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059B1 - 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 - Google Patents

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059B1
KR100683059B1 KR20040078473A KR20040078473A KR100683059B1 KR 100683059 B1 KR100683059 B1 KR 100683059B1 KR 20040078473 A KR20040078473 A KR 20040078473A KR 20040078473 A KR20040078473 A KR 20040078473A KR 100683059 B1 KR100683059 B1 KR 10068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guide rail
rail member
spring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8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9496A (en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텔
한 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2004007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059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텔, 한 상 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텔
Priority to EP05726803A priority patent/EP1721390A1/en
Priority to BRPI0507769-9A priority patent/BRPI0507769A/en
Priority to PCT/KR2005/000389 priority patent/WO2005091515A1/en
Priority to JP2006553055A priority patent/JP2008502175A/en
Priority to US10/589,010 priority patent/US7542788B2/en
Priority to CN2005800072776A priority patent/CN1930787B/en
Publication of KR2006002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4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059B1/en
Priority to US12/245,878 priority patent/US20090029748A1/en
Priority to US12/245,901 priority patent/US2009002974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한쌍의 토션스프링들의 일단을 선회되는 링크의 양단에서 각각 회전되게 고정함에 의하여 두 토션스프링들의 탄성력의 균형구간에서 유발되는 사점을 최소화하여 슬라이딩시 멈춤현상을 제거하고 작동거리를 증대할 수 있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체인 가이드레일부재;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와 상호 직선방향의 활주운동이 가능하게 계합된 슬라이드부재;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고, 각각 일측 고정팔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 및 슬라이드부재 중 어느 일측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제자리 선회되게 고정되고 타측 가변팔은 상기 슬라이드부재 및 가이드레일부재 중 어느 타측의 중앙부위에서 그 지지점이 이동하도록 고정되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 또는 가이드레일부재의 중앙부위에 링크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링크축의 양측으로 상기 가변팔들이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와 슬라이드부재의 활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가변팔들의 지지점을 이동시키는 가변링크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The disclosed contents are fixed by rotating one end of a pair of torsion springs at both ends of the pivoting link, respectively, to minimize the dead point caused by the balance section of the elastic force of the two torsion springs, thereby eliminating the stoppage during sliding and increasing the operating distanc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This invention is a guide rail member that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like body; A slide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 to allow a sliding movement in a linear direction; A coil part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ends of the coil part, each fixing arm being pivotally fixed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either one of the guide rail member and the slide member, and the other variable arm being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fixed to move the support points at the center of any other side of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link shaft fix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slide member or the guide rail member, and the variable arms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link shaf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orsions slide along the guide rail member and the slide member. It is implemented including a variable link for moving the support points of the variable arms of the spring.

슬라이딩 장치, 무선통신 단말기, 휴대폰, 핸드폰, 토션스프링, 가변링크Sliding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mobile phone, torsion spring, variable link

Description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numerals designate corresponding parts in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liding switch;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토션스프링의 고정단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2a and 2b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 fixed structure of the fixed end of the conventional torsion spring,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구성 및 구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고, 3a to 3c are explanatory view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implementation principle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the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토션스프링의 고정팔의 고정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및 저면도이고, 4a an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in detail the fixing structure of the fixing arm of the torsion sp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과 도 1에 예시된 기존 장치에서의 토션스프링의 운동괘적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들이고, 5a to 5c are views showing the motion routine of the torsion sp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device illustrated in FIG.

도 6은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본 발명에서 링크부분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link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ures 3a to 3c,

도 7a 및 도 7b는 도 6이 적용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고, 7A and 7B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to which FIG. 6 is applied;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그 분해사시도이고, 8a and 8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그 분해사시도이고, 9a and 9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the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그 분해사시도이고, 10a and 10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그 분해사시도이고, 11a and 11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the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가변링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ariable link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앞서 예시한 토션스프링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린더형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ylindrical spring that can be used in place of the torsion spring exemplified above,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채용된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14a and 14b are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spring employed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0~100d : 가이드레일부재 110 : 장공100 ~ 100d: guide rail member 110: long hole

112 : 안내홈 120~120d,130~130d : 가이드바112: guide groove 120 ~ 120d, 130 ~ 130d: guide bar

140~140d,150~150d : 안내턱 200~200d : 슬라이드부재140 ~ 140d, 150 ~ 150d: Guide jaw 200 ~ 200d: Slide member

220~220d : 결합손 222 : 가이드홈220 ~ 220d: Joining hand 222: Guide groove

224 : 레일 300~300d : 제1토션스프링224: Rail 300 ~ 300d: First Torsion Spring

310~310d : 코일부 320~320d : 고정팔310 ~ 310d: Coil part 320 ~ 320d: Fixed arm

330~330d : 가변팔 400~400d : 제2토션스프링330 ~ 330d: Adjustable arm 400 ~ 400d: Second torsion spring

410~410d : 코일부 420~420d : 고정팔410 ~ 410d: Coil part 420 ~ 420d: Fixed arm

430~430d : 가변팔 500~500e : 가변링크430 ~ 430d: Variable Arm 500 ~ 500e: Variable Link

510 : 링크축 520 : 선회안내돌기510: link axis 520: turning guide protrusion

522 : 제1경사면 524 : 제2경사면522: first slope 524: second slope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 슬라이딩 개폐방식을 채용한 각종 기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쌍의 토션스프링들의 일단을 선회되는 링크의 양단에 각각 회전되게 고정함에 의하여 두 토션스프링들의 탄성력의 균형구간에서 유발되는 사점을 최소화하여 슬라이딩시 멈춤현상을 제거하고 작동거리를 증대할 수 있게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is applied to various devices employ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method,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wo torsions by fixing one end of a pair of torsion springs to be rotated at both ends of the link to be rot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which minimizes the dead point caused by the balance period of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s, thereby eliminating the stoppage phenomenon and increasing the working distance.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타입 휴대형 단말기는 본체와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된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형 단말기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999-0073913호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대한 민국 특허공개번호 2002-0074870호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2001-0000622호 "이중 슬라이드 핸드폰", 그리고 미국특허번호 6,073,027호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Sliding Cover and Automatic Antenna Extension" 등이 있다. 이들 종래의 슬라이드 모듈은 각각 저마다의 독자적인 슬라이딩 방식을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general, the slide-type portable terminal consists of a main body and a cover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such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includ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73913, "Sliding Type Mobile Phon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74870, "Slide Type Mobile Phone Using Slide Modul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 -0000622, "Dual Slide Cell Phone", and US Patent No. 6,073,027,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Sliding Cover and Automatic Antenna Extension." Each of these conventional slide modules is configured to realize their own unique sliding method.

특허공개번호 1999-0073913호는 가이드홈과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슬라이드 방식을 제안한다. 실용신안공개번호 2001-0000622호는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슬라이드 방식을 제안한다. 그리고 특허공개번호 2002-0074870호는 받침판에 지지된 슬라이드부재와 이 슬라이드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판, 그리고 판스프링 등을 이용한 특수한 구조의 슬라이드 방식을 제안한다. 미국특허번호 6,073,027호는 래치와 래치캐취(latch catch) 및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커버를 텐션스프링을 이용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하우징에 연결하여 커버를 여닫는 슬라이드방식을 제안한다. Patent Publication No. 1999-0073913 proposes a slide method using a guide groove and a guide rail.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0000622 proposes a slide method using a rack and pinio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74870 proposes a slide structure of a special structure using a slide member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a guide plate formed with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slide member, and a leaf spring. US Patent No. 6,073,027 proposes a slide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a cover by slidably connecting a cover having a latch, a latch catch, and an actuator to the housing by a tension spring.

그런데, 이 종래기술들의 슬라이드 방식은 공히 별도의 이동력 제공수단을 갖추지 않아서, 사용자가 밀어 올리거나 밀어내리는 만큼만 슬라이드 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어 한 번의 이동거리가 짧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단일의 슬라이딩구조에 의존하여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구조가 손상받기 쉽고, 그에 따라 본체로부터 덮개가 쉽게 이탈되는 등 내구성이 취약하였다. However, the slide method of the related arts does not have a separate moving force providing means, so that the user can move the slide cover only as long as the user pushes up or pushes down.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mobile phone are coupled to depend on a single sliding structure, the sliding structure is susceptible to damage by external force, and thus, the cover is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이에, 본 출원인은 한쌍의 토션스프링을 이용하여 슬라이딩작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다.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가이드레일부재(10)와, 이 가이드레일부재(10) 상에서 활주하는 슬라이드부재(20) 및, 이 슬라이드부재(20)의 활주를 돕는 제1,제2 토션스프링(30,40)을 구비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d applied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providing a sliding operation force using a pair of torsion springs.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1,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guide rail member 10, a slide member 20 sliding on the guide rail member 10, and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 and 40 are provided to assist the slide member 20 in sliding.

