduced through the
본 발명의 수처리시스템은 주로 강우유출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나, 강우가 발생되는 우기를 제외하고는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강우가 발생되지 않는 시기에는 하천수 및 농업배수 등 본 발명의 수처리시스템의 인근에 분포하는 오염수를 유입부(100)로 유입시켜 사면 수처리부(300) 및 평면 수처리부(400)를 통해 정화처리하거나, 평면 수처리부(400)의 유입부(430)로 유입시켜 평면 수처리부(400)만을 통해 정화처리할 수 있다. The water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igned to control rainfall runoff, but its use may be limited except for the rainy season in which rainfall occurs. Therefore, when no rainfall occurs, contaminated water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river water and agricultural drainage, is introduced into the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사면 및 둔치에 시공하여 하천으로 방류되는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다양한 오염수를 다공성 여재에 의한 여과 및 흡착, 여재 표면 및 다공질 내에 부착,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한 섭취, 및 식생 뿌리의 흡수를 통해 정화함으로써, 자연생태를 보호함은 물론 주민들에게 친환경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rainfall runoff, which is discharged to rivers by installing on banks and banks of rivers. By purifying through absorption of vegetation, roots, and vegetation, it protects natural ecology and provides eco-friendly space to residents.
또한,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 뿐만 아니라 비강우시에는 오염 하천수, 농업배수, 노천하수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하수처리구역에서 제외된 지역에서 발생되는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 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연중 사용이 가능한 시설로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move polluted river water, agricultural drainage, open-air sewage, etc. during the rain as well as rainfall runoff, year-round that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generated in areas excluded from the sewage treatment area. It is a versatile facility that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은 시설운영 중 발생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배출 및 역세시를 제외하고는 동력이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운영비용과 인력이 거의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erating cost and manpower is hardly needed because little power is used except for the discharge and backwashing to remove the sludg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또한, 본 발명은 편리한 식생포트의 탈착을 통해 여재의 교체 및 내부 보수가 용이하며, 수관을 통해 식생포트 내의 식물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 여름철이나 갈수기에 수분 부족에 따른 식생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eplace and repair the media through the convenient desorption of the vegetation port, and by continuously supplying moisture to the plants in the vegetation port through the water pipe to prevent the death of vegetation due to lack of moisture in the summer or dry season Can be.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를 식생포트에 식생함에 따라 콘크리트 시공에 따른 하천수변의 삭막함과 단일종으로 이루어진 단순함으로부터 벗어나 하천 생태계의 형성과 연중 푸르른 하천수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tream of river ecosystem and the year-round green river water from the simplicity consisting of a single species and a stream of water along the concrete construction by planting various kinds in the vegetation pot.
또한, 본 발명은 주로 국유지이며 유휴지인 하천의 제방사면과 둔치에 설치 함으로 부지확보에 소요되는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처리시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주민 친화적 시설이므로 시공과 운영시 민원발생의 소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equired cost required for securing the site by installing on the banks and banks of rivers, which are mainly state-owned and idle lands, and civil complaints occur during construction and operation since the treatment facility is a resident-friendly facility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Possession of rarely occurs.
