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48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486B1
KR100682486B1 KR1020050099529A KR20050099529A KR100682486B1 KR 100682486 B1 KR100682486 B1 KR 100682486B1 KR 1020050099529 A KR1020050099529 A KR 1020050099529A KR 20050099529 A KR20050099529 A KR 20050099529A KR 100682486 B1 KR100682486 B1 KR 10068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mage
gray level
contac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순원
류한민
강승일
김종수
민경일
이택기
Original Assignee
(주)니트 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니트 젠 filed Critical (주)니트 젠
Priority to KR1020050099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4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4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82Detecting the live character of the finger, i.e. distinguishing from a fake or cadaver finger
    • G06V40/1388Detecting the live character of the finger, i.e. distinguishing from a fake or cadaver finger using ima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 method and a device for distinguishing a fingerprint replica are provided to distinguish diverse types of the fingerprint replica by applying both an absorption/scattering type distinguishing methods/devices and an external light type distinguishing method/device to one device and by checking over gray-level distribution for surface image of a contacted object. The first light source(210) performs scattering type fingerprint obtainment. The second light source(212) performs absorption type fingerprint obtainment. The third light source(214) irradiates external light. A light source controller(220) operates the light sources. An image detector(230) detects the first image output from a fingerprint output surface of a prism(200) when the first light source is turned on, detects the second image output from the fingerprint output surface when the second light source is turned on, and detects a surface image of a finger contacted to a fingerprint input window when the third light source is turned on. The first and second fingerprint replica determiner(240,250) determines the fingerprint replica if brightness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 is not inverted, or gray-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corresponds to the fingerprint replica.

Description

모조지문 식별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도1은 선행기술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도1의 장치로 취득된 생체지문 영상 FIG. 2 is a biofingerprint image acquired with the apparatus of FIG.

도3은 도1의 장치로 취득된 모조지문 영상3 is an imitation fingerprint image acquired by the apparatus of FIG.

도4는 다른 선행기술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장치의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n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도5는 도4의 장치로 취득한 생체지문 영상 및 그레이레벨 분포FIG. 5 is a bio fingerprint image and gray level distribution acquired by the apparatus of FIG.

도6은 도4의 장치로 취득한 모조지문 영상 및 그레이레벨 분포FIG. 6 is a fake fingerprint image and gray level distribution acquired with the apparatus of FIG.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방법의 처리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dentify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방법에 있어서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8 to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urther embodiment in the method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방법의 일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취득영상 그레이레벨 분포도11 to 13 are grey-level distribution diagrams of an acquired image for explaining a part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장치의 구성도.14 is a block diagram of an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5와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15 and 16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지문인식 장치에 있어서 생체지문과 모조지문을 식별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어떤 형태의 모조지문이 입력되더라도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identifying a biometric fingerprint and a fake fingerprint in a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and to a technology configured to identify a fake fingerprint of any type.

지문인식장치가 접근인증, 결제 등의 개인인증 분야에 폭넓게 보급되면서 보안성의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보안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는 특히, 지문인식의 정확성을 강화하기 위한 많은 지문인식 알고리즘 및 모조지문에 대처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있는데, 그에 따라 지문복제 기술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As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s are widely used in personal authentication fields such as access authentication and payment, security enhancement is required. In the field requiring security, in particular, many fingerprint recognition algorithms and algorithms for coping with fingerprints have been applied to enhance the accuracy of fingerprint recognition. Accordingly, fingerprint replication technology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본 출원인은 생체지문과 모조지문을 구분하는 장치와 방법에 대해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등록 및 출원을 한 바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Applicant has developed a variety of technologies for the device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the biological fingerprint and the imitation fingerprint has been registered and applied for a patent. The representative ones are as follows.

특허출원 제2004-89877(2004. 11. 5. 출원)Patent Application No. 2004-89877 (filed Nov. 5, 2004)

이 선행기술은 현재 존재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이 해결하기 곤란한, 필름 등에 인쇄된 지문을 정확하게 식별해 내기 위한 것으로서, 생체지문의 경우에는 산란식과 흡수식의 결과영상의 명암이 서로 반전되어 출력되지만, 필름에 인쇄된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지문취득 장치가 산란식이든 흡수식이든 관계없이 동일한(명암이 반전되지 않은) 결과영상을 얻는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지문취득 장치에 산란식과 흡수식 메커니즘을 모두 적 용하여 각 방식별로 취득된 두 영상을 비교해서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를 판별한다.This prior art is to accurately identify the fingerprint printed on the film, etc., which is difficult to solve the existing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in the case of the bio fingerprint, the contrast of the resulting image of the scattering and absorption type is inverted from each other, but the film In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printed on the paper, it was design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obtains the same result image (no contrast is reversed) regardless of scattering or absorption type. The present invention uses both of these characteristics to apply both scattering and absorption mechanisms to a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to compare two images acquired by each metho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도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선행기술에 따른 지문취득 장치는, 취득코자 하는 지문이 접촉되는 지문입력창(12) 및 지문 영상이 출사되는 지문출사면(14)을 포함하는 프리즘(10); 상기 프리즘(10)의 지문입력창(12)에서 전반사되는 각도로 광(22)을 조사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광원(20); 상기 프리즘(10)의 지문입력창(12)에서 전반사되지 않는 각도로 광(32)을 조사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광원(30); 상기 제1광원(20)과 제2광원(30)을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는 광원스위칭부(40); 상기 제1광원(20) 점등시 및 제2광원(30) 점등시에 상기 프리즘(10)의 지문출사면(14)에서 출사되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집속하는 집속렌즈(50)와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센서(60): 상기 영상센서(60)에서 검출된 제1영상 신호 및 제2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양 영상의 골과 융선이 반전된 상태의 값을 갖는 경우(도2 참조)에는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단하고, 양 영상의 골과 융선이 반전되지 않은 상태의 값을 갖는 경우(도3 참조)에는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단하는 영상비교부(70)로 구성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rism 10 including a fingerprint input window 12 to which the fingerprint to be acquired is in contact and a fingerprint exit surface 14 to which the fingerprint image is emitted; A first light source 20 installed at a position irradiating light 22 at an angle totally reflected from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12 of the prism 10; A second light source 30 installed at a position irradiating the light 32 at an angle that is not totally reflected from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12 of the prism 10; A light source switching unit 40 for sequentially operating the first light source 2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0; A focusing lens 50 for focus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emitted from the fingerprint output surface 14 of the prism 10 when the first light source 20 is turned 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0 is turned on; Image sensor 60 for detecting an image: When the first image signal and the second image signal detected by the image sensor 60 has a value of the inverted valleys and ridges of both images (see Fig. 2) ) Is determined as a biofingerprint, and when the bone and the ridge of both images have a value in which the ridge is not inverted (see FIG. 3), the image comparator 70 determines to be a fake fingerprint.

상기 구조에서, 제1광원(20)이 흡수식을 구현하기 위한 광원이고, 제2광원(30)이 산란식을 구현하기 위한 광원이다. 상기 구성은 하나의 광학계에서 흡수식 동작 및 산란식 동작이 모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light source 20 is a light source for implementing the absorption equation,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0 is a light source for implementing the scattering equation. The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absorption and scattering operation in one optical system is made.

특허 제442583호(2004. 7. 22.등록)Patent No. 442583 (registered July 22, 2004)

도4를 참조하면, 이 모조지문 식별장치는, 지문입력창(50)에 접촉되어 있는 접촉체(52)의 표면에 인접한 내부면을 따라서 광이 투과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는 광원(54) 및 이를 온오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53); 상기 광원(54)로부터 입사된 외부광이 접촉체(52)의 내부를 투과한 후 접촉체(52) 외부로 출사됨으로써 형성되는 영상을 영상센서(55)로 검출하여 접촉체(52)의 표면영상을 취득하는 접촉체 표면영상 취득부(56); 상기 접촉체 표면영상 취득부(56)에서 취득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57); 영상분석부의 영상분석 결과에 따라 접촉체(52)에서 취득된 지문이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 판별하는 모조지문 식별부(58)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includes a light source 54 for irradiating external light so that light passes through an inner surface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contact body 52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50; A light emission controller 53 for controlling this on and of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54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tact body 52 and then exits the outside of the contact body 52 to detect an image formed by the image sensor 55 to detect the surface of the contact body 52. A contact surface image obtaining unit 56 which acquires an image; An image analyzer 57 analyzing the image acquired by the contact surface image acquisition unit 56; It is composed of a fake fingerprint identification unit 58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ngerprint obtained from the contact body 52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according to the image analysis result of the image analyzer.

