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0521B1 -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0521B1
KR100680521B1 KR1020050096667A KR20050096667A KR100680521B1 KR 100680521 B1 KR100680521 B1 KR 100680521B1 KR 1020050096667 A KR1020050096667 A KR 1020050096667A KR 20050096667 A KR20050096667 A KR 20050096667A KR 100680521 B1 KR100680521 B1 KR 10068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end member
digital camera
compu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무
Original Assignee
송원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무 filed Critical 송원무
Priority to KR102005009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모니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는 다수의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가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되, 적어도 1개의 디지털 카메라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회동 및 절곡가능케 된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다른 방향에 위치한 대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아암과 수평기를 통해 방향과 각도 및 거리를 정확히 맞추어 촬영 영상의 질을 높이므로써 사진 촬영, 동영상 제작 및 화상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수평으로 놓여진 자료를 복사하지 않고 근접촬영기능으로 사진을 찍음으로써 복사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computer having digital camera and digital clinometer}
도1은 종래 멀티미디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 엘씨디 모니터 또는 패널 외곽부에 피씨 카메라(PC camera)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a 내지 도4d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 본체의 측면 또는 상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양한 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니터 및 컴퓨터 본체에 가장자리를 따라 내면에 지지수단이 수용되는 수용구멍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7은 도6의 고정축부의 분리사시도(스프링부재 제외),
도8은 도6의 스프링부재에 대체가능한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도6은 조정대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조정대부의 조정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 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13은 도12의 조정대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조정대부의 조정상태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16는 도15의 조정대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조정대부의 조정상태도,
도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0은 도19의 제3, 제4단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상태도,
도21은 도19의 제3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4는 도23에서 제2, 제3단부재가 외삽된 상태도,
도25는 도23의 제1, 제2, 제3단부재의 사시도,
도26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 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8는 도27의 평면도,
도29은 도27의 조정대부의 분리사시도,
도30는 도27의 단부재가 접혀진 상태도,
도3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2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지지수단 및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지지수단 및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 및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 및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6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의한 지지수단 및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7은 도34 및 도35의 롤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8은 도36의 지지수단의 조정대부의 단부재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인입된 상태도,
도39 내지 도42는 디지털 수평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지지수단 21, 22 : 핀
30 : 고정축부 40 : 조정대부
41, 42, 43 : 제1, 제2, 제3단부재
50 : 이송수단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에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카메라가 다양한 방향과 위치로 촬영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쌍방향 화상통신용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니터를 구비한 컴퓨터가 개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 멀티미디어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2)가 스탠드(1)에 대해 주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모니터(2) 상부 일측에는 영상신호 입력용 비디오 카메라(3)가 모니터(2)와 분리되어 돌출되게 장착된다.
한편, 데스크 탑 컴퓨터의 엘씨디(LCD) 모니터 혹은 노트북 컴퓨터의 엘씨디(LCD) 패널(P) 외곽부에 피씨 카메라(PC camera)를 고정하여 놓이도록 하는 장치가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3111호로 개시되어 있는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본체(4)와, 상기 카메라 본체(4)의 배면으로 일정간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페이서(5)와, 상기 스페이서(5)의 배면에 연속해서 형성되는 집게(6, 7)와, 상기 집게(6, 7)의 내측에 일정각도로 회동가능케 결합되는 평형부재(8, 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장착한 컴퓨터는, 모니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화상통화를 할 경우, 모니터에 설치된 카메라(3, 4)를 통해 통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컴퓨터 본체를 통해 상대방의 모니터로 전송함과 동시에 이와 반대로 상대방의 컴퓨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상대방의 모습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모니터로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카메라를 장착한 컴퓨터에서는 두 개의 다른 방향에 위치한 대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방향과 