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400B1 - 이동 통신망에서 집중형 중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에서 집중형 중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400B1
KR100685400B1 KR1020050015903A KR20050015903A KR100685400B1 KR 100685400 B1 KR100685400 B1 KR 100685400B1 KR 1020050015903 A KR1020050015903 A KR 1020050015903A KR 20050015903 A KR20050015903 A KR 20050015903A KR 100685400 B1 KR100685400 B1 KR 10068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relay
base station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5037A (ko
Inventor
유득형
Original Assignee
(주) 콘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텔라 filed Critical (주) 콘텔라
Priority to KR1020050015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4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63B69/3635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with sound-emitting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의 전파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집중형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다수의 섹터(Sector)로 전송하는 마스터 중계부; 및 상기 섹터(Sector)의 해당 사이트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터 중계부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기지국이 다수의 섹터(Sector)를 지원하는 경우에 여러 개의 섹터(Sector) 신호를 하나의 마스터 중계부로 처리함으로써, 추가 섹터(Sector)당 소요되는 각 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신호를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중계부의 경우에 종래에는 사이트의 규모 또는 기지국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중계기를 설치·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에서는 슬레이브 중계부에 장치 감지부를 추가하고, 광전변환부를 자유롭게 설치,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슬레이브 중계부만으로 다양한 사이트에 적용할 수 있다.
광 중계기, 소형 중계기, 전파 음영 지역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 집중형 중계 시스템{Centralized Repeater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광 중계기의 구성도 및 세부 상세도.
도 2는 종래 소형 중계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중계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브 중계부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 감지부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0 : 기지국 110, 300 : 마스터 중계부
111 : 분배부 113, 121, 403, 501 : 광전변환부
115, 125, 213 : 제어부 123, 211, 507 : 증폭부
120, 310 : 슬레이브 중계부 130 : 섹터(Sector)
200 : 보상기 210 : 소형 중계부
401 : 섹터(Sector) 분배부 405 : 주제어부
503 : RF 커넥터 505 : 장치 감지부
509 : 보조 제어부 601 : 신호 감지부
603 : 신호 선택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섹터(Sector) 구조를 동시에 지원하고 소형 사이트 및 대형 사이트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집중형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중계기는 전파 음영 지역의 해소 및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 확장을 위한 것으로서, 기지국(BTS)과 단말기 사이에 설치되어 전파 음영 지역에서의 미약한 신호를 효과적으로 증폭하여 중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한편 장거리로 신호를 중계하거나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광 중계기가 사용되며, 신호의 단거리 중계 또는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규모가 소형인 경우에는 소형 중계기가 사용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광 중계기의 구성도 및 그 세부 상세도이다.
상기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종래의 광 중계기는 기지국(100), 마스터 중계부(110) 및 슬레이브 중계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터 중계부(110)는 분배부(111), 광전변환부(113) 및 제어부(115)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RF 또는 IF 신호(이하 'CDMA 신호'라 함)를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수만큼 분배하고, 분배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120)는 광전변환부(121), 증폭부(123) 및 제어부(125)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스터 중계부(110)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CDMA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광 중계기의 순방향 링크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기지국(100)이 3개의 섹터(Sector)를 지원하고, 각 섹터(Sector) 당 2개의 사이트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3개 섹터(Sector)의 CDMA 신호가 3개의 마스터 중계부(110)에 각각 수신되면, 각 마스터 중계부(110)는 분배부(111)에서 수신된 CDMA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배하고, 광 선로 상에서 발생되는 손실을 보상하여 상기 광전변환부(113)로 전송한다.
상기 광전변환부(113)는 이렇게 분배되어 전송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위치하고 있는 슬레이브 중계부(120)로 광선로를 통하여 전송하게 된다.
