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6136B1 -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6136B1
KR100686136B1 KR1020050019114A KR20050019114A KR100686136B1 KR 100686136 B1 KR100686136 B1 KR 100686136B1 KR 1020050019114 A KR1020050019114 A KR 1020050019114A KR 20050019114 A KR20050019114 A KR 20050019114A KR 100686136 B1 KR100686136 B1 KR 10068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remote control
gyro
measuring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806A (ko
Inventor
노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1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리모컨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좌우의 기울기 또는/및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센서값을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움직임에 맞는 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수신부 측 동작 제품으로 검출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전달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리모컨,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장갑형 리모컨

Description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remote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도 1 은 일반적인 리모컨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리모콘에서 사용되는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센서를 장갑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리모컨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모컨 12 : 센서부
12a : 자이로 센서 12b : 기울기 센서
14 : 마이크로 프로세서 16 : 무선통신기
20 : 수신부
본 발명은 기존의 버튼식 리모컨과는 다르게 손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리모컨 으로써, 장갑형 타입으로 휴대성과 동작성에 유리하도록 설계된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출시되는 가전제품 또는 전자제품에 리모컨이 없는 제품은 거의 없다. 그만큼 리모컨은 필수적인 도구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동작에 있어서 일부 무선 마우스나 키보드에서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대부분의 리모컨은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이 적외선 통신은 구현이 간단하고 비용 또한 저렴하게 구현 가능하지만 동작이 원하는 제품을 향해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리모컨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리모컨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리모컨(10)에 적외선 발광부와, 해당 제품에 적외선 수광부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리모컨에서 발생한 적외선을 해당 제품(20)이 받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리모컨(10)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리모컨(10)에서는 각 버튼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적외선으로 발생시킨다. 그러면 해당 제품(20)에서는 이 적외선을 수신하여 신호를 분석한 후 어떠한 버튼이 눌렸는지 알아내어 적절한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제품(20)에 부착된 적외선 수광부는 일정 범위 안에서만 수광 가능하기 때문에 리모컨(10)을 그 해당 범위 내에서 동작시켜야 한다. 즉, 리모컨을 제품의 수광부를 향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컨은 크게 두 가지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첫째, 동작시키고자 하는 버튼을 일일이 눌러야 한다. 즉, 채널이나 볼륨 변경을 위해서는 리모컨에 있는 서로 다른 해당 버튼을 직접 눌러야만 한다.
둘째, 리모컨은 항상 동작시키고자 하는 제품을 향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리모컨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해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버튼을 눌러서 동작시키는 방식을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외선 방식이 아닌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특징은 상하/좌우의 기울기 또는/및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센서값을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움직임에 맞는 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수신부 측 동작 제품으로 검출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전달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는 자이로(Gyro) 센서와 기울기 센서(Accelerome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모컨은 손에 부착되는 장갑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이로 센서는 장갑 내부에 팔 방향으로 하나, 이것에 평행한 위치에 수직으로 다른 한 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울기 센서는 장갑 내부에 상기 자이로 센서와 평행한 위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울기 센서는 2축 기울기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 동작 방법의 특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하/좌우의 기울기 또는/및 가속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센서값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증폭된 센서값을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센서값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여러 동작들과 상기 분석된 센서값에 따른 동작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동작에 해당되는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리모컨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서 동작시키고자 하는 제품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축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가속도로 회전운동이 일어났는가를 측정하는 단계와, 지구 중력에 대해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여 지면에 대해서 얼마나 기울어졌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 및 그 동작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은 장갑형 리모컨으로 손의 움직임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12)와, 상기 센서부(12)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어떠한 동작이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해당 동작에 맞는 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4)와, 수신부(20) 측 동작 제품으로 검출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전달하는 무선통신기(1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12)는 자이로(Gyro) 센서(12a)와 기울기 센서(Accelerometer)(12b)로 구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리모콘에서 사용되는 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센서를 장갑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장갑 내부에 자이로 센서(12a)가 팔 방향으로 하나, 이것에 평행한 위치에 수직으로 다른 한 개가 구성된다. 이때, RF 모듈은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의 출력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이로 센서(12a)와 평행한 위치에 기울기 센서(12b)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울기 센서(12b)는 2축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자이로 센서(12a)는 각속도 센서로써 축에 대해서 얼마만큼 의 가속도로 회전운동이 일어났는가를 측정한다. 즉, 움직이지 않거나 등속도로 움직이게 되면 센싱값은 '0'이 된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 센서(12b)는 지구 중력에 대해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지면에 대해서 얼마나 기울어졌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지면에 대해서 많이 기울어질수록 출력되는 값은 커지게 된다.
이 두 센서(12a)(12b)를 사용하게 되면 여러 가지 3차원 손동작을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즉, 왼쪽으로 짧게 두 번 오른쪽으로 짧게 두 번 움직이는 동작은 자이로 센서(12a)를 통해서 알아낼 수 있다. 이런 경우 각각을 앞으로 뒤 감기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왼쪽으로 오른쪽으로 기울이고 있는 동작은 기울기 센서(12b)로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는 2배속 감기, 되감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좌, 우 뿐만 아니라 앞뒤좌우, 대각선과 같이 여러 경우의 수로 조합하면 많은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리모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리모컨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 5와 같이, 먼저 자이로 센서(12a)와 기울기 센서(12b)를 이용하여 손동작을 측정하게 한다(S10).
이어 이 측정된 센서값은 필터를 거쳐 1 차적으로 잡음을 제거하고(S20) 증 폭기로 입력되어 증폭된다(S30).
이렇게 잡음이 제거된 후 증폭된 센서값은 A/D 변환기로 입력되어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S40).
또한, A/D 변환기가 포함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할 경우 A/D 변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직접 센서값을 입력시킨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 내에서 아날로그로 입력된 센서값은 A/D 변환기에서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S40).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디지털로 변환된 센서값을 분석하여 손의 동작을 판단하게 된다(S50).
그리고 메모리에 미리 여러 손동작에 대해서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고 있다가, 이 저장된 동작들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분석된 센서값에 따른 손동작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동작을 검출하게 된다(S60).
이렇게 비교를 통해 검출된 손동작에 해당되는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리모컨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서 동작시키고자 하는 제품으로 전송한다(S70).
이때, 본 발명에서 리모컨의 형태를 장갑형태로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장갑은 편의상 선택한 적용 부분이고 다른 여러 장치 또는 기구, 집안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건에 부착 가능하다. 특히 기존 리모컨에 본 동작을 첨가하여 버튼형과 장갑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 및 그 동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의 리모컨처럼 버튼을 누르지 않고 손동작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어떠한 자세에서도 편하게 동작시킬 수 있고, 버튼을 찾지 않아도 됨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므로 리모컨을 제품에 향해서 사용하는 기존 리모컨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리모컨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리모컨이 사용되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9)

