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746B1 -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746B1
KR100683746B1 KR1020040116917A KR20040116917A KR100683746B1 KR 100683746 B1 KR100683746 B1 KR 100683746B1 KR 1020040116917 A KR1020040116917 A KR 1020040116917A KR 20040116917 A KR20040116917 A KR 20040116917A KR 100683746 B1 KR100683746 B1 KR 10068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plasma display
discharge
display pane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78618A (en
Inventor
김동환
조인수
김석산
안중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746B1/en
Priority to JP2005013106A priority patent/JP4148523B2/en
Priority to EP05090017A priority patent/EP1562216B1/en
Priority to DE602005024635T priority patent/DE602005024635D1/en
Priority to CNA2005100542006A priority patent/CN1674057A/en
Priority to US11/052,192 priority patent/US20050174054A1/en
Publication of KR2006007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8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38Back panels or connecting means therefor; Terminals; Coding means to avoid wrong insertion
    • H05K7/1452Mounting of connectors; Switching; Reinforcing of back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 지연 현상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10W/mK 내지 100W/mK인 섀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ssis assembly for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ischarge delay phenomenon is reduced, and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ermal conductivity of 10 W / mK to 100 W. A chassis assembly for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a chassis of / mK and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panel having same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전지연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1 is a graph illustrating a discharge delay of a plasma display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sm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다.FIG. 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시간에 따른 어드레스 전압과 방전전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address voltage and a discharge current over time.

도 5는 섀시의 열전도율과 지연 시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delay time of the chassi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1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 plasma display device 210: plasma display panel

220 : 섀시 223 : 양면 테이프220: chassis 223: double-sided tape

227 : 열전도 시트 230 : 회로부227: heat conductive sheet 230: circuit portion

240 : 보스 250 : 보강부재240: boss 250: reinforcing member

260 : 커버 플레이트 271 : TCP260: cover plate 271: TCP

275 : 전자소자275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전 지연 현상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ssis assembly for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 plasm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ssis assembly for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ischarge delay phenomenon is reduced, and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대화면을 가지면서도,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광시야각의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대형화가 용이하여 최근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Plasma display device is a flat panel display device that realizes images by using gas discharge phenomenon. It has large screen, high quality, ultra thin, light weight and wide viewing angle, and it is simpler to manufacture than other flat panel display devices. Due to its ease of size, it has recently been in the spotlight as a large flat pane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내부 가스 방전에 의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구동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때, 많은 열이 발생된다. 만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이 적절하게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잔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잔상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섀시를 통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일반적으로 섀시는 고열전도율을 가지는 알루미늄을 이용하 여 제작되는데, 알루미늄의 열전도율이 약 150W/mK 내지 220W/mK이다.Since the plasma display panel uses a driving principl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by internal gas discharge, a larg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when driving the plasma display panel. If the heat generated in the plasma display panel is not proper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fterimage occurs in the plasma display panel.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n afterimage problem, heat generated in the plasma display panel is gene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hass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n general, the chassis is made of aluminum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aluminum is about 150W / mK to 220W / mK.

이와 같이 고열도율의 소재를 이용하여 섀시를 제작하게 될 경우, 열 방출 능력에 있어서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 곳의 기온이 강하할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들에 충전된 방전 가스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플라즈마 방전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서, 방전지연이란 방전셀에서의 플라즈마 방전이 요구되는 시간대에 이루어지지 않고, 방전이 지연되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As such, when the chassis is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re is an advantage in heat dissipation ability.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lace where the plasma display panel is disposed de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gas charged in the discharge cell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s lowered, thereby causing a plasma discharge delay in the plasma display panel. Here, the discharge delay does not occur during the time period when the plasma discharge is required in the discharge cell, but means that the discharge is delayed.