가이드레일부재(10)는 직사각형 판재(12)의 마주보는 평행한 양측면을 따라서 제1 및 제2 가이드바(14a,14b)가 장착되어 있고, 이 제1 및 제2 가이드바(14a,14b)와 마주보고 있는 직사각형 판재(12)의 양측면에는 제1 및 제2 안내턱(16a,16b)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0)는 가이드레일부재(10)에서 직선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부재(10)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활주결합손(22a,22b)을 그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하고 있다. 이 제1활주결합손(22a)은 제1가이드바(14a)가 관통하는 제1가이드홈(24a)과 제1안내턱(16a)에 요철결합하는 제1레일(26a)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활주결합손(22b)도 제2가이드바(14b)가 관통하는 제2가이드홈(24b)과 제2안내턱(16b)에 요철결합하는 제2레일(26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이드바(14a,14b)와 제1 및 제2 가이드홈(24a,24b)의 결합에 의해 활주안내되는 동시에 제1 및 제2 안내턱(16a,16b)과 제1 및 제2 레일(26a,26b)의 결합에 의해 직진안내성을 보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안내턱(16a,16b)과 제1 및 제2 레일(26a,26b)은 연속된 직선형태의 요철로서 맞물려 있고, 주행시 요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주행안내가 되도록 유격이 작게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20)에 비해 상당히 긴 직사각형 판형태의 가이드레일부재(10)가 약간의 휘어짐이나 비틀림이 발생한 경우 제1 및 제2 안내턱(16a,16b)에 제1 및 제2 레일(26a,26b)이 꽉 끼여 활주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he guide rail member 10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4a and 14b along opposite parallel sides of the rectangular plate 12,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4a and 14b. First and second guide jaws 16a and 16b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ectangular plate 12 facing each other. The slide member 20 has first and second slide engaging hands 22a and 22b coupl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 at both edges thereof so as to slide in the linear direction in the guide rail member 10. . The first slide coupling hand 22a includes a first guide groove 24a through which the first guide bar 14a penetrates, and a first rail 26a that is unevenly coupled to the first guide jaw 16a. The two slide coupling hands 22b also include a second guide groove 24b through which the second guide bar 14b penetrates, and a second rail 26b unevenly coupled to the second guide jaw 16b.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guide jaws 16a and 16b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4a and 14b are sli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4a and 24b. And the linear guides are reinforc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rails 26a and 26b.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jaw (16a, 16b) and the first and second rails (26a, 26b) are engaged with a continuous straight line unevenness, the play is to be a stable driving guide to prevent the shaking during driving It is made small. Therefore, the guide rail member 10, which is considerably longer than the slide member 20, is slightly curved or twisted 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jaws 16a and 16b. 26a, 26b) is a tight pinch will not be the problem.

한편, 한쌍의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40)은 각각 중앙의 코일부(32,42)로부터 양쪽으로 한쌍의 팔(34a,34b,44a,44b)이 뻗어나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40)은 일단은 가이드레일부재(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드부재(20)에 고정되어 상호 활주시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레일부재(10)의 대략 중간부위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약간 어긋나게 제1 및 제2 결합공들(18a,18b)이 형성되고, 이 제1 및 제2 결합공들(18a,18b)에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40)의 일측 팔(34a,44a)의 단부가 각각 제자리에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된다. 나머지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40)의 타측 팔(34b,44b)의 단부는 슬라이드부재(20)의 대략 중앙부위에서 서로 엇갈린 지점에 제자리 선회가능하게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 and 40 ar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a pair of arms 34a, 34b, 44a and 44b extend from both the central coil portions 32 and 42, respectively. .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 and 40 is fix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lide member 20 to provide a driving force when sliding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8a and 18b are formed on both side edges of the approximately intermediate portion of the guide rail member 10 slightly shift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holes 18a and 18b are formed. ) End portions of one arm 34a, 44a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 40 are pivotally fixed in place, respectively. End portions of the other arms 34b and 44b of the remaining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 and 40 are rotatably fixed in place at positions intersected with each other at approximately a central portion of the slide member 20.

이러한 토션스프링(30,40)의 결합구조에 의해, 가이드레일부재(10)와 슬라이드부재(20)가 서로 활주하면 토션스프링(30,40)은 둔각인 양팔(34a,34b,44a,44b)이 예각으로 압축되었다가 복원력에 의해 다시 둔각으로 펼쳐지면서 두 부재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레일부재(10)의 대략 중간구간에서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40)이 힘의 균형을 이룸으로써 슬라이드부재(20)가 상단으로도 하단으로도 이동하지 않고 멈추는 정지구간, 즉 사점이 발생하게 된다.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정지지점이 최상위 지점과 최하위 지점에만 설 정되어 있는데, 위와 같은 사점으로 인해 이러한 정지지점이 아닌 곳에서 정지하는 작동에러(error)가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의 기존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사점구간이 비교적 넓어 작동상에 문제가 있었으며, 토션스프링의 팔들이 제자리에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활주(슬라이딩)거리가 짧은 단점도 있었다.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orsion springs 30 and 40, when the guide rail member 10 and the slide member 20 slide with each other, the torsion springs 30 and 40 are obtuse arms 34a, 34b, 44a, and 44b. Compressed at this acute angle and then unfolded at an obtuse angle by the restoring force, the two members move from top to bottom and from bottom to top. At this time, in the substantially intermediate section of the guide rail member 10,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 and 40 balance the power, so that the slide section 20 stops without moving upward or downward. That is, dead points occur. Sliding switchgear is a stop point is set only at the highest point and the lowest point, the operation point (stop) that stops at the non-stop point due to the dead point as described above. Existing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above structure has a problem in operation because the dead point section is relatively wide,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that the slide (sliding) distance is short because the arms of the torsion spring is fixed to be in place.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토션스프링의 고정단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가이드레일부재와 슬라이드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양팔들의 결합구조는 동일하므로 대표로 하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2A and 2B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 fixing structure of a fixed end of a conventional torsion spring. Sinc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arms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that are pivotally fixed to the guide rail member and the slide member is the same, one example will be described.