이상에서 본 발명의 강우유출수를 비롯한 오염수 처리를 위한 수처리시스템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water treatment system for treating contaminated water, including rainfall runof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t is also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6005A KR100691763B1 (en) | 2005-03-29 | 2005-03-29 | Water treatment equipment to purify the polluted water including the storm water runof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6005A KR100691763B1 (en) | 2005-03-29 | 2005-03-29 | Water treatment equipment to purify the polluted water including the storm water runof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4129A KR20060104129A (en) | 2006-10-09 |
KR100691763B1 true KR100691763B1 (en) | 2007-03-12 |
Family
ID=3763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6005A KR100691763B1 (en) | 2005-03-29 | 2005-03-29 | Water treatment equipment to purify the polluted water including the storm water runof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9176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4377B1 (en) * | 2008-03-26 | 2008-10-21 | (주)백년기술 | Prefabricated structure for river and lake water treatment |
KR101194052B1 (en) | 2012-07-03 | 2012-10-24 | 이용교 |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purifying road contaminated water as raining |
KR101218344B1 (en) * | 2009-10-21 | 2013-01-03 | (주)웸스 | Vegetative Filter For Primary Stage Rainwater Treatment |
KR101258159B1 (en) * | 2011-08-22 | 2013-04-25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Back Washing Floating Wetland and Vegetation settl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5161B1 (en) * | 2006-11-30 | 2007-06-07 | 우암종합건설(주) | Sedimentation for non-point source contaminant decrease |
KR100891656B1 (en) * | 2007-06-19 | 2009-04-03 | 이미경 | Water way type artificality marsh and building method thereof |
KR100858918B1 (en) | 2008-05-08 | 2008-09-17 | 주식회사 대명테크 | Accembly vegetation block and filteration for polluted water using the same |
KR100886117B1 (en) * | 2008-11-24 | 2009-02-27 | (주)휠탑 | Natural sand filtering method and the apparatus for artifical groundwater of valley |
KR101020791B1 (en) * | 2010-05-18 | 2011-03-09 | 이성우 | Changeable bag for vegetation belt |
KR101236417B1 (en) * | 2012-05-17 | 2013-02-25 | 오광식 | Device establishig area of ecology |
CN102953353B (en) * | 2012-11-14 | 2014-11-19 | 河海大学 | Microbial river embankment reinforcement ecological slope protection technology |
KR101951294B1 (en) * | 2016-08-03 | 2019-05-10 | 김동환 | Filtering Equipment for Wastewater |
CN110240279A (en) * | 2019-06-25 | 2019-09-17 | 水生藻安生物科技(武汉)有限公司 | A kind of artificial substrate system suitable for reducing water body concentr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
CN113772824A (en) * | 2021-09-30 | 2021-12-10 | 海绵城市建设(上海)有限公司 | Hard revetment wall-mounted submerged plant water purification module and application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4369A (en) | 2000-09-25 | 2002-03-30 | 배장영 | System of the purification river water with biological contact oxidation type to install on any natural river banks and water sides |
KR20030012398A (en) | 2001-07-31 | 2003-02-12 | 주식회사 아썸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based on ecological engineering and method the same |
-
2005
- 2005-03-29 KR KR1020050026005A patent/KR10069176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4369A (en) | 2000-09-25 | 2002-03-30 | 배장영 | System of the purification river water with biological contact oxidation type to install on any natural river banks and water sides |
KR20030012398A (en) | 2001-07-31 | 2003-02-12 | 주식회사 아썸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based on ecological engineering and method the sam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4377B1 (en) * | 2008-03-26 | 2008-10-21 | (주)백년기술 | Prefabricated structure for river and lake water treatment |
KR101218344B1 (en) * | 2009-10-21 | 2013-01-03 | (주)웸스 | Vegetative Filter For Primary Stage Rainwater Treatment |
KR101258159B1 (en) * | 2011-08-22 | 2013-04-25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Back Washing Floating Wetland and Vegetation settling System |
KR101194052B1 (en) | 2012-07-03 | 2012-10-24 | 이용교 |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purifying road contaminated water as rain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4129A (en) | 2006-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1763B1 (en) | Water treatment equipment to purify the polluted water including the storm water runoff | |
KR100691566B1 (en) | The system for rain water low flow and underground infiltration | |
CA2684057C (en) | In line wetland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US8303816B2 (en) | Wetland biofilter chamber with peripheral catch basin and method of use thereof | |
US7425262B1 (en) | In line wetland water treatment system | |
US8940170B2 (en) |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 |
KR101294715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of Road | |
KR100897258B1 (en) | Draining unit for purifying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rainwater | |
KR100958326B1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using osmosis and vegetation | |
KR100891656B1 (en) | Water way type artificality marsh and building method thereof | |
KR20130048884A (en) | Natural circulation tree filter box system | |
KR100668479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system | |
KR200413946Y1 (en) |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System | |
KR100437075B1 (en) | the purificate method of a rainwater in an underflow pond and that equipments | |
KR102229560B1 (en)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system | |
WO2019061869A1 (en) | Integrated rainwater treatment device | |
CN105174635A (en) | Multi-stage rainwater biological treatment device | |
JP2006316529A (en) | Non-point pollutant source removal equipment | |
KR100601908B1 (en) | First Flushing Stormwater Treatment and waterside Creation by reservoir | |
KR200416507Y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 |
KR101218769B1 (en) | Urban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device using ecological trench | |
KR100533326B1 (en) | Draining system for purifying the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KR100491867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100988864B1 (en) | Water treatment system | |
KR200287647Y1 (en) | the purificate equipments of a rainwater in an underflow po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