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767B1 - Support for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Support for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767B1
KR100683767B1 KR1020050029033A KR20050029033A KR100683767B1 KR 100683767 B1 KR100683767 B1 KR 100683767B1 KR 1020050029033 A KR1020050029033 A KR 1020050029033A KR 20050029033 A KR20050029033 A KR 20050029033A KR 100683767 B1 KR100683767 B1 KR 10068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ud
display device
cutou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07056A (en
Inventor
정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767B1/en
Publication of KR2006010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7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에 세울 때 지지역할을 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대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터드를 구비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의 측면에는 스터드가 만곡될 때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that supports the support area when the display device is placed on the floor, the support includes a support insertion unit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And a support having a stud into which one end of the insert is inserted, wherein the side of the stud is formed with a cutout to provide flexibility when the stud is curve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Support for Display device}Support for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display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의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upport of a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의 지지부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경우의 부분 평면 투시도이다. FIG. 3 is a partial plan perspective view when the support of the support for the display device of FIG. 2 i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에 힘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02 : 후면100: display device 102: rear

104 : 지지대 삽입부 106 : 삽입홈104: support insert portion 106: insertion groove

108 : 지지대 110 : 스터드108: support 110: stud

112 : 베이스 114 : 완충돌기112: base 114: buffer protrusion

116 : 단부 118 : 절개부116: end 118: incision

120 : 홈 120: ho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세트를 바닥에 세워놓았을 때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에 놓았을 때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structurally supporting a display device, particularly when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et is placed on the fl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for supporting a plasma display device when it is placed on the floor. will be.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점차 슬림화됨에 따라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Currently, as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becomes thinner, the demand for a large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reases.

디스플레이 매체로서, 종전에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전계발광 표시장치, OLED 등 그 선택의 폭이 다양화되고 있다. In the past,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s have become mainstream as display media, but in recent years, the choice of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 devices, electroluminescent displays, OLEDs, and the like has been diversified.

특히, 근래에 들어 종래의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체하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은, 복수개의 전극이 형성된 두 기판 사이에 방전가스가 봉입된 후 방전 전압이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형광체가 여기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In particular, the plasma display panel, which is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substitute for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display device, is discharged after a discharge gas is filled between two substrates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formed. The phosphor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s excited by the ultraviolet rays generated thereby to obtain a desired image.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벽에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벽에 걸어두는 방법과 한 쌍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바닥에 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특히 지지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 지지대의 길다란 스터드 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된 삽입홈에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되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와 지지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어올려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의 삽입홈을 지지대의 스터드에 정렬하여 끼워 맞추는 과정에서 스터드가 전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없는 구조의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By employing the plasma display panel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configured with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installing a fixing device on a wall and hanging it on the wall, and a method of installing it on the floor using a pair of supports.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floor by using the support,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by inserting the long stud of the support into the insertion groov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support,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display device and aligning the insertion groove in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with the stud of the support, the stud cannot absorb any external shock at all. There is this.

첫째, 스터드가 삽입홈에 삽입되면서 충격을 받는 경우, 이 충격의 영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에 금이 가는 등 흠결이 발생할 수 있었다.First, when the stud is impac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impact of the stud may cause a crack such as cracking of the panel of the display device.

둘째, 일단 지지대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후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대가 이러한 외부 충격을 전혀 흡수하지 못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에 손상이 생길 수가 있었다. Second, even if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even after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support, the support panel may not absorb any external shocks and may damage the panel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에 세워 설치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와 지지대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지지대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that can support the shock absorber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support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floo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대 삽입부;A support insert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삽입부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터드를 구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로서,As a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having a stud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스터드의 측면에는 스터드가 만곡될 때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of the stu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s formed to provide flexibility when the stud is curved.

여기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스터드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구비한다. Here, the cutout has a groov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side of the stud.

특히, 상기 절개부는 스터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홈을 구비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cutou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along the length of the stud.