도 1은 방전지연 현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방전 전류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방전셀에서 요구되는 방전 전류는 제1곡선(G1)이다. 하지만, 방전지연이 발생할 경우 방전전류는 제2곡선(G2)을 갖게 되어, 방전 전류가 일정 시간(Δt)만큼 지연되게 된다. 이러한 방전 지연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이 지나치게 발생하여, 방전셀들에 충전된 방전가스의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더 크게 발생하게 된다.1 schematically shows a discharge delay phenomenon. In the graph of FIG. 1,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discharge current.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discharge current required in one discharge cell is the first curve G1. However, when a discharge delay occurs, the discharge current has a second curve G2, and the discharge current is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Δt.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delay is increased as the heat radiatio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s excessively genera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gas charged in the discharge cells decre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전 지연 현상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ssis assembly for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discharge delay phenomenon is reduced and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도율 이 10W/mK 내지 100W/mK인 섀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ssis assembly for a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a chassis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10W / mK to 100W / mK.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열전도율이 10W/mK 내지 100W/mK 인 섀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sm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gas discharge, and a plasma display device supporting the plasma display panel, the chassis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10W / mK to 100W / mK To provide.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섀시의 열전도율이 50W/mK 내지 100W/mK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is 50 W / mK to 100 W / mK.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섀시는 철(iron)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섀시는 아연도금강판(galvanized iron)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hassis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iron (iron). In this case, the chassis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galvanized iron (galvanized iron).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섀시의 두께는 0.8㎜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chassis is preferably 0.8 mm to 2.0 mm.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섀시 조립체 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섀시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섀시와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hassis assembly or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hassis and reinforcing rigidity of the chassis.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chassis.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00)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섀시(220) 및 보강부재(250)들을 포함하는 섀시 조립체와, 섀시(220)의 전방에 지지되며 가스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 및 섀시(220)의 후방에 지지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구동하는 회로부(230)들을 구비한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200 includes a chassis assembly including a chassis 220 and reinforcing members 250 and a plasma display supported in front of the chassis 220 to implement an image using gas discharge. And a circuit unit 230 supported at the rear of the panel 210 and driving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로서, 교류형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210)의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상판(211)과 이와 평행하게 결합되는 하판(212)을 구비한다. 상판(211)의 전면기판(11) 상에는 유지전극쌍(12)들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전면기판(11)을 통하여 화상이 투사되기 때문에, 전면기판(11)은 유리를 주재료로 한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전극쌍(12)이라 함은 유지 방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전면기판(11) 상에 형성된 한 쌍의 유지전극들(31, 32)을 의미하고, 전면기판(11)에는 이러한 유지전극쌍(12)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각 유지전극쌍(12)은 주사전극(31) 및 공통전극(32)을 구비한다. 또한, 주사전극(31) 및 공통전극(32)의 각각은 투명전극(31a, 32a) 및 버스전극(31b, 32b)을 구비한다. 투명전극(31a, 32a)은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도전체이면서 형광체층(26)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면기판(11)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는 일반적으로 그 저항이 크고, 따라서 투명전극으로만 방전유지전극을 형성하면 그 길이방향으로의 전 압강하가 커서 구동전력이 많이 소비되고 응답속도가 늦어지는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전극의 외측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버스전극(31b, 32b)이 배치된다. 전면기판(11)에 대향하는 배면기판(21) 상에는 어드레스전극(22)들이 단위 방전셀(70)에서 주사전극(31) 및 공통전극(32)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어드레스전극들(22)은 주사전극(31)과 공통전극(32) 간의 유지방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방전이 일어나기 위한 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어드레스방전은 주사전극(31)과 어드레스전극(32) 간에 일어나는 방전으로서, 어드레스방전이 종료되면 주사전극(31) 측에 양이온이 축적되고 공통전극 측에 전자가 축적되며, 이로써 주사전극(31)과 공통전극(32) 간의 유지방전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배치된 한 쌍의 주사전극(31) 및 공통전극(32)과, 이와 교차하는 어드레스전극(22)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이 단위 방전셀(70)로서 하나의 방전부를 형성하게 된다. 전면기판(11) 상에는 유지전극쌍(12)을 매립하도록 전면 유전체층(15)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 유전체층(15)은, 주방전시 인접한 주사전극(31)과 공통전극(32) 간에 직접 통전되는 것과 양이온 또는 전자가 전극(31, 32)들에 직접 충돌하여 유지전극(31, 32)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하를 유도하여 벽전하를 축적할 수 있고, 또한 광투과성이 좋은 유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2 등이 있다. 또한, 전면 유전체층(15)에는 통상 MgO로 된 보호층(16)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층(16)은, 방전시 양이온과 전자가 전면 유전 체층(15)에 충돌하여 전면 유전체층(1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광투과성이 좋고, 방전시 2차전자를 많이 방출한다. 배면기판(21) 상에도 어드레스전극(22)을 매립하도록 배면 유전체층(25)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 유전체층(25)은 방전시 양이온 또는 전자가 어드레스전극(22)에 충돌하여 어드레스전극(22)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하를 유도할 수 있는 유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2 등이 있다. 배면 유전체층(25) 상에는 방전거리를 유지하고 방전셀 사이의 전기적 광학적 크로스토크를 방지하는 격벽(3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30)들의 양 측면과 격벽(30)이 형성되지 않은 배면 유전체층(25)의 전면에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 형광체층(26)들이 도포되어 있다. 도 3에는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방전셀(70)들을 구획하는 매트릭스 형식의 격벽(3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AC three-electrode surface discharge plasma display 210 as an exampl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llustrated in FIG. 2. As show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ncludes an upper plate 211 and a lower plate 212 coupled in parallel thereto. The sustain electrode pairs 12 are disposed on the front substrate 11 of the upper plate 211. At this time, since the image is projected through the front substrate 11, the front substrate 11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mainly composed of glass. The sustain electrode pair 12 means a pair of sustain electrodes 31 and 32 formed on the front substrate 11 to cause sustain discharge, and the sustain electrode pair 12 is attached to the front substrate 11. Are arranged in parall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Each sustain electrode pair 12 includes a scan electrode 31 and a common electrode 32. In addition, each of the scan electrode 31 and the common electrode 32 includes transparent electrodes 31a and 32a and bus electrodes 31b and 32b. The transparent electrodes 31a and 32a ar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is a conductor capable of causing a discharge and does not prev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phosphor layer 26 from advancing to the front substrate 11. tin oxide). However, transparent conductors such as ITO generally have high resistance, and thus, when the discharge sustaining electrode is formed only by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 voltage dro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arge, so that driving power is consumed and the response speed is slow. In order to improve this, bus electrodes 31b and 32b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formed in a narrow width are disposed at the outer end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rear substrate 21 opposite to the front substrate 11, the address electrodes 22 are disposed to intersect the scan electrode 31 and the common electrode 32 in the unit discharge cell 70. The address electrodes 22 are used to generate an address discharge for facilitating sustain discharge between the scan electrode 31 and the common electrode 32. More specifically, the address electrodes 22 lower the voltage for sustain discharge. The address discharge is a discharge occurring between the scan electrode 31 and the address electrode 32. When the address discharge is completed, cations are accumulated on the scan electrode 31 side and electrons are accumulated on the common electrode side, thereby scanning electrode 31. Sustain discharge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32 and the common electrode 32 becomes easier. The space formed by the pair of scanning electrodes 31 and the common electrode 32 and the address electrodes 22 intersecting the same forms a single discharge unit as the unit discharge cells 70. The front dielectric layer 15 is formed on the front substrate 11 to fill the sustain electrode pair 12. The front dielectric layer 15 is directly energiz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31 and the common electrode 32 adjacent to the kitchen and damages the sustain electrodes 31 and 32 by directly impinging cations or electrons on the electrodes 31 and 32. It is possible to induce charge and to accumulate wall charges while preventing light from being formed, and is formed as a dielectric having good light transmittance. Such dielectrics include PbO, B 2 O 3 and SiO 2 . In addition, a protective layer 16 usually made of MgO is formed on the front dielectric layer 15. The protective layer 16 prevents cations and electrons from colliding with the front dielectric layer 15 during discharge, thereby damaging the front dielectric layer 15, having good light transmittance, and emitting a large amount of secondary electrons during discharge. The back dielectric layer 25 is formed on the back substrate 21 so as to fill the address electrode 22. The back dielectric layer 25 is formed as a dielectric that can induce charge while preventing cations or electrons from colliding with the address electrode 22 during discharge and damaging the address electrode 22. Such dielectrics include PbO and B 2. O 3 , SiO 2 and the like. On the back dielectric layer 25, barrier ribs 30 are formed to maintain a discharge distance and prevent electro-optical crosstalk between discharge cells.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phosphor layers 26 are coated on both sides of the barrier ribs 3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dielectric layer 25 in which the barrier ribs 30 are not formed. 3 illustrates a matrix-type partition wall 30 that partitions the discharge cells 7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패널(2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어드레스-디스플레이 분리(address-display separation, ADS) 구동 방식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asma panel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Hereinafter, the driving of the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address-display separation (ADS) driving method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방전은 크게 어드레스 방전과 유지 방전으로 나뉜다. 어드레스 방전은 어드레스전극(22)과 주사전극(32) 간에 어드레스방전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과로 유지방전이 일어날 방전셀(180)이 선택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사전극 에 주사펄스가 인가되고, 어드레스전극(122)에 어드레스 펄스가 인가됨으로써, 어드레스전극과 주사전극 사이에 어드레스방전 전압이 유지된다. 그 후 상기 선택된 방전셀(70)의 주사전극(31)과 공통전극(32) 사이에 유지전압이 교호하게 인가되면, 주사전극(31) 및 공통전극(32)에 쌓여 있던 전자 등의 입자들이 충돌하여 유지 방전을 일으키고, 이 유지방전 시에 여기된 방전가스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이 방전셀(70)들 내에 도포된 형광체(26)를 여기시키는데, 이 여기된 형광체(26)의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이 방출되며, 이 방출된 가시광이 화상을 구성하게 된다.The plasma discharge generated i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s largely divided into address discharge and sustain discharge. The address discharge i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address discharge voltage between the address electrode 22 and the scan electrode 32, and as a result of the address discharge, the discharge cell 180 in which the sustain discharge occurs is selected. In more detail, the scan pulse is applied to the scan electrode and the address pulse is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122, thereby maintaining the address discharge voltage between the address electrode and the scan electrode. Thereafter, when a sustain voltage is alternately applied between the scan electrode 31 and the common electrode 32 of the selected discharge cell 70, particles such as electrons accumulated in the scan electrode 31 and the common electrode 32 are accumulated. It collides to generate sustain discharge, and the energy level of the discharged gas excited during the sustain discharge is lowered to emit ultraviolet rays. The ultraviolet rays excite the phosphors 26 applied in the discharge cells 70. As the energy level of the excited phosphors 26 decreases, visible light is emitted, and the emitted visible light forms an image.