종래의 토션스프링 고정단의 결합구조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30)의 고정팔(34a)의 직경보다 큰 원형의 결합공(18a)을 가이드레일부재(10)에 천공하고, 이곳으로 고정팔(34a)을 삽입한 후 가이드레일부재(10)의 배면에서 고정팔(34a)의 단부(36a)를 절곡시켜 이탈이 되지 않도록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토션스프링은 가이드레일부재와 슬라이드부재의 활주작동시 고정팔(34a)의 선회과정에서 직경보다 큰 원형 결합공(18a)을 타고 위치가 변동되면서 돌아다니므로 상당한 마찰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소음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피로도를 증가시켜 수명을 격감시키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또한, 작은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구조상 토션스프링의 팔들을 원형 결합공들로 통과시켜 그 배면에서 절곡시키는 작업이 어려워 조립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The conventional coupling structure of the torsion spring fixed end drills a circular coupling hole 18a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arm 34a of the torsion spring 30 in the guide rail member 10, as shown in FIGS. 4A and 4B. After inserting the fixing arm 34a into this, the end 36a of the fixing arm 34a is bent at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rail member 10 so as not to be separated. Thus, the combined torsion springs move around while the guide rail member and the slide member slide around the circular coupling hole 18a larger than the diameter dur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fixed arm 34a. In addition to the noise caused by the increase in the fatigue of the spring was revealed a problem of reducing the life.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mall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the arm of the torsion spring through the circular coupling holes it is difficult to bend at the back there was also a disadvantage in poor assemb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한쌍의 토션스프링들의 일단을 선회되는 링크의 양단에 각각 회전되게 고정함에 의하여 두 토션스프링들의 탄성력의 균형구간에서 유발되는 사점을 최소화하여 슬라이딩시 멈춤현상을 제거하고 작동거리를 증대할 수 있게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the dead point caused in the balance section of the elastic force of the two torsion springs by fixing one end of the pair of torsion springs to be rotated respectively at both ends of the pivoting link It is to provide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shaft to minimize the stop phenomenon when sliding to increase the working distan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면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체인 가이드레일부재;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와 상호 직선방향의 활주운동이 가능하게 계합된 슬라이드부재;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일측 고정팔의 고정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우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가변팔의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토션스프링;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일측 고정팔의 고정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좌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가변팔의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우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토션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중간위치에 그 중심부가 링크축으로 회전가능케 고정되며, 좌측 에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고정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에는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고정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단부들이 위치가 이동하면서 선회되게 결합하는 가변링크를 포함한다.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guide rail member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like body; A slide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 to allow a sliding movement in a linear direction; A coil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at predetermined ends from both ends of the coil, and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fixed end of one fixed arm is located near the right edge of the guide rail member. The first torsion spring is coupled and the fixed end of the other variable arm is movably coupled within the lef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A coil part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from each end of the coil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fixed end of one fixing arm is located near the left edge of the guide rail member. A second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fixed end of the other variable arm to be movable in the righ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And a center thereof is rotatably fixed to a link shaft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lide member, and a fixed end of the variable arm of the first torsion spring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eft side and fixed to the variable arm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on the right side. A stage is rotatably coupled, and includes a variable link for engaging the ends of the variable arms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to pivot as the position mov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면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체인 가이드레일부재;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와 상호 직선방향의 활주운동이 가능하게 계합된 슬라이드부재;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일측 고정팔의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우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가변팔의 고정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좌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토션스프링;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일측 고정팔의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가변팔의 고정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우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토션스프링;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중간위치에 그 중심부가 링크축으로 회전가능케 고정되며, 좌측에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고정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에는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고정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단부들이 위치가 이동하면서 선회되게 결합하는 가변링크를 포함한다.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guide rail member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like body; A slide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 to allow a sliding movement in a linear direction; A coil part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at predetermined ends from both ends of the coil part,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fixed end of one fixing arm is coupled near the right edge of the slide member. And the fixed end of the other variable arm comprises: a first torsion spring movably coupled within a left half region of the guide rail member; A coil part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at predetermined ends from both ends of the coil part,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fixed end of one fixing arm is coupled near the left edge of the slide member. And a fixed end of the other variable arm comprises a second torsion spring movably coupled within a right half region of the guide rail member;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rail member is rotatably fixed to the link shaft, and a fixed end of the variable arm of the first torsion spring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eft side and a variable arm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to the right side of the guide rail member. The fixed end is pivotally coupled, and includes a variable link for engaging the ends of the variable arms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to be pivoted as the position move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구성 및 구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다. 3A to 3C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implementation principle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재(100)에는 슬라이드부재(200)가 활주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레일부재(100)와 슬라이드부재(200) 사이에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이 개재되어 활주운동력을 제공한다. 즉,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은 중앙부의 코일부(310,410)로부터 한쌍의 팔들(320,330,420,430)이 뻗어나가서 둔각을 이루고 있는데, 그들의 일측 팔(320,420)은 가이드레일부재(100)에 고정되고, 그들의 타측 팔(330,430)은 슬라이드부재(200)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부재(100)와 슬라이드부재(200)가 상호 활주운동을 개시하면 그 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팔들(320,330,420,430)이 예각으로 압축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둔각)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은 압축종점을 넘어서면 팽창복원하면서 주행방향의 종착지점까지의 이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As shown, the slide member 200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0.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rail member 100 and the slide member 200 to provide a sliding motion force.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form an obtuse angle by extending a pair of arms 320, 330, 420, and 430 from the coil parts 310 and 410 in the center, and their one arm 320 and 420 are fix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0. The other arms 330 and 430 are fixed to the slide member 200 so that when the guide rail member 100 and the slide member 200 start to slide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positioned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The arms 320, 330, 420 and 430 are compressed at an acute angle and then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obtuse angl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provide a moving force to the destination point in the driving direction while expanding and restoring beyond the compression end point.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폰 등의 슬라이딩메카니즘 채용 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폭을 작게 하고 활주거리를 크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부재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팔의 단부 가 활주방향과 평행한 폭방향의 중심선에 대하여 반대쪽으로 넘어서서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엇갈리게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가이드레일부재 상에서 슬라이드부재가 활주하면 사점(멈춤구간)이 많이 생기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타측 가변팔(330,430)의 단부를 슬라이드부재(200)에 직접 고정하지 않고 슬라이드부재(200)의 대략 중앙부위에서 일정각도로 선회되는 가변링크(500)에 링크축(510)을 정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향하며 각각 선회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부연설명하면, 가변링크(500)는 그 중간부위가 슬라이드부재(200)의 중앙부위에 링크축(510)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링크축(510)을 기점으로 가변링크(500)의 좌측에는 제1토션스프링(300)의 가변팔(330)의 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가변링크(500)의 우측에는 제2토션스프링(400)의 가변팔(430)의 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가변팔(330,430)을 일정각도로 절곡시켜 줌으로써 스프링의 가동각도를 줄여 피로도를 경감하고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선회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과 가변링크(500)의 간섭을 배제하여 공간제약을 극복하며 스프링의 복원력을 증진하고 있다. 이러한 가변링크(500)의 연결구조에 의해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가변팔들(330,430)의 단부의 고정점(선회축)은 가이드레일부재(100)와 슬라이드부재(200)의 활주에 따라 변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고정팔들(320,420)의 단부는 각각 가이드레일부재(10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활주방향으로 볼 때 중간위치에서 어느 쪽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제자리 회전가능하 게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토션스프링(300)의 고정팔(320)은 가이드레일부재(100)의 우측 가장자리중 활주방향으로의 중간위치에 못미친 하방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토션스프링(400)의 고정팔(420)은 가이드레일부재(100)의 좌측 가장자리중 활주방향으로 볼 때 제1토션스프링(300)의 고정팔(320)보다 약간 위쪽에 고정되어 있다. However, as mentioned in the related art, as a device employing a sliding mechanism such as a mobile phone is miniaturized,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fixed to the center of the slide member are reduced in order to reduce the width of the sliding switch and increase the slide distance. The ends of the arms are stagger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beyond the centerline in the width direction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 slide member slides on the guide rail member, the dead point (stop section) is generated a lo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s of the other variable arms 330 and 43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slide members 200. It solves the above problems by opposing to both sides with the link axis 510 as a vertex on the variable link 500 that is pivo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slide member 200 without being directly fixed to the pivot. have. In more detail, the variable link 500 is fix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variable portion rotatable by the link shaft 510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lide member 200 and is variable from the link shaft 510 as a starting point. An end of the variable arm 330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link 500, and a variable arm 430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400 to the right side of the variable link 500. The end of) is pivotally coupled. At this time, by bending the variable arms (330,43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400) to a certain angle, reducing the moving angle of the spring to reduce the fatigue and the first when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400) turn And to overcome the space constraints by eliminating the interferen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300, 400) and the variable link 500 to improve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By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variable link 500, the fixed point (orbital axis) of the ends of the variable arms (330, 43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400) is the guide rail member 100 and the slide member (200) It will change according to the slide.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fixing arms 320 and 42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rotatable in place in a slightly biased position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when viewed in the sliding direction from both edges of the guide rail member 100, respectively. Is fix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arm 320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is fixed to a lower side that is short of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right edge of the guide rail member 10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400 is fixed. The fixing arm 420 is fixed slightly above the fixing arm 320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when view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left edge of the guide rail member 100.

