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609B1 -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 Google Patents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609B1
KR100690609B1 KR1020040103625A KR20040103625A KR100690609B1 KR 100690609 B1 KR100690609 B1 KR 100690609B1 KR 1020040103625 A KR1020040103625 A KR 1020040103625A KR 20040103625 A KR20040103625 A KR 20040103625A KR 100690609 B1 KR100690609 B1 KR 10069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igd
internet
pack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64937A (en
Inventor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609B1/en
Publication of KR2006006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9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92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tunnelling or encap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인식될 수 없는 비공인 IP를 할당받은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와, 인터넷에서 인식할 수 있는 공인 IP를 할당받은 인터넷상의 외부 장치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장치가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가입자의 IGD(Internet Gateway Device)에 할당된 공인 IP 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을 때, 상기 IGD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홈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각 장치에 할당된 비공인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홈 네트워크 장치의 IP를 헤더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IGD의 IP를 헤더로 하는 패킷에 터널링 하는 단계와; 상기 IP 터널링된 패킷을 IGD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IGD에서 그 패킷의 헤더를 제거하여, 내부 패킷 헤더의 IP를 갖는 홈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me network device and the Interne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on a home network assigned with an unauthorized IP that cannot be recognized on the Internet, and an external device on the Internet assigned a public IP that can be recognized on the Internet.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of a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public IP information assigned to an Internet gateway device (IGD) of an Internet subscriber to which an external device is to be connecte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a device on a home network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IGD recognizes each device on the home network through multicast and obtains private IP information and port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recognized device. Wow; Generating a packet having an IP of the home network device as a header and tunneling the packet having the IP of the IGD as a header; And transmitting the IP tunneled packet to the IGD and removing the header of the packet from the received IGD, and transmitting the IP tunneled packet to the home network device having the IP of the inner packet header.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Direct communication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도 1은 종래 비공인 IP를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공인 IP를 사용하는 외부 장치의 통신 방법을 보인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a home network device using a conventional private IP and an external device using a public IP.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 가입자 IGD(Internet Gateway Device)에 할당된 IP를 얻는 방법을 보인 예시도.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obtaining an IP assigned to a subscriber IGD (Internet Gateway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PnP 장치에서 홈 네트워크 상의 사용 가능한 장치(Device)를 찾기 위한 멀티캐스트 방식을 보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ulticast scheme for finding a usable device on a home network in a UPn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공인 IP를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공인 IP를 사용하는 외부 장치의 통신 방법을 보인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of a home network device using an unauthorized IP and an external device using a public 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 IP 터널링에 의해 생성한 패킷을 홈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을 보인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ransmitting a packet generated by IP tunneling from an external device to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에서 인식될 수 없는 비공인 IP를 할당받은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 와, 인터넷에서 인식할 수 있는 공인 IP를 할당받은 인터넷상의 외부 장치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home network device and an Interne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device on a home network assigned an unauthorized IP that cannot be recognized on the Internet, and an external device on the Internet assigned a public IP that can be recognized on the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home network device and an Internet device, which enable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 기반의 사설망(Private Network)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개인 컴퓨터(PC)와 지능형 제품, 무선 장치 등의 다양한 기기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것이다.In general, a home network is formed by a private network based on an Internet Protocol (IP). The home network includes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PCs), intelligent products, and wireless devices. It is connected and controlled by one network.

상기와 같이 홈 네트워크는 가정내의 장치를 상호 연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사용자는 외부에서도 가정내의 장치를 제어하기를 원하고 있다. 즉, 최근 초고속 통신망의 보급과 이동 통신망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디에서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해 가정내의 장치들을 제어하고자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ome network aims to interconnect devices in the home, but the user wants to control the devices in the home from the outside. In other words, since the Internet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due to the recent spread of the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intended to control the devices in the home through the Internet which can be easily accessed from anywhere.

그런데,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가정내의 모든 홈 네트워크 장치들이 공인 IP를 할당받을 수 없다는 것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IGD(Internet Gateway Device)에 할당되는 공인 IP 역시, 동적(Dynamic)으로 할당되기 때문에 그 IP 를 외부에서 알 수 없다는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is that not all home network devices in the home can be assigned a public IP, and that public IP assigned to an Internet Gateway Device (IGD) by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is also dynamic ( The IP is not known from outside because it is assigned to Dynamic.

