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4014B1 - Drawer Typ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Drawer Type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4014B1 KR100684014B1 KR1020000004963A KR20000004963A KR100684014B1 KR 100684014 B1 KR100684014 B1 KR 100684014B1 KR 1020000004963 A KR1020000004963 A KR 1020000004963A KR 20000004963 A KR20000004963 A KR 20000004963A KR 100684014 B1 KR100684014 B1 KR 100684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drawer
- drawer cover
- type mobil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 이동됨으로써 개폐 작동되는 드로어 커버 및, 상기 드로어 커버와 연동되는 안테나가 구비된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는, 마이크로폰(M) 및 버튼부(12)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버튼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드로어 커버(20)와; 본체(10)에 연결된 튜너단자(41)(42)와 가변 접속되며, 상기 드로어 커버(20)와 연동 가능하게 장착된 안테나(30)와; 상기 안테나(30)를 드로어 커버(20)의 개폐 시 연동되도록 함과 더불어 별도 조작 가능토록 결속하는 안테나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결속수단은 드로어 커버(20)의 안테나 홀(20b)에 고정 장착된 아우터 부싱(50)과, 상기 아우터 부싱(50)의 내면 측에 고정 결합되어 안테나(30)를 이동 가능하게 압박 지지하는 이너 부싱(52)으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type mobile telephone having a drawer cov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linearly moving in a sliding manner, and an antenna interlocked with the drawer cover. The drawer typ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M) and a button. A main body 10 provided with a portion 12; A drawer cover (2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button unit (12) by being mounted to the main body (10) in a sliding manner; An antenna 30 variably connected to the tuner terminals 41 and 42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and mounted to be interlockable with the drawer cover 20; It includes an antenna binding means for binding the antenna 30 to the interlock when the drawer cover 20 is opened and closed and to be separately operable. Here, the antenna coupling means is fixed to the outer bushing 50 fixed to the antenna hole (20b) of the drawer cover 20, an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uter bushing 50 is fixed to the antenna 30 to be movable It consists of an inner bushing 52 for pressing support.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드로어 커버(20)를 개방할 경우 즉, 정상적인 사용 시에는 안테나(30)가 상기 드로어 커버를 따라 자동 인출됨으로써 수신감도가 향상되고, 필요에 따라 드로어 커버(20)를 열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도 안테나(30)만을 인출하여 수신감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rawer-typ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awer cover 20 is opened, that is, during normal use,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improved by automatically drawing the antenna 30 along the drawer cover. If necessary, even when the drawer cover 20 is used without opening, the antenna 30 may be pulled out to increase reception sensitivit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folding cellular phone.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서 드로어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cover is closed in the drawer-type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서 드로어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cover is opened in the drawer-type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서 안테나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antenna in the drawer-typ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서 안테나의 취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antenna in the drawer-typ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서 드로어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안테나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enna is drawn out in a drawer cover closed state in the drawer typ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본체 12: 버튼부10: main body 12: button portion
20: 드로어 커버 201: 투명창20: drawer cover 201: transparent window
20a: 스피커 홀 20b: 안테나 홀 20a:
30: 안테나 31: 헤드부 30: antenna 31: head portion
32: 휩부 34: 이동단자 32: whip 34: mobile terminal
40: 회로기판 41: 상부 튜너단자 40: circuit board 41: upper tuner terminal
42: 하부 튜너단자 50: 아우터 부싱 42: lower tuner terminal 50: outer bushing
52: 이너 부싱 52: inner bushing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 이동됨으로써 개폐 작동되는 드로어 커버 및, 상기 드로어 커버와 연동되는 안테나가 구비된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wer type mobile phone having a drawer cov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linearly moving in a sliding manner, and an antenna which is linked to the drawer cover.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는 중계국에 의한 무선중계를 통해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이동통신기기로서, 케이스의 구조에 따라 바아(bar)형과 폴더(folder)형 등으로 대별된다.In general, a mobile phone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enable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relay by a relay station, and is classified into a bar type and a folder ty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a case.
