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401B1 -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401B1
KR100679401B1 KR1020040052066A KR20040052066A KR100679401B1 KR 100679401 B1 KR100679401 B1 KR 100679401B1 KR 1020040052066 A KR1020040052066 A KR 1020040052066A KR 20040052066 A KR20040052066 A KR 20040052066A KR 100679401 B1 KR100679401 B1 KR 10067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ireless terminal
image information
camera
electronic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252A (ko
Inventor
문승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4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 영상 입력 및 처리 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영상 입력 및 영상 인식을 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의 구조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입력 및 출력으로 사용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입력 및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전자펜와, 상기 입력되는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기, 카메라, 영상입력, VM, 무선단말 부가기능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Image input system using wireless terminal having camera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영상 입력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을 차례대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을 차례대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을 차례대로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들에 대한 참조 부호들의 설명>
110 : 키패드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전자펜 140 : 카메라부
150 : 영상처리부 160 : 중앙처리부
170 : 저장부 180 : 송수신부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의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입력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공학 및 통신공학의 계속적인 발전에 따라 무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예컨대, 일반적인 음성통화 및 문자메세지 전송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화상통화 및 동영상메세지 전송 등의 기능을 무선 단말기가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핸드폰, 피디에이(PDA), 스마트폰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는 상술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빠른 처리 속도를 갖는 중앙처리장치 및 고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함은 물론, 더 많은 키패드와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통화 또는 동영상의 처리를 위하여 카메라가 장착된 무선 단말기들도 보급되는 등 무선 단말기는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무선 단말기는 공간 등의 제약에 의하여 구비할 수 있는 버튼의 수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상기 키패드로는 문자, 숫자, 방향 및 기능 등의 비교적 간단한 정보만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이외에 터치패드 또는 조이스틱 등의 외부 정보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외부 정보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선 단말기에 별도의 외부 정보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지불되어야 하고, 외부 정보 입력 장치를 장착하기 위하여는 일정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 영상 입력 및 처리 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영상 입력 및 영상 인식을 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기존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영상을 입력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 별도의 외부 영상 입력 및 처리 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영상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공간낭비를 줄이고,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입력 및 출력으로 사용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입력 및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전자펜과, 상기 입력되는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은, 키보드, 송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모양 또는 색상을 갖는 빛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전자펜과,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처리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이 활성화되는 동안 특정 모양 또는 색상의 빛을 감지하여 지속적으로 추출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은,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A-2)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와, A-3) 카메라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A-4)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A-5) 중앙처리부에서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은,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에 있어서, B-1)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B-2)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게임을 실행하여 시작하는 단계와, B-3)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와, B-4) 카메라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B-5)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B-6) 중앙처리부에서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B-7)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은,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에 있어서, C-1)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C-2)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문자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와, C-3) 카메라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C-4) 영상처리부에 서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C-5) 중앙처리부에서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설명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없이 예를 들어 도시되고 한정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사용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은 크게 키패드(11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전자펜(130)과, 카메라부(140)와, 영상처리부(150)와, 중앙처리부(160)와, 저장부(170)와, 송수신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110)는 입력과 출력으로 사용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버튼과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도록 사용되는 기능버튼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중앙처리부(160)에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에는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입력된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팝업메뉴버튼과 팝업메뉴의 실행버튼이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표시 장치(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또는 유기 EL 등의 소자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부(160)의 처리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는 다양한 메뉴화면, 실행화면 또는 결과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창에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전자펜(130)은 사용자가 영상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입력장치로서, 삼각형 등의 특정 외부 모양을 이용하거나 발광다이오드 등의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추출할 수 있는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전자펜(130)의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하는 도 2의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와, 카메라가 읽어들인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영상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여 상기 영상처리부(150)에 제공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전자펜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펜이 활성화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상기 전자펜의 포인 트 위치, 이동경로 및 방향 등의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영상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부(160)에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전자펜의 활성화 여부는 특정 외부 모양을 가진 전자펜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경우에는 전자펜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여 특정 속도 이하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전자펜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하며,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가 온되어 있는 동안에만 전자펜이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160)는 무선 단말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며, 다른 구성들과 유기적으로 상호관계되도록 데이터와 신호들을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들을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사용자의 영상 정보 저장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의 영상저장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들이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저장부(170)는 상기 영상 정보들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172)와, 버츄얼머쉰(VM; Virtual Machine, 이하 ‘VM’이라 한다.) 게임 등을 저장하는 게임저장부(174)를 비롯하여 무선 단말기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들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들은 상기 영상저장부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170)에는 기본적인 실시간 처리운영시스템(OS; Operating System) 및 무선 단말기의 호처리 소프트웨어들이 저장된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와, 데이터의 일시저장이 가능한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ROM; Reaf Only Memory) 등의 메모리들이 포함된다.