다시 말해,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 장치들은 IP를 기반으로 연결시키는 홈 네트워크의 표준화(UPnP)가 진행되어,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치들이라 할지라도 통신이 가능하며, 인터넷을 통해서 가정 밖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 수는 있으나, 가정내의 모든 장치들이 공인 IP를 부여받지는 못한다.In other words, the home network devices in the home are standardized (UPnP) of the home network to connect based on IP, so that even devices of different manufacturers can communicate and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outside the home through the Internet. Yes, but not all devices in the home are given public IP.

따라서,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로부터 하나의 공인 IP 만을 부여받아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할당받은 공인 IP 하나를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통하여 여러 장치들이 공유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으나 인터넷상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 시 제한이 따르게 된다.Therefore, in a typical home, only one public IP is assigned from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to use the Internet, and a method of sharing the allocated public IP with multiple devices through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s also used. Restrictions apply when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on the network.

그럼, 도1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종래 비공인 IP를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의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communication method of a home network apparatus using a conventional private I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iagram of FIG.

도1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 내에서 비공인 IP를 부여받은 장치 B의 애플리케이션은, 외부의 공인 IP를 갖는 장치 A의 포트 번호를 통하여, 장치 A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할 수 있고, IGD의 NAT 서비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의 장치 A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비공인 IP를 갖는 홈 네트워크 장치 B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Referring to FIG. 1, an application of a device B, which has been granted an unauthorized IP in a home network, can access an application of the device A through a port number of a device A having an external public IP, and establish a NAT service of the IG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However, there is no way to connect to an application of home network device B having a private IP from an application of external device A.

만약, 홈 네트워크 장치 B의 애플리케이션이 IP와 포트번호를 IGD(Internet Gateway Device)의 NAT 서비스에 등록하고, 외부 장치 A의 애플리케이션이 IGD의 공인 IP와 그 IGD에 등록된 장치 B의 애플리케이션이 매핑(Mapping) 되는 포트 번호를 미리 알고 접속한다면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적으로 포트 번호를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장치에서 홈 네트워크 장치로의 접속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f the applic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B registers the IP and port number to the NAT service of the IGD (Internet Gateway Device), the applic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 is mapped to the public IP of the IGD and the application of the device B registered in the IGD ( Although it is possible to know the port number to be mapp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home network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because most applications dynamically allocate the port numb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인터넷에서 인식될 수 없는 비공인 IP를 할당받은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와, 인터넷에서 인식할 수 있는 공인 IP를 할당받은 인터넷상의 외부 장치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device on the home network is assigned an unauthorized IP that can not be recognized on the Internet, and on the Internet assigned a public IP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Interne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home network device and an Internet device, which enable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external device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장치가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가입자의 IGD(Internet Gateway Device)에 할당된 공인 IP 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을 때, 상기 IGD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홈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각 장치에 할당된 비공인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얻는 단계와; 상기 홈 네트워크 장치의 IP를 헤더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IGD의 IP를 헤더로 하는 패킷에 터널링 하는 단계와; 상기 IP 터널링된 패킷을 IGD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IGD에서 그 패킷의 헤더를 제거하여, 내부 패킷 헤더의 IP를 갖는 홈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the public IP information assigned to the Internet Gateway Device (IGD) of the Internet subscriber to the external device to access; When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a device on a home network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IGD recognizes each device on the home network through multicast and obtains private IP information and port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recognized device. Wow; Generating a packet having an IP of the home network device as a header and tunneling the packet having the IP of the IGD as a header; And transmitting the IP tunneled packet to an IGD, removing the header of the packet from the received IGD, and transmitting the IP tunneled packet to the home network device having the IP of the inner packet head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processing flow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obvious to them.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structures which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우선,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가입자 장치)마다 갖는 유일한 정보(예 : 전화번호, MAC 어드레스)를 이용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로부터 그 가입자의 IGD에 할당한 공인 IP 정보를 얻는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public IP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IGD of the subscriber is obtained from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by using unique information (for example, a telephone number and a MAC address) for each Internet service subscriber (subscriber device).