상기 바아형 휴대전화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에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이 구비되어 송, 수화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서, 본체의 버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플립 커버(flip cover)가 부착된 플립형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바아형 휴대전화기는 휴대 시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그 크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인체구조(입과 귀사이의 거리)에 따른 통화 시의 편의성을 위하여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간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일정치 이상 되어야 한다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The bar-type mobile phone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and a microphone are provided in one case so that a song and a receiver are integrally formed, and may be formed in a flip type with a flip cov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button part of a main body. do. Although the bar-type mobile phone has a tendency to be smaller in size to improve convenience when carrying, a certain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for the convenience of the call according to the human body structure (distance between the mouth and the company). Because it has to be structured, it has a structural limitation that its size should be more than a certain value.
상기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바아형 휴대전화기의 구조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수화를 위한 스피커(S)와 송화를 위한 마이크로폰(M)이 별도의 상하 케이스(2)(4)에 구비되며, 각 케이스(2)(4)의 일단이 힌지기구(미도시)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부 및 액정화면부 또한 상하 케이스(2)(4)에 분리 구비된 구조로 이루지기도 한다.The folding mobile phone is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bar-type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1, a speaker S for sign language and a microphone M for sending a phone are separate upper and lower cases. (2) and (4), one end of each case (2) (4) has a structure that is foldably connected by a hinge mechanism (not shown), in some cases, the button portion and the LCD screen portion is also up and down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provided separately in the case (2) (4).
이러한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4)를 서로 포개어 그 크기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휴대 가능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4)를 펼친 상태 즉, 스피커(S)와 마이크로폰(M)이 사용자의 입과 귀 사이의 간격에 맞게 절적한 거리를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 시의 편의성이 바아형에 비해 향상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The clamshell cell phone is portable in a state where the
한편, 종래의 휴대전화기에는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한 안테나(6)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안테나(6)는 통화 시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is equipped with an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그 사용 시 안테나(6)를 인출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며, 특히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경우에는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4)를 연결하는 힌지기구의 구조상, 한 손으로 일측 케이스(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를 잡고 다른 손으로 일정치 이상의 힘을 가하여 타측 케이스(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를 펼치는 과정 또한 거쳐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such a conventional mobile phone, it has to go through a cumbersome process of drawing out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직선 이동됨으로써 개폐 작동되는 드로어 커버 및, 상기 드로어 커버의 개폐 작동에 따라 자동 인출되는 안테나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drawer type that is provided with a drawer cover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linear movement in a slide method, and an antenna that is automatically drawn out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cover is improved drawer type To provide a mobile ph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는, 마이크로폰 및 버튼부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버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안테나의 헤드부가 돌출되는 안테나 홀이 구비된 드로어 커버와; 본체에 연결된 튜너단자와 가변 접속되며, 상기 드로어 커버와 연동 가능하게 장착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드로어 커버의 개폐 시 연동되도록 함과 더불어 별도 조작 가능토록 결속하는 안테나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drawer type mobile telephone provi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microphone and a button portion; A drawer cover moun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vertically in a slide mann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button unit, the drawer cover having an antenna hole protruding the head of the antenna; An antenna variably connected to the tuner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mounted to be interlockable with the drawer cover; It includes an antenna coupling means for binding to the antenna to be interlock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rawer cover and to be separately operable.