각도 및 거리에서 정확하게 촬영할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전송화면의 질이 떨어지게 되어 컴퓨터 화상통신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다른 방향에 위치한 대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아암과 수평기를 통해 방향과 각도 및 거리를 정확히 맞추어 촬영 영상의 질을 높이므로써 사진 촬영, 동영상 제작 및 화상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수평으로 놓여진 자료를 복사하지 않고 근접촬영기능으로 사진을 찍음으로써 복사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 를 장착한 컴퓨터는, 본체와 모니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는 다수의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가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되, 적어도 1개의 디지털 카메라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회동 및 절곡가능케 된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지지수단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거나 수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구멍에 삽입되는 지지수단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이송수단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의 연결부재는 안테나식으로 순차적으로 내삽되는 다단부재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연결 부재중의 일부는 지지수단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인접하는 연결부재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끼워맞춤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데스크 탑 컴퓨터 등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11)의 상측에는 커버를 겸한 모니터(13)가 개폐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본체(11) 및 모니터(13)의 가장자리에는 카메라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20)은 컴퓨터 본체(11)의 측면, 컴퓨터 본체(11)의 가장자리 상면, 모니터(13)의 가장자리 내면에 설치되는데, 그 단부에는 디지털 카메라(17)와 디지털 수평기(18)가 결합되어 있다. 컴퓨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다수의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 본체(11)나 모니터(13)의 가장자리면에는 상기 지지수단(20)이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4a 내지 도4d는 컴퓨터 본체(11)의 측면 또는 상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양한 홈(11a, 11b, 11c, 11d)을 예로 들어 나타낸다. 상기 홈 중에서 길이가 짧은 홈(11d)에는 상기 지지수단(20)을 1/2 또는 1/3길이로 접거나(링크식의 경우) 내삽시켜(안테나식의 경우) 수용시킨다. 상기 긴 홈(11a, 11b, 11c)은 상기 짧은 홈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을 접거나 내삽시켜 부피를 줄여서 보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본체(11)나 모니터(13)의 가장자리면에는 상기 지지수단(20)이 수용되도록 수용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5a 및 도5b는 모니터(13) 및 컴퓨터 본체(11)에 가장자리를 따라 내면에 상기 지지수단(20)이 수용되는 수용구멍(13a, 13b, 13c)(11e)을 예로 들어 나타낸다. 상기 수용구멍(13a, 13b, 13c)(11e)에 수용되는 지지수단(20)은 후술하는 이송수단에 의해 인입/인출된다. 상기 수용구멍(13a, 13b, 13c)(11e)는 수용되는 지지수단의 형태에 따라 오각구멍, 육각구멍, 원구멍, 사각구멍, 타원구멍, 반원구멍 직사각구멍 등 다양한 형태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 및 수용구멍은 상기 지지수단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수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걸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수단(20)의 연결부재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원형, 타원형, 반원형, 직사각형, 일자형, ㄷ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에 고정구멍(H)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H)에 고정축부(3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부(30)에 힌지결합되어 조정되는 조정대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수단(20)은 다수의 연결부재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회동 및 절곡가능케 되어 있다.
상기 고정축부(30)는 상기 조정대부(40)가 핀(2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상고정부재(31)와, 상기 상고정부재(31)의 하측에 끼워져 상기 고정구멍(H)내에서 상하이동하는 하고정부재(32)와, 상기 하고정부재(32)의 상하이동을 완충하는 스프링부재(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멍(H)의 내부에는 상기 하고정부재(32)의 머리부(32b)가 걸리는 한편 상기 스프링부재(33)가 수용되어 걸리게 하는 걸림턱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고정부재(31)는 그 상단에 슬릿홈(31a)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측플랜지(31b, 31b)가 형성되며 그 하단에 삽입돌출부(31c)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부품이다. 상기 하고정부재(32)는, 로드부(32a)의 일측단에 상기 삽입돌출부(31c)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머리부(32b)가 형성되고 로드부(32a)의 타측단에 상기 고정구멍(H)의 바닥부에 밀착하는 푸트부(32c)가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머리부(32b)와 푸트부(32c)는 상기 로드부(32a)와는 별개로 된 부재로서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머리부(32b)와 상기 푸트부(32c)의 사이에는 상기 로드부(32a)의 외부에 스프링부재(33)가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머리 부(32b)에는 상기 삽입돌출부(31c)가 삽입되는 구멍(32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고정부재(31)의 삽입돌출부(31c)는 상기 구멍(32d)에 끼워져 상기 하고정부재(32)에 대해 회전가능케 되어 있다. 상기 상고정부재(31)는 상기 하고정부재(32)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삽입돌출부(31c) 또는 상기 구멍(32d)에는 도시하지 않는 공지의 구속부 또는 구속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33)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통형의 고무재로 된 탄력성을 가진 탄성부재(35)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5)의 중앙에는 상기 로드부(32a)가 관통하도록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부(34)는 상기 구멍(35a)의 내부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는 공지의 구조이다.