즉, 현재 대부분의 ISP가 유선전화 서비스를 같이 제공하고 있으며, 그 유선전화 또한 VoIP(Voice over IP)의 인터넷폰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으로, 이 경우 각 가입자의 유일한 정보인 전화번호를 통하여 IGD에 할당된 공인 IP를 손쉽게 얻어올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most ISPs provide wired telephone service together, and the wired telephone is also converted to VoIP (Voice over IP) Internet phone. In this case, the subscriber's unique information is provided to IGD. You can easily get the assigned public IP.

만약, 상기 ISP가 유선전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IP는 MAC 어드레스와 1:1 매핑되므로, ISP가 가입자의 일반 전화번호와 IGD의 MAC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있다면, 각 가입자마다의 IGD에 동적으로 할당되는 IP를 알 수 있게 된다.Even if the ISP does not provide the wired telephone service, IP is mapped 1: 1 with the MAC address. Therefore, if the ISP stores the subscriber's general telephone number and the IGD MAC address, it is dynamically allocated to the IGD for each subscriber. You can see the IP.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홈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고 싶은 외부 장치 A는, 인터넷을 통해 ISP의 서버(10)에 접속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가입자의 일반 전화번호를 매개로, 그 가입자의 IGD에 할당된 공인 IP를 전송 받고, 상기 ISP의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IP정보를 요구한 외부 장치 A에 대한 IP 정보를 소정기간 저장하고 있으면서, 그 기간 동안에 상기 IGD에 할당된 IP 정보가 변경될 경우(예 : 리셋 등으로 연결이 끊어졌다 다시 연결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알려주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external device A, which wants to connect to any home network device, accesses the ISP server 10 via the Internet, and connects to the subscriber via the general telephone number of the subscriber. Receiving the public IP assigned to the IGD of the ISP, the server of the ISP stores the IP information for the external device A that has requested the subscriber's IP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 IP information assigned to the IGD is changed during the period. If the connection is lost (for example, disconnected and then reconnected), it will be notified automatically.

다음, 상기와 같이 접속하고자 하는 가입자의 IGD에 할당된 공인 IP 정보를 알아낸 외부 장치는, 접속하고자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인 IP를 통해 해당 IGD의 지정된 포트 A(Well known port A)에 접속한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동 통신망(Mobile Network)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다.Next, the external device that finds the public IP information assigned to the IGD of the subscriber to b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ublic IP as shown in Figure 4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home network device to be connected Connect to the well-known port A of the IGD. In this cas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mobile network.

한편,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은 IGD의 포트 A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각 장치를 인지하고, 각 장치의 정보(Description)를 받아 이를 외부 장치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장치 정보(Description)에는 UPnP의 정의에 따라 해당 홈 네트워크 장치의 비공인 IP와 포트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Meanwhile, the port A of the IGD receiving the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external device recognizes each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multicast, receives a description of each device, and delivers th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the private IP and port number of the home network device are recorded in the devic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UPnP.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포트 A는 UPnP의 CP(Control Point)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각 장치 정보에 변동이 있을 경우, 이를 인식하여 외부 장치에 알리게 되고, 이로써, 외부 장치는 홈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에 대한 IP와 포트 번호를 계속해서 알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 A performs a function of a control point (CP) of UPnP, and when there is a change in each device information in the home network, the port A recognizes this and informs the external device. You will continue to know the IP and port number for each device on your home network.

참고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표준인 UPnP(Universal plug and play)에서, CP는 홈 네트워크 상의 사용 가능한 장치(Device)를 찾기 위해 멀티캐스트를 방식을 이용하며, 멀티캐스트 패킷을 받은 장치는 이에 응답(Notify)하여 자신에 대한 정보를 알림으로써, 현재 홈 네트워크 내에서 가용한 장치를 찾을 수 있게 된다.For reference, in the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which is a home network standard, as shown in FIG. 3, the CP uses a multicast method to find an available device on the home network, and receives a multicast packet. By notifying the device, the device notifies the information about itself, so that the device can find a device currently available in the home network.