상기 송수신부(180)는 외부의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음성통화나 문자메세지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상기 중앙처리부에 제공하거나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자동응답메세지를 상대방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는 전송하고자 하는 음성통화나 문자메세지를 상대방의 단말기에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2는 도 1의 영상 입력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개략적로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펜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전자펜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입력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형되고 응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전자펜 중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하는 전자펜(130)은 크게 발광부(132)와, 제어부(134)와, 전원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132)는 상기 무선 단말기에 입력되는 영상을 감지하기 위한 빛을 비추는 소자를 구비하며, 발광다이오드(LED) 등의 발광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전기를 통해주면 전자가 에너지 레벨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면서 특정한 파장의 빛을 내는 화합물 반도체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하는 신호, 즉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빛을 이용하여 출력 또는 저장하고자 하는 영상을 입력한다. 예컨대, 적색 발 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640㎚ 내지 670㎚ 정도의 주파수를 갖는 적색의 빛을 발광시켜 상기 전자펜을 경로 및 방향을 이동하면서 영상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영상 정보를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집한다.
상기 제어부(134)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사용자가 전자펜을 파지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동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전자펜이 온되고, 그 외에는 전자펜이 오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36)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전자펜(130)은 상기 구성 이외에도,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볼(138)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138)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이 특정 모양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특정 모양의 빛을 감지하여 입력되는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 볼을 이용하는 대신에 빛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는 편광판이나 결정체를 이용하여 빛의 모양을 특정할 수 있으며, 직접 상기 발광부에서 특정 색상 이외에 특정 모양을 갖는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펜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영상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펜(130)을 파지하면 상기 발광부(132)가 온되고, 특정 모양을 갖는 빛 또는 특정 색상을 갖는 빛이 발광되어 전자펜을 활성화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발광된 빛을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영상 입력을 완료할 경우에는 파지하고 있던 전자펜을 풀면 상기 발광부(132)가 오프되어 전자펜이 비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하는 전자펜 이외에도 삼각형 등의 특정 외부 모양을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하는 전자펜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자펜의 특정 외부 모양을 이용하여 특정 속도 이하로 전자펜을 이동함으로써 원하는 영상을 정보를 입력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차례대로 보여주는 순서도들로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입력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을 차례대로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원하는 경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을 사용하여 무선 단말기가 영상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영상 입력이 개시된다(S300).
이어서, 사용자가 특정 외부 모양을 갖는 전자펜을 이용하거나 발광소자가 장착된 전자펜(130)을 이용하여 활성화하고, 전자펜을 이동하면서 원하는 영상을 입력한다(S302).
이어서, 카메라부(140)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데이터 처리한다(S304).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는 영상처리부(150)에 제공된다.
