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119B1 - Safety valve - Google Patents
Safety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4119B1 KR100684119B1 KR1020060073173A KR20060073173A KR100684119B1 KR 100684119 B1 KR100684119 B1 KR 100684119B1 KR 1020060073173 A KR1020060073173 A KR 1020060073173A KR 20060073173 A KR20060073173 A KR 20060073173A KR 100684119 B1 KR100684119 B1 KR 1006841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device
- valve
- base
- spring
- safety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3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vibration preven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안전밸브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afety valv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3 is a stat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afet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5 is a stat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afety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6 is a stat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afety val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10: 밸브 몸체 12: 베이스10,110: valve body 12: base
15: 프레임 20,120: 통로부15: frame 20,120: passage section
30,130: 스프링 40,140: 밸브장치30,130: spring 40,140: valve arrangement
45: 가이드 돌기 50,150: 조절볼트45: guide protrusion 50,150: adjusting bolt
60: 간격조절장치60: spacer
본 발명은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용도로 호환 가능한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valve that is compatible with a multi-purpose.
일반적으로, 관 또는 튜브와 같이 소정의 부피를 갖는 제품 내측의 압력 증가로 인하여 상기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비하기 위하여 안전밸브가 사용된다. Generally, safety valves are used to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due to an increase in pressure inside the product with a given volume, such as a tube or tube.
도 1은 종래의 안전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afety valv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의 일단부에는 제품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품 내부의 유체와 접하도록 통로부(120)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110)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나사결합되는 조절볼트(150)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1, a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150)의 일단부에는 지지블럭(160)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블럭(160)의 일측으로 스프링(130)의 일단부가 고정된다.And, 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스프링(130)의 타단부에는 밸브장치(140)가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130)은 상기 밸브장치(140)를 탄발 지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스프링(130)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상기 밸브장치(140)의 일측이 상기 밸브 몸체(110)의 일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통로부(120)가 밀폐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제품 내측의 유체 압력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유체 압력이 상기 밸브장치(140)의 일측에 적용되고, 상기 유체 압력이 상기 스프링(130)의 탄성력 이상이 되면 상기 스프링(130)이 수축되면서 상기 밸브장치(140)가 상기 밸브 몸체(110)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통로부(120)를 통하여 상기 제품 내측의 유체가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상기 유체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17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Here, when the fluid pressure inside the product increases, the fluid pressur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안전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safety val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코일형상의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밸브장치의 일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접하는데, 코일형상의 특성상 상기 스프링의 단부가 균일하게 상기 밸브장치의 일측면에 접하기 어렵고, 균일하게 접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프링의 단부를 평평하게 가공하기도 하나, 이 경우 선경의 변화로 인하여 균일한 탄성력이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밸브장치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 이상의 압력이 작용되어 상기 밸브장치가 개방될 경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밸브장치에 적용되는 압축력이 불균일하여 상기 밸브장치의 떨림 현상과 비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 coil-shaped spring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valve devi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end of the spring is difficult to uniformly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valve device, due to the nature of the coil shape in order to contact the Even though the end of the spring is processed flat,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transfer a uniform elastic force due to the change of wire diameter. Therefore, when the valve device is opened by applying a pressur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o the valve device, the compression force applied to the valve device by the spring is non-uniform, causing the shaking and torsion of the valve device to occur. there was.
둘째, 상기 밸브장치의 떨림 현상과 비틀림으로 인하여, 상기 밸브장치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데 많은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 due to the shaking and twisting of the valve device, the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is not smooth,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deviation occurs in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셋째, 상기 떨림 현상과 비틀림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밸브장치의 중심이 이탈되어 상기 밸브장치의 진동이 발생하고, 상기 진동은 소음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due to the continuous and repetitive occurrence of the shaking phenomenon and the torsion, the center of the valve device is separated and the vibration of the valve device occurs, the vibration has a problem of generating nois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valve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부에 원통형상으로 관통된 통로부가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각각 연장되고 그 연장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 몸체; 중앙부에는 조절볼트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통로부를 개폐하는 밸브장치;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조절볼트의 일측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조절볼트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안전밸브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orm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nd a frame exten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base to a predetermined height, respectively, and extending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valve body formed; The control bol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ne side surface is selectively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base valve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adjustment bolt, the other end provides a safety valve comprising a spring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frame facing the control bolt.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밸브장치가 탄발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밸브장치가 외측으로 분리가능한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alve device is elastically support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rame by the spring on the inside of the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between the frame is separated from the valve device is formed.