이 선행기술의 원리는, 접촉체(52)가 생체지문인 경우에는 그 내부의 광감쇠 정도가 크기 때문에 내부에서 광이 진행하면서 급격히 감쇠하다가 소멸되지만, 모조지문인 경우에는 광감쇠율이 적어 대부분의 광을 투과시키므로 입사광량과 투과광량간에 차이가 적은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즉, 생체지문의 경우에는 접촉체 내부로 입사된 광이 급격하게 감쇠하여 투과되므로, 외부에서 취득한 접촉체 표면영상의 그레이레벨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갈수록 점차 감소된다(도5의 영상(가) 및 그레이레벨 분포도(나) 참조). 반면에, 접촉체가 모조지문인 경우에는 접촉체 내부로 입사된 광이 모조지문 내에서 일정한 광도로 투과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취득한 접촉체 표면영상의 그레이레벨이 어느 곳에서도 거의 일정한 상태가 된다(도6의 영상(가) 및 그레이레벨 분포도(나) 참조). 본 선행기술에서는, 접촉체 표면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접촉체가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 판별하고 있다.The principle of the prior art is that when the contact body 52 is a biofingerprint, since the degree of light attenuation inside is large, the light is rapidly attenuated and extinguished as the light progresses therein. Since it transmits the light, the phenomeno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ident light amount and the transmitted light amount is small is us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biofingerprint, the light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contact is rapidly attenuated and transmitted, so that the gray level of the contact surface image acquired from the outsid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position away from the light source (the image (a) of FIG. 5). And gray level distribution (b)).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contact is a dummy fingerprint, the light incident on the inside of the contact can be transmitted at a constant intensity within the dummy fingerprint, so that the gray level of the contact surface image acquired from the outside becomes almost constant anywhere (Fig. 6). See also image (A) and gray level distribution (B). In the prior art,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ntact is a bio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contact surface image.

이상에서, 전자의 선행기술은 필름 등에 인쇄된 형태의 모조지문인 경우에 적용가능한 기술이며, 후자의 선행기술은 실리콘 고무와 같은 재료로 직접 손가락 형태로 제작한 모조지문의 경우에 적용가능한 기술이다. 바꾸어 말하면, 필름 등에 인쇄된 모조지문이 입력되었을 때에 후자의 기술로는 입력된 것이 모조지문인지를 판정할 수가 없으며, 또한 직접 손가락 형태로 제작된 모조지문이 입력되었을 때에 전자의 기술로는 이것이 모조지문인지를 판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In the above, the former prior art is a technique applicable to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of the form printed on a film or the like, the latter prior art is a technique applicable to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nger directly from a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In other words, when the imitation fingerprint printed on a film or the like is input, the latter technique cannot determine whether the imitation fingerprint is input, and when the imitation fingerprint produced in the form of a finger is input, the imitation fingerprint is used by the former techniqu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fingerprint.

본 발명은 어떠한 형태의 모조지문이라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앞에서 소개한 두 가지 방식(접촉체의 표면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판단하는 방식 및 흡수식, 산란식으로 취득된 두 영상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식)을 모두 채용한 모조지문 식별 방법 및 시스템을 고안함으로써, 교묘해지고 있는 지문복제에 대해 보다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order to identify any form of imitation fingerprint,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two methods introduced above (by determining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surface image of the contact, and comparing the two images acquired by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equations). By devising a method and a system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 that employs all of them, it is possible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the sophisticated fingerprint reprodu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시스템에 흡수식, 산란식에 의한 모조지문 식별방법/장치 및 외부광조사에 의한 모조지문 식별방법/장치를 모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모조지문을 식별할 수 있는 모조지문 식별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 device by the absorption type, scattering expression and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 device by external light irradiation in one system, the imitation fingerprint which can identify various types of imitation fingerprints It is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의 일특징에 따르면, 지문취득장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물체(이하, "접촉체")의 영상을 취득하여 접촉체가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tact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by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a fingerprint input window of a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1) 지문입력창에 놓인 접촉체에 대하여 광학적 산란식으로 제1영상을 취득하고, 접촉체에 대하여 광학적 흡수식으로 제2영상을 취득하여, 이들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2) 상기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접촉체를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3) 상기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서로 반전된 경우에는, 접촉체의 접촉표면에 인접한 내측을 따라서 광이 투과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여, 접촉체에 조사된 외부광이 접촉체의 내부를 투과한 후 접촉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검출하여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취득하는 단계, (4) 취득된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여,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생체지문임을 판정하고,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모조지문임을 판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1) acquiring a first image by an optical scattering method for a contact placed on a fingerprint input window, and acquiring a second image by an optical absorption method for a contact, and comparing the images, (2) the first image And comparing the second image to determine that the contrast of the two images is not inverted. (3)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to invert the contrast of the two images. The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to transmit light along the inner side adjacent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and detects that the external light irradiated to the contac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tact and then exits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Acquir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4) analyzing a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acquired third image, and determining that the contact is a biofingerprint i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s to a biofingerprint; Visual The ray-level distribution Having a gray level distribution in the artificial fingerprint consists of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artificial fingerprint contact the body.

상기 (2) 단계에서는, 제1, 제2영상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클 때에 양 영상의 명암반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제2영상의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작을 때에 양 영상의 명암반전이 없는 모조지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ep (2),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ay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trast in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and the gray level in th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determined.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s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characterized by the imitation fingerprint without contrast contrast of both images.

상기 단계 (4)는,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지점(이하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외부광이 입사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각 구간별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감소할 경우에 생체지문으로 판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In the step (4), a plurality of sections may be se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int where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body (hereinafter, the incident position)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Detec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and determining the biological fingerprint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of each section decreases as the maximum value of the detected gray level is far from the point where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It is composed.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단계 (4)는,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각 구간별로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드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4) may include: setting a plurality of sec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an incident position at which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poin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diagram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Setting a reference range of the maximum gray level for each section, calculating a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t section,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ction with a set reference range If i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bio fingerprint.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단계 (4)는,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각 구간별로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4) may include: setting a plurality of sec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an incident position at which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poin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diagram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Setting an average value reference range of gray levels for each section,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gray levels in each of the set sections, and compa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gray levels for each section with a set reference range If included within, determining to be a biofingerprint.

한편,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구성으로서, 위에서와 같이 제1영상과 제2영상을 취득한 후에 이들을 비교하여 접촉체가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제3영상을 따로 취득하는 방식 말고도,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우선적으로 제1, 제2, 제3영상을 각각 취득해 놓은 상태에서, 이들 세 가지 영상들 중에서,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거나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여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체가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고,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각 판정의 구체적인 방법은 앞에서 각 특징별로 개시한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acquiring the third image separately when the contact is determined to be a fake fingerprint after compar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s described above, In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images are first obtained,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is inverted or the gray of the third image is compared by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mong the three images. When the level distribution is analyzed and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bio fingerprint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is a bio fingerprint,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not inverted or the third image is compared. I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dummy fingerprin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tact body is a dummy fingerprint. The specific method of each determination in this case can be mad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r each featu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장치는, 지문입력창 및 입력된 지문의 영상이 출사되는 지문출사면을 포함하는 프리즘과,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의 내면에서 전반사되지 않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산란식 지문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1광원과,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의 내면에서 전반사되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흡수식 지문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2광원과, 상기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에 인접한 내부를 따라 광이 투과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는 제3광원과, 상기 제1광원, 제2광원, 제3광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광원제어부와, 상기 광원제어부에 의해 제1광원이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1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2광원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2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3광원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검출하는 영상검출부와, 상기 영상검출부에서 검출한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처리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서로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조지문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제1모조지문판정부와, 상기 제1모조지문판정부에서 제1, 제2영상의 명암이 반전된 것으로 분석한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로부터, 상기 제3영상이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지 분석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제2모조지문판정부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ism including a fingerprint input window and a fingerprint exit surface from which the image of the input fingerprint is emitted, and emits light at an angle that is not totally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A first light source installed at a position for performing scattered fingerprint acquisition, a second light source installed at a position for emitting light at an angle totally reflecte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and performing an absorption fingerprint acquisition; A third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external light to transmit light along an inside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contact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and a light source controller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light source, the second light source, and the third light source; When the first light source is turned on by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the first image emitted from the fingerprint output surface of the prism is detected. When the second light source is turned on, the fingerprint output of the prism is detected. An image detector for detecting a second image emitted from the second image source and detect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the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when the third light source is turned on; A first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that processe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outputs a result of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ation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is not inver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n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In the case where the contrast of the image is analyzed as being inverte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nalyzed by analyzing whether the third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a bio fingerprint or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a fake fingerprint from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It consists of a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for outputting.

상기 제1모조지문판정부는 제1영상 및 제2영상의 각 영상의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을 계산하는 수단과, 양 영상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클 때에는 양자의 명암반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작을 때에는 양 영상의 명암반전이 없는 모조지문으로 판정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ing unit comprises means for calculating a sum of differences of gray levels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each imag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nd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s of gray levels of both images is larger than a reference value, It is judged that there is a contrast inversion, and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s of the gray levels in the predetermined area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constituted by means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without the contrast inversion of both images.

상기 제2모조지문판정부는,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검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외부광이 입사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각 구간별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감소할 경우에 생체지문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The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detects a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section se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and detects the detected gray level. Means for discriminating with the biofingerprint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ction decreases as the maximum value of the further away from the point at which external light starts to be inciden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모조지문판정부는,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설정된 그레이레벨 최대값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드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section set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poin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Means for calcula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of the set sections,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with the set gray level maximum value reference range to determine that it is a bio fingerprint. It includes.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모조지문판정부는, 제3영상의 거 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설정된 그레이레벨 평균값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the maximum gray level in each section set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Means for detecting a value,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gray levels in each of the set intervals,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gray level average value with a set gray level average value reference range to determine that the fingerprint is a biofingerprint It includes.

