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034B1 -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034B1
KR100679034B1 KR1020050008135A KR20050008135A KR100679034B1 KR 100679034 B1 KR100679034 B1 KR 100679034B1 KR 1020050008135 A KR1020050008135 A KR 1020050008135A KR 20050008135 A KR20050008135 A KR 20050008135A KR 100679034 B1 KR100679034 B1 KR 10067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put source
audio signal
volume control
cont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208A (ko
Inventor
고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0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은 컨텐츠 입력원으로부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 입력 받은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는 경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가 외부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자동 음량 조절, 티브이

Description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Method for auto volume controlling and apparatus for relaying content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 및 티브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의 자동 음량 조절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사용자 입력부 220 : 변경 정보 송신부
230 : 제어부 240 : 디코딩부
250 :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 260 : 오디오 신호 송신부
270 : 비디오 신호 송신부
본 발명은 자동 음량 조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중계 장치가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컨텐츠 입력원의 변경 정보를 제공하여, 외부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티브이의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티브이 사용자들은 티브이에 구비되는 입력 수단이나 리모콘을 사용하여 자신의 기호에 맞는 크기로 음량 레벨을 조절한다. 그러나 방송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방송업자 별로 방송 프로그램 제작시의 기준 음량 레벨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티브이 채널을 변경할 때마다 자신의 기호에 맞는 크기로 음량 레벨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가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티브이의 구성 요소 중에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 위주로 도시하였다.
사용자는 임의의 채널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자신의 기호에 맞는 크기의 음량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음량 레벨 설정 요청이 입력되면 기준 음량 설정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크기의 음량 레벨을 기준 음량 레벨로 저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 튜너(1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튜닝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복조부(130)는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복원한다.
복조부(130)에 의해 복원된 오디오 신호는 입력 신호 선택부(135)를 거쳐서 증폭부(150)로 전달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15)는 분석부(140)에게 채널 변경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115)로부터 전송되는 채널 변경 정보를 통하여 채널 변경이 감지되면 분석부(135)는 입력 신호 선택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레벨을 분석한다.
이 때 비교부(145)는 분석부(140)에 의해 분석된 음량 레벨과 기준 음량 설정부(120)에 저장된 기준 음량 레벨을 비교하여 두 음량 레벨 간의 차이값 계산한다.
증폭부(150)는 비교부(145)에 의해 계산된 차이값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 선택부(135)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기준 음량 설정부(120)에 저장된 기준 음량 레벨과 동일한 크기의 음량 레벨로 출력될 수 있도록 증폭량을 결정하고, 입력 신호 선택부(135)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결정된 증폭량 만큼 증폭시킨다. 스피커(155)는 증폭부(150)에 의해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방송 채널이 변경되더라도 스피커(155)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사용 자가 설정한 기준 음량 레벨과 동일한 크기의 음량 레벨로 출력된다.
한편, 도시된 티브이(100)는 외부 오디오 입력부(125)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외부 오디오 입력부(125)는 컨텐츠 중계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컨텐츠 중계 장치는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포탈 서비스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티브이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는 외부 오디오 신호 입력부(125)를 통하여 티브이로 전달된다.