상기 조정대부(40)는 3단으로 된 아암으로서, 상기 핀(21)에 의해 상기 상고정부재(31)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1단부재(41)와, 상기 제1단부재(41)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제1단부재(41)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제2단부재(42)와, 핀(22)에 의해 상기 제2단부재(42)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3단부재(43)로 이루어진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부재(41)는 그 일단에는 상기 슬릿홈(31a)에 끼워져 힌지결합되는 중간 플랜지(41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연결구멍(41b)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제2단부재(42)는 그 일단에는 상기 연결구멍(41b)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42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핀(22)에 의해 상기 제3단부재(43)가 힌지결합되는 중간플랜지(42b)가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3단부재(43)는 그 일단에는 상기 중간플랜지(42b)가 끼워지는 슬릿홈(43a)이 형성되어 양 측으로 측플랜지(43b, 43b)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중간플랜지(42b)의 바닥부는 반원형면(42c)으로 형성되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단부재(43)가 180도 이상의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케 되어 있다.
상기 중간 플랜지(41a)에는 상기 핀(21)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랜지(42b) 및 측플랜지(43b)에는 상기 핀(22)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출부(42a)에는 상기 연결구멍(41b)에서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공지의 이탈방지부 또는 이탈방지부재(예를 들어 링)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핀(21, 22)의 양단에는 핀이 조립된 후 빠지지 않도록 스냅링 등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삽입돌출부(42a)는 상기 연결구멍(41b)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케 결합되어 조정대부(40)의 길이가 조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멍(41b) 및 삽입돌출부(42a)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물리는 돌기띠 및 홈띠가 형성되어 제1단부재(41) 및 제2단부재(42)의 상대적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20)에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부(30)의 상고정부재(31)는 하고정부재(32)에 대해 수평면에서 360도 회전가능하고, 조정대부(40)는 핀(21)을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대부(40)의 제2단부재(42)는 제1단부재(41)에 대해 조정대부(4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가능하며, 제3단부재(43) 는 핀(22)을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180도 이상의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대부(40)의 제2단부재(42)는 제1단부재(41)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정대부(4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축부(30) 및 조정대부(40)를 조정하여 조정대부(40)의 단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원하는 곳에 위치시키면서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조정되는 고정축부(30) 및 조정대부(40)의 맞물림면은 마찰력에 의해 그 조정상태가 유지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1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에 고정구멍(H)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H)에 고정축부(13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부(130)에 힌지결합되어 조정되는 조정대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부(130)의 상고정부재(131), 하고정부재(132)와, 스프링부재(133) 및 걸림턱부(134)등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조정대부(140)는 5단으로 된 아암으로서, 상기 핀(121)에 의해 상기 상고정부재(131)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1단부재(141)와, 상기 제1단부재(141)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제1단부재(141)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제2단부재(142)와, 핀(122)에 의해 상기 제2단부재(142)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3단부재(143)와, 상기 제3단부재(143)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제3단부재(143)를 축으로 하여 회동 하는 한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케 결합된 제4단부재(144)와, 핀(123)에 의해 상기 제4단부재(144)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5단부재(145)로 이루어진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부재(141)는 그 일단에는 상기 상고정부재(131)의 슬릿홈(도7의 31a참조)에 끼워져 핀(12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중간 플랜지(141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삽입돌출부(141b)가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제2단부재(142)는 그 일단에는 상기 삽입돌출부(141b)가 끼워지는 구멍(142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핀(122)에 의해 상기 제3단부재(143)가 