또한, 상기 제2광원의 빛이 상기 프리즘 내부로 들어가는 경로에는, 프리즘 내부에서 나오는 빛은 반사되지 않으며 상기 제2광원의 빛은 프리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반반사투광막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반사투광막에는 확산판처리가 되어 제2광원으로부터의 빛이 프리즘에 확산되어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th of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source to the inside of the prism,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prism is not reflected, and further includes a semi-reflective projection film to allow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source to enter the prism,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mi-reflective film is subjected to a diffusion plate treatment so that ligh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diffuses into the prism and is incid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상기 제1, 제2모조지문판정부처럼 제1, 제2영상 및 제3영상을 순차적으로 취득하여 모조지문여부를 판정하는 대신에, 제1, 제2, 제3영상을 각각 모두 취득해 놓고나서, 이들 영상을 처리하여 단일의 모조지문판정부에서 모조지문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본 발명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sequentially acquiring the first, second image and the third imag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judg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imitation fingerprint, first, second After all of the second and third images have been acquired, the images may be processed to determine whether the single fingerprint is determined by the single fake fingerprint judgment uni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in this case is as follows.

지문입력창 및 입력된 지문의 영상이 출사되는 지문출사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의 내면에서 전반사되지 않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산란식 지문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1광원;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의 내면에서 전반사되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흡수식 지문취 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2광원; 상기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에 인접한 내부를 따라 광이 투과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는 제3광원; 상기 제1광원, 제2광원, 제3광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광원제어부; 상기 광원제어부에 의해 제1광원이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1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2광원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2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3광원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검출하는 영상검출부; 상기 영상들 중에서,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거나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여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체가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고,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모조지문판정부. A prism including a fingerprint input window and a fingerprint exit surface on which an image of the input fingerprint is emitted; A first light source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emits light at an angle that is not totally reflecte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to perform scattered fingerprint acquisition; A second light source installed at a position to emit light at an angle totally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to perform absorption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A third light source irradiating external light to transmit light along an interior adjacent to a surface of the contact body contacting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A light source controller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light source, the second light source, and the third light source; When the first light source is turned on by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a first image emitted from the fingerprint exit surface of the prism is detected, and when the second light source is turned on, a second image exited from the fingerprint exit surface of the prism is detected. An image detector detect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the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when the third light source is turned on; Among the images, when the contrast of both images is inverted by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or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is analyzed to have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bio fingerprint, the contact is a bio fingerprint. A counterfeit which determines that the contact is a dummy fingerprint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not reversed or whe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dummy fingerprint. Fingerprint Verdict.

이 구성에 있어서, 모조지문판정부에서의 생체지문 또는 모조지문 여부의 판정의 구체적인 작용은 앞에서 개시한 제1 및 제2모조지문판정부의 작용과 동일하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specific action of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biometric fingerprint or the imitation fingerprint in the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ations described abo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 방법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일부, 즉,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먼저 취득하여 이들을 분석함으로써 접촉체가 모조지문이라고 판 정된 경우에 제3영상을 취득하여 재차 모조지문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는 것이다. 이 방식 말고 앞에서 개시한, 제1, 제2, 제3영상을 모두 취득해 놓고서, 이들로부터 접촉체가 모조지문인지 생체지문인지를 판정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예의 개별적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method for identify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first acquired and analyzed, and when the contact body is determined to be a fake fingerprint, the third image is acquired aga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a fake fingerprint is present is introduced. The configuration for acquiring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mages disclosed abov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tact is a fake fingerprint or a bioprint from them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individual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re will be.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방법, 즉, 지문취득장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물체(이하, "접촉체")의 영상을 취득하여 접촉체가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를 판별하는 방법의 처리 흐름도이다.7 is a method for identifying a fake finger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tact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by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a fingerprint input window of a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Is the flow of processing.

(1) 지문입력창에 놓인 접촉체에 대하여 광학적 산란식으로 제1영상을 취득하고[102], 접촉체에 대하여 광학적 흡수식으로 제2영상을 취득하여[104] 이들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106]. (1) acquiring a first image by optical scattering for a contact placed on a fingerprint input window [102], and acquiring a second image by optical absorption with a contact [104] and comparing these images [106]. ].

제1영상은 산란식으로 취득하고 제2영상은 흡수식으로 취득하는데, 장치적 측면에서 본 단계는 하나의 광학계에서 산란식과 흡수식이 공통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산란식 영상과 흡수식 영상의 취득 순서에 제한이 있는 것도 아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 방법과 장치는 모조지문 식별 기능에 대한 것을 개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생체지문으로부터 지문영상에 대한 인증을 수행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문인증에 사용할 지문영상을 산란식으로 취득하는 시스템인 경우에는 산란식 지문영상의 품질확보가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first image is acquired by the scattering equation and the second image is acquired by the absorption equation. In terms of the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cattering equation and the absorption equation are commonly implemented in one optical sys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acquisition order of the scattered image and the absorbed image. However,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but in reality, it is also necessary to perform the basic function that should perform authentication on the fingerprint image from the bio fingerprint. Therefore, in the case of a system for acquiring a fingerprint image to be used for fingerprint authentication in a scattering manner, the quality of the scattering fingerprint image should be prioritized.

(2) 상기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107] 상기 접촉체를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108].(2)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nd determining that the contact is a fake fingerprint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is not inverted [107].

반복설명하지만, 흡수식 지문취득장치에서는 융선 부분에서 광의 흡수가 일어나므로 취득된 영상에 있어서 지문의 융선은 어둡게, 골은 밝게 나타난다. 반면에 산란식 지문취득장치에서는 융선 부분에서 광의 산란이 일어나므로 융선이 밝게, 골이 어둡게 나타나게 되어 흡수식과 명암이 반전된 지문영상이 취득된다. 도2에서 이러한 지문영상 명암 반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2의 (a)는 산란식으로 취득된 생체지문 영상을 예시하고 있고, 도2의 (b)는 흡수식 지문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된 생체지문 영상을 예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bsorption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light absorption occurs in the ridge portion, so that the ridge of the fingerprint is dark and the valley is bright in the acquired image. On the other hand, in the scattering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light scattering occurs in the ridge, so that the ridge is bright and the bone is dark, and the absorption image and the contrast image are acquired. In FIG. 2, the contrast state of the fingerprint image may be confirmed. FIG. 2A illustrates a biofingerprint image acquired by a scattering equation, and FIG. 2B illustrates a biofingerprint image acquired by an absorption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반면에, 필름 등에 인쇄된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취득되는 영상이 흡수식이든 산란식이든 명암이 서로 반전되지 않고 동일하게 얻어진다. 필름에 인쇄된 형태의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흡수물질로 덮여있는 진한 부분(잉크 부분으로서 주로 흑색임)에서는 흡수식이든 산란식이든 관계없이 빛이 흡수되어 어둡게 나타나고 밝은 부분(필름의 바탕재질임)에서는 반사되어 밝게 나타난다. 따라서 필름에 인쇄된 형태의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흡수식이든 산란식이든 동일한 형태의 영상이 취득된다. 도3에 필름에 인쇄된 형태의 모조지문으로부터 취득된 영상을 예시하고 있다. 도3의 (a)는 흡수식 지문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된 영상이고 (b)는 산란식 지문취득 장치에 의해 취득된 영상을 예시한다. 도2와 비교하여 명암의 반전이 없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식 및 산란식 지문취득 장치로써 취득한 생체지문과 모조지문의 영상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면 본 발명의 방법과 같이, 필름에 인쇄된 형태의 모조지문도 완전하게 식별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printed on a film or the like, whether the acquired image is an absorption type or a scattering type, the contrast is obtained without being inverted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imitation fingerprints printed on the film, light is absorbed in the dark areas (mainly black as ink parts) covered with the absorbing material, regardless of absorption or scattering, and appears dark in the light areas (the base material of the film). Appears brigh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of the type printed on the film, an image of the same type is acquired whether it is an absorption type or a scattering type. Fig. 3 illustrates an image obtained from a fake fingerprint in a form printed on a film. 3A is an image acquired by the absorption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and (b) illustrates an image obtained by the scattering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inversion of contrast compared to FIG. Since the images of the biological fingerprint and the imitation fingerprint obtained by the absorption type and the scattering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using such a property makes it possible to completely identify the imitation fingerprints printed on the film lik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실제로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비교하여 모조지문을 식별해 낼 때에는, 각 취득 영상의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을 계산하여 양자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클 때에는 생체지문으로 판정하고,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작을 때에는 모조지문으로 판정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을 아래 수식으로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소정 영역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한 그레이레벨의 차이를 구하고 소정 영역 내의 모든 픽셀에 대해서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을 구하는 것이다.By using this principle, when the dummy fingerprint is identified by compar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the sum of the differences of the gray levels of the two images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sum of the differences of the gray levels in the predetermined region of each acquired image. If it is larger than this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as a bio fingerprint, and if the sum of the differences of gray levels in a predetermined area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a method of determining as a fake fingerprint can be used. For example, the sum of the differences of gray levels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gray levels for pixels corresponding to the same position in a predetermined area is calculated, and the sum of differences in gray levels for all pixels in the predetermined area is obtained.