또한, 상기 밸브장치의 일측면에는 상기 밸브장치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다수개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각각의 일측면이 상기 통로부의 내주면에 접하여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valve device so that a plurality of the protrusions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prevent shaking of the valve device, and each one side of the valve devi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밸브장치의 일면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장치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이 조절되고 구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장치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gap adjusting device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se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valve devic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valve device and the valve device is adjusted and restrained.
또한, 상기 조절볼트는 상기 조절볼트의 위치가 상기 밸브장치와 수직방향으로 가변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밸브장치와 나사결합됨이 바 람직하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bolt is preferably screwed with the valve devic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ntrol bolt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valve device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val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ation of the safety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전밸브는 밸브 몸체(10), 스프링(30) 그리고 밸브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밸브 몸체(10)의 일측에는 통로부(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프링(3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기 밸브장치(40)에 의해 상기 통로부(20)는 개폐되어진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afety valve preferably comprises a
상세히, 상기 밸브 몸체(10)는 베이스(12)와 프레임(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베이스(12)는 양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12)의 중앙부에는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통로부(20)가 형성되는데, 상기 통로부(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베이스(12)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을 포함하여 그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1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프레임(15)은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통로부(20) 외측의 일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12)의 중심방 향으로 완만하게 연장되어지는 다수개의 연장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연장부(16)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12) 중심축의 연장선상에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여기서, 상기 연장부(16)는 그 개수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나, 상기 각 연장부(16)의 사이로 밸브장치(40)가 분리가능하도록 하고, 외적 미관도 고려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각 연장부(16)는 상기 베이스(12) 일측면의 외주면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각 연장부(16)의 단부가 연결되어 형성된 상기 프레임(15)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장부(16)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부(1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2)에 대향하는 상기 보강부(17)의 일측을 관통하여 연결홀(1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한편, 상기 프레임(15)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12) 일측면의 외측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의 밸브장치(40)가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a disk-
여기서, 상기 밸브장치(40)의 외측 지름은 상기 통로부(2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하여 상기 밸브장치(40)의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통로부(20)가 밀폐될 수 있다.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12)에 접하는 상기 밸브장치(40)의 일측면에는 상기 베이스(12)에 형성된 상기 통로부(20)의 내측지름에 대응하는 지름으로 소정높이 돌출된 단턱(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surface of the
이를 통하여, 상기 밸브장치(40)가 상기 베이스(12)에 밀착될 때, 상기 단턱 이 상기 통로부(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통로부(20)를 통한 유체의 이동이 더욱 억제되도록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상기 밸브장치(4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밸브장치(40)의 축방향으로 관통홀(4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2)의 내부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
그리고, 상기 관통홀(42)의 내측으로 조절볼트(50)가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조절볼트(50)는 상기 스프링(3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조절볼트(50)의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조절볼트(50)의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결합홀(5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d, the adjusting
이를 통하여, 상기 연결홀(18)의 내측으로 스프링(30)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결합홀(54)의 내측으로 상기 스프링(30)의 타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Through this, 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밸브장치(40)가 상기 프레임(15)의 중심부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수축력이 작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또한, 상기 스프링(3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연결홀(18)과 상기 결합홀(54)은 상기 베이스(12)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30)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축력은 상기 연결홀(18)과 상기 결합홀(54)의 일 지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축력이 편향되지 않고 항상 상기 밸브장치(40)의 중심방향으로 적용됨으로써, 상기 밸브장치(40)는 흔들림과 비틀림이 없이 이동이 가능해진다.Through this, the contracting force generated by the
물론, 상기 조절볼트(50)에 대향하는 상기 보강부(17)의 단부에 상기 스프 링(30)의 일단부가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one end of the