이어서, 영상처리부(150)는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에서 입력되는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한다(S306).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의 특정 외부 모양을 감지하고, 전자펜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여 특정 속도 이하로 이동하는 영상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에서 발광되는 빛의 특정 모양을 감지하여 그 모양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이동방향 등을 추출함으로써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에서 발광되는 빛의 특정 주파수, 즉 특정 색상을 감지하여 빛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이동방향 등을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는 전자펜이 활성화되는 동안에는 전자펜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전자펜이 비활성화되어 입력되는 영상 정보가 없으면 수행하던 영상 정보 처리를 중단한다. 영상처리부(150)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는 중앙처리부(160)에 제공된다.
이어서, 중앙처리부(160)는 영상처리부(150)에서 제공되는 추출된 영상 정보들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308).
이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가 자신이 입력한 영상 정보인지를 최종 확인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팝업메뉴에서 의 영상 정보 저장 명령을 실행하면 중앙처리부에서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를 영상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영상 입력을 종료한다(S31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을 차례대로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상기 영상 입력 방법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 상에서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을 사용하여 무선 단말기가 영상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영상 입력이 개시된다(S400).
이어서, 사용자가 팝업메뉴를 실행시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게임을 시작한다(S402).
상기 게임은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모바일 게임, 예컨대 WAP게임 또는 VM게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서버에 접속해 자신이 원하는 게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이를 무선 단말기에서 동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버츄얼머쉰(VM)을 기반으로 한 VM게임이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특정 외부 모양을 갖는 전자펜을 이용하거나 발광소자가 장착된 전자펜(130)을 이용하여 활성화하고, 전자펜을 이동하면서 원하는 영상을 입력하여 상기 VM게임을 진행한다(S404).
이어서, 카메라부(140)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데이터 처리한다(S406).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는 영상처리부(150)에 제공된다.
이어서, 영상처리부(150)는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에서 입력되는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한다(S408).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의 특정 외부 모양을 감지하고, 전자펜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여 특정 속도 이하로 이동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에서 발광되는 빛의 특정 모양을 감지하여 그 모양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이동방향 등을 추출함으로써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에서 발광되는 빛의 특정 주파수, 즉 특정 색상을 감지하여 빛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이동방향 등을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는 전자펜이 활성화되는 동안에는 전자펜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전자펜이 비활성화되어 입력되는 영상 정보가 없으면 수행하던 영상 정보 처리를 중단한다. 영상처리부(150)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는 중앙처리부(160)에 제공된다.
이어서, 중앙처리부(160)는 영상처리부(150)에서 제공되는 추출된 영상 정보들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VM게임을 진행한다(S412).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을 차례대로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문자로 변환 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입력버튼 및 기능버튼을 사용하여 무선 단말기가 영상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영상 입력이 개시된다(S500).
이어서, 사용자가 특정 외부 모양을 갖는 전자펜을 이용하거나 발광소자가 장착된 전자펜(130)을 이용하여 활성화하고, 전자펜을 이동하면서 원하는 문자, 즉 문자 영상을 입력한다(S402).
이어서, 카메라부(140)는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카메라 모듈을 통해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 정보를 데이터 처리한다(S404).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는 영상처리부(150)에 제공된다.
이어서, 영상처리부(150)는 카메라부에서 제공되는 영상 정보에서 입력되는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한다(S406).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의 특정 외부 모양을 감지하고, 전자펜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여 특정 속도 이하로 이동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에서 발광되는 빛의 특정 모양을 감지하여 그 모양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이동방향 등을 추출함으로써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정보의 추출은 전자펜에서 발광되는 빛의 특정 주파수, 즉 특정 색상을 감지하여 빛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이동방향 등을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50)는 전자펜이 활성화되는 동안에는 전자펜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전자펜이 비활성화되어 입력되는 영상 정보가 없으면 수행하던 영상 정보 처리를 중단한다. 영상처리부(150)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는 중앙처리부(160)에 제공된다.
이어서, 중앙처리부(160)는 영상처리부(150)에서 제공되는 추출된 영상 정보들을 문자로 변환한다.