슬라이드부재(200)가 최하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가변팔(330,430)이 고정된 가변링크(500)는 도 3a에서와 같이 수직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선회되어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가변링크(500)의 경사각(θ)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20~60도 정도가 적당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도가 좋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레일부재(100) 상에서 슬라이드부재(200)를 활주시키면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이 압축되면서 그들의 가변팔들(330,430)이 가변링크(500)의 결합점들을 밀어 가변링크(500) 또한 링크축(510)을 정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에 따라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코일부(310,410)도 일정한 괘적을 그리면서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복원력(힘)의 크기가 동일하고 그들의 힘의 방향이 반대가 되는 지점에서 멈춤현상이 일어나는데,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복원력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는 지점에서 서로의 힘방향이 동일방향을 이루도록 가변링크(500)가 제1 및 제2토션스프링(300,400)의 코일부들(310,410)의 선회동작에 연동하여 선회됨으로써 정지구간(사점)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부재(100)상을 슬라이드부재(200)가 활주 할 때, 두 토션스프링(300,400)이 힘의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멈추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가변링크(500)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이 힘의 크기가 대등한 지점에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주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두 스프링(300,400)의 힘의 방향을 활주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멈춤현상을 제거하고 활주방향으로의 원활한 활주를 돕는다. 그 결과, 도 3c에서와 같은 상태로 슬라이드부재(200)는 가이드레일부재(100)상의 최상위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최상위 위치에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은 원상태(둔각)에 가까운 둔각의 상태로 펴지게 되고, 그 결과 제1토션스프링(300)의 가변팔(330)은 가변링크(500)의 좌측고정부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는 한편 제2토션스프링(400)의 가변팔(430)은 가변링크(500)의 우측고정부를 위쪽으로 잡아당겨 링크축(510)을 중심으로 하여 가변링크(500)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 경사시키게 된다. 이에 더하여, 제2토션스프링(400)의 가변팔(430)이 가변링크(500)의 링크축(510)에 걸리면서 그가 고정된 우측고정부를 들어올려 선회력을 배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가변링크(500)는 최상위 위치에서 수직선에 대하여 소정각도, 바람직하게는 30~50도로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이것은 가변링크(500)가 수평상태에서 경사상태로 전환된 활주방향으로의 변위값 만큼의 활주(주행)거리를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에 비추어 볼 때, 가변링크(500)의 기울기는 최하위, 최상위 위치에서 수직선에 근접할수록 활주거리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가변링크(500)의 선회각을 설계하면 된다. When the slide member 200 is in the lowest position, the variable link 500 to which the variable arms 330 and 43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fixed is pivo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as shown in FIG. 3A. Inclined position.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variable link 500 is about 20 to 60 degrees is appropriate based on the vertical line, more preferably 30 to 50 degrees is good, in this state slide member 200 on the guide rail member 100 ) And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compressed, and their variable arms 330 and 430 push the coupling points of the variable link 500 so that the variable link 500 and the link axis 510 are the apex. Rotate clockwise to make it nearly horizontal. Accordingly, the coil portions 310 and 41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lso rotate while drawi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and as a result, the restoring force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is the same. And the stop phenomenon occurs at the point where the direction of their force is revers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able link so that the force direction of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point where the magnitude of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 (300,400) is the same Since the 500 is pivoted in conjunction with the turning operations of the coil parts 310 and 41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 stop section (dead spot) is hardly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slide member 200 slides on the guide rail member 100, the phenomenon that the two torsion springs 300 and 400 stop at the point where the force is balanced can be eliminated. That is, the variable link 500 includes two springs 300 and 40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By mak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of the same direction as the sliding direction to eliminate the stop phenomenon and to help the smooth slide in the sliding direction. As a result, the slide member 200 reaches the highest position on the guide rail member 100 in the same state as in FIG. 3C. In this top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unfolded in an obtuse state close to the original state (obtuse angle), and as a result, the variable arm 330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is a variable link 500. Pull the left fixing part of the bottom downward, while the variable arm 430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400 pulls the right fixing part of the variable link 500 upward, and the variable link centers on the link shaft 510. The 500 is inclined by turning counterclockwise. In addition, the variable arm 430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400 is caught by the link shaft 510 of the variable link 500, thereby lifting the fixed right fixing part to double the turning force. Accordingly, the variable link 50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angle, preferably 30 to 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ine at the highest position, which is in the sliding direction in which the variable link 500 is changed from the horizontal state to the inclined state. This results in extending the running distance by the displacement value of. In view of this, since the slope of the variable link 500 increases the closer to the vertical line at the lowest and highest positions, the sliding distance of the variable link 500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특히,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고정팔(320,420)과 가변팔 (330,430)의 길이비는 1.5~2 : 1 정도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가변링크(500)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가변팔들(330,430)을 외측으로 절곡시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가변팔들(330,430)이 이루는 사잇각들을 더 넓게 확대함에 의하여 토션스프링들(300,400)의 작동시 가변링크(50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공간제약을 해소하고 있다. In particular, the length ratio of the fixed arms 320 and 420 and the variable arms 330 and 43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is preferably about 1.5 to 2: 1. Furthermore, by bending the variable arms 330 and 43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fixed to the variable link 500 to the outside, the variable arms 330 and 43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re bent. By enlarging the angles wider than each other, space constraints are minimized by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he variable link 500 when the torsion springs 300 and 400 operate.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토션스프링의 고정단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및 저면도로, 도 2a 및 도 2b에서 기설명한 기존의 토션스프링의 고정단을 결합하는 데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선한 구조이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고정팔들의 고정구조는 동일하므로 대표적으로 제1토션스프링의 고정팔을 예로 들어 예시하고 설명한다. Figures 4a an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bottom view showing the fixed end of the torsion spring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in coupling the fixed end of the conventional torsion spring described in Figures 2a and 2b It is an improved structure. In this drawing, since the fixing structures of the fixing arms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are the same, the fixing arms of the first torsion spring are representatively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에서 가이드레일부재(100)에 선회가능하게 제자리 고정되는 토션스프링(300)의 고정팔(320)의 고정구조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부재(100)에 토션스프링(300)의 회전반경방향으로 직선의 장공(110)을 형성하고, 토션스프링(300)의 고정팔(320)의 단부를 절곡시킨 상태에서 이 장공(110)에 끼워넣으면 탄성에 의해 고정팔(320)의 단부가 장공(110)의 최후방으로 후퇴하면서 고정된다. 그러면, 장공(110)배면에 형성된 안내홈(112)내에 그 절곡단(322)이 위치하면서 걸리게 되고, 토션스프링(300)의 제자리 선회시에는 인장력이 항상 바깥쪽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장공(110)의 길이(ℓ 1)는 고정팔(320)의 절곡단(322)의 길이(ℓ2)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장공(100)의 폭은 고정팔(320)의 직경과 거의 같은 크기로 하여 삽입후 고정팔(320)이 장공(110)의 폭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장공(110)에 절곡단(322)을 위쪽에서 일점쇄선처럼 삽입한 후 놓으면 압축된 스프링이 펴지면서 앞으로 전진하여 실선과 같이 절곡단(322)이 걸려 고정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고정팔(철사)의 직경보다 약간 큰 원형결합공에 고정팔을 끼워넣은 후 배면에서 절곡시켜 고정하는 종래의 방식 대신에 먼저 외부에서 고정팔(320)의 단부를 절곡시킨 후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10)에 간단하게 끼워 조립함으로써 작은 구조물인 슬라이딩 개폐장치에서 토션스프링의 고정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결합구조에서는 장공(110)이 고정팔(320)의 회전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곡단(322)의 탄성력이 바깥쪽 방향으로 작용하여 항시 고정팔(320)이 장공(110)의 바깥쪽 단부에 밀착되며 고정팔(320)이 장공(110)의 폭방향으로는 요동하지 않게 끼워지므로 고정팔(320)의 선회시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마찰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절곡단(322)이 장공(110)의 결합부위에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자리에서 선회되므로 작동시 부하 및 피로도를 줄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structure of the fixing arm 320 of the torsion spring 300 pivotally fix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0 is a torsion spring (see FIG. 4A and FIG. 4B) to the guide rail member 100. Forming a long long hole 110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radius of 300, and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10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fixing arm 320 of the torsion spring 300 is bent, the elastic of the fixed arm 320 The end is fixed while retracting to the rear of the long hole 110. Then, the bending end 322 is located in the guide groove 11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ong hole 110, and is caught, and the tension force always acts in the outward direction (arrow a direction) when the torsion spring 300 is turned in place. This prevents the departure. At this time, the length (L 1 ) of the long hole 110 is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length (L 2 ) of the bent end 322 of the fixed arm 320, the width of the long hole 100 is almost the diameter of the fixed arm 320 Fixed arm 320 after the insertion to the same size so as not to sw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ng hole (110). Therefore, when the bent end 322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10 as a one-dot chain line from the top and then released, the compressed spring is extended and moved forward, and the bent end 322 is fastened and fixed like a solid line. This coupling structure is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after bending the end of the fixing arm 320 from the outsid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serting the fixing arm into a circular coupling hol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arm (wire) and then bending and fixing at the rear surface. By simply fitting into the long hole 110, the torsion spring can be more easily fixed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which is a small structure. Particularly, in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long hole 110 is formed in the rotation radius direction of the fixed arm 32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bending end 322 acts outward so that the fixed arm 320 is always outside the long hole 110. Since the fixing arm 320 is fitted to the end of the long hole 110 so as not to sw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friction is minimized when the fixing arm 320 is swiveled and friction noise may be reduced. Furthermore, since the bent end 322 pivots stably in place without oscillating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long hole 110,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by reducing the load and fatigue during opera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과 도 1에 예시된 기존 장치에서의 토션스프링의 운동괘적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들로서, 토션스프링중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본 장치의 것이고 점선으로 나타낸 것은 기존 장치의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본 장치와 기존 장치에 사용된 토션스프링들이 탄성력과 크기가 같다는 전제하에, 최하위 위치, 중간 위치 및, 최상위 위치에서의 괘적만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압축되지 않은 원래상태의 스프링 각도가 130도이고, 최대 압축각이 20도인 스프링이 사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가이드레일부재상을 슬라이드부재가 이동함에 따른 제1,제2토션스프링의 괘적이 도 5에 나타나 있으며, 그에 따른 압축각이 아래 표에 나타나 있다. Figures 5a to 5c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motion routine of the torsion sp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the solid line of the torsion spring of the present device and the dotted line is of the existing device. In this figure, the torsion springs used in the present apparatus and the existing apparatus are shown only in the lowest position, the middle position, and the trajectory at the highest position, provided that the torsion springs have the same elastic force and size. Here,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as the slide member moves on the guide rail member, for example, when the spring is 130 degrees in the uncompressed state and the maximum compression angle is 20 degrees is used. 5, the resulting compression angle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표. 본 장치와 종래 장치의 토션스프링들의 가동각 범위table. Moving angle range of the torsion springs of this device and the conventional device

Figure 112004044788098-pat00001
Figure 112004044788098-pat00001

위 표에서 α135는 제1토션스프링(300)의 최하위 위치, 중간 위치, 최상위 위치에서의 고정팔(320)과 가변팔(330)의 사잇각을 나타내고, 각각 110도, 65도, 130도이므로 최대 가동각 65도 범위내에서 가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α246은 제2토션스프링(400)의 최하위 위치, 중간 위치, 최상위 위치에서의 고정팔(420)과 가변팔(430)의 사잇각을 나타내고, 각각 130도, 65도, 120도이므 로 최대 가동각 65도 범위내에서 가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the above table, α 1 , α 3 , α 5 represents the angles between the fixed arm 320 and the variable arm 330 at the lowest, middle, and highest positions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respectively, 110 degrees and 65 degrees. In addition, since it is 130 degrees, the operation is made within the maximum operating angle of 65 degrees. In addition, α 2 , α 4 , α 6 represents the angles between the fixed arm 420 and the variable arm 430 at the lowest, middle, and highest positions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400, respectively, 130 degrees and 65 degrees. Since it is 120 degrees, the operation is made within the maximum operating angle of 65 degrees.