상기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구동될 때,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많은 열이 발생된다. 만일, 발생되는 열이 적절하게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에서 잔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방열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섀시(220)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섀시의 두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나, 박형 및 중량 저감을 위하여, 섀시의 두께는 0.8㎜ 내지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a lot of heat is generated by the plasma discharge. If the generated heat is not proper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afterimage may occur i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Therefore, the chassis 220, which not only serves to structurally support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but also serves as a heat radiating member, is disposed behind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The thickness of the chassis may be various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nd the like. However, in order to reduce thickness and weight, the thickness of the chassis is preferably 0.8 mm to 2.0 mm.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섀시(220) 사이에는 열전도 매체(227)가 개재되어 있다. 열전도 매체(227)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킴으로써 국부적인 열 집중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섀시(220)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한 다. 본 실시예에서, 열전도 매체(227)는 단일 시트의 형상을 가지며, 일 측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에 부착되고, 타 측은 섀시(220)에 부착되는 것이 방열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하지만, 열전도 매체(227)의 형상 및 개재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의 시트들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열전도 매체와 섀시 사이를 이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전도 매체(227)는 열전도율 향상을 위하여, 고열전도율의 그래파이트(graphite) 등과 같은 탄소 계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thermal conductive medium 227 is interposed betwee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and the chassis 220. The heat conducting medium 227 not only removes local heat concentration by dispersing heat generated from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but also transmits heat generated from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to the chassis 220. do. In this embodiment, the heat conducting medium 227 has a shape of a single sheet, one side is attached to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chassis 220 is preferable for heat dissipation. However, the shape and interposition method of the thermally conductive medium 227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disposed separately into a plurality of sheets,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etween the thermally conductive medium and the chassis. In order to improve thermal conductivity, the thermal conductive medium 227 may be formed of carbon-based or silicon such as graphite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본 실시예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섀시(220)는 그것들(210, 220) 사이에 개재되는 양면 테이프(223)들에 의하여 결합되며, 양면 테이프(223)들은 단일 시트의 열전도 매체(227)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and the chassis 220 are joined by double-sided tapes 223 interposed between them 210 and 220, and the double-sided tapes 223 are a single sheet of thermal conductive medium ( 227 is arranged to surroun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구동하는 회로부(230)는, 보스(240)들에 의하여 섀시(220)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는 섀시(220)에 형성된 보스(240)들과 회로부(230)의 관통홀로 삽입된 나사를 체결하여 결합시킨다.The circuit unit 230 for driving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hassis 220 by the bosses 240. In general, the bosses 240 formed in the chassis 220 and the screw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s of the circuit unit 230 are coupled to each other.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회로부(230)들 사이의 전기적 신호 및 전원의 전달을 위하여 신호전달수단이 그것들(210, 230)을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전달수단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272)과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이하 "TCP"라고 함)(271)가 채택되어 있다. 특히, 회로부(230)의 어드레스구동부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전극(22)들 사이에는 TCP(271)가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소자(275)가 실장된 TCP(271)에는 커버 플레이트(260)가 배치되어 전자소자(275)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또한, TCP(271)와 커버 플레이트(260) 사이에는 열전도 시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있고, TCP(271)와 보강부재(250)의 사이에는 열전달을 촉진하고, 전자소자(275)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그리스(미도시)가 삽입되어 있다.Signal transmission means connects them 210 and 230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and power betwee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and the circuit unit 230. In this embodiment,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272 and a tape carrier pack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CP") 271 are adopted as signal transmission means. In particular, the TCP 271 is connected between the address driver of the circuit unit 230 and the address electrodes 22 of the plasma display panel, and the cover plate 260 is provided on the TCP 271 o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275 is mounted. Disposed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element 275 to the outside. A heat conductive sheet (not shown) is inserted between the TCP 271 and the cover plate 260, and heat transfer is promoted between the TCP 271 and the reinforcing member 250 and applied to the electronic element 275. Grease (not shown) is inserted to relieve the compressive force.