해당 사이트의 슬레이브 중계부(120)는 광전변환부(121)에서 수신된 광신호를 CDMA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123)로 전송하고, 상기 증폭부(123)는 제어부(125)로부터 증폭 파라미터를 받아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각 섹터(Sector) 당 2개(총 6개의 CDMA 신호)의 사이트에 대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도 2는 종래의 소형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소형 중계기(210)는 주로 단거리 또는 소형 사이트에 신호를 중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상기(200)를 통하여 수신된 CDMA 신호를 증폭하여 해당 사이트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소형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100), 보상기(200) 및 증폭부(211), 제어부(213) 등으로 구성되는 소형 중계기(2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상기(200)는 상기 기지국(100)에 위치하며, 상기 기지국(100)과 소형 중계기(210) 사이를 연결하는 RF 또는 UTP 케이블 상에서 발생되는 CDMA 신호 손실을 보상하고, 이를 상기 소형 중계기(210)의 증폭부(211)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증폭부(211)는 상기 제어부(213)로부터 증폭 파라미터를 받아 전송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 중계기는 섹터(Sector)구조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여러 개의 섹터(Sector)구조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섹터(Sector)의 수만큼 마스터 중계부를 증설하여야 하고 이는 중계기 전체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즉 상기 마스터 중계부(110)의 분배부(111) 및 제어부(115) 등의 기본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여러 개의 섹터(Sector)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마스터 중계부용 선반(rack)을 설치해야 하고 이는 설치 비용의 증가 뿐만 아 니라 높은 장소 임대 비용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중계기와 소형 중계기는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증폭하여 해당 사이트로 송출하는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광 중계기와 소형 중계기를 각각 제조하고 별도로 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중계기 제조업체의 입장에서는 여러 종류의 중계기를 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재 수급과 관리 비용 등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동 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중계기가 여러 종류 있으므로 각 중계기를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러 개의 섹터(Sector) 구조를 지원할 수 있는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과의 거리 및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크기에 관계 없이 운용할 수 있는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중형 중계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의 전파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다수의 섹터(Sector)로 전송하는 마스 터 중계부; 및 상기 섹터(Sector)의 해당 사이트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터 중계부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마스터 중계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섹터(Sector)의 해당 사이트 수만큼 분배하고 광선로상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는 다수의 섹터(Sector) 분배부; 상기 섹터(Sector) 분배부로부터 분배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해당 사이트의 슬레이브 중계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광전변환부; 및 상기 마스터 중계부 및 슬레이브 중계부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며, 마스터 중계부와 슬레이브 중계부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EMS 서버로 전송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는 상기 마스터 중계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CDMA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CDMA 신호를 수신하는 RF 커넥터; 상기 광전변환부와 RF 커넥터로부터의 신호 수신 여부를 감지하고, 신호가 감지된 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연결하는 장치 감지부; 상기 장치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증폭부; 및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며, 슬레이브 중계부의 정보를 상기 주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의 EMS 서버로 전송하는 보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광전변환부는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에 자유롭게 설치 또는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 커넥터는 상기 기지국과 RF / UTP / LCX 케이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 감지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신호의 전송 경로를 감시하고, 이를 보고하는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 및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전송 경로 정보로부터 CDMA 신호의 수신 방향을 선택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해서 신호가 감지되는지 또는 RF 커넥터를 통해서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중형 중계 시스템은 기지국(100), 다수의 섹터(Sector)(130)를 지원하는 하나의 마스터 중계부(300), 상기 섹터(Sector)(130)의 해당 사이트에 위치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중계부(3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100)은 CDMA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이동 통신 기지국을 말하며, 제어 관리적인 측면으로는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요소 관리 시스템) 서 버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는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전송된 CDMA 신호를 중계하고자 하는 섹터(Sector)(130)의 해당 사이트의 수만큼 분배한 후, 분배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로 전송한다.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는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로부터 수신된 광신호 또는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장치로서, 종래의 광 중계기의 슬레이브 중계부(120)와 종래의 소형 중계기(21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의 마스터 중계부(30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는 섹터(Sector) 분배부(401), 광전변환부(403) 및 주제어부(40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섹터(Sector) 분배부(401)는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가 지원하는 섹터(Sector)의 수에 대응되며,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중계하고자 하는 해당 섹터(Sector)의 사이트의 수만큼 분배하여 상기 광전변환부(403)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로의 광신호 전송 과정에서 광선로에서 발생하는 손실만큼 증폭을 함으로써, 광선로 상에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신호대 잡음비(SNR)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00)이 m개의 섹터(Sector)를 지원하고 각 섹터(Sector)당 n개의 사이트가 있다면, 상 기 마스터 중계부(300)의 섹터(Sector) 분배부(401)는 m개가 되며 각 섹터(Sector) 분배부가 1:n으로 CDMA 신호를 분배하고 증폭하여 보상하게 된다.
상기 광전변환부(403)는 중계하고자 하는 섹터(Sector)의 해당 사이트의 수(n)에 대응되며, 상기 섹터(Sector) 분배부(401)로부터 분배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주제어부(405)는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 및 슬레이브 중계부(310)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로서, 상기 섹터(Sector) 분배부(401)와 광전변환부(403)의 접속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 및 슬레이브 중계부(310)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100)의 EMS 서버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의 슬레이브 중계부(310)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는 광전변환부(501), RF 커넥터(503), 장치 감지부(505), 증폭부(507) 및 보조 제어부(5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전변환부(501)는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의 광전변환부(403)와 1:1로 연결되어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CDMA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장치 감지부(505)로 전송한다.
상기 RF 커넥터(503)는 상기 기지국(100)과 슬레이브 중계부(310) 사이의 신호 전송 방식이 RF / UTP / LCX 케이블 등과 같은 단거리에 사용되는 링크로 연결되었을 경우에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CDMA 신호를 수신하는 커넥터이다.