다음, 상기와 같이 접속하고자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정보(비공인 IP 정보, 포트 번호)를 얻은 외부 장치는, 그 비공인 IP와 포트 번호를 이용해 홈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한다. Next, the external device that has obtained the information (private IP information, port number) about the home network device to b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connects to the home network device using the private IP and the port number.

그럼, 상기 외부 장치가 포트 A로부터 전달받은 홈 네트워크 장치의 비공인 IP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을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 대하여 도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a case in which the external device attempts to transmit a packet destined for an unapproved IP of a home network device received from port 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우선, 외부 장치는 해당 IGD의 지정된 포트 B(Well known port B)를 목적지로 하는 IP 헤더를 만들고, 그 데이터 필드에 전달하고자 하는 패킷(홈 네트워크 장치의 비공인 IP + 내용(data)으로 구성된 패킷)을 넣어 IP 터널링(tunneling)을 수행한다. 이때, 비공인 IP의 경우 공인 IP와 다른 영역을 사용하므로, 외부 장치와 다른 공인 IP 간의 통신에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First, the external device creates an IP header destined for the designated well known port B of the corresponding IGD, and a packet to be delivered to the data field (a packet composed of private IP + data of a home network device). ) To perform IP tunneling. In this case, since the public IP uses a different area from the public IP,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other public IP does not cause a problem.

다음, 상기 지정된 포트 B를 통해 패킷을 수신한 IGD는, 그 패킷의 헤더를 제거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실제 목적지(홈 네트워크 장치)로 전달한다. Next, the IGD receiving the packet through the designated port B removes the header of the packet and delivers the packet to the actual destination (home network device) in the home network.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 장치가 접속하고자 하는 가입자의 IGD에 할당된 공인 IP 정보를 ISP 서버에 매핑된 전화번호 정보에 의해 얻고, 그 IGD를 통해 비공인 IP를 갖는 홈 네트워크 내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얻어, IP 터널링에 의해 상기 비공인 IP를 갖는 홈 네트워크 장치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public IP information assigned to an IGD of a subscriber to which an external device wants to access by telephone number information mapped to an ISP serv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n internal device of a home network having an unauthorized IP through the IGD. IP tunneling enables connection to a home network device having the private I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은 인터넷에서 인식될 수 없는 비공인 IP를 할당받은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와, 인터넷에서 인식할 수 있는 공인 IP를 할당받은 인터넷상의 외부 장치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home network device and the Intern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on a home network assigned with an unauthorized IP that cannot be recognized on the Internet, and an external device on the Internet that is assigned a public IP recognized on the Internet.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laims (7)