사용자가 컨텐츠 중계 장치를 통하여 전달되는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하면(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콘의 외부 입력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제어부(115)는 입력 신호 선택부(135)를 제어하여 입력 신호 선택부(135)가 외부 오디오 신호 입력부(125)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는 컨텐츠 중계 장치를 제어하는 리모콘이나 컨텐츠 중계 장치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컨텐츠 입력원(예컨대 케이블 방송의 방송 채널, 위성 방송의 방송 채널, 인터넷 포탈 서비스의 컨텐츠 공급 업자 등)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된 사실을 티브이(100)의 제어부(115)가 알지 못하므로 티브이(100)의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이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를 경우에는 외부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는 티브이의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컨텐츠 입력원의 변경 정보를 제공하여, 외부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티브이가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수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방법은 컨텐츠 입력원으로부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는 컨텐츠 입력원으로부터 컨텐츠를 입력 받는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 상기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 받은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변경 정보 송신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컨텐츠 중계 장치는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컨텐츠(예를 들면, 방송 프로그램이나 동영상 데이터 등)를 제공하는 컨텐츠 입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컨텐츠 중계 장치의 예로써 셋탑 박스, 개인용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입력원은 컨텐츠 중계 장치에게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예컨대 케이블 방송 채널, 위성 방송 채널, 인터넷 포탈 서비스의 컨텐츠 공급자 등이 컨텐츠 입력원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컨텐츠 입력원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홈 디바이스(예컨대,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지털 캠코더, DVD 플레이어 등)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시스템은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100), 컨텐츠를 공급하 는 컨텐츠 공급자(310 내지 330) 및 컨텐츠 공급자(310 내지 33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티브이(100)로 중계하는 컨텐츠 중계 장치(200)를 포함한다. 컨텐츠 중계 장치(200)는 외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컨텐츠 공급자(310 내지 3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티브이(100)는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인터넷 포탈 서비스의 컨텐츠 공급자가 컨텐츠 입력원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컨텐츠 입력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채널이나 홈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만약 컨텐츠 입력원이 홈 디바이스라면, 컨텐츠 중계 장치(200)와 컨텐츠 입력원은 외부 네트워크(300)가 아닌 홈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중계 장치(200)를 통하여 컨텐츠 공급자(310 내지 33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티브이(100)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입력원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컨텐츠 중계 장치(200)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 입력원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티브이에게 전송시킨다. 이 때 컨텐츠 중계 장치(200)는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이하 컨텐츠 입력원 변경 정보라 한다)를 티브이에게 전송한다.
컨텐츠 중계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입력원 변경 정보를 수신한 티브이(100)는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변경된 컨텐츠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크기의 음량 레벨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중계 장치 및 티브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티브이(100)는 종래 기술을 통하여 설명한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중계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210), 변경 정보 송신부(220), 제어부(230), 디코딩부(240),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 오디오 신호 송신부(260) 및 비디오 신호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을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210)는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리모콘을 사용하여 사용자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210)는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해석하여 이를 제어부(230)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변경 정보 송신부(22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서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된 경우, 컨텐츠 입력원 변경 정보를 티브이(100)로 송신한다. 변경 정보 송신부(220)로부터 송신되는 컨텐츠 입력원 변경 정보는 티브이(100)의 제어부(115)로 전달되어 티브이(100)가 음량 자동 조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입력원을 변경하도록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코딩부(240)는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를 디코딩한다. 이 때 디코딩부(240)는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를 추출한다.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는 컨텐츠 입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한다.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서 컨텐츠 입력원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오디오 신호 송신부(260)는 디코딩부(240)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티브이(100)에게 송신한다. 오디오 신호 송신부(260)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신호는 티브이(100)의 외부 오디오 신호 입력부(125)로 전달된다.
비디오 신호 송신부(270)는 디코딩부(240)에 의해 추출된 비디오 신호를 티브이(100)에게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신호 송신부(260)와 비디오 신호 송신부(270)를 별도의 모듈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 송신부(260)와 비디오 신호 송신부(270)가 동일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컨텐츠 중계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기능성 블록들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량 조절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컨텐츠 입력원을 변경시키기 위한 사용자 요청이 사용자 입력부(210)로 입력되면(S110), 제어부(230)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요청에 따라서 컨텐츠 입력원을 변경하도록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를 제어한다. 이 때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 입력원이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게 된다(S120).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입력된 컨텐츠가 디코딩부(240)로 전달되면 디코딩부(240)는 전달 받은 컨텐츠를 디코딩한다(S130). 이 때 디코딩부(240)는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게 된다.
디코딩부(240)에 의해 추출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 송신부(270)를 통해 티브이(100)로 송신되고, 디코딩부(240)에 의해 추출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신호 송신부(260)를 통해 티브이(100)로 송신된다(S140).