섀시(220)의 배면에는 섀시(22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보강부재(250)가 배치되어 있다. 보강부재(250)는 나사(미도시)들에 의하여 섀시(220)에 고정되어 있다. 보강부재(250)들은 회로부(230)와 중첩되지 않고, 회로부(230)들 사이의 회로 연결을 방해하지 않는 부분에 배치된다. 보강부재(250)는 횡단면이 "ㄴ" 또는 "ㄷ" 형상의 다양한 형성을 갖는다. 이러한 보강부재(250)는 섀시(220)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제작 공정을 줄이기 위하여, 섀시(220)와 보강부재(25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재(250)와 섀시(220) 사이의 상이한 열팽창률에 의한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섀시(220)와 보강 부재(250)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ement member 25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hassis 22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hassis 220. The reinforcement member 250 is fixed to the chassis 220 by screws (not shown). The reinforcing members 250 are not overlapped with the circuit portion 230 and are disposed at portion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circuit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portions 230. Reinforcement member 250 has a variety of cross-section "b" or "c" shape. The reinforcement member 250 may be manufactured and coupled separately from the chassis 220, but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chassis 220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25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chassis 220 and the reinforcing member 250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bending due to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between the reinforcing member 250 and the chassis 220.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구동 중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방열시킬 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지나치게 방열될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지연 현상이 발생된다. 즉, 방전셀(70)들에서의 방전이 원하는 시간대에 이루어지지 않고, 원하는 시간보다 늦게 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섀시(220)는 강성을 가짐과 아울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내부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radiates heat while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s driven, the discharge delay phenomenon occurs in the plasma display panel. That is, the discharge in the discharge cells 70 is not made at the desired time period, but is discharged later than the desired time. Therefore, the chassis 220 should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rigidity and appropriately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구동 시에, 방전 지연은 크게 어드레스 방전 구간과 유지 방전 구간에서 발생된다. 다만, 유지 방전 구간에서는 일 방전셀(70)에 배치된 전극들(31, 32)에 다수의 유지 방전 펄스가 인가되는 반면에, 어드레스 방전 구간에서는 일 방전셀의 주사전극(32)과 어드레스전극(22)에 각각 1개의 주사 펄스와 어드레스 펄스가 인가되기 때문에, 어드레스 방전 구간에서 발생하는 방전 지연 형상이 유지 방전 구간에서 발생하는 방전 지연 보다 더 큰 문제가 된다.Whe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s driven, the discharge delay is largely generated in the address discharge period and the sustain discharge period. In the sustain discharge section, however, a plurality of sustain discharge pulses are applied to the electrodes 31 and 32 disposed in the one discharge cell 70, while the scan electrode 32 and the address electrode of the one discharge cell are applied in the address discharge section. Since one scan pulse and one address pulse are applied to 22, the discharge delay shape occurring in the address discharge period becomes a larger problem than the discharge delay occurring in the sustain discharge period.