상기 장치 감지부(505)는 다중화(Mux) 기능을 하는 장치로써, 상기 광전변환부(501) 및 RF 커넥터(503)으로부터 신호의 전송 여부를 감지하여 실제 신호가 전송되는 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며, 이렇게 감지된 CDMA 신호를 상기 증폭부(507)로 전송한다.
상기 증폭부(507)는 상기 장치 감지부(505)를 통해서 전송된 CDMA 신호를 증폭하는 장치로써, 상기 보조 제어부(509)로부터 증폭 파라미터를 받아 증폭을 하고 이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증폭부(507)로는 LPA(Linear Power Amplifier), HPA(High Power Amplifier) 등의 증폭기가 사용된다.
상기 보조 제어부(509)는 슬레이브 중계부(310)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는 장치로써, 슬레이브 중계부(310)의 상태 및 제어 정보를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의 주제어부(405)를 통해서 상기 기지국(100)의 EMS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로 수신되는 신호가 광선로를 통한 것인지 RF 커넥터를 통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광전변환부(501)을 통하여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광선로의 상태 및 신호의 크기, 변환 상태 등을 제어하며, 상기 RF 커넥터(503)을 통하여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는 RF 신호의 크기 및 케이블 상태 등의 신호를 제어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의 장치 감지부(505)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 감지부(505)는 신호 감지부(601) 및 신호 선택부(60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 감지부(601)는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로 수신된 CDMA 신호가 광선로를 통해서 전송되는지, RF / UTP / LCX 케이블 등과 같은 선로를 통해서 전송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장치로써, 신호가 감지된 정보를 상기 보조 제어부(509) 및 상기 신호 선택부(603)로 보고하여 중계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신호 선택부(603)는 상기 신호 감지부(601)로부터 받은 정보 및 상기 보조 제어부(509)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해서 광선로를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와 RF / UTP / LCX 케이블 등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스위칭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광전변환부(501)는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에 자유롭게 설치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섹터(Sector) 구조를 지원하며, 종래의 광 중계기의 기능과 소형 중계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먼저 광 중계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에서 RF 커넥터(503)를 제외하고 작동하게 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이 3개의 섹터(Sector)를 지원하며 각 섹터(Sector) 당 2개의 사이트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3개 섹터(Sector)에 대한 CDMA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스터 중계부(300)의 섹터(Sector) 분배부(401)가 해당 섹터(Sector)의 CDMA 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배하고, 광 선로를 통한 전송 도중에 발생되는 손실을 보상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총 6(3 × 2)개의 신호가 발생되는데, 이렇게 분배된 6개의 CDMA 신호는 상기 광전변환부(403)에서 광신호로 변환되어 해당 섹터(Sector)(130)의 각 사이트에 위치하고 있는 슬레이브 중계부(310)로 광 선로를 통하여 전송된다.
해당 사이트의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로 전송된 광 신호는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의 광전변환부(501)에서 CDMA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장치 감지부(505)로 전송된다.
상기 장치 감지부(505)는 상기 광전변환부(501)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장치 감지부(505)의 신호 선택부(603)가 상기 광전변환부(501)와의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에 의하여 상기 광전변환부(501)에서 변환된 CDMA 신호는 상기 증폭부(507)로 전송되고, 상기 증폭부(507)는 상기 보조 제어부(509)로부터 증폭 파라미터를 받아 상기 CDMA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각 섹터(Sector)마다 2개의 사이트에 대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이렇게 송출된 CDMA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가 감지하여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규모가 작고 상기 기지국(100)과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소형 중계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에서 광전변환부(501)를 제외하고(520) 작동하게 된다.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RF / UTP / LCX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전송된 CDMA 신호를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310)의 RF 커넥터(503)을 통하여 수신하게 된다.