Figure 112005059672479-pat00001
Figure 112005059672479-pat00001

Ga(a,b) : 흡수식으로 취득한 이미지에 있어서 좌표(a,b)에서의 그레이레벨G a (a, b): Gray level at coordinates (a, b) in an image acquired by absorption

Gs(a,b) : 산란식으로 취득한 이미지에 있어서 좌표(a,b)에서의 그레이레벨G s (a, b): Gray level at coordinates (a, b)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scattering equation

j, k : 소정 영역의 시작좌표j, k: starting coordinates of the predetermined area

(m+1)x(n+1) : 소정 영역의 크기(m + 1) x (n + 1): the size of the predetermined area

이상의 설명을 요약하면, 앞의 종래기술 항목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산란식으로 취득된 영상과 흡수식으로 취득된 영상은, 생체지문의 경우에는 그 융선과 골의 명암이 서로 반전되어 취득되기 때문에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비교하여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 판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2영상의 소정 영역에 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을 계산하여 양자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클 때에는 명암 반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제2영상의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작을 때에는 명암 반전이 없는 모조지문임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Summarizing the above description,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tem, the image acquired by the scattering equation and the image acquired by the absorption equation are obtained because the contrast of the ridges and the bones is obtained by inverting each other in the case of the biofingerprint. The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ngerprint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More specifically,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ay levels in the predetermined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calculated, and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ay levels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trast inversion.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s in the gray levels in th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two image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will be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dummy fingerprint has no contrast inversion.

(3) 상기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서로 반전된 경우에는[109], 접촉체의 접촉표면에 인접한 내측을 따라서 광이 투과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여, 접촉체에 조사된 외부광이 접촉체의 내부를 투과한 후 접촉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검출하여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취득하는 단계[110].(3)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inverted from each other [109],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to transmit light along the inner side adjacent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And detect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the contact by detecting that the irradiated external ligh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tact and then exits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110].

본 단계는, 상기 제1, 제2영상의 비교결과, 명암 반전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다른 형태의 모조지문인지 재차 확인하기 위하여, 앞에서 설명한 선행기술 중 하나인, 외부광 조사에 의한 모조지문 판정 방법을 추가로 적용하기 위한 단계이다. 외부광을 손가락 지문 표면에 조사하여 투과영상을 취득하는 기술은 이미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특허등록한 기술이다. 여기서 외부광은 적외선 등의 비가시광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광원은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도록 장치 내에 은닉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조지문을 판별하는 장치인 것이 드러날 경우에 부정 사용자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른 수단을 강구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In this step,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ages, the contrast is reversed, in order to check again whether it is another type of imitation fingerprint, to determine the imitation fingerprint by external light irradiation, one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Steps to further apply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for obtaining a transmission image by irradiating the surface of the finger fingerprint with external light is a technology that has been previously filed and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Here, the external light is preferably invisible light such as infrared ray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is preferably installed hidden in the apparatus so that the user is not visible. This is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fraudulent users taking other means to overcome the countermeasures when they are found to be a device for determining a counterfeit fingerprint.

(4) 취득된 제3영상(즉, 외부광 조사에 의해 취득한 표면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여[112],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생체지문임을 판정하고[114],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최종적으로 상기 접촉체가 모조지문임을 판정하는 단계[108].(4) analyzing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acquired third image (i.e., the surface image acquired by external light irradiation) [112], and i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s to the bio fingerpri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is a bio fingerprint [ 114] I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dummy fingerprint, finally determining that the contact is a fake fingerprint [108].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여 접촉체가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 판정하는 것은, 도5 및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부광이 접촉체의 표면에 입사되는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각 구간마다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의 감소도가 생체지문과 모조지문간에 다른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act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as shown in FIGS. 5 and 6, as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is increased for each section. The reduction in the maximum gray level can be achieved by identifying other characteristics between the biometric fingerprint and the imitation fingerprint.

즉,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접촉체(52)에 광이 입사되는 점(O)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구간이 설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 P1, P2, P3, ..., Pn 이 존재함을 볼 수 있다. 각 구간 1, 2, ..., n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 P1, P2, ..., Pn 을 검출하여 이들 최대값 간에 P1>P2>...>Pn의 관계가 성립한다면 접촉체를 생체지문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모조지문으로 판정할 수 있다(도6 참조). 여기서, 접촉체의 광입사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그레이레벨만 검출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구간별 분석방향은 도5와 도6의 화살표방향으로의 1라인 정도면 충분하다. That is, referring to FIGS. 4 and 5, it can be seen that a predetermined section is set in the + X axis direction from the point O at which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body 52.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maximum values P1, P2, P3, ..., Pn of gray levels in each section. If the maximum values of gray levels P1, P2, ..., Pn in each interval 1, 2, ..., n are detected and the relationship of P1> P2> ...> Pn is established between these maximum values, Can be determined as a bioprint, otherwise it can be determined as a fake fingerprint (see Fig. 6). Here, since only the gray level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ight incidence point of the contact can be detect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ined. Therefore, the analysis direction for each section is sufficient as about one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in FIGS. 5 and 6.

한편, 상기 도4~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외부광 조사에 의한 모조지문 식별방법을 이용하더라도, 특정 재질의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도8에서와 같이, 지문입력창(50)의 평면창의 지문영상 접촉한계선(62)으로부터 d의 거리만큼 광원(54)으로부터 떨어져서 접촉체(51)가 접촉되는 경우에도 모조지문에 대한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는 도9와 같이 생체지문의 그레이레벨 분포와 유사하게 판단될 수 있다(도5의 그레이레벨 분포와 도9의 분포를 비교해 보면 전체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판 단될 가능성이 크다). 즉, "특정 투광 특성을 갖는 모조지문이 지문입력창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접촉된 경우에" 취득된 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는, 도5에 나타낸 "생체지문이 지문입력창의 접촉한계선에 일치하여 접촉된 경우에" 취득된 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로 오인식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using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by the external light irradia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6, in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of a specific material, as shown in Figure 8, the fingerprint image of the flat window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50 Even when the contact body 51 is contacted away from the light source 54 by a distance d from the contact limit line 62,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for the imitation fingerprint is similar to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bio fingerprint as shown in FIG. (Comparing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FIG. 5 and the distribution of FIG. 9 is likely to be similar in general). That is,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acquired image "when a dummy fingerprint having a specific light transmitting property is contact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is obtained by contacting the "bioprint which is shown in FIG. 5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limit lin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In this case,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misidentified as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acquired image.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즉, 지문입력창의 접촉한계선으로부터 떨어져 접촉된 경우에 발생하는 식별상의 오류를 해소하기 위하여, 모조지문의 그레이레벨 분포와 생체지문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비교하되, 상기 접촉한계선으로부터 옵셋된 위치에서부터 상기 비교를 수행함으로써, 지문이 지문입력창으로부터 떨어져 접촉되는 경우까지도 감안한 모조지문을 판정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8을 통해 언급한 것과 같이 지문입력창(50)의 지문영상 접촉한계선(62)으로부터 d의 거리만큼 광원(54)으로부터 떨어져서 생체지문 손가락(51)이 접촉되는 경우의 생체지문 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는 도10과 같이 된다. 여기서, 접촉한계선(62)으로부터 d의 거리 동안에는 입사광이 그대로 통과되어 그레이레벨의 변화가 없는 구간(72)이 있고, 그 이후 구간부터는 도2에서와 같은 정상적인 레벨 분포(74)가 일어난다. 반면에,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앞에서 살펴보았던 도9에서와 같이 광이 그대로 통과되는 구간(64)이 지나자마자 광이 투과하지 못하고 그레이레벨이 뚝 떨어지게 된다(66 구간). 따라서 생체지문을 지문입력창의 접촉한계선으로부터 떨어뜨려서 접촉한 경우의 그레이레벨 분포와, 모조지문이 지문입력창의 접촉한계선으로부터 떨어져 접촉된 경우의 그레이레벨 분포는 분명히 차이가 난다.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조지문을 식별해 내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구간별 그레이레벨 의 최대값을 비교하는 과정의 시작 위치를, 도5에서와 같이 접촉한계선(즉, 도5 그래프에서의 원점)이 아니라 x축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로 정한다. 이하에서는 이 위치를 "옵셋거리(Lo)"라 칭한다(도11~13 참조).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at is, in order to solve the identification error that occurs when the contact is touched away from the contact limit lin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fake fingerprint and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biofingerprint are compared, but offset from the contact limit line. By performing the comparison from the position, the counterfeit fingerprint was determined even in the case where the fingerprint was contacted away from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Specificall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biofingerprint when the biofingerprint finger 51 is contacted away from the light source 54 by a distance d from the fingerprint image contact limit line 62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50.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image is as shown in FIG. Here, during the distance d from the contact limit line 62, the incident light passes as it is, and there is a section 72 where there is no change in the gray level, and thereafter, a normal level distribution 74 as in FIG. 2 occu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as soon as the section 64 through which the light passes as it is, as shown in FIG. 9, the light does not transmit and the gray level falls down (66 sections). Therefore, the gray level distribution when the biological fingerprint is touched away from the contact limit lin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and the gray level distribution when the fake fingerprint is touched away from the contact limit lin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are clearly different. In order to use such a dif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 position of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ction described above to identify the counterfeit fingerprint is a contact limit line as shown in FIG. It is determined as a position away from the x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ereinafter, this position is referred to as "offset distance Lo" (see Figs. 11 to 13).