여기서, 상기 안테나 결속수단은 드로어 커버의 안테나 홀에 고정 장착된 아우터 부싱과, 상기 아우터 부싱의 내면 측에 고정 결합되어 안테나를 이동 가능하게 압박 지지하는 이너 부싱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antenna coupling means comprises an outer bushing fixedly mounted to the antenna hole of the drawer cover, and an inner bushing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outer bushing to press-support the antenna to be mova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a부터 도 5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내용 중 종래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through 5,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prior art,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는 도 2a,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체(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버튼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드로어 커버(drawer cover)(20)와, 상기 드로어 커버와 연동되도록 취부된 안테나(30) 및, 상기 안테나(30)를 드로어 커버(20)의 개폐 시 연동되도록 함과 더불어 별도 조작 가능토록 결속하는 안테나 결속수단(도 3 참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rawer typ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여기서, 상기 드로어 커버(20)는 양 가장자리가 본체(10)의 양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속된 패널형태로서, 중앙부위에 투명창(201)이 구비되고, 상단에 스피커 홀(20a)이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안테나의 헤드부가 돌출되도록 안테나 홀(20b)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Here, the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안테나(30)는 상기 안테나 홀(20b)을 통해 드로어 커버(2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헤드부(31)과, 상기 헤드부의 하단에 구성된 휩(whip)부(3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휩부(32)의 하단에는 회로기판(40)의 상하 튜너단자(41)(42)와 접속되는 이동단자(34)가 부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상기 안테나 결속수단은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드로어 커버(20)의 안테나 홀(20b)에 고정 장착된 아우터 부싱(outer bushing)(50)과, 상기 아우터 부싱(50)의 내면 측에 결합되어 안테나(30)의 휩부(32)를 결속하는 이너 부싱(inner bushing)(52)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이너 부싱(52)은 아우터 부싱(50)과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며, 안테나(30)가 자중에 의해서는 인출되지 않으나 어느 정도의 외력에 의해서는 인출될 수 있도록 적절한 마찰력을 발휘하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And, the antenna binding means is coupled to the outer bushing (outer bushing 50) fixed to the antenna hole (20b)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에 의하면, 미사용 시에는 드로어 커버(20)를 닫아 그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휴대나 보관하게 되고, 사용시에만 드로어 커버(20)를 열게 되는데, 드로어 커버(20)를 열 경우에는 사용자의 입과 귀 사이의 간격에 적합한 정도로 스피커(2)와 마이크로폰(4)(도 2a 참조) 사이에 적절한 거리가 유지되고, 안테나(30) 또한 드로어 커버(20)를 따라 소정 높이 만큼 인출됨으로써 전파의 수신감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드로어 커버(20)를 닫을 경우에는 안테나(30)의 휩부(32)가 이너 부싱(52)에 의해 본체 내로 인입된다. According to the drawer-typ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not in use, the
여기서, 드로어 커버(20)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안테나(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어 커버(20)를 따라 인출됨으로써 그 하단의 이동단자(34)가 회로기판(40)의 상부 튜너단자(41)와 접속되며, 드로어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안테나(30)의 이동단자(34)가 회로기판(40)의 하부 튜너단자(42)와 접속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안테나(30)는 드로어 커버(20)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Here, whe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너 부싱(52)이 안테나(30)의 휩부(32)를 이동 가능하게 압박 지지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드로어 커버(20)를 열지 않고도 안테나(30)만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이동단자(34)가 드로어 커버(20)의 상단 내면에 걸림으로써(도 4 참조) 안테나(30)가 본체(10)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는, 드로어 커버(20)의 개방 시 별도의 조작없이 안테나(30)가 상기 드로어 커버(20)를 따라 자동으로 인출됨으로써 수신감도가 향상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드로어 커버(20)를 열지않고 안테나(30)만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기능적인 특징을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mproves reception sensitivity by automatically drawing the
본 발명에 따른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드로어 커버를 개방할 경우 즉, 정상적인 사용 시에는 안테나가 상기 드로어 커버를 따라 자동 인출됨으로써 수신감도가 향상되고, 필요에 따라 드로어 커버를 열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도 안테나만을 인출하여 수신감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drawer-typ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wer cover is opened, that is, during normal use,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improved by automatically drawing the antenna along the drawer cover, and when used without opening the drawer cover as necessary, Since only the antenna can be drawn out to increase reception sensitivity, convenience in use is improved.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4963A KR100684014B1 (en) | 2000-02-01 | 2000-02-01 | Drawer Type Mobile Phone |
US09/766,632 US6980840B2 (en) | 2000-01-24 | 2001-01-23 | Drawer-type mobile phone |