상기 RF 커넥터(503)는 수신된 CDMA 신호를 상기 장치 감지부(505)로 전송하고, 상기 장치 감지부(505)는 상기 RF 커넥터(503)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상기 신호 감지부(601)에서 감지하고, 상기 신호 선택부(603)에서 상기 RF 커넥터(503)의 신호를 수신하는 방향으로 전송 경로를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선택된 CDMA 신호는 상기 증폭부(507)에서 증폭 과정을 거쳐 송출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집중형 중계 시스템에 따르면, 이동 통신 기지국이 다수의 섹터(Sector)를 지원하는 경우에 여러 개의 섹터(Sector) 신호를 하나의 마스터 중계부로 처리함으로써, 추가 섹터(Sector)당 소요되는 각 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신호를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설치되는 슬레이브 중계부의 경우에 종래에는 사이트의 규모 또는 기지국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중계기를 설치·운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집중형 중계 시스템에서는 슬레이브 중계부에 장치 감지부를 추가하고, 광전변환부를 자유롭게 설치,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슬레이브 중계부만으로 다양한 사이트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집중형 중계 시스템은 신호를 중계하고자 하는 사이트와 기지국과의 거리, 사이트의 규모 및 신호의 전송 방식에 관계 없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장비 제조업자의 입장에서는 개발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이동 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시스템 운용 비용이 절감되고 운용이 간단해 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이동 통신망의 전파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다수의 섹터(Sector)로 전송하는 마스터 중계부; 및
    상기 섹터(Sector)의 해당 사이트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터 중계부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다수의 슬레이브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형 중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중계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섹터(Sector)의 해당 사이트 수만큼 분배하고 광선로상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는 다수의 섹터(Sector) 분배부;
    상기 섹터(Sector) 분배부로부터 분배된 CDMA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해당 사이트의 슬레이브 중계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광전변환부; 및
    상기 마스터 중계부 및 슬레이브 중계부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며, 마스터 중계부와 슬레이브 중계부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EMS 서버로 전송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형 중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는,
    상기 마스터 중계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CDMA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CDMA 신호를 수신하는 RF 커넥터;
    상기 광전변환부와 RF 커넥터로부터의 신호 수신 여부를 감지하고, 신호가 감지된 장치의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전송 경로를 연결하는 장치 감지부;
    상기 장치 감지부로부터 수신된 CDMA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증폭부; 및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의 상태 감시 및 제어를 담당하며, 슬레이브 중계부의 정보를 상기 마스터 중계부의 주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의 EMS 서버로 전송하는 보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형 중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는 상기 슬레이브 중계부에 자유롭게 설치 또는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형 중계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RF 커넥터는 상기 기지국과 RF / UTP / LCX 케이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형 중계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감지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신호의 전송 경로를 감시하고, 이를 보고하는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신호 감지부 및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송 경로 정보로부터 CDMA 신호의 수신 방향을 선택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형 중계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광전변환부를 통해서 신호가 감지되는지 또는 RF 커넥터를 통해서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형 중계 시스템.
KR1020050015903A 2005-02-25 2005-02-25 이동 통신망에서 집중형 중계 시스템 KR10068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903A KR100685400B1 (ko) 2005-02-25 2005-02-25 이동 통신망에서 집중형 중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903A KR100685400B1 (ko) 2005-02-25 2005-02-25 이동 통신망에서 집중형 중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37A KR20060095037A (ko) 2006-08-30
KR100685400B1 true KR100685400B1 (ko) 2007-02-22

Family

ID=3760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903A KR100685400B1 (ko) 2005-02-25 2005-02-25 이동 통신망에서 집중형 중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118B1 (ko) * 2005-06-17 2007-07-06 한국전파기지국주식회사 와이브로 서비스를 위한 통합 중계시스템
KR100699985B1 (ko) * 2005-09-13 2007-03-27 주식회사 프리웰 비차폐 꼬임 쌍 케이블을 통한 디지털 중간주파수 신호의기가비트 전송 시스템
KR100928625B1 (ko) * 2008-02-14 2009-11-26 (주) 엘지텔레콤 무선 통신용 광중계기의 확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37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90C (zh) 用于时分双工无绳电话系统的射频中继器
KR100419041B1 (ko) 중계시스템
US8082007B2 (en) Messenger strand mounted pico-cell radio
US6128470A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umulative noise in a distributed antenna network
EP3053407B1 (en) Interface device providing power management and load termina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363140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link redundancy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6738597B1 (en) Repeating installation using telephone line
US7221906B2 (en) Distributed multi-drop base station/repeating unit using extension of analog optical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854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 집중형 중계 시스템
US20010038670A1 (en) Multibit spread spectrum signalling
US200700101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elective signal polarization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3300552B2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中継装置
KR100330407B1 (ko) 이동전화 광중계 시스템의 접속 기지국의 섹터 동적 할당 장치및 그 방법
KR1011935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중계장치
KR20060095084A (ko) 씨씨티브이용 케이블을 이용한 중계 네트워크 시스템
JP2000332702A (ja) デジタル放送波品質監視システム
JP3012766B2 (ja) 中継装置
JP2001285176A (ja) 中継増幅装置
JP4149629B2 (ja) 中継器接続型システム
KR100291003B1 (ko) 셀룰러시스템을위한광중계장치및방법
KR100333141B1 (ko) 광 선로를 이용한 시디엠에이 기지국의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JP2021093728A (ja) 補償器モジュール、制御モジュール、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
CN114189875A (zh) 5g 4t4r智能分布式拉远系统
KR100918586B1 (ko) 중계기의 이득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1257B1 (ko) 신호 중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