상기 복수개의 홈은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at least partially alig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홈은 선형의 채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grooves have a linear channel shape.

상기 홈은 상기 스터드가 탄성범위내에서 만곡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구비하게 된다. The groove has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stud can be curved within the elastic range.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바닥에 세워서 설치되어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120)에는 지지부(108)와 대응하여 지지대를 수용하게 되는 지지대 삽입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삽입부(104)는 후면(10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그 내부의 일측단부에는 삽입홈(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는 폐쇄되 어 있다. 상기 지지대 삽입부(104)의 폐쇄된 단부의 내측에는 지지대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별도의 탄성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support inserting unit 10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12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to accommodate the suppor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pport 108. The support inserting portion 104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rear surface 102, an insertion groove 10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side, and the other end is closed. A separate elastic member may be mounted inside the closed end of the support inserting part 104 to mitigate an impact caused by contact with the support.

한편, 상기 지지대 삽입부(104)의 삽입홈(106)에 삽입되는 지지부(108)는 길다란 원기둥 형상의 스터드(110)와 상기 스터드의 하측 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결합된 베이스(114)를 구비한다. 상기 스터드(110)는 베이스(112)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108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06 of the support insert 104 is a long cylindrical stud 110 and the base 11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u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upled Equipped. The stud 110 is preferably disposed about halfwa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112.

또한 베이스(112)의 일측면에 스터드(110)가 설치되고 그 반대편에는 한쌍의 완충돌기(114)가 형성된다. 상기 완충돌기(114)는 지지부와 바닥 사이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완충돌기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돌기는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을 때 지지부(108)의 베이스(112)의 경사를 보상하기 위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tud 1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112 and a pair of buffer protrusions 114 ar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The buffer protrusion 114 serves to cushion the impact between the support and the floor. Therefore, the buffer protrusion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ember that can absorb the shock. In addition, the buffer protrus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heigh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inclination of the base 112 of the support portion 108 when the bottom is formed to be inclined.

이때 상기 완중돌기(114)는 볼트와 같은 파스너(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112)의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완충돌기는 지지부(108)의 안정적인 배치를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다. In this case, the doped protrusion 114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12 using a fastener (not shown) such as a bolt. At least two shock absorbing protrusions are mounted for stable placement of the support 108.

이러한 구조의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하여 한 개만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작용을 위하여 복수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108)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다. 따라서, 지지대의 개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의 지지대 삽입부(104)의 개수도 정해진다. Only one support portion of this structure may be used for the display apparatus 100, but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are preferably used for more stable operation. 1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supports 108 support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refore, the number of support inserting units 104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also 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upport units.

한편, 상기 지지부(108)의 베이스(112)는 반드시 일자형의 스트립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삼발이 또는 그 이상의 다리를 가진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112 of the support 108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traight strip shape. Thus,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rivet or more le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 중 지지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of th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8)는 길다란 원통형상으로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스터드(110)와 상기 스터드(110)를 그 하부에서 지지하고 있는 베이스(112)를 구비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ortion 108 includes a stud 110 that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n elongated cylindrical shape and a base 112 that supports the stud 110 thereunder.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110)는 상기 베이스(112)의 상면의 대략 중간에 위치된다. 즉, 상기 스터드(110)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112)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유 단부(116)로 구성된다. The stud 110 is position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of the top surface of the base 112 to balance the center of gravity. That is, one end of the stud 110 is connected to the base 112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free end 116 that is not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상기 스터드(110)의 단부(116)는 도 1의 지지대 삽입부(104)의 삽입홈(106)을 통하여 삽입부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무게에 의해 지지대 삽입부(114)와 지지부(108)의 스터드(110) 사이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충격이 심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패널에 금이 가는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The end 116 of the stud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106 of the support insertion portion 104 of FIG. In this case, an impact may occur between the support inserting part 114 and the stud 110 of the support part 108 by the weight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In this case, if the impact is severe, cracking of the panel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occur.