힌지결합되는 중간 플랜지(142b)가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3단부재(143)는 그 일단에는 상기 중간 플랜지(142b)가 끼워지는 슬릿홈(143a)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측플랜지(143b, 143b)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연결구멍(143c)이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제4단부재(144)는 그 일단에는 상기 연결구멍(143c)에 삽입되는 삽입 돌출부(144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핀(123)에 의해 상기 제5단부재(145)가 힌지결합되는 중간플랜지(144b)가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5단부재(145)는 그 일단에는 상기 중간플랜지(144b)가 끼워지는 슬릿홈(145a)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측플랜지(145b, 145b)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중간 플랜지(141a)에는 상기 핀(121)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플랜지(142b) 및 측플랜지(143b)에는 상기 핀(122)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중간 플랜지(144b) 및 측플랜지(145b)에는 상기 핀(123)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출부(141b)에는 상기 구멍(142a)에서 축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공지의 이탈방지부 또는 이탈방지부재(예를 들어 링)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핀(121, 122, 123)의 양단에는 핀이 조립된 후 빠지지 않도록 스냅링 등이 결합되어 또한, 삽입 돌출부(144a)는 상기 연결구멍(143c)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케 결합되어 조정대부(140)의 길이가 조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120)에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부(130)의 상고정부재(131)는 하고정부재(132)에 대해 수평면에서 360도 회전가능하고, 조정대부(140)는 핀(121)을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대부(140)의 제2단부재(142)는 제1단부재(141)에 대해 조정대부(14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가능하며, 제3단부재(143)는 핀(122)을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제4단부재(144)는 제3단부재(143)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정대부(14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단부재(143)에 대해 조정대부(14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가능하며, 제5단부재(145)는 핀(123)을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180도 이상의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2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에 고정구멍(H) 및 다양한 홈(11a, 11b, 11c, 11d : 도4에 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H)에 고정축부(230)가 설치되고, 상기 다 양한 홈(11a, 22b, 11c, 11d)에는 고정축부(230)에 힌지결합되는 조정대부(240)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부(230)는 상기 조정대부(240)가 핀(22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고정부재(231)와, 상기 고정부재(231)의 상하이동을 완충하는 스프링부재(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멍(H)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231)의 머리부(231a)가 걸리는 한편 상기 스프링부재(233)가 수용되어 걸리게 하는 걸림턱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31)는, 그 머리부(231a)가 도7의 상고정부재(31)의 구성과 유사하며, 상기 머리부(231a)에서 하측으로 로드부(231b)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231b)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구멍(H)의 바닥부에 밀착하는 푸트부(231c)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머리부(231a)와 상기 푸트부(231c)의 사이에는 상기 로드부(231b)의 외부에 스프링부재(233)가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조정대부(240)는 6단으로 된 아암으로서, 상기 핀(221)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231)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1단부재(241)와, 상기 제1단부재(241)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제1단부재(241)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제2단부재(242)와, 핀(222)에 의해 상기 제2단부재(242)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3단부재(243)와, 상기 제3단부재(243)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제3단부재(243)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제4단부재(244)와, 핀(223)에 의해 상기 제4단부재(244)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5단부재(245)와, 핀(224)에 의해 상기 제5단부재(245)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 제6단부재(246)으로 이루어진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부재(241)는 그 일단에는 상기 고정부재(231)의 슬릿홈(도7의 31a참조)에 끼워져 핀(221)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중간 플랜지(241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삽입돌출부(241b)가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제2단부재(242)는 