이와 같이,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물체의 그레이레벨 분포에 대해서 x축으로의 구간별 그레이레벨의 분포를 비교하는 과정에 있어서, 접촉한계선으로부터 Lo만큼 떨어진 위치로부터 이 비교과정을 시작하게 되면, 도9와 같은 모조지문 그레이레벨 분포를 도10과 같은 생체지문 그레이레벨 분포와 비교하게 되므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특정 모조지문이 접촉한계선으로부터 떨어져 접촉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식별 오류의 문제가 해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영상 분석 단계[112]에서는 상기 광원(54)이 조사되는 지문입력창(50)의 시작 위치(도8의 62번 참조)로부터 소정 거리(옵셋거리 Lo)를 제외한 나머지 접촉면에 존재하는 그레이레벨의 분포에 대해서만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gray levels for each section on the x-axis with respect to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object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if the comparison process starts from a position separated by Lo from the contact limit line, FIG. Since the imitation fingerprint gray level distribution as shown in FIG. 9 is compared with the bio fingerprint gray level distribution as shown in FIG. 10, the problem of identification error that occurs when a specific imitation fingerprint is contacted away from the contact limit line as described above is solved. To this end, in the third image analyzing step [112], the light source 54 is applied to the remaining contact surface except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offset distance Lo) from the start position (see No. 62 of FIG. 8)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50 to which the light source 54 is irradiated. Only for the distribution of gray levels present.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접촉체로부터 취득된 제3영상을 분석하여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 판정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서 예시한다. Various methods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ngerprint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by analyzing the third image acquired from the contact using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첫째,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지점(이하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외부광이 입사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각 구간별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감소할 경우에 생체지문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방식은, 도11에서와 같이, 접촉체 표면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 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도5의 "62")에서 멀어지는 방향(x축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L1, L2, L3, ..., Ln)을 설정하되, 입사위치(62)로부터 소정 거리(Lo, 옵셋거리)는 제외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P1, P2, P3, ..., Pn)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 간에 P1>P2>P3>...>Pn의 관계가 성립하면 상기 접촉체는 생체지문이고, 그렇지 않으면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도11과 같은 그레이레벨의 분포는 생체지문에 대한 것이고,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도9와 같은 그레이레벨을 띠게 되므로 생체지문과 모조지문을 판별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만일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제3영상이 도9와 같은 그레이레벨 분포를 띠기 때문에 옵셋거리(Lo; 도9에서는 d) 이후 구간부터는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전 구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해진다. 따라서 각 구간별 그레이레벨의 최대값 간에 P1>P2>P3>...>Pn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게 되므로 모조지문을 판정해 낼 수 있는 것이다. First, a plurality of sections are se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int where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body (hereinafter, the incident position)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s in each of the set sections. And detecting the biometric fingerprint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detected gray level decreases as the maximum value of each gray level decreases as the maximum value of the detected gray level becomes farther from the point where external light starts to enter. Can be. Specifically, in this method, as shown in FIG. 11, the distance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62" in FIG. 5)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contact surface image by distance (x-axis direction). Set a plurality of sections (L1, L2, L3, ..., Ln), except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Lo, offset distance) from the incident position 62, and for each of the set section of the third image Calculating the maximum values P1, P2, P3, ..., Pn of the gray levels, and if the relationship of P1> P2> P3> ...> Pn is established between the calculated maximum gray levels, The contact consists of determining that it is a biofingerprint, otherwise it is a fake fingerprint. The distribution of gray levels as shown in FIG. 11 is for the biofingerprint, and in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the gray levels as shown in FIG. 9 can be distinguish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since the third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as shown in FIG. 9,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s almost constant from the interval after the offset distance Lo (d in FIG. 9) over the entire interval. Therefore, since the relationship of P1> P2> P3> ...> Pn does not hold between the maximum gray level of each section, a counterfeit fingerprint can be determined.

두 번째 방식은, 일단 첫 번째 방식에서와 같이,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각 구간별로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드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2를 참조하면, 접촉체 표면영상, 즉 제3영상 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도4의 "62")에서 멀어지는 방향(x축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L1, L2, L3, ..., Ln)을 설정하되, 입사위치(62)로부터 소정 거리(Lo)는 제외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 기준범위(Rp1, Rp2, Rp3, ..., Rpn)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P1, P2, P3, ..., Pn)을 산출하는 단계와, 각 구간별로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범위(Rp1, Rp2, Rp3, ..., Rpn)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드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second method, as in the first method, after setting the plurality of sec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poin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diagram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the set angle Setting a reference range of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ction, calculating a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t section,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ction with the set reference range If within the range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fingerprint. It demonstrates concretely. Referring to FIG. 12, the contact surface image, i.e., a plurality of distances (x-axis directions)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62" in FIG. 4) where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poin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third image. Setting the sections L1, L2, L3, ..., Ln, excl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Lo from the incident position 62, and setting the reference value Rp1, Setting Rp2, Rp3, ..., Rpn), calculating maximum values P1, P2, P3, ..., Pn of gray levels for each of the set sections, and calculating the respective sections. And compa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Rp1, Rp2, Rp3, ..., Rpn, and determining that the fingerprint is a biofingerprint if it falls within the reference range.

세 번째 방식은,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각 구간별로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도13에서와 같이,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이용하지 않고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접촉체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도4의 "62")에서 멀어지는 방향(x축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L1, L2, L3, ..., Ln)을 설정하되, 입사위치(62)로부터 소정 거리(Lo)는 제외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의 기준범위(Rm1, Rm2, Rm3, ..., Rmn)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 벨의 평균값(M1, M2, M3, ..., Mn)을 산출하는 단계와, 각 구간별로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M1, M2, M3, ..., Mn)을 미리 설정된 기준범위(Rm1, Rm2, Rm3, ..., Rmn)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드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로 구성한다.In a third method, after setting a plurality of sec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an incident position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a contact in a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of distances of a third image, the average value reference range of gray levels for each set section is determined. The step of setting the; and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of the set section, and compa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gray level for each section with the set reference range to be a bio fingerprint And determining. In this method, as shown in Fig. 13, the average value of gray levels is used instead of the maximum value of gray levels for each section. That is, a plurality of sections L1, L2, L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62” in FIG. 4) where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point (“62” in FIG. 4)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contact third image. Ln), but excl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Lo from the incident position 62, and reference ranges Rm1, Rm2, Rm3, ..., of the average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t interval. Rmn), calculating average gray level values M1, M2, M3, ..., Mn for each of the set sections, and calculating the average gray level M1, calculated for each section. Comprising: M2, M3, ..., Mn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range (Rm1, Rm2, Rm3, ..., Rmn) and is determined to be a bio fingerprint when it falls within the reference range.

다음에,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장치 구성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n example of an apparatus configuration to which the above method can be applied will be described.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데,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을 하나의 광학계로서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학식 지문취득 장치에 있어서, 흡수식과 산란식의 장치적 차이점은 지문입력창에 광을 입사시킬 때, 내부 전반사를 일으키는 각도로 입사시키느냐 아니냐에 따라 구별된다. 따라서 이를 하나의 광학계로 구현하기 위하여 도14에서와 같이 하나의 프리즘(200)에 두 개의 제1광원(210) 및 제2광원(212)을 설치하여 산란식과 흡수식을 각각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외부광 조사를 하기 위하여 프리즘(200)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손가락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도록 제3광원(214)을 설치한다. Fig. 14 shows a configuration of an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nfigured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optical system. In the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sorption type and the scattering type device is distinguished by whether or not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at an angle ca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this as one optical system, as shown in FIG. 14, two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210 and 212 are installed in one prism 200 so that a scattering equation and an absorption equation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In addition, the third light source 214 is installed to irradiate light to the surface of the finger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200 in order to irradiate the external light.

도1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문취득 장치는 Referring to Figure 14 in more detail, th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취득코자 하는 지문이 접촉되는 지문입력창(202) 및 지문 영상이 출사되는 지문출사면(204)을 포함하는 프리즘(200); 상기 프리즘(200)의 지문입력창(202)에서 전반사되지 않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산란식 지문취득을 수 행하기 위한 제1광원(210); 상기 프리즘(200)의 지문입력창(202)에서 내부 전반사되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흡수식 지문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2광원(212); 상기 지문입력창(202)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에 인접한 내부를 따라 광이 투과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는 제3광원(214); 상기 제1광원(210), 제2광원(212), 제3광원(214)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광원제어부(220); 상기 광원제어부(220)에 의해 제1광원(210)이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204)에서 출사되는 제1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2광원(212)이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204)에서 출사되는 제2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3광원(214)이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204)을 통해 보이는 지문입력창(202)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검출하는 영상검출부(230); 상기 영상검출부(230)에서 검출한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처리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서로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조지문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제1모조지문판정부(240); 상기 제1모조지문판정부(240)의 분석 결과, 양 영상의 명암이 서로 반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로부터, 상기 제3영상이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지 분석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제2모조지문판정부(250); 상기 광원제어부(220), 영상검출부(230), 제1모조지문판정부(240), 제2모조지문판정부(250)로 제어명령신호를 전송하고 이들로부터 처리결과 신호를 수신하는 주제어부(260)로 구성된다. A prism 200 including a fingerprint input window 202 for contacting a fingerprint to be acquired and a fingerprint exit surface 204 for outputting a fingerprint image; A first light source 210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emits light at an angle that is not totally reflected from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202 of the prism 200 to perform scattered fingerprint acquisition; A second light source 212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emits light at an angle totally internally reflected from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202 of the prism 200 to perform absorption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A third light source 214 for irradiating external light to transmit light along an interior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contact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202; A light source controller 220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light source 210, the second light source 212, and the third light source 214; When the first light source 210 is turned on by the light source controller 220, the first image emitted from the fingerprint output surface 204 of the prism is detected. When the second light source 212 is turned on, the prism is detected. The second image emitted from the fingerprint output surface 204 of the sensor is detected, and when the third light source 214 is turned on, the contact is made to contact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202 visible through the fingerprint output surface 204 of the prism. An image detector 230 for detect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the sieve; A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240 that processe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230 and outputs a result of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ation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is not inver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240, when the contrasts of the two images are inverted from each other,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biological fingerprint is obtained from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A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250 for analyzing whether the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imitation fingerprint and outputting a determination result; The main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220, the image detection unit 230,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240, and the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250 and receives a processing result signal therefrom ( 260).

