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708B1 -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708B1
KR100690708B1 KR1020020037018A KR20020037018A KR100690708B1 KR 100690708 B1 KR100690708 B1 KR 100690708B1 KR 1020020037018 A KR1020020037018 A KR 1020020037018A KR 20020037018 A KR20020037018 A KR 20020037018A KR 100690708 B1 KR100690708 B1 KR 100690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rotation
camera
voice
com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707A (ko
Inventor
김기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7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데이터의 분석없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함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 방향 및 회전크기를 결정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카메라를 기준으로 좌우로 설치된 최소한 2개 이상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들을 인식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인식된 음성신호들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상기 음성신호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촬영 방향과 회전 크기를 결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결정된 촬영 방향으로 회전 크기만큼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방법 및 장치{IMAGE PHOTOGRAPHING DIRE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HELD TERMINAL IN IMAGE COMMUNICA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촬영 방향 조정 장치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 방향 조정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1,112 : 음원 감지기 121,122 : 음원크기 산출부
130 : 음원방향 판단부 140 : 회전량 산출부
150 : 회전 구동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는 피사체 예로, 사용자 또는 침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결정하는 방식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영상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참고하여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을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에 적용한다면 사용자가 휴대폰을 휴대하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더라도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카메라를 사용자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항시 원활한 화상 통화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움직임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 방향을 결정함으로 휴대폰을 휴대하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때 사용자의 위치와는 다른 방향으로 촬영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화상 통화를 시작하여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지 못하므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의 분석없이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함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 방향 및 회전크기를 결정하도록 창안한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기준으로 좌우로 설치된 최소한 2개 이상의 음원 감지기를 이용하여 입력음성신호를 인식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인식된 음성신호들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상기 음성신호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촬영 방향과 회전 크기를 결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결정된 촬영 방향으로 회전 크기만큼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기준으로 좌우로 설치된 최소한 2개 이상의 음원 감지기를 이용하여 입력음성신호를 인식하는 제1 단계와, 상기에서 인식된 음성신호들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상기 음성신호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촬영 방향을 결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에서 결정된 촬영 방향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키면서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상기 음성신호들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는지 비교하는 제3 단계와, 상기에서 음성신호들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는 시점에서 카메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4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력음성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좌,우 채널의 음원 감지부와, 상기 좌,우 채널 음원 감지부에서 감지된 각 음성신호를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음성신호의 강도를 산출하기 위한 제1,제2 음원크기 산출부와, 상기 제1,제2 음원크기 산출부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음원 발생 방향을 판단하는 음원방향 판단부와, 이 음원방향 판단부에서 결정한 방향으로의 회전량을 산출하는 회전량 산출부와, 이 회전량 산출부에서의 회전량 만큼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장치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좌,우 채널 음원 감지기(111)(112)와, 상기 음원 감지기(111)(112)에서 감지된 각 음성신호를 미리 기억된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과 일치하는 음성신호들의 강도를 산출하기 위한 음원크기 산출부(121)(122)와, 상기 음원크기 산출부(121)(122)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음원 발생 방향을 판단하는 음원방향 판단부(130)와, 이 음원방향 판단부(130)에서의 결정 방향에 대한 회전 크기를 산출하는 회전량 산출부(140)와, 이 회전량 산출부(140)에서의 회전 크기 만큼 상기 음원방향 판단부(130)에서의 회전방향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50)로 구성한다.
상기 음원 감지기(111)(112)는 마이크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도2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을 핸즈프리 등에 고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화상 통화가 실행되면 카메라(도면 미도시)를 기준으로 좌,우로 설치된 음원 감지기(111)(112)가 음성신호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음원크기 산출부(121)(122)로 각기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음원크기 산출부(121)(122)는 이전에 미리 저장한 사용자 음성과 현재 입력된 음성신호를 비교하여 사용자 음성으로 판단되면 그 사용자 음성의 강도를 산출하여 음원방향 판단부(130)로 입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음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미리 핸드폰에 사용자의 음성을 기록하여 두어야 한다.
삭제
상기 음원방향 판단부(130)는 음원크기 산출부(121)(122)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음성이 발생되는 방향을 판단하고 회전량 산출부(140)는 상기 음원방향 판단부(130)에서의 결정 방향에 대해 회전 크기를 산출하여 회전 구동부(150)로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 구동부(150)는 회전량 산출부(140)의 회전 크기 만큼 카메라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량 산출부(140)에서 산출하는 회전량을 점검하여 마이크(111)(112)에서 감지되는 음성신호 중 사용자 음성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는지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음원 감지기(111)(112)에서 감지되는 음원의 크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카메라 방향 구동부(150)는 카메라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회전 구동부(150)가 카메라를 회전시키면서 음원 감지기(111)(112)에서 감지되는 음원의 크기가 동일한지 판단함에 있어서 음원방향 판단부(130)의 비교 결과를 점검하여 상기 음원 감지기(111)(112)에서 감지되는 음원의 크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카메라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을 임의의 위치 예로, 핸즈프리 등에 고정시키는 경우 사용자측과는 다른 방향으로 촬영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화상 통화시 영상 분석이 아닌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원활한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카메라를 기준으로 좌우로 설치된 최소한 2개 이상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들을 인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인식된 음성신호들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상기 음성신호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촬영 방향과 회전 크기를 결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결정된 촬영 방향으로 회전 크기만큼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방법.
  2. 카메라를 기준으로 좌우로 설치된 최소한 2개 이상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들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음성신호들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상기 음원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촬영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촬영 방향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키면서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음성신호들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는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음성신호들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는 시점에서 카메라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방법.
  3. 최소한 2개 이상의 음원감지기를 구비하여 카메라를 기준으로 좌,우의 음성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음원감지 수단과,
    상기 음원감지 수단에서 감지된 각 음성신호들을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음성과 비교하고 사용자 음성으로 확인된 음성신호들의 강도를 산출하기 위한 제1,제2 음원크기 산출 수단과,
    상기 제1,제2 음원크기 산출 수단의 결과값을 비교하여 음원 발생 방향을 판단하는 음원방향 판단 수단과,
    이 음원방향 판단 수단에서 결정한 방향으로의 회전량을 산출하는 회전량 산출 수단과,
    이 회전량 산출 수단에서의 회전량 만큼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 수단은
    회전량 산출 수단이 현재 출력하는 회전량이 '0'될 때까지 카메라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회전 구동 수단은
    음원방향 판단 수단의 비교 결과를 점검하여 최소한 2개 이상의 음원감지 수단에서 감지되는 음성신호들의 크기가 동일한 시점에서 카메라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 장치.
KR1020020037018A 2002-06-28 2002-06-28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방법 및 장치 KR10069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018A KR100690708B1 (ko) 2002-06-28 2002-06-28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018A KR100690708B1 (ko) 2002-06-28 2002-06-28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707A KR20040001707A (ko) 2004-01-07
KR100690708B1 true KR100690708B1 (ko) 2007-03-09