  1. 축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가속도로 회전운동이 일어났는가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지면에 대해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자이로 센서와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값을 미리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당 움직임에 맞는 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수신부 측 동작 제품으로 상기 검출된 신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서 전달하는 무선통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손에 부착되는 장갑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 센서는 장갑 내부에 팔 방향으로 하나, 이것에 평행한 위치에 수직으로 다른 한 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장갑 내부에 상기 자이로 센서와 평행한 위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센서는 2축 기울기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하/좌우의 기울기 또는/및 가속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센서값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증폭하는 단계와,
    상기 증폭된 센서값을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로 변환된 센서값을 분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여러 동작들과 상기 분석된 센서값에 따른 동작을 비교하여 일치되는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동작에 해당되는 명령 신호에 상응하는 리모컨 데이터를 무선 통신을 통해서 동작시키고자 하는 제품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축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가속도로 회전운동이 일어났는가를 측정하는 단계 와,
    지구 중력에 대해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여 지면에 대해서 얼마나 기울어졌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동작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값의 측정은 자이로(Gyro) 센서와 기울기 센서(Acceleromet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동작 방법.
KR1020050019114A 2005-03-08 2005-03-08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KR10068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14A KR100686136B1 (ko) 2005-03-08 2005-03-08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14A KR100686136B1 (ko) 2005-03-08 2005-03-08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806A KR20060098806A (ko) 2006-09-19
KR100686136B1 true KR100686136B1 (ko) 2007-02-26

Family

ID=3763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114A KR100686136B1 (ko) 2005-03-08 2005-03-08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6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113A1 (en) * 2008-01-11 2009-07-16 Microaerobot Co., Ltd. Remote-controlled fluttering object capable of flying forward in upright 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839A1 (en) * 2010-12-08 2012-06-14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WO2012077840A1 (en) * 2010-12-08 2012-06-14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US9207782B2 (en) 2010-12-16 2015-12-08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having the same
KR101259545B1 (ko) * 2011-07-08 2013-04-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695B1 (ko) * 1995-04-24 1999-02-01 김광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KR20040086721A (ko) * 2003-08-06 2004-10-12 주식회사 스페이스센싱 지면과 공간 양측에서 사용가능한 다기능 컴퓨터 입력장치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695B1 (ko) * 1995-04-24 1999-02-01 김광호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리모콘
KR20040086721A (ko) * 2003-08-06 2004-10-12 주식회사 스페이스센싱 지면과 공간 양측에서 사용가능한 다기능 컴퓨터 입력장치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666950000 *
102004008672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113A1 (en) * 2008-01-11 2009-07-16 Microaerobot Co., Ltd. Remote-controlled fluttering object capable of flying forward in upright position
US8366506B2 (en) 2008-01-11 2013-02-05 Hanwha Corporation Remote-controlled fluttering object capable of flying forward in upright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806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902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preting consecutive gestures
EP2519865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preting offset gestures
US826917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detecting gestures of geometric shapes
US2010029964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Detecting Basic Gestures
US5144594A (en) Acoustic mouse system
KR100686136B1 (ko) 리모컨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07831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preting Consecutive Gestures
EP2144142A2 (en) Input apparatus using motions and user manipulations and input method applied to such input apparatus
US20060125789A1 (en) Contactless input device
US20030112221A1 (en) Optical pointing device
KR20090076124A (ko)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US2005019016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CN113434048A (zh) 多功能输入设备及其工作模式切换方法、切换装置
KR200354450Y1 (ko) 휴대용 무선 컴퓨터 커서 제어장치
KR100703199B1 (ko) 일체형 포인팅 장치를 내장한 키보드 및 조이스틱
GB2418974A (en) Data input from the relative position of devices on respective hands of a user
US20020080118A1 (en) Manually-operable input device
CN211653611U (zh) 一种多功能输入设备
US10474257B2 (en) Optical navigation device and system with changeable smoothing
KR100545307B1 (ko) 공간 광마우스 장치
KR20040086721A (ko) 지면과 공간 양측에서 사용가능한 다기능 컴퓨터 입력장치및 그 제어방법
KR20170063498A (ko) 웨어러블 데이터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US20060028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inputting displacement signals
KR200315143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센서를 이용한 메뉴 제어장치
KR20040097424A (ko) 기울기에 따른 각도 변화를 이용한 좌표값 입력 컴퓨터용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