한편, 나사 결합된 상기 조절볼트(50)는 회전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12)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연결홀(18)과 상기 결합홀(54)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어 상기 스프링(30)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밸브장치(40)의 적어도 어느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조절볼트(50)의 외측지름보다 넓고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단차부(4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관통홀(42)은 상기 밸브장치(40)와 상기 단차부(44)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길이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42)과 상기 조절볼트(50)의 나사체결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조절볼트(5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ide central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밸브장치(40)의 일측면에는 상기 조절볼트(50)에 결합되도록 고정너트(52)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너트(52)의 일측면이 상기 밸브장치(4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조절됨으로써 상기 조절볼트(50)는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물론, 상기 조절볼트(50)의 체결이 강화되도록 상기 고정너트(52)가 상기 밸브장치(4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fixing
그리고, 상기 보강부(17)와 상기 조절볼트(50)의 위치가 서로 변경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보강부(17)에 상기 베이스(12)의 축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조절볼트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밸브장치(40)의 중앙부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와 상기 보강부의 단부에 각각 스프링(30)이 연결될 수 있다.And,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한편, 상기 통로부(20)에 대향되는 상기 밸브장치(4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45)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돌기(45)는 상기 각 가이드 돌기(45)의 외측면이 상기 통로부(20)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surface of the
이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45)는 상기 통로부(20)에서 흔들림 없이 슬라이딩될 수 있고, 상기 밸브장치(40)는 상기 통로부(20)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45)는 상기 밸브장치(40)가 이동시 상기 통로부(20)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15)의 외측으로 상기 밸브장치(40)가 분리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밸브장치(40)가 상기 프레임(15)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연결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밸브장치(40)는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통로부(20)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따라서, 상기 프레임(15)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에는 상기 밸브장치(40)가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이 조절되고 구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장치(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t least one gap adjusting device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se 12 on which the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장치(60)는 상기 프레임(15)이 형성되는 상기 베이스(12)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체결홀(62)에 삽입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체결홀(62)은 상기 베이스(1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장치(60)의 외주면에도 상기 체결 홀(62)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간격조절장치(60)로는 통상적인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장치(60)는 상기 체결홀(62)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간격조절장치(60)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장치(60)의 외측에는 체결너트(64)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너트(64)의 어느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12)의 적어도 어느 일측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간격조절장치(60)가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장치(60)의 일단부에는 단차를 갖는 확대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확대부의 일측에 상기 밸브장치(40)의 일측면이 접하면서 상기 밸브장치(4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적인 볼트가 상기 간격조절장치(60)로 사용될 경우 상기 볼트의 헤드부가 상기 확대부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enlarged portion having a step is formed at one end of the
즉, 상기 스프링(30)의 수축력에 의하여 상기 밸브장치(40)는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프레임(15)의 중앙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30)에 대향되는 상기 밸브장치(40)의 일측면이 상기 베이스(12)에 대향되는 상기 간격조절장치(60)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확대부의 일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밸브장치(40)가 상기 베이스(12)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이 구속되게 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베이스(1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안전밸브가 장비(200)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장비(200)란 파이프와 같은 단품에서부터 구조물과 같은 조립체까지를 포함하여 정의 된다.Meanwhile, a threaded
장비(200)에 결합된 상기 안전밸브는 스프링(30)의 수축력에 의하여 베이스(12)로부터 이탈된 상기 밸브장치(40)가 간격조절장치(60)에 의해 이격 간격이 조절되어 고정된 상태이다.The safety valve coupled to the
이때, 상기 장비(200)의 내부로 유체의 흐름이 생기기 시작하면 통로부(20)로 유체가 방출되게 되는데, 상기 유체의 압력이 상기 스프링(30)의 수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유체가 상기 밸브장치(40)를 밀어 상기 밸브장치(40)가 상기 베이스(12)에 밀착되고, 상기 통로부(20)가 밀폐되어 상기 유체는 상기 장비(20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low of fluid begins to flow into the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안전밸브는 터보 압축기 또는 터보 블로워에 사용되어 BOV(blow off valve)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터보형 압축기의 기동시 스프링(30)의 장력조절을 통하여 소정의 설정 압력이 되기 전까지는 압력 공기가 통로부(2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설정압력이 되었을 때, 밸브장치(40)가 이동되어 통로부(20)가 밀폐되고 유체가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다.Therefore, the safety valv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used in a turbo compressor or a turbo blower to be used as a blow off valve (BOV). That is, the pressur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또한, 상기 안전밸브는 주로 장비(20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내측에서 이동하는 여러 종류의 유체로부터 보호되도록 내식성 또는 내마모성 처리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safety