이에 비하여, 도 1 내지 도 2c에 개시된 기존의 장치에서는 제1토션스프링(30)은 최하위 위치, 중간 위치, 최상위 위치에서의 사잇각이 β135로 95도, 45도, 120도이므로 최대 가동각 75도 범위내에서 가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제2토션스프링(40)은 최하위 위치, 중간 위치, 최상위 위치에서의 사잇각이 β246로 120도, 45도, 115도이므로 최대 가동각 75도 범위내에서 가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contrast,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disclosed in FIGS. 1 to 2C, the first torsion springs 30 have 95, 45, and 120 angles at the lowest position, the middle position, and the highest position at β 1 , β 3 , β 5 . As it is degrees, the operation is made within the maximum operating angle of 75 degrees. In addition, the second torsion spring 40 operates within the range of 75 degrees at the maximum operating angle because the angles at the lowest, middle, and highest positions are 120, 45, and 115 degrees with β 2 , β 4 , β 6 . This is don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장치에서는 제1토션스프링(300)이 최대 65도의 가동각을 갖는데 비해, 종래 장치에서는 최대 75도의 가동각을 가져 본 장치보다 10도를 더 많이 가동하게 되고, 이것은 스프링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제2토션스프링(400,40)에서도 또한 본 장치에서는 최대 65도의 가동각을 갖는데 비해, 종래 장치에서는 최대 75도의 가동각을 가지므로 10도를 더 많이 가동하게 되어 스프링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더하여, 종래 장치는 스프링의 본래 각도인 130도를 기준으로 할 때 본 장치(130~65도)에 비해 더 많이 압축된 각도(120~45도) 범위에서 가동이 이루어지므로 피로도가 더 증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apparatus,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has a maximum operating angle of 65 degrees, whereas the conventional apparatus has a maximum operating angle of 75 degrees, and moves 10 degrees more than the present apparatus. It increases fatigue. The second torsion springs 400 and 40 also have a movable angle of up to 65 degrees in the apparatus, whereas the conventional apparatus has a movable angle of up to 75 degrees, thus operating 10 degrees more, thereby increasing the fatigue of the spring.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evice is operated at a more compressed angle range (120 to 45 degrees) than the device (130 to 65 degrees) based on the original angle of the spring of 130 degrees. do.

아울러, 가변링크(500)는 최하위 위치에서 경사를 이루고 있다가 이동하면서 수평을 이루어서 이동하다가 다시 최상위 위치에서는 반대로 선회하여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룬 경사는 토션스프링들(300,400)의 복원력 및 간섭에 의해 선회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에서 볼 때 최하위 위치에서는 제1토션스프링(300) 의 가변팔(330)에 의한 하강하려는 힘과 제2토션스프링(400)의 가변팔(430)에 의한 상승하려는 힘이 가변링크(5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면서 링크축(510)을 정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경사된다. 또한, 최상위 위치에서는 제1토션스프링(300)의 가변팔(330)에 의한 하강하려는 힘과 제2토션스프링(400)의 가변팔(430)에 의한 상승하려는 힘이 가변링크(5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면서 링크축(510)을 정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경사된다. 따라서, 최하위 위치에서는 기존의 고정단을 가진 장치에 비해 거리 d1만큼 아래쪽으로 활주거리가 늘어나게 되고, 최상위 위치에서는 기존 장치에 비해 거리 d2만큼 위쪽으로 활주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이 d1과 d2가 동일한 거리라고 하면, 본 장치는 기존 장치에 비해 d1(또는 d2)의 2배만큼의 활주거리가 늘어난다. In addition, the variable link 500 is inclined at the lowest position and then moved in a horizontal manner while moving, and then inverted at the highest position to make the inclination.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is achieved by turning by the restoring force and interference of the torsion springs (300,400), in the lowest position in the lowest pos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by the variable arm 330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and the second The force to be lifted by the variable arm 430 of the torsion spring 400 act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riable link 500 and is inclined by turning the link shaft 510 counterclockwise to its apex. In addition, in the uppermost position, the force to be lowered by the variable arm 330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and the force to be raised by the variable arm 430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400 are left of the variable link 500. And the link shaft 5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its apex while acting on the right side and inclined. Therefore, in the lowest position, the sliding distance increases downwardly by the distance d1 compared with the device having the fixed end, and the sliding distance increases upwardly by the distance d2 in the uppermost position. If d1 and d2 are the same distance, the apparatus increases the running distance by twice as much as d1 (or d2) compared to the existing apparatus.

도 6은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된 본 발명에서 링크부분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이 적용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link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3A to 3C, and FIGS. 7A and 7B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to which FIG. 6 is applied.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400)의 가변팔들(330,430)과 대면하고 있는 가변링크(500a)의 일면으로 선회안내돌기(520)를 돌출시켜, 가이드레일부재(100)와 슬라이드부재(200)의 활주시 최상위 위치 및 최하위 위치에서 가변링크(500a)를 소정각도로 원활하게 경사시키는 보다 바람직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선회안내돌기(520)는 최하위 위치에서 제1토션스프링(300)의 가변팔(330)에 접촉되어 가변링크(500a)가 선회되게 하는 제1경사면(522)과, 최상위 위치에서 제2 토션스프링(400)의 가변팔(430)에 접촉되어 가변링크(500a)가 선회되게 하는 제2경사면(52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경사면(522)과 제2경사면(524)은 링크축(510)을 정점으로 하여 대향하게 위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urning guide protrusion 520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variable link 500a facing the variable arms 330 and 430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 and 400, and the guide rail member 100 and It illustrates a more preferable structure for smoothly inclining the variable link (500a)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uppermost position and the lowest position during the slide member 200. The turning guide protrusion 520 is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arm 330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at the lowermost position to allow the variable link 500a to pivot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at the highest position.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524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arm 430 of 400 to cause the variable link 500a to pivot.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2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4 are locat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link axis 510 as a vertex.

이러한 제1경사면(522)과 제2경사면(524)을 갖는 선회안내돌기(520)에 의해 가변링크(500a)는 보다 확실하고 원활하게 활주구간의 최상위 위치와 최하위 위치에서 선회동작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부재(100)상에서 슬라이드부재(200)가 상승하여 최상위 위치에 도달하면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토션스프링(400)의 가변팔(430)의 단부는 선회안내돌기(520)의 대면하고 있는 제2경사면(524)을 압압하면서 회전하여 가변링크(500a)를 링크축(510)을 기점으로 선회시킨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재(200)는 가변링크(500a)가 선회된 활주방향거리만큼 활주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가이드레일부재(100)상에서 슬라이드부재(200)가 하강하여 최하위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토션스프링(300)의 가변팔(330)이 제1경사면(522)을 압압하면서 회전하여 가변링크(500a)를 링크축(510)을 정점으로 선회시키게 된다. 이 경우도 슬라이드부재(200)의 활주거리가 가변링크(500a)가 선회된 활주방향거리만큼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변링크(500a)를 선회시키는 본 메카니즘은 최상위 위치 및 최하위 위치에서 가변링크(500a)가 선회된 활주방향으로의 거리만큼 활주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By the turning guide protrusion 520 hav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2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4, the variable link 500a is more reliably and smoothly rotated at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lowest position of the slide section. For example, when the slide member 200 rises on the guide rail member 100 to reach the highest position, the end of the variable arm 430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400 may be turned as shown in FIG. 7A.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4 facing 520 is pressed while rotating to rotate the variable link 500a around the link shaft 510. Accordingly, the slide member 200 increases the slide distance by the slide direction distance in which the variable link 500a is turned. On the contrary, when the slide member 200 descends on the guide rail member 100 and reaches the lowest position, as shown in FIG. 7B, the variable arm 330 of the first torsion spring 300 h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522. By rotating while pressing the variable link (500a) to rotate the link shaft 510 to the vertex. In this case, the slide distance of the slide member 200 is increased by the sliding direction distance in which the variable link 500a is turned. As a result, the present mechanism for turning the variable link 500a increases the sliding distance by the distance in the sliding direction in which the variable link 500a is rotated at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lowest posi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그 분해사시도이다. 8a and 8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가이드레일부재(100a)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제1,제2 가이드바(120a,130a)가 마련되어 있고, 그와 대면하는 판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제2 안내턱(140a,150a)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200a)는 양측 가장자리에 결합손들(220a,230a)이 마련되어 가이드레일부재(100a)와 활주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결합손들(220a,230a)은 제1 및 제2 가이드바(120a,130a)가 관통하는 제1,제2 가이드홈(222a,232a)과, 제1,제2 안내턱(140a,150a)에 끼워지는 제1,제2 레일(224a,234a)을 구비하고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20a and 130a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both edges of the guide rail member 100a,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jaws are provided at both edges of the plate facing the guide rail member 100a. 140a and 150a are formed. The slide member 200a is provided with coupling hands 220a and 230a at both sides of the slide member 200a and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0a. The coupling hands 220a and 230a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22a and 232a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20a and 130a pass, and first and second guide jaws 140a and 150a. ) And first and second rails 224a and 234a fitted to each other.