그 일단에는 상기 삽입돌출부(241b)가 끼워지는 구멍(242a)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핀(222)에 의해 상기 제3단부재(243)가 힌지결합되는 중간 플랜지(242b)가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3단부재(243)는 그 일단에는 상기 중간 플랜지(242b)가 끼워지는 슬릿홈(243a)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측플랜지(243b, 243b)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삽입돌출부(243c)가 형성된 구조이고, 상기 제4단부재(244)는 그 일단에는 상기 삽입돌출부(243c)가 끼워지는 구멍(244a)이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핀(223)에 의해 상기 제5단부재(245)가 힌지결합되는 중간플랜지(244b)가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5단부재(245)는 그 일단에는 상기 중간플랜지(244b)가 끼워지는 슬릿홈(245a)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측플랜지(245b, 245b)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핀(224)에 의해 상기 제6단부재(246)가 힌지결합되는 중간플랜지(245c)가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6단부재(246)는 그 일단에는 상기 중간플랜지(245c)가 끼워지는 슬릿홈(246a)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측플랜지(246b, 246b)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220)에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축부(230)의 고정부재(231)는 고정구멍(H)내에서 회동가능하며, 조정대부(240)는 핀 (221)을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대부(140)의 제1단부재(241)가 세워지면 조정대부는 홈(11a, 11b, 11c, 11d)에서 빠져나오므로, 제2단부재(242)를 제1단부재(241)에 대해 조정대부(24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가능하며, 제3단부재(243)는 핀(222)을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제4단부재(244)는 제3단부재(243)에 대해 조정대부(24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가능하며, 제5단부재(245)는 핀(223)을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제6단부재(246)는 핀(224)를 힌지점으로 하여 수직면에서 180도 이상의 상하방??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제3실시예에 한정되지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수단(3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의 상기 고정구멍(H)에 설치되는 고정축부(330)와 상기 고정축부(330)에 힌지결합되는 조정대부(3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정대부(340)가 제1단부재(341), 제2단부재(342), 제3단부재(343) 및 제4단부재(344)의 4단으로 된 아암 형태로 되어 있다. 본실시예는 제3단부재(343)가 제2단부재(342)에 인입인출되고 제4단부재(344)가 제3단부재(343)에 인입인출되는 안테나식의 인입인출 구조이다.
상기 고정축부(33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도20은 상기 제3, 제4단부재(343, 344)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21은 상기 제3단부재(343)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2, 제3, 제4단부재(342, 343, 344)은 사각통 형태로 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제3, 제4단부재(343, 344)가 인입 인출될 때 안내되는 도시하지 않는 공지의 안내홈,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부재(341)는 상기 고정축부(330)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되며, 제2단부재(342)는 제1단부재(341)에 대해 조정대부(340)의 축방향에 대해 360도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3단부재(343)는 제2단부재(342)에 대해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되며, 제4단부재(344)는 제3단부재(343)에 대해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된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수단(4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의 상기 고정구멍(H)에 설치되는 고정축부(430)와 상기 고정축부(430)에 힌지결합되는 조정대부(4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정대부(440)가 제1단부재(441), 제2단부재(442), 제3단부재(443) 및 제4단부재(444)의 4단으로 된 아암 형태로 되어 있다. 본실시예는 제3단부재(443)가 제2단부재(442)에 인입인출되고 제4단부재(444)가 제3단부재(443)에 인입인출되는 안테나식의 인입인출 구조는 점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의 제2, 제3, 제4단부재(442, 443, 444)는 원통형의 아암으로 되어 있다. 나머지 구성은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 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수단(5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의 상기 고정구멍(H)에 설치되는 고정축부(530)와 상기 고정축부(530)에 힌지결합되는 조정대부(5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정대부(540)가 제1단부재(541), 제2단부재(542) 및 제3단부재(543)의 3단으로 된 아암 형태로 되어 있다. 본실시예는 제2단부재(542)가 제1단부재(541)의 외부에 끼워지고 제3단부재(543)가 제2단부재(542)의 외부에 끼워져 안테나식으로 인입인출되는 구조이다. 