valve may be mainly installed inside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ation of the safety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에는 상기 밸브장치(40)가 상기 프레임(15)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12)의 일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장치(40)는 그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45)가 상기 통로부(20)의 내측에 내재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장치(60)도 상기 밸브장치(40)가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에 결합된다.4 and 5, in the safety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따라서, 상기 스프링(30)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5)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힘이 적용되는 상기 밸브장치(40)는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에 접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0)의 수축력 이상의 힘이 상기 통로부(20)를 통하여 상기 밸브장치(40)에 작용되면 상기 밸브장치(40)는 상기 베이스(12)로부터 밀려나 이동된다. 이때, 상기 밸브장치(40)는 상기 간격조절장치(60)에 접하게 되어 이동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12)의 일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 베이스(12)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상기 안전밸브는 장비(20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ead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안전밸브는 내측에 고압이 형성되는 장비(200)에 적용되어 장비(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이 상기 스프링(30)의 장력 이상으로 증가하면, 상기 밸브장치(40)가 상기 베이스(12)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통로부(20)가 개방되어지고, 상기 장비(200) 내측의 유체를 외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장비(200)를 보호하는 안전밸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afety valv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안전밸브는 내측에 진공압력이 형성되는 장비(200)에 적용되어 장비(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압력이 상기 스프링(30)의 장력 이상으로 증가하면, 상기 밸브장치(40)가 이격되어 상기 통로부(20)가 개방되고 상기 장비(200) 외측의 유체가 상기 장비(20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장비(200)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밸브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valv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pplied to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이다.6 is a state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afety val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에는 상기 베이스(12)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6, the safety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have thread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안전밸브는 관과 같은 장비(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관로에서 이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로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safety valve may be provided inside the
즉, 상기 관로에서 이동하는 유체의 압력이 상기 스프링(30)의 수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장치(40)는 상기 베이스(12)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통로부(20)가 개방되고, 상기 통로부(20)를 통하여 상기 유체는 이동한다.That is,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moving in the conduit is greater than the contracting force of the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장치(60)를 조절하여 상기 밸브장치(40)의 이격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통로부(20)를 통하여 이동하는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의 압력이 감소하면 상기 스프링(30)이 수축하여 상기 통로부(20)가 밀폐 됨으로써, 이미 이동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Here, by sett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safety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스프링은 밸브장치의 중앙부에 결합된 조절볼트의 일측 중앙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회복력이 상기 밸브장치에 편향되지 않도록 적용됨으로써 개폐시 상기 밸브장치의 흔들림과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장치의 중심이 이탈되지 않아 상기 밸브장치의 진동이 발생되지 않고, 이로 인한 소음도 방지될 수 있다.First,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control bolt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valve device is applied so that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spring is not biased to the valve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shaking and twisting the valve device during opening and closing.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of the valve device does not deviate, vibration of the valve device does not occur, and thus noise can be prevented.
둘째, 밸브장치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들이 통로부의 내주면에 접하여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밸브장치가 이동시 흔들림과 비틀림이 더 방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밸브장치의 작동이 원활해 지고, 안전밸브를 통한 유량의 제어도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Second,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formed on one side of the valve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to be slid to further prevent shaking and torsion when the valve device is moved, thereby smoothing the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safety valve Control of the flow rate through can also be made more precise.
셋째, 간격조절장치를 해제하고 스프링을 분리함으로써 밸브장치의 결합위치는 통로부의 어느 일측으로 손쉽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장치의 결합위치와 장비에 적용시 설치방향에 따라 압력안전밸브, 진공안전밸브, BOV(blow off valve), 유량조절밸브 그리고 역류방지밸브와 같이 다용도로 호환이 가능하다.Third, by releasing the spacing device and removing the spring,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valve device can be easily changed to either side of the passage. And, when applied to the coupling position and the equipment of the valve device is compatible with a versatile, such as a pressure safety valve, a vacuum safety valve, a blow off valve (BOV), a flow control valve and a non-return valve.