위와 같은 가이드레일부재(100a)와 슬라이드부재(200a)의 결합구조에 의한 활주시 작동력을 배가시키기 위해 가이드레일부재(100a)와 슬라이드부재(200a)에 개재되는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a,400a)은 그 일단이 가이드레일부재(100a)의 양측 가장자리의 대략 중간부위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타단이 슬라이드부재(200a)에 가변링크(500b)를 개재하여 선회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가변링크(500b)는 링크축(510b)에 의해 슬라이드부재(200a)의 대략 중앙부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 가변링크(500b)의 양단에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a,400a)의 가변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가변링크(500b)로는 전술한 가변링크(500 또는 500a)가 사용되며, 그 구조 및 동작원리는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a interposed in the guide rail member 100a and the slide member 200a to double the sliding force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uide rail member 100a and the slide member 200a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400a) is pivotally fixed to approximately intermediate portions of both edges of the guide rail member (100a),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ivotally fixed to the slide member (200a) via the variable link (500b). . The variable link 500b is rotatably coupled to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slide member 200a by the link shaft 510b, and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a and 400a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variable link 500b. ), The variable stage is fixed. As the variable link 500b, the above-described variable link 500 or 500a is used,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inciple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a,400a)은 중앙의 코일부(310a,410a)와 이 코일부(310a,410a)에서 외측으로 뻗어나가 일정각을 이루고 있는 직선형태의 한쌍의 팔들(320a,330a,420a,430a)로 이루어져 있다. 이 팔들(320a,330a,420a,430a)의 단부가 가이드레일부재(100a)와 슬라이드부재(200a)에 고정되는데, 특히 슬라이드부재(200a)에는 직접 팔(330a,430a)의 단부가 고정되지 않고 가변링크(500b)를 개재하여 선회가능하게 고정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부재(100a)와 슬라이드부재(200a)가 활주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a,400a)이 압축팽창하면서 선회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가변링크(500b)도 슬라이드부재(200a)에서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선회 및 복귀를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그 결과 활주거리가 길어짐은 물론이고 사점에서의 멈춤현상이 제거된다.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a and 400a have a central coil portion 310a and 410a and a pair of straight arms 320a extending outward from the coil portions 310a and 410a to form an angle. 330a, 420a, and 430a. Ends of the arms 320a, 330a, 420a, and 430a are fix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0a and the slide member 200a. In particular, the ends of the arms 330a and 430a are not directly fixed to the slide member 200a. It is fixed to be rotatable via the variable link 500b. Therefore, when the guide rail member 100a and the slide member 200a slide,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a and 400a are swiveled by compression and expansion, and thus the variable link 500b also slides the slide member 200a. At this time, the turn and return are repeat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This principl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resulting in longer run distances and elimination of dead spots.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Figures 9a and 9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the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도 8a 및 도 8b에서 예시한 앞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부재(100b)의 양측에 마련된 제1,제2가이드바(120b,130b)를 따라서 슬라이드부재(200b)의 제1,제2 가이드홈들(222b,232b)이 이동하고, 보조적으로 가이드레일부재(100b)의 제1,제2 안내턱(140b,150b)을 따라서 슬라이드부재(200b)의 제1,제2 레일(224b,234b)이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이때, 활주구동력은 가이드레일부재(100b)와 슬라이드부재(200b)에 앞 실시예와 동일하게 결합된 제1,제2 토션스프링(300b,400b) 및 가변링크(500c)에 의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부재와 슬라이드부재의 결합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개폐장치에서도 본 발명의 핵심인 제1,제2 토션스프링의 가변축 구조가 앞 실시예와 동일하게 가변링크를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부분에 대한 상세한 구성 설명 및 동작은 생략하기로 한다.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8A and 8B, an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20b and 130b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member 100b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22b and 232b of the slide member 200b move, and the slide members 200b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jaws 140b and 150b of the guide rail member 100b. The first and second rails (224b, 234b) of the guide is moved while guiding. At this time, the slide driving force is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b and 400b and the variable link 500c coupl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0b and the slide member 200b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In such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v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guide rail member and the slide member, the variable shaft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which are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the variable link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refore,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ption and operation of this portion will be omitted.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10a and 10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부재(100c)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제2가이드바(120c,130c)를 장착하고, 이와 결합되어 활주하도록 슬라이드부재(200c)에 제1,제2 가이드홈(222c,232c)이 형성된 결합손(220c,230c)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제1,제2 토션스프링(300c,400c)은 가이드레일부재(100c)에 그들의 고정팔(320c,420c)이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들의 가변팔(330c,430c)이 슬라이드부재(200c)에 가변링크(500d)를 매개로 하여 지지점(선회축)들의 위치가 이동하면서 선회되는 구조의 결합을 이루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활주를 안내하는 안내구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토션스프링들(300c,400c)의 가변고정구조에 있어서는 도 3a 내지 도 3c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되었으며, 토션스프링들(300c,400c)의 고정단의 결합구조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이 부분은 앞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120c and 130c are mounted at both edges of the guide rail member 100c, and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222c are mounted in the slide member 200c so as to slide in combination with the guide rail members 100c. And coupling hands 220c and 230c having 232c formed thereon.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c and 400c have their fixing arms 320c and 420c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members 100c and their variable arms 330c and 430c are slide members 200c.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ints (orbiting shafts) is moved through the variable link 500d to form a combination of the pivoting structure. In this embodiment, except for the guide structure for guiding the slide, in the variable fixing structure of the torsion springs 300c and 400c constituting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ciples of FIGS. 3a to 3c were applied as it is, and the torsion springs (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ed ends of 300c and 400c is appli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S. 4a and 4b. Since this par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및 그 분해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제2 토션스프링의 고정팔과 가변팔을 앞 실시예들과 반대로 슬라이드부재와 가이드레일부재에 각각 결합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가변링크가 가이드레일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11a and 11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the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fixed arm and the variable arm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are coupled to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respectively, as opposed to the previous embodiments. Thus, the variable link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member. Is showing.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링크(500e)를 가이드레일부재(100d)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 링크축(510e)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가변링크(500e) 양측에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d,400d)의 가변팔(330d,430d)의 단부를 선회가능하게 결합하고,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d,400d)의 고정팔(320d,420d)의 단부는 슬라이드부재(200d)의 폭방향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하여도 앞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구조는 단지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300d,400d)의 팔들(320d,330d,420d,430d)의 고정위치를 바꿔서, 앞 실시예들과 반대로 가이드레일부재(100d)에 가변링크(500e)를 고정하였을 뿐, 그 동작 및 효과에 있어서는 앞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ariable link 500e is rotatably fixed to the link shaft 510e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guide rail member 100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links on both sides of the variable link 500e. 2 rotatably coupling the ends of the variable arms (330d, 430d) of the torsion springs (300d, 400d), and the ends of the fixing arms (320d, 420d)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d, 400d) are slide members ( It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vious embodiments even when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edges in the width direction of 200d). This structure merely changes the fixing positions of the arms 320d, 330d, 420d, and 430d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300d and 400d, and thus the variable link 500e to the guide rail member 100d as opposed to the previous embodiments. ) Is fixed and its operation and effects are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가이드레일부재(100d)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ㄷ"자형 안내턱들(140d,150d)과 이곳에 맞물리는 슬라이드부재(200d)의 대응양측에 마련된 레일들(224d,234d)의 구조에 있어서, 레일들(224d,234d)을 슬라이드부재(200d)의 전구간에 형성하지 않고 전방부 및 후방부에 일정길이만큼만 돌출형성시킴으로써 가이드레일부재(100d)에 약간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이 발생하여도 슬라이드부재(200d)가 끼여서 활주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즉, 종래에는 슬라이드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의 전구간에 걸쳐 기다란 레일들이 돌출함으로써 슬라이드부재의 전구간에서 가이드레일부재와 맞물려 결합되므로 가이드레일부재가 약간만 휘어져도 슬라이드부재가 활주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노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레일들(224d,234d)을 슬라이드부재(200d)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약간씩만 돌출시킴에 의해 슬라이드부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서만 가이드레일부재와 맞물려 결합되므로 가이드레일부재(100d)가 어느정도 휘어져도 유연하게 활주가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ils 224d and 234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 shaped guide jaws 140d and 150d formed at both edges of the guide rail member 100d and the slide member 200d engaged therewith. In the structure of the rails 224d and 234d, the front rail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lide member 200d are not formed between the entire length of the guide rail member 100d by forming a protrud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some distortion or bending occurs. Even if the slide member (200d) is pinch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lide is impossible. That is, in the related art, since long rails protrude from all the edges of both sides of the slide member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 in all the sections of the slide member, even if the guide rail member is slightly bent, the slide member may not sli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s 224d and 234d are only slightly protruded from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lide member 200d so that the rails 224d and 234d are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s only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lide member. Even if the curve is somewhat curved, it is possible to slide smoothly.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가변링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가변링크는 앞실시예들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선형태, 즉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상화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태로 가변링크(500f)를 형상화하고, 원판형 가변링크(500f)의 중심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을 결합할 수 있다.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variable link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able link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that is, a rectangular shape as illustrated in the prev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is can be shaped in various forms have.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 the variable link 500f is shaped into a disc shape, and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isc-shaped variable link 500f, respectively. Can be.

가변링크는 위의 원판형 이외에도 마름모형태, 정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판상체로 구성이 가능하다. The variable link can be composed of various plate-shaped bodies such as rhombus, square, and oval in addition to the above disc.

도 13은 앞서 예시한 토션스프링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린더형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채용된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들로, 이 실시예들에서는 앞서 예시한 토션스프링을 대체하여 실린더형 스프링이 적용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도 14a에는 좌우 2개의 실린더형 스프링이 적용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4b에는 1개의 실린더형 스프링이 적용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ylindrical spring that can be used in place of the torsion spring exemplified above. In addition, Figures 14a and 14b is a view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spring employed in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ylindrical spring is applied in place of the torsion spring exemplified above have. In particular, FIG. 14A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left and right cylindrical springs are applied, and FIG. 14B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cylindrical spring is applied.