외부 장치가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가입자의 IGD(Internet Gateway Device)에 할당된 공인 IP 정보를 얻는 단계와; Obtaining public IP information assigned to an Internet gateway device (IGD) of an Internet subscriber to which an external device is to be connected;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홈 네트워크 상의 장치에 대한 정보 요청이 있을 때, 상기 IGD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홈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각 장치에 할당된 비공인 IP 정보 및 포트 정보를 얻는 단계와;When there is a request for information on a device on a home network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IGD recognizes each device on the home network through multicast and obtains private IP information and port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recognized device. Wow; 상기 홈 네트워크 장치의 IP를 헤더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IGD의 IP를 헤더로 하는 패킷에 터널링 하는 단계와;Generating a packet having an IP of the home network device as a header and tunneling the packet having the IP of the IGD as a header; 상기 IP 터널링된 패킷을 IGD에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IGD에서 그 패킷의 헤더를 제거하여, 내부 패킷 헤더의 IP를 갖는 홈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Transmitting the IP tunneled packet to an IGD, removing the header of the packet from the received IGD, and transmitting the IP tunneled packet to a home network device having an IP of an internal packet header.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of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가입자의 IGD에 할당된 공인 IP 정보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서버에 매핑된 가입자의 전화번호 또는 IGD의 장치 정보(MAC 어드레스)에 의해 얻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ublic IP information assigned to the Internet subscriber's IGD is obtained by obtaining a subscriber's telephone number mapped to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server or device information (MAC address) of the IGD.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home network device and the Interne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SP 서버는 가입자 IGD의 IP정보를 요구한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소정기간 저장하고 있으면서, 그 기간 동안에 상기 IGD에 할당된 IP 정보가 변경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알려주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SP server stores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vice that has requested the IP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IG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automatically notifies the IP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IGD during the period.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home network device and the Intern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접속하고자 하는 홈 네트워크의 각 장치에 대한 정보는, 상기 가입자 IGD에 지정된 소정 포트 A(Well known port A)에 접속하여 얻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The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on each device of the home network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is to be connected is obtained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port A (Well known port A) designated in the subscriber IGD. And direct communication of Internet devic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의 각 장치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여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IGD의 포트 A는, 멀티캐스트를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각 장치에 대한 정보(Description)를 얻으며, UPnP의 CP(Control Point)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여 홈 네트워크의 각 장치 정보에 변동이 있을 경우, 이를 외부 장치에 알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The device of claim 4, wherein the port A of the IGD, which recognizes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each device of the home network, to the external device, obtains a description of each device in the home network through multicast, and uses CP of UPnP. A method of directly communicating between a home network device and an internet device, wherein the home network device is configured to notify an external device when information on each device of the home network is changed by performing a function of a control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IGD의 포트 A를 통해 전달받은 비공인 IP를 이용해 원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여 통신하고자 할 경우, 통신을 위해 미리 지정된 포트 B(Well known port B)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external device to communicate by connecting to the desired home network device using a private IP received through the port A of the IGD, through a predetermined port B (Well known port B) for communication A method of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home network device and an intern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nd receives packet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터널링 패킷은 공인 IP를 갖는 IGD를 목적지로 하 는 IP 헤더를 만들고, 그 데이터 필드에 실제 전달하고자 하는 패킷(홈 네트워크 장치의 비공인 IP + 내용(data)으로 구성된 패킷)을 넣어 생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인터넷 장치의 직접 통신 방법.2. The IP tunneling packet of claim 1, wherein the IP tunneling packet comprises an IP header destined for an IGD having a public IP, and a packet to be actually forwarded to the data field (non-private IP + data of a home network devic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network device and the Intern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et is generated.
KR1020040103625A 2004-12-09 2004-12-09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KR100690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25A KR100690609B1 (en) 2004-12-09 2004-12-09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25A KR100690609B1 (en) 2004-12-09 2004-12-09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937A KR20060064937A (en) 2006-06-14
KR100690609B1 true KR100690609B1 (en) 2007-03-09

Family

ID=3716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625A KR100690609B1 (en) 2004-12-09 2004-12-09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60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562A (en)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Network system for accessing to private internet protocol network using ip tunnel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562A (en)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Network system for accessing to private internet protocol network using ip tunnel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937A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972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 devices in different home networks
US85594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data packets between local networks
US20020035624A1 (en) Gateway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796865B1 (en)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Network by using the same
JP4909277B2 (en)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address management device
US20020040397A1 (en) IP based network system and networking method thereof
JP4146886B2 (en) Communication module and application program including this communication module
EP1730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internet protocol connection with a terminating network node
US20050232273A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a gateway device
US200501114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s located within private networks
JP2009010606A (en) Tunnel connection system, tunnel control server, tunnel connecting device, and tunnel connection method
KR100690609B1 (en) Direct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ome network device and internet device
WO2006009263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door devices from outdoor
KR101074063B1 (en) Home gateway and dynamic channel generation method thereof
KR100853587B1 (en) IP share device which can make it possible to use the network system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any change and the connection method thereby
KR20020036165A (en)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s on Internet using NAT and apparatus thereof
KR101002142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etween private IP network and authorization IP network
KR200242069Y1 (en) Internet Protocol Router
JP2007329791A (en) Gateway device
JP2003101585A (en) Network environment notifying method, network environment notification system, and program
TWI491209B (en) Router and security system using the same
KR101331561B1 (en) Method for assigning private ip and renewing private ip, and ip sharer using thereof
KR101807695B1 (en) Mobile communication router apparatus and ip sha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030007374A (en) NETWORK ACCESS DEVICE FOR SUPPORTING VoIP AND METHOD THEREOF
TWI248282B (en)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data of an IP-based PBX extension to a h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