상기 문자 변환은 일반적으로 1. 전처리, 2. 문자 구조 분석 및 등록, 3. 문자 분리, 4. 패턴 매칭, 5. 후처리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추출된 문자 영상의 기울어짐을 교정하거나 그림자와 같은 잡영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상기 문자 영상의 구성 요소인 이미지와 문자(또는 숫자)를 분리, 순서지정 또는 문서형식을 정의하는 문서 구조 분석 및 등록단계를 거치고, 상기 문자 영상에서 각 문자별의 영상을 추출하여 행별이나 단어별로 분리한 후, 각각의 개별 문자를 다시 분리하는 문자 분리 과정을 거친다. 이어서, 분리된 각각의 문자 영상에서 패턴 매칭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가장 유사한 특징을 갖는 모델로 분류하여 후보 문자를 추출하고 신뢰도를 계산하는 패턴 매칭 과정을 거친 후, 마지막으로 사전에 기반하여 단어나 조사들의 인식 오류를 수정하거나 상호참조에 의한 인식 오류를 수정하는 후처리 작업을 거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문자 변환 방식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모든 문자 변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160)는 영상 정보를 문자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 다(S510).
이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문자가 자신이 입력한 문자 영상 정보인지를 최종 확인한 후, 문자 영상 입력이 종료된다(S5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 영상 입력 및 처리 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영상 입력 및 영상 인식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기존의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영상을 인식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외부 영상 입력 및 처리 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불필요한 공간낭비를 줄이고,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설계되고, 응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 영상 입력 및 처리 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영상 입력 및 영상 인식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장착된 기존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인식하기 때문에 다양한 영상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게 영상인식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별도의 외부 영상 입력 및 처리 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영상 입력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공간낭비를 줄이고,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0)

  1.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입력 및 출력으로 사용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
    상기 무선 단말기의 입력 및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전자펜;
    상기 입력되는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무선 단말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무선 단말기의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 입력되는 영상을 감지하기 위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빛의 모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갖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전자펜을 파지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동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전자펜이 온되고, 그 외에는 전자펜이 오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전자펜이 활성화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상기 전자펜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방향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전자펜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여 특정 속도 이하로 이동하는 영상 정보만을 추출함으로써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전자펜에서 발광되는 빛의 방사 모양을 감지하여 그 모양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방향의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전자펜에서 발광되는 빛의 특정 색상을 감지하여 그 모양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방향의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전자펜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추출되는 문자 영상 정보를 문자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영상 정보 이외에 게임 또는 기타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13. 키보드, 송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모양 또는 색상을 갖는 빛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영상 정보를 입력하는 전자펜;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처리하는 카메라부;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이 활성화되는 동안 특정 모양 또는 색상의 빛을 감지하여 지속적으로 추출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15.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에 있어서,
    A-1)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A-2)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A-3) 카메라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A-4)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A-5) 중앙처리부에서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 후에, 사용자의 영상 정보 저장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 정보를 영상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특정 외부 모양을 갖거나 특정 색상을 갖는 빛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파지함으로써 온되어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음으로써 오프되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의 영상 정보 추출은 상기 전자펜에서 방사되는 광원의 방사 모양 또는 특정 색상을 갖는 빛을 감지하여 모양 또는 색상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방향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0.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에 있어서,
    B-1)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B-2)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게임을 실행하여 시작하는 단계;