도 4는 어드레스 방전 구간에 어드레스전극(22)에 인가되는 일 어드레스 펄스에서, 시간에 따른 어드레스전극의 전압(G3)과 방전 전류(G4)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나노초(㎱) 단위의 시간축이고, 좌측 세로축(Y1)은 어드레스 전압을 나타내며, 우측 세로축(Y2)은 방전전류를 나타낸다.4 schematically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voltage G3 of the address electrode and the discharge current G4 over time in one address pulse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22 in the address discharge period.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of FIG. 4 represents a time axis in nanosecond units, the left vertical axis Y1 represents an address voltage, and the right vertical axis Y2 represents a discharge current.

도 4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전극의 전압은 제1시간(t1)에서 제2시간(t2)으로 감에 따라 전압이 제1전압(V1)에서 제2전압(V2)으로 증가한 후에, 제2시간(t2)에서 제3시간(t2)에는 일정 전압(V2=V3)으로 유지된다. 그 후에는 전압은 감소되어, 제4시간(t4)에 최초 전압과 크기가 같은 제4전압(V4)으로 회복된다.As shown in the graph of FIG. 4, as the voltage of the address electrode increases from the first time t1 to the second time t2, after the voltage increases from the first voltage V1 to the second voltage V2. In the second time t2, the third time t2 is maintained at a constant voltage V2 = V3. After that, the voltage is decreased to recover to the fourth voltage V4 having the same magnitude as the initial voltage at the fourth time t4.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되는 일 펄스의 시간, 즉 제1시간(t1)으로부터 제4시간(t4)까지의 시간 간격은 1000㎱이다. 이 때 제1시간(t1)과 제2시간(t2) 사이는 200㎱ 이며, 제2시간(t2)과 제3시간(t3) 사이의 간격은 650㎱, 제3시간(t3)과 제4 시간(t4) 사이의 간격은 150㎱이다.The time of one pulse applied to the address electrode, that is, the time interval from the first time t1 to the fourth time t4 is 1000 ms.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time t1 and the second time t2 is 200 m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time t2 and the third time t3 is 650 ms, the third time t3 and the fourth time. The interval between time t4 is 150 ms.

어드레스 방전시 방전전류는 제1방전시간(s1)에서 발생하여 제2방전시간(s2)에 최대값을 갖고, 제3방전시간(s3)에서 소멸하며, 방전전류의 크기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방전전류의 지속시간은 제1방전시간(s1)과 제3방전시간(s3) 사이인 약 350㎱ 동안에 발생된다.During address discharge, the discharge current occurs at the first discharge time s1, has a maximum value at the second discharge time s2, and disappears at the third discharge time s3, and the magnitude of the discharge current has a convex parabolic shape. Have In addition, the duration of the discharge current is generated for about 350 mA between the first discharge time s1 and the third discharge time s3.

안정적인 어드레스방전을 위하여, 방전전류(G4)는 제2시간(t2)과 제3시간(t3)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시간(t2)과 제3시간(t3) 사이인 650㎱ 중에, 가시광선 발생을 위한 약 350㎱가 확보되어야 한다. 즉, 제2시간(t2)과 제3시간(t3) 사이의 650㎱ 중에서, 방전전류 지속시간인 350㎱를 뺀 시간 이내에 방전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방전지연 시간이 300㎱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고찰로부터, 제1방전시간(s1)과 제2시간(t2) 사이의 시간(ΔD)이 300㎱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는 섀시(220)의 재료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제1방전시간(s1)과 제2시간(t2) 사이의 시간(ΔD)을 편의상 지연 시간이라고 정의한다.For stable address discharge, the discharge current G4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time t2 and the third time t3. Therefore, about 650 kHz for the generation of visible light should be secured during 650 kHz between the second time t2 and the third time t3. That is, since the discharge should be generated within the time of subtracting 350 mA, which is the discharge current duration time, out of the 650 mA between the second time t2 and the third time t3, the discharge delay time should be maintained at 300 ms or less. From this consideration, the material of the chassis 220 should be selected such that the time Δ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time s1 and the second time t2 is kept below 300 ms. Hereinafter, the time Δ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time s1 and the second time t2 is defined as a delay time for convenience.

표 1은 섀시(220)의 열전도율을 다르게 하여, 지연 시간(ΔD)을 측정한 실험 결과이고, 도 5는 표 1의 실험값들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험은 42인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을 온도가 -30℃인 챔버 내에 설치하여 수행되었으며, 이 때 섀시(220)의 두께는 2㎜이고, 열전도 매체(227)는 1.4㎜의 두께를 가지는 카본 시트를 이용하였다. 실험값들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정상 상태(steady state)로 작동중 일 때, 측정되었다. Table 1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measuring the delay time ΔD by chang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220, and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experimental values of Table 1. FIG.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installing a 42-inch plasma display panel 210 in a chamber having a temperature of −30 ° C., wherein the chassis 220 had a thickness of 2 mm and the thermal conductive medium 227 had a thickness of 1.4 mm. Carbon sheet was used. Experimental values were measured whe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was operating in a steady state.