상기 프리즘(200)으로는 삼각 프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삼각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 평행사변형 내지는 사다리꼴 형태의 프리즘도 사용 되고 있다. 도14에서는 프리즘(200)과 광원(210, 212, 214), 영상검출부(230)를 지지하는 물리적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A triangular prism may be used as the prism 200, but it is not necessarily a triangular prism. Conventionally, parallelograms or trapezoidal prisms are also used. Although FIG. 14 does not show the physical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rism 200, the light sources 210, 212, and 214, and the image detector 230, the mechanism for supporting these components is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various ways. Since it may carry out, it does not describe concretely.

다시 도14로 돌아가서, 제1광원(210)은 산란식 지문취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프리즘(200)의 지문입력창(202)의 내측면에서 전반사될 수 있는 조건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1광원(210)의 위치는 프리즘(200)의 형상이나 프리즘 재질의 굴절률, 전체 광학계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다르게 될 것이다. 산란식 지문취득 장치 자체는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14 again, the first light source 210 is for implementing a scattering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can be totally reflec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202 of the prism 200. It is installed on condition.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first light source 210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rism 200,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ism material, the size or shape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and the like. The scattered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itself is well known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제2광원(212)은 흡수식 지문취득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문입력창(202)의 내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접촉체의 접촉 표면에서 최대한 산란되도록 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2광원(212)의 위치도 역시 시스템의 형태나 구성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흡수식 지문취득 장치도 공지된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The second light source 212 is for implementing an absorption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can be scattered as much as possible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without being totally refl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202.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ght source 212 may also be changed depending on the form or configuration of the system. Absorptiv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s are also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제3광원(214)은 제1, 제2광원과는 달리 프리즘(200)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접촉체의 접촉 표면에 외부광을 조사하는 광원이다. 제3광원(214)의 위치는 지문입력창(202)에 접촉되어 있는 접촉체의 접촉 표면의 내측을 따라 횡방향으로 빛이 투과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Unlike the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the third light source 214 is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external light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direct contac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rism 200. The position of the third light source 214 is provided at a position to irradiate external light so that light is transmit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202.

광원제어부(220)는 제1광원(210), 제2광원(212), 제3광원(214)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조지문을 식별하기 위하여, 산란식에 의한 지문영상(제1영상)과, 흡수식에 의한 지문영상(제2영상)과,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취득해야 하는데, 하나의 광학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1~제3영상을 동시에 모두 취득할 수는 없으므로 각각 순차적으로 취득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순차적 영상취득을 위하여 제1~제3광원도 순차적으로 점등되어야 할 것이다. 광원제어부(220)가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광원의 점등 순서는 임의적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장치는 모조지문 식별의 기능에 앞서서 기본적으로 지문인증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므로, 지문인증을 위한 우량 화상품질을 얻기 위한 방식으로 당업자에 의해 설계될 것이다. The light source controller 220 is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light source 210, the second light source 212, and the third light source 2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imitation fingerprint, a fingerprint image (first image) by a scattering equation, a fingerprint image (second image) by an absorption formula, and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a contact body should be acquired. Since one optical system is used, all of the first to third images cannot be acquir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first to third light sources should be sequentially turned on for the sequential image acquisition. The lighting sequence of the light source that the light source controller 220 selectively operates is arbitrary. However, since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has to perform a fingerprint authentication function prior to the function of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it will be desig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 manner to obtain a good image quality for fingerprint authentication.

도14에서, 영상검출부(240)는 집속렌즈(232)와 영상센서(234)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밖에 다른 구성요소도 포함될 수 있지만, 영상검출부(240)는 광학식 지문영상 취득 장치에서는 필수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FIG. 14, the image detector 240 includes a focusing lens 232 and an image sensor 234. In addition,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However, since the image detector 240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the optical fingerprint image capturing apparat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모조지문판정부(240)에서는 제1광원(210)의 점등시에 취득된 제1영상(즉, 산란식으로 취득된 영상)과 제2광원(212)의 점등시에 취득된 제2영상(즉, 흡수식으로 취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상호 반전된 상태인지 아닌지를 분석한다. 제1모조지문판정부(240)로부터 제1영상과 제2영상간에 명암 반전이 없다는 판정결과 신호가 출력되면, 주제어부(260)에서는 접촉체가 필름 등에 인쇄된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하여 사전 프로그래밍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가령, 시스템의 중단, 재입력 경고, 경보발령 등). 반대로, 상호간에 명암이 반전된 경우라면, 이 접촉체는 일단 필름 등에 인쇄된 모조지문은 아닌 것이지만 그렇다고 생체지문이라 고 판정할 수는 없다.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한 모조지문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광원제어부(220)에 의해 제3광원(214)을 동작시켜 접촉체 표면에 외부광을 조사하여 한 번 더 모조지문 여부에 대해서 검사한다. In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240, the first image acquired when the first light source 210 is turned on (that is, the image acquired by the scattering equation) and the second image acquired when the second light source 212 is turned on. Images (ie, images acquired by absorption) are compared to analyze whether the contrast of both images is inverted or not.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inversion of contrast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output from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240, the main control unit 260 determines that the contact body is a imitation fingerprint printed on a film or the like, and is pre-programmed. (Eg, system shutdown, re-entry warning, alarm). On the contrary, if the contrast is reversed, the contact is not a fake fingerprint once printed on a film or the like, but it cannot be determined as a bioprint. This is because it may be a fake fingerprint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Therefore, in this case, the third light source 214 is operated by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220 to irradiate external light to the contact surface to check whether the imitation fingerprint is once again.