US11/287,382 US7245949B2 (en) | 2000-01-24 | 2005-11-28 | Drawer-type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4963A KR100684014B1 (en) | 2000-02-01 | 2000-02-01 | Drawer Type Mobi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7285A KR20010077285A (en) | 2001-08-17 |
KR100684014B1 true KR100684014B1 (en) | 2007-02-20 |
Family
ID=1964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4963A KR100684014B1 (en) | 2000-01-24 | 2000-02-01 | Drawer Type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401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2484A (en) * | 2004-09-07 | 2006-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ovable antenna structure |
KR100678768B1 (en) * | 2005-02-28 | 2007-02-02 |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lide type antenna |
KR100702674B1 (en) * | 2006-01-17 | 2007-04-02 | 주식회사 팬택 | Slide type personal portable device including diversity antena modul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1067A (en) * | 1993-04-23 | 1994-11-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Radio telephone set |
JPH07184253A (en) * | 1993-09-23 | 1995-07-21 | At & T Corp | Wireless telephone receiver |
KR19990050430A (en) * | 1997-12-17 | 1999-07-05 | 정선종 | Automatic antenna for cell-phone by push switch |
KR20000044496A (en) * | 1998-12-30 | 2000-07-15 | 윤종용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yped automatic antenna slide |
KR20000019834U (en) * | 1999-04-21 | 2000-11-25 | 김재명 | Slide type cellular phone with antenna linked with opening and shutting of cover |
KR20010001466U (en) * | 1999-06-29 | 2001-01-15 | 김재명 | Slide type Cellular Phone with slide and flip-flap cover |
KR20010026660A (en) * | 1999-09-08 | 2001-04-06 | 최일항 | An antenna elevator of a cellnlar phone |
-
2000
- 2000-02-01 KR KR1020000004963A patent/KR10068401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1067A (en) * | 1993-04-23 | 1994-11-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Radio telephone set |
JPH07184253A (en) * | 1993-09-23 | 1995-07-21 | At & T Corp | Wireless telephone receiver |
KR19990050430A (en) * | 1997-12-17 | 1999-07-05 | 정선종 | Automatic antenna for cell-phone by push switch |
KR20000044496A (en) * | 1998-12-30 | 2000-07-15 | 윤종용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yped automatic antenna slide |
KR20000019834U (en) * | 1999-04-21 | 2000-11-25 | 김재명 | Slide type cellular phone with antenna linked with opening and shutting of cover |
KR20010001466U (en) * | 1999-06-29 | 2001-01-15 | 김재명 | Slide type Cellular Phone with slide and flip-flap cover |
KR20010026660A (en) * | 1999-09-08 | 2001-04-06 | 최일항 | An antenna elevator of a cellnlar phon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0718425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7285A (en) | 2001-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77827B1 (en) | Mobile telephone having a folding antenna | |
US20070123179A1 (en) | Sliding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 |
US7106260B2 (en) |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20040132511A1 (en) | Foldable cell phone device | |
KR19990000037A (en) | Portable terminal with flip cover in both directions | |
US6300910B1 (en) | Antenna device installed in flip cover of flip-up type portable phone | |
KR100451800B1 (en) | Mobile station with drawer type cover | |
KR100684014B1 (en) | Drawer Type Mobile Phone | |
KR100312546B1 (en) | Folder-type cellular phone in which cover including display at its external surface is glidingly opened and closed | |
KR100533038B1 (en) |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100347712B1 (en) | Mobile station with drawer type cover | |
JP4039796B2 (en) |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 |
US20060097933A1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100575759B1 (en) | Switchgear of portable terminal | |
KR100347713B1 (en) | Mobile station with drawer type cover | |
KR20010063190A (en) | Sub data input device for radiotelephone | |
KR100966554B1 (en) | Mobile phone for slide type | |
KR200365110Y1 (en) | Sliding type key pad apparatus of cellular phone | |
KR100317627B1 (en) | Cellular Phone with slide type and flip-flap cover | |
KR200205775Y1 (en) | A Cellular Phone With Reduced Electromagnetic Wave Construction | |
KR100678190B1 (en) | Folder with antenna device | |
KR20090013365A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200247310Y1 (en) | Slide type Cellular Phone with slide and flip-flap cover | |
KR100678211B1 (en) | Flip-type portable radiotelephone | |
KR970000295Y1 (en) | Folding structure of wireless telephone handy set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