    B-3)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B-4) 카메라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5)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6) 중앙처리부에서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7)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VM게임 또는 WAP게임을 포함하는 모바일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파지함으로써 특정 외부 모양을 갖거나 특정 색상을 갖는 빛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B-5) 단계의 영상 정보 추출은 상기 전자펜의 특정 외부 모양 또는 특정 색상을 갖는 빛을 감지하여 모양 또는 색상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방향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4.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에 있어서,
    C-1) 상기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상 입력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C-2) 사용자가 전자펜을 이용하여 문자 영상을 입력하는 단계;
    C-3) 카메라부에서 상기 입력된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C-4) 영상처리부에서 상기 수집된 영상 정보에서 상기 전자펜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5) 중앙처리부에서 상기 추출된 영상 정보를 문자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C-5) 단계 후에, 사용자가 표시되는 문자를 확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문자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C-5) 단계에서의 문자 변환은,
    c-1) 상기 추출되는 문자 영상의 기울어짐을 교정하거나 잡영을 제거하는 단계;
    c-2) 상기 문자 영상의 구성 요소인 이미지와 문자를 분리, 순서지정 또는 문서형식을 정의하는 단계;
    c-3) 상기 문자 영상에서 패턴 매칭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가장 유사한 특징을 갖는 모델로 분류하여 후보 문자를 추출하고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c-4) 상기 추출된 문자의 인식 오류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 후, 상기 문자 영상에서 각 문자별의 영상을 추출하여 행별이나 단어별로 분리한 후, 각각의 개별 문자를 다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특정 외부 모양을 갖거나 특정 색상을 갖는 빛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사용자가 파지함으로써 온되어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지 않음으로써 오프되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30.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C-4) 단계의 영상 정보 추출은 상기 전자펜의 특정 외부 모양 또는 색상을 갖는 빛을 감지하여 모양 또는 색상의 포인트 위치, 이동경로 및 방향의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방법.
KR1020040052066A 2004-07-05 2004-07-05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7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066A KR100679401B1 (ko) 2004-07-05 2004-07-05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066A KR100679401B1 (ko) 2004-07-05 2004-07-05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252A KR20060003252A (ko) 2006-01-10
KR100679401B1 true KR100679401B1 (ko) 2007-02-05

Family

ID=3710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066A KR100679401B1 (ko) 2004-07-05 2004-07-05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2486B2 (en) 2021-08-26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lurality of functions using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30030883A (ko) * 2021-08-26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585A (ko) * 2001-11-08 2001-12-28 임성기 가상머신을 내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vm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캠코더의 이미지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52217A (ko) * 2000-12-25 2002-07-03 가나이 쓰토무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20030093463A (ko) * 2002-06-03 2003-1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스캐닝 및 번역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217A (ko) * 2000-12-25 2002-07-03 가나이 쓰토무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전자 기기
KR20010113585A (ko) * 2001-11-08 2001-12-28 임성기 가상머신을 내장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vm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캠코더의 이미지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3463A (ko) * 2002-06-03 2003-12-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스캐닝 및 번역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113585 *
1020020052217 *
102003009346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252A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4325B (zh) 一种扫码方法、扫码装置及移动终端
CN110097428B (zh) 电子订单生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30136173A (ko) 지문 기반 단축키를 제공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US201400564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character in terminal equipment
CN104573597A (zh) 一种二维码识别方法,及装置
US20160162139A1 (e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N102541255A (zh) 基于摄像头的从纵向到横向的朝向固定
CN109495616B (zh) 一种拍照方法及终端设备
CN112068762A (zh) 应用程序的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795007B (zh) 一种获取截图信息的方法及装置
CN108922531B (zh) 槽位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209377B (zh) 基于深度学习的文本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8334272A (zh) 一种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8595935A (zh) 指纹解锁方法及装置
CN110519503B (zh) 一种扫描图像的获取方法及移动终端
EP1832959A2 (en) Method of photographing using a mobile handset, and the mobile handset
KR100679401B1 (ko)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입력 시스템 및 그방법
CN112230781B (zh) 字符推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0298277A (zh) 指纹识别方法及相关产品
CN111684781A (zh) 一种移动终端中用于识别应用程序的设备及终端
CN113362410B (zh) 绘图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610147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s, and storage medium using attribute data
CN110611732B (zh) 视窗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14667505A (zh) 一种应用程序的识别设备及电子设备
CN111930296A (zh)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