한편, 컨텐츠 입력원을 변경하도록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250)를 제어한 제어부(230)는 변경 정보 송신부(220)가 컨텐츠 입력원 변경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서 컨텐츠 변경 정보 송신부(220)는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티브이(100)로 송신하게 된다(S150).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컨텐츠 중계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입력원 변경 정보를 수신한 티브이(1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티브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은 도 1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브이의 자동 음량 조절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컨텐츠 중계 장치(200)로부터 컨텐츠 입력원 변경 정보가 수신되면(S210) 제어부(115)는 분석부(140)에게 채널 변경 정보를 전달한다(S220).
제어부(115)로부터 전달되는 채널 변경 정보를 통하여 채널 변경이 감지되면 분석부(135)는 입력 신호 선택부(13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량 레벨을 분 석한다(S230). 이 때 입력 신호 선택부(135)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도 4의 단계 S140에서 컨텐츠 중계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 송신부(260)가 송신한 오디오 신호이다. 입력 신호 선택부(135)는 컨텐츠 중계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 송신부(260)가 송신한 오디오 신호를 외부 오디오 신호 입력부(125)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
이 때 비교부(145)는 분석부(140)에 의해 분석된 음량 레벨과 기준 음량 설정부(120)에 저장된 기준 음량 레벨을 비교하여 두 음량 레벨 간의 차이값 계산한다(S240).
증폭부(150)는 비교부(145)에 의해 계산된 차이값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 선택부(135)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가 기준 음량 설정부(120)에 저장된 기준 음량 레벨과 동일한 크기의 음량 레벨로 출력될 수 있도록 증폭량을 결정하고, 입력 신호 선택부(135)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결정된 증폭량 만큼 증폭시킨다(S250). 스피커(155)는 증폭부(150)에 의해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티브이(100)는 외부 오디오 신호 입력부(12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에 따르면 컨텐츠 중계 장치가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컨텐츠 입력원의 변경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티브이가 외부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도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컨텐츠 입력원으로부터 컨텐츠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 받은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티브이는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음량 조절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입력원은 인터넷 포탈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방송 채널 및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홈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자동 음량 조절 방법.
  3. 컨텐츠 입력원으로부터 컨텐츠를 입력 받는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
    상기 컨텐츠 입력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 받은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오디오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티브이에게 전송하는 변경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티브이는 상기 컨텐츠 입력원이 변경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컨텐츠 중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입력원은 인터넷 포탈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방송 채널 및 컨텐츠를 저 장하고 있는 홈 디바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컨텐츠 중계 장치.
KR1020050008135A 2005-01-28 2005-01-28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 KR10067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135A KR100679034B1 (ko) 2005-01-28 2005-01-28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135A KR100679034B1 (ko) 2005-01-28 2005-01-28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208A KR20060087208A (ko) 2006-08-02
KR100679034B1 true KR100679034B1 (ko) 2007-02-06

Family

ID=3717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135A KR100679034B1 (ko) 2005-01-28 2005-01-28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0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419A (ja) * 2001-10-29 2003-05-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419A (ja) * 2001-10-29 2003-05-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208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48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elays due to channel changes
KR100367675B1 (ko) 티브이 문자정보 번역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522296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according to configuration setting values received from outside
KR20090111558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EP1914985B1 (en) Video 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olume in video playing apparatus
KR100790063B1 (ko) 시간 설정장치 및 방법
US200802737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when switching electronic product channels
KR20090024885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KR10135648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679034B1 (ko) 자동 음량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중계 장치
KR20030061887A (ko) 채널 전환기간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40297B1 (ko) 채널별 자동 음량 조절이 가능한 음량 조절 방법
KR100860173B1 (ko) 채널설정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KR20060091577A (ko)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영상신호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70074782A (ko) 디지털tv와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25044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647365B1 (ko) 디지털 텔리비전의 자동 음향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1067775B1 (ko) 티브이의 우퍼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50095A (ko) 텔레비젼의 음성 제어장치 및 음성 제어방법
KR20060087769A (ko) 방송 프로그램 자동 저장장치 및 방법
KR20100042702A (ko) 영상표시기기의 오디오 신호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70113891A (ko) 영상표시기기의 오디오 신호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40058449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음량조정방법
KR19990039535A (ko) 인터넷 티브이의 볼륨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