열전도율 (W/mK)Thermal Conductivity (W / mK) 0.020.02 77 1010 1515 5050 7575 100100 150150 200200 지연 시간 (㎱)Delay time (㎱) -60-60 -50-50 100100 120120 150150 160160 175175 320320 460460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20)의 열전도율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 시간(ΔD)이 증가됨을 볼 수 있다. 섀시(220)의 열전도율이 증가하게 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로부터의 방열이 촉진되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온도가 낮게 유지되기 때문에, 지연 시간(ΔD)이 증가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음(-)의 지연 시간(ΔD)은 제1방전시간(s1)이 제2시간(t2) 보다 먼저 발생한 것을 나타내며, 이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과방전을 일으킨다. 과방전은 섀시의 열전도율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못하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온도가 적정값 이상으로 상승되기 때문에 발생한다.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delay time ΔD increases a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220 increases. Whe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220 is increased, since the heat radiation from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s promo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is kept low, the delay time ΔD is increased. In this case, the negative delay time ΔD indicates that the first discharge time s1 occurs earlier than the second time t2, and in this case,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causes overdischarge. Overdischarge occurs because the heat generated in the plasma display panel is not effectively released whe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is too low,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rises above an appropriate value.

도 5를 참조하면, 제1방전시간(s1)과 제2시간(t2) 사이의 시간(ΔD)이 0 내지 300㎱로 유지되어야 하므로, 섀시(220)의 열전도율이 100W/mK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섀시(220)의 열도전율이 100W/mK을 초과할 경우, 지연시간(ΔD)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람직한 방전 특성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연 시간(ΔD)이 0㎱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섀시(220)의 열전도율이 10W/mK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전지연 및 과방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섀시(220)의 열전도율은 10W/mK 내지 100W/mK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지연시간(ΔD)이 50W/mK 내지 100W/mK에서 상대적으로 비슷한 값들을 가지는 바, 플라즈마 방 전 안정성을 위하여 섀시(220)의 열전도율이 50W/mK 내지 100W/mK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since the time Δ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time s1 and the second time t2 should be maintained at 0 to 300 mW,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220 is preferably 100 W / mK or less. . In particular, whe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220 exceeds 100W / mK, since the delay time DELTA D increases rapidly, it is difficult to obtain desirabl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overdischarg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since the delay time DELTA D should be 0 ms or mor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220 is preferably 10 W / mK or mor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ischarge delay and overdischarg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220 is preferably 10W / mK to 100W / mK. However, since the delay time ΔD has relatively similar values at 50 W / mK to 100 W / mK,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hassis 220 is more preferably 50 W / mK to 100 W / mK for plasma discharge stability.

특히, 상기 실험에서 섀시(220)를 열전도율이 약 65W/mK인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형성된 것으로 사용할 경우, TCP(271)에 인접한 부분에서 측정된 온도가 일반적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섀시를 사용할 때보다 약 10℃ 증가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곧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된 섀시가 전체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한다는 것을 증명해준다.In particular, when the chassis 220 is formed of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about 65 W / mK in the above experiment, the temperature measured at the portion adjacent to the TCP 271 is about less than that of a chassis made of general aluminum. It was measured to increase by 10 ° C. This proves that chassis made of materials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maintain high temperatures throughout.

열전도율이 10W/mK 내지 100W/mK 이하인 재료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데, 강성 및 비용 등에 있어서 철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철을 포함하는 소재로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아연도금강판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아연도금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비용 및 제작 용이성을 고려할 때,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한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 또는 용융아연도금강판(hot dip galvanized iron)을 포함하는 소재로 섀시(220)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도금강판의 경우, 열전도율이 약 65W/mK인 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저온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구동될 때에도 적절한 열전도율을 가지며, 환경유해성에 있어서도 안전성이 확보된 소재이다. 특히,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경우, 아연도금층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부식 방지에 있어서 좋은 특성을 가진다. The material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10 W / mK to 100 W / mK or less may be selected in various ways.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iron in rigidity and cost. In particular, the material containing iron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a galvanized steel sheet to prevent corrosion. At this time, the galvanizing can be carried out in a variety of ways, preferably considering the cost and ease of manufacture, electrolytic galvanized iron or hot dip galvanized iron (hot dip galvanized iron) using an electrical method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the chassis 220 from the material containing. In the case of a galvanized steel sheet, the thermal conductivity is about 65 W / mK. Thus, the plasma display panel has a proper thermal conductivity when the plasma display panel is driven at a high temperature as well as at a low temperature, and is a material having safety in environmental hazard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since the thickness of the galvanized layer is thick, it has good characteristics in preventing corrosion.

또한,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하여 섀시(220)를 형성할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진동 및 소음이 감소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when the chassis 220 is formed using the galvanized steel sheet, vibration and noise of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200 are reduc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이 플라즈마 방전을 하기 때문에, 방전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섀시(220)에 전달되고, 상기 진동 및 소음은 2차적으로 회로부(230)의 전자기적 소음 특성과 조화되어 소음이 증폭된다. 만일 적정값 이상의 소음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의 불만 요소가 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음 저감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Since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performs plasma discharg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during discharge are transmitted to the chassis 220, and the vibration and noise are secondarily harmonized with electromagnetic noise characteristics of the circuit unit 230. It is amplified. If noise above an appropriate value is generated, it is a dissatisfaction factor of the user, so a noise reduction method of the plasma display panel should be devised.

그런데, 상기 진동 및 전자기적인 특성에 의해 발생된 소음은 음향에너지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음향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예로서 음향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흡음재 등을 많이 사용하지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10)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이 밀도가 큰 소재로 구성된 섀시(22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향에너지를 감소시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However, the noise generated by the vibration and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may be expressed as acoustic energy, and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the noise may be reduced by converting the acoustic energy into another form of energy. As a representative example for reducing noise, sound absorbing materials for converting acoustic energy into thermal energy are used, but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in the plasma display panel 210 are transmitted to the chassis 220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density. Noise can be reduced by reducing energy.