이와 같은 패널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110)가 삽입부(104)의 내부에서 완전히 수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무게가 스터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될 때 스터드(110)와 충격 완충을 위하여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 여, 상기 스터드(110)의 측면에는 절개부(118)가 형성된다. In order to prevent such damage to the panel, the stud 110 is completely received inside the inserting portion 104, and when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transmit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ud 110 and the stud 110 and In order to have flexibility for shock absorbing, a cutout 118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stud 110.

상기 절개부(118)가 형성되는 위치는 스터드(110)의 측면에서 단부(116)측으로 가깝게 배치된다. The position where the cutout 118 is formed is disposed close to the end 116 side from the side of the stud 110.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를 화살표 방향(T)에서 본 경우의 부분 평면 투시도이다. FIG. 3 is a partial plan perspective view when the support for the display device of FIG. 2 is viewed in the arrow direction T. FIG.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18)는 스터드(110)의 측면에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개부(118)는 상기 스터드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120)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절개부(118)는 스터드(110)의 측면에 소정의 폭을 가진 채널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cutout 11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tud 110, the cutout 118 has a groove 120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side of the stud. That is, the cutout 118 is formed by forming a channe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side of the stud 110.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절개부(118)는 스터드(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홈을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으로 표시된 상기 복수개의 홈(120)은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110)의 단부(116)에서 길이방향으로 내려가면서 원주방향으로 돌아가면서 형성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cutout 118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ud (11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grooves 120 indicated by broken lines are at least partially alig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us, as shown in Figure 2, it is formed while tur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116 of the stud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홈은 선형의 채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터드(110)의 측면을 일직선으로 파내기 가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120)은 상기 스토드(110)가 탄성 범위내에서 만곡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홈이 스터드(11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깊이도 또한 스터드(110)가 이러한 홈에 의해 탄성 범위내에서 만곡될 수 있을 장도로 깊이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groove is preferably a linear channel shape. Therefore, the side surface of the stud 110 is formed by digging in a straight line. In this case, the groove 120 is formed to a width such that the stall 110 can be curved in the elastic range. In addition, the depth in which the groove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ud 110 is also formed in depth to the extent that the stud 110 can be curved within the elastic range by such a groov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이 지지부에 힘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rce is applied to a support of th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스터드(110)의 측면에 하나의 홈(120)만이 형성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홈이 스터드(110)의 측면에 형성된다. 4 exemplari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ly one groove 1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tud 110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stud 110. Is formed.

도 4에서 화살표(F)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지지대 삽입부(104)의 폐쇄된 내측면이 누르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다. In FIG. 4, the arrow F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force of the closed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inserting unit 104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1.

전술한 바와 같이, 스터드(110)의 측면에는 절개부(118)가 형성되어 스터드의 반경방향으로 일정 깊이까지 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118)는 스터드(1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터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압축력(F)이 가해지는 경우 절개부(118)에 의해 생긴 빈 공간으로 스터드(110)가 만곡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116)의 단부에 힘이 작용하게 되면, 중간에 빈 공간이 형성된 스터드의 방향으로 스터드(110)은 기울어지면서 압축력의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utout 118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tud 110, the groove 12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ud. Since the cutout 118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tud 110, when the compressive force F is appli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stud 110, the cutout 118 is an empty space created by the cutout 118. The stud 110 is curved.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4,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end of the stud 116, the stud 110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stud with a blank space formed in the middle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compressive force.

이때 스터드(110)에서 절개부(118)가 형성된 곳은 눌려지게 되어 압축력이 작용하고, 그 반대편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place where the cutout 118 is formed in the stud 110 is pressed so that the compressive force acts, and the tension force acts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force is dispersed.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압축력이 순간적으로 충격적으로 작용하더라도 스터드의 절개부(118)에 의해 생긴 공간으로 스터드(110)가 경사지게 되어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Therefore, even if the compressive force from the outside acts momentarily shock, the stud 110 is inclined to the space created by the cutout 118 of the stud to absorb the shock.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때의 중격력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대에 고정된 후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지는 추가적인 외력이 지지대에 전달 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스터드(110)는 가요성을 가져서 외력의 영향을 흡수하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septum force when installing the display device, the stud 110 has flexibility and absorbs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force even when the additional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even after the display device is fixed to the support. .