앞서 예시한 토션스프링을 대체하여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은 실린더형 스프링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 실린더형 스프링(6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 로 개구된 실린더(610)의 내부에 코일스프링(620)을 수용하고, 이 코일스프링(620)의 내측으로 로드(road; 630)를 삽입하여 로드(630)의 일정부분이 실린더(610)의 개구(612)를 통해 외부로 돌출하게 결합되어 있다. 특히, 로드(630)의 표면에는 걸림턱(632)이 돌출되어 그 아래면에는 코일스프링(620)의 일측단이 걸려 규제되고, 코일스프링(620)의 타측단은 실린더(610)의 폐쇄된 저면바닥에 규제되어 로드(630)의 수축팽창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로드(630)의 걸림턱(632)은 또한 위쪽면이 실린더(610)의 상단턱(614)에 걸려 로드(630)의 외부의 이탈을 방지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린더(610)의 단부와 로드의 단부에는 고정부들(616,634)이 각각 구비되어, 슬라이드부재와 가이드레일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들(618,6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홈들(618,636)에 슬라이드부재(200f)와 가이드레일부재(100f)에서 고정편들(700,700a)을 각각 끼워서 실린더형 스프링(600)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In place of the torsion spring illustrated above, a cylindrical spring as illustrated in FIG. 13 may be employed. As illustrated, the cylindrical spring 600 accommodates the coil spring 620 inside the cylinder 610 opened to one side, and loads the rod 630 into the coil spring 620. A portion of the rod 63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opening 612 of the cylinder 610. Particularly, the locking jaw 632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rod 630 so that one end of the coil spring 620 is caught on the bottom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620 is closed of the cylinder 610. The bottom surface is regulated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dur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rod 630. The locking jaw 632 of the rod 630 is also preferably designed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caught by the upper jaw 614 of the cylinder 610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outside of the rod 630. In addition, fixing parts 616 and 634 are provided at the end of the cylinder 610 and the end of the rod, respectively, and fixing grooves 618 and 636 for fixing to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re formed, respectively. The cylindrical springs 600 are pivotal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s 618 and 636 by inserting the fixing pieces 700 and 700a in the slide member 200f and the guide rail member 100f, respectively.

위와 같은 구조의 실린더형 스프링은 앞서 예시한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을 대체하여 토션스프링들과 동일한 위치에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실린더형 스프링(600a,600b)이 도 13에서 설명한 결합방식에 의해 슬라이드부재(200g) 및 가이드레일부재(100g)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제1 및 제2 실린더형 스프링(600a,600b)의 일단은 가변링크(500g)의 양측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레일부재(100g)의 좌측에 결합된 제1 실린더형 스프링(600a)은 슬라이드부재(200g)의 좌측 절반영역에서 이동가능하게 가변링크(500g)의 링크 축(510g)으로부터 좌측편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부재(100g)의 우측에 결합된 제2 실린더형 스프링(600b)은 슬라이드부재(200g)의 우측 절반영역에서 이동가능하게 가변링크(500g)의 링크축(510g)으로부터 우측편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선회되는 가변링크(500g)를 채용함에 의해 실린더형 스프링의 동작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물론, 가변링크를 제거하고 직접 슬라이드부재에 제1 및 제2 실린더형 스프링의 일측을 선회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The cylindrical spring having the above structure replaces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exemplified above, and shows the first and second cylindrical springs 600a and 600b at the same position as the torsion springs. It can be coupled to the slide member (200g) and the guide rail member (100g) by the coupling method described in 13. Of course,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rical spring (600a, 600b)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variable link (500g),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cylindrical spring 600a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guide rail member 100g is movable on the left side from the link shaft 510g of the variable link 500g so as to be movable in the lef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200g. The second cylindrical spring 600b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guide rail member 100g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from the link shaft 510g of the variable link 500g to be movable in the righ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200g. Is coupled to. In this way, by employing the swinging variable link (500g) it is possible to ensure a large operating distance of the cylindrical spring.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remove the variable link and directly couple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rical springs to the slide member.

또 한 방법으로, 실린더형 스프링(600c)을 1개만 사용하여,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링크(500h)를 매개로 슬라이드부재(200h) 및 가이드레일부재(100h)에 결합시켜 동일한 작동을 얻을 수 있다. 1개의 실린더형 스프링(600c)을 사용하는 경우, 가변링크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가이드레일부재(100h) 또는 슬라이드부재(200h)에 곧바로 결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using only one cylindrical spring 600c, as shown in Figure 14b by coupling to the slide member (200h) and the guide rail member (100h) via a variable link (500h)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You can get it. When using one cylindrical spring 600c, i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guide rail member 100h or the slide member 200h without interposing the variable link.

위와 같은 도 14a의 듀얼 타입(dual type) 및 도 14b의 모노 타입(mono type)의 실린더형 스프링에서도 가변링크에 의해 앞서 예시한 실시예들에서와 거의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그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토션스프링은 그 각도의 압축팽창에 의해 작동력이 발생하지만, 실린더형 스프링은 실린더내로 로드가 진입되거나 진출하면서 수축팽창하여 작동력을 얻게 된다. Since the cylindrical type springs of the dual type of FIG. 14A and the mono type of FIG. 14B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the variable link,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Will be omitted. However, the torsion spring generates the operating force by compression expansion of the angle, but the cylindrical spring is contracted and expanded as the rod enters or exits the cylinder to obtain the operating force.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only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한쌍의 토션스프링들의 가변팔의 단부를 슬라이드부재 또는 가이드레일부재에서 선회되는 링크의 양단에 각각 회전되게 고정함에 의하여 두 토션스프링들의 탄성력의 균형구간에서 유발되는 사점을 최소화하여 슬라이딩시 멈춤현상을 제거하고 작동거리를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나아가, 토션스프링들의 가변팔을 외측방향으로 일정각도 절곡시켜 줌으로써 토션스프링들의 선회시 필요한 작동공간을 최소화하여 소형화를 기하고 스프링의 피로도를 줄인 잇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the spring of the variable pivot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end of the variable arm of the pair of torsion springs to be rotated on both ends of the link pivoted from the slide member or the guide rail member, respectively By minimizing the dead point caused by the balance section of the elastic force of the two torsion springs, there is an effect of eliminating the stopping phenomenon during sliding and increasing the working distance. Furthermore, by bending the variable arm of the torsion springs outward at an angle, the minimizing operation space required for turning the torsion springs is minimized and the fatigue of the spring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토션스프링들의 고정팔의 단부를 먼저 절곡시켜 걸림단을 만든 다음 그가 끼워지는 가이드레일부재 또는 슬라이드부재에 고정팔의 회전반경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장공에 삽입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이 간편하고 장공과 고정팔과의 유격이 필요없어 고정팔의 선회시 요동을 방지함에 의하여 선회마찰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소음을 저감할 뿐만 아니라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ssemble by first bending the end of the fixing arm of the torsion springs to make a locking end and then forming a long hole in the rotation radius direction of the fixing arm to the guide rail member or the slide member to which it is fitted, and inserting and fixing it in the long hole. Since there is no play between the long hole and the fixed arm, the swing arm can be prevented from swinging, thereby minimizing the turning friction and reducing the noise.

또한, 가이드레일부재의 안내턱과 맞물려 활주하는 슬라이드부재의 레일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일정부분만 돌출시켜 맞물리게 하고 중간부분을 소실시킴으로써 긴 직사각형 판형태인 가이드레일부재에 약간의 비틀림이나 휘어짐이 발생하여도 슬라이드부재의 활주가 가능하도록 안내결합구조의 유연성을 증진한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slightly engaging the guide rail member of the guide rail member of the slide and slides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rail of the slide member to protrude only a portion of the guide rail member in the form of a long rectangular plate by bending and bending In addition, there is also an effect of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the guide coupling structure to enable the slide member to slide.