일반적으로 매질의 면밀도와 고유 주파수에 따른 소음의 투과 손실(Transmission Loss)은 다음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매질 재료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투과손실이 커지므로, 소음 및 진동의 전달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매질을 통한 소음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In general, the transmission loss of noise according to the surface density of the medium and the natural frequency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Referring to Equation 1, as the density of the medium material increases, the transmission loss increases, so that the transmission of noise and vibration is reduced, and as a result, the noise through the medium is reduced.

TL=18 log mf - 44[dB]TL = 18 log mf-44 [dB]

m: 매질의 면밀도[㎏/㎡]m: surface density of the medium [kg / m 2]

f: 주파수[Hz]f: frequency [Hz]

상기와 같은 이론적 근거를 가지고, 섀시(220)의 재질을 변화시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소음을 측정하였다. 섀시에 따른 소음의 측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마이크 센서를 이용하여 SPL값을 측정하였으며, 종래의 알루미늄 계열의 섀시와 비교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본 실험에서는, 종래의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형성된 섀시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적용한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형성된 섀시에서의 소음값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표 2를 참조하면,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형성된 섀시에서 소음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아연도금강판의 면밀도가 커서, 소음의 투과 손실이 크기 때문이다.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basis, the noise of the plasma display apparatus 200 was measured by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chassis 220. In the nois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chassis, the SPL value was measured using a microphone sens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luminum chassis are shown in Table 1. In this experiment, the noise values in the chassis formed using a conventional aluminum and the chassis formed of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appli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ared and measured. 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oise is reduced in the chassis formed of the galvanized steel sheet, because the surface density of the galvanized steel sheet is large, the transmission loss of the noise is large.

알루미늄aluminum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 Galvanized Steel Sheet 비고Remarks 전방(dB) Front (dB) 26.3 26.3 25.3 25.3 5개의 실험값의 평균값Average of five experimental values 후방(dB) Rear (dB) 31.5 31.5 27.8 27.8

다만, 본 발명에서는 철을 포함하는 아연도금강판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섀시가 제조될 수 있다. 표 3은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3가지 알루미늄 합금의 열전도율을 보여 준다. 3가지 모두 열전도율이 10W/mK 내지 100W/mK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4는 본 발명에 이용 가능한 저 탄소강, 중 탄소강 및 고 탄소강의 열전도율을 보여 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섀시에 이용되는 알루미늄 합금 및 탄소강은 표 1 및 표 2에 열거된 알루미늄 합금 및 탄소강에 한정되지 않 는다. 그 이외에 섀시(220)는 스테인리스 스틸, 산화 알루미늄, 카본 실리콘, 티타늄, 지르코늄(zirconium), 구리, 코발트, 팔라듐, 탄소 섬유, 흑연 섬유, 유리 섬유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재 및 이들의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galvanized steel sheet containing iron, the chassis can be manufactured using a variety of materials. Table 3 show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ree aluminum alloys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all three have thermal conductivity of 10 W / mK to 100 W / mK. In addition, Table 4 show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low carbon steel, medium carbon steel and high carbon steel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aluminum alloy and carbon steel used in the chassi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luminum alloy and carbon steel listed in Tables 1 and 2. In addition, the chassis 220 uses a variety of materials and composites thereof, including stainless steel, aluminum oxide,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copper, cobalt, palladium, carbon fiber, graphite fiber, glass fiber, and the like. Can be formed.

[표 3]알루미늄 합금에 따른 열전도율[Table 3] Thermal conductivity according to aluminum alloy

명칭designation 열전도율 (W/mK)Thermal Conductivity (W / mK) MMCC Al/Al2O3 (Continuous Fiber Aluminum Matrix Composite)MMCC Al / Al 2 O 3 (Continuous Fiber Aluminum Matrix Composite) 8080 MMCC Al/Al2O3 (Short Fiber Aluminum Matrix Composite)MMCC Al / Al 2 O 3 (Short Fiber Aluminum Matrix Composite) 100100 MMCC Al/Al2O3 (Particulate Aluminum Matrix Composite)MMCC Al / Al 2 O 3 (Particulate Aluminum Matrix Composite) 5555

[표 4] 탄소강의 종류에 따른 열전도율[Table 4] Thermal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carbon steel

철 함유량 (중량%)Iron content (% by weight) 탄소 함유량 (중량%)Carbon content (wt%) 열전도율 (W/mK)Thermal Conductivity (W / mK) 저 탄소강 (low carbon steel)Low carbon steel 99.11 - 99.5699.11-99.56 0.14 - 0.230.14-0.23 51.951.9 중 탄소강 (medium carbon steel)Medium carbon steel 98.46 - 99.1398.46-99.13 0.27 - 0.550.27-0.55 51.951.9 고 탄소강 (high carbon steel)High carbon steel 98.38 - 98.9598.38-98.95 0.55 - 1.030.55-1.03 46.646.6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열전도율이 10W/mK 내지 100W/mK인 섀시에 의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지연 현상이 억제된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과방전이 방지된다.In the plasm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asma display panel is operated within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by a chassis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10 W / mK to 100 W / mK, the discharge delay phenomenon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s suppressed. In addition, overdischarge of the plasma display panel is prevented.