이와 같이 스터드(110)가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동시에 본 발명의 지지대의 스터드(110)는 절개부(118)가 없을 때와 마찬가지로 구조적 강도를 가지게 되어 구조적인 면에서 지지대로서 작용하는데 아무런 문제점이 없다. As such, the stud 110 can absorb external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stud 110 of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tructural strength as in the absence of the incision 118, and thus acts as a support in terms of structure. There is no problem.

본 발명에 따르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에 설치함에 있어서, 지지대의 스터드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경우가 방지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이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on the flo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ud of the support is prevented from impacting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panel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damaged.

또한, 일단 지지대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후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대가 이러한 외부 충격을 전혀 흡수하지 못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에 손상이 생길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even after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on the support, the support may not absorb any external shock at all,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anel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대 삽입부;A support insert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삽입부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터드를 구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에 있어서,In the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having a stud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상기 스터드의 측면에는 스터드가 만곡될 때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며,Sides of the studs are formed with cutouts to provide flexibility when the studs are bent, 상기 절개부는 상기 스터드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홈은 스터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The cutout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side of the stud, each of the grooves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u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개의 홈은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And the plurality of grooves are at least partially alig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홈은 선형의 채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The groove is a support for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channel shap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홈은 상기 스터드가 탄성범위 내에서 만곡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지지대.And the groove has a predetermined width to allow the stud to be curved within an elastic range.
KR1020050029033A 2005-04-07 2005-04-07 Support for Display device KR100683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33A KR100683767B1 (en) 2005-04-07 2005-04-07 Support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33A KR100683767B1 (en) 2005-04-07 2005-04-07 Support for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056A KR20060107056A (en) 2006-10-13
KR100683767B1 true KR100683767B1 (en) 2007-02-20

Family

ID=3762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033A KR100683767B1 (en) 2005-04-07 2005-04-07 Support for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7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646Y1 (en) * 2001-12-06 2002-03-16 주식회사 Korea 신예 Flat monitor stand
JP2002369103A (en) * 2001-06-08 2002-12-20 Sanyo Electric Co Ltd Support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JP2005115301A (en) * 2003-10-03 2005-04-28 Haimekku:Kk Remote control type television st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9103A (en) * 2001-06-08 2002-12-20 Sanyo Electric Co Ltd Support and display equipped therewith
KR200268646Y1 (en) * 2001-12-06 2002-03-16 주식회사 Korea 신예 Flat monitor stand
JP2005115301A (en) * 2003-10-03 2005-04-28 Haimekku:Kk Remote control type television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056A (en) 200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313B2 (en) Retaining device for the floating mounting of a flat screen and electronic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lat screen and a retaining device
JP4323248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70644B1 (en) Plasma display device
US6811028B2 (en) Packing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module
US7518298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thermal conductive sheet
KR100683767B1 (en) Support for Display device
KR100662882B1 (en) Backlight assembly
US20060290832A1 (en)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635747B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110040161A (en) Packaging box for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KR100581854B1 (en) Apparatus for standing of plasma display set
KR100580608B1 (en) Cassette for loading glasses
KR100709213B1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150113442A (en) Base frame for flat display panel
JP4295022B2 (en) Fluorescent display tube with composite filament support
KR100502925B1 (en) Display device using plasma display panel
JP4967491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686493B1 (en) Structure of Screw connect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KR20040024403A (en) Supporting means for plasma display panel module
KR101071247B1 (en) Lift pin module and apparatus for bonding substrates with the lift pin module
KR100683738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70063217A (en) A stand structure of a display device
KR100696833B1 (en) Chassis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module having the same
KR20070011944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495073B1 (en) Device of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