본실시예는 조정대부(540)의 단부로 갈수록 연결부재가 커지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축부(53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도24는 상기 제2, 제3단부재(542, 543)가 순차적으로 외삽(외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25은 상기 조정대부(540)의 제1, 제2, 제3단부재(541, 542, 543)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제2, 제3단부재(541, 542, 543)은 ㄷ 단면형으로 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제2, 제3단부재(542, 543)이 끼워지고 빠질 때 안내되는 도시하지 않는 공지의 안내홈,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시 이탈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부재(541)는 상기 고정축부(530)에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단부재(542)는 제1단부재(541)에 대해 요동가능케 힌지결합되며, 제3단부재(543)는 제2단부재(542)에 대해 요동가능케 힌지결합 되는데, 상기 제2단부재(542)와 제3단부재(54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요동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4실시예의 지지수단(320), 제5실시예의 지지수단(420) 및 제6실시예 의 지지수단(520)은 도5의 수용구멍(13a, 13b, 13c)(11e)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정대부(340, 440, 540)의 수동으로 상기 수용구멍에서 인입인출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2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수단(6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의 상기 고정구멍(H)에 설치되는 고정축부(630)와 상기 고정축부(630)에 힌지결합되는 조정대부(64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고정축부(6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고정축부(630)의 고정부재에는 제1, 제2, 제3, 제4단부재(641, 642, 643. 644) 및 제5, 제6, 제7단부재(647, 648, 649)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7단부재(649)에는 도시하지 않는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수평기가 장착된다. 상기 제2, 제3, 제5, 제6단부재(643, 644, 647, 648)는 링크형태의 단부재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수단(7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의 상기 고정구멍(H)에 설치되는 고정축부(730)와 상기 고정축부(730)에 힌지결합되는 조정대부(7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정대부(740)의 중간부는 판링크 형태의 단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접혀졌을 경우에 부피를 줄이는 구조이다. 도28는 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29은 본 실시예의 조정대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0은 본 실시예의 조정대부의 중간부가 접혀진 상태도 이다.
상기 고정축부(7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고정축부(730)의 고정부재에는 제1, 제2, 제3, 제4단부재(741, 742, 743. 74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단부재(744)의 단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카메라가 장착된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단부재(741, 742, 743, 744)는 사각봉 또는 판형태의 단부재이다. 이중에서, 상기 제3단부재(743)는 판형태의 링크로 되어 있고, 상기 제2단부재(742) 및 제4단부재(744)의 일측부는 상기 제3단부재(743)가 겹쳐질 정도의 길이로 파여서 판평태를 이루고 있다.
도27의 제8실시예는 제2단부재(742)와 제4단부재(744) 사이에 하나의 단부재(743 : 제3단부재)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제2단부재(742)와 제4단부재(744) 사이에 2개 이상의 단부재(판형태의 링크)를 부착하여 다단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31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지지수단(820)은 컴퓨터 본체 또는 모니터의 상기 고정구멍(H)에 설치되는 고정축부(830)와 상기 고정축부(830)에 힌지결합되는 조정대부(8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정대부(840)의 중간부는 임의대로 접히고 꺽여지는 플렉시블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고정축부(8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고정축부(830)의 고정부재에는 제1, 제2, 제3단부재(841, 842, 84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데, 제1단부재(841)와 제3단부재(843)는 단단한 부재로 되어 있고, 제2단부재(842)는 임의대로 접히고 꺽여지는 플렉시블 부재로 되어 있다. 상기 제2단부재(842)의 플렉시블한 플라스틱재로 고무재로 된 관형부재(파이프)의 내부에 코일스프링(844)이 내장되어 구부러진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도꼭지대, 탁상용 전등대등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봉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제1실시예 내지 제9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가 장착된 컴퓨터의 지지수단의 조정대부는 수용홈이나 수용구멍(도4a 내지 도4d, 도5a 및 도5b에 도시)에 매입되지 않고 컴퓨터 본체 혹은 모니터의 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가 사용시에는 세워서 사용하게 된다.
도32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의 지지수단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예를 들어 320, 420, 520 등 : 전체 S로 표시)의 측부에는 이송판(51)이 부착되고, 상기 이송판(51)은 마찰롤러(52)에 연결된 모터(53)의 구동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제10실시예)의 지지수단(S)은 도5의 수용구멍(13a, 13b, 13c)(11e)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이송판(51)이 상기 수용구멍(13a, 13b, 13c)(11e)에서 인입 인출됨에 따라 지지수단(S)이 수용구멍에 인입인출하게 되어 있다.