특히, 섀시가 아연도금강판으로 형성될 경우,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강성이 우수하고, 소음을 절감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hassis is formed of a galvanized steel sheet, not only can the cost be reduced, but the rigidity is excellent, and the noise is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5)

아연도금강판, MMCC Al/Al2O3, 또는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섀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A chassis assembly for a plasm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hassis compris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alvanized steel, MMCC Al / Al2O3, or carbon ste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섀시는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And said chassis is formed of a material comprising an electrolytic galvanized ir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섀시는 용융아연도금강판(hot dip galvanized iron)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And the chassis is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a hot dip galvanized ir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섀시의 두께는 0.8㎜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Chassis assembly for a plasm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chassis is 0.8mm to 2.0m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섀시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And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hassis, the reinforcing member reinforcing rigidity of the chassis.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섀시와 상기 보강부재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And the chassis and the reinforcing member are integra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섀시와 상기 보강부재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 섀시 조립체.And the chassis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기체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A plasma display panel which displays an image using gas discharge; And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며, 아연도금강판, MMCC Al/Al2O3, 또는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섀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chassis supporting the plasma display panel, the chassis includ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galvanized steel sheet, MMCC Al / Al2O3, or carbon ste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섀시는 전기아연도금강판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hassis is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an electrogalvanized steel shee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섀시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hassis is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a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섀시의 두께는 0.8㎜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The thickness of the chassis is a plasm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0.8mm to 2.0mm.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섀시 사이에 개재되는 열전도매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heat conducting medium interposed between the plasma display panel and the chassis.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열전도 매체는 탄소 계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thermally conductive medium is formed of a carbon-based or silicon-containing material.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열전도 매체의 일 면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one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medium is attached to the plasma display panel.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열전도 매체의 일 면은 상기 섀시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one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medium is attached to the chassis.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열전도 매체는 단일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said thermally conductive medium is a single shee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섀시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섀시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a reinforcing memb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hassis and reinforcing rigidity of the chassis.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섀시와 상기 보강부재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hassis and the reinforcing member are integrated. 제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섀시와 상기 보강부재는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hassis and the reinforcing member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KR1020040116917A 2004-02-09 2004-12-30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0683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17A KR100683746B1 (en) 2004-12-30 2004-12-30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05013106A JP4148523B2 (en) 2004-02-09 2005-01-20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EP05090017A EP1562216B1 (en) 2004-02-09 2005-02-02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DE602005024635T DE602005024635D1 (en) 2004-02-09 2005-02-02 Frame for plasma scoreboard and plasma scoreboard
CNA2005100542006A CN1674057A (en) 2004-02-09 2005-02-08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052,192 US20050174054A1 (en) 2004-02-09 2005-02-08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917A KR100683746B1 (en) 2004-12-30 2004-12-30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618A KR20060078618A (en) 2006-07-05
KR100683746B1 true KR100683746B1 (en) 2007-02-15

Family

ID=3717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917A KR100683746B1 (en) 2004-02-09 2004-12-30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74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138A (en) 1996-12-24 1998-09-11 Matsushita Electron Corp Plasma display device
KR20010019674A (en) * 1999-08-30 2001-03-15 구자홍 Radiat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KR20020086785A (en) * 2001-05-11 2002-11-2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lasma Display Device
JP2003031980A (en) 2001-07-13 2003-01-31 Mochida Shoko Kk Heat dissipation sheet and pdp panel
KR20030016498A (en) * 2001-08-20 2003-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US6534722B2 (en) 2001-05-24 2003-03-18 Pioneer Corporation Flat panel type display apparatus
KR20050106168A (en) * 2004-05-04 2005-11-09 일동화학 주식회사 Heat-radiaton shee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138A (en) 1996-12-24 1998-09-11 Matsushita Electron Corp Plasma display device
KR20010019674A (en) * 1999-08-30 2001-03-15 구자홍 Radiat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KR20020086785A (en) * 2001-05-11 2002-11-20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lasma Display Device
US6534722B2 (en) 2001-05-24 2003-03-18 Pioneer Corporation Flat panel type display apparatus
JP2003031980A (en) 2001-07-13 2003-01-31 Mochida Shoko Kk Heat dissipation sheet and pdp panel
KR20030016498A (en) * 2001-08-20 2003-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KR20050106168A (en) * 2004-05-04 2005-11-09 일동화학 주식회사 Heat-radiaton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8618A (en)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8523B2 (en)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US7791279B2 (en) Flexible plasma display panel assembly incorporting base members coupled with connection members for supporting the flexible panel assembly
KR100751327B1 (en) Chassis base assembly and the flat display device applying the same
KR100759553B1 (en) Plasma display module
KR100669699B1 (en) Plasma display device
JP2005099734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heat radiation sheet
KR100683746B1 (en) Chassis assembly for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745657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hermally conductive layer and a noise reduction layer
US20060152159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70228957A1 (en) Plasma display modul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92864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incorporating combined heatproof and vibration damping sheet attached to driving circuit substrate
KR20050080237A (en) Plasma display device
KR20080078408A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03290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heat-radiating structure
KR100696495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685315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83733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615207B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708656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669755B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626053B1 (en) Plasma display module
JP2002117770A (en) Gas discharge panel substrate and gas discharge panel
JP2005332742A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70075847A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20070110649A (en) Panel of plasma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