이러한 영상의 비교에 의한 판독 방법은 영상처리 내지는 그래픽처리 분야의 당업자가 임의로 실시가능하다. 한 예로서 각 취득 영상의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을 계산한다. 각 영상이 반전된 경우라면 양자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은 매우 클 것이다. 반대로 영상이 반전되지 않고 동일한 경우에는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은 거의 동일할 것이다(노이즈 때문에 조금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이런 노이즈에 의한 차이는 공지된 영상처리 기법에 의해 충분히 처리가능함).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할 때에 설명해 놓았으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당업자의 재량하에 다양한 기법으로 양 영상의 명암반전 여부를 분석가능하다. The reading method by comparing the images can be arbitrar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image processing or graphics processing. As an example, the sum of differences of gray levels in a predetermined area of each acquired image is calculated. If each image is inverted, the sum of the differences in the gray levels of the two will be very large. On the contrary, if the image is not inverted and is the same, the sum of the differences in the gray levels in a predetermined area will be almost the same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due to noise, but the difference due to noise is sufficiently processed by know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vailable). Since this has been describ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not be described separate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ontrast of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by various techniques at the discre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위에서 제1모조지문판정부(240)로부터 제1영상과 제2영상 간에 명암 반전이 있다는 판정결과 신호가 주제어부(260)로 전송되면 주제어부(260)에서는 광원제어부(220)로 하여금 제3광원(214)을 점등시키고 시스템을 제어하여 제3영상을 취득토록 지시한다. 취득된 제3영상은 제2모조지문판정부(250)에서 분석처리된다. 제2모조지문판정부(2500에서는 외부광 조사에 의해 취득된 접촉체 표면영상, 즉,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로부터, 상기 제3영상이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지 분석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고, 주제어부(260)에서는 이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접촉체가 모조지문인지 판정하거나, 생체지문으로 판정하여 지문인증 처리를 속행하게 된다. 그레이레벨 분포의 분석에 의해 모조지문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에서 도10~13을 통해 설명한 바 있다.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that there is a contrast inversion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from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240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260, the main control unit 260 causes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220 to perform a third operation. The light source 214 is turned on and the system is controlled to instruct a third image to be acquired. The acquired third image is analyzed by the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250. Second imprint fingerprint determination unit (2500) From the contact surface image acquired by external light irradiation, that is,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whether the third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biofingerprint. The main controller 260 finally determines whether the contact is a fake fingerprint or a biometric fingerprint to continue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process by analyzing whether the gray level distribution has a corresponding gray level distribution. A method of identifying whether the fingerprint is imitate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문취득 장치에 있어서는 프리즘(200) 내부를 통과하도록 광을 조사하는 두 개의 광원, 즉, 제1광원 및 제2광원(210, 212)을 사용하므로, 도15에서와 같이 산란식으로 제1영상을 취득할 경우에 제1광원(210)의 광로 중간에 제2광원(212)이 위치하게 되므로, 제2광원(212)이 비록 소등되어 있다 하더라도 제1광원(210)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가 프리즘(200) 밖으로 출사되어 제2광원(212)에서 반사되어 프리즘(200)으로 재입사되는 빛(211)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 실제로 산란식 광학장치에서는 프리즘(200)의 제3면(206)을 검은색으로 코팅하여 반반사처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산란식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올바른 동작을 방해하게 되며, 특히 지문인증용 영상으로서 산란식 영상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지문영상의 품질 수준에 직결되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wo light sources irradiating light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prism 200, that is, the first light source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0 and 212, are used as shown in FIG. When the first image is acquired by the scattering equation, since the second light source 212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optical path of the first light source 210, even if the second light source 212 is turned off, the first light source 210 is turned off.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ism 200 is reflected by the second light source 212, the light 211 is re-incident to the prism 200 is presen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cattering optics are actually coated with a black color on the third surface 206 of the prism 200.) Since this phenomenon degrades the quality of the scattered image, the correct operation is performed. This i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especially in the case of a system using a scattering image as an image for fingerprint authentication,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quality level of the fingerprint imag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16에서와 같이, 프리즘(200)의 제3면(206)과 제2광원(212) 사이에 차단판(213)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흡수식으로도 영상을 취득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차단판(213)을 설치하게 되면 제2광원(212)이 프리즘(200) 내부로 빛을 조사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광학계에서 제1광원(210)과 제2광원(212)이 모두 작용할 수 있어야 하며(여기서 제3광원(214)은 프리즘의 내부로 빛을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논외로 함), 동시에 각 광원이 작용시에는 다른 광원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상기 차단판(213)은 빛이 투과는 하지만 반사율은 낮은 판(가령, 짙은색의 확산판 또는 태양 흑점 관찰용 흑색판 등)이어야 한다. 즉, 제1광원(210)이 점등시에는 프리즘(200)의 제3면(206) 전면을 블랙코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도록 짙은색을 띠고 있으며, 제2광원(212)이 점등시에는 제2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프리즘(200)의 제3면(206)을 통해 프리즘 내부로 입사되도록 투광성을 갖는 재질이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단판(213)을 반반사투광판(213)이라고 고쳐 부르기로 한다. 이 반반사투광판(213)에는 제2광원(212)의 빛이 프리즘(200)의 제3면(206) 전체면에 조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확산판 처리될 수 있다.(실제로 확산식 지문취득장치에서의 광원은 프리즘 입사면 전체를 조사하는 면발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반사투광판(213)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 16, a blocking plate 2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hird surface 206 of the prism 20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2.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must be acquired by absorption, when the blocking plate 213 is installed, the second light source 212 cannot irradiate light into the prism 200.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first light source 210 and the second light source 212 should be able to operate in one optical system (since the third light source 214 does not irradiate light into the prism) At the same time, each light source should not be affected by other light sources when it is operating. In consideration of this problem, the blocking plate 213 should be a plate that transmits light but has a low reflectance (for example, a dark diffusion plate or a black plate for observing sunspots). That is, when the first light source 210 is turned on, it has a dark color to give the same effect as black coat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206 of the prism 200, and when the second light source 212 is turned o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two light sources should be made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so as to be incident into the prism through the third surface 206 of the prism 200. Hereinafter, the blocking plate 213 will be referred to as a semi-reflective plate 213. The anti-reflective plate 213 may be diffused to treat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source 212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hird surface 206 of the prism 200. (In a diffus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a surface light emitting source for irradiating the entire prism incidence surface. The semi-reflective plate 213 can be easily appl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조지문 식별방법 및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구체적 표현상,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모조지문 식별방법 및 장치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fake fingerpr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but i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모조지문이 어떠한 형태로 제작되었더라도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양한 형태의 모조지문을 식별해낼 수 있다. 특히 산란식과 흡수식 영상취득을 하나의 광학계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필름 등에 인쇄된 모조지문을 비교적 단순한 하드웨어와 알고리즘으로써 식별해낼 수 있고, 종래에 지문입력창에 남았있는 지문자국(잔류지문)에 의해 오인식되던 문제도 필름 형태의 모조지문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잔류지문에 의한 지문인증 상의 오류도 함께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란식/흡수식 영상취득에 의해서도 식별하지 못하는 모조지문의 경우에는 외부광조사 방식으로 식별해 낼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비교적 단순한 알고리즘의 추가만으로 보안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mitation fingerprint is produced in any form,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imitation fingerprints of various forms in one system. In particular, since scattering and absorption image acquisition are performed in one optical system, imitation fingerprints printed on films and the like can be identified using relatively simple hardware and algorithms, and are conventionally misidentified by fingerprint marks (residual fingerprints) remaining in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Since the problem is similar to the imitation fingerprint in the form of a film, errors in fingerprint authentication due to the remaining fingerprint can be solv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mitation fingerprint which can not be identified even by the scattering / absorption image acquisition can be identified by an external light irradiation method, security can be further enhanced by only adding a relatively simple algorithm in one system.

Claims (23)