상기 마찰롤러(52)는 전자석롤러 또는 영구자석롤러로 이루어져, 자력에 의해 상기 이송판이 움직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33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이송수단(150)은 제9 실시예의 이송판이 랙잇빨이 형성된 랙이송판(151)로 되어 있고, 상기 랙이송판(151)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결합된 피니언(152)에 맞물려 좌우방향으로 이송하게 되어 있다.
도34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이송수단(250)은 구동롤러(252) 및 종동롤러(253) 사이에 걸리어 공전하는 이송벨트(251)에 지지수단(S)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롤러(252)를 모터(254)가 구동함에 의해 이송벨트(251)에 고정된 지지수단(S)이 좌우방향으로 이송하게 되어 있다.
도35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이송수단(350)은 지지수단(S)의 외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상부롤(352) 및 하부롤(352')에 의해 지지수단(S)이 좌우방향으로 이송하게 되어 있다. 상기 상부롤(354) 및 하부롤(354')은 도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상가압부(354) 및 하가압부(354')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지지수단(S)에 밀착하게 된다. 도36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본 실시예는 지지수단(S')의 조정대부가 안테나식으로 인입인출되는 구조에 적용되는 이송수단(350)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35의 제13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8은 도36의 이송수단(350)이 작동되어 지지수단(S')의 단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32 내지 도36에 도시된 이송수단(50, 150, 250, 350)의 자세한 구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마찰이송수단, 랙 및 피니언 이송수단 및 벨트 이송수단으로 된 공지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S)의 조정대부를 도5a 및 도5b에 도시한 수용구멍(13a, 13b, 13c)(11e)에 인 입/인출시키는 경우 전동에 의하거나 수동에 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데스크 탑 컴퓨터에는 어디든지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제 1실시예에서는 제3단부재(43)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 2실시예에서는 제5단부재(145)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 3실시예에서는 제6단부재(246)의 타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 이외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위치에 디지털 카메라가 결합된다. 그리고, 디지털 수평기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설치된다. 상기 디지털 수평기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예컨대, 책)를 촬영(복사)할 때 그 디지털 카메라가 그 피사체(예컨대, 책)의 내용을 가잘 잘 촬영(복사)할 수 있는 각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수평기는 상기 단부재(43, 145, 246)에 결합된 디지털 카메라가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피사체에 대한 촬영(복사)이 가장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각도(에컨대, 직각)로 되면 이를 촬영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통상적인 근접 촬영기능, 줌기능, 자동 포커스 기능, 자동 광도 조절기능 등을 갖춘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간의 전기적인 연결배선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종 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누구나 쉽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의 작동을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이 필요한데, 이 역시 통상적인 구동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이용하면 되고, 그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의 조정은 컴퓨터의 키보드를 통하여 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표시창(도시 생략)을 갖추게 되는데, 그 표시창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각도가 숫자 또는 형상 등으로 표시된다. 표시창을 디지털 카메라에 설치하는 것은 익히 알려진 방법으로 할 수 있고, 그 표시창에 숫자 또는 형상을 표시하는 방법 역시 익히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면 된다.
도 39 내지 도 42는 디지털 수평기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9 내지 도 42의 단부재(43, 145, 246)에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단부재(43, 145, 246)의 타단에 디지털 카메라가 매입 또는 약간 돌출되게 설치된 것으로 보면 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수평기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그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수평기는 당업자라면 알려져 있는 공지의 방식을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39에서, 디지털 수평기(900)는 상기 단부재(43, 145, 246)의 외표면상에 그 단부재(43, 145, 246)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된다. 그 디지털 수평기(900)의 근처에는 수평 신호등(901)이 설치된다. 그 수평 신호등(901)은 상기 디지털 수평기(900)에 의해 측정된 각도가 가장 최적일 경우(즉, 피사체의 수평면에 대해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가 수직을 이룰 때)에 점등 또는 점멸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신호등(901)은 LED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 수평기(900)와 수평 신호등(901)은 간단한 전기적인 배선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 수평 신호등(901)은 당업자라면 알려져 있는 공지의 방식을 이용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 신호등 대신에 부저 등과 같이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수단을 이용하여도 된다.