Claims (14)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체인 가이드레일부재;A guide rail member which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body;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와 상호 직선방향의 활주운동이 가능하게 계합된 슬라이드부재;A slide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 to allow a sliding movement in a linear direction;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일측 고정팔의 고정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우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가변팔의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토션스프링;A coil part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from each end of the coil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terposed between the slit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fixed end of one fixing arm is located near the right edge of the guide rail member. The first torsion spring is coupled and the fixed end of the other variable arm is movably coupled within the lef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일측 고정팔의 고정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좌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가변팔의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우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토션스프링; 및A coil part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from each end of the coil part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fixed end of one fixing arm is located near the left edge of the guide rail member. A second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fixed end of the other variable arm to be movable in the righ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And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중간위치에 그 중심부가 링크축으로 회전가능케 고정되며, 상기 링크축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고정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축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고정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단부들이 위치가 이동하면서 선회되게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결합하는 가변링크를 포함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The center of the slide member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ink axis rotatably, the fixed end of the variable arm of the first torsion spring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eft side around the link axis and the right side around the link axis The variable swing of the variable arm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is rotatably coupled, the variable swing including a variable link coupled to the slide member so that the ends of the variable arms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swing while the position is moved. Sliding switchgear adopting spring of shaft.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체인 가이드레일부재;A guide rail member which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body;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와 상호 직선방향의 활주운동이 가능하게 계합된 슬라이드부재;A slide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 to allow a sliding movement in a linear direction;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일측 고정팔의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우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가변팔의 고정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좌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토션스프링;A coil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at predetermined ends from both ends of the coil, and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fixed end of one fixing arm is coupled near the right edge of the slide member. And the fixed end of the other variable arm comprises: a first torsion spring movably coupled within a left half region of the guide rail member; 원형으로 권선된 코일부 및 그 코일부의 양끝에서 소정길이 연장된 두 팔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일측 고정팔의 고정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가변팔의 고정단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우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토션스프링; 및A coil part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two arms extending at predetermined ends from both ends of the coil part,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a fixed end of one fixing arm is coupled near the left edge of the slide member. And a fixed end of the other variable arm comprises a second torsion spring movably coupled within a right half region of the guide rail member; And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중간위치에 그 중심부가 링크축으로 회전가능케 고정되며, 상기 링크축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고정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링크축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고정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가변팔의 단부들이 위치가 이동하면서 선회되게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결합하는 가변링크를 포함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The center of the guide rail member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ink axis rotatably, the fixed end of the variable arm of the first torsion spring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eft side around the link axis and to the right side around the link axis The fixed end of the variable arm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is rotatably coupled, the end of the variable arm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 includes a variable link coupled to the guide rail member to be rotated while moving the position Sliding switchgear adopting spring of variable pivo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는 제1 및 제2 안내턱이 마련된 직사각형 판체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안내턱에 맞물려서 활주하는 제1 및 제2 레일을 좌우 양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The guide rail member of claim 1 or 2, wherein the guide rail member includes a rectangular plate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guide jaws, and the slide member engages and slides with the first and second guide jaws.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is provided on both sid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내턱은 상기 직사각형 판재의 양측연을 따라서 "ㄷ"자형 단면을 갖는 연속된 직선형태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레일은 중간부분이 소실되고 전후양단의 일정부분만이 돌출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내턱과 활주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the second guide jaw is protruded in a continuous straight form having a "c" shaped cross-section along both sides of the rectangular plate, the first and second rail is missing the middle portion And only a predetermined portion of both front and rear ends thereof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guide jaw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안내턱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바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바에 각각 끼워지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5. The guide rail member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rail member includes first and second guide bars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guide jaws, and the slide member is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bars.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are fitted respectivel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고정팔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 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상기 고정팔의 선회반경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절곡된 상기 고정팔의 절곡단을 끼워넣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end of the fixed arm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to form a long ho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xed arm of the guide rail member or the slide member, the bent in the long hol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shaf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ding end of the fixed arm to engag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크에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의 가변팔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가변팔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2경사면이 상기 링크축을 정점으로 대향하게 형성된 선회안내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The variable link of claim 1 or 2, wherein the variable link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that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arm of the first torsion spring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that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variable arm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shaf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wing guide projection formed to face the link shaft to a vertex.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크는 직선형, 원판형, 기타 다각형 판상으로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8.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variable link is shaped into a straight, disc, or other polygonal pla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링크에 고정되는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가변팔들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및 제2 토션스프링의 팔들이 이루는 사잇각들을 더 넓게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The variable arms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fixed to the variable link are bent outwards to widen the angles formed by the arms of the first and second torsion springs.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shaft characterized in that.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체인 가이드레일부재;A guide rail member which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body;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와 상호 직선방향의 활주운동이 가능하게 계합된 슬라이드부재;A slide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 to allow a sliding movement in a linear direction;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탄성적으로 수축팽창하는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상기 실린더와 로드 중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우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 고 타측 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우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실린더형 스프링; 및 A cylinder, and a rod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cylinder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elastically contract and expand, and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one end of the cylinder and the rod near a right edge of the guide rail member. A first cylindrical spring coupled to the second end and movably coupled in the righ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And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탄성적으로 수축팽창하는 로드를 구비하며 ,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상기 실린더와 로드 중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좌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실린더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And a rod which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side of the cylinder to elastically contract and expand,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one end of the cylinder and the rod is near the left edge of the guide rail member. And a second cylindrical spring coupled to the other end and movably coupled within the lef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중간위치에 그 중심부가 링크축으로 회전가능케 고정되며, 우측에는 상기 제1 실린더형 스프링의 타측 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측에는 상기 제2 실린더형 스프링의 타측 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형 스프링의 타측 단부들이 위치가 이동하면서 선회되게 하는 가변링크를 더 포함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lide member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link axis rotatably, the other end of the first cylindrical spring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cylindrical spring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swing shaft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link that the other end is pivotally coupled, so th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rical spring to swing as the position moves.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체인 가이드레일부재;A guide rail member which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body;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와 상호 직선방향의 활주운동이 가능하게 계합된 슬라이드부재; 및 A slide member engaged with the guide rail member to allow a sliding movement in a linear direction; And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탄성적으로 수축팽창하 는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에 개재되어, 상기 실린더와 로드 중 일측 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우측 또는 좌측 가장자리 근처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좌측 또는 우측 절반영역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And a rod which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inside of the cylinder to elastically contract and expand,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guide rail member, and one end of the cylinder and the rod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guide rail member. And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including a cylindrical spring coupled near the left edge and movably coupled within the left or right half region of the slide member.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고정된 상기 가이드레일부재의 위치와 반대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위치에 링크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링크축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실린더형 스프링의 타측 단부를 위치가 이동하면서 선회되게 결합하는 가변링크를 더 포함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one end of the cylindrical spring is rotatably fixed to a link shaft at a position of the slide member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fixed guide rail member, the position at a distance away from the link shaft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employing a spring of a variable pivot further comprising a variable link for pivotally engaging the other end of the cylindrical spring while the position moves.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스프링은 상기 실린더와 상기 로드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개재하여 상기 실린더내로 상기 로드가 진입 또는 진출하면서 압축팽창시 복원력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13. The variable swing of claim 10 or 12, wherein the cylindrical spring is provided with a restoring force upon compression expansion while the rod enters or exits the cylinder through a coil spring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rod. Sliding switchgear adopting spring of shaft.
KR20040078473A 2004-02-10 2004-10-01 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 KR1006830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8473A KR100683059B1 (en) 2004-10-01 2004-10-01 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
BRPI0507769-9A BRPI0507769A (en) 2004-02-10 2005-02-11 movement mechanism and integrated instrument with the same
PCT/KR2005/000389 WO2005091515A1 (en) 2004-02-10 2005-02-11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JP2006553055A JP2008502175A (en) 2004-02-10 2005-02-11 Sliding switchgear and applied equipment using it
EP05726803A EP1721390A1 (en) 2004-02-10 2005-02-11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US10/589,010 US7542788B2 (en) 2004-02-10 2005-02-11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CN2005800072776A CN1930787B (en) 2004-02-10 2005-02-11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US12/245,878 US20090029748A1 (en) 2004-02-10 2008-10-06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US12/245,901 US20090029749A1 (en) 2004-02-10 2008-10-06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8473A KR100683059B1 (en) 2004-10-01 2004-10-01 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96A KR20060029496A (en) 2006-04-06
KR100683059B1 true KR100683059B1 (en) 2007-02-15

Family

ID=3713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8473A KR100683059B1 (en) 2004-02-10 2004-10-01 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0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91B1 (en) * 2006-07-07 2008-10-27 주식회사 피앤텔 Torsion spring, elastic device and slid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device
KR100813635B1 (en) * 2006-09-29 2008-03-14 알티전자 주식회사 Slide device
KR100805327B1 (en) * 2006-09-29 2008-02-20 김성빈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70855B1 (en) * 2006-10-31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Spring and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sliding type mobile phone therewith
KR101033133B1 (en) * 2008-02-18 2011-05-11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liding each other
WO2009104883A2 (en) * 2008-02-18 2009-08-27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which perform a sliding movement relative to each other
KR100964416B1 (en) * 2008-05-02 2010-06-16 한 상 이 Elasticity module, and slide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elasticity module
KR100988515B1 (en) * 2008-07-31 2010-10-20 주식회사 다이아벨 Hinge Module
KR101044797B1 (en) * 2009-01-08 2011-06-29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Slide module of mobile phone
KR101583079B1 (en) * 2009-03-02 2016-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96A (en)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2788B2 (en)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KR100683059B1 (en) Sliding mechanism apparatus having springs with a moving axis
KR100977190B1 (en) Torsion spring, elastic device, part for the device and slid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device
CN1151745C (en) Drawer control for office cabinets
CA2742658A1 (en) Window drive with back-curving chain
KR100453644B1 (en) sliding mechanism apparatus
CN101652045B (en) Slip cover type electronic device
US20210246702A1 (en) Hinge assembly for trunk lid of vehicle
EP2592523B1 (en) Opening/closing mechanism
KR100844434B1 (en) Slide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20070031127A (en) Semi-Auto Slide Module and Mobile Phone with Semi-Auto Slide Module
KR200387453Y1 (en) Apparatur for operating bodies of a slide type cellular phone
KR100499973B1 (en) outtrigger apparatus of concrete pump car
KR200385468Y1 (en)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70024237A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KR100782415B1 (en) A mobile appliance having sliding mechanism formed in one body
KR200410324Y1 (en) Cam type slide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20070058733A (en) Cam type slide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CN210476790U (en) Assembling tool
US8549708B1 (en) Long stroke tilting 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20050120386A (en)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430929Y1 (en) Slide assembly of a cellular phone in a sliding type
KR101037849B1 (en) Sliding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TWI684727B (en) Height-adjustable arm structure
KR100964416B1 (en) Elasticity module, and slide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elasticit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