지문취득장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물체(이하, "접촉체")의 영상을 취득하여 접촉체가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contact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by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1) 지문입력창에 놓인 접촉체에 대하여 광학적 산란식으로 취득한 제1영상, 접촉체에 대하여 광학적 흡수식으로 취득한 제2영상, 접촉체의 접촉표면에 인접한 내측을 따라서 광이 투과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여, 접촉체에 조사된 외부광이 접촉체의 내부를 투과한 후 접촉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검출하여 취득한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마련하는 단계, (1) The first image acquired by the optical scattering method for the contact placed in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the second image acquired by the optical absorption method for the contact, and the external light is transmitted so that the light passes along the inner side adjacent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Provid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the contact body, which is obtained by detecting the external light irradiated to the contact body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tact body and exiting out of the contact body; (2) 상기 영상들 중에서,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거나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여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체가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고,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지 않은 경우 또는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2) In the above images,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inverted or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is analyzed to have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bio fingerprint, the contact member may be If the fingerprint is determined to be a bio fingerprint, and the contra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not reversed, or i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dummy fingerprint, the contact is a fake fingerprint. A fake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지문취득장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물체(이하, "접촉체")의 영상을 취득하여 접촉체가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contact is a biometric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by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1) 지문입력창에 놓인 접촉체에 대하여 광학적 산란식으로 제1영상을 취득하고, 접촉체에 대하여 광학적 흡수식으로 제2영상을 취득하여, 이들 영상을 비교 하는 단계,(1) acquiring a first image by an optical scattering method for a contact placed on a fingerprint input window, and acquiring a second image by an optical absorption method for a contact, and comparing these images; (2) 상기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접촉체를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2)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nd determining that the contact is a fake fingerprint when the contrast of both images is not reversed; (3) 상기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서로 반전된 경우에는, 접촉체의 접촉표면에 인접한 내측을 따라서 광이 투과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여, 접촉체에 조사된 외부광이 접촉체의 내부를 투과한 후 접촉체 외부로 출사되는 것을 검출하여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취득하는 단계,(3)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inverted from each other,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to transmit light along the inner side adjacent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body, Acquir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the contact by detecting that light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tact and then exits to the outside of the contact; (4) 취득된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여,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생체지문임을 판정하고,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모조지문임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4) Analyzing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acquired third image, i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bio fingerprint is determined, the contact is a bio fingerprint, and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is gray corresponding to the dummy fingerprint. And if the contact has a level distribution, determining that the contact is a fake fingerprint.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비교하여 명암 반전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trast of the contrast by comparing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제1, 제2영상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클 때에 양 영상의 명암반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ay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trast inversion between the two images. 제1, 제2영상의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작을 때에 양 영상의 명암반전이 없는 모조지문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The counterfeit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s of gray levels in the predetermined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unterfeit fingerprint is judged to have no contrast inversion between the two images.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nalyzing o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comprises: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지점(이하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plurality of sec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int where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body (hereinafter, the incident position)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외부광이 입사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각 구간별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감소할 경우에 생체지문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of the set intervals is detected,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detected gray level is far from the point at which external light starts to be incident,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section decreases.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ith the fingerprint.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nalyzing o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comprises: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Setting a plurality of sec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an incident position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Setting a maximum reference range of the gray level for each of the set sections;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산출하는 단계, Calculating a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of the set sections; 각 구간별로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드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 And comparing the maximum value of the calculated gray level for each section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and determining that the fingerprint is a biometric fingerprint.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는 단계 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nalyzing o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comprises: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수의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plurality of sections in a direction away from an incident position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 기준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Setting an average value reference range of gray levels for each of the set sections;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gray levels in each of the set sections; 각 구간별로 상기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설정된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 And compa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gray levels for each section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and determining that the fingerprint is a biofingerprint.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광 조사 단계에서의 광은 비가시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ight in the external light irradiation step is invisible light. 제4항에 있어서, 입사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는 제외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excl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cident position. 제5항에 있어서, 입사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는 제외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excl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cident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입사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는 제외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모조지문 식별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exclu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cident position. 지문취득장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물체(이하, "접촉체")의 영상을 취득하여 접촉체가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를 판별하는 시스템으로서,A system for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a fingerprint input window of a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tact body is a bio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지문입력창 및 입력된 지문의 영상이 출사되는 지문출사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A prism including a fingerprint input window and a fingerprint exit surface on which an image of the input fingerprint is output;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의 내면에서 전반사되지 않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산란식 지문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1광원,A first light source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emits light at an angle that is not totally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to perform scattered fingerprint acquisition;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의 내면에서 전반사되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흡수식 지문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2광원, A second light source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emits light at an angle totally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to perform absorption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상기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에 인접한 내부를 따라 광이 투과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는 제3광원,A third light source irradiating external light to transmit light along an interior adjacent to a surface of the contact body contacting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상기 제1광원, 제2광원, 제3광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광원제어부,A light source controller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light source, the second light source, and the third light source; 상기 광원제어부에 의해 제1광원이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1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2광원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2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3광원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검출하는 영상검출부,When the first light source is turned on by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a first image emitted from the fingerprint exit surface of the prism is detected, and when the second light source is turned on, a second image exited from the fingerprint exit surface of the prism is detected. An image detector detect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the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when the third light source is turned on; 상기 영상들 중에서, 이들 세 가지 영상들 중에서,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거나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를 분석하여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체가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정하고, 제1 및 제2영상을 비교하여 양 영상의 명암이 반전되지 않은 경우 또 는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가지면 상기 접촉체가 모조지문인 것으로 판정하는 모조지문판정부를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Among the three images, among the three images, the contrast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s inverted, or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bio fingerprint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is a bio fingerprint, and if the contrast of both images is not reversed by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images, or if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dummy fingerprint, A counterfeit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counterfeit fingerprint judge that determines that the contact is a counterfeit fingerprint. 지문취득장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물체(이하, "접촉체")의 영상을 취득하여 접촉체가 생체지문인지 모조지문인지를 판별하는 시스템으로서,A system for acquiring an image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a fingerprint input window of a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tact body is a bio fingerprint or a fake fingerprint. 지문입력창 및 입력된 지문의 영상이 출사되는 지문출사면을 포함하는 프리즘, A prism including a fingerprint input window and a fingerprint exit surface on which an image of the input fingerprint is output;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의 내면에서 전반사되지 않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산란식 지문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1광원,A first light source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emits light at an angle that is not totally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to perform scattered fingerprint acquisition;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의 내면에서 전반사되는 각도로 광을 방사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흡수식 지문취득을 수행하기 위한 제2광원, A second light source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emits light at an angle totally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to perform absorption type fingerprint acquisition; 상기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에 인접한 내부를 따라 광이 투과되도록 외부광을 조사하는 제3광원,A third light source irradiating external light to transmit light along an interior adjacent to a surface of the contact body contacting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상기 제1광원, 제2광원, 제3광원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광원제어부,A light source controller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first light source, the second light source, and the third light source; 상기 광원제어부에 의해 제1광원이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1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2광원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출사면에서 출사되는 제2영상을 검출하고, 상기 제3광원 점등시에는 상기 프리즘의 지문입력창에 접촉된 접촉체의 표면영상(제3영상)을 검출하는 영상검출부,When the first light source is turned on by the light source control unit, a first image emitted from the fingerprint exit surface of the prism is detected, and when the second light source is turned on, a second image exited from the fingerprint exit surface of the prism is detected. An image detector detecting a surface image (third image) of the contact body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input window of the prism when the third light source is turned on; 상기 영상검출부에서 검출한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처리하여, 양 영상의 명 암이 서로 반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조지문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제1모조지문판정부,A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which processe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and outputs a result of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ation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is not inverted; 상기 제1모조지문판정부에서 제1, 제2영상의 명암이 반전된 것으로 분석한 경우에는, 상기 제3영상의 그레이레벨 분포로부터, 상기 제3영상이 생체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지 모조지문에 해당되는 그레이레벨 분포를 갖는지 분석하여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제2모조지문판정부를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In the case where the contrast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is analyzed by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whether the third image has a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bio fingerprint from the gray level distribution of the third image. And a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determiner for analyzing whether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orresponds to the imitation fingerprint and outputting a determination result.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삼각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1 or 12, wherein the prism is a triangular pris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조지문판정부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제1영상 및 제2영상의 각 영상의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을 계산하는 수단과, Means for calculating a sum of differences of gray levels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each imag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양 영상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클 때에는 양자의 명암반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작을 때에는 양 영상의 명암반전이 없는 모조지문으로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If the sum of the gray leve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mages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trast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means f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조지문판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 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검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외부광이 입사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각 구간별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감소할 경우에 생체지문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section se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at which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s detected. And a means for discriminating with a biometric fingerprint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ction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point where the incident start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조지문판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설정된 그레이레벨 최대값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드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Detec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section set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and calculates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t section And means for discriminating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calculated gray level is a biofingerprint when it falls within the reference range by comparing with the set gray level maximum value reference ran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조지문판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설정된 그레이레벨 평균값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s in each section se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s detect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gray levels in each set section is calculated. And means for discriminating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gray levels is a biofingerprint when compared with the set gray level average value reference range and included in the reference ran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조지문판정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제1영상 및 제2영상의 각 영상의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을 계산하는 수단과, Means for calculating a sum of differences of gray levels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each image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양 영상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클 때에는 양자의 명암반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 영역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차이의 합이 기준값보다 작을 때에는 양 영상의 명암반전이 없는 모조지문으로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If the sum of the gray leve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mages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ntrast contrast between the two images.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means f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조지문판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검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외부광이 입사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멀어질수록 각 구간별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이 감소할 경우에 생체지문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section set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s detected. And a means for discriminating with a biometric fingerprint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ction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point where the incident star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조지문판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상기 설정된 각 구간별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설정된 그레이레벨 최대값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드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Detec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in each section set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and calculates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 for each set section And means for discriminating that the maximum value of the calculated gray level is a biofingerprint when it falls within the reference range by comparing with the set gray level maximum value reference ran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조지문판정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imitation fingerprint judgment unit 제3영상의 거리별 그레이레벨 분포도에서 접촉체에 외부광이 입사되는 입사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최대값을 검출하여, 상기 설정된 각 구간에서의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그레이레벨의 평균값을 설정된 그레이레벨 평균값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기준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생체지문인 것으로 판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In the gray level distribution chart for each distance of the third image, the maximum value of the gray levels in each section se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incident position wher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contact is detect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gray levels in each set section is calculated. And means for discriminating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gray levels is a biofingerprint when compared with the set gray level average value reference range and included in the reference range.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의 빛이 상기 프리즘 내부로 들어가는 경로에, 프리즘 내부에서 나오는 빛은 반사되지 않으며 상기 제2광원의 빛은 프리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반반사투광막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in the path where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source enters into the prism, the light from the inside of the prism is not reflected and the light of the second light source is added to the inside of the prism. Imitati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반사투광막에는 확산판처리가 되어 제2광원으로부터의 빛이 프리즘에 확산되어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조지문 식별장치.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antireflective film is subjected to a diffuser plate treatment so that light from the second light source is diffused and incident on the prism.
KR1020050099529A 2005-10-21 2005-10-21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KR1006824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529A KR100682486B1 (en) 2005-10-21 2005-10-21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529A KR100682486B1 (en) 2005-10-21 2005-10-21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486B1 true KR100682486B1 (en) 2007-02-15

Family

ID=3810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529A KR100682486B1 (en) 2005-10-21 2005-10-21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48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02B1 (en) * 2007-11-06 2009-06-29 (주)니트젠앤컴퍼니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orged fingerprint for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CN110770748A (en) * 2019-04-25 2020-02-0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US11126818B2 (en) 2017-11-07 2021-09-21 Lg Chem, Ltd. Sheet and an optical fingerprint scan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258A (en) 1999-11-01 2001-06-22 Trw Inc Method and device for excluding spurious fingerprint caused by variable illumination
KR20010105426A (en) * 2000-04-29 2001-11-29 안준영 Method of discriminating latent fingerprint in optical fingerprint input apparatus
KR20040016664A (en) *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휴노테크놀로지 Optical finger print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finger print input on the same
KR20060040323A (en) * 2004-11-05 2006-05-10 (주)니트 젠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orged fingerprint for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258A (en) 1999-11-01 2001-06-22 Trw Inc Method and device for excluding spurious fingerprint caused by variable illumination
KR20010105426A (en) * 2000-04-29 2001-11-29 안준영 Method of discriminating latent fingerprint in optical fingerprint input apparatus
KR20040016664A (en) *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휴노테크놀로지 Optical finger print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finger print input on the same
KR20060040323A (en) * 2004-11-05 2006-05-10 (주)니트 젠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orged fingerprint for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02B1 (en) * 2007-11-06 2009-06-29 (주)니트젠앤컴퍼니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orged fingerprint for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US11126818B2 (en) 2017-11-07 2021-09-21 Lg Chem, Ltd. Sheet and an optical fingerprint scanner
CN110770748A (en) * 2019-04-25 2020-02-07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CN110770748B (en) * 2019-04-25 2023-09-0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US11810395B2 (en) * 2019-04-25 2023-11-07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Optical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6295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apparatus
KR100333138B1 (en) Method of discriminating latent fingerprint in optical fingerprint input apparatus
CN100457031C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tion of natural skin
US20100008552A1 (en)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living body fingerprint and method thereof
JP4258393B2 (en) Personal identification device, fingerprint image pickup device, and fingerprint image acquisition method
WO20010654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a human finger from a reproduction of a fingerprint
US20060279726A1 (en) Facial liveness assessment system
KR1006824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US106647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and analysing fingerprints with fraud detection
KR2017011653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Fake Fingerprint Using Wave Length of Light
WO20060493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orged fingerprint using laser beam
KR1004425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orged fingerprint
JP2000331211A (en) Device for discriminating coin
WO20060493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orged fingerprint for optical fingerprint acquisition apparatus
JP2008009821A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JP2005046234A (en) Living body detecting method
US11327025B2 (en) Authentication by optical index
JP2009031002A (en) Potation determiner
KR100575524B1 (en) An optical type fingerprint input device
KR1008165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ingerprint replica using fingerprint periodicity and directiveness
KR20100123812A (en)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living body fingerprint and method therof
JP2001266134A (en) Fingerprint input device
TW52898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latent fingerprint in optical fingerprint input apparatus
KR1006075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forged fingerprint using laser beam
JPH06162175A (en) Fingerprint matching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