넷째, 밸브장치의 개폐가 유체 자체의 압력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동력 없이 작동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율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Four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device is made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itself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can be operated without a separate power can be used for a long time, the structure is simple, the failure rat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3173A KR100684119B1 (en) | 2006-08-03 | 2006-08-03 | Safety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3173A KR100684119B1 (en) | 2006-08-03 | 2006-08-03 | Safety valv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84119B1 true KR100684119B1 (en) | 2007-02-20 |
Family
ID=3810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3173A KR100684119B1 (en) | 2006-08-03 | 2006-08-03 | Safety val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411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2268B1 (en) * | 2008-08-08 | 2009-04-09 | 주식회사 한국유체기계 | Multi function valve |
CN109114269A (en) * | 2018-10-23 | 2019-01-01 |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compact-sized safety valve and lubricating oil pump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50000710Y1 (en) * | 1983-08-13 | 1985-04-22 | 오승준 | Check valve |
KR870003860Y1 (en) * | 1985-07-26 | 1987-12-05 | 금성전선 주식회사 | Thermal amending-type safety valve |
KR950014007B1 (en) * | 1992-12-04 | 1995-11-20 | 이상만 | Check valve in constant flow |
JPH09100925A (en) * | 1995-10-05 | 1997-04-15 | Yokohama Rubber Co Ltd:The | Relief valve structure |
KR200210777Y1 (en) | 2000-08-28 | 2001-01-15 | 이진호 | Check Valve For water service pipe |
-
2006
- 2006-08-03 KR KR1020060073173A patent/KR10068411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50000710Y1 (en) * | 1983-08-13 | 1985-04-22 | 오승준 | Check valve |
KR870003860Y1 (en) * | 1985-07-26 | 1987-12-05 | 금성전선 주식회사 | Thermal amending-type safety valve |
KR950014007B1 (en) * | 1992-12-04 | 1995-11-20 | 이상만 | Check valve in constant flow |
JPH09100925A (en) * | 1995-10-05 | 1997-04-15 | Yokohama Rubber Co Ltd:The | Relief valve structure |
KR200210777Y1 (en) | 2000-08-28 | 2001-01-15 | 이진호 | Check Valve For water service pip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2268B1 (en) * | 2008-08-08 | 2009-04-09 | 주식회사 한국유체기계 | Multi function valve |
CN109114269A (en) * | 2018-10-23 | 2019-01-01 | 湖南机油泵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compact-sized safety valve and lubricating oil pum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363153B (en) | Anti-cavitation valve assembly | |
US9010371B2 (en) | Anti-cavitation valve seat | |
KR100476004B1 (en) | Pinch Valve | |
TWI485342B (en) | Diaphragm valve | |
RU2694947C2 (en) | Nozzle check valve | |
JP6721569B2 (en) | Flow rate regulator for control valve | |
KR101401086B1 (en) | Prefabricated high-pressure flow control valve | |
KR100684119B1 (en) | Safety valve | |
RU2602467C2 (en) | Cover design for use with fluid flow rate regulators | |
CN108119698B (en) |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refrigeration system with same | |
KR20150005981A (en) | Guide member for use in a valve actuator assembly | |
WO2008140189A1 (en) | Flow control valve assembly with low noise | |
EP3176478B1 (en) | Actuator of regulator and fluid regulator | |
RU2548328C2 (en) | Gas flow control device | |
KR20090070553A (en) | A constant flow control valve | |
JP6097345B2 (en) | Solenoid open / close valve | |
KR20190092157A (en) | Electronic Control Valve having Dual Filter Structure | |
KR101704344B1 (en) | Water hammer arrestor | |
KR100443047B1 (en) | Normal Open and close Solenoid Valve | |
CN108413079B (en) | A kind of valve playing buffer function by structure of avoiding the peak hour | |
KR200196288Y1 (en) | Staging valve | |
KR200483877Y1 (en) | Auto control orifice valve with double spray function | |
KR100701053B1 (en) | Shut-off valve and pressure reducing valve | |
EP3273771B1 (en) | Pressure reducing element | |
KR100473850B1 (en) | reducing valve assembly for water purif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