도 40에서는 디지털 수평기(900)가 상기 단부재(43, 145, 246)의 외표면상에 가로방향으로 부착된다. 도 41에서는 디지털 수평기(900)가 구형으로 단부재(43, 145, 246)내에 매입되되 상기 단부재(43, 145, 246)의 타단에 설치된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902) 후부에 매입된다. 도 42에서는 디지털 수평기(900)가 상기 단부재(43, 145, 246)의 외표면상에 돌출되게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 40 내지 도 42에는 수평 신호등(901)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수평 신호등(901)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도 39 내지 도 42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부재(43, 145, 246)상에 후레쉬를 설치시켜도 무방하다. 그 후레쉬는 회동가능하여 평상시에는 단부재(43, 145, 246)에 매입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 외부로 돌출되어 동작하게 된다. 그 후레쉬 역시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레쉬의 설치 역시 당업자라면 누구라도 손쉽게 설치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에 의하면, 두 개의 각기 다른 대상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 아암(조정대부)을 통해 방향과 각도 및 거리를 맞추어 촬영할 수 있고 카메라 렌즈의 방향이 수직 혹은 수평이 되면 신호음과 신호등을 작동하는 기능을 장착하여 촬영대상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촬영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영상의 질을 높이고 사진촬영, 동영상 제작 및 화상통신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컴퓨터에 장착된 근접촬영기능의 사진기를 통하여 자료를 사진으로 담 아서 서적을 복사하는 수고와 경비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카메라를 가지고 두 사람을 동시에 촬영함으로써 상담 혹은 수강시에 양방향의 내용을 함께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7)

  1. 본체와 모니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는 다수의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가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되,
    적어도 1개의 디지털 카메라는 다수의 연결부재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회동 및 절곡가능케 된 지지수단에 의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지지수단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지지수단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수용되도록 수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연결부재는 안테나식으로 순차적으로 내삽되는 다단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중의 일부는 지지수단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인접하는 연결부재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끼워맞춤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멍에 삽입되는 지지수단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이송수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근접 및 줌기능과 자동거리 조정 기능을 갖는 자동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KR1020050096667A 2005-10-13 2005-10-13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KR10068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667A KR100680521B1 (ko) 2005-10-13 2005-10-13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667A KR100680521B1 (ko) 2005-10-13 2005-10-13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521B1 true KR100680521B1 (ko) 2007-02-08

Family

ID=3810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667A KR100680521B1 (ko) 2005-10-13 2005-10-13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174B1 (ko) * 2011-08-01 2012-06-18 주식회사 강인기업 중앙선 분리장치
KR20140009891A (ko) * 2012-07-13 2014-01-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승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174B1 (ko) * 2011-08-01 2012-06-18 주식회사 강인기업 중앙선 분리장치
KR20140009891A (ko) * 2012-07-13 2014-01-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승강 장치
KR101586705B1 (ko) * 2012-07-13 2016-01-1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승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40400A (zh) 设置柔性显示面板的内折叠型铰链结构
KR20170087000A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KR20200005148A (ko) 양방향으로 접히는 단말기용 힌지구조
US11435785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8388314A (zh) 一种电子设备及其摄像头组件
EP1601166A1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wo liquid crystal displays
WO2017057783A1 (ko) 역폴딩 되는 확장화면형 이동단말기.
CN100502420C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转动相机
US7554595B2 (en)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and swivel hinge structure
JP201113901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WO2019209060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100680521B1 (ko)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수평기를 장착한 컴퓨터
CN115234569B (zh) 连接模组及显示终端
CN207720213U (zh) 手机自拍杆
KR20180052059A (ko) 반자동 구동부가 설치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EP115966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8085349B2 (en) Digital photo frame with interchangeable front frame
KR20170087001A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KR100760313B1 (ko) 광학식 피사체 캡쳐링 장치용 관절식 아암
KR20210016498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접히는 힌지모듈
US20130272687A1 (en) Frame for mounting reflecting plate and background sheet for picture and video shooting thereon
KR20180085569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0671694B1 (ko) 스위블 힌지기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11742289U (zh) 一种网络教学投影装置
CN210982920U (zh) 一种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