Family

ID=37313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018A KR100690708B1 (ko) 2002-06-28 2002-06-28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342A (ko) * 2002-07-02 200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용 단말기
KR100830502B1 (ko) * 2004-11-19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방향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KR101101267B1 (ko) * 2011-08-01 2012-01-04 (주)진성메디 활성 지압 악력구
CN103957359B (zh) * 2014-05-15 2016-08-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摄像装置及其对焦方法
CN112311999A (zh) * 2019-07-26 2021-02-02 上海龙旗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视频音箱设备及其摄像头视角调整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183A (ko) * 1994-02-03 1995-09-18 김광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음원 감지장치
KR970056974A (ko) * 1995-12-28 1997-07-31 배순훈 화상회의 시스템에서의 영상카메라 조정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26645A (ko) * 1996-10-10 1998-07-15 김광호 화상회의 시스템 및 카메라 제어 방법
KR19990050603A (ko) * 1997-12-17 1999-07-05 전주범 화상회의시스템의 촬상제어장치
KR100220580B1 (ko) * 1996-04-29 1999-09-15 전주범 카메라 자동제어 장치
KR20000044079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183A (ko) * 1994-02-03 1995-09-18 김광호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음원 감지장치
KR970056974A (ko) * 1995-12-28 1997-07-31 배순훈 화상회의 시스템에서의 영상카메라 조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195724B1 (ko) * 1995-12-28 1999-06-15 전주범 화상회의 시스템에서의 영상카메라 조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220580B1 (ko) * 1996-04-29 1999-09-15 전주범 카메라 자동제어 장치
KR19980026645A (ko) * 1996-10-10 1998-07-15 김광호 화상회의 시스템 및 카메라 제어 방법
KR19990050603A (ko) * 1997-12-17 1999-07-05 전주범 화상회의시스템의 촬상제어장치
KR20000044079A (ko) * 1998-12-30 2000-07-15 전주범 화상회의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707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9898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音声レベルを変化させるため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16426A1 (en) Audio-visual control system
CA2390287C (en) Acoustic source range detection system
CN101911730B (zh) 向用户发信号通知麦克风遮盖
JP4247002B2 (ja) マイクロホンアレイを用いた話者距離検出装置及び方法並びに当該装置を用いた音声入出力装置
US80509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prompt voice depending on environment
US10271135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of audio signals based on device position
KR2018001205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201100548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mapping
EP34338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reduction
US200701720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gain of a voice signal
US20140015952A1 (en) Automatic Un-Muting of a Telephone Call
CN110390953B (zh) 啸叫语音信号的检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07080886A1 (ja) 音声認識装置、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ならびに妨害軽減装置、妨害軽減方法、および妨害軽減プログラム
KR100690708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 방향 조정방법 및 장치
US69590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output channels in a microphone
EP1257146A2 (en) Method and system of sound processing
US58842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microphone acceptance angle
KR101839854B1 (ko)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cctv의 운용 장치 및 그 방법
JP517386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4171568A2 (ko) 소리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KR101710695B1 (ko) 차량용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로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16289A (ko) 노트북 컴퓨터의 스피커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9175960A1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音声処理方法
KR20190098096A (ko)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730

Effective date: 2006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